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634A -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634A
KR20180029634A KR1020160117963A KR20160117963A KR20180029634A KR 20180029634 A KR20180029634 A KR 20180029634A KR 1020160117963 A KR1020160117963 A KR 1020160117963A KR 20160117963 A KR20160117963 A KR 20160117963A KR 20180029634 A KR20180029634 A KR 2018002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ct sensor
energized
pump system
boos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to KR102016011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634A/ko
Publication of KR2018002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which is flowing continuously
    • G01N27/10Investigation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operations or for signa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용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펌프의 누수 혹은 침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누수와 침수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에서 고가의 센서 장비 없이도 저렴한 접점센서만을 사용하여 특정 펌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하며, 펌프별 누수가 아닌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사용하는 베드와 각 펌프 사이에 쟁반 형태의 고임판을 각각 삽입하고, 고임판의 일측면에 접점센서를 장착하여 고임판에 유체가 모여서 접점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해당 펌프의 누수로 판정한다. 또한, 펌프별로 삽입된 고임판에 장착된 접점센서가 모두 접점신호를 감지하면, 누수가 아닌 침수로 판정한다. 본 발명을 통해, 고가의 센서 없이도 저렴한 접점센서를 이용하여 펌프의 누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한 펌프를 특정지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Water leak and flooding detect method in booster pump system}
본 발명은 급수용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펌프의 누수 혹은 침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누수와 침수를 구분하여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펌프의 메커니컬실 누수 발생시 발생하는 유체가 펌프의 축 부분에서 누수 되어 펌프의 몸체를 타고 흐르는 것을 특정한 부위에 모이게 하여, 모인 유체에 의해서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해당 펌프의 누수로 판단하고, 다른 펌프에서도 동일한 접속신호가 발생하면 특정 펌프의 누수가 아닌 침수로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누수와 침수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각 상황에 맞게 조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부스터펌프 시스템이나 개별적인 펌프에서, 펌프의 누수 혹은 침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펌프의 각 부위별로 센서를 장착하여 누수를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펌프의 각 부위별로 센서를 장착하는 것은 펌프의 구조상 어려움이 따르며, 이러한 센서의 경우 대부분 고가이다. 또한, 센서를 장착하는 부위가 많아질수록 비용은 더욱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부스터펌프 시스템에는 누수와 침수의 확인은 관리자의 육안 확인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일반적인 부스터펌프 시스템에는 누수와 침수보다는 펌프 배관 내부의 물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센서가 아닌 접점 방식을 사용하였다. 배관 내부의 갈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물이 있으면 접점 사이에 전기적 신호가 통하는 것을 이용하였으며, 이 신호를 바탕으로 물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펌프의 구동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갈수 감지 방식에 착안하여 펌프의 누수와 침수시 누유액 혹은 침수액이 모이는 부분을 제공하고 이 부위에 접점센서를 설치하여 접점 신호에 의해서 특정 펌프의 누수를 판단하고, 접점 신호가 모든 펌프에서 감지될 때에는 누수가 아닌 침수로 파악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에서 고가의 센서 장비 없이도 저렴한 접점센서만을 사용하여 특정 펌프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펌프별 누수가 아닌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사용하는 베드와 각 펌프 사이에 쟁반 형태의 고임판을 각각 삽입하고, 고임판의 일측면에 접점센서를 장착하여 고임판에 유체가 모여서 접점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해당 펌프의 누수로 판정한다. 또한, 펌프별로 삽입된 고임판에 장착된 접점센서가 모두 접점신호를 감지하면, 누수가 아닌 침수로 판정한다.
본 발명을 통해, 고가의 센서 없이도 저렴한 접점센서를 이용하여 펌프의 누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한 펌프를 특정지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요인에 의한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정면도.
도 2.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측면도.
도 3.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평면도.
도 4. 본 발명의 순서도.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측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에서 부스터펌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펌프(31, 32, 33)를 세 개만 표현하였는데, 부스터펌프 시스템은 사용 유량의 최대량에 따라 펌프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가 두 개 이상의 펌프로 부스터펌프 시스템이 구성된 경우에, 펌프의 수에는 무관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펌프 3개로 구성된 부스터펌프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펌프(31, 32, 33)의 하단부에 각각 고임판(11, 12, 13)을 삽입한다. 즉, 베드(10)의 상면에 고임판(11, 12, 13)을 장착하고, 그 위에 펌프(31, 32, 33)를 장착한다. 상기 고임판(11, 12, 13)은 도시한 바에서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으로 표시하였으나, 원형이나 타원형도 무방하다. 상기 고임판(11, 12, 13)의 상부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며, 그 홈의 내부에는 각기 접점센서(21, 22, 23)가 장착된다. 각 접점센서(21, 22, 23)는 제어부가 수용된 컨트롤 판넬에 연결된다.
펌프(31, 32, 33)의 누수는 여러 군데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주로 메커니컬실에서 발생한다. 특정 펌프(31, 32, 33)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통상 누유액은 펌프(31, 32, 33)의 몸체 외벽을 타고 흐른다. 따라서, 펌프(31, 32, 33)의 몸체 외벽을 타고 흐른 누유액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펌프(31, 32, 33)의 하단부에 고임판(11, 12, 13)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고임판(11, 12, 13)은 누유액이 모일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홈을 형성한다.
상기 고임판(11, 12, 13)의 일측면에는 접점센서(21, 22, 23)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접점센서(21, 22, 23)의 접점단자가 홈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고임판(11, 12, 13)에 누유액이 모이면 접점센서(21, 22, 23)의 접점단자 사이에 전기가 통하고, 이를 누수 신호로 판정하는 것이다. 접점센서(21, 22, 23) 및 접점센서(21, 22, 23)에 포함된 접점단자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바의 해더(40)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필수적인 배관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도 4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와 침수를 구분하는 것과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누수 펌프를 특정하는 것이다. 부스터펌프 시스템이 구동될 때에는, 펌프 전체가 구동될 수도 있고, 일부 펌프가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펌프의 구동이 모두 멈추어 있을 경우도 발생한다.
먼저, 펌프1(31)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고임판1(11)의 접점센서1(21)의 접점단자의 통전 유무를 판단한다(50). 그런 다음, 펌프2(32)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고임판2(12)의 접점센서2(22)의 접점단자의 통전 유무를 판단한다(60). 그 이후에 펌프3(33)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고임판3(13)의 접점센서3(23)의 접점단자의 통전 유무를 판단한다(70). 상기의 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인지 혹은 펌프 개별적인 누수인지를 판단한다(80).
접점센서1(21)이 통전되면, 접점센서2(22)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며, 접점센서2(22)가 통전되면 접점센서3(23)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여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인지 아니면 펌프1(31)과 펌프2(32)만의 누수인지를 판정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1(31)과 펌프2(32)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1(31)과 펌프3(33)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1(31)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2(32)와 펌프3(33)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2(32)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3(33)만의 누수로 판정한다.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모든 펌프(31, 32, 33)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며 또한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도 발생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펌프1(31)의 접점센서1(21)의 접점을 판단하는 단계(50)로 돌아간다. 상기의 설명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접점센서1 접점센서2 접점센서3 판정
펌프1 펌프2 펌프3
통전 통전 통전 부스터펌프 시스템 침수
비통전 누수 누수 정상
비통전
통전 누수 정상 누수
비통전 누수 정상 정상
비통전 통전 통전 정상 누수 누수
비통전 정상 누수 정상
비통전 통전 정상 정상 누수
비통전 정상 정상 정상
본 발명의 각 접점센서(21, 22, 23)를 판단하는 단계는, 접점센서1(21)을 판단하는 단계(50), 접점센서2(22)를 판단하는 단계(60) 그리고 접점센서3(23)을 판단하는 단계(70)로 구성된다. 상기 세 단계(50, 60, 70)를 거쳐서 각 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인지 혹은 특정 펌프의 누수인지를 판정하는 단계(80)로 이어진다. 상기의 판단 단계와 판정 단계는 컨트롤 판넬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 판넬과 제어부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베드 11...고임판1
12...고임판2 13...고임판3
21...접점센서1 22...접점센서2
23...접점센서3 31...펌프1
32...펌프2 33...펌프3
40...해더

Claims (2)

  1. 다수개의 펌프로 구성되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펌프1(31)의 고임판1(11)에 장착된 접점센서1(21)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50);
    펌프2(32)의 고임판2(12)에 장착된 접점센서2(22)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0);
    펌프3(33)의 고임판3(13)에 장착된 접점센서3(23)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0); 및
    상기 접점센서(21, 22, 23)의 통전 여부의 조합에 의해서,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부스터펌프 시스템 전체의 침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1(31)과 펌프2(32)를 누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1(31)과 펌프3(33)을 누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1(31)을 누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2(32)와 펌프3(33)을 누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2(32)를 누수로 판정하고,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통전이면 펌프3(33)을 누수로 판정하는 단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펌프3(33)의 고임판3(13)에 장착된 접점센서3(23)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0)는 접점센서1(21)이 비통전이고 접점센서2(22)가 비통전이며 접점센서3(23)이 비통전이면 펌프1(31)의 접점센서1(21)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KR1020160117963A 2016-09-13 2016-09-13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KR20180029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63A KR20180029634A (ko) 2016-09-13 2016-09-13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963A KR20180029634A (ko) 2016-09-13 2016-09-13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634A true KR20180029634A (ko) 2018-03-21

Family

ID=6190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63A KR20180029634A (ko) 2016-09-13 2016-09-13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6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41B1 (ko) * 2019-06-17 2019-07-30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20220019648A (ko) 2020-08-10 2022-02-17 손영삼 원심펌프의 자동누수감지시스템
KR102387285B1 (ko) * 2021-07-02 2022-04-18 주식회사 청호정밀 침수 및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침수 및 누수 감지기능을 가지는 맨홀뚜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41B1 (ko) * 2019-06-17 2019-07-30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WO2020256249A1 (ko)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20220019648A (ko) 2020-08-10 2022-02-17 손영삼 원심펌프의 자동누수감지시스템
KR102387285B1 (ko) * 2021-07-02 2022-04-18 주식회사 청호정밀 침수 및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침수 및 누수 감지기능을 가지는 맨홀뚜껑
WO2023277252A1 (ko) * 2021-07-02 2023-01-05 주식회사 청호정밀 침수 및 누수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침수 및 누수 감지기능을 가지는 맨홀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9634A (ko)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누수 및 침수 감지방법
KR102005241B1 (ko)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
WO2013022165A1 (ko) 누유 감지 장치
CN102680191A (zh) 一种动力电池漏液检测装置
JP2005062180A (ja) 液体を案内する構成部材における漏れを確認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110007501A (ko) 누유 감지 장치
WO2020215540A1 (zh) 一种静密封泄漏检测装置
KR101610053B1 (ko) 누수감지센서
CN110864150A (zh) 一种具有泄漏报警功能的阀门
CN201213331Y (zh) 可防漏v-cut操作的pcb板
CN110160712B (zh) 电池包内冷却液泄露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及电动汽车
KR101375811B1 (ko)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200412983Y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CN102879406A (zh) 一种蓝玻璃检验治具
EP2503314A1 (en) Anticipatory failure indicator and fluid cooling arrangement
CN210400536U (zh) 一种气泡式液位计探测主机、气泡式液位计及系统
US20210175849A1 (en) Method of checking pressure in housing unit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CN202938888U (zh) 检测装置
CN210442070U (zh) 一种漏液检测装置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JP2013002693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212277243U (zh) 一种叠片台隔膜吸附真空检测系统
CN111497423B (zh) 一种撕膜装置、静电消除装置及静电检测装置
KR20160010932A (ko) 화학용액 누설감지장치
SE542880C2 (en) Flexible tape for use in leak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