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979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979A
KR20180034979A KR1020160124887A KR20160124887A KR20180034979A KR 20180034979 A KR20180034979 A KR 20180034979A KR 1020160124887 A KR1020160124887 A KR 1020160124887A KR 20160124887 A KR20160124887 A KR 20160124887A KR 20180034979 A KR20180034979 A KR 2018003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rame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중
김상락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979A/ko
Publication of KR2018003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팬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안내되는 벨마우스,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마우스가 고정되는 벨마우스 고정판, 상기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접촉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 및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과 흡입 바디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방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 유닛, 송풍 유닛 및 취출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로서, 공기의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공조대상공간을 냉방, 난방 또는 환기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압축기, 팽창기구, 제1열교환기(응축기 또는 증발기) 및 제2열교환기(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사이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뉘고, 용량의 크기에 따라서 소용량의 공기조화기와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로 나뉠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덕트 등에 의해 공기조화가 필요한 다수의 공조대상공간으로 조화된 공기의 고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공기조화기 중, 목표대상공간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 상황에 따른 목표 부하량에 맞추어 외부 공기(외기)와 실내 공기와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공조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을 '에어 핸들링 유닛(Air Handling Unit)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에어 핸들링 유닛은, 목표대상공간의 부하 용량에 따라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동되도록, 각 기능에 따라 모듈별로 구성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84525호(2004.10.06 공개).
본 발명은 모터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공기 조화기의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팬 모터 어셈블리를 공기 조화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팬 모터 어셈블리와 공기 조화기 내부를 유지, 보수하기에 편리한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팬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안내되는 벨마우스,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마우스가 고정되는 벨마우스 고정판, 상기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접촉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 및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과 흡입 바디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방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 커넥터는 상단이 상기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진 커넥터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벨마우스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흡입 바디에 체결되는 제1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 커넥터의 상부는 상기 흡입 바디와 상기 제1 브래킷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공기 흡입구 주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에 체결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하부는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마주보는 통공이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바디가 안착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바디는 상기 어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가이드 레일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측판과, 상기 측판에서 절곡된 하판을 갖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측판에 결합되고 상기 하판과 이격된 제2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가이드의 일면이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과 상기 흡입 바디 사이의 틈을 막는 차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차폐판과 체결되고 상기 흡입 바디 선단이 걸리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진 커넥터는 벨마우스 고정판과 흡입 바디를 연결하고, 모터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흡입 바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방진 커넥터를 포함함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고정 브래킷을 제거함으로써, 팬 모터 어셈블리를 송풍 유닛으로부터 슬라이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 바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팬 모터 어셈블리를 공기 조화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혼합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혼합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송풍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송풍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팬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일부 확대도,
도 11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12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13은 베이스에 팬 모터 어셈블리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
도 14는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이 제거되기 전을 나타낸 도,
도 15는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이 제거된 후를 나타낸 도,
도 16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17은 제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취출 유닛의 사시도,
도 19는 취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핸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1은 차폐 커버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B-B선 단면도,
도 23은 핸들 어셈블리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에 록킹된 것을 나타낸 도,
도 24는 핸들 어셈블리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에 록킹 해제된 것을 나타낸 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일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을 결합시킨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고정은 결합, 접합, 체결 또는 용접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은 혼합 유닛(100) 및 송풍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은 취출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혼합 유닛(100), 송풍 유닛(200), 취출 유닛(300)의 결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풍 유닛(200)은 혼합 유닛(100)과 취출 유닛(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송풍 유닛(200)의 내부에 구비된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를 취출 유닛(300)에 형성된 취출구(313)로 송풍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혼합 유닛(100)은 송풍 유닛(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취출 유닛(300) 송풍 유닛(200)은 취출 유닛(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은 실내(50)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50)의 공기를 조화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은 실내(50)과 연통된 덕트를 통해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본체(10)에는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혼합 유닛(100)은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는 각각 혼합 유닛(100)의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기 위해,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는 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하지 않고, 둘레면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실내공기 흡입부(110)로는 실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실내 공기는 실내(50)를 순환하고 되돌아온 순환 공기(RA: Return Air)를 의미할 수 있다. 순환 공기(RA)는 실내(50)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체온 및 호흡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와, 이산화탄소(CO₂)농도가 높을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로는 실외의 공기인 외기(OA: Outdoor Air)가 유입될 수 있다. 외기(OA)는 상대적으로 CO₂분압이 낮을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는 실내(50)을 순환하고 되돌아온 순환 공기(RA)가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바이패스 하여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1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된 공기는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와 바이패스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 흡입부(120)에는 외기 댐퍼(121)가 구비될 수 있고, 바이패스부(130)에는 바이패스 댐퍼(131)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들은 회전 각도에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베인(vane)과, 상기 베인을 동작시키는 댐퍼 엑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댐퍼 엑추에이터를 작동하여 각 댐퍼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의 제어하에 댐퍼 엑추에이터가 동작됨으로써, 상기 베인의 회전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댐퍼 개도의 증가는 댐퍼가 오픈(open)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댐퍼 개도의 감소는 댐퍼가 클로즈(close)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외기 댐퍼(121)와 바이패스 댐퍼(131)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OA)와 순환 공기(RA)를 제어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냉수 순환유로(114)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혼합 유닛(100)에는 냉수 순환유로(114)가 연결될 수 있다. 냉수 순환유로(114)는 입수유로(115)와 출수유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순환유로(114)는 후술할 열교환기(131)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 유닛(200)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포함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를 취출 유닛(300)으로 송풍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취출구(313)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취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취출 유닛(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취출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취출구(313)는 본체(10)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공기 조화기(1) 전체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본체(10)의 둘레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취출구(313)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할 수 있다.
취출구(313)는 취출 유닛(300)의 일 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취출구(313)는 취출 유닛(300)의 둘레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출구(313)는 취출 유닛(3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송풍 유닛(200)을 통과하여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되고, 취출구(313)로 취출될 수 있다. 이 때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되어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공기는 급기(SA: Supply Air)를 의미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점검문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유닛(100)은 혼합 유닛 점검문(1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혼합 유닛 점검문(140)을 열어 혼합 유닛(100)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혼합 유닛 점검문(140)은 혼합 유닛(100) 중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가 위치하는 면 이외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컨트롤 유닛(2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에 포함되는 컨트롤 박스(251)는 인버터 드라이브, 인터페이스(HMI: Human-Machin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의 인버터 드라이브는 송풍 기구의 모터 회전수를 제어하여 현장별로 풍량이나 정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최적 조건 하에서 공조 유닛이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급기(SA)의 풍량,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상태등을 제어할 수 있고, 운전 이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공조 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 박스(251)에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는 공기 조화기(1)이 설치되는 빌딩의 빌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을 통한 중앙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유닛(250)에서 인터페이스가 위치하는 부분은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컨트롤 유닛(250)의 인터페이스에 간단하게 접근하여 공기 조화기(1)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이 혼합 유닛(100)에 설치될 경우,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250)의 위치가 높아 사용자가 컨트롤 유닛(250)에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20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컨트롤 유닛(250)이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바라보게 배치될 경우,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운전에 따른 진동이 컨트롤 유닛(25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컨트롤 유닛(250)의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유닛(250)은 혼합 유닛(100)과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열교환기(110)와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이 팬 모터 어셈블리(230)와 취출 유닛(300)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 내부에는 열교환기(111)가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에는 실내공기 필터(112)가 설치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 흡입부(110)로는 순환 공기(RA)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 공기(RA)는 실내(50)에서 순환된 공기이므로 실내(50)에서 사람들의 체온 등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더운 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111)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11)에는 냉수 순환유로(114)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열교환기(111)에는 입수유로(115) 및 출수유로(116)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할 칠러 유닛(5)에 의해 공급된 냉수는 입수유로(115)를 통해 열교환기(111)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로 유입된 냉수는 실내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흡입된 순환 공기(RA)와 열교환하며 상기 순환 공기(RA)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11)에서 순환 공기(RA)와 열교환된 냉수는 출수유로(116)로 유동될 수 있다.
입수유로(115)에는 냉각수 밸브(62)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각수 밸브(62)의 개도를 조절하여 입수유로(115)를 통해 열교환기(111)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열교환기(111)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이 많아지면 급기(SA)의 온도가 내려가고 열교환기(111)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이 적어지면 급기(SA)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열교환기(111)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는 외기 흡입부(120) 및 바이패스부(130) 보다 실내공기 흡입부(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는 실내공기 흡입부(110)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열교환기(111)와 실내공기 흡입부(110)가 맞닿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의 하방에는 드레인 팬(drain pan, 113)이 제공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의 표면온도는 주변의 공기에 비해 낮으므로, 결로 현상에 의해 열교환기(111)의 표면에 물이 맺힐 수 있고, 상기 물이 열교환기(111)의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드레인 팬(113)은 열교환기(111)에서 흘러내린 물을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레인 팬(113)에는 드레인 유로(미도시)가 연결되어 드레인 팬(113)으로 떨어진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실내공기 필터(112)은 프리필터(Pre Filter) 및/또는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공기(RA)는 실내(50)에서 순환된 공기이므로 실내(50)을 통과하며 오염된 공기일 수 있다. 실내공기 필터(112)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 공기(RA)를 정화시킬 수 있다.
실내공기 필터(112)는 실내공기 흡입부(1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순환 공기(RA)의 유동방향을 따라 열교환기(111)는 실내공기 필터(112)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 필터(112)에서 정화된 순환 공기(RA)가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순환 공기(RA)는 열교환기(111)를 통과하며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즉,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순환 공기(RA)는 정화된 저온의 공기일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부(130)에는 바이패스 댐퍼(131)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에는 바이패스 필터(132)가 설치 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는 실내 공기가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바이패스 하여 유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부(130)는 열교환기(111)를 바이패스하여 순환 공기(RA)를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실내(50)에서 덥혀진 순환 공기(RA)가 열교환기(111)에서 냉각되지 않고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순환 공기(RA)의 온도가 충분히 낮은 경우, 순환 공기(RA) 일부가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열교환에 필요한 에너지가 줄어들 수 있다. 즉, 열교환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가 실내공기 흡입부(110) 측의 열교환기(111)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부(130)와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서로 최대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일면에 실내공기 흡입부(110)가 위치하면 바이패스부(130)는 상기 일면과 수직한 면이 아닌,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본체(10)의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바이패스부(130)와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131)는 바이패스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131)는 개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 공기(RA)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13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는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의 50%를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필터(132)는 바이패스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바이패스 필터(132)는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 공기(RA)를 정화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필터(132)는 프리필터(Pre Filter) 및/또는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필터(132)는 바이패스부(1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순환 공기(RA)의 유동방향을 따라 바이패스 댐퍼(131)는 바이패스 필터(132)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필터(132)에서 정화된 순환 공기(RA)가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될 수 있고, 바이패스 댐퍼(131)는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부(11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순환 공기(RA)는 정화된 상온의 공기일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에는 외기 댐퍼(121)가 설치될 수 있다. 외기 댐퍼(120)는 개도를 조절하여 외기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OA)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외기 댐퍼(12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외기 흡입부(120)로 유입되는 외기(OA)는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의 10%를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의 외면에는 컨트롤 유닛(250)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본체(10)의 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열교환기(111)와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고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본체(10) 내부에는 컨트롤 유닛(250)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소음저감 판넬(260)이 배치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팬(236)과 모터(237)를 포함할 수 있다.
팬(236)은 축류팬(axial flow fan)일 수 있다. 팬(236)은 혼합 유닛(100)에서 믹싱된 공기를 취출 유닛(300)으로 송풍할 수 있다.
모터(237)는 송풍팬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는 송풍팬을 회전 시킬 수 있다. 모터(237)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모터(237)의 운전 주파수(rpm)를 제어하여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의 풍량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베이스(243)가 구비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베이스(2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243)는 송풍 기구 서포터일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되어야 하므로, 베이스(243)는 복수개의 통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243)는 복수개의 바(bar)가 교차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측 저면에는 유로 가이드(33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3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취출 유닛(300)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된 정도는 유로 가이드(33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즉, 에어 가이(320)드의 상면과 본체(10)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된 공기는 유로 가이드(330)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취출구(313)로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유닛(300)에서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의 유동 저항이 줄어들 수 있고 취출 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혼합 유닛(100), 송풍 유닛(200), 취출 유닛(300)은 각각 모듈화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유닛(100, 200, 300)의 추가와 제거를 통해 공기 조화기(1)의 구성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공조 용량에 따라 각 유닛(100, 200, 300)의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조화기(1)이 설치되는 장소까지 완성된 각 유닛(100, 200, 300)들을 분리된 상태로 운반 할 수 있으며, 각 유닛(100, 200, 300)들의 조립 공정 역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뤄질 수 있다.
혼합 유닛(100), 송풍 유닛(200), 취출 유닛(30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조화기(1)은 혼합 유닛(100)과 송풍 유닛(200) 사이 및/또는 송풍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 사에에 배치되어 누기를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유닛의 결합 시, 혼합 유닛(100)과 송풍 유닛(200)은 연통될 수 있고, 송풍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은 연통될 수 있다.
혼합 유닛(100), 송풍 유닛(200), 취출 유닛(300)이 서로 분리가능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각 유닛들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혼합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혼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혼합 유닛(100)은 공기 조화기(1)의 상부을 의미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송풍 유닛(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 유닛(200)과 연통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송풍 유닛(2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송풍 유닛(200)과 연통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 혼합 유닛 점검문(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열교환기(111)와 드레인 팬(113)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유닛 프레임(150)은 복수개의 바(bar)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혼합 유닛 프레임(150)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는 혼합 유닛(10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는 각각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된 공기가 실내공기 흡입부(110) 측의 열교환기(111)와 열교환되지 않기 위해, 바이패스부(130)와 실내공기 흡입부(110) 사이의 거리는 최대화 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이패스부(130)와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부(130)는 혼합 유닛(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실내공기 흡입구(119)가 형성되는 제1패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는 제1고정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18)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패널(118)에는 실내공기 흡입구(119)가 형성될 수 있다. 순환 공기(RA)는 실내공기 흡입구(119)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패널(118)의 전면에는 제1고정부(117)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은 혼합 유닛(100)의 외면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패널(118)과 제1고정부(1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117)는 복수개의 브라켓이 결합된 브라켓 어셈블리일 수 있다.
제1고정부(117)에는 실내공기 필터(112)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공기 필터(112)에서 정화된 순환 공기(RA)는 제1패널(118)의 실내공기 흡입구(119)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1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혼합 유닛(100)의 내부에는 드레인 팬(drain pan, 113)이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혼합 유닛 프레임(150) 내부에는 열교환기(111) 및 드레인 팬(113)이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11)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111)는 제1패널(118)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면은 혼합 유닛(100)의 내면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열교환기(111)는 제1패널(119)에 접할 수 있다.
열교환기(111)의 크기는 실내공기 흡입구(119)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실내공기 흡입구(119)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 공기(RA) 전체는 열교환기(111)를 통과하며 열교환될 수 있다.
드레인 팬(113)은 열교환기(111)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레인 팬(113)은 열교환기 표면에 맺혀 낙하하는 물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외기 흡입부(120)에는 외기 흡입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외기(OA)는 외기 흡입구(122)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는 혼합 유닛 프레임(150)에 체결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에는 외기 댐퍼(121)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외기 댐퍼(121)는 외기 흡입구(122)에 설치될 수 있다. 외기 댐퍼(121)는 개도를 조절하여 외기 흡입구(122)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는 후술할 외기 유로(123, 도 11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외기 댐퍼(121)는 외기 유로(123)과 연결될 수 있다. 외기 유로(123)로 유동된 외기(OA)는 외기 댐퍼(121)를 통과하여 외기 흡입구(122)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부(130)는 바이패스 흡입구(133)가 형성되는 제2패널(1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는 제2고정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패널(134)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패널(134)에는 바이패스 흡입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순환 공기(RA)는 바이패스 흡입구(133)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패널(134)의 전면에는 제2고정부(135)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면은 혼합 유닛(100)의 외면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제2패널(134)과 제2고정부(1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135)는 복수개의 브라켓이 결합된 브라켓 어셈블리일 수 있다.
제2고정부(135)에는 바이패스 필터(132)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필터(132)에서 정화된 순환 공기(RA)는 제2패널(134)의 바이패스 흡입구(133)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에는 바이패스 댐퍼(131)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댐퍼(131)는 바이패스 흡입구(133)에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댐퍼(131)는 개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흡입구(133)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패널(134)과 제2고정부(135)가 직접 체결되지 않고, 제2고정부(135)가 제2패널(134)에 설치된 바이패스 댐퍼(131)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패스 댐퍼(131)를 통과한 순환 공기(RA)는 바이패스 흡입구(133)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혼합 유닛 점검문(140)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에 체결되어 혼합 유닛(100)을 여닫을 수 있다. 사용자는 혼합 유닛 점검문(140)을 열어 혼합 유닛(100)을 유지 보수할 수 있다.
혼합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케이싱 패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 패널(160)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과 체결될 수 있다.
제1케이싱 패널(160)이 복수개인 경우, 각 제1케이싱 패널(160)의 크기와 형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케이싱 패널(160)은 혼합 유닛 프레임(150)에서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 혼합 유닛 점검문(140)이 체결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혼합 유닛(100)과 송풍 유닛(200)이 연통되기 위해, 혼합 유닛 프레임(150)의 하부에는 제1케이싱 패널(160)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 혼합 유닛 점검문(140)는 혼합 유닛 프레임의 둘레부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혼합 유닛(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혼합 유닛(100)은 실내공기 흡입부(110) 및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와, 외기 흡입부(120)로 유입되는 외기(OA)를 혼합할 수 있다.
순환 공기(RA)의 일부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는 실내공기 필터(112)에서 정화되고 열교환기(111)와 열교환되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고, 저온의 정화된 공기일 수 있다.
순환 공기(RA)의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열교환기(111)를 바이패스하여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RA)는 바이패스 필터(132)에서 정화되고 바이패스 댐퍼(131)를 통과하여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11)에서 열교환되지 않으므로,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고, 상온의 정화된 공기일 수 있다.
외기(OA)는 외기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로 유입되는 외기(OA)는 외기 댐퍼(121)를 통과하여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외기 흡입부(12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은 공기일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 외기 흡입부(120), 바이패스부(130)로 각각 유입된 공기는, 혼합 유닛(100)의 내부에서 믹싱될 수 있다. 혼압유닛(100)에서 믹싱된 공기는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를 구성할 수 있다.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일정할 수 있다. 열교환기(111)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에 따라,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열교환기(111)와 연결된 냉수 순환유로(114)에 연결되는 냉각수 밸브(62)나, 냉수 순환유로(114)를 통해 냉수를 공급하는 칠러 유닛(5, 도 11 참조)를 제어하여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교환기(111)로 더 많은 냉수가 유동될수록,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동된 공기와 열교환기(111)의 냉수 간 열교환이 활발해질 수 있고, 실내공기 흡입부(110)로 유동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급기(SA)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외기 댐퍼(121)의 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외기(OA)의 온도는 순환 공기(RA) 보다 높을 수 있고 낮을수도 있다. 제어부(90)는 외기 댐퍼(121)의 개도를 조절하여 외기 흡입부(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외기 흡입부(120)로 더 많은 외기(OA)가 유입될수록, 급기(SA)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바이패스 댐퍼(131)의 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댐퍼(131)의 개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130)로 더 많은 실내공기가 유입될수록, 급기(SA)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즉, 급기(SA)의 온도가 순환 공기(RA)의 온도에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공기(RA)의 온도가 충분히 낮으면, 실내공기 흡입부(110) 측에서 열교환을 하지 않고 바이패스부(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최적 온도를 가지는 급기(SA)를 공급할 수 있다. 즉, 혼합 유닛(100)에 바이패스부(130)가 구비됨으로써 급기(SA) 온도의 최적 제어가 가능해지고 열교환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송풍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송풍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팬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일부 확대도, 도 11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12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13은 베이스에 팬 모터 어셈블리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 도 14는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이 제거되기 전을 나타낸 도, 도 15는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서 고정 브래킷이 제거된 후를 나타낸 도, 도 16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것을 나타낸 도, 도 17은 제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송풍 유닛(2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혼합 유닛(100)과 취출 유닛(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혼합 유닛(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취출 유닛(3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혼합 유닛(100) 및 취출 유닛(300)과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송풍 유닛 프레임(250), 베이스(243), 송풍 유닛 점검문, 가이드 부재(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 프레임(250)은 복수개의 바(bar)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 프레임(250)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송풍 유닛 프레임(250)은 상부 프레임(251)과 하부 프레임(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51)에는 컨트롤 유닛(250)이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부 프레임(251)의 측부에는 컨트롤 유닛(250)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52)의 안쪽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52)에는 가이드 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하부 프레임(252)의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가 상부 프레임(251)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프레임(252)에는 송풍 유닛 점검문이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하부 프레임(252)의 측부에는 송풍 유닛 점검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52)에는 베이스(243)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하부 프레임(252)의 하부에는 베이스(243)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43)는 송풍 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243)는 송풍 유닛 프레임(25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243)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43)는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243)가 격자형의 베이스 프레임일 경우, 격자 사이 공간이 통공부일 수 있다.
송풍 유닛 점검문은 송풍 유닛 프레임(25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 점검문은 송풍 유닛(200)을 여닫을 수 있다. 관리자나 사용자는 송풍 유닛 점검문을 열어 송풍 유닛(200) 내부에 접근할 수 있고,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송풍 유닛(200)에서 분리시켜 빼내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부재(240)는 송풍 유닛 프레임(25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를 팬 모터 어셈블리(23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40)는 혼합 유닛(100)과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판넬(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판넬(212)은 송풍 유닛 프레임(250)과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판넬(212)이 복수개인 경우, 각 아우터 판넬(212)의 크기와 형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아우터 판넬(212)은 송풍 유닛 프레임(250)에서 송풍 유닛 점검문(140)이 체결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다만, 혼합 유닛(100)과 송풍 유닛(200)이 연통되기 위해, 송풍 유닛 프레임(250)의 상부에는 아우터 판넬(212)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200)과 취출 유닛(300)이 연통되기 위해, 송풍 유닛 프레임(250)의 하부에는 아우터 판넬(212)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송풍 유닛(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송풍 유닛 프레임(2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를 취출 유닛(300)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즉,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상측의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팬(236)과 모터(237)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모듈화되어 송풍 유닛(20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베이스(2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상단은 가이드 부재(240)와 접할 수 있다. 이로써,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는 가이드 부재(240)의 상면을 따라 팬 모터 어셈블리(230)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모터(237)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팬(236)은 혼합 유닛(100)에서 송풍 유닛(200)을 거쳐 취출 유닛(300)으로 이어지는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로 흡입된 공기는 팬(236)에 의해 송풍되어 송풍 기구 베이스(220)에 형성된 통공부를 통과하여 취출 유닛(300)에 형성된 취출구(313)로 취출될 수 있다. 즉,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공기가 혼합 유닛(100), 송풍 유닛(200), 취출 유닛(300)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200)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 프레임(2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제어유닛 도어(291)와, 컨트롤 박스(251)와, 컨트롤 박스(251)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의 배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의 개방된 일면에는 제어유닛 도어(291)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유닛 도어(291)는 컨트롤 유닛(250)을 여닫을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제어유닛 도어(291)를 열고 컨트롤 박스(251)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 내부에는 컨트롤 박스(251)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는 바이패스 댐퍼(131), 외기 댐퍼(121), 냉각수 밸브(62), 모터(23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는 인버터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브는 송풍 기구의 모터의 운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트롤러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공기 조화기(1)이 설치되는 빌딩의 빌딩관리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을 통한 중앙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2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컨트롤 유닛(250)에 간단하게 접근하여 공기 조화기(1)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만일 컨트롤 유닛(250)이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배치된 하부 프레임(252)에 설치될 경우,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운전에 따른 진동이 컨트롤 유닛(25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컨트롤 유닛(250)의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유닛(250)은 상부 프레임(251)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송풍 유닛(2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는 혼합 유닛(100)과 연통된 송풍 유닛(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를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시킬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아래로 유동되며 컨트롤 유닛(250)의 배면을 지날 수 있다.
송풍 유닛(210)의 상측에서 흡입된 공기는 가이드 부재(240)의 상면을 따라 팬 모터 어셈블리(230)로 흡입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로 흡입된 공기는 팬(236)에 의해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측부 및/또는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서 토출된 공기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만일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서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위로 유동되더라도 가이드 부재(240)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아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서 토출되어 아래 방향으로 유동된 공기는 베이스(243)를 통과하여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서 토출되어 아래 방향으로 유동된 공기는 베이스(243)에 형성된 통공부를 통과하여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211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프레임(211), 프레임(211) 하부에 설치된 레일(241) 및 레일(241)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프레임(211)은 송풍 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1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프레임(211)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11)은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프레임(211a)과 로어 프레임(211a)에 연결되는 지지대(211b) 및 지지대(211b)에 연결되는 어퍼 프레임(211c)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레임(211a)은 프레임(211)의 하부를 구성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로어 프레임(211a)은 프레임(211)의 하면(211g)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211b)는 로어 프레임(211a)에 연결되고 로어 프레임(211a)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c)은 로어 프레임(211a)과 수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c)은 프레임(211)의 상부를 구성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c)은 프레임(21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211b)는 어퍼 프레임(211c)에 연결되고 어퍼 프레임(211c)의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211b)는 로어 프레임(211a) 및 어퍼 프레임(211c)과 결합되어 프레임(211)의 전면(211d), 후면(211f) 및 양 측면(211e)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11)은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혼합 유닛(10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프레임(211)의 상면을 통해 송풍 유닛(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는 프레임(211)의 하면(211g)을 통해 취출 유닛(300)으로 취출될 수 있다.
프레임(211)의 후면(211f) 및 양 측면(211e)에는 아우터 판넬(212)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판넬(212)은 프레임(211)의 후면(211f) 및 양 측면(211e)을 덮을 수 있다. 아우터 판넬(212)은 프레임(211)에 결합, 체결 또는 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211)의 전면(211d)에는 도어(213)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213)는 프레임(211)의 전면(211d)을 덮을 수 있다. 도어(213)는 프레임(211)에 결합, 체결 또는 조립될 수 있고, 도어(213)는 프레임(211)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213)는 프레임(211)의 전면(211d)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213)가 전면(211d)을 폐쇄하는 경우, 도어(213)는 아우터 판넬(212)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213)는 프레임(211)의 전면(211d)을 개방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의 유지, 보수 시 사용자는 도어(213)를 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하여 프레임(211) 내부의 부품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도어(213)는 핸들(213a)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13)를 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핸들(213a)을 잡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213)를 프레임(211)에 고정시키기 위해 핸들(213a)을 돌리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213a)을 회전시키면 핸들(213a)에 구비된 걸림부가 프레임(211)에 걸리고, 도어(213)가 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핸들(213a)은 프레임(211)에 록킹 및 해제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기(1)는 도어(213)와 프레임(211)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힌지와 같이 회전가능한 부재일 수 있다. 도어(213)와 프레임(211)이 연결부로 연결된 경우, 도어(213)는 프레임(211)에 착탈되지 않고 프레임(211)의 전면(211d)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213)는 윈도우(213a)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가 작동 중인 경우, 도어(213)는 프레임(211)의 전면(211d)을 폐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13)에 포함된 윈도우(213a)를 통해 프레임(211) 내부의 부품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프레임(211)의 하부에는 베이스(243)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243)는 프레임(211)의 하면(211g)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43)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243)는 격자 형상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43)는 격자 형상의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43)의 격자 형상의 구조는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는 베이스(243)에 형성된 틈을 통해 취출 유닛(300)으로 취출될 수 있다.
베이스(243)의 상부에는 레일(24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하부에 롤러(239)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39)는 레일(241)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레일(241)과 롤러(239)는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241)은 베이스(243) 상부에 고정되거나 체결부재로 베이스(243)와 체결될 수 있다.
레일(241)은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도어(213)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레일(241)을 따라 도어(213)까지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13)를 개방하고, 레일(241)을 따라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사용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점검을 수행한 후, 레일(241)을 통해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 내부로 설치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하중은 사용자가 들기에 무거운 무게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롤러(239)를 통해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구름이동 시킴으로써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레일(241)은 리어 걸림턱(241a), 가이드(241b) 및 구름면(241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름면(241c)은 롤러(239)와 접촉하고 롤러(239)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241b)는 롤러(239)가 구름면(241c)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241b)는 구름면(241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구름면(241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걸림턱(241a)은 롤러(239)가 프레임(211)의 후면(211f) 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리어 걸림턱(241a)은 구름면(241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구름면(241c)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239)는 레일(241)을 따라 프레임(211) 전면(211d)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프레임(211) 후면(211f)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프레임(211)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롤러(239)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리어 걸림턱(241a)은 롤러(239)가 프레임(211) 후면(211f)을 향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241)에는 프론트 스토퍼(242)가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스토퍼(242)는 레일(241)과 별개의 구성으로 레일(241)과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스토퍼(242)는 롤러(239)가 프레임(211) 전면(211d)을 향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롤러(239)는 프론트 스토퍼(242)에 의해 전방으로 걸릴 수 있고, 리어 걸림턱(241a)에 의해 후방으로 걸릴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리어 걸림턱(241a)과 프론트 스토퍼(24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리어 걸림턱(241a)은 롤러(239)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대신,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후방이 리어 걸림턱(241a)에 걸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스토퍼(242)는 롤러(239)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대신,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전방이 프론트 스토퍼(242)에 걸림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안전 바(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바(214))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 바(214))는 프레임(211)의 전면(211d)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바(214))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안전 바(214))는 사용자가 임의로 프레임(211) 내부 부품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팬(236), 모터(237) 및 이너 프레임(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31)은 팬 모터 어셈블리(2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프레임(23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프레임(211)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11)은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바디(231a), 로어 바디(231a)에 연결되는 외측 지지대(231b) 및 로어 바디(231a)에 연결되는 내측 지지대(231c)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231a)는 이너 프레임(231)의 하부를 구성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로어 바디(231a)는 이너 프레임(231)의 하면(211g)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 지지대(231b)는 로어 바디(231a)에 연결되고 로어 바디(231a)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로어 바디(231a)에 연결되고 로어 바디(231a)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대(231b)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외측 지지대(231b)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외측 지지대(231b)로부터 로어 바디(231a)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팬(236), 모터(237) 및 모터 마운터(238)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마운터(238)는 내측 지지대(231c)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마운터(238)는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네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지지대(231c) 각각은 모터 마운터(238)의 개구부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내측 지지대(231c)는 모터 마운터(238)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237)는 모터 마운터(238)에 고정될 수 있다.
팬(236)은 모터(237)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237)는 팬(236)을 회전시킬 수 있다. 팬(236)이 회전하면(211g), 혼합 유닛(100)으로부터 공기가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될 수 있다. 팬(236)이 회전하면(211g), 송풍 유닛(200)으로부터 공기가 취출 유닛(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팬(236)은 모터(237)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벨마우스(235) 및 벨마우스 고정판(234)을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외측 지지대(231b)에 연결될 수 있다.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외측 지지대(231b)는 네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지지대(231c) 각각은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개구부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외측 지지대(231b)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에 고정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의 상부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는 혼합 유닛(100)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팬(236)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벨마우스(235)와 팬(236)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의 하부는 팬(236)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는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235a)이 형성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의 하단에서는 혼합 유닛(10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와류, 난류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마우스(235)는 하단이 톱니형상일 수 있다. 벨마우스(235)의 하단을 톱니형상으로 채택함으로써, 벨마우스(235) 하단에서 발생하는 난류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모터 마운터(23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모터 마운터(238)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지지대(231b)의 길이는 내측 지지대(231c)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흡입 바디(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공기 흡입구(232a)가 형성된 판 형상일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모터 마운터(23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모터 마운터(238)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바디(232)는 벨마우스 고정판(234)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32a)는 모터 마운터(238)에 형성된 개구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흡입 바디(23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32a)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에 형성된 개구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흡입 바디(232)는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후술하는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을 연결하는 방진 커넥터(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방진 커넥터(233)는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 사이 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가 작동하면(211g), 모터(237)가 구동되고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모터(237)에서 발생한 진동은 모터 마운터(238)로 전달될 수 있고, 모터 마운터(238)가 연결된 내측 지지대(231c)를 포함한 이너 프레임(2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211)으로 전달된 진동은 공기 조화기(1)의 상하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방진 커넥터(233)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진 커넥터(233)는 캔버스와 같은 직물소재, 또는 비닐소재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방진 커넥터(233)가 벨마우스 고정판(234)과 흡입 바디(232)를 연결하면(211g), 방진 커넥터(233)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으로부터 흡입 바디(232)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방진 커넥터(233)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방진 커넥터(233)는 흡입 바디(23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32a)와 벨마우스(235)를 연통시킬 수 있다. 방진 커넥터(233)는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방진 커넥터(233)를 흡입 바디(232)에 고정시키는 제1 브래킷(24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240a)은 흡입 바디(23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진 커넥터(233)의 상부는 흡입 바디(232)와 제1 브래킷(240a)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브래킷(240a)은 흡입 바디(232)의 상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240a)은 공기 흡입구(232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32a)는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일 수 있고, 제1 브래킷(240a)은 공기 흡입구(232a)의 한 변 마다 배치되어 네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방진 커넥터(233)를 벨마우스 고정판(234)에 고정시키는 제2 브래킷(24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래킷(240b)은 벨마우스 고정판(234)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진 커넥터(233)의 하부는 벨마우스 고정판(234)과 제2 브래킷(240b)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벨마우스 고정판(234)은 벨마우스(235)가 고정되는 평판과 평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절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래킷(240b)은 절곡판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진 커넥터(233)의 하부는 제2 브래킷(240b)과 절곡판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평판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고, 절곡판은 평판의 한 변마다 형성되어 네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래킷(240b)은 네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22f)는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11)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방진 커넥터(233)로 인해 흡입 바디(232)와 벨마우스 고정판(234)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흡입 바디(232)의 개구부와 방진 커넥터(233)를 통과하여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프레임(211) 상부에 설치되는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220)는 어퍼 플레이트(221),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 및 고정 브래킷(223)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어퍼 프레임(211c)에 설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수평판(221a), 통공(221b) 및 차폐판(221c)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221a)은 통공(221b)이 형성된 판 형상일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흡입 바디(23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흡입 바디(232)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모터 마운터(23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모터 마운터(238)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221)는 벨마우스 고정판(234)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통공(221b)은 흡입 바디(23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32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개구부는 모터 마운터(238)에 형성된 개구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어퍼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개구부는 벨마우스 고정판(234)에 형성된 개구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어퍼 플레이트(221)는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차폐판(221c)은 수평판(221a)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폐판(221c)은 통공(221b) 주변의 수평판(221a)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폐판(221c)은 어퍼 플레이트(221)와 흡입 바디(232) 사이 공간을 실링하여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은 어퍼 플레이트(22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은 제1 가이드 부재(222a), 제2 가이드 부재(222e) 및 슬라이딩 부재(22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22a)는 상부판(222d), 측판(222b) 및 하판(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222b)은 어퍼 플레이트(221)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판(222d)과 하판(222c)은 측판(222b)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부판(222d)이 측판(222b)에서 절곡되는 방향과 하판(222c)이 측판(222b)에서 절곡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부판(222d)과 하판(222c)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부판(222d)은 어퍼 플레이트(221)의 하면(211g)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판(222d)은 어퍼 플레이트(221)의 수평판(221a)에 체결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하판(222c)은 흡입 바디(23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22c)은 흡입 바디(232)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22c)은 모터 마운터(23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22c)은 모터 마운터(238)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판(222c)은 벨마우스 고정판(234)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판(222c)은 벨마우스 고정판(234)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22a)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세 개의 제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22a)는 측판(222b)이 프레임(211)의 일 측면(211e)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부재(222a)는 측판(222b)이 프레임(211)의 타 측면(211e)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부재(222a)는 측판(222b)이 프레임(211)의 후면(211f)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세 개의 가이드 부재와 차폐판(221c)은 통공(221b)을 형성할 수 있다. 통공(221b)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222c)의 상면에는 슬라이딩 부재(222f)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의 일면은 슬라이딩 부재(222f)에 접촉되어 미끄러질 수 있다. 흡입 바디(232)의 하면(211g)은 슬라이딩 부재(222f)에 접촉되어 미끄러질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22f)는 흡입 바디(232)가 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22f)는 흡입 바디(232) 하면(211g)과 제1 가이드의 하판(222c)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11)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슬라이딩 부재(222f)로 인해 하판(222c)과 흡입 바디(232)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흡입 바디(232)의 공기 흡입구(232a)를 통과하여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와 어퍼 플레이트(221)의 수평판(221a)은 이격될 수 있고, 흡입 바디(232)와 어퍼 플레이트(221) 사이의 공간 중 양 측방과 후방은 제1 가이드로 실링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바디(232)와 어퍼 플레이트(221) 사이의 공간 중 전방은 어퍼 플레이트(221)의 차폐판(221c)으로 실링될 수 있다.
차폐판(221c)은 흡입 바디(232) 상면과 어퍼 플레이트(221)의 수평판(221a)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11) 상부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슬라이딩 부재(222f)로 인해 수평판(221a)과 흡입 바디(232)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흡입 바디(232)의 공기 흡입구(232a)를 통과하여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고정 브래킷(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223)은 차폐판(221c) 전방에 배치되고, 차폐판(221c)에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흡입 바디(232)는 제1 가이드 부재(222a)를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223)은 흡입 바디(23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223)이 차폐판(221c)에 고정되면, 흡입 바디(232)의 선단은 고정 브래킷(223)에 걸려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은 제2 가이드 부재(22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222e)는 제1 가이드 부재(222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가이드 부재(222e)는 제1 가이드 부재(222a)와 별개의 부재로 제1 가이드 부재(222a)에 고정, 체결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222e)는 흡입 바디(232)가 슬라이딩 부재(222f)와 이격되어 프레임(211) 상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222e)는 제1 가이드 부재(222a)의 측판(222b)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 내부 부품을 점검하는 서비스 제공 순서를 설명하면(211g) 다음과 같다. 서비스 제공자는 도어(213)에 구비된 핸들(213a)을 회전시키고, 프레임(211)의 전면(211d)으로부터 도어(213)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는 안전 바(214))를 프레임(2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안전 바(214))는 공구를 사용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프레임(211)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제공자는 안전 바(214))를 제거한 후, 레일(241)에 체결된 프론트 걸림턱을 레일(24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고정 브래킷(223)을 차폐판(221c)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다.
프론트 걸림턱과 고정 브래킷(223)이 제거되면 롤러(239)는 프레임(211)의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바디(232)는 어퍼 가이드 레일(241)(222)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레일(241)을 따라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유지, 보수한 후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 외부로 꺼낸 순서의 역순으로 팬 모터 어셈블리(230)를 프레임(211) 내부에 체결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프레임(211) 상부로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15)은 어퍼 프레임(211)에서 상부로 결합되는 서브 지지대(215a)와 서브 지지대(215a)와 연결되는 엔드 프레임(215b)(21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15)의 양 측면과 후면에는 아우터 판넬(212)이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15)은 프레임(211)과 함께 제2 공간(200a)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혼합 유닛(1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서브 프레임(215)을 통과한 후 프레임(2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컨트롤 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제2 공간(20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브 프레임(215)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팬 모터 어셈블리(2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공기 조화기(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255), 컨트롤 박스(251), 단열 부재(252), 컨트롤 도어(253) 및 냉각 홀(25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5)은 컨트롤 박스(251)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도어(253)는 컨트롤 박스(251)를 개폐할 수 있다. 컨트롤 도어(253)는 서브 프레임(215)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는 외면이 제2 공간(200a)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열 부재(252)는 컨트롤 박스(25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20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혼합 유닛(100)에 포함된 공기흡입구는 혼합 유닛(1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거치며 냉각될 수 있다. 냉각된 공기는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될 수 있고, 컨트롤 박스(251)의 외면과 접촉되게 유동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의 외면에 단열 부재(252)가 배치되지 않으면, 컨트롤 박스(251)의 외면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컨트롤 유닛(250)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의 외면에 단열 부재(252)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 박스(251) 외면에는 수증기가 응결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251)에는 혼합 유닛(100)의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냉각 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 홀(254)로 유입된 공기는 컨트롤 박스(251) 내부에 수용된 제어 모듈(255)을 냉각시킬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송풍 유닛(20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혼합 유닛(100)에 포함된 바이패스부는 혼합 유닛(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바이패스부와 상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도어(253)는 프레임(211)의 전면에 배치된 도어(213)와 상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도어(253)는 도어(2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이 프레임(211)과 서브 프레임(215)을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2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 플레이트(211)는 이너 플레이트(211)일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11)는 송풍 유닛(200)의 제2 공간(200a)을 구획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11)는 제2 공간(200a)을 상측 공간(200b)과 하측 공간(200c)으로 구획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50)은 이너 플레이트(211)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이너 플레이트(2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컨트롤 유닛(250)은 상측 공간(200b)에 배치될 수 있고, 팬 모터 어셈블리(230)는 하측 공간(200c)에 배치될 수 있다.
벨마우스(235)의 에어 홀(235a)은 혼합 유닛(100)의 제1 공간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은 소음저감 판넬(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저감 판넬(260)은 이너 플레이트(21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소음 저감 판넬은 제2 공간(200a)의 상측 공간(200b)에 배치될 수 있다.
소음저감 판넬(260)은 컨트롤 박스(251)에 배치된 단열 부재(252)와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소음저감 판넬(260)은 단열 부재(25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 부재(252)와 소음저감 판넬(260) 사이에는 공기 통로(200d)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 통로(200d)를 지나 프레임(211)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은 취출 유닛의 사시도, 도 19는 취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핸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1은 차폐 커버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B-B선 단면도, 도 23은 핸들 어셈블리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에 록킹된 것을 나타낸 도, 도 24는 핸들 어셈블리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에 록킹 해제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취출 유닛(3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의 높이는 혼합 유닛(100)이나 송풍 유닛(20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송풍 유닛(2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송풍 유닛(200)과 연통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취출 유닛 프레임(300),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 차폐 커버(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취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에는 유로 가이드(330)가 구비될 수 있다.
취출 유닛 프레임(360)은 복수개의 바(bar)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취출 유닛 프레임(360)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취출구(313)는 취출 유닛(30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취출 유닛(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방된 좌측면과 우측면은 취출구(313)일 수 있다.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과 연통되기 위해,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상단에는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30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300)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의 상면과 취출 유닛(300)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유로 가이드(33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가까워질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송풍 유닛(200)에서 취출 유닛(300)으로 유동된 공기를 취출구(313)로 가이드시킬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급기(SA)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고, 취출 유닛(300)에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차폐 커버(320)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차폐 커버(3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취출 유닛에서 취출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커버(320)이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설치되면,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좌단부와 우단부는 취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에서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차폐 커버(320)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취출구(313)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폐 커버(320)을 설치 또는 제거하여 취출구(31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팬 모터 어셈블리(230)에 의해 송풍 유닛(200)에서 취출 유닛(300)으로 송풍된 공기는, 유로 가이드(330)의 상면을 따라 취출구(313)로 취출될 수 있다. 이 때 취출구(313)로 취출되는 공기는 급기(SA)를 의미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송풍 유닛(2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높이 방향으로 취출 유닛(300), 송풍 유닛(200), 혼합 유닛(100)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제3 공간(300a)을 형성하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 취출구(313), 유로 가이드(330) 및 차폐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은 취출 유닛(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은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은 상면(311a), 하면(311b) 및 둘레면(311c)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상면(311a)은 개방될 수 있다. 송풍 유닛(20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상면(311a)을 통해 취출 유닛(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하면(311b)에는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가 배치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하면(311b)을 막을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둘레면(311c)에는 취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취출구(31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이 육면에 형상인 경우 둘레면(311c)을 따라 네 개의 취출구(313)가 형성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취출구(313)를 통해 공기를 취출할 수 있다. 네 개의 취출구(31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룰 취출할 수 있다.
차폐 커버(320)는 복수개의 취출구(313) 중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 커버(320)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착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폐 커버(320) 네 개를 사용하여 네 개의 취출구(313)를 모두 막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네 개의 취출구(313) 중 선택적으로 특정 취출구(313)를 막도록 차폐 커버(320)를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네 개의 취출구(31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므로, 사용자는 차폐 커버(320)를 이용하여 공기의 취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유로 가이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의 베이스(31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 상면(311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취출구(313)를 통해 취출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331)을 가질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각각의 취출구(313)에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가이드(330)는 각각의 취출구(313)에 대응되는 네 개의 경사면(33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330)는 사각 뿔 형상일 수 있다. 사각 뿔 형상의 각 옆면은 각 경사면(331)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차폐 커버(320)는 커버 바디(321) 및 커버 바디(321)에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321)는 차폐 커버(3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바디(321)는 외면(321a), 내면(321b) 및 외면(321a)과 내면(321b)을 연결하는 둘레부(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커버(320)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결합되면, 내면(321b)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이 형성하는 공간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외면(321a)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외부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둘레부(321c)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둘레면(311c)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폐 커버(320)는 커버 바디(321)의 둘레부(321c)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둘레면(311c)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둘레부(321c)와 둘레면(311c) 사이에 실링 부재(323)가 배치됨으로써, 차폐 커버(320)가 결합된 둘레면(311c)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취출되지 않고, 차폐 커버(320)가 결합되지 않은 둘레면(311c)의 취출구(313)를 통해 공기가 취출될 수 있다.
커버 바디(321)는 외둘레에 돌출부(321d)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1d)는 둘레부(321c)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의 둘레면(311c)은 함몰부(311d)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커버(320)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결합되면 돌출부(321d)는 함몰부(311d)에 안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323)는 돌출부(321d)와 함몰부(311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323)는 돌출부(321d)와 함몰부(311d) 사이로 공기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레부(321c)는 실링 부재(323)가 안착되기 위한 함몰부(311d)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311d)는 실링 부재(323)가 둘레부(321c)에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들 어셈블리(322)는 커버 바디(321)에 결합될 수 있다. 차폐 커버(320)는 복수의 핸들 어셈블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차폐 커버(320)에 포함된 복수의 핸들 어셈블리(32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핸들 어셈블리(322)는 고정부(322a), 회전축(322b), 손잡이부(322c) 및 걸림부(322d)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22b)은 커버 바디(321)를 관통할 수 있고, 커버 바디(32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부(322c)는 회전축(322b)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322c)는 차폐 커버(320)의 외면(321a)을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322b)의 타측에는 걸림부(322d)가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322d)는 회전축(322b)의 회전에 따라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322c)를 잡고 회전축(322b)을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부(322d)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구속되면, 차폐 커버(320)는 취출구(313)를 덮을 수 있고, 걸림부(322d)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구속 해제되면, 차폐 커버(320)는 취출구(313)를 개방할 수 있다.
고정부(322a)는 커버 바디(321)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22a)는 커버 바디(321)의 외면(321a)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322b)은 고정부(322a)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22a)는 손잡이부(322c)와 커버 바디(321)의 외면(32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22a)는 핸들 어셈블리(322)를 커버 바디(3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들 어셈블리(322)는 탄성 부재(32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22e)는 걸림부(322d)를 감쌀 수 있다. 걸림부(322d)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구속되는 경우 걸림부(322d)재는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을 가압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은 걸림 브래킷(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브래킷(340)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다. 걸림 브래킷(340)은 걸림부(322d)가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에 구속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취출 유닛의 프레임(311)이 걸림 브래킷(340)을 포함하는 경우 걸림부(322d)는 걸림 브래킷(34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일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환기 유닛(3) 및/또는 칠러 유닛(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기 조화기(1)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1)은 공조실(20)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 조화기(1) 중 혼합 유닛(100)과 송풍 유닛(200)은 공조실 바닥면(24)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취출 유닛(300)은 공조실 바닥면(24)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플로어 덕트(59)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덕트(59)는 적어도 일부가 실내(50)의 실내 바닥면(55)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플로어 덕트(59)는 공조실(20)의 공조실 바닥면(24) 아래에 위치하는 공조실 플로어 덕트(21)와, 실내(50)의 실내 바닥면(55) 아래에 위치하는 실내 플로어 덕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실 바닥면(24)의 아래에는 공조실 플로어 덕트(21)가 위치할 수 있다. 취출 유닛(300)은 공조실 플로어 덕트(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공조실 바닥면(24) 아래 공간 자체가 공조실 플로어 덕트(21)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조실(20)에는 난방 히터(77)가 제공될 수 있다. 난방 히터(77)는 공조실(2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난방 히터(77)는 공조실(20) 내부의 순환 공기(RA)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실내(50)는 공조실(20)과 구분될 수 있다. 실내(50)는 사람들이 활동하는 공간일 수 있다. 실내(50)는 실내 바닥면(55)과 실내 천장면(56)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공조실 플로어 덕트(21)는 실내 바닥면(55) 아래에 위치하는 실내 플로어 덕트(51)와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조실 플로어 덕트(21)는 공기 조화기(1)의 취출구(313)와 실내 플로어 덕트(51)를 연통할 수 있다.
실내 바닥면(55) 아래 공간 자체가 실내 플로어 덕트(51)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 바닥면(55)에는 공기토출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아웃렛 바디(52)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 천장면(56)에는 공기흡입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인렛바디(5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웃렛 바디 및 인렛바디는 디퓨져(diffuser)일 수 있다.
아웃렛 바디(52)는 플로어 덕트(59)와 실내(50)를 연통할 수 있다. 인렛 바디(54)는 셀링 덕트(53)와 실내(50)를 연통할 수 있다.
실내 천장면(56) 위에 배치된 셀링 덕트(53)는 공조실(20)과 연통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의 취출구(313)에서 공조실 플로어 덕트(21)로 취출된 급기(SA)는 실내 플로어 덕트(51)로 유동될 수 있다. 급기(SA)는 실내 플로어 덕트에(51)서 아웃렛 바디(52)에 형성된 공기토출홀을 통해 실내(50)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50)로 유입된 급기(SA)는 실내(50)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체온이나 호흡 등에 의해 온도 및 이산화 탄소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50)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는 점차 상승할 수 있고, 온도가 올라간 공기는 실내(50) 내부에서 상승하여 인렛 바디(54)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홀을 통해 셀링 덕트(53)로 유동된 공기는 실내(50)를 순환한 순환 공기(RA)일 수 있다.
셀링 덕트(53)로 유동된 순환 공기(RA)는 공조실(20)로 유동될 수 있다. 공조실(20)로 유동된 순환 공기(RA)의 일부는 후술할 배기유로(22)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실내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되고, 또다른 일부는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급기(SA)가 플로어 덕트(59)를 통해 실내(50)로 유입되므로, 본 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바닥공조 시스템이고, 이 때 공조 유닛은 바닥공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바닥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천장에서 급기가 유입되는 천장공조 시스템에 비해 층고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때 층고는 실내 천장면(56) 위쪽의 공간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바닥공조 시스템은 공기 조화기(1)의 취출구(313)에서 취출되는 급기(SA)의 온도가 18℃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인 천장공조 시스템에서의 급기 온도인 14℃ 보다 높으므로 더욱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공기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환기 유닛(3)은 공조실(20)과 구분되는 서브 공조실(30)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 유닛(3)이 실외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환기 유닛(3)은 공기 조화기(1)과 외기 유로(123)로 연결될 수 있고, 공조실(20)과 배기 유로(22)로 연결될 수 있다.
외기 유로(123)은 공기 조화기(1)의 외기 흡입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외기 유로(123)는 외기 흡입부(110)에 설치된 외기 댐퍼(121)에 연결될 수 있다. 외기 유로(123)는 환기유닛(3)과 공기 조화기(1)을 연통시킬 수 있다.
배기 유로(22)는 공조실(20)과 환기유닛(3)을 연통시킬 수 있다. 배기 유로를 통해 공조실(20) 외부로 유동되는 공기는 배기(EA: Exhaust Air)를 의미할 수 있다.
배기 유로(22)에는 배기 댐퍼(23)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 댐퍼(23)는 공조실(20)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댐퍼(23)는 개도를 조절하여 배기 유로(22)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환기 유닛(3)은 배기부(31)와 외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부(32)와 배기부(31)는 배리어(33)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배리어(33)는 외기부(32)와 배기부(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33)에는 개방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개방부(34)는 외기부(32)와 배기부(31)를 연통시키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34)에는 혼합 댐퍼(35)가 설치될 수 있다. 혼합 댐퍼(35)는 개도를 조절하여 개방부(34)를 통해 배기부(31)에서 외기부(32)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부(31)에는 배기유로(22)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부(31)에는 배기 토출부(38)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 토출부(38)에는 서브 배기댐퍼(39)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배기댐퍼(39)는 개도를 조절하여 배기 토출부(38)로 유출되는 배기(E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 토출부(38)나 서브 배기댐퍼(39)에는 서브 배기유로(40)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배기유로(40)는 배기부(31)와 실외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다만, 환기 유닛(3)이 실외에 배치되면 서브 배기유로(40)는 불필요할 수 있다.
배기부(31) 내부에는 배기 송풍 기구(36)가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송풍 기구(36)는 배기 유로(22)를 통해 배기부(31)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 토출부(38) 및/또는 개방부(34)로 송풍시킬 수 있다.
외기부(32)에는 외기 유로(123)가 연결될 수 있다. 외기부(32)에는 외기 도입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외기 도입부(41)에는 서브 외기 댐퍼(4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외기 댐퍼(42)는 개도를 조절하여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되는 외기(OA)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외기 도입부(41)나 서브 외기 댐퍼(42)에는 서브 외기유로(43)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외기유로(43)는 외기부(32)와 실외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다만, 환기 유닛(3)이 실외에 배치되면 서브 외기유로(43)는 불필요할 수 있다.
외기부(32) 내부에는 외기 송풍 기구(37)가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송풍 기구(37)는 외기 도입부(41) 및/또는 개방부(34)를 통해 외기부(3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시켜 외기 유로(123)로 유동시킬 수 있다.
환기유닛(3)에는 외기 열교환기(47)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외기부(32) 내부에는 외기 열교환기(47)가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열교환기(47)는 외기 송풍 기구(37)와 배리어(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기 열교환기(47)는 외기 도입부(41)와 외기 송풍 기구(3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기유로(123)와 외기부(32)의 연결부는, 외기 열교환기(47)를 기준으로 외기도입부(41) 및 개방부(34)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외기 열교환기(47)에는 냉수 순환 유로(114)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외기 열교환기(47)에는 서브 순환 유로(44)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순환 유로(44)는 서브 입수유로(45)와 서브 출수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입수유로(45)는 입수유로(115)와 외기 열교환기(47)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출수유로(46)는 출수유로(116)와 외기 열교환기(47)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입수유로(45)는 입수유로(115)가 분지된 유로일 수 있고, 서브 출수유로(46)는 출수유로(116)가 분지된 유로일 수 있다.
입수유로(115)에서 서브 입수유로(45)를 통해 외기 열교환기(47)로 유입되는 냉수는 외기 열교환기(47)를 통과하며 외기부(32)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외기 열교환기(47)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수는 서브 출수유로(46)를 통해 출수유로(116)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 환기유닛(3)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외의 공기인 외기(OA)는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OA)는 서브 외기유로(43)를 통해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외기 댐퍼(42)의 개도에 따라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되는 외기(OA)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된 외기(OA)는 외기부(32)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부(41)로 유입된 외기(OA)는 개방부(34)를 통해 배기부(31)에서 외기부(32)로 유동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즉, 혼합 댐퍼(35)가 오픈된 경우, 외기부(32) 내부에서 외기유로(123)를 통해 공기 조화기(1)로 유동되는 외기(OA)에는 일부 배기(EA)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외기 송풍 기구(37)는 외기 도입부(41) 및/또는 개방부(34)를 통해 외기부(32)로 유동된 공기를 송풍 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외기 도입부(41) 및/또는 개방부(34)를 통해 외기부(32)로 유동된 공기는 외기 송풍 기구(37)에 의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외기 열교환기(37)를 통과하며 외기 열교환기(37)에서 냉수와 열교환할 수 있고, 이후 외기유로(123)를 통해 공조유닛(100)의 외기 흡입부(121)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흡입부(120)를 통해 혼합 유닛(100)으로 유입되는 외기(OA)는 저온의 공기일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기(OA)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한편, 셀링 덕트(53)에서 공조실(20)로 유동된 순환 공기(RA) 중 일부인 배기(EA)는, 배기 유로(22)를 통해 환기 유닛(3)의 배기부(31)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배기 댐퍼(23)는 오픈된 상태일 수 있다.
배기부(31)로 유입된 배기(EA)는 배기 송풍 기구(36)에 의해 개방부(34) 및/또는 배기 토출부(38)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개방부(34)와 배기 토출부(38)로 각각 취출되는 배기(EA)의 양은 각각 배기 댐퍼(39)와 혼합 댐퍼(35)의 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댐퍼(35)가 클로즈(close) 되고 배기 댐퍼(39)가 오픈(open)된 상태이면, 배기부(31)로 유입된 배기(EA) 전체는 배기 토출부(38)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서브 배기유로(4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 시스템은 칠러 유닛(5)를 포함할 수 있다. 칠러 유닛(5)는 기계실(60)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은 지하실일 수 있다. 기계실(60)은 실내(50), 공조실(20), 서브 공조실(30)과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칠러 유닛(5)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칠러 유닛(5)가 옥상등의 실외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칠러 유닛(5)는 공기 조화기(1)의 열교환기(111) 및/또는 환기 유닛(3)의 외기 열교환기(47)에 냉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냉수는 냉각수일 수 있다.
칠러 유닛(5)는 열교환기(111)와 냉수 순환유로(114)로 연결될 수 있다. 냉수 순환유로(114)는 칠러 유닛(5)에서 열교환기(111)로 냉수가 유동되는 입수유로(115)와, 열교환기(111)에서 칠러 유닛(5)로 냉수가 유동되는 출수유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순환유로(114)에는 순환 펌프(61)가 설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61)는 입수유로(115) 및/또는 출수유로(116)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61)는 냉수 순환유로(114)를 따라 냉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서브 순환유로(44)는 냉수 순환유로(114)와 실외 열교환기(47)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순환 유로(44)는 서브 입수유로(45)와 서브 출수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입수유로(45)는 외기 열교환기(47)와 입수유로(115)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칠러 유닛(5)에서 입수유로(115)로 유동되는 냉수의 일부는 서브 입수유로(45)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47)로 유입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열교환기(111)로 유입될 수 있다.
서브 출수유로(46)는 외기 열교환기(47)와 출수유로(116)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열교환기(47)에서 서브 출수유로(115)로 유동되는 냉수는 열교환기(111)에서 출수유로(116)로 유동되는 냉수와 합쳐져 칠러 유닛(5)으로 유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에는 바이패스부가 구비되어 불필요한 열교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칠러 유닛(5)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닥공조 시스템은 칠러유닛(5)에서 입수유로(115)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가 10℃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장공조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냉수의 온도인 7℃보다 높다. 따라서, 칠러 유닛(5)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입수 온도센서(63), 출수 온도센서(64), 실내온도 센서(70), 급기온도 센서(71), 리턴 온도센서(72), 외기 온도센서(78), 혼합 온도센서(7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센서(73), 정압센서(76), 연감지 센서(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수 온도센서(63)는 입수유로(115)에 설치될 수 있다. 입수 온도센서(63)는 입수유로(115)를 통해 칠러유닛(5)에서 열교환기(111)로 유동되는 냉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출수 온도센서(64)는 출수유로(116)에 설치될 수 있다. 출수 온도센서(64)는 출수유로(116)를 통해 열교환기(111)에서 칠러유닛(5)으로 유동되는 냉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내 온도센서(70)는 실내(5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온도 센서(70)은 실내(50)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내(50)의 공기 온도는 급기(SA)의 온도보다 높고 순환 공기(RA)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급기 온도센서(71)는 취출구(313)에서 취출되는 급기(S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급기 온도센서(71)는 플로어 덕트(59)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기 온도센서(71)는 공조실 플로어 덕트(21)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 온도센서(71)가 취출 유닛(30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턴 온도센서(72)는 셀링 덕트(53)로 유동된 순환 공기(R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리턴 온도센서(72)는 공조실(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턴 온도센서(72)는 공조실(20)의 상부에서 셀링 덕트(53)와 연통된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리턴 온도센서(72)는 셀링 덕트(5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73)는 순환 공기(RA)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73)는 공조실(20)이나 실내(50)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 공기(RA)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센서(73)는 공조실(2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정압 센서(76)는 플로어 덕트(59)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정압 센서(76)는 실내 플로어 덕트(51)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정압 센서(76)는 플로어 덕트(59)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정압 센서(76)는 실내 플로어 덕트(51)에 배치될 수 있다.
정압 센서(76)는 제1정압센서(75)와 제2정압센서(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압센서(75)는 플로어 덕트(59) 중 취출구(313)에서 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정압센서(74)는 제1정압센서(75)와 취출구(3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정압센서(74)는 제1정압센서(75)와 취출구(313)의 중간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제1정압센서(75)는 제2정압센서(74)보다 급기(SA)가 취출되는 취출구(313) 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므로, 제1정압센서(75)에서 측정되는 압력은 제2정압센서(74)에서 측정되는 압력보다 낮을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78)는 서브 외기유로(43)에 설치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78)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78)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외기(O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외기 온도센서(78)는 외기유로(12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외기 온도센서(78)는 환기유닛(3)에서 외기 열교환기(47)에서 열교환되어 공기 조화기(1)으로 유동되는 외기(O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혼합 온도센서(79)는 공기 조화기(1)의 본체(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혼합 온도센서(79)는 혼합 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혼합 온도센서(79)는 외기 흡입부(120)와 실내공기 흡입부(110)와 바이패스부(130)로 각각 유입되어 혼합 유닛(100)에서 혼합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연감지 센서(80)는 실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감지 센서(80)는 실내 천장면(56)에 설치될 수 있다. 연감지 센서(80)는 실내(50)에서 발생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등에 의해 실내(50)에서 연기가 발생하면, 연감지 센서(8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혼합 유닛 100a: 제1 공간
200: 송풍 유닛 211: 프레임
212: 아우터 판넬 213: 도어
220: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 221: 어퍼 플레이트
222: 어퍼 가이드 레일 223: 고정 브래킷
230: 팬 모터 어셈블리 231: 이너 프레임
232: 흡입 바디 233: 방진 커넥터
234: 벨마우스 고정판 235: 벨마우스
236: 팬 237: 모터
238: 모터 마운터 239: 롤러
241: 레일 242: 프론트 스토퍼
243: 베이스 250: 컨트롤 유닛
251: 컨트롤 박스 252: 단열 부재
253: 컨트롤 도어 260: 소음저감 판넬
300: 취출 유닛 313: 취출구
320: 차폐 커버 330: 유로 가이드
340: 걸림 브래킷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팬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안내되는 벨마우스;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마우스가 고정되는 벨마우스 고정판;
    상기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접촉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바디; 및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과 흡입 바디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방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 커넥터는
    상단이 상기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에 연결된
    공기 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 커넥터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벨마우스를 연통하는
    공기 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바디에 체결되는 제1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 커넥터의 상부는 상기 흡입 바디와 상기 제1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는
    공기 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공기 흡입구 주변 상부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에 체결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하부는 상기 벨마우스 고정판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는
    공기 조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마주보는 통공이 형성된 어퍼 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바디가 안착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바디는 상기 어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안내되는
    공기 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퍼 가이드 레일은
    상기 어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측판과, 상기 측판에서 절곡된 하판을 갖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측판에 결합되고 상기 하판과 이격된 제2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가이드의 일면이 접촉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과 상기 흡입 바디 사이의 틈을 막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과 체결되고 상기 흡입 바디 선단이 걸리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60124887A 2016-09-28 2016-09-28 공기 조화기 KR20180034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87A KR20180034979A (ko) 2016-09-28 2016-09-28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887A KR20180034979A (ko) 2016-09-28 2016-09-28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79A true KR20180034979A (ko) 2018-04-05

Family

ID=6197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887A KR20180034979A (ko) 2016-09-28 2016-09-28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9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EP3026361B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100540272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2594728B1 (ko) 공기 조화기
KR10061710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05205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20180034980A (ko) 공기 조화기
JP200400386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換気空調ユニット
KR20180034982A (ko) 공기 조화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1059A (ko) 공기조화기
KR1009773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 시스템 장치
KR20180034979A (ko) 공기 조화기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589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70078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381048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485757B1 (ko) 공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KR102713630B1 (ko)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0833855B1 (ko) 공기 조화기
WO2024154220A1 (ja) 除湿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