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170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170A
KR20180031170A KR1020160119186A KR20160119186A KR20180031170A KR 20180031170 A KR20180031170 A KR 20180031170A KR 1020160119186 A KR1020160119186 A KR 1020160119186A KR 20160119186 A KR20160119186 A KR 20160119186A KR 20180031170 A KR20180031170 A KR 2018003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drawer
water
water supply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양훈
최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170A/en
Publication of KR2018003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having an opening portion in front thereof;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hrough the opening; an accommodation portion provided in the drawer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portion includ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a drainage portion including a drainage passage for draining water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guider portion connecting the one side of the cabinet and the side of the drawer and having the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drainage portion inside thereof. The guider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rs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 the side of the drawer a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Generall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a device for drying laundry, and a device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laundry.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a front loading type (a so-called drum washing machine) in which laundry is put in front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inlet provided for inputting laundry, which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waist of the us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bend his / her back when putting in or taking laundry ou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In order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 there has been added a pedestal under the front loading typ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inlet.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pedestal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means for increasing the input por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has a drawback in that it can not implement a clothes processing function such as washing or drying laundry.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받침대를 캐비닛으로 전용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전방으로 인출입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 내부에 의류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더 포함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es a drawer for dispensing the cradle into a cabinet, a drawer forwardly drawn into the cabinet, and an auxiliary garment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clothes or washing water in the drawer Processing apparatus.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된 외부급수원 또는 하수구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하는 급수부와 배수부를 구비하였다.The conventional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has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or a sew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water supply section and a drain section which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section.

그러나, 드로워 타입 보조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가 인출입될 때 상기 급수부나 배수부가 상기 드로워와 함께 이동하면서 파손되거나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the drawer or the drainage unit is moved together with the drawer to break or twist.

또한, 상기 급수부나 배수부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상기 드로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끼여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s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drainage unit are not fixed, the drawer is interposed between the drawer and the cabinet, and the drawer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에 드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드로워에 상기 수용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이동할때에 상기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가 안정적으로 수용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rawer in a cabinet and the drawer having the receiving section, the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ing section when the drawer mo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drainage section for discharging the laundry to the outside is stably accommodated.

본 발명은 드로워에 수용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이동할 때 마다 물과 의류가 저장되는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가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having a drawer accommodating portion, comprising: a wat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water to a storage portion in which water and clothes are stored each time the drawer mo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 drainage section from being tangled or twisted.

본 발명은 상기 급수부와 배수부를 안내하는 가이더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드로워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occupied by a guider portion for guiding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drainage unit, thereby maximizing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draw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수용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배수부, 상기 캐비닛의 일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을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가이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hrough the opening; A drainage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a drainage unit including a drainage channel for draining water in the accommodation unit, and a water supply unit connecting the one side of the cabine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Wherein the guider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r part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And a plurality of guiders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guiding operation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r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a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s when the drawers are housed in the cabine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가까운 상기 캐비닛의 측면 또는 배면 사이에 모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lurality of guiders are provided both on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on the sid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cabinet close to the one side surface when the drawer is received in the cabinet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first guid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irst guider, And a second guider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는 서로 중첩되며,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awer is housed in the cabinet,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overlap each other, and the guider section communicates with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And a communicating por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중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r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t one end thereof, and the second guider is rotatable at a lower position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drawer And the drainage section further comprises a drain valv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제1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중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lurality of guiders, one end of the first guider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the second guider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rainage unit further comprises a drain pump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더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guiders includes a first guid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a second guider whose one e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a third guid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의 상기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지지대와,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더의 상기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first support provided on one of a side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cabinet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first guid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second guid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base is provided below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first support base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provid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제2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drainage unit further comprises a drain pump for draining water in the storage unit, and the drain pump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do.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에 구비되는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2가이더에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3가이더에 구비되는 제3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에 구비되는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2가이더에 구비되는 제2배수유로와, 상기 제3가이더에 구비되는 제3배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channel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a second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and a third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in the third guide And the water drainage flow path further comprises a first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a second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and a third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third guid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1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2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3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3바디와, 상기 제3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3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급수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guider includes a first body, which is a main body, and a second body, which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first body, And a first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low path and the first drainage passage, wherein the second guider includes: a second body that forms a body; a second body tha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second water drain passage from the body, wherein the third guider comprises: a third body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third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third water drain passag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바디와, 상기 제1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1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축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rst support base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fixed to one surface of the cabinet, a first shaft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Wherein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 first fixed body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a second shaft provided on the first fixed bod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guide, Wherein the first shaft includes a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for rotatably coupling with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do.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부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1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하수구와 상기 제1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rst water supply flow passage, wherein the water discharge unit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ip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제2배수유로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drainage unit supplies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pump to the second drainage channel And a second water pipe for guiding the laundr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더의 말단과 상기 제3가이더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3가이더의 말단과 상기 제2가이더의 말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ng par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guider and one end of the third guider, and a second communicating part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third guider and the end of the second guider And a second communicating par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communicating part and the second communicating par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연통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1연통바디와, 상기 제1연통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3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급수연통유로와, 상기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배수연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통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연통바디와, 상기 제2연통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2급수연통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와 상기 제2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2배수연통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second communication body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channels, And a second drain communication path that communicates the first drainage passage and the third drainage passage, the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for communicating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flow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third water drain passage and the second drain passag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제1급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1급수홀과 제2급수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제2급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5급수홀과 제6급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5배수홀과 제6배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가이더는 상기 제3급수유로 양단에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2급수홀과 마주하는 제3급수홀과 제5급수홀과 마주하는 제4급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배수유로 양단에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2배수홀과 마주하는 제3배수홀과 제5배수홀과 마주하는 제4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first guider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hole and a second water supply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low path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guider has, at both ends of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a fifth drain hole and a sixth drain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drain passage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ody, wherein the third guider includes a water supply hole and a sixth water supply hole, And a third water hole passing through the third body at both ends of the flow path, the third water hole facing the second water hole, and the fourth water hole facing the fifth water hole, And a third drain hole and a fifth drain hole facing the second drain hole, Provides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drain hole.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에 의해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가 서로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isk that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are twisted or broken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rs even if the drawer is repeatedly pulled out or inserted from the cabin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드로워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드로워가 외부에 전부 노출될 수 있도록 인출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and ar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rawer is completely exposed from the cabinet to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be pulled out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연결부로 인해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의 배면과 캐비닛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게 하여 드로워의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are disposed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cabinet occupies the least spac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sufficiently secured.

도1,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가이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가이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가이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가이더부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가이더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었을때 가이더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 basic configuratio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Figure 6 shows a final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Fig.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r section.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guider part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from the cabine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2, and a drawer 3 that can be drawn out from the cabinet.

상기 캐비닛(2)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2)의 전방면에는 드로워(3)가 삽입되는 개방면(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cabinet 2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r may be provided simply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rawer 3.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face of the cabinet 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ace 21 into which the drawer 3 is inserted.

상기 드로워(3)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면(21)을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하는 핸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The drawer 3 includes a drawer body 31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rough the opening 21 and an upper portion 21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A drawer panel 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body 31, and a drawer cover 35 for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Since the drawer panel 33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body 31, the drawer panel 33 can also serve as a handle for drawing the drawer body 31 from the cabinet 2. The drawer panel 33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331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displaying a messag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the user.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상기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될 수 있는데, 도 1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3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drawer body 31 can be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rough the opening 21. FIG. 1 illustrates a drawer body 31 having a hexahedron shape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drawer body 31 is hollow.

한편, 상기 드로워바디(31)의 측면과 상기 캐비닛(2)의 측면에는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키기 위한 레일유닛(38)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rail unit 38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raw body 31 and a side surface of the cabinet 2 to draw the drawer.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레일유닛(38)은 상기 캐비닛(2) 측면에서 상기 드로워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된 레일(미도시)과 상기 드러워바디(31)의 측면에서 상기 레일(미도시)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rail unit 38 includes a rail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abinet 2 toward the drawer and a rail (not shown) on the side of the door body 31 (Not shown).

즉, 상기 레일유닛(38)은 상기 드로워바디(31)와 상기 캐비닛(2)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며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rail unit 38 may occupy a certain space between the drawer body 31 and the cabinet 2.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부(351)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바디(31) 내부에 후술할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관통부(3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된다.The drawer cover (35) is provided with a first penetration portion (35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drawer body (31) with the outside. A receiv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in the drawer body 31, and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351 is provided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clothes.

상기 제1관통부(351)은 상기 의류가 출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관통부(351)은 후술할 도어(45)가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배면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구비된 곡선부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1관통부(351)은 반원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반트랙(Half track)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garment enters and exits. In addition, the first through-hole 35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door 45 to be described later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irst through-hole 351 is formed with a linear portion on the back surface and a curved portion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linear portion. For example, the first through-hole 351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or a half-track shape.

상기 제1관통부(351)은 상기 도어(45)에 의해 개패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힌지(45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윈도우(455), 상기 프레임(451)을 상기 드로워커버(35) 또는 상기 드로워바디(31) 내부에 수용된 구성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 핸들(457)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hole 351 may be opened by the door 45. The door 45 includes a frame 451 rotatably coupled through a hinge 453, a window 455 provided in the frame, a frame 451 connected to the drawer cover 35 or the drawer body 451, And a door handle 457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door 31.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되며 상기 제1관통부(35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45)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로워(3) 내부에 수용된 구성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45)는 상기 드로워커버(35)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45 may be rotated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hinge 453 to open or close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351.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45 is rotated only at the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drawer cover 35.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45 and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ructure housed in the drawer 3 or the like. Therefore, the door 45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cover 35.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453)가 설치된 곳은 직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45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의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곡선의 양단이 상기 직선의 양단과 결합된다면 상기 곡선은 어떠한 곡률을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도어(45)는 상기 재1관통부(351)과 같이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트랙(track)형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hinge 453 is linearly disposed on the door 45 so that the door 45 can be easi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453. The portion of the door 45 where the hinge 453 is not provided is easily accessible As shown in FIG. That is, if both ends of the curve are combined with both ends of the straight line, the curve may have any curvature. For example, the door 45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like the first through hole 351,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half of a track shape.

이 경우, 상기 관통부(351)은 상기 도어(45)와 형상은 같되 그 배율이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들(457)은 상기 도어(45)가 균형있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457)은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 중심부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5)가 개폐될 때 상기 핸들(457)을 중심으로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45)의 자중이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netration portion 351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door 45 but has a larger magnification. At this time, the handle 457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451 so that the door 45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balanced manner. That is, the handle 457 is preferably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frame 451. So that the weight of the door 45 is prevented from being deflected in either the right or left direction about the handle 457 when the door 45 is opened or closed.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경우, 사용자가 터브 바디(4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455)는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rawer 3 is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the window 455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inside of the tub body 4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3)에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과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5)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awer 3 may be provided with receiving portions 4, 5 provided in the drawer to provide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and clothes.

상기 수용부(4,5)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4) 및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ceptacles 4 and 5 may include a tub 4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drum 5 in which the clothes are stored.

상기 터브(4)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4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4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tub 4 includes a tub body 41 located inside the draw body 31 and storing water and a tub cover 43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41. The tub body 4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upper surface. A heater 411 for heating water may be provided in the tub body 41.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431),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공급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b cover 43 may include an inlet 43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tub body 41 with the outside of the tub body and a supply port 433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tub body 41 .

상기 투입구(4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351)의 하부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공급구(433)는 후술할 제2급수관(75)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431 is provided below the first through hole 351 provided in the draw cover and the inlet 433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a second water supply pipe 7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투입구(431)는 터브 바디(4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4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투입구(431)는 상기 도어(45)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상기 도어(45)는 상기 터브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port 431 is a means for supplying clothes into the tub body 41 or for pulling clothes inside the tub body 41 to the outside of the tub body. Is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the door 4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ub cover 43.

또한, 상기 도어(45)는 상기 투입구(431)의 상부 외주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투입구(431) 상부 영역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바디(41)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세척수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the door 45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arging port 431. The door 45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inlet 431, so that the door 45 may not be in contact with clothes or washing water received in the tub body 41.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4)는 터브지지부(47)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결합하는데, 상기 터브지지부(47)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471), 터브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473),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75)로 구비될 수 있다.The tub 4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draw body 31 through the tub supporting portion 47. The tub supporting portion 47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471 provided on the draw body 31, A second support portion 473 provided on the tub body 41, and a connection portion 475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상기 연결부(475)는 제1지지부(471)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475a), 제2지지부(473)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475b),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바(bar, 475c)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475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475a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471, a second connection portion 475b that supports the second support portion 473,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475b that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bar) 475c.

상기 제1연결부(475a)는 상기 제1지지부(471) 내부에 안착하되 제1지지부(471)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475b)는 상기 제2지지부(473)를 지지하되 제2지지부(473)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75a is mounted in the first support part 471 and is movable in the first support part 47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75b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473 The second support portion 473 may have a shape capable of moving with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473.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터브지지부(47)가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475c)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바(475c)가 드로워(3)의 높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터브 커버(43)와 상기 드로워 커버(35)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ree tub supporting portions 47 are provided to engage the tub body 41 with the draw body 31 and the bar 475c is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The gap between the tub cover 43 and the drawer cover 35 can be widened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bar 475c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3. [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터브지지부(47)는 상기 터브 바디(41)가 드로워 바디(31) 내부에서 진동하더라도 상기 터브 커버(43)가 드로워 커버(35)에 충돌할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하다.The tub support portion 47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possibility that the tub cover 43 will collide with the drawer cover 35 even if the tub body 41 vibrates inside the drawer body 31 It is possible.

상기 터브(4)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5)은 상부에 개방면(53)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면(53)은 상기 투입구(4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투입구(4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개방면(53)을 통해 드럼 바디(51)로 공급될 것이다.The drum 5 provided in the tub 4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drum body 51 having an opening 53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ince the opening 53 is located below the charging port 431, the garment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port 431 will be supplied to the drum body 51 through the opening 53.

한편, 상기 드럼 바디(51)의 바닥면과 원주면에는 드럼 바디(51) 내부를 터브 바디(4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관통홀(55)이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um through holes 55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51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body 51 with the tub body 41.

상기 드럼 바디(51)는 구동부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위치하되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M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상기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57)과 로터(M2)를 연결하는 회전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M3)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body 51 rotates inside the tub body 41 by a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stator M1 positioned outside the tub body 41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A rotating shaft M3 which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41 and connects the bottom surface 57 of the drum to the rotor M2,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axis M3 may be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41.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7)를 통해 터브(4)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8)를 통해 터브(4)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upplies water to the tub 4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7 and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tub 4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through the drainage unit 8 .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부(7)와 배수부(8)가 단순히 급수원(미도시)과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호스 및 터브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호스로 구비된다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급수부나 배수부가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Meanwhil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drawer 3 can be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 Therefore, if the water supply unit 7 and the drainage unit 8 are provided with a hos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and the supply port 433 and a hose for guiding the water inside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re is a risk that the water supply unit or the drainage unit is twisted or broken when the cabinet 3 is pulled out or inserted into the cabinet 2.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부 및 배수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부(9)를 더 포함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r unit 9 provided inside the cabinet 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drainage unit.

도3은 상기 가이더부(9)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9.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급수부(7)는 상기 수용부(4,5)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부수(8)는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더부(9)는 상기 캐비닛(2)의 일면과 상기 드로워(3)의 측면을 연결하여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water supply unit 7 may include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units 4 and 5, and the water distribution unit 8 may store water in the storage units 4 and 5, And a draina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ater. At this time, the guider section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rs connecting the one side of the cabinet 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and hav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therein.

즉,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2)의 일면에서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3)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guiders are connected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one surface of the cabinet 2 to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3 Be able to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더(91)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91)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uiders includes a first guider 91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2,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guider 91, And a second guider 92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92. [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서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과 나란하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서 상기 드로워(3)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rotate i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3 on the side of the drawer 3. That is,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3 on the side of the drawer 3.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91)에 구비되는 제1급수유로(7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72)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91)에 구비되는 제1배수유로(8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되는 제2배수유로(82)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ater supply channel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91 and a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92, A first drainage passage 81 provided in the guider 91 and a second drainage passage 8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92.

또한, 상기 급수유로는 제2가이더(92)에 구비된 제2급수유로(72)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용부(4,5)로 전달하는 제2급수관(75)을 포함할 수 있다.(도2참조).The water supply channel may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pipe 75 for transfer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92 to the storage units 4 and 5. (See Fig. 2).

상기 제2급수관(75)는 상기 터브(4)의 상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water supply pipe (75)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4).

상기 제1가이더(91)는 본체를 이루는 제1바디(911)와 상기 제1바디(911)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911) 내부를 상기 제1급수유로(71)와 상기 제1배수유로(81)로 구획하는 제1격벽(9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r 91 includes a first body 911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second body 911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911 inside the first body 911, And a first partition wall 915 partitioning the water supply passage 71 and the first drainage passage 81.

상기 제2가이더(92)는 본체를 이루는 제2바디(921)와 상기 제2바디(921)의 내부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921) 내부를 상기 제2급수유로(72)와 상기 제2배수유로(82)로 구획하는 제2격벽(9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r 92 includes a second body 921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second body 921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921 inside the second body 921, And a second partition wall 925 partitioning the water supply passage 72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82.

즉,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급수유로(71,72)와 상기 배수유로(81,82)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form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and 72 and the water drain passages 81 and 82 therein.

상기 가이더부(9)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타단과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가이더(91)에 구비된 제1급수유로(71)와 제1배수유로(81)를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된 제2급수유로(72)와 제2배수우로(82)를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guider unit 9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ng unit 95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r 91 and one end of the second guider 92. The communicating part 95 rotatably connects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as well as the first guider 91 and the first water feed passage 71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91, The drainage flow path 81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ater supply flow path 72 and the second drainage right path 8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92.

도3b는 상기 연통부(95)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b를 참조하면,상기 연통부(95)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연통바디(950)와, 상기 연통바디(9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유로(71)의 말단과 상기 제2급수유로(72)를 연통하고, 상기 제1배수유로(81)의 말단과 제2배수유로(82)를 연통하는 연통유로(9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유로(960)은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고려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95. 3B, the communication portion 95 includes a communication body 950 having a lower surface opened to allow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to rotate, and the communication body 950 ) Communicating with the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2) and communicating the end of the first drainage channel (81) with the second drainage channel (82) And a flow path 960 may be provided. The communication passage 96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or shrunk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being rotatable.

한편, 상기 캐비닛(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가이더(9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대(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는 상기 제2가이더(9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대(12)가 구비될 수 있다. A first support 1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binet 2 so that the first guider 9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2. The second guider 92 may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support 12.

이때, 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수용부(4,5)에 수용된 물이 원할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제2지지대(12)와 동일한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se 1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4, 5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s 4, 5 can be smoothly drained, 4, 5). The first support 11 may b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pport 12.

이로써,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가이더(91)는 상기 제1지지대(11)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가이더(92)는 타단이 상기 제2지지대(12)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드로워(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drawer 3 starts to be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moves vertically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92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base 12, Can move upwardly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3.

이로써,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상기 드로워(3)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3)의 높이방향과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3 and are aligned with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3 .

또한,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인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가이더(91)는 상기 제1지지대(11)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가이더(92)는 타단이 상기 제2지지대(12)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드로워(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rawer 3 starts to be drawn out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moves vertically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92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base 12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95 is rotated by the drawer 3). ≪ / RTI >

이로써,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더라도 상기 가이더부(9)로 인해 상기 급수유로(71,72)와 상기 배수유로(81,82)는 서로 꼬이거나 위치의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캐비닛(2) 외부와 수용부(4,5)를 연통할 수 있다. Thus, even if the drawer 3 is pulled out or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and 72 and the drainage passages 81 and 82 are twisted or interlock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guider portion 9. [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can be stably communicated with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without releasing.

한편,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지면에 가까워지므로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4,5)에 수용된 물 중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부분 보다 높은 수위에 있는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유로(81,82)를 통해 캐비닛(2)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drawer 3 is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come close to the ground, . Therefore, the water, which is at a higher level than the portion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s (4,5) at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81, < RTI ID = 0.0 > 82, < / RTI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부(8)는 상기 배수유로(81,82)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 또는 이동을 조절하는 배수밸브(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상기 배수밸브(87)가 상기 제1지지대(11)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배수밸브(87)는 상기 배수유로(81,82)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11)와 상기 제2지지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rainage section 8 may further include a drain valve 87 for controlling the flow or moveme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s 81 and 82. 3 shows that the drain valve 87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11 but the drain valve 87 can be provided on the drainage passages 81 and 82,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base 11 and the second support base 12.

한편,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71,72)와 상기 배수유로(81,82)를 구비하므로 일정 부피를 갖게 된다.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have a predetermined volume because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and 72 and the water drain passages 81 and 82 are provided therein.

그런데 상기 레일유닛(38)이 상기 드로워(3)와 상기 캐비닛(2)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의 두께는 상기 레일유닛(38)의 폭과 같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rail unit 38 is provided between the drawer 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abinet 2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ail unit 38,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레일유닛(38)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로워(3)와 캐비닛(2)은 상기 가이더부(9)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unit 38, and in some cases, they can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unit 38. Therefore, (2) may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uider part (9).

도4은 상기 가이더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3에서 설명한 상기 가이더부(9)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9. Fig. Hereinafter,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guider section 9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the other parts omitted.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대(11)와 상기 제2지지대(12)는 수용부(4,5)의 상부면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제1지지대(11)와 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수용부(4,5)의 상부면보다 높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second support 12 may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4, 5. Strictly speaking,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second support 12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4, 5.

이로써,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가이더(91)는 상기 제1지지대(11)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 측면의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가이더(92)는 타단이 상기 제2지지대(12)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 측면의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드로워(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drawer 3 starts to be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moves vertically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92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base 12, And can move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

또한,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인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가이더(91)는 상기 제1지지대(11)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가이더(92)는 타단이 상기 제2지지대(12)를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3)의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드로워(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rawer 3 starts to be drawn out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moves vertically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92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base 12. The communication portion 95 is connected to the drawer 3). ≪ / RTI >

결과적으로, 도4의 도시한 가이더부(9)는 도3의 도시한 가이더부(9)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uider section 9 shown in Fig. 4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uider section 9 shown in Fig.

이로써,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최대한 인출되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일직선상에 구비되거나, 최대한 나란하게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 중 가장 낮은 부분이 상기 수용부(4,5)의 상부면에 최대한 근접하게 된다.This allows the drawer 3 to be pulled out of the cabinet 2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are provided on a straight line, 91 and the second guider 92 ar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 5.

따라서, 상기 수용부(4,5)에 수용된 물이 임의로 배수되지 않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수밸브(87)를 생략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s (4, 5) may not be discharged arbitrarily, and as a result, the drain valve (87) may be omitted.

다만, 상기 제2가이더(92)가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 보다 높은 곳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된 제2배수유로(82)로 배수하기 위해 배수펌프(86)가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guider 92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the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is supplied to the second guider 92, A drain pump 86 may be provided for draining to the drainage channel 82.

상기 배수펌프(86)는 상기 드로워(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86)는 드로워바디(31)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수용부(4,5)의 바닥면에 최대한 근접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보다 낮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상기 배수펌프(86)로 전부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rain pump (86) may be provided under the drawer (3). The drain pump 86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 body 31 and may be provid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This is to enable the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s (4,5) to be entirely drained by the drain pump (86).

상기 배수펌프(86)는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상기 제2가이더(92)에 전달할 수 있는 제2배수관(85)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ain pump 86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drain pipe 85 capable of transmitting the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to the second guider 92.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연통부(95)는 상부면이 개방된 연통바디(950')와 상기 연통바디(9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유로(71)의 말단과 상기 제2급수유로(72)를 연통하고, 상기 제1배수유로(81)의 말단과 제2배수유로(82)를 연통하는 연통유로(9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유로(960)은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고려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4B, the communication part 95 is provided in a communication body 950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the communication body 950, so that the ends of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nd a communication passage 960 communicating the flow path 72 and communicating the end of the first drainage flow path 81 and the second drainage flow path 82. The communication passage 96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or shrunk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being rotatable.

도5는 상기 가이더부(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3,4와 동일한 부분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9. Fig. Likewise, the same parts as those in Figs. 3 and 4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other par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더(91)의 말단과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통부(95)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말단 측면과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 측면을 연통하는 연통바디(950'')와 상기 연통바디(9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된 급수유로(71,72)와 배수유로(81,82)를 연통하는 연통유로(960)을 포함할 수 있다.5, a connecting portion 95 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guider 92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As shown in FIG. The communicating part 95 includes a communicating body 950 '' communicating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guider 91 and one end surface of the second guider 92 and a communicating body 950 ' And a communication passage 960 communicating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and 72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with the drain passages 81 and 82.

상기 연통바디(95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ody 950 ''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이로써,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의 인출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완전히 삽입되어도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 배면의 너비를 따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not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er 3. [ Therefore, even if the drawer 3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not overlap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3.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가이더부(92)는 상기 레일유닛(38)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더부(91)는 상기 드로워(3)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2)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uider unit 92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rail unit 38, and the first guider unit 91 can be provided on the drawer 3 And the cabinet 2, as shown in Fig.

도6은 상기 가이더부(9)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술한 실시예들의 상기 가이더부(9)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IG. 6 shows a final embodiment of the guider section 9. FIG. Hereinafter,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guider section 9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other par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6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부(9)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6는 상기 복수의 가이더가 총 3개로 구비되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더 4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6, the guider unit 9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rs, and the plurality of guiders may include at least three guiders. FIG. 6 shows that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guiders are provided in a total of three and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is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nly and does not exclude that four or more guiders are provided.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부(9)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가이더(91)와, 일단이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92)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91)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더(92)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이더(93)를 포함할 수 있다. 6A, the guider section 9 includes a first guider 91 whose one end rotatably engages with the cabinet 2 and a second guider 91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drawer 3 And a third guider 93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92 can do.

즉,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 사이에 제3가이더(93)가 추가로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That is, a third guider 93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상기 급수부(7)는 상기 제1가이더(91)에 구비되는 제1급수유로(7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72)와, 상기 제3가이더(93)에 구비되는 제3급수유로(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7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91, a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92, And a third water supply flow path 73 provid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93.

또한, 상기 배수부(8)는 상기 제1가이더(91)에 구비되는 제1배수유로(8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구비되는 제2배수유로(82)와, 상기 제3가이더(93)에 구비되는 제3배수유로(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section 8 includes a first drainage passage 81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91, a second drainage passage 82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92, And a third drainage passage 83 provided in the guider 93.

이로써, 상기 가이더부(9)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71,72,73)과 상기 배수유로(81,82,8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더부(9)는 상기 급수유로(71,72,73)과 상기 배수유로(81,82,83)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and the drain passages 81, 82, and 83 may be provided in the guider 9. That is, the guider section 9 may form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and the drain passages 81, 82, and 83.

상기 가이더부(9)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3), 상기 제3가이더(93)와 상기 제2가이더(92)를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r portion 9 includes a communication portion 95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guider 91 and the third guider 93, the third guider 93 and the second guider 92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기 연통부(95)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말단과 상기 제3가이더(93)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통부(95a)와, 상기 제3가이더(93)의 말단과 상기 제2가이더(91)의 말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통부(9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ng portion 95 includes a first communicating portion 95a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guider 91 and one end of the third guider 93, And a second communicating part 95b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guider 91. [

도6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91)의 상기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지지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11 provided on one of a side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cabinet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first guider 91 .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캐비닛(2)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부(9)가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구비되면 충분하고,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드로워(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면 상기 캐비닛(2)의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support 11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binet 2 and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2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sufficient that the guider part 9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and that the first support part 1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binet 2 if it can be positioned behind the drawer 3 It may be provided anywhere on the back side.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캐비닛(2)의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지지바디(111)와 상기 제1지지바디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가이더(9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91)는 일단에 상기 제1축(11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축결합부(9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결합부(912)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축(112)과 결합하는 제1관통홀(9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112)은 상기 제1관통홀(912a)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1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111 fixed to one of a side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cabinet 2 and a second support body 111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ody, And a first shaft 112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shaft 112. The first guider 9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12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112 at one end.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12 may include a plate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guider 91 and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912a that engages with the first shaft 112 . The first shaft 112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912a.

한편,도6c를 참조하면,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더(92)를 회전가능 하게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the second support 12 may rotatably support the second guider 92 on the side of the drawer 3.

도6c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더(92)의 상기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C,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upport 12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second guide 92 .

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 연장되어 구비되는 고정바디(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base 12 may include a fixed body 122 exten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상기 고정바디(122)는 상기 제2가이더(9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축(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body 122 may include a second shaft 12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guider 92.

한편,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드로워(3)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바디(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121)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 또는 배면에서 연장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121)는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86)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펌프(86)는 상기 제2지지바디(121)의 상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86)가 도시한 것과 같이 드로워(3)의 배면에 구비되면 상기 제2지지바디(121)는 드로워(3)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수펌프(86)가 도시한 바와 달리 드로워(3)의 측면에 구비되면 상기 제2지지바디(121)는 드로워(3)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bas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body 121 fixed to one surface of the drawer 3. The second support body 121 may be formed as a plate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3 or coupled thereto. The second support body 121 may be fitted with a drain pump 86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receptacles 4,5. That is, the drain pump 86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121. Therefore, when the drain pump 86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3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support body 12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3, and the drain pump 86 The second support body 121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when the drawer 3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제2축(123)은 고정바디(122)에서 상기 제2가이더(92)와 인접한 곳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shaft 123 may be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ixed body 122 toward the second guider 92.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제2축(123)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제2축결합부(9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r 92 may further include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922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123.

상기 제2축(123)과 상기 제2축결합부(922)는 상기 제1축(122)과 상기 제1축결합부(9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축결합부(922)는 상기 제2축(123)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홀(92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haft 123 and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922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aft 122 and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12. That is,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922 may include a second through hole 922a through which the second shaft 123 can be inserted.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디대(11)는 상기 캐비닛(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드로워(3)의 배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6A, the first guide bar 11 may be provided on the cabinet 2 and the second support bar 12 may b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3. [ have.

즉,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드로워(3)에 수용된 수용부(4,5)의 상부면 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대(12)는 상기 수용부(4,5)의 바닥면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대(11)는 상기 제2지지대(1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1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received in the drawer 3, 4 and 5,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1 is provid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member 12.

이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항상 제1가이더(91)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4,5)의 상부면 보다 높거나 적어도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4,5)에 수용된 물이 임의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one end of the first guider 9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11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guider 91 is alway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4,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can not be drained.

또한, 상기 배수펌프(86)가 상기 제2지지대(12)에 구비되므로 상기 수용부(4,5)의 물을 전부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pump 86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base 12,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drain the water in the accommodation units 4, 5.

이로써,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되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와 상기 제3가이더(93)는 상기 드로워(3)의 높이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와 상기 제3가이더(93)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3) 배면의 너비를 따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drawer 3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3 As shown in FIG.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positioned such that when the drawer 3 is received in the cabinet 2, 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3 As shown in FIG.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 제3가이더(93)는 상기 제1지지대(11), 상기 연통부(95), 상기 제2지지대(1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비닛(2)의 출입구(2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When the drawer 3 is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positioned on the first support 11, And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21) of the cabinet (2) by rotating about the second support base (12).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최대로 인출되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3)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일직선을 이룬다고 할지라도 상기 제1가이더(91)의 일단이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수용부(4,5)의 물이 임의로 배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수밸브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Even if the drawer 3 is drawn out to the maximum in the cabinet 2 so that the first guider 91 and the third guider 93 and the second guider 92 are in a straight line, Since the one end of the guider 91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he water in the receiving portions 4, 5 is not freely discharged.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valve can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가이더(91), 상기 제2가이더(92), 상기 제3가이더(93)가 일직선을 이룬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지지대(11)가 상기 제2지지대(12)보다 상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더(91), 상기 제2가이더(92), 상기 제3가이더(93)는 경사를 이룬다.Even though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form a straight line, the first support 11 may be provided above the second support 12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따라서,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될 때 제1가이더(91), 상기 제2가이더(92), 상기 제3가이더(93)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 또한, 제1가이더(91), 상기 제2가이더(92), 상기 제3가이더(93)가 의도한바와 달리 반대로 회전하는 가능성이 배제된다.Therefore, when the drawer 3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positioned in the cabinet 2, (2). Further,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excluded.

그러므로, 상기 연통부(95)는 제1가이더(91), 상기 제2가이더(92), 상기 제3가이더(93)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Therefore, the communicating part 95 does not need to have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from being rotated by 180 degrees or more, Simplifies the effect.

나아가,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 및 제3가이더(93)는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완전히 수용되어도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Further, the first guider 91,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drawer 3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cabinet 2.

이로써, 상기 드로워(3)의 배면 또는 측면과 상기 캐비닛(2) 사이에 상기 가이더부(9)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is minimizes the space occupied by the guider part (9) between the cabinet (2) and the rear surface or side of the drawer (3).

따라서, 상기 드로워(3)와 캐비닛(2)은 상기 가이더부(9)를 수용하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Therefore, the drawer 3 and the cabinet 2 do not need to have a separat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uider 9.

또한, 상기 드로워(3)의 높이가 상기 드로워(3)의 너비보다 더 작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이더부(9)가 3개 이상의 가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drawer 3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rawer 3, the guider section 9 includes three or more guiders so that the drawer 3 can be positioned in the cabinet 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한편, 도6은 상기 가이더부(9)의 복수의 가이더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캐비닛(2)에 상기 드로워(3)가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가이더가 상기 드로워(3)의 측면에서 중첩되어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6 shows that a plurality of guiders of the guider section 9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However, when the drawer 3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cabinet 2, 3 are not necessarily excluded.

다시말해, 상기 캐비닛(2)에 상기 드로워(3)가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가이더(91,92,93)이 모두 상기 레일유닛(38)의 상부에 중첩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rawer 3 is completely received in the cabinet 2, the plurality of guiders 91, 92, and 93 may be sup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unit 38.

한편, 상기 급수부(7)는 상기 가이더부(9)에 구비된 급수유로(71,72,73)와 외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예를들어, 하수구)에 연통할 수 있는 제1배수관(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7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ipe 74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provided in the guider unit 9 with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In addition, the drainage section 8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ain pipe 84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for example, a drai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이때, 상기 제1급수관(74)과 상기 제1배수관(84)는 상기 제1가이더(91)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급수관(74)과 상기 제1배수관(84)은 상기 제1가이더(91)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91)가 상기 제1지지대(11)에 의해 상기 캐비닛(2)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외부급수원과 하수구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first water pipe (74) and the first water pipe (8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r (91). That is, the first water pipe 74 and the first water pipe 84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guider 91. This is because the first guider 91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cabinet 2 by the first support 11 so that it is closest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sewer.

또한, 상기 급수부(7)는 상기 급수유로(71,72,73)과 상기 수용부(4,5)를 연통하는 제2급수관(7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수부(8)는 상기 배수펌프(86)와, 상기 배수펌프(86)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배수유로(81,82,83)으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7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supply pipe 75 communicating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with the storage units 4 and 5,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ump (86) and a second drain pipe (85) for guiding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pump (86) to the drain channels (81, 82, 83).

상기 제2급수관(75)과 상기 제2배수관(85)은 상기 제2가이더(92)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급수관(75)과 상기 제2배수관(85)은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더(92)가 상기 제2지지대(12)에 의해 상기 드로워(3)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수용부(4,5)에 가장 가깝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The second water pipe (75) and the second water pipe (8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r (92). That is, the second water pipe 75 and the second water pipe 85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r 92. Since the second guider 9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3 by the second support 12, the second guider 92 is closest to the receiving portions 4, 5.

상기 제2급수관(75)은 상기 드로워(3)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4,5) 중 터브(4)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도2 참조)The second water supply pipe 75 may exten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rawer 3 and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4 among the receiving portions 4 and 5. (See FIG. 2)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므로 상기 제1급수관(74), 상기 제2급수관(75), 상기 제1배수관(84), 상기 제2배수관(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신축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rotate as the drawer 3 moves, the first water pipe 74, the second water pipe 75, the first water pipe 84 ) And the second water pipe 85 may be provided as an expansion pipe.

이하에서는 도7를 참조하여, 도6에 구비된 상기 가이더부(9)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guider section 9 provided in FIG.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가이더(91)는 상기 제1가이더(91)의 본체를 이루는 제1바디(911)와, 상기 제1바디(9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9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제1격벽(9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911)는 상기 드로워(3)의 높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된 유로로서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r 91 includes a first body 911 constituting a main body of the first guider 91 and a second body 911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911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91 And includes a first partition 915 provided therein. The first body 9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the like, which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3.

그러나, 제1바디(911) 내부에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면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 다른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if the flow path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body 911, the first body 91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ny other shape.

상기 제1바디(911)는 상기 드로워(3)의 측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3)의 측면의 높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911 may have a leng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and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그러나, 상기 제1바디(911)의 길이는 최대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디(911)의 길이가 길게 구비될수록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911 is as long as possibl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911 is, the longer the drawer 3 can be extended from the cabinet 2.

상기 제1바디(911)에서 상기 제1축결합부(912)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서 상기 제1바디(9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축결합부(912)가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결합부(912)는 상기 제1바디(91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haft 912 may extend from the first body 911 and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911 from one side of the first body 911, And the engaging portion 912 may protrude therefrom.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911.

한편, 상기 제1격벽(915)은 상기 제1바디(9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911)를 제1급수유로(71)와 제1배수유로(81)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915)과 상기 제1바디(911)는 제1급수유로(71)와 제1배수유로(81)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The first partition 91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ody 91 to divide the first body 911 into a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and a first drainage passage 81. The first partition 915 and the first body 911 form a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and a first drainage passage 81.

즉, 상기 제1격벽(915)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터브(4)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유로(71)로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4)에서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유로(81)로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915 is provided with a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4 and a second side of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tub 4, And a flow path 81.

또한, 상기 제1바디(911)에는 상기 제1급수관(73)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제1급수유로(71)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91)의 일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급수홀(911a)와, 상기 제1급수유로(71)에 공급된 물을 상기 제2가이더(92)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바디(911)의 타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급수홀(911b)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911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91 through the first body 91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pipe 73 flows into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A second water supply hole 911b provided to penetrate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911 to guide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to the second guider 92,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바디(911)에는 상기 배수펌프(86)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제1배수유로(81)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91)의 타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배수홀(912b)와, 상기 제1배수유로(81)에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배수관(83)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바디(911)의 일단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배수홀(91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911 is provided with a second drain hole 86 extend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91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drain pump 86 flows into the first drain passage 81, A first drain hole 912a extending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body 911 to guide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drain passage 81 to the first drain pipe 83, .

이때, 상기 제1가이더(91)의 측면에 상기 제1지지대(11)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급수홀(911a)과 상기 제1배수홀(912a)는 상기 제1바디(911)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upport member 1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uider 91, the first water supply hole 911a and the first drainage hole 912a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911 .

또한, 상기 제1가이더(91)가 상기 제2가이더(92) 및 상기 제3가이더(93)의 측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급수홀(911b)와 상기 제2배수홀(912b)은 상기 제1바디(911)의 일면 끝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irst guider 9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guider 93, the second water supply hole 911b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hole 912b are formed 1 < / RTI > body < RTI ID = 0.0 > 911. < / RTI >

상기 제3가이더(93) 및 상기 제2가이더(92)는 제1가이더(9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guider 93 and the second guider 9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guider 91.

상기 제3가이더(93)는 본체를 이루는 제3바디(931)와, 상기 제3바디(931) 내부에서 상기 제3바디(9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3격벽(9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guider 93 includes a third body 931 constituting the main body and a third partition 935 provided in the third body 9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body 931 can do.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3가이더(93)는 상기 제3바디(931)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3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931)는 상기 제1바디(911)과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바디(911)길이보다 더 길거나 짧게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third guider 93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ver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931. The third body 931 may b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body 911 and may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first body 911.

이때, 상기 제3바디(931) 길이가 길수록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3바디(931)는 최대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the length of the third body 931 is longer, the length of the drawer 3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may increase, so that the third body 931 is preferably provided as long as possible.

따라서, 상기 제3바디(931)는 상기 드로워(3) 측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third body 93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상기 제3격벽(935)은 상기 제3바디(9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급수유로(73)와, 상기 제3배수유로(83)를 구획할 수 있다.The third partition 935 is provided in the third body 931 to divide the third water supply flow path 73 and the third water drain flow path 83.

즉, 상기 제3격벽(935)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터브(4)로 물을 공급하는 제3급수유로(73)로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4)에서 물을 배출하는 제3배수유로(83)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third partition 935 is provided as a third water supply passage 73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4,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tition 935 is connected to a third drain And a flow path 83.

이때, 상기 제3급수유로(73)는 상기 제1급수유로(71)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2가이더(92)로 물을 안내하며, 상기 제3배수유로(83)는 상기 제2가이더(92)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1배수유로(81)로 물을 전달하여 상기 터브(4)의 물을 캐비닛(2)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73 receives water from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and guides water to the second guider 92, and the third drainage channel 83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r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92 may receive water to transfer water to the first water drain passage 81 to transfer water from the tub 4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

즉, 상기 제1급수유로(71)와 상기 제3급수유로(73)는 상기 제1연통부(95a)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수유로(81)와 상기 제3배수유로(83)도 상기 제1연통부(95a)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and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7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95a, and the first drain passage 81 and the third drain passage 83 are also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95a.

상기 제3바디(93)는 일면에 상기 제1급수유로(7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3급수유로(73)로 전달하는 제3급수홀(921a)와, 상기 제3배수유로(83)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배수유로(81)로 전달하는 제3배수홀(9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body 93 includes a third water supply hole 921a for transfer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to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73 and a third water supply hole And a third drain hole 922a for transfer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drainage passage 81 to the first drainage passage 81.

또한, 상기 제3바디(92)는 타면에 상기 제2급수유로(72)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가이더(92)으로 전달하는 제4급수홀(921b)와, 상기 제2가이더(92)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제3배수유로(83)로 전달하는 제4배수홀(9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body 92 includes a fourth water supply hole 921b for transferring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to the second guide 92 on the other surface, And a fourth drain hole 922b for transferring the water drained in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to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상기 제3급수홀(921a)과 상기 제3배수홀(922a)는 상기 제3바디(93)의 일면 끝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4급수홀(921b)와 상기 제4배수홀(922b)는 상기 제3바디의 타면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water hole 921a and the third water hole 922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body 93 and the fourth water hole 921b and the fourth water hole 922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ody.

즉, 상기 제3급수홀(921a)과 상기 제3배수홀(922a)는 상기 제4급수홀(921b)와 상기 제4배수홀(922b)과 상기 제3바디(9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water supply hole 921a and the third water discharge hole 922a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ourth water supply hole 921b, the fourth water discharge hole 922b, and the third body 92 And may be provided in point symmetry.

한편, 상기 제2가이더(92)는 본체를 이루는 제2바디(921)와, 상기 제2바디(921) 내부에서 상기 제2바디(9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격벽(9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r 92 includes a second body 921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second partition 925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921 in the second body 921. [ . ≪ / RTI >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제2바디(921)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2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21)는 상기 제1바디(911)과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바디(911)길이보다 더 길거나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바디(921) 길이가 길수록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바디(921)는 최대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921)는 상기 드로워(3) 측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바디(921)는 상기 레일유닛(38)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유닛(38)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드로워(3)의 측면 높이 보다 짧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guider 9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921. The second body 921 may b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body 911 and may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first body 911.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drawer 3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may increase as the length of the second body 921 increases, so that the second body 921 may preferably be provided as long as possible . Therefore, the second body 92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3. However, since the second body 921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rail unit 38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ail unit 38,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ody 921 is shorter than the side height of the drawer 3.

상기 제2격벽(925)은 상기 제2바디(9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급수유로(72)와, 상기 제2배수유로(82)를 구획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925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body 921 to partition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assage 82.

즉, 상기 제2격벽(925)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터브(4)로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유로(72)로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4)에서 물을 배출하는 제2배수유로(82)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925 is a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2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925 is a second drain And a flow path 82.

이때, 상기 제2급수유로(72)는 상기 제1급수유로(71)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터브(4)로 물을 안내하며, 상기 제2배수유로(82)는 상기 배수펌프(86)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3배수유로(83)로 물을 전달하여 상기 터브(4)의 물을 캐비닛(2)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2 receives water from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71 and guides the water to the tub 4. The second water drain channel 82 is connected to the drain pump 86, An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to transfer the water of the tub 4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2. [

즉, 상기 제3급수유로(73)와 상기 제2급수유로(72)는 상기 제2연통부(95b)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3배수유로(83)와 상기 제2배수유로(82)도 상기 제2연통부(95b)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That is,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73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95b, and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82 are also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95b.

상기 제2바디(92)는 일면에 상기 제3급수유로(73)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급수유로(72)로 전달하는 제5급수홀(931a)와, 상기 제2배수유로(82)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3배수유로(83)로 전달하는 제5배수홀(93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92 includes a fifth water supply hole 931a for transfer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hird water supply flow path 73 to the second water supply flow path 72, And a fifth drain hole 932a for transfer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third drain passage 83 to the third drain passage 83.

또한, 상기 제2바디(92)는 타면에 상기 제2급수유로(72)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급수관(85)으로 전달하는 제6급수홀(931b)와, 상기 배수펌프(86)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제2배수유로(82)로 전달하는 제6배수홀(9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92 includes a sixth water supply hole 931b for transferring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85 on the other surface, And a sixth drain hole 932b for transferring the water drained in the second drainage passage 82 to the second drainage passage 82.

한편, 상기 제2가이더(92)는 제2바디(921)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2커버(9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바디(921)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제2커버(929)가 상기 제2바디(921)의 상부와 결합됨으로써 제2가이더(92)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r 9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929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921. That is, the second body 921 is opened at the upper part, and the second cover 929 is coupl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921 to form the second guider 92.

상기 제2커버(929)와 상기 제2바디(921)는 서로 열융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929 and the second body 921 may b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2커버(929)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바디(921)가 상부면 까지 패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ver 929 may not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second body 921 may be provided in a closed form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제5급수홀(931a)과 상기 제5배수홀(932a)은 상기 제6급수홀(931b)과 상기 제6배수홀(932b)에 상기 제2바디(9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fth water hole 931a and the fifth water hole 932a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92 in the sixth water hole 931b and the sixth water hole 932b .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2)도 상기 제2가이더(92)와 각각 제1바디(911)와 제1커버(919), 제3바디(931)과 제3커버(93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r 91 and the third guider 92 are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r 92 via the first body 911 and the first cover 919 and the third body 931, And a third cover 939.

상기 연통부(95)는 본체를 이루는 연통바디(950'')과, 상기 연결바디(95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71,72,73)와 상기 배수유로(81,82,83)를 연통하는 연결유로(9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950)는 내부에 상기 연결유로(960)가 구비되는 공간을 구비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part 95 includes a communication body 950 ''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connection part 950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body 950 to connect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and the drainage passages 81, And a connecting flow channel 960 communicating with the flow channel 960. The connection body 95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assage 960 is provided.

즉, 상기 제1연통부(95a)는 본체를 이루는 제1연통바디(951)와, 상기 제1급수유로(71)와 상기 제3급수유로(73)을 연통하는 제1급수연통유로(961a), 상기 제1배수유로(81)와 상기 제3배수유로(83)을 연통하는 제1배수연통유로(961b)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95a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body 951 constituting the main body, a first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1a for communicating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71 and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73, And a first drain communication passage 961b for communicating the first drainage passage 81 and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with each other.

상기 제1연통바디(951)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9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가이더(9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더(91)의 측면에 상기 제3가이더(93)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연통바디(951)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91)의 말단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가이더의 일단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communication body 9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r 91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guider 93. Specifically, since the third guider 93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guider 91, one end of the first communicating body 9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rst guider 91 And the other e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third guider.

상기 제1연통바디(951)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communication body 951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rotatably provided to the first guider 91 and the third guider 93.

이로써, 상기 제1연통바디(951)는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3)가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마다,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3가이더(93)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ng body 951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ing body 91 and the third guiding body 93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ng body 951 and the third guiding body 93 are positioned in the first communicating body 951 such that each time the drawer 3 is pulled out or inserted into the cabinet 2, So that the guider 91 and the third guider 93 can be rotated.

상기 제1급수연통유로(961a)와 상기 제1배수연통유로(961b)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무 등의 재질과 같이 신축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1a and the first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1b may be hoses or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as an extension pipe.

상기 제1급수연통유로(961a)의 일단은 상기 제2급수홀(911b)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급수연통유로(961a)의 말단은 상기 제3급수홀(921a)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1a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hole 911b and a distal end of the first water communication path 961a may be coupled to the third water supply hole 921a.

상기 제1배수연통유로(961b)의 일단은 상기 제2배수홀(912b)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수연통유로(961b)의 말단은 상기 제3배수홀(922a)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drain communication path 961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drain hole 912b and a distal end of the first drain communication path 961b may be coupled to the third drain hole 922a.

상기 제2연통부(95b)는 본체를 이루는 제2연통바디(952)와, 상기 제3급수유로(73)와 상기 제2급수유로(72)을 연통하는 제2급수연통유로(962a), 상기 제3배수유로(83)와 상기 제2배수유로(82)을 연통하는 제2배수연통유로(96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95b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body 952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2a communicating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73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72, And a second drain communication passage 962b for communicating the third drainage passage 83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82 with each other.

상기 제2연통바디(951)는 일단이 상기 제3가이더(9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더(9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가이더(93)의 측면에 상기 제2가이더(92)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2연통바디(952)는 일단이 상기 제3가이더(93)의 말단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9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guider 9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9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r 92. Specifically, since the second guider 92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guider 93, one end of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95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third guider 93 And the other e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r 92.

상기 제2연통바디(952)는 상기 제3가이더(93)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952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rotatably provided to the third guider 93 and the second guider 92.

이로써, 상기 제2연통바디(952)는 상기 제3가이더(92)와 상기 제2가이더(92)가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마다, 상기 제3가이더(93)와 상기 제2가이더(92)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952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time the third guider 92 and the second guider 92 draw or insert the drawer 3 from the cabinet 2, So that the guider 93 and the second guider 92 can be rotated.

상기 제2급수연통유로(962a)와 상기 제2배수연통유로(962b)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무 등의 재질과 같이 신축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2a and the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2b may be provided as a hose or an extension pipe such as rubber.

상기 제2급수연통유로(962a)의 일단은 상기 제4급수홀(921b)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급수연통유로(962a)의 말단은 상기 제5급수홀(931a)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962a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water supply hole 921b and a distal end of the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th 962a may be coupled to the fifth water supply hole 931a.

상기 제2배수연통유로(962b)의 일단은 상기 제4배수홀(922b)에 결합되고, 상기 제2배수연통유로(962b)의 말단은 상기 제5배수홀(932a)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drain communication passage 962b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drain hole 922b and a distal end of the second drain communication passage 962b may be coupled to the fifth drain hole 932a.

이로써, 상기 급수유로(71,72,73)과 상기 배수유로(81,82,83)은 상기 연통부(95)에 의해 연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더라도 외부급수원과 상기 수용부(4,5)는 상기 가이더부(9)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통되며, 하수구와 상기 수용부(4,5)는 상기 가이더부(9)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assages 71, 72, and 73 and the drain passages 81, 82, and 83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 95. That is, even if the drawer 3 is drawn out or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receiving portions 4, 5 are continuously communicated by the guider portion 9, (4, 5) can be continuously communicated by the guider section (9).

도7은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상기 가이더부(9)의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 embodiment of the guider part 9 when the drawer 3 is pulled out of the cabinet 2. As shown in Fig.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축결합부(921)가 상기 제1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가이더(91)는 제1지지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상기 캐비닛(2)에서 멀어진다.When the drawer 3 starts to be drawn out from the cabinet 2, since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11, the first guider 91 Begins to rotate about the first support base (11) and moves away from the cabinet (2).

이때, 상기 제2가이더(92)는 상기 드로워(3) 측면에 구비된 제2지지대(12)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2지지대(12)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제2가이더(92)의 일단은 상기 드로워(3)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한다.The second guider 92 rotates about the second support 1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awer 3 so that the second support 12 is pulled forward, One end of the drawer 3 rotates and move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3 moves.

이때, 상기 제3가이더(92)는 양단이 상기 제1가이더(91)와 상기 제2가이더(9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t this time, since the both ends of the third guider 92 are rotatably provided to the first guider 91 and the second guider 92, the third guider 92 rotates clockwise.

상기 드로워(3)가 상기 캐비닛(2)에 삽입되면 상기 과정이 역으로 진행된다.When the drawer 3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2, the process is reversed.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복수의 가이더를 구비한 가이더부(9)에 의해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가 서로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us, even if the drawer is repeatedly pulled out or inserted from the cabinet,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from being twisted by the guider unit 9 having the plurality of guiders ,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breakage.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가이더부(9)가 상기 드로워의 배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드로워가 외부에 전부 노출될 수 있도록 인출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r section 9 is provided in parallel to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a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rawer is entirely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abine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pulled out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가이더부(9)를 이루는 복수의 가이더가 상기 연통부로 인해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의 배면과 캐비닛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적게 차지하게 하여 드로워의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rs constituting the guider section 9 are arranged laterally by the communicating sections to occupy the spa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cabinet as much as possibl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lothe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2 캐비닛 21 개방면 3 드로워
4 터브 5 드럼
7 급수부 71제1급수유로 72제2급수유로 73제3급수유로
74 제1급수관 75 제2급수관
8 배수부 81 제1배수유로 82제2배수유로 83제3배수유로
84 제1배수관 85 제2배수관 86 배수펌프
9 가이더 91 제1가이더 911제1바디 915 제1격벽
919 제1커버
912 제1축결합부 912a 제1관통홀
92 제2가이더 921제2바디 925제2격벽
922 제2축결합부 922a 제2관통홀
93 제3가이더 931제3바디 935제3격벽
911a 제1급수홀 911b 제2급수홀 912a 제1배수홀
912b 제2배수홀 921a 제3급수홀 921b 제4급수홀
922a 제3배수홀 922b 제4배수홀 931a 제5급수홀
931b 제6급수홀 932a 제5배수홀 932b 제6배수홀
95연통부 95a 제1연통부 95b 제2연통부
95c 제3연통부 950 연통바디 951 제1연통바디
952 제2연통바디 960 연통유로 961a 제1급수연통유로
961b 제1배수연통유로 962a 제2급수연통유로
962b 제2배수연통유로
11 제1지지대(캐비닛 측면 구비가능) 111 제1지지바디
111a 제1안내관 111b 제2안내관 112 제1축
12 제2지지대(캐비닛 측면 구비가능) 121 제2지지바디
122 고정바디 123 제2축
2 cabinets 21 side 3 drawers
4 tubs 5 drums
7 water supply unit 71 first water supply channel 72 second water supply channel 73 third water supply channel
74 first water pipe 75 second water pipe
8 Drain part 81 First drainage passage 82 Second drainage passage 83 Third drainage passage
84 first drain pipe 85 second drain pipe 86 drain pump
9 guider 91 first guider 911 first body 915 first partition
919 first cover
912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912a First through hole
92 second guider 921 second body 925 second partition
922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922a second through hole
93 third guider 931 third body 935 third partition
911a First water supply hole 911b Second water supply hole 912a First drainage hole
912b Second drain hole 921a Third water hole 921b Fourth water hole
922a third drain hole 922b fourth drain hole 931a fifth water hole
931b sixth water hole 932a fifth drain hole 932b sixth drain hole
95 communicating portion 95a first communicating portion 95b second communicating portion
95c Third communicating portion 950 Communicating body 951 First communicating body
952 Second communication body 960 Communication channel 961a First communication channel
961b first drain communication channel 962a second water communication channel
962b Second drain communication channel
11 First support (cabinet side support possible) 111 1st support body
111a first guide tube 111b second guide tube 112 first shaft
12 2nd support stand (cabinet side support possible) 121 2nd support stand
122 Fixed body 123 2nd axis

Claims (19)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수용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하는 배수부;
상기 캐비닛의 일면과 상기 드로워의 측면을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가이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front opening;
A drawer mov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hrough the opening;
A receiving part provided in the drawer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ter to the accommodation unit;
A drainage portion including a drainage passage for draining water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guider unit connecting the one side of the cabinet and the side of the drawer and having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inside,
The guider section
Wherein the guider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r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r from one side of the cabinet to a side of the drawer and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guiders
And wherein when the drawer is received in the cabinet, the drawe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 height direction of the dra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드로워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가까운 상기 캐비닛의 측면 또는 배면 사이에 모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guiders
Wherein the draw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housed in the cabinet, and between a side surface or a back surface of the cabinet close to the one side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guiders
And a second guid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guid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the first guid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면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는 서로 중첩되며,
상기 가이더부는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를 서로 연통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drawer is received in the cabinet,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overlap each other,
Wherein the guider section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ng section that communicates the first guider and the second gui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중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guider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t one end thereof and the second guider is rotatably coupled at a lower position tha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mong side surfaces of the drawer,
Wherein the drainage section further comprises a drain valv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상기 제1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중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guiders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guider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the second guider is rotatably coupled to a position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drawer,
Wherein the drainage section further comprises a drain pump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receiving s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더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더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더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더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guiders
A first guid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a second guid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rawer,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r, And a third guid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의 상기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지지대와,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더의 상기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support provided on one of a side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the cabinet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first guid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one end of the second gui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upport base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drawer,
Wherein the first support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제2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ainage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drain pump for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drain pump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에 구비되는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2가이더에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3가이더에 구비되는 제3급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제1가이더에 구비되는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2가이더에 구비되는 제2배수유로와, 상기 제3가이더에 구비되는 제3배수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t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water feed channel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a second water feed channel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and a third water feed channel provided in the third guider,
The drainage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first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first guider; a second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second guider; and a third drainage flow path provided in the third gui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1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에서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제2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3가이더는
본체를 이루는 제3바디와, 상기 제3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제3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급수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를 구획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guider
And a first parti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in the first body and which divides the first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first drainage passage in the first body, ,
The second guider
And a second parti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in the second body and which separates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from the second body, ,
The third guider
And a third parti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body in the third body and which divides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third drainage channel. Process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바디와, 상기 제1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디와,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가이더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1축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축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support
A first support body fixed to one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first shaft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body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The second support
A first fixed body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drawer, and a second shaft provided on the first fixed body and rotatably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r,
Wherein the first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for rotatably coupling with the first shaft,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1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하수구와 상기 제1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t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water supply pipe communicating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The drainage section
And a first drain pipe communicating the sewer and the first drain pip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2급수유로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제2배수유로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ater-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second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drainage section
And a second drain pipe for guiding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pump to the second drainage chann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의 말단과 상기 제3가이더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3가이더의 말단과 상기 제2가이더의 말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irst communicating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an end of the first guider and one end of the third guid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a distal end of the third guider and a distal end of the second guid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1연통바디와,
상기 제1연통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3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급수연통유로와, 상기 제1배수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1배수연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통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제2연통바디와,
상기 제2연통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급수유로와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통하는 제2급수연통유로와, 상기 제3배수유로와 상기 제2배수유로를 연통하는 제2배수연통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 first communicatio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irst water communication channel provi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body and communicating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and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channel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ter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third water 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A second communicatio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passage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ng body for communicating the third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a second water communication flow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third water drain passage and the second drain passage, And wherei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제1급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1급수홀과 제2급수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제2급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5급수홀과 제6급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유로의 양단에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제5배수홀과 제6배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가이더는
상기 제3급수유로 양단에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2급수홀과 마주하는 제3급수홀과 제5급수홀과 마주하는 제4급수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배수유로 양단에 상기 제3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2배수홀과 마주하는 제3배수홀과
제5배수홀과 마주하는 제4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guider
And a first water supply hole and a second water supply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And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rain passag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The second guider
And a fifth water hole and a sixth water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water supply passage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ody,
And a fifth drain hole and a sixth drain hol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drain passage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body,
The third guider
And a third water supply hole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third water supply channel and facing the second water supply hole and a fourth water supply hole facing the fifth water supply hole,
A third drain hole passing through the third body at both ends of the third drainage line and facing the second drainage hole;
And a fourth drain hole facing the fifth drain hole.
KR1020160119186A 2016-09-19 2016-09-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311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86A KR20180031170A (en) 2016-09-19 2016-09-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86A KR20180031170A (en) 2016-09-19 2016-09-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70A true KR20180031170A (en) 2018-03-28

Family

ID=6190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86A KR20180031170A (en) 2016-09-19 2016-09-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1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6849A (en) * 2018-08-20 2020-02-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Pull type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6849A (en) * 2018-08-20 2020-02-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Pull type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7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2508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4933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6657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532528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KR10216391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13765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056599B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U201920461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287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3116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60014973A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17000288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0667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35973B2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comprising an improved drawer
KR2018003117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3396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0288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3116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8679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1608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948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660092B (en) Washing machine
KR20150053066A (en) Washing machine having the detergent feed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