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794A -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 Google Patents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794A
KR20180030794A KR1020180018277A KR20180018277A KR20180030794A KR 20180030794 A KR20180030794 A KR 20180030794A KR 1020180018277 A KR1020180018277 A KR 1020180018277A KR 20180018277 A KR20180018277 A KR 20180018277A KR 20180030794 A KR20180030794 A KR 20180030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ignal
module
connection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꿈
Priority to KR102018001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0794A/ko
Publication of KR2018003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운영 체제를 가지는 두 개의 결제 모듈을 연결시키면서 하나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작동이 되도록 하는 독립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13); 입력 수단(13)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경로로 전송하는 선택 모듈(12);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1 신호를 처리하는 가상 연결 모듈(11);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2 신호를 처리하는 결제 연결기기(15); 및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 상태의 확인을 위한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개시 유닛(14)을 포함하고, 상기 2 신호는 상기 개시 신호 발생에 의하여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되고, 상기 개시 신호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Description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An Apparatus of Payment Capable of Connecting Independent Different Operating Systems}
본 발명은 독립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운영 체제를 가지는 두 개의 결제 모듈을 연결시키면서 하나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작동이 되도록 하는 독립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결제 시스템, 결제 관련 기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신용 응용 단말기(CAT), 포스 단말 장치 또는 무인 정보 단말기(KIOSK)와 같은 장치가 신용 조회, 판매 정보 전송 또는 생활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신용 응용 단말기(CAT)로 전달되고, 이후 신용 응용 단말기는 부가 가치 통신망(VAN)을 통하여 메인 컴퓨터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결제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신용 응용 단말기는 보안 통신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공인 기관에 의하여 인증되어야만 사용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된 신용 응용 단말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신용 응용 단말기와 운영 체제가 다른 기기를 통하여 부가 가치 통신망(VAN)으로 접속되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또한 부가 가치 통신망에 접속되는 모든 신용 응용 단말기에 대하여 공인 인증을 받아야 하고, 신용 응용 단말기가 변경되면 새로운 인증이 획득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장치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또한 결제 기능을 가진 결제 장치의 판매 또는 설치에 인증이 요구되고, 인증기관의 보안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환경에서만 인증이 되는 경우 운영 체제가 다른 경우 인증 자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인증에서 요구되는 작동 체제로 결제 장치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에서 제한된 운영 체제를 가지는 결제 단말기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4725호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품을 제공하는 공급사 측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포탈 서버; 상기 포탈 서버로부터 공급자 측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별,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카드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사 측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공급자 측 단말기와 함께 상품을 거래하는 카드 단말기로 이루어진 거래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39400호는 밴사 서버와 키 교환을 이용한 스마트 폰 카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난수 발생기를 통해 생성한 제1 비밀 키를 밴사 서버에 의하여 발급된 인증서에 포함된 RSA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하고, 암호화가 된 제1 비밀 키를 통해 카드 정보를 암호화를 하는 카드 리더기; 및 제2 비밀 키를 생성하여 RSA 공개 키를 통해 제2 비밀 키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제1 비밀 키를 암호화된 카드 정보와 암호화된 제2 비밀 키로 암호화된 결제 전문 정보를 밴사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밴사 서버와의 키교환을 이용한 스마트폰 카드결제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08000호는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전자지갑을 선택하고, 결제 전용 코드를 출력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요청한 결제와 관련된 해당 거래 자료에 대하여 거래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금용 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 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전송하는 밴더 서버;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 또는 홀의 테이블에 부착된 결제 전용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거래 자료를 상기 밴더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확인한 후 상기 밴더 서버에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결제 시스템은 결제 과정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서로 다른 단말 또는 결제 모듈 사이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다양한 작동 환경으로 단말기가 제조될 수 있고, 결제 기기는 이러한 다양한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4725호(김상희, 2008년01월10일 공개) 카드 단말기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39400호(주식회사 유아이디에스, 2014년04월02일 공개) 밴사 서버와의 키 교환을 이용한 스마트폰 카드 결제 시스템 선행기술 3: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08000호(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2013년01월21일 공개) 결제전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운영 체제에서 작동되는 결제 모듈에서 가상 결제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입력 수단에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정해진 운영 체제와 서로 다른 운영 체제에서 작동되는 결제를 위한 기기에 의하여 결제, 메뉴 선택, 발권, 영업 관리, 재고 관리 또는 고객 관리와 같은 결제 또는 정보 조회를 위한 연결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 입력 수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경로로 전송하는 선택 모듈; 선택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1 신호를 처리하는 가상 연결 모듈; 선택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2 신호를 처리하는 결제 연결기기; 및 가상 연결 모듈의 작동 상태의 확인을 위한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개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2 신호는 상기 개시 신호 발생에 의하여 결제 연결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개시 신호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과 결제 연결기기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상 연결 모듈과 선택 모듈 사이의 연결 상태는 백 그라운드로 실행되고, 결제 연결기기와 가상 연결 모듈은 보안 연결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윈도우 환경과 안드로이드 환경과 같이 서로 다른 작동 환경을 가진 두 개의 결제 관련 기기가 하나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 프로그램이 변경되어도 이미 인증된 기기와 가상 모듈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개의 연결기기에 대한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작동 환경에 제한되지 않고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기기는 주변 기기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 프로그램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에 의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결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장치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13); 입력 수단(13)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경로로 전송하는 선택 모듈(12);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1 신호를 처리하는 가상 연결 모듈(11);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2 신호를 처리하는 결제 연결기기(15); 및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 상태의 확인을 위한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개시 유닛(14)을 포함하고, 상기 2 신호는 상기 개시 신호 발생에 의하여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되고, 상기 개시 신호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결제를 위한 신용 조회, 발권 조회, 교통 정보 조회, 영업 관리, 판매 관리, 고객 관리 또는 재고 관리와 같은 정보의 조회 또는 결제 처리를 위하여 예를 들어 부가 가치 통신망(VAN)에 접속하는 임의의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결제 장치는 결제, 판매 또는 제품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부가 가치 통신망 또는 이와 유사한 통신망에 접속하여 보안 연결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M)에 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 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 수단(13)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수단(13)은 키보드, 마우스, 가상 키보드 또는 입력 버튼과 같은 다양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 수단(13)은 선택 모듈(12)을 통하여 입력 신호를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 모듈(12)은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 사이에 선택적으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선택 모듈(12)은 물리적으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또는 USB 포트와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져 입력 수단(13)에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선택 모듈(12)은 스위칭 기능 또는 전환 기능을 가지면서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 사이에 신호가 선택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선택 모듈(12)은 입력 신호의 분기 통로 기능을 하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운영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를 하나의 입력 수단(13) 및 디스플레이(M)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상 연결 모듈(11) 또는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되는 신호는 선택 모듈(12)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M)에 표시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Virtual CAT)(11)은 예를 들어 신용 응용 단말기(CAT), 포스 단말 장치 또는 무인 정보 단말기(KIOSK)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M) 또는 입력 수단(13)과 연결되어 하나의 독립된 결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11)은 예를 들어 공인 기관으로부터 결제 수단으로 인증된 인증 결제 수단이 될 수 있고, 부가 가치 통신 망(VAN)과 연결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11)은 데몬(deamon) 구조를 가지면서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선택 모듈(12)과 연결되거나 결제 연결기기(15)와 연결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11)은 예를 들어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결제 연결기기(15)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운영체제에서 작동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결제 연결기기(15)는 선택 모듈(12)에 형성된 USB 연결 단자, HDMI 연결 단자 또는 다른 연결 단자를 통하여 입력 수단(13) 및 디스플레이(M)에 연결될 수 있다. 결제 연결기기(15)는 가상 연결 모듈(11)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가 될 수 있고, 스캐너 또는 프린터와 같은 주변 기기(161, 162)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유닛(17)이 결제 연결기기(15)에 연결될 수 있다. 결제 연결기기(15)는 가상 연결 모듈(11)과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가상 연결 모듈(11)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결제 연결기기(15)와 가상 연결 모듈(11)은 보안 연결이 될 수 있고, 인증된 방식에 따라 가상 연결 모듈(11)은 부가 가치 통신망(VAN)에 연결될 수 있다.
결제 또는 신용 조회를 위하여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 모듈(12)을 경유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고,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이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다소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후 작동 준비가 완료되면 신호 개시 유닛(14)에 의하여 개시 신호가 발생되어 선택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선택 모듈(12)은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입력 신호는 결제 연결기기(15)를 통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되고, 부가 가치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결제 연결기기(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M)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1 신호가 입력 수단(13)으로부터 선택 모듈(12)을 통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11)은 1 신호가 수신되면 정보 처리 상태로 활성화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연결 모듈(11)은 결제 연결기기(15)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연결 모듈(11)이 입력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신호 개시 유닛(14)에 의하여 개시 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선택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선택 모듈(12)은 개시 신호의 수신에 의하여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연결기기(15)는 입력 수단(13)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입력된 입력 신호의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부가 가치 통신망(VAN)을 통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된 데이터는 결제 연결기기(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M)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연결 모듈(11)과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결제 연결기기(15)를 입력 수단(13)으로 입력되는 보안 처리가 요구되는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운영 체제에 의한 압력 정보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가상 연결 모듈(11)과 선택 모듈(12) 사이의 연결이 백 그라운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 수단(13)으로 입력되는 정보가 신속하게 처리되면서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 사이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보안 통신과 같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 처리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연결 모듈(11)은 선택 모듈(12)로부터 신호의 전송 여부를 탐지하는 연결 탐지 유닛(211); 신호 개시 유닛(14)에서 발생된 개시 신호를 선택 모듈(12)을 통하여 수신하여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유닛(212); 및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처리 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탐지 유닛(211)에 의하여 입력 신호의 연결이 탐지되면 처리 유닛(213)이 활성화가 되면서 결제 연결기기(15)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설정 유닛(212)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11)과 출력 제어 유닛(22) 사이의 연결은 백 그라운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출력 제어 유닛(22)은 입력 수단 및 모니터와 선택 모듈(12) 사이에 신호의 종류에 따라 입력 또는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개시 신호가 생성되면 모드 설정 유닛(212)은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부가 가치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차단하거나 백 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수신 포트(24)로 전송되어 결제 연결기기(15)에서 처리되도록 한다. 또는 입력 신호의 형태에 따라 연결 설정 기기(25)에서 처리되도록 한다. 연결 설정 기기(25)는 주변기기(171) 또는 통신 유닛의 연결을 설정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 신호가 결제 관련 신호가 되는 경우 결제 연결기기(15)에서 처리될 수 있고, 결제 연결기기(15)는 보안 연결 유닛(23)을 통하여 입력 신호를 처리 유닛(213)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가치 통신망(VAN)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는 결제 연결기기(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 사이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안 연결을 위하여 다양한 암호화 방식이 데이터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결제 또는 주변기기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에 의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결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연결 모듈에 의한 결제 방법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처리되어야 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P31); 상기 입력 신호가 가상 연결 모듈에 의하여 탐지되어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활성화가 되는 단계(P32); 상기 가상 연결 모듈에서 개시 신호가 발생되어 연결을 위한 선택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P33); 상기 개시 신호의 수신에 의하여 선택 모듈에서 상기 가상 연결 모듈에 연결된 결제 기기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P34); 상기 입력 수단 및 디스플레이와 가상 연결 모듈 사이의 연결이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지 확인되는 단계(P35); 상기 가상 연결 모듈과 상기 결제 기기 사이에 보안 연결이 설정되는 단계(P36); 및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처리되는 단계(37)를 포함한다.
가상 연결 모듈은 입력 수단 또는 모니터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윈도우와 같은 운영 체제에 의하여 작동되는 보안 인증 기기가 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된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P31).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가상 연결 모듈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P32), 가상 연결 모듈이 활성화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활성화가 완료되면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신호 개시 유닛에 의하여 개시 신호가 생성되어(P33) 연결 선택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선택 유닛은 가상 연결 모듈과 입력 수단 사이의 연결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거나 백 그라운드 상태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P34). 이후 연결 선택 유닛의 연결 상태로 입력 수단과 결제 기기 사이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P35). 만약 가상 연결 모듈과 입력 수단 사이의 연결이 잠금 상태가 아니라면(NO), 다시 개시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P33). 이와 달리 입력 신호가 결제 기기로 전달되도록 설정되었다면(YES), 가상 연결 모듈과 결제 기기 사이에 보안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P36). 그리고 입력 신호가 결제 기기를 통하여 가상 연결 모듈로 전달되어 처리될 수 있다(P37).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에 의하여 결제 또는 정보 조회를 위한 입력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윈도우 환경과 안드로이드 환경과 같이 서로 다른 작동 환경을 가진 두 개의 결제 관련 기기가 하나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 프로그램이 변경되어도 이미 인증된 기기와 가상 모듈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개의 연결기기에 대한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장치는 작동 환경에 제한되지 않고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기기는 주변 기기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 프로그램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가상 연결 모듈 12: 선택 모듈
13: 입력 수단 14: 신호 개시 유닛
15: 결제 연결기기 17: 통신 유닛
22: 출력 제어 유닛 23: 보안 연결 유닛
24: 수신 포트 25: 연결 설정 기기
161, 162: 주변 기기 171: 주변기기
211: 연결 탐지 유닛 212: 모드 설정 유닛
213: 처리 유닛 M: 디스플레이

Claims (1)

  1.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13);
    입력 수단(13)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정해진 경로로 전송하는 선택 모듈(12);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1 신호를 처리하도록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작동되며 공인 기관으로부터 결제 수단으로 인증된 인증 결제 수단인 가상 연결 모듈(11);
    선택 모듈(12)로부터 전송되는 2 신호를 처리하도록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서 작동되는 결제 연결기기(15); 및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 상태의 확인을 위한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개시 유닛(14)을 포함하고,
    2 신호는 개시 신호 발생에 의하여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되고, 개시 신호에 의하여 가상 연결 모듈(11)과 결제 연결기기(15)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1 신호는 가상 연결 모듈(11)의 작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입력 수단(13)으로부터 선택 모듈(12)을 통하여 가상 연결 모듈(11)로 전송되고, 2 신호는 입력 수단(13)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로 선택 모듈(12)을 통하여 결제 연결기기(15)로 전송되며,
    가상 연결 모듈(11)과 선택 모듈(12) 사이의 연결 상태는 백 그라운드로 실행되고, 결제 연결기기(15)와 가상 연결 모듈(11)은 보안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KR1020180018277A 2018-02-14 2018-02-14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KR20180030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77A KR20180030794A (ko) 2018-02-14 2018-02-14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77A KR20180030794A (ko) 2018-02-14 2018-02-14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899A Division KR20170116326A (ko) 2016-04-11 2016-04-11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794A true KR20180030794A (ko) 2018-03-26

Family

ID=6191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277A KR20180030794A (ko) 2018-02-14 2018-02-14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0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6500A (zh) * 2018-09-10 2019-01-04 深圳市宇墨科技有限公司 无人超市支付方法及相关装置
KR20190041977A (ko) 2019-03-06 2019-04-23 최완석 건축물용 태양 광 발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6500A (zh) * 2018-09-10 2019-01-04 深圳市宇墨科技有限公司 无人超市支付方法及相关装置
KR20190041977A (ko) 2019-03-06 2019-04-23 최완석 건축물용 태양 광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9963B (zh) 用来连接设备至用户账户的系统和方法
KR101957840B1 (ko) 신뢰된 실행 환경을 갖춘 이동 결제 단말 및 방법
EP3466032B1 (en) Multi-level communication encryption
US11657392B2 (en) On-boarding server for remotely authorizing use of a terminal
US20150199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password entry
KR20150026233A (ko) 디지털 카드 기반의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7256484B (zh) 移动支付转授权方法、及利用该方法实现的支付系统
EP2987123B1 (en) Facilitat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a contactless interface
KR20190091081A (ko) 전자 지갑 결제시 보안이 강화된 방법으로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103174A (zh) 用于交易的系统、方法和装置
US20190347661A1 (en) Coordinator managed payments
CN112889046A (zh) 用于非接触卡的密码认证的系统和方法
CN107924516B (zh) 一种移动终端的支付认证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80030794A (ko)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CN107169751B (zh) 一种基于物联网的付费使用设备的自助支付系统及方法
CN106920348B (zh) Pos机、控制方法及控制装置、结账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407737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금융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62276A2 (en) Secure token implementation
EP3095081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695097B1 (ko) 오티피카드를 이용한 계좌이체 기반 간편결제 방법
CA3043405A1 (en)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data, corresponding communications terminal, card reader and program
CN112348508B (zh) 卡数据处理方法及终端
US11928672B2 (en) Personal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financial IC card having dynamic verification code
KR20170116326A (ko) 독립된 서로 다른 운영 체제의 연결이 가능한 결제 장치
KR20160137082A (ko) 암호키 배포 방법, 그를 이용한 카드리더 모듈 및 암호키 배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