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75A - Weight adjustable dumbbell - Google Patents

Weight adjustable dumbb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775A
KR20180033775A KR1020160123153A KR20160123153A KR20180033775A KR 20180033775 A KR20180033775 A KR 20180033775A KR 1020160123153 A KR1020160123153 A KR 1020160123153A KR 20160123153 A KR20160123153 A KR 20160123153A KR 20180033775 A KR20180033775 A KR 2018003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iprocating
coupling rod
w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958B1 (en
Inventor
서정헌
Original Assignee
서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헌 filed Critical 서정헌
Priority to KR102016012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958B1/en
Publication of KR2018003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adjustable dumbbell which can quickly change weight bodies from a handle unit, while at least one weight body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handle unit depending on condition of a user. To this end, the weight-adjustable dumbbell comprises: the hollow handle unit gripped by the user; the weight bod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and having a lamination hole part perforated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unit; a coupling rod unit penetrating through the handle unit, inserted into the lamination hol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length adjustment grooves reces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detachable cap unit screwed to the coupling rod unit so that the weight body can be fixed to the handle unit; and a coupling rod fixation unit selectively coupled to the length adjustment grooves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andle unit so that the coupling rod unit can be selectively fixated to the handle unit.

Description

중량 조절형 아령{WEIGHT ADJUSTABLE DUMBBELL}WEIGHT ADJUSTABLE DUMBBELL

본 발명은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손잡이유닛에서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탈부착함은 물론 손잡이유닛에서 중량체를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which is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one or more weight bodies in a grip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user, .

일반적으로, 아령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서 신체의 이두근, 삼두근, 대흉근, 복근, 완근 등을 발달시키는 체력 단련 기구이다.Generally, a dumbbell is a fitness training apparatus that lifts and holds up with one hand or two hands and develops biceps, triceps, pectoralis major, abdominal muscles, and complete muscles of the body.

종래의 아령은 중심봉의 양단부에 동일한 무게의 중량물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다. 아령은 중심봉에 중량물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 조건에 따라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다수의 아령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dumbbells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heavy objects of the same weight are combin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rod. Since the dumbbells have heavy objects fixed to the center bar, the user has to have a plurality of dumbbell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s according to the use condi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546호 (발명의 명칭 : 중량 조절형 아령, 2013. 10. 1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18546 (entitled "Weight Controlled Dumbbell," published on Mar. 10,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손잡이유닛에서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탈부착함은 물론 손잡이유닛에서 중량체를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which can remove and attach one or more weight bodies in a grip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user and can quickly and quickly change a weight body in the grip unit. .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중공의 손잡이유닛; 상기 손잡이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량체; 상기 손잡이유닛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적층홀부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길이조절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결합봉유닛; 상기 중량체가 상기 손잡이유닛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봉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탈착마개유닛; 및 상기 결합봉유닛이 상기 손잡이유닛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봉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고정유닛은,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베이스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관통하면서 관통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고정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왕복고정부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고정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왕복고정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grip unit for gripping a user; A weight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unit; A coupling rod unit penetrating through the knob unit and inserted in the lamination hole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rod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etachable cap unit screwed to the coupling rod unit such that the weight body is fixed to the handle unit; And a coupling rod fixing unit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while being coupled to the handle unit so that the coupling rod unit is selectively fixed to the knob unit, A hollow stationary base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A reciprocal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fixed base part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penetrating direction; And a fix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ciprocal fix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part, and on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베이스부;를 포함한다.Here, the handle unit includes: a handle having a hollow tube shape; And an adjustment base portion formed in a hollow ring shape to communicate with the handle portion a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portion.

여기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중량체가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grip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ngagement base portion coupled to the adjustment base portion so that the weight is stacked and supported.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 중 다른 하나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적층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base unit and the weight body so as to protrude from one of the coupling base unit and the weight body,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the engaging base por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weight member to be inserted or recessed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bas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상기 중량체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중량체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와, 인접한 두 중량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부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두 중량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지지부에 삽입되는 지지니플을 포함하는 적층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dumbbell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through a supporting member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weight member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one of the two adjacent weight members, And a support nipple inserted into the support formed i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여기서, 상기 결합봉유닛에는 상기 결합봉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방지홈부;가 길게 함몰 형성된다.Here, the coupling rod unit is formed with a long depres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홈부는 상기 결합봉유닛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단계조절홈부;로 이루어진다.Here,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long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unit.

여기서, 상기 고정베이스부에는, 상기 왕복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왕복홀부; 상기 왕복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고정탄성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탄성지지홈부; 및 상기 왕복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왕복고정부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타측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슬릿부;가 포함된다.Here, the fixed base portion includes a reciprocating hol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to insert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An elastic support groove portion formed at one side to be communicated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d receive the fixing elastic portion; And a fitting sli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and being form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왕복고정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왕복파지부; 상기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슬릿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왕복파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 상기 왕복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돌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왕복축부; 및 상기 탄성지지홈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탄성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왕복축부에 구비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한다.Here, the reciprocal fixing unit may include: a reciprocating gripper for gripping a user;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iprocating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sli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A reciprocating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tting protrusion so as to be reciprocally inserted into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And a supporting jaw provided on the reciprocating shaft portion to support the fixed elastic portion inserted in the elastic supporting groove portion.

여기서, 상기 왕복축부는 상기 끼움돌부에서 연장되는 연장축부와,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상기 연장축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부는 상기 연장축부와 상기 길이조절돌부의 결합에 따른 단차에 의해 형성된다.The reciprocating shaft portion includes an extending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tting protrusion portion and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portion coupled to the extending shaft portion to selectively engage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by a step according to the bonding of the parts.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손잡이유닛에서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탈부착함은 물론 손잡이유닛에서 중량체를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quickly change the weight of the weight unit in the grip unit as well as attaching / detaching one or more weight units in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use condi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의 개수에 대응하여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결합봉유닛이 필요없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ight bodies, and no additional joining rod unit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에서 결합봉유닛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손잡이유닛에서 결합봉유닛의 왕복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길이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coupling rod unit in the pulling unit, allows the coupling rod unit to reciprocate in the pulling unit, and can easily control the length of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에서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키고, 사용자의 파지에 따라 결합봉고정유닛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ilize the grip of the user in the grip unit and prevent the engagement rod fixing unit from interfering with the grip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에서 중량체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eight to be stably supported in the handle unit.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가 손잡이유닛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중량체 간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의 중량체가 적층되더라도 결합봉유닛의 이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weight from flowing in the grip unit, prevents the weight from flowing between the weight units,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unit from being interfered with even when a plurality of weight units are stacked.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에서 결합봉유닛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봉유닛과 결합봉고정유닛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ngagement rod unit from rotating in the grip unit, and stabilize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rod unit and the engagement rod fix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결합봉고정유닛의 구조 및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결합 해제에 따라 손잡이유닛에서 결합봉유닛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od unit in the handle unit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coup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중량체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을 도시한 요부 분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weight control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ight of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od fixing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fragmentary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rod fixing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weight adjusting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coupling rod fixing unit.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upling rod fixing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od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Furth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중량체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을 도시한 요부 분해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고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ight control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weight control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of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agmentary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rod fixing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in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손잡이유닛(1)과, 중량체(2)와, 결합봉유닛(3)과, 탈착마개유닛(4)과, 결합봉고정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unit 1, a weight 2, a coupling rod unit 3, a detachable cap unit 4, And a coupling rod fixing unit 6.

상기 손잡이유닛(1)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The handle unit (1) is a portion gripped by the user.

상기 손잡이유닛(1)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중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베이스부(13)를 포함한다.The handle unit 1 includes a handle 11 having a hollow tubular shape and a handle member 11 having a hollow ring shap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11 a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11 And an adjustment base portion 13.

상기 손잡이유닛(1)은 상기 중량체(2)가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조절베이스부(13)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1 may further include an engagement base portion 15 coupled to the adjustment base portion 13 so that the weight body 2 is stacked and supported.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1)의 외주면에는 파지요철부(1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손잡이부(11)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베이스부(13)에는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의 결합을 위해 체결홀부(14)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와 상기 조절베이스부(13)와 상기 결합베이스부(15)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ripper foot portion 1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1 to stabilize the user's grip and prevent the user's hand from slipping on the grip portion 11. [ Further, the adjusting base portion 13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portion 14 for fastening the fastening rod fixing unit 6 thereto. The handle 11, the adjustment base 13, and the coupling base 15 are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상기 중량체(2)는 상기 손잡이유닛(1)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중량체(2)는 상기 손잡이유닛(1)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아령 운동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2)는 사용 조건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의 양측에 다른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weight (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1). The weight (2) is arranged on the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1) in the same number, so that the dumbbell movement can be safely performed. The weight (2)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number on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1) according to use conditions.

상기 중량체(2)에는 상기 손잡이유닛(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부(2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적층홀부(21)는 상기 중량체(2)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The weight body (2) is formed with a lamination hole portion (21)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handle unit (1). The laminated hole portion 21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weight body 2.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2)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상기 중량체(2)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적층지지유닛(5)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coupling base portion 15 and the weight body 2 to each other or detachably coupling the weight body 2 to each other, ). ≪ / RTI >

첫째, 상기 적층지지유닛(5)은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2)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2)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51)와, 상기 제1결합부(51)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 중 다른 하나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2결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laminated support unit 5 detachably connects the coupling base unit 15 and the weight body 2 to each other so that any one of the coupling base unit 15 and the weight body 2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52 formed to penetrate or sink into the other of the engaging base portion 15 and the weight to inse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 ).

다른 표현으로,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2)의 적층 지지를 위해 상기 적층지지유닛(5)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베이스부(15)와 상기 중량체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53)와, 상기 중량체(2)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베이스부(15)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 삽입되는 지지니플(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51)는 상기 지지니플(54)에 대응되고, 상기 제2결합부(52)는 상기 지지부(53)에 대응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aminated support unit 5 for the laminated support of the coupling base 15 and the weight 2 is provided with the coupling base 15 and the support And a support nipple 54 screwed to the support portion 53 formed on the weight body 2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53 formed on the engagement base portion 15.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 may correspond to the support nipple 54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 may correspond to the support portion 53. [

여기서, 상기 지지니플(54)이 상기 결합베이스부(15)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 삽입된다는 것은 상기 지지니플(54)이 상기 결합베이스부(15)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도 나사 결합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nipple 5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portion 53 formed in the coupling base portion 15 so that the supporting nipple 54 is screwed into the supporting portion 53 formed in the coupling base portion 15 ≪ / RTI >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니플(54)은 상기 결합베이스부(15)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중량체(2)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53)에 삽입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upport nipple 54 may be screwed into the support 53 formed on the coupling base 15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53 formed on the weight 2.

둘째, 상기 적층지지유닛(5)은 상기 중량체(2)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중량체(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51)와, 상기 제1결합부(51)가 삽입되도록 상기 중량체(2)의 타측면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2결합부(52)를 포함한다.Second, the laminated support unit 5 comprises a first engaging portion 51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eight body 2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eight body 2, And a second engaging part 5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eight body 2 so as to be inserted or inserted into the engaging part 51.

다른 표현으로, 상기 중량체(2) 간의 적층 지지를 위해 상기 적층지지유닛(5)은 상기 중량체(2)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53)와, 인접한 두 중량체(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53)에 나사 결합되고 인접한 두 중량체(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53)에 삽입되는 지지니플(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51)는 상기 지지니플(54)에 대응되고, 상기 제2결합부(52)는 상기 지지부(53)에 대응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acking support unit 5 for stacking support between the weight 2 and the weight 2 has a support portion 53 formed through the weight 2, And a support nipple 54 screwed into the support portion 53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53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adjacent two weights 2.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 may correspond to the support nipple 54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 may correspond to the support portion 53. [

여기서, 상기 지지니플(54)이 인접한 두 중량체(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53)에 삽입된다는 것은 상기 지지니플(54)이 인접한 두 중량체(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53)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nipple 5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53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adjacent two weights 2 because the support nipple 54 is attached to the other one of the two adjacent weights 2 And then screwed to the support portion 53. [

상기 결합봉유닛(3)은 상기 손잡이유닛(1)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적층홀부(21)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봉유닛(3)은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봉부(31)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rod unit 3 penetrates through the handle unit 1 and is inserted into the lamination hole 21. The coupling rod unit 3 may include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and the coupling rod 31 formed with the thre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은 상기 손잡이유닛(1)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1결합봉유닛(3a)과, 상기 손잡이유닛(1)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2결합봉유닛(3b)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od unit 3 includes a first coupling rod unit 3a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handle unit 1 and a second coupling rod unit 3b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pull- And a rod unit 3b.

상기 결합봉유닛(3)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길이조절홈부(611)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봉유닛(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 상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길이조절홈부(611)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의 다른 일부 영역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611 are formed in the engaging rod unit 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rod unit 3.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in the coupling rod unit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611 ar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rod unit 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3 are formed on another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결합봉유닛(3)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는 회전방지홈부(3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상기 회전방지홈부(33)의 배치 관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3가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upling rod unit 3 may include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and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33 may be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three methods.

첫째, 상기 길이조절홈부(611)는 단위조절부(61)에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단위조절부(61)를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봉유닛(3)에 상기 길이조절홈부(6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조절부(61)가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회전방지홈부(33)는 홈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는 후술하는 결합봉고정유닛(6)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is formed in the unit adjusting portion 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nit adjusting portion 6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so that the connecting rod unit 3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can be formed. At this time, even if the unit adjusting portion 61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can maintain the groove shape. Then,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coupling rod unit 3 from rotating in the grip unit 1. [

둘째, 상기 회전방지홈부(33)의 바닥에 상기 길이조절홈부(6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는 후술하는 결합봉고정유닛(6)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Then,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coupling rod unit 3 from rotating in the grip unit 1. [

셋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방지홈부(33)와 상기 길이조절홈부(611)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결합봉유닛(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유닛(1)에는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 삽입되도록 회전방지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ird,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and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rod unit 3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engagement rod unit 3 from rotating in the handle unit 1, a rotation preventing pa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handle unit 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art 33 .

상기 탈착마개유닛(4)은 상기 중량체(2)가 상기 손잡이유닛(1)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봉유닛(3)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마개유닛(4)은 상기 제1결합봉유닛(3a)에 나사 결합되는 제1마개유닛(4a)과, 상기 제2결합봉유닛(3b)에 나사 결합되는 제2마개유닛(4b)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detachable lid unit 4 is screwed to the engaging rod unit 3 so that the weight 2 is fixed to the handle unit 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cap unit 4 includes a first cap unit 4a screwed to the first engagement rod unit 3a and a second cap unit 4b screwed to the second engagement rod unit 3b And a second cap unit 4b.

상기 탈착마개유닛(4)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탈착홀부(4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마개유닛(4)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형성되는 탈착요철부(4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착요철부(42)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탈착마개유닛(4)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ap unit (4) may be formed with a threaded hole (41) through which a threaded hole (41) is formed for threading with the coupling rod unit (3). The detachable cap unit (4) may include a removable protrusion (4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holding by the user. The grip of the user can be stabilized and the user's hand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in the detachable cap unit 4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concave-convex portion 42. [

상기 탈착마개유닛(4)에는 상기 탈착홀부(41)와 연통된 상태로 중공의 링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적층홀부(21)에 삽입 지지되는 안착리브부(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부(43)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적층홀부(2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ap unit 4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rib 43 in the form of a hollow ring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with the detachable hole portion 41 and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laminated hole portion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ement rod unit 3 from interfering with the lamination hole portion 21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ing rib portion 43 and to prevent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ement rod unit 3 from being broken .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은 상기 결합봉유닛(3)을 상기 손잡이유닛(1)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은 상기 손잡이유닛(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은 상기 체결홀부(1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selectively fixes the coupling rod unit 3 to the handle unit 1.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while being coupled to the handle unit 1. [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hole 14.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은 상기 손잡이유닛(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베이스부(62)와, 상기 고정베이스부(62)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고정부(63)와, 상기 고정베이스부(62)에 대하여 상기 왕복고정부(63)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탄성부(64)를 포함한다.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includes a hollow fixed base portion 6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unit 1 and a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63 inserted into the fixed base portion 62 so as to reciprocate, And a fixing elastic portion 64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ciprocal fixing portion 63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portion 62. [

그러면,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는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 삽입되거나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왕복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The fre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611 or separated from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611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otor 3.

여기서, 상기 고정베이스부(62)에는 상기 왕복고정부(63)가 삽입되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왕복홀부(621)와, 상기 왕복홀부(621)와 연통되어 상기 고정탄성부(64)가 삽입 지지되도록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탄성지지홈부(622)와, 상기 왕복홀부(621)와 연통되어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타측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슬릿부(623)가 포함된다.The fixing base portion 62 is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hole portion 621 passing through the center so as to insert the reciprocal fixing portion 63 therein and the fixing elastic portion 64 communicating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621, And a fitting slit part 623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art 621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

또한, 상기 왕복고정부(6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왕복파지부(631)와, 상기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슬릿부(623)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왕복파지부(631)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633)와, 상기 왕복홀부(62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돌부(633)에서 돌출 형성되는 왕복축부(632)와, 상기 탄성지지홈부(622)에 삽입된 상기 고정탄성부(64)가 지지되도록 상기 왕복축부(632)에 구비되는 지지턱부(634)를 포함한다.The reciprocal gripping portion 6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iprocating gripping portion 631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slit portion 623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A reciprocating shaft portion 632 protruding from the fitting protrusion 633 so as to be reciprocably inserted into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621 and a fixing portion 632 protru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633 to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supporting groove portion 622, And a supporting protrusion 634 provided on the reciprocating shaft portion 632 so as to support the elastic portion 64.

상기 왕복축부(632)는 상기 끼움돌부(633)에서 연장되는 연장축부(635)와, 상기 연장축부(635)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돌부(636)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부(634)는 상기 연장축부(635)와 상기 길이조절돌부(636)의 결합에 따른 단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돌부(636)는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shaft portion 632 includes an extending shaft portion 635 extending from the fitting protrusion 633 and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extending shaft portion 635. The supporting protrusion 634 Is formed by a step according to the engagement of the extension shaft portion 635 and the length adjustment projection 636. [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can be fit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fixing part 63.

여기서,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일측 단부 또는 상기 길이조절돌부(636)는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봉유닛(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 또는 상기 길이조절돌부(636)는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서 분리되더라도 상기 회전방지홈부(3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one end of the shut-off fixing part 63 or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art 33 to prevent rotation of the coupling stick unit 3. [ In addition, the fre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or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can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art 33 even if it is separated from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611.

상기 고정베이스부(62)와 상기 체결홀부(14)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고정베이스부(62)를 파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베이스부(62)에는 고정너트부(624)가 나사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너트부(624)가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A fixing nut portion 624 is screwed to the fixed base portion 62 to hold the fixed base portion 62 and the coupling hole portion 14 or to hold the fixed base portion 62 And the fixing nut portion 624 may be integrally arranged.

또한, 상기 고정탄성부(64)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왕복고정부(63)와 상기 길이조절홈부(611) 사이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왕복고정부(63)와 상기 길이조절홈부(611) 사이의 끼움 해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fixed elastic portion 64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fitting state between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63 and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by an elastic for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tting release state betwee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s 611. [

그러면, 상기 끼움슬릿부(623)에 상기 끼움돌부(633)가 끼움 결합되면,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는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끼움슬릿부(623)에서 상기 끼움돌부(633)가 분리되면,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는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서 분리되도록 한다.When the fitting protrusion 633 is fitted into the fitting slit 623, the free end of the return fixing part 63 is fit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and the fitting slit 623 The fre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is separated from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611. In this case,

상기 중량체(2)의 탈부착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결합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체(2)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을 분리한다.First, the coupling unit 3 is detached from the handle unit 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eight units 2 to be coupled.

좀더 자세하게, 상기 왕복고정부(63)를 외측으로 빼내면, 상기 끼움슬릿부(623)에서 상기 끼움돌부(633)가 분리되고, 상기 고정탄성부(64)는 압축되며,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서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상기 길이조절돌부(636)가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고정부(63)를 90도 회전시키고,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끼움돌부(633)는 상기 고정베이스부(62)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에서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상기 길이조절돌부(636)가 분리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중량체(2)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633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slit portion 623 and the fixing elastic portion 64 is compressed and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of the shut-off fixing part 63 is separated. The fitting protrusion 633 is held by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se portion 62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611 can be formed by rotating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63 by 90 degrees and releasing the external force. The length regulating protrusion 636 of the reciprocating fixing part 63 is separated.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weights 2 can be changed by separating the engaging-bar unit 3 from the handle unit 1.

그리고, 상기 결합봉유닛(3)을 상기 손잡이유닛(1)에 고정시킨다.Then, the engaging-rod unit 3 is fixed to the handle unit 1.

좀더 자세하게,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왕복고정부(63)를 다시 90도 회전시키고,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끼움돌부(633)는 상기 끼움슬릿부(623)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는 상기 길이조절홈부(611)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결합봉유닛(3)을 상기 손잡이유닛(1)에 고정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rod unit 3 is moved from the handle unit 1 and then the reciprocal fixing unit 63 is rotated by 90 degrees again and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the fre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63 is fit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art 611 to fix the connecting rod unit 3 to the handle unit 1 have.

그리고, 상기 탈착마개유닛(4)이 상기 결합봉유닛(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손잡이유닛(1)에 상기 중량체(2)를 완전히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The detachable lid unit 4 is screwed to the engaging rod unit 3 so that the weight body 2 can be completely fixed to the handle unit 1. [

결국, 상기 탈착마개유닛(4)과 상기 결합봉유닛(3)의 탈부착 동작,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과 상기 결합봉유닛(3)의 탈부착 동작을 연계하여 상기 중량체(2)의 개수를 빠르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2)의 개수가 변화와 더불어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of the detachable cap unit 4 and the engaging-rod unit 3, and the attaching / detaching operation of the engaging-rod unit 3 and the engaging-rod fixing unit 6, The number can be adjusted quickly and quickly.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upling rod unit 3 can be adjuste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number of the weight bodies 2.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eight control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od unit in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손잡이유닛(1)과, 중량체(2)와, 결합봉유닛(3)과, 탈착마개유닛(4)과, 결합봉고정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and 9, a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unit 1, a weight 2, a coupling rod unit 3, a detachable cap unit 3, (4), and a coupling rod fixing unit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결합봉유닛(3)에는 상기 길이조절홈부(611)를 대신하여 단계조절홈부(35)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e weight-adjustabl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od unit 3 may be formed with a step adjusting groove 35 instead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611.

좀더 자세하게,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단계조절홈부(35)가 함몰 형성된다.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od unit 3 is formed in the step adjustment groove 3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in a state of being formed lo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Is formed.

다른 표현으로, 상기 단계조절홈부(35)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계조절홈부(35)는 다수 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단계조절홈부(35)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step adjusting groove 35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rod unit 3. Also, a plurality of the step adjusting grooves 35 are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tep regulating groove 35 is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그러면, 상기 단계조절홈부(35)에는 상기 왕복고정부(63)의 자유단부 또는 상기 길이조절돌부(636)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유닛(1)에 상기 결합봉유닛(3)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조절홈부(35)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과 상기 단계조절홈부(35)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은 제한된 회전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과 상기 단계조절홈부(35)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The free end of the shuttle fixing part 63 or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636 is inserted into the step adjusting groove 35 to fix the connecting rod unit 3 to the handle unit 1. [ . Since the step adjusting groove 35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rod unit 3, the engaging rod fixing unit 6 and the step adjusting groove 35 do not engage with each other, (1), the engagement rod unit (3) is allowed to rotate in a limited manner. Accordingly, even if the coupling rod unit 3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knob unit 1,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and the step adjustment groove 35 can be stabilized.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도 상기 회전방지홈부(3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홈부(33)는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계조절홈부(35)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홈부(33)의 함몰 깊이는 상기 단계조절홈부(35)의 함몰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anti-rotation recessed portion 33 may be formed in the weight-adjustable dumbb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3, so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portion 33 is communicated with the step adjusting groove portion 35. The depression depth of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33 may be smaller than the recess depth of the step adjustment groove 35 so that the length of the coupling rod unit 3 in the handle unit 1 can be easily adjusted .

상술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중량체(2)를 탈부착함은 물론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중량체(2)를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weight-adjustable dumbbell,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more than one weight 2 from the grip unit 1 according to the user's use condition, and to fasten the weight 2 in the grip unit 1 You can change it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2)의 개수에 대응하여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결합봉유닛이 필요없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weight control type dumbbell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eight bodies 2, and no additional joining rod unit is required.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의 왕복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길이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사용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키고, 사용자의 파지에 따라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중량체(2)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engagement rod unit 3 from the handle unit 1 and to freely reciprocate the engagement rod unit 3 in the handle unit 1, Can be easily adjusted. Further,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grip of the user in the grip unit 1 and to prevent the engagement rod fixing unit 6 from interfering with the grip of the user. Further, the weight unit 2 is stably supported by the handle unit 1. [

또한, 상기 중량체(2)가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중량체(2) 간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의 상기 중량체(2)가 적층되더라도 상기 결합봉유닛(3)의 이동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봉유닛(3)과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봉고정유닛(6)의 구조 및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결합 해제에 따라 상기 손잡이유닛(1)에서 상기 결합봉유닛(3)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weight 2 from flowing in the grip unit 1 and to prevent the weight 2 from flowing between the weight bodies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unit 3 from being interfered with.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ement rod unit 3 from rotating in the grip unit 1 and stabiliz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rod unit 3 and the engagement rod fixing unit 6. [ 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6 can be clarified, and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od unit 3 in the knob unit 1 can be facili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ase of the coupling.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y or modify the Software.

1: 손잡이유닛 11: 손잡이부 12: 파지요철부
13: 조절베이스부 14: 체결홀부 15: 결합베이스부
2: 중량체 21: 적층홀부 3: 결합봉유닛
31: 결합봉부 33: 회전방지홈부 35: 단계조절홈부
4: 탈착마개유닛 41: 탈착홀부 42: 탈착요철부
43: 안착리브부 5: 적층지지유닛 51: 제1결합부
52: 제2결합부 53: 지지부 54: 지지니플
6: 결합봉고정유닛 61: 단위조절부 611: 길이조절홈부
62: 고정베이스부 621: 왕복홀부 622: 탄성지지홈부
623: 끼움슬릿부 624: 고정너트부 63: 왕복고정부
631: 왕복파지부 632: 왕복축부 633: 끼움돌부
634: 지지턱부 635: 연장축부 636: 길이조절돌부
1: Handle unit 11: Handle part 12:
13: regulating base portion 14: fastening hole portion 15: engaging base portion
2: weight body 21: laminated hole part 3:
31: engagement bar 33: anti-rotation groove 35: step adjustment groove
4: detachable cap unit 41: detachable hole portion 42: detachable concave and convex portion
43: seat rib section 5: laminate supporting unit 51: first engaging section
52: second engagement portion 53: support portion 54: support nipple
6: Coupling rod fixing unit 61: Unit control unit 611: Length adjusting groove
62: fixed base portion 621: reciprocating hole portion 622:
623: fitting slit portion 624: fixing nut portion 63:
631: reciprocating grip part 632: reciprocating shaft part 633:
634: Supporting step 635: Extension shaft 636: Length adjusting projection

Claims (10)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중공의 손잡이유닛;
상기 손잡이유닛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적층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량체;
상기 손잡이유닛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적층홀부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길이조절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결합봉유닛;
상기 중량체가 상기 손잡이유닛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봉유닛에 나사 결합되는 탈착마개유닛; 및
상기 결합봉유닛이 상기 손잡이유닛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봉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봉고정유닛은,
상기 손잡이유닛에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베이스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관통하면서 관통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고정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왕복고정부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고정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왕복고정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A hollow grip unit for gripping the user;
A weight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unit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unit;
A coupling rod unit penetrating through the knob unit and inserted in the lamination hole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rod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etachable cap unit screwed to the coupling rod unit such that the weight body is fixed to the handle unit; And
And a coupling rod fixing unit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while being coupled to the handle unit so that the coupling rod unit is selectively fixed to the handle unit,
The coupling rod fixing unit includes:
A hollow fixed base portion coupled to the handle unit;
A reciprocal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fixed base part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penetrating direction; And
And a fixed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ciprocal fix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base part,
And one end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ing groov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reciprocal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unit includes:
A grip portion having a hollow tube shape; And
And a control base portion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handle portion and having a hollow ring shape to communicate with the handl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중량체가 적층 지지되도록 상기 조절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결합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dle unit includes:
And a coupling base portion coupled to the control base portion so that the weight body is stacked and suppo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베이스부와 상기 중량체 중 다른 하나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적층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base portion and the weight body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of the engaging base portion and the weight body;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members so as to penetrate or sink into the other one of the weight me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를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중량체에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와, 인접한 두 중량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부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한 두 중량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지지부에 삽입되는 지지니플을 포함하는 적층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ortion formed in one of two adjacent weights in a state of being screwed to a support portion formed in any one of two adjacent weights, And a laminate support unit comprising a support nipp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유닛에는 상기 결합봉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방지홈부;가 길게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rod unit has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o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홈부는 상기 결합봉유닛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단계조절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long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gaging rod uni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부에는,
상기 왕복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왕복홀부;
상기 왕복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고정탄성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탄성지지홈부; 및
상기 왕복홀부와 연통되어 상기 왕복고정부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타측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슬릿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n the fixed base portion,
A reciprocating hol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to insert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An elastic support groove portion formed at one side to be communicated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d receive the fixing elastic portion; And
And a fitting sli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and being form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a part of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고정부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왕복파지부;
상기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끼움슬릿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왕복파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부;
상기 왕복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돌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왕복축부; 및
상기 탄성지지홈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탄성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왕복축부에 구비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iprocating fixing portion
A reciprocating gripper for grasping the user;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iprocating gripp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sli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A reciprocating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tting protrusion so as to be reciprocally inserted into the reciprocating hole portion; And
And a supporting jaw provided on the reciprocating shaft part to support the fixing elastic part inserted in the elastic supporting groove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축부는 상기 끼움돌부에서 연장되는 연장축부와, 상기 길이조절홈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상기 연장축부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부는 상기 연장축부와 상기 길이조절돌부의 결합에 따른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ciprocating shaft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tting projection portion and a length adjusting proj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extension shaft portion so as to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ength adjustment groove portion,
Wherein the support tuck portion is formed by a step according to the engagement of the extension shaft portion and the length adjustment projection portion.
KR1020160123153A 2016-09-26 2016-09-26 Weight adjustable dumbbell KR101858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53A KR101858958B1 (en) 2016-09-26 2016-09-26 Weight adjustable dumbb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53A KR101858958B1 (en) 2016-09-26 2016-09-26 Weight adjustable dumbb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75A true KR20180033775A (en) 2018-04-04
KR101858958B1 KR101858958B1 (en) 2018-05-17

Family

ID=6197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153A KR101858958B1 (en) 2016-09-26 2016-09-26 Weight adjustable dumbb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958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66U (en) 2018-04-25 2018-05-16 최원진 Weight adjustable dumbbell
CN108721832A (en) * 2018-08-21 2018-11-02 东莞市史雷帝三维数控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umbbell that can quickly adjust own wt
CN111330230A (en) * 2018-10-27 2020-06-26 崔保山 Small muscle group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method for children in growth acceleration period
KR20210003504A (en) * 2019-07-02 2021-01-12 조규식 Outdoor Weight Training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Weight in Flush type
KR20210044299A (en) * 2018-09-11 2021-04-22 궁니어 에이에스 Weight lifting device
KR102282747B1 (en) * 2021-01-04 2021-07-30 (주)그린나래 Weight health equipment
WO2024087103A1 (en) * 2022-10-27 2024-05-02 毅安有限公司 Dumbbell having quick releas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76Y1 (en) * 2022-06-07 2022-12-16 장찬우 Functional dumbbel for easy assemble and replac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093B2 (en) * 2001-05-31 2003-12-02 Paul Chen Adjustable dumbbell having easily adjusting structure
US20090305852A1 (en) * 2006-04-26 2009-12-10 Tomas Svenberg Dumbbell
KR101626945B1 (en) * 2015-07-28 2016-06-0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Complex weight training apparat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66U (en) 2018-04-25 2018-05-16 최원진 Weight adjustable dumbbell
CN108721832A (en) * 2018-08-21 2018-11-02 东莞市史雷帝三维数控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umbbell that can quickly adjust own wt
CN108721832B (en) * 2018-08-21 2021-01-29 南通新天锐运动用品有限公司 Dumbbell capable of quickly adjusting self weight
KR20210044299A (en) * 2018-09-11 2021-04-22 궁니어 에이에스 Weight lifting device
CN111330230A (en) * 2018-10-27 2020-06-26 崔保山 Small muscle group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method for children in growth acceleration period
KR20210003504A (en) * 2019-07-02 2021-01-12 조규식 Outdoor Weight Training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Weight in Flush type
KR102282747B1 (en) * 2021-01-04 2021-07-30 (주)그린나래 Weight health equipment
WO2024087103A1 (en) * 2022-10-27 2024-05-02 毅安有限公司 Dumbbell having quick releas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958B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958B1 (en) Weight adjustable dumbbell
US9226556B1 (en) Foot base for assistive device
US10022583B2 (en) Base support for dumbbell assembly
US20070054791A1 (en) Adaptable body conditioning apparatus
US9032580B2 (en) Counterweight devices and systems for paintbrushes and other hand tools
US10220237B2 (en) Exercise training device
US9713734B1 (en) Elastic exercise device
US20170203145A1 (en)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JP3239837U (en) Sliding dumbbell device with weight adjustment key
KR101728872B1 (en) Weight adjustable dumbbell
US10960254B2 (en) Exercise device
US6151758A (en) Handle assembly for connecting resilient ropes
WO2013190605A1 (en) Exercise device
KR200451841Y1 (en) Multifunction Rope Band Fitness Equipment
JP6576732B2 (en) Walking aid
US8748721B2 (en) Pedal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KR20150108666A (en) Adjustable weight dumbbells
KR102395323B1 (en) Fixtures for yoga equipment
JP7084563B1 (en) Training equipment
US6068577A (en) Jump exerciser
JP2007014613A (en) Walking stick
JP3136795U (en)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KR20100013695A (en) Connecting tool for sporting goods and multi function sporting goods
KR100523821B1 (en) Golf driver for adjusting a length
KR200495659Y1 (en) Apparatus for training go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