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156A -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156A
KR20180029156A KR1020160116562A KR20160116562A KR20180029156A KR 20180029156 A KR20180029156 A KR 20180029156A KR 1020160116562 A KR1020160116562 A KR 1020160116562A KR 20160116562 A KR20160116562 A KR 20160116562A KR 20180029156 A KR20180029156 A KR 2018002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angle
control sheet
angle control
ligh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익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156A/ko
Publication of KR2018002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으로 구성된 레진층 및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시야각 조절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표시장치가 높은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Viewing angle control sheet, fabric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of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그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수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즉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요구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반사판, 복수의 광학시트 등을 포함한다. 광원은 도광판의 적어도 일면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판은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학시트는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학시트 상부에는 시야각을 제어하기 위한 시야각 제어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시야각 제어시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의 베이스 필름(base film) 2매 사이에 블랙 카본(black carbon) 재질의 루버 패턴)이 배치되어 경사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하 시야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야각 제어시트는 루버 패턴과 수직인 빛은 투과시키고, 경사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은 차단시켜 루버 패턴 형성방향과 수직방향의 시야각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차량 전면유리에 액정패널의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다만, 이러한 시야각 제어시트는 시야각 제어를 위해 루버 패턴의 형성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상기 루버 패턴을 지탱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이 상하 2겹으로 형성되어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루버 패턴 결을 따라 사선얼룩이 시인되는 단점이 있다. 즉, 루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 하면에 베이스 필름을 합지(lamination)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롤러 압력의 불균일이 일어나게 되면 줄 눌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일부 루버만 손상되면 흑선 또는 백선 불량이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 개의 베이스 필름 상에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으로 구성되는 레진층과, 비대칭 삼각패턴의 일면 중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함으로써, 루버 패턴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을 구비하는 레진층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도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도광판 상에 배치되고,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을 따르는 시야각 제어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시야각 제어시트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베이스 필름 상에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을 구비하는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반사물질이 묻어있는 틀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1 개의 베이스 필름 상에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으로 구성되는 레진층과,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함으로써, 공정이 간단하고,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휘도가 높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단면도로써, 시야각 제어시트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단면도로써, 시야각 제어시트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와 비교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표시장치의 상하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표시장치를 차량에 적용하였을 때 차량의 전면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차량용 표시장치로 이용하였을 때의 차량 전면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위치 별 출사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2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위치 별 출사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는 베이스 필름(110), 레진층(120) 및 반사층(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11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110)의 물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진층(12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레진층(120)의 물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는 베이스 필름(110) 상에 레진층(120)이 배치된다. 이 때, 레진층(120)은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일면에는 반사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반사층(130)은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일면 중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비대칭 삼각패턴(125)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변(121), 제 1 변(121)과 연결되고,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제 2 변(122) 및 제 1 변(121) 및 제 2 변(122)과 연결되고,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제 3 변(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변(121), 제 2 변(122) 및 제 3 변(123)은 모두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즉, 비대칭 삼각패턴(125)은 밑변인 제 1 변(121)과 빗변인 제 2 변(122) 및 제 3 변(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 1 변(121), 제 2 변(122) 및 제 3 변(123)은 비대칭 삼각패턴(125)을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야각 제어시트는 액정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하는 광학시크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시야각 제어시트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필름 사이에 블랙 카본(black carbon) 재질의 루버 패턴이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하 시야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시야각 제어시트는 적어도 2 매의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루버 패턴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야각 제어시트는 루버 패턴과 수직인 광은 투과시키고, 경사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은 차단시켜 루버 패턴 형성방향과 수직방향의 시야각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네비게이션 등으로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가 차량에 적용될 때, 차량 전면유리에 표시패널의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야각 제어시트는 시야각 제어를 위해 루버 패턴의 구비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루버 패턴을 지탱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이 상하 2 겹 필요하여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루버 패턴의 결을 따라 사선 얼룩이 시인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의 베이스 필름 사이에 복수의 루버 패턴을 배치하기 위해 복수의 루버 패턴의 상면 및 하면에 베이스 필름을 합지(lamination)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롤러 압력의 불균일이 일어나, 일부 루버 패턴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흑선 또는 백선 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블랙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루버 패턴 자체가 차광막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시야각 감소 효과만 존재하므로, 유리 비침 현상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는 하나의 베이스 필름(110)만 사용하고, 루버 패턴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층(130)을 통해 시야각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30)은 베이스 필름(110)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각도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을 시야각 제어시트(100)을 통해 반사시킴으로써, 차량 전면유리에 표시패널의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2 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단면도로써, 시야각 제어시트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베이스 필름(110)의 배면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입사된 광은 베이스 필름(110)을 통과하여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으로 구성되는 레진층(120)으로 입사된다.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120)의 굴절률이 서로 다를 경우,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120)의 경계에서 광의 굴절이 일어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120)의 경계에서 굴절되어 레진층(120)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는 레진층(120)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의 광은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일면에 배치되는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베이스 필름(110) 방향으로 경로가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으로 입사되는 광은 레진층(120)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 3 변(123)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베이스 필름(110)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한편,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레진층(120)의 제 2 변(122)과 제 3 변(123)은 수평방향(도 2의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변(122)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각도(a)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변(123)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 2 각도(b)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각도(a)의 크기는 제 2 각도(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각도(a)를 갖는 제 2 변(122)의 경사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 2 각도(b)를 갖는 제 3 변(123)의 경사보다 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변(122)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3 변(123)의 상부에는 반사층(130)이 배치된다.
즉, 제 2 변(122)보다 경사가 완만한 제 3 변(123) 상에 반사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변(122)과 제 3 변(123)의 형상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경사가 완만한 제 3 변(123) 쪽으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베이스 필름(110) 방향으로 경로가 전환된다. 그리고, 경사가 급한 제 2 변(122)으로 입사되는 광은 레진층(120)을 투과할 수 있다.
한편.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의 길이는 제 3 변(12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 2 변(122)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짐으로써, 반사층(130)이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에 배치될 경우보다 넓은 면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변(123)으로 입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는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의 경사를 조절하여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의 컷오프(cut-off)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시야각 컷오프(cut-off) 각도는 시청자 또는 차량의 운전자가 정면을 기준으로 눈을 위쪽으로 올렸을 때 표시장치의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 있는 최대한의 비스듬한 각도로 정의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도 2의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는 0o 내지 40o일 수 있다.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40o라고 가정할 때, 40o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차량용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광(500)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광(500)은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121)과 수직한 방향과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이 이루는 각도는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일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500)의 각도는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과(121)과 수직한 방향과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2 변(122)이 이루는 각도 일 수 있다. 즉,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500)은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가 40o 라고 가정한다. 이 때, 시야각 제어시트(100)에 입사되는 광(500)의 각도는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1 변(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므로 0o 일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시트(100)에 입사되는 광(500)의 각도는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광(510)이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광은 0o를 초과하고 40o 이하의 각도로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입사되는 광(510)은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투과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배면에 입사되는 광(520)이 40o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될 때,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반사층(130)을 만나 반사된다. 즉,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520)은 시야각 제어시트(100)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층(130)에 반사된다.
다시 설명하면, 시야각 제어시트(100)에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520)은 기울기가 완만한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130)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차량용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제조공정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0) 상에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을 구비하는 레진층(120)이 형성된다(S11 단계). 이 후,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 상에 반사물질(140)이 묻어있는 틀(150)을 접촉시킨다(S12 단계).
이 때, 틀(150)은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즉, 틀(150)의 영역 중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의 형상과 동일한 영역은 제 3 변(123)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틀(150)의 나머지 영역, 즉,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과 맞닿지 않는 영역은 다른 영역과 접촉되지 않도록 홈(1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물질(140)이 묻어있는 틀(150)을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에 접촉시켜,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변(123) 상에 반사층(130)을 형성한다(S13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틀(150)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대칭 삼각배턴(125)의 일 면에 반사층(130)을 형성함으로써,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른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적용한 표시장치(1000)는 도광판(300), 광원(310), 반사판(320), 광학시트(330) 및 표시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400) 배면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통틀어 백라이트 유닛으로 명명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시야각 제어시트(100), 도광판(300), 광원(310), 반사판(320) 및 광학시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00)의 적어도 일 측에 광원(310)이 배치되고, 도광판(300) 상에는 복수의 광학시트(300) 및 시야각 제어시트(1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300)의 배면에는 반사판(3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야각 제어시트(100) 상에는 표시패널(40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패널(40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고,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의 셀갭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컬러필터 기판은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와 상기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 그리고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투명한 공통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레이 기판은 종횡으로 배열되어 다수개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다수개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 배치된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영역 위에 배치된 화소전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이 합착된 표시패널(400)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구비되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액정층의 액정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가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패널(400)의 외측에는 각각 상, 하부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 편광판은 백라이트 유닛을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키며, 상부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400)을 경유한 빛을 편광 시킨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310)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도광판(300)의 측면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도광판(30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320)은 도광판(300)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광을 도광판(300) 상면의 광학시트(330)들 쪽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줄이고 균일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광학시트(330)는 확산시트(331)와 프리즘시트(332)를 포함하며, 보호시트(333)가 추가될 수 있다.
광학시트(330) 상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100)가 배치될 수 있다. 시야각 제어시트(100)는 베이스 필름(110),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을 구비하는 레진층(120) 및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제 3 면(123)에 배치되는 반사층(130)을 포함한다.
이 때, 도광판(300)으로부터 표시패널(400)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표시패널(400)에 도달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시야각 제어시트(1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300)으로부터 표시패널(400)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중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 내로 진행하는 광은 표시패널(400)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300)으로부터 표시패널(400)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중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진행하는 광은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패널(400)에 입사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유리에 화면을 비치게 원인을 제공하는 광을 표시패널(400)로 입사되지 못하게 차단 시킴으로써, 원하는 시야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베이스 필름(110), 레진층(220) 및 반사층(230)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베이스 필름(110) 상에 레진층(220)이 배치된다. 이 때, 레진층(220)은 적어도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226)가 구비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면에 복수의 돌출부(226)가 구비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125)의 일면에는 반사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출부(226)가 구비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일면 상에 반사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반사층(230)의 모폴로지(morphology)는 복수의 돌출부(226)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하나의 베이스 필름(110)만 사용하고, 루버 패턴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층(230)을 통해 시야각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돌출부(226)를 구비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230)은 베이스 필름(110)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각도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을 시야각 제어시트(200)을 통해 반사시킴으로써, 차량 전면유리에 표시패널의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단면도로써, 시야각 제어시트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베이스 필름(110)의 배면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입사된 광은 베이스 필름(110)을 통과하여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으로 구성되는 레진층(220)으로 입사된다.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220)의 굴절률이 다를 경우,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10)의 굴절률이 레진층(220)의 굴절률보다 클 경우, 광은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220)의 경계에서 굴절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과 레진층(220)의 경계에서 굴절되어 레진층(220)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는 레진층(220)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의 광은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일면에 배치되는 반사층(23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베이스 필름(110) 방향으로 경로가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2 변(222)으로 입사되는 광은 레진층(220)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3 변(223)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 3 변(223) 상부에 배치되는 반사층(230)에 의해 반사되어 베이스 필름(110)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여기서,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2 변(222)은 직선 형상이고, 제 3 변(223)은 복수의 돌출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부(226)를 구비하는 제 3 변(223) 상에 반사층(230)이 배치된다. 반사층(230)은 복수의 돌출부(226)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반사층(230) 역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3 변(223)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사층(230)에 의해 반사되어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반사층(230)의 표면은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울퉁불퉁하므로,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3 변(223)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층(230)에서 난반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사방에서 입사되는 광 중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반사층(230)을 통해 원하는 시야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는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2 변(122)의 경사를 조절하여 시야각 제어시트(100)의 상하시야각의 컷오프(cut-off)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조절시트(2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도 7의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2 변(22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는 0o를 초과하는 각도 내지 40o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가 40o라고 가정할 때, 40o 이상의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층(23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야각 제어시트(200)를 차량용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의 배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투과되는 광과 반사되는 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광(600)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광(600)은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1 변(2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1 변(221)과 수직한 방향과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2 변(222)이 이루는 각도는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는 40o로 가정한다. 그리고, 시야각 제어시트(200)에 입사되는 광(600)의 각도는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1 변(2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므로 0o일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시트(200)에 입사되는 광(600)의 각도는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비대칭 삼각패턴(225)의 제 1 변(2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600)은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시야각 제어시트(200)를 투과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광(610)이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광은 0o를 초과하고 40o 이하의 각도로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입사되는 광(610)은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시야각 제어시트(200)를 투과할 수 있다,
반면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배면에 입사되는 광(620)이 40o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될 때, 시야각 제어시트(200)의 반사층(230)을 만나 반사된다. 즉,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620)은 시야각 제어시트(200)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층(230)에 반사된다.
다시 설명하면, 시야각 제어시트(200)에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입사되는 광(620)은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제 3 변(223)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23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가도로 입사되는 광(620)은 반사층(230)에서 난반사되어 레진층(22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200)를 차량용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와 비교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표시장치의 상하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와 비교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표시장치의 상하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 제 1 비교예는 시야각 제어시트가 적용되지 않은 표시장치의 상하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다. 제 2 비교예는 2 개의 베이스 필름 사이에 복수의 루버패턴이 적용된 시야각 제어시트가 적용된 표시장치의 상하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가 적용된 표시장치의 휘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가 적용된 표시장치의 휘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를 초과하는 각도(40o 초과)에서도 휘도가 3000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제 1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차량에 적용하였을 때,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제 2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인 40o 이상에서 휘도가 0이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40o 이하의 상하시야각 범위에서 휘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하시야각 컷오프 각도인 40o를 초과하는 각도에서 휘도가 0이므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차량에 적용하였을 때,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2 비교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비해 상하시야각 40o 미만의 각도에서 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량 전면유리에 표시장치의 화면이 비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높은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표시장치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차량용 표시장치로 이용하였을 때의 차량 전면유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표시장치를 차량에 적용하였을 때 차량의 전면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차량용 표시장치로 이용하였을 때의 차량 전면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표시장치의 경우, 차량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쳐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사용하는 표시장치의 경우, 차량 전면유리에 화면이 비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위치 별 출사광 특성(시야각 특성)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위치 별 출사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2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위치 별 출사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화면 상측은 화면 중앙 지점과 대응하도록 시청자의 눈이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눈을 위로 올렸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화면 하측은 화면 중앙 지점과 대응하도록 시청자의 눈이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눈을 아래로 내렸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미지에서 색상이 붉을수록 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면 상측의 휘도가 낮음으로써, 출광 방향이 화면의 중앙과 화면의 하측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는 기존의 시야각 제어시트에 사용되는 루버 패턴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 패턴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는 루버 패턴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구버 패턴 결을 따라 사선얼룩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루버 패턴 상면 및 하면에 베이스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서 루버 패턴의 손상으로 인해 흑선 또는 백선 불량이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시야각 제어시트는 베이스 필름을 1 매만 사용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이 간단하고, 시야각 조절 효과가 큰 동시에 휘도 특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야각 제어시트
110: 베이스 필름
120: 레진층
125: 비대칭 삼각패턴
130: 반사층

Claims (11)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으로 구성된 레진층; 및
    상기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은 상기 단변에 비해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기(slope)가 완만한 시야각 제어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0o를 초과하고 40o 이하의 범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시야각 제어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 및 장변의 형상은 직선 형상인 시야각 제어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은 직선 형상이고, 상기 장변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시야각 제어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돌출부는 비대칭 삼각패턴인 시야각 제어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은 계단 형상인 시야각 제어시트.
  8. 제 4 항에 있어서,
    반사층의 모폴로지(morphology)는 상기 장변의 형상을 따르는 시야각 제어시트.
  9.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광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고,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을 따르는 시야각 제어시트; 및
    상기 시야각 제어시트 상에 배치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베이스 필름 상에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장변 및 단변을 포함하는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을 구비하는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반사물질이 묻어있는 틀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틀은 상기 비대칭 삼각패턴의 장변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장변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KR1020160116562A 2016-09-09 2016-09-09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29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62A KR20180029156A (ko) 2016-09-09 2016-09-09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562A KR20180029156A (ko) 2016-09-09 2016-09-09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56A true KR20180029156A (ko) 2018-03-20

Family

ID=6191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562A KR20180029156A (ko) 2016-09-09 2016-09-09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1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138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 보상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601992A (zh) * 2019-01-29 2021-04-02 株式会社Lg化学 视角补偿膜、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WO2023022526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138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 보상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601992A (zh) * 2019-01-29 2021-04-02 株式会社Lg化学 视角补偿膜、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CN112601992B (zh) * 2019-01-29 2023-02-03 株式会社Lg化学 视角补偿膜、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US11579484B2 (en) 2019-01-29 2023-02-14 Lg Chem, Ltd.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23022526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0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CN102483530B (zh) 显示面板、显示系统、便携式终端、电子设备
US89081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US8610845B2 (en)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and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layer
TWI569064B (zh) 顯示器及電子單元
US20070046860A1 (en) Surface light source capable of varying angular range for diffusing emitted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electively with wide view angle and narrow view angle by using same
WO2015093077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用液晶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52819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601143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026410A (ja) 表示装置
CN109656052B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US89707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dopting structure of liquid crystal lens
US10682959B2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rearview mirror
US111126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dividually driven blocks in light-blocking panel
KR20180029156A (ko) 시야각 제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2060306A1 (ja) 表示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電子機器
KR101415683B1 (ko) 액정표시장치
US959985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191760B1 (ko)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TW201905872A (zh) 用於在顯示器系統中提供準直背光照明的方法和系統
JP2009122586A (ja) 表示装置
KR102135918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230102042A1 (en) Micro led transparent display
US11538853B2 (en) Micro LED transparent display
KR20070028691A (ko) 편광판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