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244A -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44A
KR20180027244A KR1020160114598A KR20160114598A KR20180027244A KR 20180027244 A KR20180027244 A KR 20180027244A KR 1020160114598 A KR1020160114598 A KR 1020160114598A KR 20160114598 A KR20160114598 A KR 20160114598A KR 20180027244 A KR20180027244 A KR 20180027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book
authoring
contents
learn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7446B1 (en
Inventor
이현주
임진택
이하영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102016011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4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based multi-user participation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writing a textbook dynamically interlocked with multiple layers according to an instructional design without inserting learning content, auxiliary data, learning tools, videos, multimedia, and the like into a page electronic book or a digital text book. learning content, auxiliary data, learning tools, videos, multimedia, and the like are written in a page electronic book or a digital text book to be dynamically interlocked with multiple layers according to an instructional design. The layers are overlaid on an electronic book in an overlapping laminated structure, and are dynamically interlocked for each main page. Evaluation sentences, answer inputs, auxiliary data, progress management, and learning tools are fused in a single viewer to be play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learning content is not inserted into and integrated with an electronic book, but is separately generated. Accordingly, a copyright problem such as insertion posting between rights objects does not occur. Multiple users such as an author, a publisher, an instructional designer, a teacher, and a lecturer can separately write content of own fields, and can change and update the content frequently. Thus, it is possible to shorten an authoring period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authoring. Customized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tools are generated and provided for each class for each instructor by using multi-layer-based teacher-learner classes. By enha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leaner, the efficiency of learning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책형 전자책이나 디지털 텍스트북에 학습콘텐츠, 보조자료, 학습도구,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을 삽입하지 않고, 교수 설계에 따라 복수의 다중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되는 교재를 저작하기 위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nd method that does not insert learning contents, auxiliary materials, learning too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 text material dynamically linked to a plurality of multi-layers.

디지털 교과서가 일선 학교에 확대 보급되면서 저작도구에 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As digital textbooks are spreading to the frontline schools, the importance of authoring tools is increasing.

이러한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 텍스트 기반의 서책형 전자책과 달리 전자책에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기능을 갖춰 학습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과서 간의 상호작용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Unlike existing text-based ebooks, ebooks have multimedia learning functions such as video and animation, so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learners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learning can be generated. It is maximizing.

종래의 일반적인 저작도구에서는 pdf, doc, ppt, hwp 등의 각종 문서 포맷을 ePub 버전으로 자동 변환하여 전자책 문서 안에 각종 이미지와 동영상, 오디오, 애니메이션 등의 콘텐츠 객체를 삽입하여 일체화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이루어져 왔다.Conventional general authoring tools automatically convert various document formats such as pdf, doc, ppt, and hwp into ePub versions, insert content objects such as images, video, audio, .

이러한 저작 방식은 권리객체 간 콘텐츠의 삽입/게재 등에 있어서 동일성 유지권 침해라는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is authoring method may cause a copyright problem such as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maintain the same in the insertion / publication of contents between rights objects.

또한 하나의 완결된 출간물로서 출간된 디지털 교과서에 추후 임의로 학습콘텐츠, 동영상, 이미지 등 학습 콘텐츠 객체를 전자책 내부에 삽입하거나 학습 도구를 연결하는 등 변경이나 업데이트하기에 어려운 제약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or update such as inserting a learning contents object such as a learning contents, a moving image, an image, and the like into a digital textbook published as a completed publication, or connecting a learning tool.

무엇보다도, 대학의 디지털 교재는 검인정/국정 교과서 등에 한정되는 공교육의 디지털 교과서와 달리 대학 강의의 특성상 동일한 전공서라도 교수자 별로 다양한 교수법이 존재하여 각자가 추구하는 교수/학습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하고, 그에 맞는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저작도구는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bove all, the digital textbooks of universities are different from the digital textbooks of public education, which are limited to the intellectual / state textbooks of universities. Due to the nature of university lectures, there are diverse teaching methods for each professors of the same major, so that they can freely design their own teaching /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but existing authoring tools can not support th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36865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3686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책형 전자책이나 디지털 텍스트북에 학습콘텐츠, 보조자료, 학습도구,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이 교수 설계에 따라 복수의 다중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되게 저작하고, 이 레이어들이 전자책 위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 되어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고, 평가문항과 정답 입력, 보조자료, 진도관리 및 학습도구 등을 하나의 뷰어 안에서 재생하도록 융합하여, 기존의 기술과 달리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어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권리객체 간 삽입게재 등의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다중 레이어 기반 교수자-학습자별 Class를 이용하여 교수자마다 각각 Class 별로 맞춤형 학습콘텐츠와 학습도구를 패키지로 생성제공하여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book or a digital text book that can dynamically link learning contents, auxiliary materials, learning tools, moving pictures, multimedia, These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overlapped type and are dynamically interlinked on each page, and the evaluation items, correct answers, auxiliary materials, progress management and learning tools are fused to reproduce in one viewer, Unlike existing technologies, learning contents are not integrated into e-books, and due to the separat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re is no copyright problem such as insertions between right objects, Each professor creates a package of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tools for each class, Participation in multiple layer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based on multilateralism by strengthe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es to provide an authoring system and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은 ePub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한 전자책을 저작, 입력하여 서비스제공서버로 전달하는 출판단말기, 상기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된 전자책에 연동시키기 위한 학습콘텐츠를 저작하여 서비스제공서버로 전달하는 저작단말기 및 상기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학습단말기에서 상기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layered participant authoring system including a publishing terminal for authoring and inputting an electronic book based on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n ePub or a PDF format and delivering the electronic book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learning contents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so that the electronic books are link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inserting the learning contents into the electronic books,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s to be played back dynamically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uperposition type to the electronic book in the learning terminal.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학과별 클래스와 학습콘텐츠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학과별 교수 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전자책에 연동하여 학과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lass and the learning contents class package can be creat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of each department can be linked to the e-book, so that the individual lear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partment.

상기 학습콘텐츠는 학습보조자료, 강의 동영상자료, 평가문제자료, 진도평가자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earning aid materials, lecture video materials, evaluation question materials, and progress evaluation materials.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전자책을 전달받는 전자책등록모듈,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학습콘텐츠를 전달받는 콘텐츠입력모듈,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이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책출력모듈,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콘텐츠출력모듈, 상기 전자책등록모듈로 전달된 전자책에 콘텐츠입력모듈로 전달된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학습단말기에서 전자책출력모듈과 콘텐츠출력모듈을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연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n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electronic book autho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a content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s autho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 electronic book for outputting the electronic book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 conten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nd a conten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e-book transmitted to the e-book registration module, Wherein the learning content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dependent of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dynamically linked to the electronic 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uperposition type through the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and the content output module And an interlocking module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be reproduced.

서비스제공서버는 교수 설계 방식에 따라 학습콘텐츠를 복수의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하게 저작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되어 전자책의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writes the learning contents dynamically linked to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design method, and the plurality of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overlapped form to be dynamically linked with the main pages of the e-book .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XML 형태로 변환한 후, ePub 형식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 간 XML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nk between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achieved by converting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into the XML form, and then converting the e-book document page including the ePub format component xhtml or PDF format and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message synchronization between XML documents.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JSON 형태의 개방형 표준 포맷을 이용하여, ePub 형식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 간 JSON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nk between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achieved by mapping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to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by using an open standard format of JSON and using the e-book formatting component xhtml or the e-book document page including the PDF format And JSON between learning contents.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의 내용과 구성의 변경 없이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추가, 변경 및 업데이트 시킬 수 있고,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s can be separately added, changed and updated without changing the contents and configuration of the e-book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separately downloaded, synchroniz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은 (a)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ePub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한 전자책을 서비스제공서버가 전달받는 제1단계, (b)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학습콘텐츠를 서비스제공서버가 전달받는 제2단계 및 (c)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자책에 제2단계를 통하여 전달받은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학습단말기에서 상기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layered participatory authoring system including: (a) an electronic book based on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n ePub or a PDF format authored through a publishing terminal, (B) a second step of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s autho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 a step of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s delivered through the second step to the electronic book delivered through the first step Wherein the learning content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dependent of the electronic book so that the electronic books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inserted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dynamically And a third step of interlocking and reproducing.

상기 제2단계 이전에는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저작단말기로 전자책을 전달한 후 저작단말기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생성받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비스제공서버는 저작단말기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생성받은 후 저작단말기로 전자책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the electronic book to the authoring terminal and generate class information from the authoring terminal,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generate the class information from the authoring terminal, And the like.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된 학과별 클래스와 학습콘텐츠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학과별 교수 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전자책에 연동하여 학과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tep may include generating a class for each department and a learning content class package delive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for allowing the department to customize learning by linking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of each department to the e-book .

상기 제3단계에서는 교수 설계 방식에 따라 학습콘텐츠를 복수의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하게 저작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되어 전자책의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the learning contents are dynamically linked 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a teaching design method, and the plurality of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superposed form to be dynamically linked with the body pages of the e-book .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XML 형태로 변환한 후, ePub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의 XML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the link between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performed by converting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into an XML form, And synchronizing messages between the page and the XML of the learning content.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JSON 형태의 개방형 표준 포맷을 이용하여, ePub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의 JSON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the linkage between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performed by mapping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using an open standard format of JSON and including xhtml or PDF format And synchronizing the message between the e-book document page and the JSON of the learning content.

상기 제3단계 이후에는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의 내용은 변경 없이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와,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동기화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third step, the step of updating only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ing the content of the e-book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may be performed. Also, the learning contents may be separately downloaded and synchronized and repro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서책형 전자책이나 디지털 텍스트북에 학습콘텐츠, 보조자료, 학습도구,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이 교수 설계에 따라 복수의 다중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되게 저작하고, 이 레이어들이 전자책 위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 되어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 되고, 평가문항과 정답 입력, 보조자료, 진도관리 및 학습도구 등을 하나의 뷰어 안에서 재생하도록 융합하여, 기존의 기술과 달리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어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권리객체 간 삽입 게재 등의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저자나 출판편집자, 교수설계자, 교수자, 강사 등의 다자가 자기 분야만의 콘텐츠를 분리해서 저작하고, 수시로 변경/업데이트할 수 있어서, 저작 기간의 단축과 저작의 편의성을 개선하며, 다중 레이어 기반 교수자-학습자별 Class를 이용하여 교수자마다 각각 Class 별로 맞춤형 학습콘텐츠와 학습도구를 패키지로 생성 제공하여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learning contents, auxiliary materials, learning tools, moving pictures, and multimedia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ulti- Layer, and these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in a superimposed hierarchical structure to be dynamically interlinked on each page, and the evaluation items, correct answers, auxiliary materials, progress management and learning tools can be displayed in a single viewer It is not possible to integrate the learning contents into the e-book, unlike the existing technology, and thus the copyright problem such as the insertion of the right object between the rights object does not occur due to the separated structural characteristic, Professors such as professors, instructors, instructors, etc. can separate the contents of their own field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uthoring period and shorten authoring period and to provide a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tool package for each instructor by using multilayer based teacher - And enhancing the learning efficiency by enha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과 콘텐츠의 맵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맵핑 연동의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맵핑 연동의 실제 구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전자책을 복수의 교수 설계자가 각자의 콘텐츠를 결합하여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책을 한 명의 교수 설계자가 자기의 콘텐츠와 결합하여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콘텐츠 패키지를 학습자가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ss of mapping an electronic book and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apping between an electronic book an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actual implementation example of mapping between an electronic book an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lurality of instruction designers combine and use the contents of one e-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ingle instructor designates a plurality of electronic boo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their contents,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a learner using a learning content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은 서책형 전자책이나 디지털 텍스트북(일반적으로 ePub과 PDF 기반의 eBook)에 보조자료, 학습도구,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의 학습콘텐츠를 삽입하지 않고, 교수 설계에 따라 복수의 다중 레이어(layer)에 동적으로 연동하게 저작하여, 상기 레이어들이 전자책 위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 되어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고, 평가문항과 정답 입력, 보조자료, 진도관리 및 학습도구 등을 하나의 뷰어 안에서 재생하도록 융합한 디지털 교재의 다자 참여 저작도구(authoring tool)에 관한 것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판단말기(100), 서비스제공서버(200), 저작단말기(300) 및 학습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learning contents such as auxiliary materials, learning tools, videos, and multimedia into a book-type e-book or a digital textbook (generally ePub and PDF- The layers are overlaid on the electronic 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 superposed form and dynamically interlinked on the basis of the text pages, and the evaluation items, correct answers,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 authoring terminal (300), and a learning terminal (400).

출판단말기(100)는 ePub 기반의 전자책을 저작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저자나 출판사에 구비된 노트북, 데스크탑 피씨, 태블릿 피씨, 휴대용 기기 등의 단말기이다.The publishing terminal 100 is a device for authoring an ePub-based e-book and delivering it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such as a notebook, a desktop PC, a tablet PC, and a portable device provided in an author or publisher.

저작단말기(300)는 상기 출판단말기(100)를 통하여 전달된 전자책에 연동시키기 위한 학습콘텐츠를 저작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대학교에서의 교수, 강사 등의 교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데스크탑 피씨, 태블릿 피씨, 휴대용 기기 등의 단말기이다.The authoring terminal 300 authorizes learning contents for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book delive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authored contents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For example, Desktop PCs, tablet PCs, handheld devices, etc., which are used by the instructors.

학습단말기(400)는 학습을 위한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 데스크탑 피씨, 태블릿 피씨, 휴대용 기기 등의 단말기이다.The learning terminal 400 is a terminal such as a notebook PC, a desktop PC, a tablet PC, and a portable device used by students for learning.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학습콘텐츠를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학습단말기(400)에서 학습콘텐츠가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한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forms a plurality of layers independent of the electronic book so that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out inserting the learning contents into the electronic book, So that the contents are dynamically interlocked and reproduc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n overlapped form in the electronic book.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판단말기(100)를 통하여 저작된 전자책을 전달받는 전자책등록모듈(210), 저작단말기(300)를 통하여 저작된 학습콘텐츠를 전달받는 콘텐츠입력모듈(230), 학습단말기(400)를 통하여 전자책이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책출력모듈(260), 학습단말기(400)를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콘텐츠출력모듈(280), 전자책등록모듈(210)로 전달된 전자책에 콘텐츠입력모듈(230)로 전달된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학습단말기(400)에서 전자책출력모듈(260)과 콘텐츠출력모듈(280)을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연동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ncludes an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210 for receiving an electronic book autho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100, an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210 for receiving the authored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300 An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260 for outputting an electronic book through the content input module 230 and the learning terminal 400, a content output module 280 for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400, The learning contents may be linked to the e-book delivered to the registration module 210 so that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out inserting the learning contents delivered to the content input module 230. [ And a linking module 250 fo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s to be dynamically linked and reproduced in hierarchical structure to the electronic book through the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260 and the content output module 280 in the learning terminal 400 ) .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출판단말기(100)를 통하여 저작된 전자책을 서비스제공서버(200)의 전자책등록모듈(210)을 통하여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등록한다(S110).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electronic book autho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100 is received through the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210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stored in the database (S110).

전자책은 XML, JSON, PDF, ePub 2.0 또는 ePub 3.0 등의 포맷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EBooks can be produced in formats such as XML, JSON, PDF, ePub 2.0 or ePub 3.0.

이어서, 저작단말기(30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저작자 인증 과정을 거치고(S120), 서비스제공서버(200)에 등록된 전자책을 요청한다(S130).Then, an autho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a preset manner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300 (S120), and an electronic book registered 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s requested (S130).

서비스제공서버(200)에서는 등록받은 전자책 중 txt, doc 또는 hwp 등의 문서파일을 ePub 생성을 위한 pre-format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모듈이 구비되며, OCF(Open Container Format) 3.0 버전을 준수한 ePub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s provided with a module for converting a document file such as txt, doc, or hwp into a pre-format file format for creating an ePub among the registered e-books, and is provided with an OCF (Open Container Format) ePub can be created.

그리고 ePub 전자책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128비트키 또는 256비트키의 AES, ECC, SHA-1 및 SHA-224/256 등 암호화 기법을 적용하고, DRM 모듈을 구비한다.Also, encryption technique such as AES, ECC, SHA-1 and SHA-224/256 of 128 bit key or 256 bit key for copyright protection of ePub ebook is applied and DRM module is provided.

이어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요청한 전자책을 저작단말기(300)로 제공하고(S140), 교수자는 자신이 속한 학과의 Class 패키지를 생성하여 제공받은 전자책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수설계를 한 후(S150), 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S155).The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the requested e-book to the authoring terminal 300 (S140). The instructor creates a class package of his / her department and design instruc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ovided e-book (S150), and transmits it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S155).

한편, 서비스제공서버(200)는 교수자의 저작단말기(300)로부터 학과의 class 패키지를 먼저 생성받은 후, 요청한 전자책을 저작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may first generate the class package of the department from the authoring terminal 300 of the instructor, and then provide the requested electronic book to the authoring terminal 300.

교수설계로는 대학교 강의를 예로 들어, 학과나 클래스의 학습 과정으로써 학습목표 설정, 학습영역 설정, 학습요소 설정, 학습내용 자료 제시, 피드백, 평가 등이 될 수 있다.In instructional design, for example, university lecture can be set as learning process of class or class, setting of learning goal, setting of learning area, setting of learning element, pres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data, feedback and evaluation.

이어서, 저작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전자책 내용을 기반으로 강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콘텐츠를 저작하고, 저작된 학습콘텐츠는 서비스제공서버(200)의 콘텐츠입력모듈(230)을 통하여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등록한다(S160).Then, the authoring terminal 300 authorizes the learning contents which can be lectur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book, and the authored learning contents are received through the contents input module 230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S160).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는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된다.In the database,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separately managed separately.

따라서, 저작단말기(300)에서는 전자책을 볼 수 있는 메타 뷰어가 제공되어야 하며, 멀티미디어(이미지/동영상) 업로드 도구, 콘텐츠 상세내용 추가 도구, 다지 선다형, 주관식 등 문항 출제 템플릿 도구 등 학습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uthoring terminal 300 should be provided with a meta viewer capable of viewing e-books, and authoring learning contents such as a multimedia (image / video) uploading tool, content details adding tool, Dodge multiple choice, And applications that can do so.

교수자마다 자신이 속한 학과의 Class 패키지를 생성하고, 교수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디지털 교재로 사용하려는 전자책에 맵핑 연동하여 디지털 교재를 통해 학과별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Each classroom instructor can create a class package for his or her department, and customized learning can be done through digital textbooks by link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to e-books to be used as digital teaching materials.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서버(200)의 연동모듈(25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Pub 구성요소인 전자책에 강의 동영상, 학습퀴즈, 진도평가, 학습 보조자료 등의 학습콘텐츠를 맵핑하는 것으로, 전자책을 구성하는 xhtml의 구성요소와 메타태그 및 XML 맵핑 간 메시지 동기화(Sync)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한다(S170).To this end, the interworking module 250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maps learning contents such as a lecture moving picture, a learning quiz, a progress evaluation, and learning assistance data to an e-book component as an ePub component , A class package is created with the message synchronization (Sync) between the meta tag and the XML mapping of the component of xhtml constituting the electronic book (S170).

도 3의 예를 들면, Part1.xhtml과 Part2.xhtml은 메타태그 A-1 및 XML 맵핑 A-1 간 메시지 동기화(Sync) A-1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Part3.xhtml, Part4.xhtml, Part5.xhtml는 메타태그 A-2 및 XML 맵핑 A-2 간 메시지 동기화(Sync) A-2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여, 학습 진도 단위별 학습콘텐츠의 맵핑 및 클래스 패키지 생성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Part1.xhtml and Part2.xhtml in FIG. 3 generate a class package with message synchronization (Sync) A-1 between meta tag A-1 and XML mapping A-1, and Part3.xhtml, Part4.xhtml, Part5.xhtml can create a class package with message synchronization (Sync) A-2 between meta tag A-2 and XML mapping A-2, and can map learning contents and create class packages for each learning progress unit.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맵핑 연동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책의 뷰 레이어와, 동영상 Player 뷰 레이어, 평가문항 및 진도관리 뷰 레이어, PDF 뷰 레이어 등 학습콘텐츠들의 뷰 레이어가 다중 레이어 맵핑에 의해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되어 전자책의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동기화 연동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view layer of the learning contents such as the view layer of the e-book, the movie Player view layer, the evaluation question, the progress management view layer, and the PDF view layer is linked to the multi-layer mapping And overlapped wit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overlapped type and dynamically synchronized with the body page of the electronic book.

참고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과별 클래스에 따른 전자책 페이지와 학습콘텐츠 패키지의 맵핑을 마크업 언어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는 학과별 클래스의 식별 아이디 및 업데이트 버전에 대한 부분, 전자책의 식별 아이디 및 학습페이지 설정 영역 부분, 학습콘텐츠 패키지와 전자책 본문 페이지의 레이어 동적 연동 영역 부분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5,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page and the learning contents package according to the class of each department can be expressed in a markup language.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class and the part of the updated version, And a learning page setting area portion, a learning content package, and a dynamic dynamic linking region portion of an e-book body page.

도 6은 하나의 전자책에 두 명의 교수자가 강의 교재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전자책의 Part1.xhtml과 Part2.xhtml은 A 클래스에서 메타태그 A-1 및 XML 맵핑 A-1 간 메시지 동기화(Sync) A-1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B 클래스에서도 메타태그 B-1 및 XML 맵핑 B-1 간 메시지 동기화(Sync) B-1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한 것이고, 전자책의 Part3.xhtml, Part4.xhtml, Part5.xhtml는 A 클래스에서 메타태그 A-2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B 클래스에서도 메타태그 B-2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한 것이다.6 shows the use of two instructors as teaching materials in one e-book, Part1.xhtml and Part2.xhtml of the e-book are used for message synchronization between meta tag A-1 and XML mapping A-1 in class A Sync) A class package was created with A-1, and a class package was created with B-1 message synchronization (Sync) B-1 between meta tag B-1 and XML mapping B-1. Also, Part3.xhtml, Part4.xhtml, Part5.xhtml creates a class package with meta tag A-2 in class A, and class package with meta tag B-2 in class B.

도 7은 전자책 1을 주교재로 사용하고, 전자책 2를 부교재로 사용하는 등 복수의 전자책을 하나의 클래스 패키지로 생성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전자책 1의 Part1.xhtml과 Part2.xhtml은 A 클래스에서 메타태그 A-1 및 XML 맵핑 A-1 간 메시지 동기화(Sync) A-1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전자책 2의 Part3.xhtml, Part4.xhtml, Part5.xhtml는 A 클래스에서 메타태그 A-2 및 XML 맵핑 A-2 간 메시지 동기화(Sync) A-2로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한 것이다.7 shows that a plurality of electronic books are created in one class package, such as using the electronic book 1 as a main teaching material and using the electronic book 2 as a supplementary material. Part1.xhtml and Part2.xhtml of the electronic book 1 are A Synchronization of messages between meta tag A-1 and XML mapping A-1 in class A-1 creates a class package with A-1, and Part3.xhtml, Part4.xhtml, and Part5.xhtml in e-book 2 are meta tags Message Synchronization between A-2 and XML Mapping A-2 (Sync) A class package was created with A-2.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래스 패키지가 생성되면 이를 강의에 사용하기 위한 정식 디지털 교재로 등록을 하고, 학습단말기(400)로 제공되도록 하여, 학과별 교수 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전자책에 연동하여 학과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80).As described above, when a class package is created, it is registered as a formal digital teaching material for use in lectures, and is provided to the learning terminal 400, so that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instructional design of each department are linked to e-books, (S180).

상기 디지털 교재는 학습단말기(400)에서 전자책 레이어 위에 동영상, PDF, 학습 자료 등 학습콘텐츠 객체들의 레이어를 겹쳐서 유기적으로 결합해 뷰어에 출력되며, 상기 레이어는 클래스별, 온/오프라인 상태, 학습콘텐츠의 다운로드/저장 여부 따라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is layered on a layer of learning contents objects such as a moving picture, a PDF, a learning material, and the like on an electronic book layer in the learning terminal 400 and is output to a viewer. The layer is classified into classes, May be displayed or not displayed depending on whether the downloaded / saved data is stored.

아울러, 학습단말기(400)를 통하여 디지털 교재를 제공받으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디, 학번, 이메일 등 개인 식별 및 관계를 인증하는 등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하며, 사용자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학습 진도 단위별 학습콘텐츠의 맵핑 및 패키지를 제공받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the digital teaching material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400, a predetermined user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authentication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relationship such as ID, student ID, e-mail, etc., as shown in FIG. 8, The learning can be performed by downloading and updating the learning contents by receiving the mapping and the package of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learning progress unit.

예를 들면, 학습용 전자책을 구매한 구매자에 한 해 CEK 생성과 관리 및 License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책 구매자는 부가 기능으로, My 서재, 메모장, 노트, 공유, 기능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CEK generation and management and license issuance can be performed only for purchasers who purchase e-books for learning, and e-book purchasers are provided with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My library, notepad, notebook, .

따라서, A 클래스 교수자의 A 클래스 학습콘텐츠, B 클래스 교수자의 B 클래스 학습콘텐츠 등 교수자와 학습콘텐츠별 클래스를 이용하여 각 대학교의 교수자가 자기의 교수설계에 따라 대학 전공서적에 학습콘텐츠(PDF, 동영상 등)와 학습평가를 패키지로 생성 제공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 클래스별로 각자의 Class 패키지와 맵핑 테이블을 온라인 공간(클라우드)에 저장하여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며(오프라인 저장 가능, 버전 체크 업데이트), 한 권의 전공서가 각 대학별, 교수별, 클래스별로 디지털 교재화 되어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여 교수자,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instructor class and the learning contents class such as the A class learning contents of the A class instructor and the B class learning contents of the B class instructor, the instructor of each university instructs the learning contents (PDF, video Etc.) and learning evaluations as a package, and by storing class packages and mapping tables of each clas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n the online space (cloud), it is possible to update in real time (offline storage, It is possible to make customized learning by converting digital books into university textbooks, professors, and classes according to the book.

아울러, 저작단말기(300)를 통하여 전자책의 내용은 변경 없이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업데이트 시킬 수 있고, 학습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e-book can be updated separately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300 without modifi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separately downloaded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40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을 통하여Through the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tory authoring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기존의 기술과 달리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어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권리객체 간 삽입게재 등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다중 레이어 기반 교수자와 학습자별 클래스를 이용하여 교수자마다 각각 클래스별로 맞춤형 학습콘텐츠와 학습도구를 패키지로 생성 제공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Unlike the existing technology, learning contents are not integrated into e-books and integrated. Due to the separat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pyright problem such as insertion insertion between right objects. In add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b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나아가 저자나 출판사는 ePub 등의 전자책을 입력하고, 교수/콘텐츠 제공자는 학습콘텐츠를 입력하는 등 전자책 저작자, 출판사, 교수 등 다자가 디지털 교재 저작에 참여할 수 있어서 디지털 교재 저작에 걸리는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국내 대학의 디지털 교재 사용의 활성화는 물론, 플랫폼을 통해 외국 시장 진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uthors and publishers can enter electronic books such as ePubs, and professors / content providers can input learning contents, so that e-book authors, publishers, and professors can participate in digital teaching materials. And ultimately,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domestic universities can be promoted,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foreign market entry through the platform can be secured.

아울러, 디지털 교재를 분절 판매나 대여형 판매의 기술적 시스템 도입으로 전공서적 구매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경제적/산업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a technical system of segmental sales or rental sales of digital textbook material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urchase burden of major books can be expected, thus securing economic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10 내지 단계 S180에 따른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steps S110 to S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grammed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memory, a ROM, and an EEPROM so that the computer can read the program.

또한 온라인 가상서버,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등의 온라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It can also be implemented online, such as online virtual servers and cloud-based softwar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100: 출판단말기 200: 서비스제공서버
210: 전자책등록모듈 230: 콘텐츠입력모듈
250: 연동모듈 260: 전자책출력모듈
280: 콘텐츠출력모듈 300: 저작단말기
400: 학습단말기
100: publishing terminal 200: service providing server
210: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230: content input module
250: interlock module 260: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280: Content output module 300: Authoring terminal
400: learning terminal

Claims (16)

ePub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한 전자책을 저작, 입력하여 서비스제공서버로 전달하는 출판단말기;
상기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된 전자책에 연동시키기 위한 학습콘텐츠를 저작하여 서비스제공서버로 전달하는 저작단말기; 및
상기 전자책에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학습단말기에서 상기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a publishing terminal for authoring and inputting an e-book based on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n ePub or a PDF format and delivering the e-book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A authoring terminal for authoring and delivering learning contents for interlocking with the electronic book delive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learning conten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dependent of the e-book so that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out inserting the learning contents into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 is superimposed on the e-book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to be reproduced dynamically in a hierarchical form
A multi-layer based multi-participant autho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학과별 클래스와 학습콘텐츠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고, 학과별 교수 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전자책에 연동하여 학과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terminal generates a class for each department and a learning content class package, and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of each department are linked with the e-book to provide customized learning for each department. Autho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콘텐츠는 학습보조자료, 강의 동영상자료, 평가문제자료, 진도평가자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multi-layered participa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content comprises at least one of learning aid data, lecture moving picture data, evaluation question data, and progress evaluation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전자책을 전달받는 전자책등록모듈;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학습콘텐츠를 전달받는 콘텐츠입력모듈;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이 출력되도록 하는 전자책출력모듈;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콘텐츠출력모듈; 상기 전자책등록모듈로 전달된 전자책에 콘텐츠입력모듈로 전달된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상기 학습단말기에서 전자책출력모듈과 콘텐츠출력모듈을 통하여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연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es: an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receiving the electronic book authored through the publishing terminal; A content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s autho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 electronic book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 conten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The learning content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dependent of the electronic book so that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the learning contents delivered to the contents input module are not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book delivered to the electronic book registration module And an interworking module fo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s to be dynamically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n overlapped form through the electronic book output module and the content output module in the learning terminal, Multilayer Participation Autho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서버는 교수 설계 방식에 따라 학습콘텐츠를 복수의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하게 저작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되어 전자책의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writes the learning contents dynamically linked to the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designing method, and the plurality of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overlapped form, Layered participant autho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XML 형태로 변환한 후, ePub 형식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 간 XML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ing of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performed by converting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into an XML form, And a synchronization between the document page and the XML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JSON 형태의 개방형 표준 포맷을 이용하여, ePub 형식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 간 JSON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ing of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ncludes mapping of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using an open standard format of JSON and includes xhtml or PDF format And the JSON between the electronic book document page and the learning cont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의 내용과 구성의 변경 없이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추가, 변경 및 업데이트 시킬 수 있고,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oring terminal can add, change and update only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ing the contents and configuration of the e-book, and can download and separately reproduce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Based multilayered participation system. (a) 출판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ePub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한 전자책을 서비스제공서버가 전달받는 제1단계;
(b)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저작된 학습콘텐츠를 서비스제공서버가 전달받는 제2단계; 및
(c) 상기 제1단계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자책에 제2단계를 통하여 전달받은 학습콘텐츠가 삽입되지 않으면서 전자책과 학습콘텐츠가 연동되도록 상기 학습콘텐츠를 상기 전자책과 독립적인 형태의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학습단말기에서 상기 학습콘텐츠가 상기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동적으로 연동 되어 재생되도록 제공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
(a) a first step in which a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electronic book based on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n ePub or a PDF format authored through a publishing terminal;
(b) a second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learning contents autho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c) receiving the learning contents delivered through the second step in the e-book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tep, and inserting the learning contents into a plurality of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s to be dynamically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uperposition type so as to be reproduced in the learning terminal
Layer based participant authoring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전에는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저작단말기로 전자책을 전달한 후 저작단말기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생성받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서비스제공서버는 저작단말기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생성받은 후 저작단말기로 전자책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before the second step, transmitting the electronic book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o the authoring terminal and generating class information from the authoring terminal, o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generate class information And delivering the electronic book to the authoring termina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된 학과별 클래스와 학습콘텐츠 클래스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학과별 교수 설계에 따른 학습콘텐츠를 전자책에 연동하여 학과별 맞춤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hird step comprises: generating a class and a learning content class package delivered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customized learning according to the department, Layer based participant authoring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교수 설계 방식에 따라 학습콘텐츠를 복수의 레이어에 동적으로 연동하게 저작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전자책에 중첩 형태의 계층 구조로 오버레이되어 전자책의 본문 페이지별로 동적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learning contents are dynamically linked 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a teaching design method, and the plurality of layers are overlaid on the e-book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e-boo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XML 형태로 변환한 후, ePub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의 XML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9]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performed by converting the mapping between the e-book learning setting area 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into an XML form, Comprising: synchronizing a message between an e-book document page and XML of a learning conte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전자책과 학습콘텐츠의 연동은 전자책 학습 설정 영역과 학습콘텐츠 및 메타태그와의 맵핑을 JSON 형태의 개방형 표준 포맷을 이용하여, ePub의 구성요소인 xhtml 또는 PDF 형식을 포함하는 전자책 문서 페이지와 학습콘텐츠의 JSON 사이의 메시지 동기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linking of the electronic book and the learning contents is performed by using an open standard format of the JSON format and a mapping between the electronic book learning setting area 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a tag, Comprising: synchronizing messages between an e-book document page including a PDF format and JSON of a learning conten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는 상기 저작단말기를 통하여 전자책의 내용은 변경 없이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업데이트 시키는 단계와, 학습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학습콘텐츠만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동기화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updating only the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e-book through the authoring terminal; and allowing the learning contents to be separately downloaded and synchroniz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Layer based participant authoring method.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15.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ultilayer-based multilayered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5 is recorded.
KR1020160114598A 2016-09-06 2016-09-06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KR101987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98A KR101987446B1 (en) 2016-09-06 2016-09-06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98A KR101987446B1 (en) 2016-09-06 2016-09-06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44A true KR20180027244A (en) 2018-03-14
KR101987446B1 KR101987446B1 (en) 2019-06-12

Family

ID=6166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98A KR101987446B1 (en) 2016-09-06 2016-09-06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029A (en)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System for providing video lecture and method thereof
KR102420576B1 (en) * 2021-08-25 2022-07-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Systems that provide textbook-based responsive digital textbooks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144B1 (en) * 2023-05-30 2023-12-27 주식회사 테스트뱅크 Methods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user interaction in multi-layer structu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761A (en) * 2005-07-06 2007-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ayered lecture contents
KR20130110853A (en) * 2012-03-30 2013-10-10 조대현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books
KR20140036865A (en) 2012-09-18 2014-03-26 주식회사 위베스트교육 Study system and process using multiple-input appatatus
KR20140041211A (en) * 2012-09-27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40044612A (en) * 2012-10-05 2014-04-15 홍희동 Grade management system with collaboration learning contents produc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761A (en) * 2005-07-06 2007-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ayered lecture contents
KR20130110853A (en) * 2012-03-30 2013-10-10 조대현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books
KR20140036865A (en) 2012-09-18 2014-03-26 주식회사 위베스트교육 Study system and process using multiple-input appatatus
KR20140041211A (en) * 2012-09-27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40044612A (en) * 2012-10-05 2014-04-15 홍희동 Grade management system with collaboration learning contents produc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029A (en)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System for providing video lecture and method thereof
KR102420576B1 (en) * 2021-08-25 2022-07-15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Systems that provide textbook-based responsive digital textbooks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7488B1 (en) * 2021-08-25 2022-09-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A responsive digital text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maximizes learners' five senses
KR102447486B1 (en) * 2021-08-25 2022-09-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indirect contact and virtual manipulation of learners with target learning materials
KR102447487B1 (en) * 2021-08-25 2022-09-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A system that allows learners to easily recognize their own learning attitude, achievement, and concentration
KR102447484B1 (en) * 2021-08-25 2022-09-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A system that collects multimedia information in advance and provides customized digital textbooks
KR102447485B1 (en) * 2021-08-25 2022-09-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A System for Using Realistic AR/VR Video Content Based on Textbooks as Educational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46B1 (en)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yman et al. Electronic reading and digital library technologies: Understanding learner expectation and usage intent for mobile learning
US20140020115A1 (en) Social Sharing of Multilayered Document
Williams et al. New media literacies and participatory popular culture across borders
Marianthi et al. From digitised comic books to digital hypermedia comic books: their use in education
KR101987446B1 (en) Authoring System for Multi User based on Multi Layer and Method thereof
Chambel et al. Hypervideo and cognition: Designing video-based hypermedia for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KR1007069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ayered Lecture Contents
Woodward et al. Digital portfolio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dams et al. Interactive multimedia pedagogies: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interactive multimedia pedagogy
Zanin Creating & teaching with simple animation: Making biology instruction come alive
Rodrigo et al. Accessibility in language MOOCs
Shelstad How flat world knowledge is transforming college textbook publishing
Steyn et al. Is a picture truly worth a thousand words? infographics for undergraduate teaching
Gkatzidou et al. The potential for adaptable accessible learning objects: A case study in accessible vodcasting
Miller A system for integrating online multimedia into college curriculum
Bull et al. The future of E-Learning in schools
Sankey et al. Multimodal design for hybrid learning materials in a second-level economics course
Trelease et al. Essential E-learning methods for evolving anatomy laboratories
Wishnietsky Hypermedia: The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Fastback 339.
Guggenberger Using Microsoft Teams and OneNote as Key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Twenty-first Century Skills
Dutton A student spring in learning and education: a personal perspective
Gkatzidou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for Accessible Vodcasting
Thomas Using Zombies to Teach Collaborative Scholarship and Born‐Digital Publishing
Anil E-CONTENT EDUCATIONAL RESOURCES: TRENDS AND APPLICATIONS.
Kleinman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Health Sc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