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514A -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514A
KR20180029514A KR1020160117565A KR20160117565A KR20180029514A KR 20180029514 A KR20180029514 A KR 20180029514A KR 1020160117565 A KR1020160117565 A KR 1020160117565A KR 20160117565 A KR20160117565 A KR 20160117565A KR 20180029514 A KR20180029514 A KR 2018002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base station
terminal
iot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0237B1 (en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37B1/en
Priority to CN201780023339.5A priority patent/CN108886501B/en
Priority to PCT/KR2017/006981 priority patent/WO2018048077A1/en
Priority to US16/093,356 priority patent/US11076322B2/en
Publication of KR2018002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A frequency band of an IoT base station in which a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can be changed by realizing an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e method suitable for an IoT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network device comprises: a packet receiving portion; a verification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Description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1]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IoT (Io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suitable for an IoT network in which a frequency band of an IoT base station can be changed when a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a side of an IoT base station acting as a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alizing a change plan.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which connects information of living things through wired / wireless network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care, remote meter reading, smart home, smart car and smart farm, is attracting attention.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IoT network structure for providing the Internet (IoT) service based on the Internet (IoT) technology.

IoT 네트워크는,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과,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용 어플리케이션(이하 IoT앱이라 함)이 설치된 고객단말과, 사물인터넷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또는,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기지국(이하, IoT 기지국)으로 구성된다.The IoT network includes a customer terminal equipped with a thing Internet terminal at a remote place, a thing Interne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oT app ") for checking the data of the things Internet terminal at a remote place and controlling the things Internet terminal, And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oT base station) serving as a gateway for performing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a network device (or an IoT app server) for connecting terminals (IoT apps)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In the Internet Internet Protocol (IoT) service provided in the IoT network structure, when the Internet terminal sends the uplink packet to the network device, the Internet terminal sends the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The IoT base station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nd transmits to the network device.

또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서는,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사물인터넷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장치가 사물인터넷단말에 대하여 기 선택한 하나의 IoT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하나의 IoT 기지국이 사물인터넷단말에 송신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in the Internet Internet (IoT) service, when a network device transmits a downlink packet to a destination Internet terminal, the network device transmits a downlink packet to one IoT base station selected by the destination Internet terminal, And one IoT base station transmits to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이러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며, 게이트웨이 역할만 할 뿐인 IoT 기지국에 고도의 기능(computation)을 도입하지 않는다.In such an IoT network, it is defined to use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equally, and does not introduce a high degree of computation to the IoT base station which only serves as a gateway.

이에,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더라도,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hus, in the IoT network, even if a signal disturbance due to malicious attack or jamming by a third party or other network occurs on the IoT base station side, it is impossible for the IoT base station itself to change the frequency band.

즉,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That is, in the current Internet (IoT) technology, there is not proposed a separate method of chang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order to avoid signal disturbance when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IoT base station side.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T network defines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in the IoT base station side by using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e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suitable for an IoT network, ,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net (IoT) ser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device including: a packe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uplink packet of a terminal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mong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a controller for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except for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부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상기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unit may identify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specific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to the specific base st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frequency band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to another frequency band free from signal disturb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o the different frequency band through the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remaining base stations, and transmits the control message to the terminal for use in transmitting / The frequency band may be changed to the other frequency band in which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is receiv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기지국은,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elected base station may be a base station having the best signal-to-noise ratio (SNR) with the terminal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업링크처리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uplink packet of a terminal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A confirm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out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an uplink processing step of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excluding the specific base station among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during the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confi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이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주파수대역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the bas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frequency band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at least two base stations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to another frequency band without signal disturb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대역변경단계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requency band changing step may include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o the different frequency band through the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remaining base stations,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changed to the other frequency band for receiving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이에,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etwork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which can change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에 따라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Internet (IoT)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frequency band of an IoT base station in which a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is changed according to a method of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FIG. 1 shows a network structure of Internet of Things (IO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는,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예: 단말1,2,...X),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사물인터넷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00,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100)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IoT 기지국(예: 기지국1,2,...L)로 구성된다.1, the Internet architecture (IoT) network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figured to check the data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s (e.g., terminals 1, 2, ..., X) A network device (00, IoT appserver) for connecting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and the customer terminal (IoT app)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an object Internet (Eg, base stations 1, 2,... L) serving as a gateway for performing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device 100.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킷 전송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uplink /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process of the Internet (IoT) service provided in the IoT network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First, when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packet to a network device,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and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receive the packet and transmit the uplink packet to the network device .

또한,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사물인터넷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장치가 사물인터넷단말에 대하여 기 선택한 하나의 IoT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하나의 IoT 기지국이 사물인터넷단말에 송신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when the network device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to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he network device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to one IoT base station selected by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and the one IoT base station receiving the downlink packet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to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은, 사물인터넷단말/IoT 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의 수신 성공률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The quality of the Internet (IoT) service provided in the IoT network structure is greatly affected by the reception success rate of uplink / downlink packet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ree nodes of the Internet / IoT base station / network device.

헌데, IoT 네트워크에서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러한 신호교란은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급격히 떨어뜨려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야기시킨다.In the IoT network, since the frequency of the license-exempt band is used, signal disturbance due to malicious attack by a third party or interference of other networks is likely to occur. Such a signal disturbance is caused by the uplink / downlink (IoT) service due to a sudden drop in the packet reception success rate.

따라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IoT network, a method for avoiding signal disturbance is needed.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며, 게이트웨이 역할만 할 뿐인 IoT 기지국에 고도의 기능(computation)을 도입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IoT network,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s defined to be used equally, and a high degree of computation is not introduced to the IoT base station only serving as a gateway.

이에,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하더라도,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Thus, in the IoT network, even if a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IoT base station side, it is impossible for the IoT base station itself to change the frequency band.

즉,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That is, in the current Internet (IoT) technology, there is not proposed a separate method of chang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order to avoid signal disturbance when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IoT base station side.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T network defines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in the IoT base station side by using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e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신호교란을 회피를 위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하는 네트워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twork apparatus for realizing a method of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for avoiding signal disturbance.

먼저,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110)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120)와,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The network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et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n uplink packet of a terminal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an acknowledgment unit 110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a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nd a controller 130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except for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여기서, 단말은,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 있는 사물인터넷단말(예: 단말1,2,...X)일 것이다.Here, the terminal may be a matter Internet terminal (e.g., terminals 1, 2, ..., X)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사물인터넷단말 즉 단말1,2,...X 중 하나의 단말 예컨대 1단말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Internet terminal, that is, one of terminals 1, 2, ..., X, for example, one terminal will be described.

한편, 본 발명은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며, 따라서 전술 및 후술에서 언급하는 기지국은, 게이트웨이 역할을 IoT 기지국으로 이해하면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and therefore, the base station referred to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regarded as the IoT base station as the gateway.

패킷수신부(110)는,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다.The packe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네트워크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oT network, when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packet to the network device,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and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receive the uplink packet To the network device.

따라서, 사물인터넷단말인 단말1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다수의 IoT 기지국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1, which is the Internet terminal, transmits a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which receive uplink packets of the terminal 1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1, To the device (10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 즉 패킷수신부(110)는,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 즉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다.Accordingly, the network apparatus 100, that is, the packe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that is,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2 이상의 기지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2,3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s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for receiving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and transmitting the uplink packet to the network device 100, the base stations 1, 2, and 3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below.

즉, 이하에서는,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다수의 IoT 기지국 즉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That 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terminal 1 transmits the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one channel (frequency band F1) of the frequency of the license-exempt band used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that is, base stations 1, 2, and 3, which receive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he frequency band F1 transmit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확인부(120)는, 전술한 2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한다.The confirmation unit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mong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for example, base stations 1, 2, and 3 described above.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IoT 기지국은, 가까운 주변에서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면, 이러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The IoT base sta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this signal disturbance when a signal disturbance due to malicious attack by a third party or interference from other networks occurs in the vicinity.

예를 들면, IoT 기지국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전체를 대상으로, 채널 단위의 주파수대역(F1,F2,...) 별로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를 모니터링하여, 채널상태(SNR)가 급격히 나빠지거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주파수대역이 있으면, 해당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oT base station measures the frequency-to-noise ratio (SNR) of each frequency band (F1, F2, ...) ), And if there is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NR deteriorates rapidly or falls below the threshold, it can be detected that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물론,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은,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Of course, the manner in which the IoT base sta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signal disturbances may be varied.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한 IoT 기지국은,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oT base station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signal disturbance may transmit a specific message to the network device 100,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에따른 PUSH DATA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ecific message is preferably a PUSH DATA message according to a protocol between the IoT base station and the network device 100.

여기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채널)의 식별정보(예: Center Frequency)를 의미하며, 만약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채널)이 다수 개라면 신호교란이 발생한 다수 개 주파수대역(채널)의 식별정보(예: Center Frequency)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a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refers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enter frequency) of a frequency band (channel) in which a signal disturbance occurs. If frequency bands (channels) (Eg, center frequency)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hannels)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은, GWMP(Gateway Message Protocol)이며,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을 감지하여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리는 부분은 정의하고 있지 않다.The protocol between the IoT base station and the network device 100 is a gateway message protocol (GWMP). In the current Internet (IoT) technology, the IoT base station does not define a portion for detecting a signal disturbance to be notified to the network device 100.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은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리는 부분을,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를 활용하여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of the IoT base station, which is not defined in the current Internet (IoT) technology, notifies the network device 100 of the signal disturbance to a protocol between the IoT base station and the network device 100, that is, PUSH DATA message.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한 IoT 기지국은,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WMP 규격의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릴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base station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signal disturbance transmits a GWMP standard PUSH DAT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to the network device 100, To the network device (10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 즉 확인부(120)는, 전술한 2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한다.Accordingly, the network device 100, that is, the acknowledgment unit 120 transmits a specific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that is, GWMP standard, among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confirms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PUSH DATA message according to the specific base sta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을 감지하고,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로 가정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ase station 3 detects a signal disturbance in the frequency band F1 and transmits a PUSH DAT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F1 (center frequency of the frequency band F1) to the network device 100 I will assume that.

이 경우, 확인부(120)는,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단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3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PUSH DATA 메시지로부터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firmation unit 120 can confirm the base station 3, from which the PUSH DATA mess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sing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band F1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Further, the frequency band F1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can be confirmed from the PUSH DATA message.

제어부(130)는, 기지국1,2,3 중에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이 확인되면,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When a specific base station such as the base station 3 is identified among the base stations 1, 2 and 3,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base station 1, the base station 2, and the base station 3 excluding the base station 3, Only the uplink packet is used.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the network device 100 maps / holds the uplink packet-based data to the corresponding object internet terminal, (IoT) using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such as selecting an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an uplink packet, And performs uplink packet processing for the service.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process of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1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In this case,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where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base stations 1, 2, and 3 is dropped and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are used.

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지는 업링크 패킷은 사용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reliability o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is lowered so that the downlink reliability packet is not used and the quality of the Internet IoT service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It is for this reason.

또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더라도, 단말1의 동일한 업링크 패킷이 다른 기지국1,2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고 가능한 것이다.Also, in the IoT network, even i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is discarded without using the uplink packet, the sam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other base stations 1 and 2, Internet (IoT) service can be provided normally without problem.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인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한다.Furthermore, the network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order to avoid signal disturbance, which is a root caus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s lower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특정 기지국 즉 기지국3이 확인되면, 2 이상의 기지국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킨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that is, the base station 3, is identified, the control unit 130 searches the frequency bands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of the terminal 1 from two or more base stations, that is, Band.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은 주파수대역 F1일 것이므로, 제어부(130)는,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현재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of the terminal 1 in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ill be the frequency band F1,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requency bands Band to a different frequency band without signal disturbance in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in the IoT network, it is impossible for the IoT base station itself to change the frequency band.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oT network defines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oposed method of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change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by using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전술한 예시의 경우,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 more specific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is different from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rough the base stations 1 and 2 selected from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except for the base station 3, And transmits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the frequency band to the terminal 1.

이때, 제어메시지는,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Modification Channel Req/Resp)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message means a signaling (Modification Channel Req / Resp)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in the IoT network.

아울러,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은, 나머지 기지국1,2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것이다.In addition, the selected base station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may be the base station having the best signal-to-noise ratio (SNR) with the terminal 1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in performing the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1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base station 1, the base station 2, 3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via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따라서, 제어부(130)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on the basis o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terminal 1 (SNR) with the best channel stat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2 i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기지국 선택이 변경되기 전까지 네트워크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단말1에 대한 다운링크 패킷은 기지국2를 통해 단말1로 전송된다.If the IoT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the down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selected as the base station 2, a downlink packet for the terminal 1 generated in the network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 through the base station 2 until the base station selection is changed do.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used by the terminal 1 from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to another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F2) through the selected base station 2 to the terminal 1 .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s defined to be used equally in the IoT network, when the network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e., a downlink packet to the base station 2, the base station 2 transmits downlink packets (Control message) to the terminal 1, and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not detected in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base station 2, the downlink packet (control message) will be successfully received at the terminal 1.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 이후 발생하는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1 changes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from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to another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F2)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network device 100, And transmit it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the changed frequency band F2.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even when the signal disturbance of the frequency band F1 occurs in the base station 3,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frequency band F2 without signal disturbance around the terminal 1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ill transmit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그리고, 네트워크장치(100)에서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즉 주파수대역 F2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며, 선택한 기지국으로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e network device 100 determines the channel state (SNR)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1, One of the base stations having the best F2 channel state (SNR) will be selected, and the down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will be transmitted to the selected base station.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선택 및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기지국1,2,3 중 하나) 역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다운링크 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s defined to be equally used in the IoT network, the base station (one of the base stations 1, 2, and 3) receiving the downlink packet of the selection and terminal 1 also transmits downlink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terminal 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실현되는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이 이를 네트워크로 알리면, 네트워크 기반의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함으로써 IoT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특성에 따라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이 자연스럽게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d by the network device 100, when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notifies the network of the disturbance,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s chang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the sam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n the IoT network.

결국,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결과적으로는 네트워크 기반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을 실현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network-based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e by utilizing signaling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net service (IoT) by realiz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which can change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Effect.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에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적용한다면, 네트워크 기반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이 가능해짐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과가 더욱 기대될 것이다.Particularly, among the Internet (IoT) technologies, a method for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oT technology (LoRa: Long Range) specialized in small data transmission supporting low-rate transmission (<1 kbps)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IoT service will be improved by the change of the network-based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 측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사물인터넷단말 주파수대역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hange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frequency band even when a signal disturbance due to a malicious attack by a third party or interference of another network occurs on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side.

예를 들면, 사물인터넷단말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의 채널상태(SNR)를 모니터링하여, 채널상태(SNR)가 급격히 나빠지거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현재 송신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monitors the channel state (SNR) of the currently use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and if the channel state (SNR) deteriorates rapidly or falls below a threshold value, a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curren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Can be detected.

물론, 사물인터넷단말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은,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Of course, the manner in which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detects the occurrence of signal disturbance may be various.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스스로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단말은 현재의 송신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송신 주파수대역을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한 후 변경한 송신 주파수대역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된다.In the current Internet (IoT) technology, since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can change the frequency band by itself, when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detects the occurrence of signal disturbance in the curren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Internet service It is only necessary to transmit the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the change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after changing to the other frequency band of the frequency of the license-exempted band to be us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에 따라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상황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cas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of chang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Fur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terminal 1 transmits an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one channel (frequency band F1) of the frequency of the license-exempt band used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The base station 1, 2, 3 which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vicinity of the base station 1 transmit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FIG.

즉, 단말1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며(S10),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한다.That is, the terminal 1 transmits an uplink packet in a broadcast manner via the frequency band F1 (S10). The base station 1, which receive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1 , And 3 transmit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이때,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S20),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GWMP 규격의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S30),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base station 3 detects the occurrence of a signal disturbance in the frequency band F1 (S20), the PUSH DATA message of the GWMP standard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F1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frequency of the frequency band F1) (S30), thereby informing the network device 100 of the signal disturbance.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PUSH DATA 메시지에 기인하여,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송신해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확인하고,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S40).Accordingly, the network device 100 confirms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mong the base stations 1, 2, and 3 that transmitted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based on the PUSH DATA message, (S4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S50)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기지국1,2,3 중에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S60).The network device 100 receives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 in the frequency band F1 (S50) and transmits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other base stations 1 and 2 except for the base station 3 are used (S60).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the network device 100 maps / holds the uplink packet-based data to the corresponding object internet terminal, (IoT) using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such as selecting an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an uplink packet, And performs uplink packet processing for the service.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the network device 100 performs a process of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1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where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base stations 1, 2 and 3 is dropped and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are used.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S7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e network device 100 selects one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And selects a base station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SNR) with the terminal 1 (S70).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2 i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S80).When the IoT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the down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selected as the base station 2, the network device 100 transmits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used by the terminal 1 through the selected base station 2 to the other frequency band F1 To a frequency band (e.g., frequency band F2) to the terminal 1 (S8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S80),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S90).Since the IoT network defines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to be used equally, when the network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e., a downlink packet, to the base station 2 (S80) The downlink packet (control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 and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not detected in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base station 2, the downlink packet (control message) will be successfully received at the terminal 1 (S90 ).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q) 내 채널인덱스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S100), 이후 발생하는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sp)를 비롯한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S110).Accordingly, the terminal 1 changes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from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to another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F2) in accordance with the channel index in the control message (Modification Channel Req) received from the network device 100 (S100), 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Modification Channel Resp) for a control message generated thereafter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a frequency band F2 in which the uplink packet is changed (S110).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even when the signal disturbance of the frequency band F1 occurs in the base station 3,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frequency band F2 without signal disturbance around the terminal 1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ill transmit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앞선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rminal 1 is upgraded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one channel (frequency band F1) of the frequencies of the license-exempt band used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When the link packet is transmitted,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hich are to receive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hrough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1, transmit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I will explain it.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서,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송신한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S200).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receive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 in the frequency band F1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S20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한다(S210).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mong the base stations 1, 2, and 3 (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이 있으면(S210 Yes) 그 기지국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ecific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that is, a PUSH DATA message according to the GWMP standard, If there is a base station to be received (S210 Yes), the base station can be confirmed as a specific base sta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을 감지하고,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로 가정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ase station 3 detects a signal disturbance in the frequency band F1 and transmits a PUSH DAT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F1 (center frequency of the frequency band F1) to the network device 100 I will assume that.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단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3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PUSH DATA 메시지로부터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S220).In this cas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base station 1, 2, or 3, in which a PUSH DAT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sing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 can be confirmed by the specific base station, and furthermore, the frequency band F1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can be confirmed from the PUSH DATA message (S22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S230), 기지국1,2,3 중에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S240).Thereafter, when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 through the frequency band F1 is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S230), the operation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other base stations 1 and 2 except the base station 3 are used in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1 (S240).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pping / holding the uplink packet- The terminal checks the data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and controls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and selects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on the basis of the uplink packet.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And performs an overall process of uplink packet processing for the Internet (IoT) service.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uplink of the terminal 1 for the object Internet (IoT) In carrying out the overall process of the link packet processing,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in the base stations 1, 2, and 3 is dropped and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To use.

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지는 업링크 패킷은 사용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reliability o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is lowered so that the downlink reliability packet is not used and the quality of the Internet IoT service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It is for this reason.

또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더라도, 단말1의 동일한 업링크 패킷이 다른 기지국1,2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고 가능한 것이다.Also, in the IoT network, even i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is discarded without using the uplink packet, the sam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other base stations 1 and 2, Internet (IoT) service can be provided normally without problem.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인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order to avoid signal disturbance which is a fundamental cause of lower reliability of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기지국 즉 기지국3이 확인되면,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in which, when a specific base station, that is, the base station 3 is identified, the frequency bands used for transmitting / To a different frequency band.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은 주파수대역 F1일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현재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of the terminal 1 in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ill be the frequency band F1,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base stations 1, To another frequency band in which no signal disturbance is present in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예시의 경우,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 more specific embodiment,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rminal 1,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o another frequency band.

이때, 제어메시지는,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Modification Channel Req/Resp)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message means a signaling (Modification Channel Req / Resp) for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f the object Internet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in the IoT network.

아울러,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은, 나머지 기지국1,2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것이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selected among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may be the base station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SNR) with the terminal 1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the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1 for the Internet service (IoT), the base station 1, The uplink packet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3 in which the disturbance occurs is dropped and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are us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S25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Therefore,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And selects one of the remaining base stations 1 and 2 that has the best channel state (SNR) with the terminal 1 (S250).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2 i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기지국 선택이 변경되기 전까지 네트워크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단말1에 대한 다운링크 패킷은 기지국2를 통해 단말1로 전송된다.If the IoT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the down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selected as the base station 2, a downlink packet for the terminal 1 generated in the network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 through the base station 2 until the base station selection is changed do.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q)를 단말1로 전송한다(S260).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used by the terminal 1 is switched from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to another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F2) through the selected base station 2 (Modification Channel Req) to the terminal 1 (S26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s defined to be used equally in the IoT network, when the network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e., a downlink packet to the base station 2, the base station 2 transmits downlink packets (Control message) to the terminal 1, and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not detected in the frequency band F1 in the base station 2, the downlink packet (control message) will be successfully received at the terminal 1.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 내 채널인덱스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 이후 발생하는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erminal 1 changes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from the current frequency band F1 to another frequency band (e.g., the frequency band F2) according to the channel index in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network device 100, It will transmit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the frequency band F2 in which the link packet is changed.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even when the signal disturbance in the frequency band F1 occurs in the base station 3,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is received through the frequency band F2 without signal disturbance around the terminal 1 The base stations 1, 2, and 3 will transmit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network device 10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서, 단말1이 주파수대역 F2에서 송신한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S270).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receive the uplink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 in the frequency band F2 through the base stations 1, 2, and 3 (S2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즉 주파수대역 F2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며, 선택한 기지국으로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S280).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oT base station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SNR), that is, the frequency band F2 channel state (SNR), and transmits the downlink packet of the terminal 1 to the selected base station (S28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선택 및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기지국1,2,3 중 하나) 역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다운링크 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s defined to be equally used in the IoT network, the base station (one of the base stations 1, 2, and 3) receiving the downlink packet of the selection and terminal 1 also transmits downlink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terminal 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실현되는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이 이를 네트워크로 알리면, 네트워크 기반의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함으로써 IoT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특성에 따라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이 자연스럽게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d by the network device 100, when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notifies the network of the disturbance,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s chang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the same uplink / downlink frequency band in the IoT networ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by implementing the Io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changing method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which can change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in which the signal disturbance is generat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is der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network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change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suitable for the IoT network, in which the frequency band of the IoT base station can be changed when the signal disturbance occurs on the IoT base station side, It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is beyond the limit of the existing technology, and it is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operation of the applied device is sufficient and practically possible.

100 : 네트워크장치
110 : 패킷수신부 120 : 확인부
130 : 제어부
100: Network device
110: packet receiving unit 120:
130:

Claims (8)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A packe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uplink packet of a terminal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among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And a controller for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except for the specific base station when processing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confi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상기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ecking unit,
Wherein the base station receives a specific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requency band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to the specific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change the frequency band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to another frequency band free from signal disturban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o the other frequency band through the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remaining base stations,
Wherein the frequency band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by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is changed to the other frequency band for receiving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지국은,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lected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having the best signal to noise ratio (SNR) with the terminal among the remaining base stations.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업링크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A packe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n uplink packet of a terminal through two or more base stations;
A confirm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base station in which signal disturbance has occurred, out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nd
And an uplink processing step of using only the uplink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base st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except for the specific base station in the uplink packet processing of the terminal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confirmed Lt; / RTI &g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이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주파수대역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requency band changing step of changing, by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the frequency band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to another frequency band without signal disturbance, when the specific base station is identified. W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대역변경단계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equency band changing step comprises: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a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o the other frequency band through the base station selected from the remaining base stations,
Wherein the frequency band used for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by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is changed to the different frequency band for receiving the uplink packet of the terminal.
KR1020160117565A 2016-09-12 2016-09-12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0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en) 2016-09-12 2016-09-12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80023339.5A CN108886501B (en) 2016-09-12 2017-06-30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PCT/KR2017/006981 WO2018048077A1 (en) 2016-09-12 2017-06-30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vice
US16/093,356 US11076322B2 (en) 2016-09-12 2017-06-30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excluding a base station based on a received pushdata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en) 2016-09-12 2016-09-12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14A true KR20180029514A (en) 2018-03-21
KR101870237B1 KR101870237B1 (en) 2018-06-22

Family

ID=6190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en) 2016-09-12 2016-09-12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3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77B1 (en) * 2018-09-06 2020-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49226A (en)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Long rang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thereof
KR20230024096A (en) * 2021-08-11 2023-02-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oRa communication system for frequency automatic modulation on a single channe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Study of LoRa: Long Range & Low Power Networks for the Internet of Things* *
LoRaWAN Specification V1.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77B1 (en) * 2018-09-06 2020-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49226A (en) * 2018-10-31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Long rang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thereof
KR20230024096A (en) * 2021-08-11 2023-02-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oRa communication system for frequency automatic modulation on a single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237B1 (en)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72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79153B2 (en) Device to-device (D2D) discovery
US11864240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258731B2 (en) Load-dependent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08353356B (e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monitoring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5835468B2 (en) Master nod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08886501B (en)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870237B1 (en)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349936A1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s Node, and Base Station
US20210328748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11357037B2 (en) Scheduling policies for out-of-order grants
EP3435733B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US20220046597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JP646048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base station, and processing method
KR101953650B1 (en)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90023A1 (en) Technique For Using Channel Occupancy Time
KR101992033B1 (en) Methods and nodes for decoding of contention based uplink transmissions
US843728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076177B1 (en) Base station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KR201101030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5850B1 (en) Networl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JP645959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CN105594237B (en)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method and device
WO2022199980A1 (en) Radio link monitoring
WO2024030676A1 (en) Methods, architecture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mobility triggering based on predictions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