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040A - Laundry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040A
KR20180027040A KR1020160114123A KR20160114123A KR20180027040A KR 20180027040 A KR20180027040 A KR 20180027040A KR 1020160114123 A KR1020160114123 A KR 1020160114123A KR 20160114123 A KR20160114123 A KR 20160114123A KR 20180027040 A KR20180027040 A KR 2018002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
washing
cooling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민규
김광현
고병기
김한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040A/en
Publication of KR2018002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2204/08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tub for storing washing water and forming a condensation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when the laundry is dried; an air supply devic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circulating and supplying the air inside the tub from the rear of the tub to the front of the tub; a detergent dispenser which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mixes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detergent and guides the cooling water separately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ying laundry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the laundry with a detergent dispenser and cooling water used for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when drying the laundry to generate condensed water.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is used as the condensation surface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which dried the laundry.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하나의 급수구를 통하여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냉각하여 터브 내면에서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에 과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that supplies washing water and cooling water through a single water supply port to cool an inner surface of a tub to generate condensed w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장치, 건조 겸용 세탁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세탁장치는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Generally, the washing apparatus is exemplified by a washing apparatus, a drying and washing apparatus, and the like. Here, the washing machine removes various pollutants adhered to clothes, bedding, etc. by using the emulsification action, the frictional action of the water stream due to the pulsator or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the impact acting on the laundry. In the automatic laundry washing machine recently introduced, a series of strokes leading to a washing course, a rinsing course, a dehydrating course and the like are automatically carried out without user's manipulation in the middle.

또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상술한 세탁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물을 세탁 후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응축용수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시켜 다시 터브로 투입하는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and washing machine is a type of wash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wash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the laundry. Such a dry-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cludes a condensing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 which air in the tub is drawn out, water in the air is removed by condensation water, and then heated and then introduced into a tub.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12)와, 터브(1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과, 터브(12)로부터 생성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14)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덕트(14)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히터(16)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의 내부로 제공하는 가열덕트(15)와, 터브(12)의 공기가 응축덕트(14) 및 가열덕트(15)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17)을 구비하고 있다.Hereinafter, a condensing type dry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ying and washing machine 10 includes a cabinet 11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tub 12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1, A condensing duct 14 formed outside the tub 12 so that the air containing moisture generated from the tub 12 can be condensed and a condensing duct 14 form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 heating duct 15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denser duct 14 and heating the air by the heater 16 and providing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tub 12, 15 for circulating the air through the air blowing fan 17.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팬(17)에 이동되는 공기가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 공기는 터브(12)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드럼(13)의 회전과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한다.The air to be moved to the air blowing fan 17 during the drying of the laundry is heated by the heater 16 provided in the heating duct 15 and the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tub 12, And the laundry is dri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13 and hot air.

이후 세탁물을 건조한 가열 공기는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습한 공기로 변환되고 터브(12)에서 응축덕트(14)로 유입되어 응축덕트(14)에서 습기가 제거된다. 여기서, 응축덕트(14)에는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한편 응축덕트(14)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7)에 의해 다시 가열덕트(15)로 공급되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The heated air after drying the laundry is converted into humid air as the laundry is dried, and the moisture is removed from the condensing duct 14 by flowing into the condensing duct 14 at the tub 12. Here, the condensing duct 14 is supplied with additional cooling water for condensing moist air. Mean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14 is supplied to the heating duct 15 again by the blowing fan 17, and the air is circulated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한편, 상술한 응축덕트(14)의 경우 송풍팬(17)의 송풍 용량과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고려하여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응축덕트(14)의 내부면에서 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ndensing duct 14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in consideration of the air flow capacity of the air blowing fan 17 and the smooth flow of the air, and is heat exchanged with the humid air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ensing duct 14,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to remove moisture.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 겸용 세탁장치(10)는 응축덕트(14)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기 위해서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 중 응축덕트(14)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야 한다.For this purpose, the conventional drying and wa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tinuously supplies cooling water to the condensing duct 14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in order to condense moisture in the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14 do.

하지만 기존의 응축덕트(14)의 경우 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면적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냉각수가 장시간 공급되어야 함으로 냉각수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densing duct 14 has a relatively small area for heat exchange with humid air,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oling water must be su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wasting cooling water.

또한, 세탁물의 건조시에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가 공기와 함께 응축덕트(14)를 통하여 유입되고 응축덕트(14), 송풍팬(17), 가열덕트(15) 등에 잔류할 수 있다. 이에 응축덕트(14)에 잔류된 린트는 응축덕트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17)에 잔류된 린트는 송풍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열덕트(15)에 잔류된 린트는 가열덕트(15)에 마련되는 히터(16)의 고장 또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laundry is dried, the lint included in the laundry may flow along with the air through the condensing duct 14 and may remain in the condensing duct 14, the blowing fan 17, the heating duct 15, and the like. Therefore, the lint remaining in the condensing duct 14 can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condensing duct, and the lint remaining in the blowing fan 17 can cause the blower to fail, and the lint remaining in the heating duct 15 can be h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er 16 provided in the duct 15 may fail or fire may occur.

이에 최근에는 세탁장치의 터브 내면이 응축덕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세탁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터브 내면에 별도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를 냉각하여 터브 내면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가 개발되었다. In recent years, an improved washing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of the washing apparatus can serve as a condensing duct, and a washing apparatus for supplying condensed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by supplying additional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Developed.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 내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세탁장치의 경우 터브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여야 하며, 동시에 터브 내면에 냉각수를 확산하기 위한 별도의 노즐을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for generating condensed water 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cooling water flow path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should be formed, and a separate nozzle for diffusing cooling water must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또한, 터브 내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터브 내면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우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의 탈수공을 통하여 드럼 내부로 유입되며 드럼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드럼 내부에서 건조가 진행되는 세탁물을 젖게하여 건조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o generate condensed water 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drum through the dehydrating hole of the drum located in the tub is dried in the drum. There is a problem that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by wetting the laundr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in which laundry is dried by 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s a condens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upplying cooling water using a supply channel of washing water without addition of a separate structure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condensed water by using an inner surface of a tub to diffus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is used as a condense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from flowing into the drum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nd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급수부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bubbles generated by detergent during washing of laundry and humid air generated during drying from flowing back through a water supply part It has its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며 세탁물의 건조시 내부면이 응축면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후방에서 상기 터브 전방으로 순환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 상부에 위치하며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고, 세탁수 및 세탁수와 별도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로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시 사용되는 세탁수 및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터브의 내면을 냉각하여 응축수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storing wash water and forming a condensation surface on an inner surface of the laundry during drying; An air supply devic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circulatingly supplying air inside the tub from the rear of the tub to the front of the tub; A detergent dispenser which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mixes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detergent and guides the cooling water separately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laundry with the detergent dispenser and the cooling water used for generating condensed water by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when the laundry is dried.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wat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ies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by controlling the supply time.

상기 터브는 상기 세제 디스펜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가 상기 터브의 내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급수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guide for guiding the wash water and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detergent dispenser to flow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상기 급수 가이드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guide may include an inlet formed such that the cooling water and the wash water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상기 급수 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외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유로캡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guide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nd has an outer extension portion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n inner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nd a flow path cap for forming a trap, wherein the inle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상기 유로캡은 중앙부에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가 통과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서 상기 내측 연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에 삽입되는 유로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low path cap includes a support flange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pass through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port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inlet hole to the inside of the inside extension portion, And a flow rib inserted into the flow channel.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let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let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and a rib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inner extension.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let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and a rib is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extension to support the inner extension.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가 일시 저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대기압 상태에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tergent dispenser includes a housing which is exposed to atmospheric pressur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is temporarily stored,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to guide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to the tub Do.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와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cover having a detergent inlet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jected, and the housing preferably forms a space to be mixed with the detergent and the washing water.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수가 소정 압력으로 공급될 때 상기 냉각수의 압력을 대기압상태로 저하시키는 감압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housing is a decompression device that reduces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급수관은 U형상의 U-트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rgent dispenser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for guiding the wash water or the cooling water to the tub, and the water supply pipe may form a U-shaped U-trap.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 외주면 후방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터브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y device includes an intake duc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discharge duc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tub, a blowing fan provided in the intake duct, and a connection duct connecting the blowing fan and the discharge duct. And a heat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duct and he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duct.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흡기덕트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터브의 후방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guid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take duct with respect to a circumferential center of the tub.

상기 터브 전방에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gaske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ub, and the discharge duct penetrates the gasket.

상기 세제디스펜서는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rgent dispenser is preferably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suppl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densing the moisture in air in which the laundry is dried by 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s a condens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upplying cooling water using a supply channel of washing water without addition of a separate structure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is used as the condensation surface, the washing apparatus diffuses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o improv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by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터브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rum,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급수부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bubbles generated by the detergent during washing of laundry and humid air generated during drying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급수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의 유입구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가이드의 급수 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의 공기배출 차단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chematic view briefly showing a water supply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guid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water supply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let of a water supply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supply process of a water supply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discharge cutoff of a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to be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respective names defined for each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by other names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장치의 터브에 세탁수 및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부 이외의 세탁장치 구성은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세탁장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고, 급수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nd cooling water to a tub of a washing machine. The construction of the washing machine other than the water supply portion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washing machin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struc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washing machine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 water supply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3), 전면커버(115), 측면커버(116), 후면커버(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130)과, 터브(120)내 공기를 가열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140)와, 외부의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세탁장치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150)와, 급수부(150)에 연결되어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함과 동시에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터브(120)로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160)와, 세제 디스펜서(160)와 터브(120)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디스펜서(160)로부터 급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드럼(130)과 이격되어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가이드(180)와,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유입된 세탁수 또는 냉각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190)를 구비한다.2 and 3, th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cover 113, a front cover 115, a side cover 116, a rear cover (not shown) A drum 120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10 to store washing water and a drum 130 rotatably mounted in the tub 120; A water supply unit 150 for selectively supplying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to the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A detergent dispens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wash water and detergent to the tub 120 and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to the tub 120, 160 disposed between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the tub 120 to supply water from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 water supply guide 180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to the tub 120 separated from the drum 130 and a water supply guide 180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guide 180 And a drain portion 190.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세제 디스펜서(160)가 캐비닛(110) 상부의 일부가 개폐됨에 따라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캐비닛(110)의 상부는 캐비닛(11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커버(113) 및 세제 디스펜서(160)를 차폐 및 노출시키는 디스펜서 커버(114)가 구비된다. A detergent dispenser 16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is opened and closed.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is provided with a top cover 113 which form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0 and a dispenser cover 114 which shields and exposes the detergent dispenser 160.

또한, 캐비닛(110)의 전방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1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 내지 건조 등의 행정을 수행하는 특정 코스를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112)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2)은 사용자가 세탁 내지 건조 행정 과정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선택한 행정 및 세탁장치(100)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A door 1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110 is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and a control panel 112 for inputting a specific course for performing washing, Can be installed. The control panel 112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not shown) for the user to select a washing or drying process,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100 selected by the user .

한편, 도어(111)와, 컨트롤 패널(112)을 별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컨트롤 패널(112)이 도어(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패널(112)의 조작부 및 표시부가 도어(111)의 소정 위치(바람직하게는 도어(111)의 상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도어(111)와 같이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111)의 외측면은 단일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도어(111) 및 세탁장치(100) 외형에 미려함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oor 111 and the control panel 112 are separately described, the control panel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111. [ That is, the control section and the display section of the control panel 112 may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preferably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11) of the door 11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111.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11 may be formed as a single curved surface or a flat surface, which may further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door 111 and the washing machine 100.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 내측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며 전방에 세탁물을 드럼(130)으로 투입하기 위한 터브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26)가 장착된다. 또한, 터브 개구부(121)에는 캐비닛의 전면커버와 연결되는 가스켓(122)을 구비하며,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에는 터브(120)를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 및 댐퍼(124) 등을 포함한다. The tub 120 is provided to store wash water inside the cabinet 110 and a tub opening 121 for introducing the laundry into the drum 130 is formed in front of the tub 120. A motor 126 for rotating the drum 13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tub 120. A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tub 120 and the cabinet 110 so as to buffer the tub 120. The spring 120 is connected to the front cover of the cabinet, A damper 124, and the like.

한편, 터브(120)의 상부에는 공기공급장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0) 후방 외주면 일측에는 공기공급장치(140)로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125)가 형성되며, 터브(120) 전방 터브 개구부 중앙 상측에 공기공급장치(14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덕트(123)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ir supply device 1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ub 120. An air duct 1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of the tub 120 and an air supply device 14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tub opening of the tub 120, A discharge duct 123 through which air supplied from the discharge duct 123 is discharged can be formed.

여기서, 흡기덕트(125)에는 공기공급장치(14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27)(도 6b 참고)가 구비되며, 필터(127)의 상부에는 필터(127)에 필터링된 린트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터브(120)로 떨어뜨리는 필터세척노즐(128)(도 6b 참고)이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127) 및 필터세척노즐(128)은 흡기덕트(125)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take duct 125 is provided with a filter 127 (see FIG. 6B) for filtering the lint contained in the air circulated by the air supply device 140, and a filter 127 A filter washing nozzle 128 (see FIG. 6B)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filter 120 and dropp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tub 120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127 and the filter cleaning nozzle 128 ar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intake duct 125.

한편, 필터세척노즐(128)에는 후술할 급수부(150)의 세척수밸브(158)에 연결된 세척수호스(159)가 연결되어 급수부(150)의 제어에 따라 세척수를 독립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하지만 세척수호스(159)의 경우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호스(153)에서 분지되어 급수밸브(152)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와 세척수를 동시 공급할 수도 있다. The washing water hose 159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valve 158 of the water supplying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filter washing nozzle 128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independently spr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ing unit 150. However, in the case of the washing water hose 159,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by branching from the water supply hose 153 supplying the washing water.

그리고 토출덕트(123)는 상술한 터브 개구부(121)에 구비되는 가스켓(122)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덕트(123)는 토출덕트(123)로 공급되는 공기가 터브 개구부(121)를 통과하여 드럼(130)의 내부면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duct 123 may be provided through the gasket 122 provided in the tub opening 121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duct 123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air supplied to the discharge duct 123 can flow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130 through the tub opening 121.

한편, 흡기덕트(125)는 터브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터브(120)와 동일한 재질로 터브(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덕트(123)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의 순환덕트(14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터브(120) 또는 가스켓(122)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출덕트(123)가 가스켓(122)에 구비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토출덕트(123)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suction duct 125 may be formed 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tub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ub 120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tub 120. The discharge duct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irculating duct 142 of the tub 120 and inserted into the tub 120 or the gasket 122 to be faste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uct 123 is provided in the gasket 122 as an example. However,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duct 123 is not limited.

상기 드럼(130)은 터브(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도어(111)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13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탈수공(미도시)이 형성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드럼(130)이 회전될 때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리프트(132)가 형성된다. 리프트(132)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drum 130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120 and the laundry to be loaded into the door 111 is inserted into the drum 130 and loaded.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drum 130 so as to allow washing water to flow therethrough. The laundry 130 placed on the drum 130 is lifted up when the drum 130 rotates, And a lift 132 for dropping it backward is formed. The wash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laundry by the lift 132.

상기 공기공급장치(140)는 터브(120)의 공기를 가열 및 순환시켜 터브(12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드럼(130) 내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40)는 터브(120)에 형성되는 흡기덕트(125)와, 가스켓(122)에 구비되는 토출덕트(123)를 연결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The air supply device 140 heats and circulates the air of the tub 120 to supply heated air into the tub 120 to dry laundry located in the drum 130. The air supply device 140 may connect the intake duct 125 formed in the tub 120 and the discharge duct 123 provided in the gasket 122 so that the air inside the tub 120 can be circulated Thereby forming a flow path.

한편, 공기공급장치(140)는 흡기덕트(125) 상부에 위치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41)과, 송풍팬(14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덕트(123)로 안내하는 순환덕트(142)와, 순환덕트(142) 내부에 구비되어 순환덕트(142)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덕트(142)는 흡기덕트(125)와 토출덕트(123) 사이를 연결하며 터브(120)의 후방 일측에서 터브(120) 전방 중앙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순환덕트(142)의 외측면에는 순환덕트(142)가 터브(120)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플랜지(143)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터브(120) 상부에는 결합플랜지(143)가 안착 고정되는 다수의 결합보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device 140 includes a blowing fan 141 positioned above the intake duct 125 to suck air in the tub 120 and a blowing fan 141 for blowing air sucked by the blowing fan 141 to the discharge duct 123 And a hea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circulation duct 142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142. The circulation duct 142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duct 142, The circulation duct 142 connects between the intake duct 125 and the discharge duct 123 and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tub 120 to the front center of the tub 120. [ A coupling flange 143 for fixing the circulation duct 14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12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uct 142. A coupling flange 143 A plurality of coupling bosses (not shown) can be formed.

또한, 공기의 흐름관점에서 송풍팬(1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 유로상에서 공기의 유로방향에 있어 송풍팬(141)이 먼저 위치하며 히터는 공기의 유로방향에 있어 송풍팬(141)의 다음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blowing fan 141 is heated by the heater in view of the flow of the ai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blowing fan 141 is positioned first in the air flow direction on the air flow path, and the heater is positioned next to the air blowing fan 141 in the air flow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경우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가열하고 터브(120)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순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브(120) 내부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공기는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습한 공기로 전환된다. 그리고 세탁물을 건조하면서 전환되는 습한 공기는 터브(120)의 내부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터브(120) 내면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면서 건조 공기로 전환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ir may be directly suck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o be heated and supplied to the front of the tub 120. In the tub 120, And is converted into humid air by moisture generated in the air. The humid air which is converted while drying the laundry is converted into dry air while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as a condensation surface.

여기서, 터브(120) 내면에서의 응축수 발생을 위해서는 터브(120) 내면이 습한 공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20) 내면을 지속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터브(120) 내면의 냉각은 터브(120) 외부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서는 터브(120) 내면에 별도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120) 내면을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브(120) 내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는 터브(120) 내면에 직접 공급되어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Here, in order to generate condensed wat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may be generated by a difference in temperature from the humid air.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needs to be cooled continuously. Cooling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can be formed by natural convection of the air outside the tub 120. However, for more effective cooling, it is possible to cool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by supplying additional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The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to cool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

여기서, 터브(120), 드럼(130), 공기공급장치(140) 등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종래 기술보다 개선된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tub 120, the drum 130, the air supply unit 140, and the like may be constructed of a conventional tub, a drum, an air supply unit, or the like. Device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터브(120)의 내면 냉각을 위하여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160) 및 급수가이드(180)가 사용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160) 및 급수가이드(180)에 의한 냉각수 급수에 대해서는 급수가이드(18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gent dispenser 160 and a water supply guide 180 may be used to supply wash water to the tub 120 for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The coolant supply by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the water supply guide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다르게는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터브(120) 내부의 습한 공기의 일부를 터브(120) 외부로 배출하고, 터브(120)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일부 터브(120)로 유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in order to convert the dry air into dry air, some of the humid air in the tub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120, and the dry air outside the tub 120 is introduced into the tub 120 It might be.

상기 급수부(150)는 터브 후방 상부에 위치하며 캐비닛(110)의 후면커버(미도시)에 체결되며 세탁수,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부(151)와, 밸브부(151)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호스(153, 155, 157, 159)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150 is dispos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is connected to a rear cover (not shown) of the cabinet 110 and includes a valve unit 151 for selectively supplying washing water and cooling water, A plurality of hoses 153, 155, 157 and 159 for guiding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cooling water may be provided.

여기서, 밸브부(151)는 세탁 및 헹굼을 위한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152)와, 온수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온수밸브(156)와, 급수밸브(152)와 별도로 별도의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급수밸브(154), 필터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척수급수밸브(158)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수밸브(152), 온수밸브(156), 보조급수밸브(154), 세척수급수밸브(158) 등에는 각 밸브(152, 154, 156, 158)에서 공급이 제어되는 세탁수(또는 냉각수), 온수, 체척수 등의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153), 온수호스(157), 보조급수호스(155), 세척수호스(159) 등이 구비된다. The valve 151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152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ing water for washing and rinsing, a hot water valve 156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hot water, and a water supply valve 152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valve 152 An auxiliary water supply valve 154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 water to the filter, a wash water feed valve 158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 water for washing the filter, and the like. The water supply valve 152, the hot water valve 156, the auxiliary water supply valve 154, the wash water supply valve 158, and the like are provided with wash water (or cooling water A water supply hose 153, a hot water hose 157, an auxiliary water supply hose 155, a wash water hose 159, and the like, which form channels for hot water, body water, and the like.

여기서, 밸브부(151)의 급수밸브(152)는 세탁수와 냉각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급수밸브(152)는 밸브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세탁수와 냉각수를 구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수 공급시 급수밸브(152)의 온/오프 간격은 약 0.2~0.5초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급수밸브(152)의 세탁수 및 냉각수 공급 제어의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Here, the water supply valve 152 of the valve unit 151 can control the supply of wash water and cooling water. 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152 can separately supply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by controlling the ON / OFF time of the valve. Here, the on / off interval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during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t intervals of about 0.2 to 0.5 seconds. In the case of the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and the cooling water supply control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the water supply guide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밸브부(151)는 급수밸브(152)의 시간 제어를 통하여 세척수 및 냉각수를 구별하여 공급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밸브를 통하여 세척수 및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밸브부(151)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152)에 별도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밸브(미도시) 및 냉각수호스(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lve unit 151 can separately supply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tim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but can selectively supply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separate valve. To this end, the valve unit 151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oling water valve (not shown) and a cooling water hose (not shown) for separately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valve 152 for supplying wash water.

한편, 상술한 급수호스(153), 보조급수호스(155), 온수호스(157)의 경우 모두 세제 디스펜서(160)로 연결되며,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단순 급수되거나, 세제 디스펜서(160)에 투입된 액체/분발세제, 에비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과 혼합되어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hose 153, the auxiliary water supply hose 155 and the hot water hose 157, the water supply hose 153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Liquid detergent, antiseptic, bleaching agent, fabric softener and the like,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tub 120.

상기 세제 디스펜서(160)는 캐비닛(110) 내측 터브(120) 전방 상면에 위치하며, 캐비닛(110) 상면커버(113)에 위치하는 디스펜서 커버(114)의 개방에 따라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etergent dispenser 16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inner tub 120 of the cabinet 110 and exposed to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cover 114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cover 113 of the cabinet 110.

한편, 상술한 세탁장치(100)의 공기공급장치(140)에 구비되는 토출덕트(123)의 경우 터브(120)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공기공급장치(140)의 순환덕트(142)는 터브(120) 후방 일측에서 토출덕트(123)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In the case of the discharge duct 123 provided in the air supply device 140 of the washing machine 100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on duct 142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of the tub 120, 120) to the discharge duct (123).

이에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공기공급장치(140)의 토출덕트(123) 또는 순환덕트(14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터브(120) 전방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dispenser 16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of the tub 120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ischarge duct 123 or the circulating duct 142 of the air supplying device 140.

추가적으로, 세제 디스펜서(160)는 공기공급장치(140)의 토출덕트(123) 또는 순환덕트(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측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탁물의 세탁에 필요한 분말세제(또는 액체세제) 또는 세탁물의 애벌 세탁시 사용되는 예비세제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타측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이 투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gent dispenser 16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duct 123 or the circulating duct 142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In this case, the one-side detergent dispenser 160 may be filled with a powdery detergent (or a liquid detergent) necessary for washing laundry, or a detergent used when the laundry is largely washed, and the other detergent dispenser 160 may be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Bleaching agents, fabric softeners, etc., which are used as auxiliary materials, may be added.

여기서, 공기공급장치(140)의 양측에 구비되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공급장치(140)의 양측에 구비되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설치 공간 및 투입되는 세제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 및 다른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6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detergent dispenser 1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However, the detergent dispenser 1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type of detergent to be introduc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re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160)는 급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일시 저수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161)과, 하우징(1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탁수 및 냉각수의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66)와, 하우징(161)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우징(161)으로 급수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관(164)을 구비한다.The detergent dispenser 160 includes a housing 161 having a housing shape in which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unit is temporarily stored, and a water supply unit 16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61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for washing water and cooling water And a water supply pipe 164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61 and guiding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161 to the tub 120. [

여기서, 하우징(161)과 하우징 커버(166)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의 저수 공간은 세제 디스펜서(16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세제 디스펜서(160) 내부와 세제 디스펜서(160) 외부가 동일한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storage space formed by the housing 161 and the housing cover 166 ar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so that the inside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the outside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So that the same atmospheric pressure is formed.

한편, 하우징(161)은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일시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급수호스(153), 온수호스(157), 보조급수호스(155)가 연결되며 세탁수, 냉각수 또는 온수의 이동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163a, 163b, 163c)가 형성되고, 하우징(161)의 후방 하부에는 하우징(161)으로 급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관(164)이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162)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161 is formed as a housing having a top opening to form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and a water supply hose 153, a hot water hose 157, 163c and 163c are formed to connect the auxiliary water supply hose 155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hose 155.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housing 161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61,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62 to which a water supply pipe 164 for guiding water and cooling water to the tub 120 is connected.

이러한 하우징(161)은 세탁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세제 디스펜서(160)로 투입된 세제와 세탁수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급수부(150)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저하되는 감압공간을 형성한다.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e housing 161 forms a space for mixing the detergent and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from the water supplying part 150 Thereby forming a reduced pressure space that is lower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state.

즉, 세제 디스펜서(160)는 세제 디스펜서(160)로 세탁수가 공급될 때와 냉각수가 공급될 때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세탁수가 공급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된 세제와 세탁수가 혼합될 수 있는 세제 디스펜서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etergent dispenser 160 may perform different functions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first,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capable of mixing the supplied detergent and the washing water as described above.

하지만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냉각수의 공급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저하시켜 공급하는 감압장치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it may serve as a decompression device for reducing the supply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to the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itself.

즉, 냉각수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시 터브(120) 내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급수부(150)에서는 소정의 급수 압력을 갖는 상태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부(150)에서 터브(120)로 직접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냉각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터브(120) 내부에서 냉각수가 비산되어 드럼(13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다르게는 건조 대상물)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cooling water, cooling water is supplied in a state of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supply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art 150 to cool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when the laundry is dried. Accordingly, when the cooling water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to the tub 120, the cooling water is scattered inside the tub 120 by the supply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o that the laundry (or the object to be dried) The cooling water may flow in and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may be lowered.

따라서 냉각수가 터브(120)로 직접 공급되어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세제 디스펜서(16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우 세제 디스펜서(160)로 공급됨에 따라 대기압 상태의 하우징(161) 내부에 일시 저수되어 급수관(164)을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대기압 상태로 저하되어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냉각수에 의해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또는 건조 대상물)이 냉각수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150 in order to prevent the cooling water from being directly supplied to the tub 120 and wet the laundry. In the cas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housing 161 at atmospheric pressure to supply the water supply pipe 164.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is lower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state and can be supplied to the tub 120, and the laundry (or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drum 130 is prevented from being wet by the cooling water can do.

한편, 하우징 커버(166)는 하우징(161)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우징(161)으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저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구(167)가 형성된다. The housing cover 166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61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for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161 and a detergent input port 167 for injecting detergent into the center portion do.

여기서, 급수관(164)은 하우징(161)의 급수관 연결부(162)에 체결되어 하우징(161)에 저수되는 세탁수 및 냉각수를 터브(120)에 구비되는 급수가이드(180)로 안내한다. 이러한 급수관(16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61)의 급수관 연결부(162)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부(165a)와, 연결부(165a)에서 연장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U-트랩부(165b)와, U-트랩부(165b) 후단에 형성되어 터브(120)에 형성되는 급수가이드(18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부(165d)가 형성된다.The water supply pipe 164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62 of the housing 161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stored in the housing 161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provided in the tub 120. 5, the water supply pipe 164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65a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62 of the housing 161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 water supply pipe 164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65a and formed in a U- And an insertion portion 165d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trap portion 165b and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formed in the tub 120 to be fastened is formed.

여기서, U-트랩부(165b)와 삽입부(165d) 사이에는 터브(120)의 진동이 세제 디스펜서(16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로우즈부(165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 bellows part 165c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trap part 165b and the insertion part 165d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ub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

한편, U-트랩부(165b)는 하우징(161)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이동될 때 이동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급수관(164)의 이동경로를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U-트랩부(165b)에 의해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세제 거품 또는 공기가 세제 디스펜서(16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Meanwhile, the U-trap part 165b is configured to store a part of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moved when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using 161 is moved, there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moving path of the water supply pipe 164 is closed do. The U-trap portion 165b prevents the detergent foam or air generated inside the tub 120 from flowing back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

또한, 삽입부(165d)의 외주면에는 삽입부(165d)에 급수가이드(180)가 삽입되어 체결될 때 삽입부(165d)의 외주면을 급수가이드(180) 측으로 가압하고 고정하는 스냅링(미도시)이 구비되며 삽입부(165d)의 외주면에는 스냅링이 안착되는 체결부(165e)가 형성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65d is provided with a snap ring (not show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65d toward the water supply guide 180 when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65d, And a fastening portion 165e on which the snap ring is seate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65d.

상기 급수가이드(180)는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의 내면을 통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급수가이드(180)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상에 터브(12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가이드(180)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이 연결되며, 세제 디스펜서(160)에는 급수밸브(152)에 의해 급수가 제어되는 급수호스(153)가 연결된다. 여기서 급수밸브(152)의 제어에 의해 급수호스(15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급수밸브(152)의 개폐 제어에 따른 공급방법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로 사용된다.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for supplying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dispenser 160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6A, the water supply guide 18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120. As shown in FIG. A water supply pipe 164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and a water supply hose 153 to which the water supply is controlled by the water supply valve 152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53 under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is used as wash water or cooling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water supply valve 152.

한편, 급수가이드(180)에는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83)가 형성된다. 유입구(183)는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터브(120)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formed with an inlet 183 for supplying laundry water or cool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20. The inlet 183 is formed so that the supplied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and preferably th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12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rum 130 Respectively.

특히,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는 유입구(183)에서 토출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130)의 외측면보다 적어도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입구(183)에서 바로 토출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connected to the drum 130 located inside the tub 12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inlet 183 from flowing into the drum 130. And is formed at least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urface.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inlet 183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rum 130.

한편, 급수가이드(180)에 대하여 도 6b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를 터브(120)의 내면을 통하여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시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제 거품 및 건조시 터브(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한 공기가 세제 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guide 1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B to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dispenser 160 is supplie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and the detergent foam generated inside the tub 120 during washing and the inside of the tub 120 during drying So that the generated humid ai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detergent dispenser 160.

이러한 급수가이드(180)는 냉각수의 공급시 냉각수가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냉각수가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적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형성 위치는 터브(120)의 원주면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드럼(130)의 외주면과 가장 이격되어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세탁물을 적실 가능성이 가장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급수가이드(180)는 세제디스펜서(160)에 인접하는 터브(120) 후방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guide 180 serves to prevent the cool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rum 130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drum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form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ub 120. In such a case, the possibility that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most dista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30 and wet the laundry of the drum 130 may be minimized.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tub 120 adjacent to the detergent dispenser 160.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경우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에 삽입되어 스냅링(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스냅링에 의한 급수관(164)과의 결합시 급스관에 스냅링에 의한 체결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경우 캐비닛의 측면커버와 소정 간격(D)만큼 이격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it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164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fixed by a snap ring (not shown). When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engag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164 by the snap ring, It is necessary to secure a fastening spac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it is necessar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cover of the cabin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이러한 급수가이드(180)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이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형태의 외측 연장부(181)와, 외측 연장부(181) 내측에 외측 연장부(181)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내측 연장부(182)와, 외측 연장부(181) 거치되며 내측 연장부(182) 내측으로 이격 삽입되어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저수됨에 따라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유로캡(185)을 구비한다. The water supply guide 180 has a cylindrical outer shape extension 181 in which a hollow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64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an outer extension 181 inside the outer extension 181 A cylindrical inner extension 182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outer extension 181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extension 182 to separat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And a flow path cap 185 for forming a closed space.

여기서, 외측 연장부(181) 및 내측 연장부(182)는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돌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와 동일한 재질로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연장부(181)의 상단 외주면에는 세제 디스펜서(160)의 급수관(164)에 삽입되는 결합단턱(181a)이 형성되며,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의 터브(120) 면에는 터브(120)를 관통하는 링 형상의 유입구(183)가 형성된다. 또한, 유입구(183)에는 내측 연장부(182)가 형성되는 터브(120) 면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84)가 내측 연장부(182)를 중심 방향으로 방사 형태로 형성된다.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tub 120 .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extension 181 is formed with a coupling step 181a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164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a tub 182 between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And a ring-shaped inlet port 183 penetrating the tub 120 is formed on the (120) surface. A plurality of ribs 184 for supporting the surface of the tub 120 on which the inner extension 182 is formed are formed radially in the inlet 183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ner extension 182.

한편,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는 링 형태 이외에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 이외의 공간은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유입구(18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원형유로(182a)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let 183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other than the ring shape. In this case, the space other than the inlet port 183 formed between the outside extension part 181 and the inside extension part 182 can form a circular flow path 182a in which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can be moved toward the inlet port 183 side have.

여기서,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은 세탁수 또는 냉각수의 일부가 저수되어 저수공간(182b)을 형성하며, 저수공간(182b)은 유로캡(185)에 의해 유로캡(185)을 기준으로 급수관(164)과 터브(120) 내측을 차단한다. The space formed inside the inner extension 182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or a part of the cooling water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182b and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is formed by a flow path cap 185 The water supply pipe 164 and the inside of the tub 120 are blocked.

이러한, 유로캡(185)은 외측 연장부(181)의 상단에 안착되고 중앙부에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유입홀(187)이 형성되는 지지프랜지(186)가 구비된다. 지지프랜지(186)의 하부에서 링 형태로 연장되어 외측 연장부(18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장착턱(189)이 형성되며, 유입홀(187)의 내주면에는 내측 연장부(18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콘 형태의 유로리브(188)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리브(188)는 내측 연장부(182)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측 연장부(182)의 높이보다 더 아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The channel cap 185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extension 181 and has an inlet hole 187 through which a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extension 182, A flange 186 is provided. A mounting flange 189 extending in the form of a ring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lange 186 and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extension 181 is forme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hole 187 is formed inside the inner extension 182 An elongated cone-shaped flow rib 188 is formed. Here, the flow ribs 188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xtending portion 18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formed so as to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extending portion 182.

상술한 바와 같은 급수가이드(180)의 설치 형태에 따르면, 세제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급수됨에 따라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급수관(164)을 통하여 급수가이드(180)로 유입된다. 여기서 급수가이드(180)로 유입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유로캡(185)에 형성된 유입홀(187)을 따라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으로 유입되어 저수공간(182b)에 일정량의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저장된다. 여기서 저수공간(182b)에 저장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는 내측 연장부(182)의 높이만큼 저장되며,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 또는 냉각수에는 유로캡(185)의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을 기준으로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 공간과 유로캡(185) 상부 공간의 연통이 차폐된다.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64 as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ccording to the above- Th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inner extension 182 along the inlet hole 187 formed in the flow path cap 185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A certain amount of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is stored in the space 182b. Th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is stored by the height of the inner extension 182 and the wash water or cool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The lower end is insert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extension portion 181 and the inside extension portion 182 and the space above the flow path cap 185 is blocked based o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inside extension portion 182. [

한편,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경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다수의 리브(184)에 의해 구획되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경우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드럼(130)의 외주면과 중첩될 수 있다. The inlet 183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defined by a plurality of ribs 184 as shown in FIGS. have. In the case of the inlet port 183 formed in the ring sh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30 located inside the tub 120 can be overlapped.

이러한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드럼(130)에 형성되는 다수의 탈수공으로 유입되어 드럼(13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적실 수 있다. 여기서 세탁수가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세탁물이 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냉각수가 급수가이드(180)로 공급될 경우에는 건조대상물인 세탁물이 젖게 되어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shing water or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flows into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formed in the drum 130, so that the laundry located in the drum 130 can be wetted. In this case,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e laundry is preferably wetted. However,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e laundry, which is an object to be dried, becomes wet, thereby lower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구(183)의 형상을 드럼(130)과 중첩되는 부분을 차폐하여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외측 연장부(181)와 내측 연장부(182)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태의 유입구(183)에서 드럼(130)과 중첩되는 일부를 차폐하여 링형태의 유입구(183)를 원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120 from flowing into the drum 130 through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10 to 11, the shape of the inlet 183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is formed to shield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drum 130 to form an inlet can do. That is, a ring-shaped inlet 183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181 and the inner extension 182 is shielded from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drum 130 to change the ring-shaped inlet 183 into a circular arc shape .

이러한 경우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가 드럼(130)의 최 외측부분과 이격되어 어 유입구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비교적 적게 드럼으로 유입된다. 유입구의 면적은 링형태의 유입구를 기준으로 적어도 25-7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drum 130, so that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is relatively less flowed into the drum. The area of the inlet is preferably at least 25-75%, more preferably about 50%, based on the ring-shaped inlet.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의 경우 단순 방사 형태로 내측 연장부(182)를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급수가이드(180)에 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급수가이드(18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시켜야 됨으로 비교적 넒은 범위로 냉각수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의 경우 유입구(183)에서 배출되는 세탁수 또는 냉각수가 확장될 수 있도록 유입구(183)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a)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고). On the other hand, the rib 184 formed in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can support the inner extension 182 in a simple radial form. However,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guide 180 needs to cool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so that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cooling water to a relatively wide range. The rib 184 formed in the inlet 183 is formed to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a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let 183 so that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inlet 183 can be expanded (See FIG. 12).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장치(100)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급수부(150)를 통해 터브(120)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세탁, 헹굼,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 헹굼시 세탁수는 배수부(190)를 통해서 터브(12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탁과 헹굼 후 세탁물의 탈수행정이 진행되어 세탁과정이 완료된다.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as described above is briefly described. Was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50, and washing, rinsing, and dewatering processes are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130. On the other hand, when washing and rinsing,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120 through the drainage unit 190. After the washing and rinsing, the dehydration process of the laundry proceeds, and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또한, 건조행정이 진행될 경우 공기공급장치(140)의 송풍팬(141)에 의해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며, 공기공급장치(140)의 히터가 공기를 가열한다. 이에 가열된 공기는 터브(120)와 공기공급장치를 순환하면서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여기서,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는 터브(12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되어 배수부(190)에 의해 터브(120) 외부로 배수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the air inside the tub 120 is circulated by the blowing fan 141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and the heater of the air supply device 140 heats the air. The heated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tub 120 and the air supply unit to dry laundry laid on the drum 130. The air dried by the laundry is conden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ub 120 and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tub 120 by the drainage unit 190.

한편, 상술한 세탁장치(100)의 작동에 있어서 세탁물의 세탁/헹굼을 위하여 세탁수가 공급되어야 되며,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세탁수와 냉각수의 공급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150)의 급수제어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washing machine 100, washing water is supplied for washing / rinsing laundry, and cooling water is supplied for drying laundry.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control of the water supply unit 150 as described above.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급수가이드(180)의 세탁수 급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수 급수의 경우 급수부(150)는 급수밸브(152)를 제어하여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152)는 터브(120)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급수될 때가지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세탁수를 공급한다.Hereinafter, the washing water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in case of washing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unit 150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152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Here, the water supply valve 152 is continuously opened until a certain amount of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120 to supply wash water.

이때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에서 일시 저장되어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된다. 여기서, 세제디스펜서(160)에서 급수가이드(180)로 안내되는 세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을 통과하면서 일부 세탁수가 급수관(164)의 U-트랩부(165b)에 저수되어 급수관에서 트랩을 형성하면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된다(도 5참조). 또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되는 세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에 저수되고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에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 유로캡(185)에 의해 트랩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e washing water guid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from the detergent dispenser 160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some of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U-trap portion 165b of the water supply pipe 164, And is mov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see Fig. 5). The washing water mov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inner extension 182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an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A trap is formed by the flow path cap 185 into which the lower end is inserted.

이러한 과정에서 세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세탁수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급수관의 U-트랩부(165b)와 급수가이드(180)의 저수공간(182b)을 통과하면서 터브(120)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When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n this proces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U-trap 165b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by the siphon phenomenon.

이하 도 14를 참고하여 급수가이드(180)의 냉각수 급수과정을 설명한다. 냉각수 급수의 경우 급수부(150)는 급수밸브(152)를 제어하여 터브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152)는 소정 시간 간혈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하여 냉각수를 공급한다. Hereinafter, the cooling water supply process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case of the cooling water feed water, the water feed unit 150 can control the water feed valve 152 to supply the cooling water to the turbine. Here, the water supply valve 152 repeatedly turns on /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upply cooling water.

이때 급수부(15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에서 일시 저장되어 급수가이드(180)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된다. 여기서, 세제디스펜서(160)에서 급수가이드(180)로 안내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급수관을 통과하면서 일부 세탁수가 급수관(164)의 U-트랩부(165b)에 저수되어 급수관에서 트랩을 형성하면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된다(도 5참조). 또한, 급수가이드(180)로 이동되는 냉각수는 급수가이드(180)의 내측 연장부(182)의 저수공간(182b)에 저수되고 저수공간(182b)에 저장된 세탁수에 유로리브(188)의 하단부가 삽입된 유로캡(185)에 의해 트랩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guide 180. The coolant water guid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from the detergent dispenser 160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nd some of the wash water is stored in the U-trap portion 165b of the water supply pipe 164, And is mov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see Fig. 5). The cooling water moved to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inner extension 182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and is su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w ribs 188 i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A trap is formed by the flow path cap 185 inserted.

이러한 과정에서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세탁수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급수관의 U-트랩부(165b)와 급수가이드(180)의 저수공간(182b)을 통과하면서 터브(120)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When the cool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n this proces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U-trap portion 165b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182b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by the siphon phenomenon.

한편,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를 통하여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세제디스펜서(160)의 감압작용에 의해 대기압상태로 공급되며, 급수부(150)의 간혈공급에 의해 비교적 적은양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가이드(180)의 유입구(183)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유입구(183)를 통과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터브(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터브(120)의 내면을 냉각하게 된다. 또한, 유입구(183)에 형성되는 리브(184)에 의해 유입구(183)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유입구(183)를 통과하면서 확산되어 터브의 내면을 따라 확산되면서 흐르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냉각하게 된다.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is suppli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by the decompression ac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160, A small amount of cooling water is supplied.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183 of the water supply guide 180 cools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while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due to its own weight as it passes through the inlet 183.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183 is diffu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183 by the rib 184 formed in the inlet 183 and sprea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to cool the relatively large area.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을 응축면으로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in the air dried by the laundry can be condensed by 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as the condensation surfa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의 추가 없이 세탁수의 공급유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by using the supply channel of the washing water without adding a separate structure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hav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120) 내면을 응축면으로 사용할 때 터브(120) 내면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확산시켜 터브(120) 내면에 의한 응축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is used as the condensation surf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by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by diffusing the cooling wat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터브(120)의 내면에 냉각수를 공급할 때 터브(12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0,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tub 120 is not introduced into the drum 130 So that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can be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세탁물의 세탁시 세제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 및 건조시 발생하는 습공기가 세제디스펜서(160)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foam generated by the detergent during the washing of the laundry and the humidifier generated during the drying through the detergent dispenser 160 hav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fore,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세탁수가 저장되며 세탁물의 건조시 내부면이 응축면을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후방에서 상기 터브 전방으로 순환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 상부에 위치하며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고, 세탁수 및 세탁수와 별도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로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시 사용되는 세탁수 및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터브의 내면을 냉각하여 응축수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A tub for storing wash water and forming a condensation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when the laundry is dried;
An air supply devic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circulatingly supplying air inside the tub from the rear of the tub to the front of the tub;
A detergent dispenser which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mixes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detergent and guides the cooling water separately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laundry with the detergent dispenser and the cooling water used for generating condensed water by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upon drying of the laundr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washing machine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valve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ies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by controlling the supply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세제 디스펜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가 상기 터브의 내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급수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
And a water supply guide for guiding the wash water and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detergent dispenser to flow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가이드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5.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ater supply guide includes an inlet formed such that the cooling water and the wash water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외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외측 연장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트랩을 형성하는 유로캡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ater supply guide
An outer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nd having a hollow,
An inner exten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extension and having a hollow,
And a flow path cap which is seated on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ner extension portion to form a trap, and the inlet port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the inner extensio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캡은
중앙부에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가 통과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서 상기 내측 연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에 삽입되는 유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A support flange having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pass,
And a flow rib inserted into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which is extended from the inside of the inflow hole to the inside of the inside extending portion and stored in the inside extensio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7.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let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let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7.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6, wherein the inlet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and a rib is formed to support the inner extens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외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연장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연장부를 지지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7.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6, wherein the inlet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extension and the inner extension and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inner extension to define a rib that supports the inner extension.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가 일시 저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대기압 상태에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상기 세탁수 및 상기 냉각수를 안내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dispenser of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A housing which forms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and is exposed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guid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cooling water to the tub.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세제와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cover on which a detergent input port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serted is formed, wherein the housing forms a space to be mixed with the detergent and the washing wat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수가 소정 압력으로 공급될 때 상기 냉각수의 압력을 대기압상태로 저하시키는 감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13.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housing is a decompression device that reduces the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to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when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탁수 또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급수관은 U형상의 U-트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13.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has a water supply pip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or the cooling water to the tub, and the water supply pipe forms a U-shaped U-trap.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 외주면 후방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터브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에 구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supply device
An intake duc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 discharge duct located at a front center of the tub,
A blowing fan provided in the intake duct,
A connecting duct connecting the blowing fan and the discharge duct,
And a heater installed in the connecting duct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duc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드는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흡기덕트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터브의 후방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water supply guide is formed on a rear side of the tub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take duct with respect to a circumferential center of the tub.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전방에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16, wherein a gaske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ub, and the discharge duct penetrates the gas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디스펜서는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2.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supply device.
KR1020160114123A 2016-09-05 2016-09-05 Laundry machine KR201800270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3A KR20180027040A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3A KR20180027040A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40A true KR20180027040A (en) 2018-03-14

Family

ID=6166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23A KR20180027040A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0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2765A1 (en) * 2019-07-24 2021-01-2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2765A1 (en) * 2019-07-24 2021-01-2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921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CA2893205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ealing unit
CA2658603C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27079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59436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275693B2 (en) Washing machine
BR102014021729B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40047428A (en) Detergent mixer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KR100437790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JP2012223305A (en) Washing machine
KR20180027042A (en) Laundry machine
KR20180055419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5002654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4703529B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water supply assembly
EP3907325A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3201899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80027040A (en) Laundry machine
KR20180027041A (en) Laundry machine
KR101176486B1 (en) Vapor upsteam interceptor of washing machine
KR100562623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07229001A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JPH11290581A (en) Drum type washer
KR101594369B1 (en) Laundry Machine
KR2020008134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