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089A - Tongs for crop guide - Google Patents

Tongs for crop gu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089A
KR20180026089A KR1020160113041A KR20160113041A KR20180026089A KR 20180026089 A KR20180026089 A KR 20180026089A KR 1020160113041 A KR1020160113041 A KR 1020160113041A KR 20160113041 A KR20160113041 A KR 20160113041A KR 20180026089 A KR20180026089 A KR 2018002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rop
line
fixed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16011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089A/en
Publication of KR2018002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ngs for guiding crops, fixing a fixed line connected to a support and a crop, and having remarkably superior binding force by easily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line, and fixing the fixing like inside a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after bending the fixing line in a V shape.

Description

농작물 유인집게{TONGS FOR CROP GUIDE}{TONGS FOR CROP GUIDE}

본 발명은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있어서,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112)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고정구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파지부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와 치합되는 소정두께의 제2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줄이 삽입되는 고정줄 삽입홈; 및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 및 제2농작물고정부를 체결하여 몸체부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를 외측으로 벌려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삽입홈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줄을 고정줄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상기 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체결구로 고정하면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줄이 내부에서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ler lifting tiller for allowing a crop to grow along a fixed line by fixing a tiller line and a crop line connected to a support, the tiller having a semicircular first cropping fixture, And a second crop fixing part (11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form a circular crop fixing hole in the second crop fixing part (112);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 fixed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first grip por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a center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so as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A fixed lin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ed line is inserted in parallel;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rop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crop fixing portion to interlock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ropping portions, When the fix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 with the line inserting groove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n the body portio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n fixed by the fastener, when the center portions of the both sid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ch is folded in the form of a tongue, and fixed firmly.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은 열매가 열리는 경우 그 무게에 의해 줄기가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농작물을 재배할 때 여러 개의 말뚝을 박고 말뚝에 끈을 연결하여 농작물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처리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농작물의 양측을 따라 줄을 둘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줄이 농작물의 라인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줄의 소비가 심하다. 이러한 줄의 소비는 경제적 손실 및 환경 오염의 문제를 유발한다.Crops such as red pepper, cucumber, and tomatoes can be struck by their weight when the fruit is opened. Therefore, when cultivating such crops, a plurality of piles are stuck and a string is connected to the piles to fix the crops on both sides Generally. This method requires a lot of time to work along the lines of the crop along both sides of the crop, as well as the need to install the lines along both sides of the line of crops, so the line consumption is high. Consumption of such lines causes economic los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말뚝에 하나의 줄을 연결하고 고정용 집게로 농작물을 끈에 고정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940호에서는 손잡이에 줄 클립부를 형성하여 농작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소개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9395에서는 집게부가 본체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비틀어서 형성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농작물 고정용 집게는 농작물을 고정용 줄에 연결할 때 작업자가 집게를 많이 회전시킨 상태에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집게의 설치가 어려웠다. To solve these problems, a method of connecting one line to the pile and fixing the crop to the string with the fixing forceps has been introduced. For example,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6940, a crop clamping tongs for fixing a crop by forming a loop clip portion on a handle has been disclos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19395, A crop clamping tongue formed by twist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has been introduced. However, the conventional tongs for fixing crops have a problem that when the crops are connected to the fixing line, the operator must install the tongs in a state where the tongs are rotated a lot,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tong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191호에 농작물 고정용 집게가 개시되었다. 상기의 집게는 지지체에 연결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줄과 농작물을 연결하기 위한 농작물 고정용 집게로서, 서로 체결되어 농작물 구속공을 형성하는 제1 집게 다리와 제2 집게 다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구속공이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맞물려서 상기 고정용 줄을 파지하는 제1 및 제2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다리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는 파지면은 상기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ongs for fixing crops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0191. Wherein the clamp is a clamp for clamping crops for connecting crops with a transversely extending fastening string connected to a support, the clamp comprising: a first clamping leg and a second clamping leg which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crop restraining ball, And an elastic member fastened to the second leg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legs and the second leg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p restraining ball is closed, and an elastic member fixed to the first legs and the second leg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leg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nd the gripping surface formed by the engagemen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ropping fixture.

상기의 집게는 파지면이 농작물 고정용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어서 설치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정용 줄에 고정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작업자가 작물의 줄기를 제1,2집게 다리 사이에 고정하면서 고정용 줄을 상기 파지면에 강제로 압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상기 파지면이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고정용 줄이 평행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1,2파지부로부터 간섭이 발생하여 집게를 평행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없고 소정각도로 꺾은 상태에서 고정용 줄의 고정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The tongu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amp for fixing crops so that the tongue can be rotated at a relatively small angle during installation and can be fixed to the fixing li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press-fit the fixing line to the holding surface while fixing the stem of the cro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s. This is because when the gripping surface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per, it is impossible to move the gripper in a parallel state due to interference from the first gripper and the second gripper, Fixing operation of the fixing line should be done with the angle folded.

또한, 상기의 집게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줄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줄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오이나, 호박 등과 같은 넝쿨 식물의 경우 그 특성상 작물이 자라면서 넝쿨손이 주변의 지형지물에 감기면서 자라기 때문에 고정용 집게로 고정해주어야 하는데, 상기의 집게는 제1,2파지부가 집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줄을 제1,2집게 다리의 회전축 측에 삽입할 경우 제1,2파지부로부터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줄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the above-described tongs can be used for a fixing line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but it is not applicable to a fixing line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vine plants such as cucumbers, pumpkins, etc., due to the nature of the crop, the vinegar grows as it grows around the surrounding land, so that it must be fixed with the fixing forceps. Sinc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leg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occu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for a fixing line to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고정줄을 삽입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한 농작물 유인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ller which can easily connect a crop line with a fixed line connected to a suppor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줄을 고정하는 결속력이 우수하며, 고정줄의 설치방향(횡방향 또는 종방향)에 무관하게 사용 가능한 농작물 유인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ing tool for agricultural use which is excellent in binding force for fixing the fixed line and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ixed line (transverse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있어서,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112)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고정구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파지부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와 치합되는 소정두께의 제2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줄이 삽입되는 고정줄 삽입홈; 및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 및 제2농작물고정부를 체결하여 몸체부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를 외측으로 벌려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삽입홈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줄을 고정줄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상기 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체결구로 고정하면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줄이 내부에서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ler lifter for growing crops along a fixed line by fixing a fixed line and a crop to be connected to a support, the tiller having a semicircular first crop fixture, A crop fixture comprising a second crop fixture (11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form a circular crop fixation hole inside the crop fixture (10); A first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 fixed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first grip por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a center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so as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A fixed lin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ed line is inserted in parallel; And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rst crop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crop fixing portion to interlock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cropping portions, When the fix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 with the line inserting groove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n the body portio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n fixed by the fastener, when the center portions of the both sid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firmly fixed while being folded in the form of a tongu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반듯하게 펴지려고 하는 탄성력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를 해제하면 연결부가 탄성력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고정줄 삽입홈이 자연스럽게 평행한 상태가 되면서 상기 고정줄 삽입홈에 고정줄을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has an elastic force to be spread outwardly while expanding outwardly. When the fastening part is released, the connection part is expanded out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is naturally parallel, Thereby facilitating an operation of inserting the fixing line into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전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제2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자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을 통과한 후 상기 결속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bent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p fixing portion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thereof, And a fastener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port to restrict movement in a reverse direction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fitting groove and then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po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고,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삽입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줄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ed-rod insertion groove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fixed rod is sli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fixing line guide for preventing the fixing line inserted in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 삽입홈을 통해 상기 지지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줄 고정부를 통해 지면에 종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ed lin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ixe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ed lin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ixed or the fixed lin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ed line fix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있어서,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고정구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집게다리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집게다리와 치합되는 소정두께의 제2집게다리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고정홀이 닫히는 방향으로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줄이 삽입되는 고정줄 삽입홈과;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고정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줄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를 벌려 상기 고정줄 삽입홈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줄을 고정줄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제1,2집게다리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다리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치합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줄이 내부에서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ler lifting tiller for allowing a crop to grow along a fixed line by fixing a tillage line and a crop to be connected to a support, wherein the first tiller fixing unit and the first tiller fixing unit, A crop fixture comprising a second crop fixtur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form a circular crop fixation hole therein; A first clamping leg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ping fixture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clamping leg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ping fixture and engaging with the first clamping leg, And an elastic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mp leg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clamp leg and the second clamp le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p fixing hole is closed, A body por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rotatable;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lamping leg and the second clamping leg, respectively. The first clamping leg and the second clamping leg are formed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A fixed lin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fixed line is inser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nd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lamping line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sli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line insertion groove, And a fixed line guide for guiding the fixed line inserted into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and preventing the fixed lin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clamp leg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and when the clamp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mp legs, And the fixing rods are folded inwardly as the center portions of the side fixing rope insertion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at the so characteriz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신속용이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고정줄을 삽입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nnect and fix the fixed rope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crop,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insert and fix the fixed rope, which is advantageous in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줄 삽입홈을 대각 방향으로 형성하여 고정줄이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서 중심부 맞물림 현상에 따라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속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fixed rods are firmly fixed while being folded in a pinching manner in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s according to the central engaging phenomenon,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를 통해 제1작물고정부와 제2작물고정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고정줄 삽입홈이 자연스럽게 평행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고정줄 삽입홈에 고정줄을 삽입하는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rop fixing part and the second crop fixing part are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having elastic force,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becomes naturally parallel, and thus the fix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orkability is remarkably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줄의 설치방향(횡방향 또는 종방향)에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실용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ounting direction (lateral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line, it is advantageous in practicality and economy.

도 1 내지 2는 종래의 농작물 유인집게의 예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를 통해 농작물 및 고정줄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의 사용상태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를 통해 농작물 및 고정줄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prior art agricultural manure tongs.
Figures 3 to 5 are illustrations of a crop manure to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a crop and a fixing line through the agricultural manure to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er string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tate of use of the agricultural manure to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s 10-11 are illustrations of a crop manure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a crop and a fixing line through a crop manure g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 및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관한 것으로, 신속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고정줄을 결속하는 힘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고정줄의 설치방향(횡방향 또는 종방향)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line connected to a scaffold and a crop attracting gripper for allowing a crop to grow along a fastening line by fixing crops, which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structed, , And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line.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gricultural manure grip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농작물 유인집게(100)는 농작물 고정구(110)와, 몸체부(120)와, 고정줄 삽입홈(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gricultural manure tongue 100 includes a crop fixture 110, a body portion 120, a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130, and a coupling portion 140.

상기 농작물 고정구(110)는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111)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농작물을 삽입하여 생장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113)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112)로 구성된다. The crop fixture 110 includes a semicircular first crop fixture 111 and a circular crop fixation hole 113 for engaging the first crop fixture and inserting the crop therein to guide the growth direction And a second crop fixing part 11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be formed.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1파지부(121)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2파지부(123)와,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ody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grip portion 12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a second grip portion 12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 fixed portion, And a connection part 125 connecting the first grip part and the second grip part.

상기 제1파지부(121)와 제2파지부(123)은 강도를 갖도록 소정두께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rip portion 12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3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have strength, and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ip the grip.

또한, 상기 제1파지부의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받침편(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파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받침편에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삽입편(124)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0)는 받침편(122)과 삽입편(124)을 통해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A semicircular insert piece 124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ripper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iece. The semicircular insert piece 12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gripper portion. The body part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through the receiving part 122 and the insertion part 124.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제1파지부(121)와 제2파지부(123)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로 형성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25 is formed to have a "V"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connect the first grip portion 12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3,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secure strength and durability .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W)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줄 삽입홈(130)이 형성된다. And a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130 for inserting the fixing line 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상기 고정줄 삽입홈(130)은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파여 형성되며,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파지부에 삽입편(1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편(124)의 길이만큼 고정줄 삽입홈이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2파지부(123)에 형성되는 고정줄 삽입홈이 상기 제1파지부(121)에 형성되는 고정줄 삽입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 portions and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to the inner periphery. 3 to 5, since the insertion piece 124 is formed in the second grip portion,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iece 124,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to be formed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gripper 121.

작업자가 상기 몸체부(120)를 외측으로 벌려 양측 고정줄 삽입홈(130)이 평행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내부에 고정줄(W)을 삽입한 후 상기 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양측 고정줄 삽입홈(130)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제2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삽입홈의 삽입편 측 단부가 제1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삽입홈의 받침편 측 단부보다 아래 측에 위치하는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내부에 삽입된 고정줄을 갈지자(之) 형태로 꺾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worker opens the body part 120 to open the body fix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s 13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serts the fixing line W into the inside there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oove 130 is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sertion piece side end portion of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rip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end side portion of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grip por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fixed line inserted in the inside into the shape of a pin.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 및 제2농작물고정부를 체결하여 몸체부의 움직임을 단속하여 상기 농작물 고정홀 내부에 삽입된 농작물과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삽입된 고정줄(W)의 이탈을 방지한다. Next, the fastening part fastens the first crop fixing part and the second crop fixing part to interlock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hereby fixing the crop line inserted into the crop fixing hole and the fixing line W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

상기 체결부(140)는 제1농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결속구(141)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자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속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고정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astening part 140 includes a binding part 141 formed to be bent out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p fixing part and a fixing part 141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rop fixing part in a & And a fixture 143 detachably coupled thereto.

상기 결속구(141)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고정구가 관통할 수 있도록 끼움홈(142)이 개방형성된다. The coupling hole 14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secure strength, and a fitting groove 142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to allow the fixing hole to pass therethrough.

상기 고정구(143)는 상기 끼움홈을 통과한 후 상기 결속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4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44)은 결속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구(143)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농작물 고정구(11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The fastener 143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44 that restricts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por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tting groove. The catching jaw 1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nding port so a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fixing port 143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cropping fixture 110 from being disengaged arbitrarily.

상기 고정구(143)를 결속구(141)와 고정할 때에는 먼저 상기 고정구 몸체가 오므려지도록 가압한 다음 상기 끼움홈(142)을 관통시킨 후 힘을 해제하여 걸림턱(144)이 결속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When fixing the fastener 143 with the fastener 141, the fastener body is pressed so that the fastener body is pinched first, then the force is releas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tting groove 142 so that the fastener 144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er Tightly.

또한, 상기 고정구(143)에는 상기 고정구(143)와 결속구(141)을 분리하기 위한 누름부(145)가 형성된다. 고정구(143)와 결속구(141)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누름부(145)를 눌러 고정구를 가압하면 상기 걸림턱이 끼움홈의 외주면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면서 고정구 몸체를 오므려져 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fastener 143 is formed with a pressing part 145 for separating the fastener 143 from the fastener 141. When separating the fastener 143 from the fastener 141, pressing the fastener 145 causes the fastener to slide smooth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er groove, thereby moving the fastener body in the reverse direction .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125)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반듯하게 펴지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12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lastic force which tends to expand straightly while expanding to the outside.

만약, 상기 연결부(125)가 탄성력이 없으면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130)이 평행한 상태가 될 때까지 작업자가 제1파지부(121)와 제2파지부(123)를 외측으로 직접 주어야 하고, 이후 고정줄을 삽입해야 하므로 작물 및 고정줄의 고정작업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농작물 유인집게를 보관 및 운반할 때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140)로 몸체부(120)를 고정해 두기 때문에 작업시에는 상기 체결부(140)를 풀어 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connecting part 125 does not have an elastic force, the operator must directly give the first grip part 121 and the second grip part 123 to the outside until the both side fixing rod insertion grooves 130 become parallel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gricultural manure pliers, it is necessary to use a fastening part 140 to fasten the body part 120 The operation of unfastening the fastening part 140 must be performed prior to the operation so that the operation speed is significantly lowered.

상기 연결부(125)가 상기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반듯하게 펴지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게 되면 제1파지부(121) 및 제2파지부(123)가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양측 고정줄 삽입홈(130)이 평행한 상태가 되므로 고정줄(W)을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감싸는 형태로 파지한 상태에서 체결부(140)를 해제하면 연결부(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몸체부(120)가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양측의 고정줄 삽입홈(130)이 점차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1파지부(121) 및 제2파지부(123)를 가압하거나 힘을 풀어서 양측 고정줄 삽입홈(130)이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그 내부에 고정줄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시공되어 있는 농작물 유인집게(100)를 풀 때에도 체결부(140)의 잠금상태만 해제하면 연결부(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신속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The first grip portion 12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3 spontaneously extend outward so that the two side fixed line insertion grooves 130 Is in a parallel stat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 of inserting the fixed line W. 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part 140 is released while gripping the first grip part and the second grip part, the body part 120 spontaneously opens out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125, The stationary string insertion groove 130 of the stationary string is gradually flattened.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press the first grip portion 12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3 or release the force so that the side fixed line insertion grooves 130 ar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ave. Also, when the clamping unit 140 is unlocked, the first gripping unit and the second gripping unit are naturally opened to the outsid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unit 125, You can proceed to work.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25)가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농작물 및 고정줄의 고정작업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portion 125 has an elastic forc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workability in the fixing operation of the crop and the fixing line.

또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받침편 및 삽입편의 상측으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A fixing line fixing part 15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facing each other to fix the supporting piece and the fixing lin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piece.

보 발명에서 상기 고정줄 고정부(150)는 돌기와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이 제1,2파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고, 또는 고정줄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감싸면서 고정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이 내측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line fixing part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rojections and th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parts,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xed lines are wrapped and fixed on both sides Shaped groove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inwardly recessed shape so that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can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prevent slipping of the fixing line and increase frictional force.

본 발명은 상기 고정줄 삽입홈을 통해 지지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고정줄 고정홈을 통해 지면에 종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줄의 고정방향에 영향을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오이나 호박 또는 토마토과 같이 수직으로 고정줄을 설치하여 그 줄기를 수직방향으로 유인하는 작물에 사용할 수 있고, 또는 포도와 같이 수직으로 생장시킨 후 수평으로 줄기를 유인하는 작물에도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fixing line connected to the suppo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and fix the fixing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xing line fixing groove,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used without affecting. 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crops that are vertically attracted to the stem by installing vertically fixed ropes such as oats, pumpkins, or tomatoes, or they can be used for crops that grow vertically, such as grapes, There is an advantage of practicality.

다음으로,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이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줄 가이드(160)가 형성된다. Next, referring to FIGS. 7 to 8, the front side of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is formed with a guide line guide 160 for guiding the fixing line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상기 고정줄 가이드(160)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한다. The fixed-line guide 160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 upward in an arcuate shape so that the fixed-line guide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guide the fixed-line guide 160 smoothly into the fixed-lin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고정줄 가이드(160)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고정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ed line guide 160 is formed to surround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the fixed line fixed in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상기 고정줄 가이드(160)는 상기 몸체부(120)를 외측으로 벌리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위에서 바라봤을 때 제1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가이드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고, 제2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가이드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hen the body section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or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fixed line guide 160 formed on the first grip section is disposed inward And the fixed line guide formed on the second grip portion is formed in a convexly protruding shape.

다음으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상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턱(17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턱(17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전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Next,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 guide protrusion 17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e guide protrusion 170 has a thicknes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고정줄(W)을 가이드턱(170)에 밀착시켜 고정줄 삽임홈(130) 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턱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다음 고정줄 가이드(160)와 가이드턱(170) 사이로 인입되어 고정줄 삽입홈(130)에 삽입하는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fixed line W is closely attached to the guide jaw 170 and moved toward the fixed line insertion slot 130, the fixed line W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jaw and then is drawn between the fixed line guide 160 and the guide jaws 170, It is possible to promptly insert the workpiece into the line insertion groove 130.

또한, 상기 고정줄 가이드(160)와 가이드턱(170)을 통해 상기 고정줄 삽입홈(130)이 더욱 깊어지는 형태가 되므로 고정줄(W)의 이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130 is further deepened through the fixing line guide 160 and the guide protrusion 17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fixing line W from being separated.

다음으로,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를 통해 농작물 및 고정줄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및 12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유인집게의 구성이나 고정방법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고정줄 가이드(240)와 가이드언덕(250)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Next, FIGS. 10 to 11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gricultural manure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 method of fixing the crops and the tie line through the agricultural manure to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0 and 12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manure g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fixing the agricultural manure g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농작물 유인집게는 일단이 상호 접촉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게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로서, 농작물 고정구(210)와, 몸체부(220)와, 고정줄 삽입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rop attracting tongs are a pair of clamping members, one end of which is mutually contact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ropping fixture includes a crop fixing member 210, a body 220, .

상기 농작물 고정구(210)는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211)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213)이 형성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제2농작물고정부(212)로 이루어진다. The crop fixture 210 includes a semicircular first crop fixture 211 and a semicircular second crop fixture 213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crop fixture to form a circular crop fixation hole 213 therein. (212).

상기 몸체부(22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집게다리(221)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2집게다리(222)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에 체결되는 탄성부재(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ody portion 2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a center portion thereof. The body portion 220 includes a first leg 221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 fixing portion, A second gripper leg 22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from one end portion thereof and an elastic member 223 fastened to the first gripper legs and the second gripper legs.

상기 제1집게다리(221)와 제2집게다리(222)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체결되며, 예를 들어 일측에는 받침편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받침편에 대응하는 삽입편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lamping leg 221 and the second clamping leg 222 are fastened in various forms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For example, a support piece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insertion pie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iec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

상기 몸체부(220)는 상기 탄성부재(223,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단속되어 상기 농작물 고정홀(213)이 항상 단속된 상태, 즉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e body portion 220 is interrupted by the elastic member 223 (for example, a spring) so that the crop fixing hole 213 is always kept in a closed state.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줄 삽입홈(230)이 형성된다. And a fixing bar insertion groove 230 for inserting the fixing bar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상기 고정줄 삽입홈(230)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파여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fixed-line insertion slot 2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and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inner circumference.

상기 고정줄(W)을 고정줄 삽입홈(230)에 삽입할 때에는, 먼저 상기 몸체부(22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제1집게다리(221) 및 제2집게다리(222)를 가압하여 상기 제1,2집게다리의 전면에 형성된 각 고정줄 삽입홈(230)이 평행하게 만든 다음 그 내부에 고정줄(W)을 삽입한다. 이후, 제1,2집게다리에 가한 힘을 해제하여 탄성부재(22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줄 삽입홈(2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 고정줄(W)을 갈지자(之) 형태로 꺾어지게 만들어 견고하게 고정한다. When inserting the fixing line W into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230,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221 and 222 are pressed so that the body portion 220 is opened outward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s 230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mad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n the fixing line W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nsertion grooves 230.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3 releases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s 23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223, The fixing line (W) is folded in a shape of a pinch and fixed firmly.

한편,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이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삽입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줄 가이드(240)가 형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legs of the first leg and the second leg are guided to the front of the fastener string insertion groove smoothly, and the inserted fastener string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240 are formed.

상기 고정줄 가이드(240)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23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고정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ed line guide 240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230 upwardly so as to be guided smoothly into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while sliding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ed line fixed in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여기에서, 상기 고정줄 가이드(240)는 상기 몸체부(220)를 외측으로 벌리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집게다리에 받침편이 형성되고, 제2집게다리에 삽입편이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제1집게다리에 형성되는 고정줄 가이드의 받침편 측 단부는 내측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제2집게다리에 형성된 고정줄 가이드의 삽입편 측 단부는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hen the body part 220 is opened to the outside or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fixed line guide 24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ward at one side thereof, For example, supposing that a first support leg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 leg and an insert piece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leg, the support piece side The end portion may be recessed inwardly inward, and the insertion piece side end of the fastener string guide formed on the second le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nvexly protruding shape.

다음으로,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상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턱(2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턱(26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전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Next, guide grooves 25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 legs. The guide jaw 260 has a thicknes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고정줄(W)을 가이드턱(250)에 밀착시켜 고정줄 삽임홈(230) 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턱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다음 고정줄 가이드(240)와 가이드턱(250) 사이로 인입되어 고정줄 삽입홈(230)에 삽입하는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fixed line W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jaw 250 and moved to the side of the fixed line slot 230, the fixed line W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jaw and then is drawn between the fixed line guide 240 and the guide jaw 250, It is possible to quickly insert the workpiece into the line insertion slot 230.

또한, 상기 가이드턱(250)과 고정줄 가이드(240)을 통해 상기 고정줄 삽입홈(230)이 더욱 깊어지는 형태가 되므로 고정줄(W)의 이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230 is further deepened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250 and the fixing line guide 240, the detachment of the fixing line W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100 : 농작물 유인집게
110 : 농작물 고정구 111 : 제1농작물고정부
112 : 제2농작물고정부 113 : 농작물 고정홀
120 : 몸체부 121 : 제1파지부
122 : 받침편 123 : 제2파지부
124 : 삽입편 125 : 연결부
130 : 고정줄 삽입홈
140 : 체결부 141 : 결속구
142 : 끼움홈 143 : 고정구
144 : 걸림턱 145 : 누름부
150 : 고정줄 고정부
160 : 고정줄 가이드
170 : 가이드턱
200 : 농작물 유인집게
210 : 농작물 고정구 211 : 제1농작물고정부
212 : 제2농작물고정부 213 : 농작물 고정홀
220 : 몸체부 221 : 제1집게다리
222 : 제2집게다리 223 : 탄성부재
230 : 고정줄 삽입홈
240 : 고정줄 가이드
250 : 가이드턱
100: Crop-attracting tongs
110: a crop fixture 111: a first crop fixture
112: second cropping station 113: cropping station fixing hole
120: body portion 121: first grip portion
122: support piece 123: second grip portion
124: insertion piece 125:
130: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140: fastening part 141: fastening part
142: fitting groove 143: fastener
144: latching jaw 145:
150:
160: Strap guide
170: guide chin
200: Cropping staff
210: a crop fixture 211: a first crop fixture
212: Second cropping station 213: Farming station fixing hole
220: body portion 221: first leg
222: second leg 223: elastic member
230: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240: Strap guide
250: guide chin

Claims (6)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있어서,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111)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113)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112)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고정구(110)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파지부(121)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와 치합되는 소정두께의 제2파지부(123)와,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120)와;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줄이 삽입되는 고정줄 삽입홈(130); 및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 및 제2농작물고정부를 체결하여 몸체부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를 외측으로 벌려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에 형성된 고정줄 삽입홈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줄을 고정줄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상기 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체결구로 고정하면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줄이 내부에서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A tiller for a crop, which fixes a fixed line and a crop connected to a support so that the crop can grow along the fixed line,
A first crop fixing part 111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crop fixing part 112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crop fixing part so as to form a circular crop fixing hole 113 therein (110);
A first grip portion 12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grip portion 12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 fixed portion, A second grip portion 123 and a connecting portion 125 connecting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being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er portion, (12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so as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A fixed line insertion groove (130) into which the fixed line is inserted in parallel; And
And a fastening part (140) for fastening the first crop fixing part and the second crop fixing part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he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nsertion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is opened outward and the fixing line inserting groov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art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n the body par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fixing rope is folded inwardly and fixed firmly as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ide rail fixing groov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반듯하게 펴지려고 하는 탄성력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를 해제하면 연결부가 탄성력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고정줄 삽입홈이 자연스럽게 평행한 상태가 되면서 상기 고정줄 삽입홈에 고정줄을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has an elastic force to be spread outward while being straightened, and when the fastening portion is released, the connection portion is expanded outward due to elastic force so that the fastening line insertion groove is naturally parallel, And a work for inserting a fixing line in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facilit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전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자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을 통과한 후 상기 결속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out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p fixed portion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 fastener having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er so a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fastener in a reverse dir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fit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고,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삽입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줄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ed-rod insertion groove upward in an arcuate shape so as to slid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And a fixed line guide for guiding the fixed line to be inserted smoothly and preventing the fixed line inserted in the fixed lin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줄 삽입홈을 통해 상기 지지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줄 고정부를 통해 지면에 종방향으로 연결된 고정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ed line fixing portion for fixing a fixe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formed o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a fixe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ixed through the fixed line fixing portion.
지지체에 연결된 고정줄과 농작물을 고정하여 농작물이 고정줄을 따라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에 있어서,
반원형의 제1농작물고정부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와 치합되어 그 내부에 원형의 농작물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농작물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농작물 고정구와;
상기 제1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제1집게다리와, 상기 제2농작물고정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집게다리와 치합되는 소정두께의 제2집게다리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에 체결되어 상기 농작물 고정홀이 닫히는 방향으로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 형성되되 외주연에서 내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낮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몸체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서로 평행을 이루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줄이 삽입되는 고정줄 삽입홈과;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줄 삽입홈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줄이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줄 삽입홈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줄 삽입홈 내부에 고정된 고정줄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줄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집게다리 및 제2집게다리를 벌려 상기 고정줄 삽입홈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줄을 고정줄 삽입홈에 삽입한 다음 제1,2집게다리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집게다리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치합되어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양측 고정줄 삽입홈의 중심부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고정줄이 내부에서 갈지자(之) 형태로 꺾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유인집게.
A tiller for a crop, which fixes a fixed line and a crop connected to a support so that the crop can grow along the fixed line,
A crop fixture comprising a first crop fixtur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crop fixtur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crop fixture and having a circular crop fixation hole therein;
A first clamping leg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ropping fixture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econd clamping leg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ropping fixture and engaging with the first clamping leg, And an elastic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mp leg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clamp leg and the second clamp le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p fixing hole is closed, A body por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rotatable;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lamping leg and the second clamping leg, respectively. The first clamping leg and the second clamping leg are formed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A fixed lin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fixed line is inser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nd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lamping line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sli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amping line insertion groove, And a fixing line guide for guiding the fixing lin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to prevent the fixing line from being deviat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opened to make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s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x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insertion groove and t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is released,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leg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o prevent the crops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lamping rods are pinched inwardly as the center portions of the both- So as to be firmly fixed.
KR1020160113041A 2016-09-02 2016-09-02 Tongs for crop guide KR201800260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41A KR20180026089A (en) 2016-09-02 2016-09-02 Tongs for crop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41A KR20180026089A (en) 2016-09-02 2016-09-02 Tongs for crop g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89A true KR20180026089A (en) 2018-03-12

Family

ID=6172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41A KR20180026089A (en) 2016-09-02 2016-09-02 Tongs for crop gu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0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93U (en) * 2019-08-09 2021-02-18 이호 A device for binding the stem of plants
KR20220002202U (en)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피스 Binding b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93U (en) * 2019-08-09 2021-02-18 이호 A device for binding the stem of plants
KR20220002202U (en)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피스 Binding b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224A (en) Anchor bolt holder
AU601241B2 (en) Fastening means
US8910347B1 (en) Rubber strap device
US86507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flexible panel
KR20160002652U (en) Vine crops luring stem clamp
US20060042151A1 (en) Quick release line attachment
KR20180026089A (en) Tongs for crop guide
AU2013204064B2 (en) A Cord Fixture
CA2583305C (en) Fastening band
US4615140A (en) Vine tie
KR20060012040A (en) Fixation tongs of plant
KR101451029B1 (en) Crop support strap connection clip
WO2017122191A1 (en) Dual-purpose clip
KR20100000005U (en) Clip for vine guide
KR101943092B1 (en) Tongs for Supporting Stem of Plants
KR20170017858A (en) Tie device of plant support
KR200373413Y1 (en) Fixing tools of a growing rope for farm products
KR20160011317A (en) Tie device of plant support
KR101813021B1 (en) (Fruit) tree branches droop and sway prevention support
KR200493317Y1 (en) A device for binding the stem of plants
KR102168129B1 (en) Vine stalks a hand-held claw
KR100604954B1 (en) Oie jikgae
US20230272816A1 (en) Open loop connector
JP3083150U (en) Wire attachment
JPH0650560Y2 (en) Rope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