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763A -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763A
KR20180027763A KR1020160114800A KR20160114800A KR20180027763A KR 20180027763 A KR20180027763 A KR 20180027763A KR 1020160114800 A KR1020160114800 A KR 1020160114800A KR 20160114800 A KR20160114800 A KR 20160114800A KR 20180027763 A KR20180027763 A KR 2018002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ll
drill bit
alignment
b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636B1 (ko
Inventor
김몽주
Original Assignee
김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주 filed Critical 김몽주
Priority to KR102016011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 확보를 증대시키기 위해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드릴과 안정적인 지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 작업시 드릴의 이탈을 억제하면서, 이 드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상부에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이루는 연장유닛;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의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홈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키홈에 상기 연장유닛 하부의 키가 결합되어 상기 연장유닛과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에 구비된 드릴날부로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비트유닛; 상기 드릴날부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장유닛의 하부와 상기 드릴비트유닛의 상부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측의 가이드부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정렬홀에 볼부재가 일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볼부재의 돌출부위가 상기 정렬홈에 밀착되는 결합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홀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로 상기 볼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드릴장치{DRILL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 확보를 증대시키기 위해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드릴과 안정적인 지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 작업시 드릴의 이탈을 억제하면서, 이 드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주는 대치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과의 임플란트 시술은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아울러, 일반 보철물이나 덴쳐(Denture,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게 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임플란트 시술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 위치를 천공한 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임플란트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드릴날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드릴날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네크부와, 제1네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네크부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유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는 생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시술 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 드릴링하기에는 그 길이가 짧아 시술이 불편하고, 더욱이, 이렇게 길이가 짧은 드릴이 결합된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에 드릴이 가려져 시술자가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은 드릴을 통한 시술과정에서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이 시술부위와 인접된 치아와 접촉됨으로 인해, 시술위치에서 어긋나게 됨은 물론, 인접된 치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드릴의 짧은 길이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드릴에 별도의 길이 연장부재를 결합시키는 종래기술이 제안된바 있지만, 환자의 치조골이나 턱뼈의 깊이와 같은 다양한 시술조건들에 따라 민감한 치수관계를 가지는 드릴장치의 구성들에 길이 연장부재와 연결되도록 드릴을 장착시키는 것이 까다로운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사용과정에서 드릴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연장부재와 드릴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등의 변형이 유발되어 드릴의 장착은 물론 드릴링 작업을 완료한 드릴의 분리도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드릴의 장착을 유지하기 어려워 정확한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렇게 드릴의 장착 유지가 어려움에 따른, 드릴링 작업 중 장착된 날카로운 드릴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탈하는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987호(2011.09.2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드릴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도록 하여 시술 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 드릴링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자의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의 확보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이 시술부위와 인접된 치아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시술위치의 어긋남 또는 인접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은 물론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장착된 드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그 장착을 유지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드릴의 이탈을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과정에서 상술한 드릴의 견고한 지지를 통해 드릴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연장부재와 드릴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드릴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상부에 치과용 핸드피스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이루는 연장유닛;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의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홈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키홈에 상기 연장유닛 하부의 키가 결합되어 상기 연장유닛과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에 구비된 드릴날부로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비트유닛; 상기 드릴날부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장유닛의 하부와 상기 드릴비트유닛의 상부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측의 가이드부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정렬홀에 볼부재가 일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볼부재의 돌출부위가 상기 정렬홈에 밀착되는 결합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홀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로 상기 볼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홀더부의 볼베어링이 결합되는 정렬홈; 상기 정렬홈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홀더부의 키가 결합되는 키홈; 상기 키홈의 하측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키를 포함하면서 상기 결합유닛의 상부에 삽입되는 하측 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유닛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릴비트유닛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유닛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릴비트유닛의 정렬홈은 상기 볼부재의 돌출부위 외주연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유닛의 정렬홀은 내측을 향해 모아지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볼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탄력조절유닛은 하단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가이드부 하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단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력조절유닛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탄력조절유닛 및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드릴날부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하부에서 구부러지며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정렬유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정렬유지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홈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끼움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는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볼부재를 밀착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절개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의 폭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절개홀이 절개된 길이에 따라 상기 볼부재를 지지하는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핸드피스의 홀더부에 장착되어 드릴비트유닛과 연결되는 연장유닛을 통해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연장유닛과 드릴비트유닛을 감싸는 결합유닛의 직경이 드릴날부가 이루는 직경과 가깝게 구비되어 드릴 자체가 슬림해짐으로써, 시술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 드릴링할 수 있고, 시술자의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의 확보가 증대되며,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이 시술부위와 인접된 치아와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시술위치의 어긋남 또는 인접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상술한 드릴비트유닛 및 연장유닛의 연결을 지지하는 결합유닛의 볼부재가 드릴비트유닛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이러한 볼부재를 탄성부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드릴비트유닛의 이탈을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용과정에서 상술한 지지관계를 통해 드릴비트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연장유닛과 드릴비트유닛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더불어, 볼부재가 드릴비트유닛의 정렬홈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됨에 의해 드릴비트유닛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가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탄력조절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단)과 하측(하단)은 연장유닛이 드릴비트유닛의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는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 확보를 증대시키기 위해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함은 물론, 장착된 드릴과 안정적인 지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드릴링 작업시 드릴의 이탈을 억제하면서, 이 드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유닛(10), 드릴비트유닛(20), 결합유닛(30) 및 탄력조절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장유닛(10)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그 상부가 치과용 핸드피스(1)의 홀더부(2)에 직접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이룸으로써, 그 하부에 연결되는 드릴비트유닛(20)도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장유닛(10)은 결합유닛(30)에 삽입 결합되는 하부를 제외한 상부는 치과용 핸드피스(1)에 직접 결합되는 종래의 드릴과 유사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그 하부에 연결되는 드릴비트유닛(20)의 드릴날부(23)와의 연결관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자체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근간을 이루는 것이다.
즉, 치과용 핸드피스(1)에 결합되는 상부는 종래의 드릴과 유사한 구성을 이루되, 그 하측에서 길이를 가지며 연결되는 드릴비트유닛(20)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드릴날부(23)는 치과용 핸드피스(1)와의 결합부위에서 종래의 드릴보다 길이가 연장되어 더 깊은 시술부위에서 드릴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장유닛(10)은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으로 정렬홈(11)이 형성되어 핸드피스(1) 홀더부(2)의 볼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되고, 이 정렬홈(11)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키홈(12)이 절개 형성되어 핸드피스(1) 홀더부(2)의 키(미도시)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이러한 정렬홈(11)과 키홈(12)을 통해, 연장유닛(10)이 핸드피스(1)의 홀더부(2)에 결합되어 고정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핸드피스(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고, 일체로 연결된 드릴비트유닛(20) 또한 고속으로 회전시켜 드릴날부(23)가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장유닛(10)은 상술한 키홈(12)의 하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몸체부(13)가 형성되는데, 이 몸체부(13)를 통해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연장유닛(10)은 하측 단부에 돌출된 키(15)를 구비하여 결합유닛(30)에 그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드릴비트유닛(20)과의 직접적인 연결 결합을 이루게 된다.
더불어, 연장유닛(10)은 몸체부(13)와, 키(15)를 포함하면서 결합유닛(30)의 상부에 삽입되는 하측 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결합유닛(30)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부(14)를 구비하여 결합유닛(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 하측 단부가 삽입된 결합유닛(30)과 외관상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드릴비트유닛(20)은 핸드피스(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장유닛(10)의 하측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드릴링 작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드릴비트유닛(20)은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의 정렬홈(21)이 형성되는데, 이 정렬홈(21)은 후술할 볼부재(33)가 면접촉되며 밀착 끼움되는 것으로 상술한 연장유닛(10)의 정렬홈(11)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볼부재(33)의 결합유닛(30)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 외주연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릴비트유닛(20)은 그 정렬홈(21)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키홈(12)이 형성되는데, 연장유닛(10)의 하부와 드릴비트유닛(20)의 상부가 결합유닛(3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술한 키홈(12)에 연장유닛(10)의 키(15)가 면접촉되며 결합됨으로써, 연장유닛(10)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 키홈(12)은 연장유닛(10)의 키홈(12)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키홈(22)은 상술한 연장유닛(10)의 키(15)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정렬홈(21)과 연결을 이루는 부분이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구비함으로써 연장유닛(10)과 더욱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릴비트유닛(20)은 상술한 키홈(22)의 하측으로 드릴날부(23)를 구비하여 고속 회전을 통해 직접적으로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링 작업을 수행한다.
더불어, 드릴비트유닛(20)은 드릴날부(23)의 상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결합유닛(30)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턱부(24)를 구비하여 결합유닛(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 상부가 삽입된 결합유닛(30)과 외관상 일체를 이룰 수 있고, 상술한 키홈(22)과 단턱부(24) 사이에 길이를 갖는 몸체부를 형성하여 그 길이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결합유닛(30)은 상술한 연장유닛(10)의 하부와 드릴비트유닛(20)의 상부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드릴날부(23)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전체가 슬림화를 이루도록 한다.
즉, 연장유닛(10)의 키(15)를 포함하는 하측 단부와 드릴비트유닛(20)의 드릴날부(23) 상측이 삽입되는 결합유닛(30)의 직경이 상술한 드릴날부(2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드릴 전체가 슬림해져 시술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 드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유닛(30)은 그 상부를 이루는 가이드부(31)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정렬홀(3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개의 정렬홀(32)에는 볼부재(33)가 각각 장착 결합된다.
이때, 볼부재(33)는 정렬홀(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결합유닛(30)의 중공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볼부재(33)의 결합유닛(30)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상술한 드릴비트유닛(20)의 정렬홈(21)에 면접촉되며 밀착되도록 끼워져, 연장유닛(10)과 일체로 연결된 드릴비트유닛(20)이 결합유닛(30)에 연결 결합되도록 함은 물론, 정렬홈(21)에 밀착 끼움된 볼부재(33)의 회전을 통해, 드릴비트유닛(20)의 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렇게 상술한 결합유닛(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연장유닛(10)과 드릴비트유닛(20)을 감싸 그 연결 결합을 지지함은 물론, 볼부재(30)를 통해, 드릴비트유닛(20)과 결합을 이루어 고속 회전마저도 지지하게 됨으로써,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연장유닛(10), 드릴비트유닛(20) 및 결합유닛(30) 모두가 안정적인 지지관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볼부재(33)는 상술한 정렬홀(32)에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유닛(30)의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되, 이미 설계된 범위 이상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볼부재(33)가 이루는 직경의 1/3 또는 1/4의 직경을 이루는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드릴비트유닛(20)의 정렬홈(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부재(33)에서 결합유닛(3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외주연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부재(33)의 돌출부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볼부재(33)가 장착되는 결합유닛(30)의 정렬홀(32)은 볼부재(33)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결합유닛(30)의 내측을 향해 모아지는 형상을 이루어 볼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게다가, 정렬홀(32)에 장착된 볼부재(33)는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됨은 물론, 미세하게 결합유닛(30)의 외측으로 돌출을 이루도록 하여 후술할 탄성부(42)의 가압을 통한 탄력적인 지지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술한 결합유닛(30)은 가이드부(31) 하측의 외주면을 따라 그 하단까지 돌출되는 결합부(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결합부(34)가 돌출되는 정도는 탄력조절유닛(4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직경 또한 드릴날부(23)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슬림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부(34)는 가이드부(31)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됨으로써, 그 상단에 단턱을 구비하게 되어 탄력조절유닛(40)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4)는 단턱을 이루는 상단 둘레를 따라 후술할 탄력조절유닛(40)의 회전방지돌기(43)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34a)을 구비함은 물론, 회전방지돌기(43)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정렬유지돌기(43a)가 끼워지는 끼움홈(34b)을 결합홈(34a)에서 연장되도록 구비한다.
이와 함께, 결합부(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의 하측에서 그 하단까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어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슬림화를 더욱 증진시킴은 물론, 시술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의 드릴링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탄력조절유닛(40)은 상술한 결합유닛(30)의 가이드부(31)를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관체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홀(41)을 통해, 절개홀(41)들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42)로 상술한 볼부재(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력조절유닛(40)의 두께는 상술한 결합부(34)가 가이드부(31)의 하측에서 돌출된 만큼의 크기를 갖고, 그 직경은 드릴날부(23)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슬림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탄력조절유닛(40)은 상술한 가이드부(31)를 감싸며 결합되어 탄성부(42)로 볼부재(33)를 탄력 지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데, 이는, 복수개의 절개홀(41)의 형성을 통해, 탄성부(42)가 가이드부(31)의 외측에서 탄력적으로 가이드부(31)를 가압 작용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절개홀(41)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그 절개홀(41)들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 길이 및 폭을 가지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부(42)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렇게 탄성부(42)를 구비한 탄력조절유닛(40)이 가이드부(31)를 감싸며 밀착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31)의 정렬홀(32)에 장착된 볼부재(33)들을 외측에서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술한 볼부재(33)가 정렬홀(32)에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1)의 외측으로 미세하게 돌출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탄성부(42)를 통한 탄력조절유닛(40)의 볼부재(33)에 대한 지지는 더욱 증대되는 것이고, 예컨대, 탄성부(42)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탄력조절유닛(4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연장유닛(10)과 드릴비트유닛(20)을 감싸 이들의 결합의 지지하는 결합유닛(30)의 가이드부(31)를 감싸며 지지함은 물론, 드릴비트유닛(20)과의 결합을 통해 그 회전을 지지하는 볼부재(30)의 장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연장유닛(10), 드릴비트유닛(20), 결합유닛(30) 및 탄력조절유닛(40) 모두가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게 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드릴비트유닛(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드릴비트유닛(2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상술한 볼부재(33)의 장착과 그 장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볼부재(33)가 정렬홀(32)의 외측으로 미세하게나마 후퇴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과, 이러한 볼부재(33)를 정렬홀(32)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간을 필요로 했지만, 상술한 탄력조절유닛(40)의 탄성부(42)는 복수개의 절개홀(41)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 발생되는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종래의 볼부재(33)가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어서, 드릴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별도로 마련된 볼부재(33)의 후퇴공간으로 인한 드릴링 작업시 변형이나 흔들림의 유발을 차단할 수 있고, 볼부재(33)의 후퇴공간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슬림화을 더욱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유닛(30)의 가이드부(31)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술한 볼부재(33)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력조절유닛(40)의 두께는, 볼부재(33)를 정확하게 가압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범위까지가 최적의 두께를 이루도록 하여 그 지지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력조절유닛(40)이 가이드부(31)를 감싸며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1)의 두께(t)와 탄력조절유닛(40)의 두께(t')의 합의 크기는 볼부재(33)의 직경(d)보다 작도록 해 볼부재(33)의 탄력 지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탄력조절유닛(40)은 탄성부(42)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심에서 볼부재(33)를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홀(41) 사이에 탄성부(42)가 구비되도록 하되, 탄성부(42)의 폭 또는 복수개의 절개홀(41)이 절개되는 길이에 따라 볼부재(33)를 지지하는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한 도 4와 같이, 절개홀(41)의 길이(l)를 길게 절개하거나, 탄성부(42)의 폭(w)이 작아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홀(41)을 절개할 경우, 우수한 탄성력으로 볼부재(33)를 밀착 지지할 수 있고, 이들과는 반대로, 절개홀(41)의 길이(l')를 짧게 절개하거나, 탄성부(42)의 폭(w')이 커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홀(41)을 절개할 경우, 볼부재(33)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탄성부(42)가 볼부재(33)를 지지하는 정도를 시술자나 시술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탄력조절유닛(40)은 하단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돌기(43)를 구비하고, 이 회전방지돌기(43)들은 결합부(43)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34a)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31)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된 탄력조절유닛(40)의 결합되어 정렬된 위치를 고정하여 볼부재(33)를 밀착 지지함에 따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탄력조절유닛(40)은 상술한 회전방지돌기(43) 하부에서 구부러지며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정렬유지돌기(43a)를 더 구비하고, 이 정렬유지돌기(43a)는 결합홈(34a)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끼움홈(34b)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탄력조절유닛(40)이 가이드부(31) 외주면에 결합되어 정렬된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결합된 탄력조절유닛(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체로 연결된 연장유닛(10)과 드릴비트유닛(20)을 감싸 이들의 결합의 지지하는 결합유닛(30)의 가이드부(31)를 감싸며 지지함은 물론, 드릴비트유닛(20)과의 결합을 통해 그 회전을 지지하는 볼부재(30)의 장착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조절유닛(40)의 결합되어 정렬된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연장유닛(10), 드릴비트유닛(20), 결합유닛(30) 및 탄력조절유닛(40) 모두가 안정적인 지지관계를 이루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유닛(10), 드릴비트유닛(20), 결합유닛(30) 및 탄력조절유닛(40)이 결합을 이룬 임플란트용 드릴장치를 핸드피스와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시켜 장치의 단순화를 유도함은 물론, 임플란트용 드릴장치의 슬림화에 따른, 경량화도 유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이 편리해짐과 더불어 제품의 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릴장치는, 핸드피스의 홀더부에 장착되어 드릴비트유닛과 연결되는 연장유닛을 통해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연장유닛과 드릴비트유닛을 감싸는 결합유닛의 직경이 드릴날부가 이루는 직경과 가깝게 구비되어 드릴 자체가 슬림해짐으로써, 시술부위의 좁고 깊은 지점까지 드릴링할 수 있고, 시술자의 드릴의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의 확보가 증대되며, 핸드피스의 헤드부분이 시술부위와 인접된 치아와의 접촉이 차단됨에 따라 시술위치의 어긋남 또는 인접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드릴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드릴 자체의 슬림화를 이루는 관계에 있어 상술한 드릴비트유닛 및 연장유닛의 연결을 지지하는 결합유닛의 볼부재가 드릴비트유닛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이러한 볼부재를 탄성부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시 드릴비트유닛의 이탈을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사용과정에서 상술한 지지관계를 통해 드릴비트유닛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연장유닛과 드릴비트유닛의 연결부위가 마모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함과 더불어, 볼부재가 드릴비트유닛의 정렬홈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됨에 의해 드릴비트유닛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것이다.
1 : 치과용 핸드피스 2 : 홀더부
10 : 연장유닛 11 : 정렬홈
12 : 키홈 13 : 몸체부
14 : 단턱부 15 : 키
20 : 드릴비트유닛 21 : 정렬홈
22 : 키홈 23 : 드릴날부
24 : 단턱부 30 : 결합유닛
31 : 가이드부 32 : 정렬홀
33 : 볼부재 34 : 결합부
34a : 결합홈 34b : 끼움홈
40 : 탄력조절유닛 41 : 절개홀
42 : 탄성부 43 : 회전방지돌기
43a : 정렬유지돌기

Claims (8)

  1.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상부에 치과용 핸드피스(1)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이루는 연장유닛(10);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의 정렬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홈(21)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키홈(22)에 상기 연장유닛(10) 하부의 키(15)가 결합되어 상기 연장유닛(10)과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에 구비된 드릴날부(23)로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비트유닛(20);
    상기 드릴날부(23)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장유닛(10)의 하부와 상기 드릴비트유닛(20)의 상부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측의 가이드부(31)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정렬홀(32)에 볼부재(33)가 일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볼부재(33)의 돌출부위가 상기 정렬홈(21)에 밀착되는 결합유닛(30); 및
    상기 가이드부(31)를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관체로 이루어지고,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홀(4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42)로 상기 볼부재(33)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조절유닛(40);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10)은,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1) 홀더부(2)의 볼베어링이 결합되는 정렬홈(11);
    상기 정렬홈(11)을 지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1) 홀더부(2)의 키가 결합되는 키홈(12);
    상기 키홈(12)의 하측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부(13); 및
    상기 몸체부(13)와, 상기 키(15)를 포함하면서 상기 결합유닛(30)의 상부에 삽입되는 하측 단부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유닛(30)의 상단에 밀착되는 단턱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비트유닛(20)은, 상기 드릴날부(23)의 상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결합유닛(30)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턱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비트유닛(20)의 정렬홈(21)은 상기 볼부재(33)의 돌출부위 외주연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유닛(30)의 정렬홀(32)은 내측을 향해 모아지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볼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유닛(40)은 하단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회전방지돌기(43)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30)은 상기 가이드부(31) 하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34)는 상단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상기 회전방지돌기(43)가 끼워지는 결합홈(34a)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4)는 상기 탄력조절유닛(40)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탄력조절유닛(40) 및 결합부(34)의 직경은 상기 드릴날부(23)가 이루는 직경에 가까운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43)는 하부에서 구부러지며 내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정렬유지돌기(43a)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34)는 상기 정렬유지돌기(43a)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홈(34a)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끼움홈(34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2)는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볼부재(33)를 밀착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절개홀(41)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42)의 폭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절개홀(41)이 절개된 길이에 따라 상기 볼부재(33)를 지지하는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KR1020160114800A 2016-09-07 2016-09-07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KR10186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00A KR101860636B1 (ko) 2016-09-07 2016-09-07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00A KR101860636B1 (ko) 2016-09-07 2016-09-07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763A true KR20180027763A (ko) 2018-03-15
KR101860636B1 KR101860636B1 (ko) 2018-05-23

Family

ID=6165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00A KR101860636B1 (ko) 2016-09-07 2016-09-07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219B1 (ko) * 2021-03-02 2021-12-30 차종학 구부려 사용 가능한 의료용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33B1 (ko) * 2008-11-10 2010-10-05 주식회사 디오 덴탈용 드릴연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219B1 (ko) * 2021-03-02 2021-12-30 차종학 구부려 사용 가능한 의료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636B1 (ko)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6014A1 (en) Dental implant
EP2127612A1 (en) Abutment assembly device and dental prosthesis
KR101988194B1 (ko) 보철물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는 임플란트용 티베이스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JP201753442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KR101758803B1 (ko)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EP2835110A1 (en)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EP3569184B1 (en) Dental implants
CN111491586B (zh) 牙科植体固定装置
US20140322665A1 (en) Guiding template for dental implantology
KR101860636B1 (ko)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KR102075997B1 (ko)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KR20160001352A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200424976Y1 (ko) 치과 임프란트 시술용 드릴 확장기구
KR20100052953A (ko) 교정 스크류 시술용 드라이버
KR20100051972A (ko) 덴탈용 드릴연장장치
US11298214B2 (en) Overdenture holder device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KR101408854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1015253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202100171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RU2705898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и высверли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для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