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308A -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308A
KR20180026308A KR1020160113524A KR20160113524A KR20180026308A KR 20180026308 A KR20180026308 A KR 20180026308A KR 1020160113524 A KR1020160113524 A KR 1020160113524A KR 20160113524 A KR20160113524 A KR 20160113524A KR 20180026308 A KR20180026308 A KR 20180026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sability
evaluation
analyzing
evalua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칠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308A/ko
Publication of KR2018002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으로서,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성 평가 모듈;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량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으로서,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이, (1)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상품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실험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태를 정량적으로 데이터화하여 분석할 수 있고,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통해 상품의 개발 및 업데이트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USABILITY EVALUAT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S}
본 발명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피드백하는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성이란 어떤 사물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적 만족도를 일컫는 것으로, 사용자가 그 사물을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개념이다. 이러한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인지, 감각, 동작 등 인간공학적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상품의 구성요소에 대한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사용성 평가라 한다. 사용성 평가의 적용범위는 전자기기, 운동기구, 웹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게임 인터페이스 등 제품 및 서비스 사용과 관련된 모든 범위에 해당된다.
사용성은 그 개념 자체가 상대적이기 때문에, 사용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존에는, 제품의 기계적 안정성과 물리적 재료 특성에 의존하는 단편적인 평가만 실시하고 있어서, 제품의 우수성을 인증하는 부분에서 사용자 개인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인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전반적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6-0082181호(발명의 명칭: 고령친화제품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 공개일자: 2016년 07월 08일), 공개특허 제10-2015-0094874호(발명의 명칭: QR 코드를 이용한 웹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자: 2015년 08월 20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실험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태를 정량적으로 데이터화하여 분석할 수 있고,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통해 상품의 개발 및 업데이트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으로서,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성 평가 모듈;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량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성 평가 모듈은,
상기 상품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량 평가 모듈은,
상품의 사용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량 평가 모듈은,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항목 구성부;
상기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하는 대상자 설정부;
상기 항목 구성부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장비 선정부;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방법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상기 대상자 설정부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 구성부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비 선정부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 설정부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부는,
상기 항목 구성부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상기 장비 선정부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상기 방법 설정부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정성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은,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으로서,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이,
(1)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상품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상품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품의 사용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이,
(2-1)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
(2-2) 상기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2-3) 상기 단계 (2-1)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단계;
(2-4)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및
(2-5) 상기 단계 (2-4)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상기 단계 (2-2)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1)에서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3)에서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4)에서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5)에서는,
상기 단계 (2-1)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상기 단계 (2-3)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상기 단계 (2-4)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이,
(3) 상기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이,
(3-1) 상기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정량 평가 결과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실험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태를 정량적으로 데이터화하여 분석할 수 있고,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통해 상품의 개발 및 업데이트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에서, 정량 평가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의 정량 평가 모듈에서, 대상자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대상자의 조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의 정량 평가 모듈에서, 장비 선정부가 항목에 따라 선정한 실험 장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에서, 피드백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에서, 단계 S3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및 방법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및 방법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상품(20)을 사용하는 사용자(30)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상품(20)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상품(20)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고, 실험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품(20)을 사용하는 사용자(30)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 상태를 정량적으로 데이터화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통해 상품(20)의 개발 및 업데이트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및 방법에서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은, 제품 및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및 방법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하여, 사용성 평가를 위한 요구사항 분석, 상품(20) 분석, 예비 평가 등이 선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도출된 상품(20)의 특성, 설문 조사지, 상품(20)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 등을 활용하여 본 평가에 해당하는 정성 평가 및 정량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은, 정성 평가 모듈(100) 및 정량 평가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피드백 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성 평가 모듈(100)은,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성 평가 모듈(100)은, 상품(20)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즉, 정성 평가 모듈(100)은, 상품(20) 분석, 예비 평가 등을 통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를 이용해 진행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계 툴 등을 이용해 분석함으로써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성 평가를 통해, 상품(20) 사용에 따른 사용자(30)의 심리적 변화를 정량화할 수 있다.
정량 평가 모듈(200)은, 상품(20)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량 평가 모듈(200)은, 상품(20)의 사용자(30)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정성 평가 모듈(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피드백 모듈(300)은,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피드백 모듈(300)이,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관리자, 상품(20)의 사용성 평가를 의뢰한 의뢰인, 상품(20)의 개발자, 판매자 등에 개선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상품(20)의 개발이나 개선과 관련된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피드백 모듈(3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에서, 정량 평가 모듈(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은, 항목 구성부(210), 대상자 설정부(220), 장비 선정부(230), 방법 설정부(240) 및 분석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항목 구성부(210)는,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목 구성부(210)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항목 구성부(210)는, 사전에 실시된 상품(20) 분석 및 예비 평가 등의 결과로부터 상품(20)의 사용성 평가에 필요한 항목들을 전달받고, 정량적 평가를 위한 실험을 위해 측정해야할 측정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대상자 설정부(220)는,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대상자 설정부(220)는, 상품(20)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대상자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되는 대상자의 조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대상자 설정부(220)는,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과 정신적 및 신체적 제외 조건을 설정하여, 실험 목적에 맞는 대상자가 설정 및 모집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20)이 욕창방지 매트리스로서, 환자의 몸무게 차이에 따른 부력조절 제품인 경우, 다양한 몸무게를 신체적 조건으로 하는 대상자를 설정할 수 있다.
장비 선정부(230)는, 항목 구성부(210)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비 선정부(230)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장비 선정부(230)는, 구성된 항목에 대응하여 각각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실험 장비로 복수의 항목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 항목과 실험 장비가 일대일 대응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장비 선정부(230)가 항목에 따라 선정한 실험 장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장비 선정부(230)는, 복수의 항목 중 균형을 측정하기 위한 Bio-rescue,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EMG, 보행 및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Vicon을 각각 실험 장비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정된 실험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상품(20)을 사용하는 사용자(30)의 신체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방법 설정부(240)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법 설정부(240)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분석부(250)는, 방법 설정부(240)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대상자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분석부(250)는, 항목 구성부(210), 대상자 설정부(220), 장비 선정부(230) 및 방법 설정부(240)에서 설정된 내용에 따라 실제로 실험을 실시하여, 항목 구성부(210)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50)는, 항목 구성부(210)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장비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방법 설정부(240)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통계 수단은 실험 디자인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통계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에서, 피드백 모듈(3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피드백 모듈(300)은, 정성 피드백부(310) 및 정량 피드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성 피드백부(310)는,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만족도, 안정성 등 각 항목별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디자인의 변경이나 사용성 용도 변경 등을 제안할 수도 있다.
정량 피드백부(320)는, 정량 평가 결과에서 상품(20)에 대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정량 피드백부(320)에서는, 정량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품 자체의 개선 또는 서비스의 개선 등 상품(20) 특성에 따른 개선 방안을 피드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은, 설문 조사 데이터로부터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100) 및 실험 수행 데이터로부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단계 S100에서는, 상품(20)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10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성 평가 모듈(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상품(20)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는, 상품(20)의 사용자(30)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0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0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피드백 모듈(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의 단계 S200은,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S210),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220),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단계(S230),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S240) 및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210에서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21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항목 구성부(2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2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대상자 설정부(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단계 S210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230에서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장비 선정부(2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240에서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1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방법 설정부(2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단계 S240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단계 S22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250에서는, 단계 S210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단계 S230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단계 S240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25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정량 평가 모듈(200)에서, 분석부(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에서, 단계 S3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의 단계 S300은, 정성 평가 결과에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S310) 및 정량 평가 결과에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피드백 모듈(300)에서, 정성 피드백부(3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정량 평가 결과에서 상품(20)에 대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20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의 피드백 모듈(300)에서, 정량 피드백부(3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20: 상품 30: 사용자
100: 정성 평가 모듈 200: 정량 평가 모듈
210: 항목 구성부 220: 대상자 설정부
230: 장비 선정부 240: 방법 설정부
250: 분석부 300: 피드백 모듈
310: 정성 피드백부 320: 정량 피드백부
S100: 설문 조사 데이터로부터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S200: 실험 수행 데이터로부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S210: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
S220: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S230: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단계
S240: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S250: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S300: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S310: 정성 평가 결과에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S320: 정량 평가 결과에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Claims (20)

  1.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으로서,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성 평가 모듈(100); 및
    상기 상품(20)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정량 평가 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 평가 모듈(100)은,
    상기 상품(20)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평가 모듈(200)은,
    상품(20)의 사용자(30)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평가 모듈(200)은,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항목 구성부(210);
    상기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하는 대상자 설정부(220);
    상기 항목 구성부(210)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장비 선정부(230);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방법 설정부(240); 및
    상기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상기 대상자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구성부(210)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선정부(230)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설정부(240)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250)는,
    상기 항목 구성부(210)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상기 장비 선정부(230)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상기 방법 설정부(240)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피드백 모듈(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모듈(300)은,
    상기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정성 피드백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
  11.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으로서,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1) 사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상품(20)에 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상품(20)에 대한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상품(20)에 대하여 추출된 사용성 평가 지표를 이용해 도출된 설문 조사지에 의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상품(20)의 사용자(30)의 정신적 및 신체적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2-1) 실험을 위한 측정 항목을 구성하는 단계;
    (2-2) 상기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의 정신적 및 신체적 포함 조건 및 제외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2-3) 상기 단계 (2-1)에서 구성된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단계;
    (2-4)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및
    (2-5) 상기 단계 (2-4)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상기 단계 (2-2)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집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실험의 실험 수행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1)에서는,
    균형, 근활성도, 보행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목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3)에서는,
    Bio-rescue, EMG 및 Vico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실험 장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4)에서는,
    실험 기간, 대상자 수 및 수행 과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5)에서는,
    상기 단계 (2-1)에서 구성된 측정 항목, 상기 단계 (2-3)에서 선정된 실험 장비 및 상기 단계 (2-4)에서 설정된 실험 방법에 따른 통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량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3) 상기 정성 평가 결과 및 정량 평가 결과로부터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10)이,
    (3-1) 상기 정성 평가 결과에서 설문 항목 중 개선이 필요한 문항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항을 분석해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정량 평가 결과에서 상기 상품(20)에 대한 개선 사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20)의 사용성 평가 분석 방법.
KR1020160113524A 2016-09-02 2016-09-02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24A KR20180026308A (ko) 2016-09-02 2016-09-02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24A KR20180026308A (ko) 2016-09-02 2016-09-02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308A true KR20180026308A (ko) 2018-03-12

Family

ID=6172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24A KR20180026308A (ko) 2016-09-02 2016-09-02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3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4698A (zh) * 2018-09-19 2019-01-15 苏州博硕科创科技企业孵化器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人才数据处理方法及服务器
KR20200026638A (ko) * 2018-09-03 2020-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개선안 도출을 위한 지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6636A (ko) * 2018-09-03 2020-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개선안 도출을 위한 데이터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638A (ko) * 2018-09-03 2020-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개선안 도출을 위한 지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6636A (ko) * 2018-09-03 2020-03-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개선안 도출을 위한 데이터 분류 시스템 및 방법
CN109214698A (zh) * 2018-09-19 2019-01-15 苏州博硕科创科技企业孵化器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人才数据处理方法及服务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Novel sensing technology in fall risk assessment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Wang et al. Monitoring workers' attention and vigilance in construction activities through a wireless and wearable electroencephalography system
Timperio et al. Do logbooks influence recall of physical activity in validation studies?
Maillart et al. MSCopilot, a new multiple sclerosis self‐assessment digital solution: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versus standard tests
Karras Statistical methodology: II. Reliability and variability assessment in study design, Part A.
O’Halloran et al. Responsiveness of the single item measure to detect change in physical activity
Alabdulkarim et al. Impact of task design on task performance and injury risk: case study of a simulated drilling task
KR20180026308A (ko) 상품의 사용성 평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Blosch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postural control and vertical jump performance between three different measurement devices
Umer Simultaneous monitoring of physical and mental stress for construction tasks using physiological measures
Cavalini et al. Construc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revised Upper Extremity Work Demands (UEWD-R) Scale
DeBerardinis et al. A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for center of pressure measurements
Liu et al. Assessing the fall risks of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using the Short-form Physiological Profile Assessment (S-PPA)
McMaster et al. Validity of vertical jump measurement systems
Weber et al. Assessing arm elevation at work with technical systems
Peña García-Orea et al. Validation of an opto-electronic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weighted countermovement jump execution velocity
Qiu et al. New Hick's law based reaction test App reveals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better identifies high falls risk older people than “simple reaction time”
Riwniak et al. Comparison of a multi-component physical function battery to usual walking speed for asses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mobility limitation in older adults
Bruyneel et al. Best quantitative tools for assessing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Rose et al. Reliability of wearable sensors for assessing gait and chair stand function at home in people with knee osteoarthritis
KR20180032979A (ko) 상품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표준지표 개발 시스템 및 방법
Kusmirek et al. Postural instability assessment using trunk acceleration frequency analysis
Belmonte-Hernández et al. A novel framework for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monitoring and assessment in Parkinson disease patients using depth information
KR20160037436A (ko) 건강 키오스크 장치, 건강 정보 제공방법 및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924599B1 (ko) 상품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예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