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266A -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266A
KR20180026266A KR1020160113428A KR20160113428A KR20180026266A KR 20180026266 A KR20180026266 A KR 20180026266A KR 1020160113428 A KR1020160113428 A KR 1020160113428A KR 20160113428 A KR20160113428 A KR 20160113428A KR 20180026266 A KR20180026266 A KR 2018002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tact
crossbar
contact
auxiliary
electro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266A/ko
Publication of KR2018002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의 이동경로에 주물작업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는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접점부와 보조접점이 설치되는 보조접점부를 갖는 크로스바가 구비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접점부에는 상기 보조접점이 설치될 수 있는 보조접점홀이 대칭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접점홀 사이에 중간판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판에는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작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홈의 면을 따라 주물작업용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Crossbar Structure of Elec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의 이동경로에 주물작업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먼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성과 작동에 대한 개요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를 살펴보면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외형이 형성된다. 상부프레임(1)에는 전기회로의 전원측 또는 부하측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점(3)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의 하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빈코일(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코일(4)의 하부에는 이 보빈코일(4)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코어(5)의 상부에는 자력발생 및 자력소멸에 따라 승강 운동하는 가동코어(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빈코일(4)과 가동코어(6)의 사이에는 가동코어(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6) 상부에는 이 가동코어(6)와 함께 승강 운동하는 크로스바(8)가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스바(8)에는 상기 각 고정접점(3)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전기적으로 통전 또는 단락시키는 가동접점(9)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접점(9)에 접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스프링(1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빈코일(4)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코일(4)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된 고정코어(5)가 자화된다. 자화된 고정코어(5)의 자력에 의해 고정코어(5)의 상부에 설치된 가동코어(6)는 고정코어(5)를 향해 인력을 받아 하강하고 상기 가동코어(6)에 결합된 크로스바(8)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8)에 결합된 가동접점(9)이 상부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3)과 접속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보빈코일(4)의 자력이 소멸되면 가동코어(6)를 끌어당기던 흡인력이 사라지고 복귀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코어(6) 고정코어(5)로부터 분리되어 원위치로 상승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크로스바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점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크로스바(8)에는 각 상별로 가동접점(9) 및 접촉스프링(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접점홀(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점홀(8a)의 일측에는 보조접점(11) 및 보조접점 스프링(12)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보조접점홀(8b)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접점홀(8b)의 상부에는 보조접점(11)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8c)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보조접점(11)은 a접점과 b접점의 2개가 제공되므로 보조접점홀(8b)은 중간판(8d)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접점(11)의 이동은 상기 가동접점(9)의 이동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A-A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간판(8d)에는 보조접점 스프링(12)을 설치하기 위한 돌기부(8e)가 돌출 형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크로스바(8)는 주물작업에 의해 가공되는데 주물 제품에는 파팅라인(parting line, 분리선)이 형성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한 돌기부(8e)를 만들기 위한 주형에는 보조접점홀(8b)의 측면부(8f)에 파팅 라인(8g)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파팅 라인(8g)으로 인해 보조접점(11)이 승강할 때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동작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접점의 이동경로에 주물작업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는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접점부와 보조접점이 설치되는 보조접점부를 갖는 크로스바가 구비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접점부에는 상기 보조접점이 설치될 수 있는 보조접점홀이 대칭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접점홀 사이에 중간판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판에는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작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홈의 면을 따라 주물작업용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작업홈은 상기 수직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수직판에 평행한 제2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의 상부며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기 보조접점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보조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전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는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홈은 상기 중간판의 전측면 및 후측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보조접점홀의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의하면 보조접점의 이동공간을 회피하여 보조접점부의 중간판에 형성되는 작업홈의 면을 따라 주물작업의 파팅라인이 형성되므로, 보조접점의 운동시 발생하는 간섭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A-A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B-B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크로스바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B-B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는 가동접점(9)이 설치되는 접점부(25)와 보조접점(11)이 설치되는 보조접점부(30)를 갖는 크로스바(20)가 구비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20)는, 상기 접점부(30)에는 상기 보조접점(11)이 설치될 수 있는 보조접점홀(31)이 대칭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접점홀(31) 사이에 중간판(35)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판(35)에는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작업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홈(36)의 면을 따라 주물작업용 파팅라인(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접촉기에서 본 발명의 특징과 관계없는 부분은 종래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 없이 종래기술에 사용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크로스바(2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적으로 거꾸로 된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장방형의 수직판(21)과 상기 수직판(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판(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판(21)의 상부에는 보조계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접속부(23)가 마련될 수 있고, 수평판(22)의 하부에는 크로스바(20)가 가동코어(6)에 결합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크로스바(20)의 수직판(21)에는 가동접점(9)이 설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접점부(25)가 병렬적으로 마련되고, 접점부(25)의 일측에는 보조접점(11)을 설치할 수 있는 보조접점부(30)가 접점부(25)에 병렬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접점부(25) 및 보조접점부(30)는 수직판(21)과 수평판(22)에 걸쳐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리브(2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접점부(25)에는 가동접점(9)이 설치될 수 있는 접점홀(27)이 복수 개 형성되고, 접점홀(27)의 하부에는 가동접점(9)을 조립하는 경우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접점조립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접점부(30)에는 보조접점(11)이 설치될 수 있는 보조접점홀(31)이 형성된다. 보조접점(11)은 반대로 작용할 수 있는 한 쌍(a접점, b접점)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조접점홀(31)은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보조접점홀(31)의 외측으로 각각 보조접점(11)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조립홀(3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단순히 보조접점이라고 하였지만, 보조접점의 가동접점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보조접점 또한 주접점과 마찬가지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고, 크로스바에 설치되는 것은 보조접점의 가동접점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보조접점이라 일컬어지는 것은 보조접점의 가동접점이다.)
보조접점홀(31)의 양 측면부에는 보조접점(11)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접점(11)은 가이드(33)의 면을 따라 움직이므로 상하운동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33)의 하부에는 보조접점(11)의 조립작업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홈(34)이 마련될 수 있다. 작업홈(34)은 보조접점홀(31)의 측면부에 함몰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접점홀(31)의 사이에 중간판(35)이 마련된다. 중간판(35)은 보조접점(11)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보조스프링(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판(35)에는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작업홈(36)이 형성된다. 작업홈(36)은 수직판(2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부(37)와 수직판(21)에 평행한 제2측면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홈(36)의 면을 따라, 즉 상기 작업홈(36)의 제1측면부(37) 및 제2측면부(38)에 주물작업용 파팅라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파팅라인이 작업홈(36)의 면 부분에 형성되므로 보조접점(11)의 이동경로와는 무관하므로, 보조접점(11)의 운동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작동불량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중간판(35)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보조접점(11)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보조스프링(12)이 설치될 수 있는 돌기부(3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9)의 수직단면(수직판(21)에 평행한 가로 단면)은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9)의 전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38)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돌기부(39)의 전면부는 제2측면부(38)와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9)의 전면부가 제2측면부(38)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어 주물작업용 파팅라인을 구성하기 용이해진다. 따라서, 돌기부(39)를 위한 파팅라인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제2측면부(38) 상에 파팅라인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작업홈(36)은 중간판(35)의 전측면 및 후측면에 각각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크로스바(120)에서, 상기 작업홈(136)의 제2측면부(38)는 상기 보조접점홀(31)의 측면부(31a)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의 작업홈(136)은 제1측면부가 보조접점홀(31)의 측면부(31a)와 동일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측면부(138)는 보조접점홀(31)의 측면부(31a)까지 연장 형성된다.
제2측면부(138)는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세로 부분은 돌기부(39)의 전면부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주물작업시 형성되는 파팅라인이 보조접점(11)의 이동경로를 회피하여 작업홈(136) 즉, 제2측면부(138)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보조접점(11)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에 의하면 주물작업의 파팅라인이 보조접점의 이동경로를 회피하여 보조접점부의 중간판에 형성되는 작업홈의 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가동접점의 움직임을 간섭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보조접점 12 보조스프링
20,120 크로스바 21 수직판
22 수평판 23 접속부
24 결합부 25 접점부
26 리브 27 접점홀
28 접점조립홀 30 보조접점부
31 보조접점홀 31a 측면부
32 조립홀 33 가이드
34 작업홈 35 중간판
36 작업홈 37 제1측면부
38 제2측면부 39 돌기부

Claims (6)

  1. 가동접점이 설치되는 접점부와 보조접점이 설치되는 보조접점부를 갖는 크로스바가 구비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접점부에는 상기 보조접점이 설치될 수 있는 보조접점홀이 대칭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접점홀 사이에 중간판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판에는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는 작업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홈의 면을 따라 주물작업용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홈은 상기 수직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수직판에 평행한 제2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상부며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기 보조접점에 접압력을 제공하는 보조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전면부는 상기 제2측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전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는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홈은 상기 중간판의 전측면 및 후측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보조접점홀의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KR1020160113428A 2016-09-02 2016-09-02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KR20180026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428A KR20180026266A (ko) 2016-09-02 2016-09-02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428A KR20180026266A (ko) 2016-09-02 2016-09-02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66A true KR20180026266A (ko) 2018-03-12

Family

ID=6172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28A KR20180026266A (ko) 2016-09-02 2016-09-02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2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862B2 (ja) 電磁接触器
US10515774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659197B (zh) 一种能够灭弧及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EP2919248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8823474B2 (en) Contact switch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EP3879553B1 (en) Direct-current relay resistant to short-circuit current
US9312087B2 (en) Electronic contactor including separable upper bodies
CN109659198B (zh) 一种灭弧及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EP3965135B1 (en) Magnetic latching relay capable of accurately positioning magnetic circuit
EP3016125B1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CN212032904U (zh) 能够抗短路电流及灭弧的直流继电器
CN109671593B (zh) 一种带磁钢灭弧并能够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US3735295A (en) Electric control devices with mechanical interlock
KR20180026266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WO2018043159A1 (ja) 電磁継電器
JP4910900B2 (ja) 接触子装置
US3368171A (en) Electric control devices with mechanical interlock
EP3561848B1 (en) Contactor
CN212032958U (zh) 灭弧及抗短路电流的直流继电器
KR102349753B1 (ko) 다접점 직류 릴레이
JP7394277B2 (ja) アークボックス及びそれを含む電磁接触器
US20240087830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effectively extinguishing arc
KR102518886B1 (ko) 전자접촉기
KR20170072067A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촉자 조립 구조
JP2023003206A (ja) 接点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