KR20180035042A -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 Google Patents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42A
KR20180035042A KR1020160125020A KR20160125020A KR20180035042A KR 20180035042 A KR20180035042 A KR 20180035042A KR 1020160125020 A KR1020160125020 A KR 1020160125020A KR 20160125020 A KR20160125020 A KR 20160125020A KR 20180035042 A KR20180035042 A KR 2018003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er
plotter
side wall
repairing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국
김재을
이종훈
박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042A/ko
Publication of KR2018003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B27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해상에 정박하여 원유 또는 액화가스를 생산하고 있는 플로터를 재입거 하여 생산 작업을 멈추지 않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는,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130); 좌우 양쪽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 측벽(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지점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재입거 되는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지지하여 플로터(1)를 좌우 양쪽 측벽(130) 사이의 중앙으로 위치 잡아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Maintenance Floating Dock Provided With Floater Guide System For Re-docking Therein}
본 발명은, 해상에 정박하여 원유 또는 액화가스를 생산하고 있는 플로터를 그 상태로 재입거 하여 생산 작업을 계속 수행하면서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로터의 재입거를 정확하고 쉽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 저장 하역설비'(LNG-FPSO 또는 FLNG)는, 선박의 모양을 갖추고 해상(Offshore)에 오랜 기간 계류한 상태에서 해저 소스(유정 또는 가스정)로부터 채굴물(원유 오일 또는 원유 가스)을 뽑아 올려 공정 처리(전처리, 분류, 추출, 액화 등)에 의해 생산물(오일 또는 액화가스)을 만들어 저장해 두고, 저장한 생산물을 생산물 운반선에 하역할 수 있게까지 만들어진 설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위에 언급한 LNG-FPSO, FLNG, FPSO를 포함하여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작업을 하거나 생산을 하는 선박을 '플로터(Floater)'라고 통칭한다.
플로터의 일례로서, FLNG는 해저에 시추를 통해 만들어 놓은 가스정(gas well)으로부터 채굴한 원유가스(raw gas)를 메인 데크(main deck)인 상갑판 위쪽(top side)에 설비된 전처리 장치, 분류장치, 액화장치 등을 포함하는 공정 모듈을 통해 LNG, LPG 및 기타 응축물(condensate)로 분류 또는 추출한 다음, 상갑판 아래쪽(hull side)에 마련한 저장 탱크에 각각 저장하였다가, 해상에서 직접 운반선에 하역할 수 있다.
플로터는, 해상에서 오랜 기간 계류한 상태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회전계류장치(turret mooring system)'를 통해 해상에서 위치를 고정한다.
회전계류장치는, 터릿과 선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터릿을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터릿의 하부에는 해저에 박은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계류 라인(예; tension leg)뿐만 아니라 해저 가스정에서 채굴한 원유가스를 뽑아 올리기 위한 채굴관(예; flexible riser)이 설치된다.
이러한 플로터가 해상에서 정박한 상태에서 채굴, 생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기간에는, 예를 들어 선체 밑바닥의 도장이나 손상부위의 용접과 같이 물에 잠긴 부분의 수리작업, 또는 갑판상부 시설의 신축, 개량, 정비 등과 같은 대규모의 공사는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고 매우 긴 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플로터를 수리하기 위하여 조선소나 항만에 건설된 일반적인 건선거(乾船渠, dry dock)나 부선거(浮船渠, floating dock)를 이용하고자 하면, 계류 장치나 공정용수 취수 설비와 같이 선체 외부로 연장해 놓은 시설물들을 철수하여야 하고, 다시 연안까지 항해하여 돌아와서 재입거(再入渠, re-docking) 하여야 하며, 수리 후에는 다시 현장까지 항해해 나가야 하므로, 그만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임무를 중지하여야 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7084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22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014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839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949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임무수행 중인 플로터를 그대로 재입거 하여 수면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천연가스 생산과 같은 플로터 본연의 임무를 멈추지 않고 계속 수행하면서 수리까지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리용 부선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특히 플로터를 수리용 부선거에 재입거 하는 과정에서 파도 등의 영향을 받아 수리용 부선거와 플로터가 어긋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로터의 진입을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플로터의 재입거 작업을 쉽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는,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130); 좌우 양쪽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 측벽(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지점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재입거 되는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지지하여 플로터(1)를 좌우 양쪽 측벽(130) 사이의 중앙으로 위치 잡아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상기 측벽(13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기초단부가 측벽(130)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설치되는 서포트 로드(310); 상기 서포트 로드(310)의 회동단부에 설치되어 플로터(1)의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 접촉자(320);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340); 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회전 접촉자(320)는, 상기 서포트 로드(310)의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ball)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회전 접촉자(320)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강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 측벽(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형 플랫폼(132)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형 플랫폼(132)에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폰툰 데크(110)의 선저부에는 추력발생기(1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서, 상기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6)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의하면, 플로터의 계류 라인이나 채굴관과 같은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 그대로 플로터를 재입거 하여 수리할 수 있음으로써, 플로터의 수리를 위해 장비를 해체하거나 연안으로 돌아올 필요없이 해상의 작업 현장에서 직접 재입거 하여 플로터의 수리 도중에도 플로터의 본연의 임무(예; 천연가스 채굴, 액화처리, 저장)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의하면, 플로터가 수리용 부선거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리용 부선거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에 의해 안내를 받으므로 플로터가 수리용 부선거의 측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중앙으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해상 현장에서 작업 중인 플로터를 그대로 안전하게 재입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의 해저연결요소 진입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된 플로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에 플로터를 재입거 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 이후의 재입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 이후의 재입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 또는 'MFD'(Maintenance Floating Dock)는, 회전계류장치를 가지고 해상에서 임무수행 중인 플로터를 그대로 재입거(再入渠, re-docking) 함으로써, 천연가스 채굴, 생산, 저장, 하역과 같은 플로터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수리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부선거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 및 그것에 재입거 된 플로터를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해저연결요소 진입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에 재입거 할 플로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로터(1)는 메인 데크(main deck)인 상갑판(2)을 기준으로 위쪽 부분은 갑판상부(top side)라고 하고 아래쪽 부분은 선체부(hull side)라고 한다.
갑판상부(top side)에는, 채굴물을 처리하여 생산물을 만들기 위한 공정 모듈(도시하지 않음), 생산물을 운반선에 옮겨싣기 위한 하역설비(도시하지 않음), 발전 설비(도시하지 않음), 거주구(8) 등이 탑재된다. 선체부(hull side)에는 생산물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 기계실 등이 구비된다.
또한, 플로터(1)에는 해상에 정박하기 위한 회전계류장치(3)가 구비되고, 회전계류장치(3)로부터 해저 쪽으로 계류 라인(5)이나 채굴관(6)과 같은 해저연결요소(4)가 연장되어 내려진다.
회전계류장치(3)와 계류 라인(5)을 통해, 플로터(1)는 환경 하중에 대해 선회 가능한 상태로 해상에 정박하여, 채굴관(6)을 통해 해저 가스정이나 유정으로부터 채굴물을 뽑아 올린다. 채굴관(6)을 통해 뽑아 올린 채굴물은 갑판상부의 공정 모듈로 이송하여 전처리, 분류, 추출 등의 과정을 거쳐 목적하는 생산물들을 만든 다음, 선체부에 마련된 저장 탱크에 저장한다.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생산물들은 갑판상부에 구비된 하역 설비를 통해 해상에서 직접 생산물 운반선으로 옮겨 싣는다.
또한, 플로터(1)에는, 자항(self-propulsion)을 가능케 하거나, 회전계류장치(3)를 중심으로 웨더 베이닝(Weather Vaning; 조류, 바람 등의 환경하중 작용 방향으로 선수가 향하도록 회전계류장치를 중심으로 선체를 선회시키는 것)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중익(screw)이나 스러스터(thruster)와 같은 추력발생기(7)를 구비할 수 있다.
수리용 부선거(100)는,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생산 작업 중에 있는 플로터(1)를 그 상태 그대로 재입거(re-docking) 함으로써, 액화천연가스 생산(채굴, 처리, 액화, 저장)과 같은 플로터(1) 본연의 임무를 중단없이 계속 수행하면서 수리를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리용 부선거(100)는, 부력 본체를 이루는 폰툰 데크(110) 및 측벽(130)을 구비한다.
폰툰 데크(110)는 부력을 가지면서 수리용 부선거(100)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것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선수 끝 부분)에는 플로터(1)의 해저연결요소(4)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이 형성된다.
측벽(130)은,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좌현 측 및 우현 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며 그 자체로 부력을 가진다.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은, 부력의 조절을 위해 각각의 내부가 밸러스트 탱크로 이루어진다. 밸러스트 시에는 밸러스트 펌프에 의해 해수를 채워 중력을 증가시켜 수리용 부선거(100)를 물 아래로 침강시키고, 디밸러스트(de-ballast) 시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뽑아 내어 부력을 증가시켜 수리용 부선거(100)를 물 위로 부상시킨다.
이러한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은, 부력을 제공하면서 밸러스트 탱크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강제 케이슨(caisson)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폰툰으로 구축하거나 강제함형(鋼製函形)의 폰툰으로 구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선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추력발생기(7)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을 구비할 수 있다.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은 폰툰 데크(110)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져, 플로터(1)가 수리용 부선거(100)에 재입거 되어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안착하는 경우 추력발생기(7)가 자유롭게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플로터(1)의 수평 안착과 함께 안정된 재입거 상태 유지를 가능케 한다.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은, 회전계류장치(3)로부터 해저로 내려지는 계류 라인(5)이나 채굴관(6)과 같은 해저연결요소(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모양을 갖춘다.
예를 들어, 계류 라인(5)이나 채굴관(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방사상으로 넓게 퍼진 형태를 가지므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은 방사상으로 넓게 퍼진 형태의 해저연결요소(4)가 방해 없이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는 형태를 갖춘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은, 해저연결요소(4)의 설치 각도(또는 형태)를 고려하여,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내려갈수록 전체적으로 폭이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폰툰 데크(110)의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 반대 측(예; 선미 측)에는 복합 건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복합 건물(120)은, 예를 들어 조타실이나 승조원들의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거주동(居住棟)(122)과, 플로터(1)의 수리에 필요한 기자재를 보관하기 위한 기자재 창고(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플로터(1)가 임무 수행 중인 지역까지 자체 동력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하고, 플로터(1)의 재입거 동작을 조정하며, 또한 재입거 후 플로터(1)의 회전계류장치(3)를 이용하여 수리용 부선거(100)의 '웨더 베이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리용 부선거(100)에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선미 부분인 복합 건물(120)의 아래쪽 선저부에 수중익이나 스러스터와 같은 추력발생기(1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에 자체의 추력발생기를 구비하면, 예인선에 의하지 않고 플로터(1)가 작업 중인 해상까지 자체 동력으로 항해하여 갈 수 있다. 또한, 전, 후진 및 회전 동작을 조정하여 재입거 동작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터(1)를 재입거 한 상태에서 플로터(1)의 회전계류장치(3)를 수리용 부선거(100)의 웨더 베이닝 동작 수행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플로터(1) 가동 및 수리 중에도 수리용 부선거(1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바꾸어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리용 부선거(100)와 육상을 연결하여 기자재나 승조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쇼어 램프(shore ramp, 예: stern ramp, side ramp)(1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각종의 크레인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크레인 설비는, 수리용 부선거(100)의 수리 작업을 도울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 규모, 개수에 관계가 없다.
크레인 설비의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자재 하역용 크레인(150)이나 작업용 크레인(160)을 갖출 수 있다.
기자재 하역용 크레인(150)은, 연안의 부두에 있는 기자재를 수리용 부선거(100)의 기자재 창고(124)에 싣거나, 기자재 창고(124)에 있는 기자재를 연안의 부두에 내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기자재 하역용 크레인(150)은, 이른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작업용 크레인(160)은, 측벽(130)의 상면에 선수와 선미 사이를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수리용 기자재 등과 같은 무겁고 큰 물건이나 설비를 옮길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작업용 크레인(160)은, 이른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해상에서 회전계류장치(3) 및 그것의 해저연결요소(4)를 체결한 상태로 천연가스 생산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를 재입거 할 수 있도록 하여, 해상에서 직접 플로터(1)를 수리할 수 있고, 수리 도중에도 본연의 임무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는, 양쪽 측벽(130)의 내측 벽면에 수리용 부선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수리용 부선거(100)에 재입거 되는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지지함으로써, 수리용 부선거(100)에 플로터(1)를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좌우 양쪽 측벽(130) 사이의 중앙으로 플로터(1)가 위치하도록 힘을 가하고 안내한다.
이러한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의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자세하게 보인 것으로서, 도 5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그것의 기초단부가 측벽(130)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설치되는 서포트 로드(310)와, 서포트 로드(310)의 회동단부에 설치되어 플로터(1)의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 접촉자(320)와,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34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로드(310)는, 그것의 기초단부가 지지대(330)에 피벗축(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대(330)는 측벽(130)에 고정된다.
또한, 회전 접촉자(320)는 볼(ball)로 이루어져서 서포트 로드(310)의 단부에 전방향(全方向)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회전 접촉자(320)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강(鋼)으로 구성할 수 있다.
회전 접촉자(320)는 볼 이외에 롤러(roller)로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 접촉자(320)를 볼로 구성하여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면, 플로터(1)의 진입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구를 수 있으므로, 수리용 부선거(100)와 플로터(1)의 상하방향의 상대적 유동에 대응하여서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가압 실린더(340)는, 그것의 기초단부가 지지대(350)에 피벗 축(348)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대(350)는 측벽(130)에 고정된다.
가압 실린더(34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압력을 가하는 실린더(342)와, 실린더(342)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신축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3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342)의 기초단부가 피벗 축(348)에 의해 지지대(350)에 피벗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344)의 자유단부가 힌지 축(346)에 의해 서포트 로드(310)에 힌지 연결된다.
첨부도면에는,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서포트 로드(310)와 가압 실린더(340)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압, 공압, 또는 스프링에 의해 플로터(1)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플로터(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신축 운동하는 기구로 구성하고, 그 기구의 선단에 회전 접촉자(32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등,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고 신축하는 다양한 구조의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는, 측벽(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형 플랫폼(132)을 형성되고, 이 채널형 플랫폼(132)에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설치한다. 채널형 플랫폼(132)은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지만, 작업자가 통행하기 위한 통로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 범위가 넓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수리용 부선거(100)에 플로터(1)를 재입거하는 과정이 차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는 수리용 부선거(100)가 해상에서 작업 중인 플로터(1)에 도착하여 플로터(1)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플로터(1)를 재입거 하기 위해, 해당 플로터(1)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받침(예; 반목, keel block, support block)들을 폰툰 데크(110) 위에 정렬시켜 둔다.
이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 내부의 밸러스트 탱크에 물(해수)를 채워 수리용 부선거(100)의 중량을 증가시켜 서서히 가라앉힌다.
이러한 과정을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의 상면(110a)이 플로터(1)의 가장 낮은 부분(예; 선저면 또는 추력발생기(7)보다 더 낮게 위치할 때까지 수행한다.
이어서, 도 7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와 플로터(1)를 체인이나 와이어와 같은 견인 라인(200)으로 연결한다.
견인 라인(200)을 연결한 후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견인장치를 작동시켜 견인 라인(200)을 서서히 당기며, 플로터(1)가 수리용 부선거(100) 안으로 서서히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가 플로터(1) 쪽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가 플로터(1)의 배 밑바닥 아래로 진입하는 한편, 플로터(1)는 수리용 부선거(100)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진입을 더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추력발생기(118)를 보조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플로터(1)가 수리용 부선거(100) 안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좌우의 측벽(130)에 마주보고 설치된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들이 차례로 플로터(1)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에 의해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균일한 압력으로 밀어붙임에 따라, 플로터(1)는 수리용 부선거(100)의 좌우방향 중앙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플로터(1)가 수리용 부선거(100)에 부딪히거나 비뚤어지게 위치하지 않게 되며, 플로터(1)의 재입거 공정을 신속, 정확, 안전 및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리용 부선거(100)에 플로터(1)가 진입하는 과정에서는, 수리용 부선거(100)의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에 플로터(1)의 해저연결요소(4)가 자연스럽게 진입된다.
이렇게 하여, 도 8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의 바로 위의 목표지점까지 - 예를 들어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7)가 수리용 부선거(100)의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에 일치할 때까지 - 플로터(1)를 진입시킨 후에는,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물을 서서히 뽑아 내어 부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면, 도 9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가 부상하여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정렬된 받침 위에 플로터(1)가 안착한다. 이때, 폰툰 데크(110) 위에 안착한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7)는, 폰툰 데크(110)의 상면에 구비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 안으로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플로터(1)를 폰툰 데크(110) 위에 안착시킨 후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수리용 부선거(100)의 폰툰 데크(110)와 측벽(130)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워진 물을 더 뽑아 내어 수리용 부선거(100)의 부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폰툰 데크(110)의 상면(110a)이 수면(D.L.: Draft Line 또는 W.L. ; Water Line) 위로 나오도록 부상시킨다.
이처럼, 플로터(1)의 계류 라인(5)이나 채굴관(6)과 같은 해저연결요소(4)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 그대로 플로터(1)를 수리용 부선거(100)에 재입거 하여 수리할 수 있음으로써, 수리 도중에도 플로터(1)의 본연의 임무(예; 천연가스 채굴, 액화처리, 저장)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입거 과정에서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에 의해 플로터(1)를 좌우방향 중앙으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플로터
2: 상갑판
3: 회전계류장치
4: 해저연결요소
5: 계류 라인
6: 채굴관
7: 추력발생기
8: 거주구
100: 수리용 부선거
110: 폰툰 데크
110a: 상면
112: 해저연결요소 진입홈
114: 추진장치 수용홈
116: 쇼어 램프
118: 추력발생기
120: 복합 건물
122: 거주동
124: 기자재 창고
130: 측벽
130a: 내측 벽면
132: 채널형 플랫폼
150: 기자재 하역용 크레인
160: 작업용 크레인
200: 견인 라인
300: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
310: 서포트 로드
320: 회전 접촉자
330: 지지대
332: 피벗 축
340: 가압 실린더
342: 실린더
344: 피스톤 로드
346: 힌지 축
348: 피벗 축
350: 지지대

Claims (8)

  1. 해저연결요소를 선체부 아래로 내린 상태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플로터(1)의 아래로 진입한 후 물 위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플로터(1)를 재입거하여 수리 가능하도록, 상기 해저연결요소가 진입 가능한 해저연결요소 진입홈(112)을 가지는 폰툰 데크(110);
    상기 폰툰 데크(11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130); 및
    좌우 양쪽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 측벽(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지점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재입거 되는 플로터(1)의 좌우 양쪽 측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지지하여 플로터(1)를 좌우 양쪽 측벽(130) 사이의 중앙으로 위치 잡아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2. 제1항에서,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상기 측벽(13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3. 제1항에서,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는,
    기초단부가 측벽(130)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설치되는 서포트 로드(310);
    상기 서포트 로드(310)의 회동단부에 설치되어 플로터(1)의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 접촉자(320); 및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4. 제1항에서,
    상기 회전 접촉자(320)는, 상기 서포트 로드(310)의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bal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5. 제4항에서,
    상기 회전 접촉자(320)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강(鋼)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6. 제1항에서,
    상기 측벽(130)의 내측 벽면(130a)에 측벽(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형 플랫폼(132)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형 플랫폼(132)에 상기 가압식 가이드 서포트(3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7. 제1항에서,
    상기 폰툰 데크(110)의 선저부에는 추력발생기(1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8. 제1항에서,
    상기 폰툰 데크(110)에는 플로터(1)의 추력발생기(6)를 수용 가능한 추력발생기 수용홈(1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20160125020A 2016-09-28 2016-09-28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20180035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20A KR20180035042A (ko) 2016-09-28 2016-09-28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20A KR20180035042A (ko) 2016-09-28 2016-09-28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42A true KR20180035042A (ko) 2018-04-05

Family

ID=6197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20A KR20180035042A (ko) 2016-09-28 2016-09-28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0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978B1 (ko) 심해 설치선
CN109952246B (zh) 对用于运输、移除、装配、容置和转移资产的移动式停驻设备再配置的系统和方法
US753741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CN1139516C (zh) 工作船
WO2013084546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
US6942427B1 (en) Column-stabilized floating structure with telescopic keel tank for offshore applications and method of installation
AU2015203127C1 (en) An lng production plant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lng production plant
CN102356021B (zh)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KR880002109B1 (ko) 해상 작업대
KR20180012003A (ko) 작업용 플랫폼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NL2021166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20180035042A (ko) 플로터 재입거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1827151B1 (ko) 수리용 부선거
KR20180012462A (ko) 플로터 재입거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및 재입거 방법
KR20180034967A (ko) 플로터 재입거 장치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1816444B1 (ko) 수리용 부선거
KR20180051849A (ko) 플로터의 갑판상부 오·폐수 배수가 가능한 수리용 부선거
KR20180012001A (ko) 생산물 하역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WO2017141177A1 (en) Barge system
KR20180035036A (ko) 플로터 접지 구조를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20180040254A (ko) 생산물 운반선 측방 계류를 위한 선체 구조를 가지는 수리용 부선거
KR20180035039A (ko) 플로터와 수리용 부선거의 선각 구조를 고려한 수리용 부선거용 받침목 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