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144A -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144A
KR20180028144A KR1020160115435A KR20160115435A KR20180028144A KR 20180028144 A KR20180028144 A KR 20180028144A KR 1020160115435 A KR1020160115435 A KR 1020160115435A KR 20160115435 A KR20160115435 A KR 20160115435A KR 20180028144 A KR20180028144 A KR 2018002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sulfur
polyvinylpyrrolid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일
Original Assignee
(주)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랜드 filed Critical (주)프랜드
Priority to KR102016011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144A/ko
Publication of KR2018002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효과가 있는 유황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MIT, MIT같은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예로부터 사람에게 이롭다고 알려저 있는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염색은 모발손상이 일어나 잦은 염색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고, 사회적인 제약 또한 염색을 기피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본 발명은 항균성 유황을 이용하여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에 선명한 칼라를 연출할 수 있는 발색력이 우수한 일시 염모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CMIT, MIT 등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항균성 유황을 함유하여 방부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본 발명은 항균 효과가 있는 유황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방부제와 관련하여 CMIT, MIT같은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예로부터 사람에게 이롭다고 알려저 있는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시적으로 칼라 연출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로서, 모발에 얇게 도포되는 형태로 염색하여 염색 시 모발손상을 해결하는 동시에, 자신의 개성연출의 수단으로 선명한 칼라 연출이 가능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이다.
동식물성 유기물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부패하는 것을 막는 것이 방부이고, 보존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물질이 방부제이다. 방부제는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식품 등 다양한 제품군의 품질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특히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유통기간이 길고 기름이나 물이 주성분으로 되어있어 방부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방부제는 인체에 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방부제의 첨가로 인해 제품의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최근 CMIT(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IT(메칠이소치아졸리논) 등의 방부제 이슈로 방부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어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화학적 방부제 파라벤(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류 조차 피부알레르기와 내성균 유발 및 환경호르몬으로서의 작용 가능성으로 소비자에게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고,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 만성독성이 우려되어 방부제 분야에서 새로운 문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상기와 같은 화학방부제들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천연방제들의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기술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는 유황을 모방화장료 조성물에 첨가 함으로서 충분한 방부활성 뿐 아니라 인체에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모발의 중요성은 미용적인 효과 측면에서 고대로부터 중요시 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파마, 염색 등의 시술과 함께 더욱 다양하게 개성연출의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이러한 잦은 화학적인 시술 및 열을 이용한 드라이기의 일상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현대인들의 모발 손상이 빈번하게 대두 되고 있다. 이에 최근 화장료로 모발에 영양과 윤기를 증진시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그 효과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도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모 제형으로서 일시적으로 선명한 칼라 연출이 가능하고, 색상지속성이 우수하며 화학적 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인체에 안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 제10-1454874호 특허문헌 2: 국내공개특허 제2013-0123513호
종래의 염색은 모발손상이 일어나 잦은 염색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고, 사회적인 제약 또한 염색을 기피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일시적으로 염색이 가능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다. 일시적 염모제는 모발의 큐티클층에 색소, 안료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샴푸 세척만으로 모발에 염색된 색상이 모두 지워지는 것을 말한다. 모발의 손상 없이 다양한 칼라의 연출이 가능하여 개성표현의 수단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으나, 사용상의 불편함과 미약한 칼라 연출로 개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시장에서 유통되고 되고 있는 일시적 염모제는 분말콤팩트, 빗 타입, 칼라스프레이 및 왁스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제형이 분말로 된 콤팩트 제형으로 연출 시 가루가 떨어지고, 의상오염으로 이어져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연출 후에도 분말들이 날려 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칼라가 지워지게 되므로, 연출 시 스프레이 고정은 번거롭지만 필수적인 부분이다. 왁스 제형의 일시적 염모제의 경우에도 칼라 연출력이 미약하여 연출 시에 만족감보다는 사용상 불편함이 크게 다가와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약한 것이 지금 현 상황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로, 항균성 유황을 이용하여 방부활성을 갖으며, 일시적으로 염색이 가능한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미약한 칼라 염색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선명하고 뚜렷한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균성 유황을 이용하여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에 선명한 칼라를 연출할 수 있는 발색력이 우수한 일시 염모제를 개발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 제10-1454874호에서는 식이유황(Methyl sulfonyl methane)을 전체중량에 대해 일정량 첨가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는데, 식이유황은 34%의 황을 함유하는 dimethyl-sulfoxide(DMSO)의 산화대사 산물로서 자연적 유기 형태의 생체이용이 가능한 황이다. 식이유황을 이용한 화장품조성물을 기술하고 있기는 하지만, 식이유황은 고가의 물질로 황 함유량이 적은 것에 비하여, 본 기술에서 사용하는 유황(SULFUR)은 99% 이상의 고순도유황으로 전처리과정으로 평균 입경이 200~600nm의 가공된 유황입자를 함유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황은 가격이 저렴하며, 순도가 높아 항균력 적용에 있어서도 좋은 결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3-0123513호에는 일시적 염색효과를 가지는 모발 염색 화장료 조성물 특허에서는 실리콘오일과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이용한 일시적 모발염색제로 내수성, 부착성이 우수한 일시적 염색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화학방부제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완성하였고, 칼라연출을 위한 색소사용부분에서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티타늄다이옥사이드, 울트라마린 , 적색201호, 202호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색상을 연출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기술에서처럼 안료만으로 칼라를 연출하는 경우에는 색상 연출시 선명하지 않고, 칙칙하여 칼라 연출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997-0074135호에서는 일시 모발착색용 칼라헤어무스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진주광택안료를 사용하여 착색효과를 부여하고는 있지만, 분사제로서 고압의 LPG나 DME를 사용하여 밀폐시키고, 노즐을 이용하여 압력에 의해 거품으로 토출되는 무스제형이다. 이런 제형에서 내용물에 함유된 모발착색물들은 침강 및 응집에 의해 정치시 침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기술에서 개선의 목적으로 고급지방산 알칼리염을 사용하여 침전 개선 및 재분산효과를 높이고 있지만, 분사제 LPG와 내용물이 잘 혼합이 되어야 안정한 거품으로 토출이 가능하여 무스로서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 액화가스의 기화에 의해 형성되는 거품 안에 모발착색물들이 일정하게 분산되어야 모발에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내용물에 뭉침이 있거나 덩어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일정하게 발려지지 않으며 그에 따라 칼라연출 또한 미약할 수 있다. 하여 본 기술에서는 유동성 있는 액상제형의 조성물로 선행기술들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으로 쉽고 편리하게 연출이 가능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또 선행기술에서와의 차별점으로 본 기술에서는 발색력을 연출함에 있어서 진주광택안료를 안료와 일정비율로 혼합 코팅하여 적용함으로서 기존 선행기술에서 안료만 사용하여 연출했을 때보다 뚜렷한 칼라연출력을 구현하여 단점을 보완하였다. 이것은 판상구조의 진주광택안료에 안료를 올려놓은 구조로, 보다 뚜렷하고 선명한 칼라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주광택안료의 스파클링 효과를 함께 부각시킬 수 있어, 일시적인 염모제로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화학적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고,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고 있는 유황을 첨가하여 방부활성을 지니게 함으로서 인체에 더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방부제와 관련하여 CMIT, MIT 등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항균성 유황을 함유하여 방부효과를 가진다.
또한 일시적으로 칼라연출이 가능한 염모제 제형으로 기존 선행기술에 안료만 사용하여 칙칙한 칼라로 연출이 되었던 것과는 달리 진주광택안료의 SPARKING EFFECT가 더해져 선명하고 뚜렷한 칼라 연출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로 선명하고 뚜렷한 칼라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주광택안료의 스파클링 효과를 함께 부각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개성을 연출하는 수단으로서 가치있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황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입될 경우 독성이 강하여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독성이 있는 유황은 법제를 선행하지 않고는 사용이 어렵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유황이 오랜 시간 우리에게 이렇게 전해져 내려오는 이유는 우리에게 이로운 물질이라는 증거이다. 마늘과 양파추출물에 있는 함유황유기화합물은 현대적인 항생제가 나오기 전 티푸스, 콜레라, 이질과 같은 질병의 치료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법제유황을 이용한 친환경영농 뿐만 아니라, 의약품 및 기능성 건강식품에도 법제유황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항여드름, 항비듬과 같은 기능성 외용 화장료제조에 있어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또한 화장료 제조에 있어서 파라벤류, 트리클로산, 페녹시에탄올 등이 일반세균 및 진균 등의 미생물 발육 억제를 위한 방부제로 사용이 되고 있으나, 본 발명자는 이를 대신하여 방부활성을 지니는 유황을 이용하여 항균제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화장품 장기보존을 위한 보존료로서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기술에서 사용하는 유황은 유해성분이 제거된 정제된 유황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법제 유황을 제조하기 위하여 순도 90% 이상의 무기질 유황을 선별하여 물 100중량부에 상기 무기질 유황 10~ 20중량부 를 혼합한 다음 상온(15~25℃)에서 1~10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5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교반 공정에서 무기질 유황을 혼합하는 물은 염도 3~5도의 NaCl 염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도 바람직하며, 상기 염수 100중량부에 무기질 유황 10~20중량부, 부식토추출수 20~50중량부 및 커피가루 추출수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사포닌, 슈가에스터, 폴리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카제인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등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 중 1가지를 선택하여 계면활성제 2 내지 5중량부와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이의 가용성 염,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트라울메타인산나트륨, 울트라메타인산칼륨, 구연산 또는 구연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킬레이팅제 8중량부를 더 혼합하고 상온에서 5~10시간, 바람직하게는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유황의 유기 독성을 제거한다.
남아 있는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침전된 유황을 수거한 후 정제수 유황을 혼합하여 30~6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1차 정제를 한다. 이때 유황과 정제수의 혼합비는 1 : 3 내지 1 : 9의 중량비율로 혼합한다. 이후 필터프레스에서 회수된 유황을 건조하여 독성이 제거된 법제유황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의 정제방법은 계면활성제와 킬레이팅제를 이용하여 유해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법제 방법을 제시한다. 계면활성제의 세정 유화 기능과 킬레이팅제 금속이온 봉쇄 효과를 이용하여 종래의 복잡한 제조 과정들을 간소화시키고 순도 높은 법제유황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정제 단계를 거치 유황은 비트밀을 이용하여 분쇄공정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는 본 기술에서 평균 입경 100~300nm의 유황 0.1~1 중량부가 전체중량 100중량부에 필수성분으로 함유하여 방부활성을 갖는 인체에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염모제 화장료조성물은 왁스류 5~15중량부에 고급알코올 1~10중량부, 실리콘계오일 5~15중량부, 피막형성제 5~20중량부, 안료 1~15중량부, 진주광택안료 1~20중량부 및 상기 유황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여 윤기 있고 탄력 있는 머릿결로 지속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원료로 실리콘 오일을 주요 물질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휘발성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 메치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 메치콘은 우수한 스타일링 지속성을 부여한다. 하지만 사이클로메치콘 제형에 적용될 경우, 휘발성이 빠른 대신 사용감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므로 비휘발성 실리콘계 오일인 디메치콘이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등을 일정량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리콘계오일은 전체함량의 15중량부 가 넘어가게 되면 고온에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일이 높은 함량으로 처방되면, 칼라연출 후 건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짐현상으로 일시적 염모제 조성물로는 사용하기 불편한 제형이 될 수도 있으므로 15중량부 미만으로 처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부드럽고 균일한 발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왁스는 세레신왁스, 비즈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중 1종 또는 그 이상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전체중량의 5~15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조성물에서 첨가하는 유화제로서의 고급알콜은 고급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로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라우린산, 팔미티산 등으로, 전체 중량의 1~10% 사용이 바람직하다.
염료의 부착성향상과 스타일링으로 사용되는 피막형성제는 5~20중량부로 포함하되 수용성피막형성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메타크릴로일에칠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 암모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 메틸프로판올 아크릴레이트계폴리머 등의 피막형성제 중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본 조성물에서 연출 후 번짐이 없고 지속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모발에 일시적으로 칼라연출을 하기 위하여 본 기술은 진주광택안료를 안료와 일정비율로 혼합코팅하여 적용함으로서 기존 안료만 사용하여 연출했을 때 보다 뚜렷하고 선명한 칼라연출을 발현시킬 수 있다
진주광택안료는 일반 안료와는 달리 각형비를 갖는 판상결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상결정체의 굴절률과 매개질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이 간섭을 일으켜 천연진주와 같은 무지개채색 또는 금속성의 광택을 주기 위한 광학적효과가 있는 Effect Pigment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산화철(Iron Oxide), 산화티탄(Titanium Oxide), 산화크롬, 울트라마린블루/핑크/바이올렛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진주광택안료는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는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이나 산화철(Iron oxids)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metal oxide)들이 운모(mica)나 실리카에 피복되어 합성된다. 진주광택안료는 박편상의 입자로서 피부에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광을 반사하고, 반사광이 간섭을 일으켜 진주광택을 부여한다. 일단, 운모조각들이 입사광의 일부를 투과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빛은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는 판(layer)에 부딪치면서 굴절되고, 굴절된 모든 빛은 최적의 간섭광을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광택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본 기술에서는 사용되는 진주광택안료는 5㎛ ~250㎛ 범위인 운모를 1~20중량부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판상구조의 진주광택안료에 안료를 올려 결합해 높은 구조로, 보다 뚜렷하고 선명한 칼라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주광택안료의 스파클링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고함량의 안료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묻어나거나 세척이 잘 되지 않는 우려가 있으며 저함량을 사용하면 연출 후 묻어나거나 오염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적어지지만, 칼라 연출이 미약하여 뚜렷한 칼라연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실험을 통하여 진주광택안료와 안료의 적절한 비율을 찾아내고, 선명한 칼라를 연출하기 위한 적절한 함량을 찾아 본 기술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본 기술에서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를 기재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자 한다.
[실시예 1~4 , 비교예 1~2 ]
본 발명자는 칼라연출력에 있어서 선행기술에서의 안료만을 사용하여 칼라를 연출했던 것과는 달리 진주광택안료를 적절한 조합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서 차별화된 칼라연출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실시예1~4, 비교예1~2 의 조성물을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메치콘 5 5 5 5 4 8
사이클로메치콘 5 5 5 5 8 4
부틸렌글리콜 8 8 8 8 8 8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세틸알코올 5 5 5 5 5 5
비즈왁스 10 10 10 10 10 10
폴리비닐알코올
메타크릴로일에칠베타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5 5 5 5 5
Methacryloylethyl Betaine/ Acrylate copolymer 4 4 4 4 4 4
안료 5 10 12 15 10 15
진주광택안료 5 7 15 18 15 10
실시예1~4, 비교예 1~2 의 일시적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패널(여성 30명)에게 사용하게 하고 칼라연출력에 있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일시적인 염모제로서 연출 후 묻어나지 않음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쉽고 편리하게 연출이 되는 만큼, 연출 후 묻어남이 없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조성물로 개발하였다. 칼라 연출력과 묻어남을 패널들을 통하여 10점 척도로 만족감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기재하였다.
시험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칼라연출력 4 6 7 8 10 8
묻어남 7.5 7 6 5 9 7
만족도 5 5 6 7 9.5 8
상기 표2의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1의 진주광택안료와 안료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했을 때 칼라 연출력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실시예1에서 전체적인 염료함량이 낮은 경우 칼라연출이 미약하였으며, 실시예3~4 와 같이 염료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칼라 연출력에서는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함유되어있는 염료량이 높아 연출 후에 묻어남이 있어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교예2에서 칼라연출력에서는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비휘발성오일 함량이 비교예1보다 높아 연출 후 묻어남에 있어 비교예1보다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일시적 염모제로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함량으로 조합된 염료의 함량으로 선명하고 스파클링한 칼라연출력이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있었다. 실리콘오일의 사용 또한 연출 후 묻어남에 영향을 주게 되어, 오일의 함량 또한 편리한 연출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 결과를 전제로, 전처리 된 100~300nm 미립자 유황을 본 기술에서 발명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에 적용하여 실질적인 방부활성 여부를 유황함량별로 [표3]에서 검증해 보았다. 칼라연출력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비교예1 를 기준으로 유황미립자를 조성물에 적용하고, 균주의 투입량은 1* 107 ~ 108 CFU/ml 로 미립자 유황 함량에 따른 방부보존력실험(Challenge Test) 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5]
성분 비교예1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water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메치콘 4
사이클로메치콘 8
부틸렌글리콜 8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세틸알코올 5
비즈왁스 10
폴리비닐알코올
메타크릴로일에칠베타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
Methacryloylethyl Betaine/ Acrylate copolymer 4
Pigment 10
진주광택안료 15
미립자유황 0 0.3 0.5 0.7
E. coli , S. aureus , P. aeruginosa , B. Cepacia
0일차 1일차 3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시료1 비교예1 +++ +++ +++ +++ +++
시료2 비교예3 +++ +++ ++33 ++12 ++8
시료3 비교예4 +++ +++ ++20 - -
시료4 비교예5 +++ +++ ++5 - -
B. subtilis
0일차 1일차 3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시료1 비교예1 +++ +++ +++ +++ +++
시료2 비교예3 +++ ++20 +10 +7 +5
시료3 비교예4 +++ ++20 +4 - -
시료4 비교예5 +++ ++8 - +1 -
C. albicans
0일차 1일차 3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시료1 비교예1 +++ +++ +++ +++ +++
시료2 비교예3 +++ +++ - - -
시료3 비교예4 +++ - - - -
시료4 비교예5 +++ - - - -
A. niger
0일차 1일차 3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시료1 비교예1 +++ +++ +++ +++↓ +++400 ++70
시료2 비교예3 +++ +++ +++ +++↓ ++30 -
시료3 비교예4 +++ +++ +++↓ ++16 - -
시료4 비교예5 +++ +++ +++ +++↓ +2 -
전처리된 미립자유황이 함유된 본 발명의 일시적염모제 조성물의 방부보존력실험(Challenge Test)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4]에 기재하였다. 특히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하여는 미립자유황이 0.5% 조성물에 함유되었을 때 항균활성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7일차에서 균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는 유황미립자가 균내에 작용하는 효소력을 약화시켜 세포증식을 억제하여 항균력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여 본 발명자는 항균력이 검증된 미립자 유황을 본 조성물에 함유하여 인체에 유해한 방부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인체에 안전한 염모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뿐만 아니라, 칼라 연출력에 있어 안료와 진주광택안료의 조합으로 기존 선행기술과는 차별화된 선명한 연출력 외에 sparkling effect 부각시켜 일시적인 염모제로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5)

  1. 염모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화장료조성물은 평균입경 100~300nm 유황 0.1~1중량부를 전체중량의 100중량부에 필수성분으로 포함하여 방부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안전한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화장료조성물은 왁스류 5~15중량부에 안료 1~15중량부, 진주광택안료 1~20중량부, 고급알콜 1~10중량부, 실리콘오일 5~15중량부, 피막형성제로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산화철(Iron Oxide), 산화티탄(Titanium Oxide), 산화크롬, 울트라마린블루/핑크/바이올렛 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1~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류는 세레신왁스, 비즈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중 1종 또는 그 이상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전체중량의 5~15중량부이고,
    고급알콜은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라우린산, 팔미티산 중에서 1~10중량부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오일은 디메치콘이나 사이클로펜타실록산,페닐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되 전체함량에 5~15중량부로 포함하며,
    피막형성제는 5~20중량부로 수용성피막형성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메타크릴로일에칠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 암모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 메틸프로판올 아크릴레이트계폴리머의 피막형성제 군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여 염색 후 번짐이 없고 칼라지속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KR1020160115435A 2016-09-08 2016-09-08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KR20180028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35A KR20180028144A (ko) 2016-09-08 2016-09-08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435A KR20180028144A (ko) 2016-09-08 2016-09-08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39A Division KR101910394B1 (ko) 2018-04-23 2018-04-23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44A true KR20180028144A (ko) 2018-03-16

Family

ID=6191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435A KR20180028144A (ko) 2016-09-08 2016-09-08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1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U (ko) * 1996-11-21 1998-08-05 김영귀 기관오일 검출장치
KR20160037016A (ko) * 2014-09-26 2016-04-05 고예솔 흰머리 예방, 새치복원 및 빠른 발모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U (ko) * 1996-11-21 1998-08-05 김영귀 기관오일 검출장치
KR20160037016A (ko) * 2014-09-26 2016-04-05 고예솔 흰머리 예방, 새치복원 및 빠른 발모 효과를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9221B1 (ja) 染毛性整髪用組成物
EP1500385B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US4988502A (en) Mascara composition
CN110769800A (zh) 含有富勒烯的化妆材料用组合物
JP2002205933A (ja) ラン科植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103982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6894207B2 (ja) トラネキサム酸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CN104940044A (zh) 一种具有稳定拉丝效果的粉底霜及其制备方法
JP7039121B2 (ja) 化粧料用防腐抗菌剤
JP2002205950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及び化粧料組成物
EP4007641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keratin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eines organischen c1-c6-alkoxy-silans und einer aminosäure und/oder eines aminosäurederivats
WO2020126140A9 (de) Mittel zum färben von haaren enthaltend mindestens eine organische siliciumverbindung i
CN114224761A (zh) 一种彩妆组合物及制备方法和用途
JP2002068953A (ja) 化粧料組成物
KR101910394B1 (ko)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DE19926167B4 (de) Aerosol-Stylingmittel auf Wasserbasis mit Biochinonen
KR101584511B1 (ko) 이중 기능성 물질의 안정성이 개선된 파우더 화장품 제조방법
JP2004067587A (ja) 化粧料
KR20180028144A (ko) 항균성을 갖는 유황을 함유하는 일시적 염모제 화장료조성물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221738A (ja) 化粧料組成物
JP4400779B2 (ja) 水性ポイントメークアップ化粧料
CN110840791B (zh) 一种唇部彩妆产品及其制备方法
ITMI971602A1 (it) Polvere rivestita con derivati perfluorurati per prodotti protettivi contro i raggi u.v.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cosmetici
JP2002179521A (ja) 植物又は動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