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59A -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59A
KR20180024459A KR1020160110709A KR20160110709A KR20180024459A KR 20180024459 A KR20180024459 A KR 20180024459A KR 1020160110709 A KR1020160110709 A KR 1020160110709A KR 20160110709 A KR20160110709 A KR 20160110709A KR 20180024459 A KR20180024459 A KR 20180024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articles
sponge
water
emulsion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5708B1 (en
Inventor
사홍기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708B1/en
Publication of KR2018002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7/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peptides; Preparation thereof
    • C07K17/02Peptides being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07K17/08Peptides being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the carrier being a synthet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fine polymer particles, and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fine polymer particles having a porous sponge-like structure while using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or isopropyl formate as a non-halogenated solvent by using chemical inducers such as methylamine, dimethylamine or ethylamine, and to a composition for delivering medicines, which comprises the manufactured sponge-like structure fine particles.

Description

스폰지 유사 구조를 갖는 고분자 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0001]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0002]

본 발명은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하여 스폰지와 같은 구조의 다공성을 갖는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된 스폰지와 같은 구조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fine particles having a porous structure like a sponge by using a chemical inducing fac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containing micropartic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ponge ≪ / RTI >

시중에 시판 중인 PLGA 미립자 제품들은 다양한 약물을 1주일에서 6개월동안 서서히 방출하는 장기 지속형 데포(long-acting depot) 기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PLGA 미립자 제품들의 예로서 바이듀리언(Bydureon®), 리스페달 콘스타(Risperdal Consta®), 비비트롤(Vivitrol®), 산도스타틴(Sandostatin LAR®), 및 루프론 데포(Lupron Depot®)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 제품들은 모두 비다공성 매트릭스(non-porous matrix)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다공성 PLGA 미립자의 경우, PLGA의 분해속도(degradation rate)가 약물방출속도를 결정짓는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비다공성 매트릭스를 가지는 미립자의 약물 방출 속도는 느리고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기존의 비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대신에 새로운 형상을 지닌 미립자 제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상을 갖는 미립자의 대표적인 예로서 다공성 구조(porous structure), 해도형(island-sea), 코어-쉘형(core-shell), 도토리형(acorn), 다공성 층-꽉찬 코어형(porous layer-dense core), 골프공형(golf ball) 그리고 야누스형(Janus) 등을 들 수 있다 (Y. Cai, Y. Chen, X. Hong, Z. Liu and W. Yuan, Int . J. Nanomedicine, 2013, 8, 1111-11120; C. Takai, T. Hotta, S. Shiozaki, Y. Boonsongrit and H. Abe, Chem . Commun., 2009, 37, 5533-5535; D. Cheng, X. Cao, H. Gao, X. Ye, W. Li and Y. Wang, RSC Adv., 2014, 4, 9031-9038; S. W. Kim, K. H. Hwangbo, J. H. Lee and K. Y. Cho, RSC Adv ., 2014, 4, 46536-46540; M.R. Kim, S. Lee, J. K. Park and K. Y. Cho, Chem. Commun., 2010, 46, 7433-7435 및 C. Huang and X. Shen, Chem . Commun., 2014, 50, 2646-2649 등). 이러한 특별한 형태(peculiar morphology) 중에서 특히 다공성 PLGA 미립자는 조직 보수 및 재생 분야에서 생분해성 스캐폴드, 세포 전달, 흡수제, 나노입자-미립자 복합체, 폐 약물 전달 및 장기 지속형 데포로서 각광받고 있다 (W. Xu, L. Wang, Y. Ling, K. Wei and S. Zhong, RSC Adv., 2014, 4, 13495-13501).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는 또한 기능성 금속-중합체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만들기 위한 템플릿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H. Y. Son, D. J. Lee, J. B. Lee, C. H. Park, M. Seo, J. Jang, S. J. Kim, M. S. Yoon and Y. S. Nam, RSC Adv., 2014, 4, 55604-55609).Commercially available PLGA microparticles have a long-acting depot functionality that slowly releases a variety of drugs from one week to six months. Examples of such PLGA particulate products include Bydureon®, Risperdal Consta®, Vivitrol®, Sandostatin LAR®, and Lupron Depot®. . All of these particulate products have a non-porous matrix. In general, in the case of nonporous PLGA microparticles, the degradation rate of PLGA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drug release rate. For this reason, the drug release rate of the fine particles having a non-porous matrix is disadvantageously difficult to adjust slowly and precisely. 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ine particles having a new shap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non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ypical 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having such a new shape include a porous structure, an island-sea, a core-shell, an acorn, a porous layer, a porous layer- dense core, golf ball, and Janus (Y. Cai, Y. Chen, X. Hong, Z. Liu and W. Yuan, Int . J. Nanomedicine , 8 , 1111-11120; C. Takai, T. Hotta, S. Shiozaki, Y. Boonsongrit and H. Abe, Chem . Commun ., 2009, 37 , 5533-5535; D. Cheng, X. Cao, H. Gao Kim, KH Hwangbo, JH Lee and KY Cho, RSC Adv . , 2014, 4 , 46536-46540, MR.J., W. Li and Y. Wang, RSC Adv. , 2014, 4 , 9031-9038 Kim, S. Lee, JK Park and KY Cho, Chem. Commun ., 2010, 46 , 7433-7435 and C. Huang and X. Shen, Chem . Commun ., 2014, 50 , 2646-2649, etc.). Among these peculiar morphologies, porous PLGA microparticles are particularly recognized as biodegradable scaffolds, cell delivery, sorbents, nanoparticle-particulate composites, pulp drug delivery and long-term sustained depot applications in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W. Xu, L. Wang, Y. Ling, K. Wei and S. Zhong, RSC Adv ., 2014, 4 , 13495-13501).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re also used as templates for making functional metal-polymer hybrid composites (HY Son, DJ Lee, JB Lee, CH Park, M. Seo, J. Jang, SJ Kim, MS Yoon and YS Nam, RSC Adv ., 2014, 4 , 55604-55609).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중요 품질성상으로는 공극 크기 분포, 공극 위치 및 내부 연결, 및 부피 밀도(bulk density) 등을 들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다공성 PLGA 미립자 제조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포로겐(porogens)을 활용한 이중 유제, 구체적으로 W1/O/W2(water-in-oil-in-water) 유제를 기반으로 하는 제조공정이며, 이는 W1/O/W2 유제의 W1과 W2 사이에 큰 삼투압 차에 의해, W1에 존재하는 포로겐이 W2로 확산됨과 동시에 W2의 물이 W1으로 침투하여 최종적으로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가 만들어지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러한 이중 유제를 이용하여 미립자를 제조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이 다수 보고되어 있다(Int J Pharm 2007;333:103, J Controlled Release 133(2009)37, Angew Chem Int Ed 51(2012)10800, ACS Macro Lett 1(2012)697 및 Ch Chem Lett 24(2013)710 등).Importan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include pore size distribution, pore position and internal connection, and bulk density.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a strategy for manufacturing porous PLGA microparticles, the most representative of which is the double emulsion using porogens, specifically W1 / O / W2 (water-in-oil-in-water) This is due to the large osmotic pressure difference between W1 and W2 of the W1 / O / W2 emulsion, the porogen present in W1 diffuses into W2 and the water of W2 penetrates into W1, It is a method using the production of polymer fine particles. A number of such processes for producing fine particles using such a double emulsion have been reported (Int J Pharm 2007; 333: 103, J Controlled Release 133 (2009) 37, Angew Chem Int Ed 51 (2012) 10800, ACS Macro Lett 1 (2012) 697 and Ch Chem Lett 24 (2013) 710).

주로 W1에 첨가되는 포로겐으로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와 같은 가스 형성 물질, W1과 W2 사이의 삼투현상을 극대화하기 위한 염 또는 중합체와 같은 삼투질(osmolytes), 그리고 오일상에 형상된 매우 작은 W1 액적의 안정화를 위한 단백질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유상(oil phase)에 첨가하는 포로겐의 경우 미립자 제조공정 도중 또는 제조 후 침출(leaching)됨에 따라 미립자의 다공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이러한 미립자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PLGA를 녹이기 위한 분산용매로서 할로겐화된 용매인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며 W1/O 일차 유제(primary 유제)을 만들기 위해 고-전단 또는 고-에너지 믹서가 필요하다. 또한 용매 제거 기법은 용매 증발 및/또는 추출 원리를 활용한 물리적인 접근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As porogens mainly added to W1, gaseous substances such as sodium bicarbonate, calcium carbonate or ammonium bicarbonate, osmolytes such as salts or polymers to maximize osmosis between W1 and W2, A protein or a surfactant for stabilizing a very small droplet of W1 which is shaped. Porogens added to the oil phase also act to increase the porosity of fine particles as they are leached during or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ne particles. These microparticle manufacturing processes generally use methylene chloride, a halogenated solvent, as a dispersing solvent for dissolving PLGA and require a high-shear or high-energy mixer to make a W1 / O primary emulsion. Solvent removal techniques are also based on physical approaches utilizing solvent evaporation and / or extraction principles.

그러나, 분산용매로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강한 휘발성을 지니고 물과 잘 섞이지 않으며 물 보다 훨씬 낮은 비점을 갖는 등 유제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유기용매이나, ICH Class 2의 용매에 속하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 발암물질에 해당하며 환경독성을 야기한다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용매 독성 문제 때문에 약품 제조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현재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의약품 잔류 허용 한계는 600ppm (0.06%)이다. 따라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제로부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밤새 유제를 교반해야 하고(미국 특허 제6,884,435호), 다량의 수상을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큰 용적을 갖는 대규모의 반응기가 필요하며, 미립자 제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반응조(reactor)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감압조건을 도입하기도 하는 번거로운 공정을 필요로 한다(미국 특허 제3,691,090호, 제3,891,570호, 제6,270,700호 및 제6,572,894호 참조). 나아가, 이러한 공정상의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면서 미립자에 봉입된 약물이 변성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W1에 높은 농도의 포로겐을 첨가해야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삼투압 증가로 인해 W1에 녹아있는 약물이 외상인 W2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포로겐 제거 단계에서 약물 역시 제거되어 약물 봉입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W1/O 유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전단 믹서(예를 들어, 호모게나이저), 또는 고-에너지 믹서(예를 들어, 소니케이터 또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와 같은 혼합 장치를 사용하는 공정의 스케일-업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수반된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어, 제약 산업에서 요구되는 대량생산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포로겐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PLGA 미립자의 다공도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낮은 다공도를 보여주는 경우도 많다. 때로는 미립자 표면은 큰 다공성 공극이 많이 존재하지만 미립자의 내부는 여전히 비다공성 매트릭스 형태를 지니고 있다However, methylene chloride as an organic solvent used as a dispersion solvent is an organic solvent which is strongly volatile and does not mix well with water and has a boiling point much lower than that of water, but is highly toxic to ICH Class 2 solvents It is a substance that is a carcinogen and has a serious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toxic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not to use it for the manufacture of medicines because of the problem of solvent toxicity. Currently, the drug tolerance limit for methylene chloride is 600 ppm (0.06%). Therefore, when methylene chloride is used as a solvent, it is necessary to stir the emulsion overnight to remove it from the emulsion (U.S. Patent No. 6,884,435), requiring a large-scale reactor having a large volume as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In order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 troublesome process of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or introducing a reduced pressure condition is required (see U.S. Patent Nos. 3,691,090, 3,891,570, 6,270,700, and 6,572,894).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ug encapsulated in the fine particles is denatured as well as the complicated process steps . Further, in order to ensure porosity, a high concentration of porogen must be added to W1. The osmotic pressure generated at this time causes a problem that the drug dissolved in W1 escapes to W2, which is a trauma, And the drug encapsulation rate is lowered. Furthermore, a high-shear mixer (such as a homogenizer) or a high-energy mixer (e.g., a sonicator or a microfluidizer), which is used to produce the W1 / The scale-up of the process using a mixing apparatus such as a centrifug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nvolves various difficulties, making mass production requir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difficult. Moreover, even when porogens are used, the porosity of PLGA microparticles often shows low porosity which does not meet expectation. Sometimes the surface of the particulate has a large number of large porous pores, but the interior of the particulate still has a non-porous matrix form

한편, 인간에 대해 낮은 독성을 나타내는 용매들은 제약 산업에서 ICH Class 3 용매로 분류되며, 이들은 세계적인 규제기관에 의해 의약품 내에 0.5% 미만으로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에틸아세테이트는 ICH Class 3 용매에 속하므로 현재 미립자 제조공정 개발에 선호되는 유기용매이다. 하지만,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제조방법을 따랐을 때 미립자 잔류 아세테이트양이 2%를 넘는 경우가 많다(미국 특허 제6,884,372호). 그러므로 규제기관의 허용 기준을 충족하는 미립자 잔류 유기용매 함량 (0.5%)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립자에 존재하는 잔류 유기용매를 에탄올 등을 사용한 비-수성 세척 시스템으로 감소시키기도 한다(미국특허 제8,187,672호). 에틸 아세테이트와 동일한 분자량을 지니고 있으며 유사한 구조식을 지니고 있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는 현재 미국 FDA 및 유럽 의약청과 같은 세계적인 규제 당국에서 사람이 먹는 식품 중에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안전한 유기용매이다. On the other hand, solvents that exhibit low toxicity to humans are classified as ICH Class 3 solvent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llowing them to be present in pharmaceuticals by less than 0.5% by global regulatory agencies. Ethyl acetate is an organic solvent that is currently preferred for the development of microparticle manufacturing processes because it belongs to ICH Class 3 solvent. However, when the general production method using ethyl acetate is followed, the amount of residual microparticles is often more than 2% (U.S. Patent No. 6,884,372).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chieve the residual organic solvent content (0.5%) of the particulate that meets regulatory agency acceptance criteria. For example, the residual organic solvent present in the fine particles may be reduced to a non-aqueous cleaning system using ethanol or the like (U.S. Patent No. 8,187,672). Methylpropionate, which has the same molecular weight as ethyl acetate and has a similar structure, is a safe organic solvent currently approved by the world regulatory authorities such as the US FDA and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 for use as additives in human food.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최근 가암모니아 분해 반응-기반의 O/W 유제 기법을 사용하여 약물의 봉입률 및 약물 변성의 문제를 갖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약물 방출 속도를 나타내는 미립자를 간이한 공정으로 친환경적으로 매우 다공성의 PLGA 미립자를 제조한 바 있다(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29183호). 이는 수중유형(O/W) 유제를 제조한 후 상기 유제에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암모니아는 유제 액적으로 확산되어 분산상 용매(the dispersed solvent)를 분해시켜 친수성의 분해 부산물을 형성하며, 수상으로 침출되면서 다공성이 확보된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이 방법에서는 분산 용매로서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등을 사용하여야 하고, 제약산업계에서 PLGA 미립자 제조를 위해 선호하는 비할로겐 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나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분산용매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고분자 PLGA를 미립자 형성 소재로 사용하였을 때 그 다공성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또는 비다공성의 미립자가 형성되는 단점을 보여주었다. In this connection,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ently found that the use of an O / W emulsion technique based on an ammonia decomposition reaction enables a micro-particle which exhibits an appropriate drug release rate without a problem of drug encapsulation rate and drug denaturation, A very porous PLGA fine particle has been produc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29183).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mmonia solution is added to the emulsion after preparing an oil-in-water (O / W) emulsion, wherein the ammonia diffuses into the emulsion droplet to decompose the dispersed solvent to form a hydrophilic decomposition b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microparticles having porosity while being leached out as an aqueous phase. However, in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use isopropyl formate, methyl formate, ethyl formate, propyl formate, and the like as a dispersion solvent.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ethyl acetate or methyl propionate Is used as a dispersion solvent, it can not be applied. In addition, when the polymer PLGA is used as a particulate forming material,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s porosity is remarkably reduced or nonporous fine particles are formed.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비할로겐성 용매 중에서도 제약 산업에서 널리 선호되어 사용되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에틸아세테이트를 분산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고분자량을 지닌 PLGA를 사용하더라도 포로겐의 도움이 없이도 간단한 수중유형 유제 기반 방법에 따라 스폰지와 같고, 다공성인 PLGA 미립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PLGA와 분산용매를 수용성 용매로 분해할 수 있는 화학반응 유발인자(chemical trigger)로서 메틸아민, 에틸아민, 디메틸아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선호되는 분산용매 및 고분자량의 PLGA를 사용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을 지닌 PLGA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최초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mong the non-halogenated solvents, methyl propionate and ethyl acetate,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can be used as a dispersion solvent, and even if PLGA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is used, In order to develop a process for producing sponge-like and porous PLGA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n underwater type emulsion-based method, various studies have been repeated. As a result, when methylamine, ethylamine, or dimethylamine is used as a chemical trigger capable of decomposing PLGA and a dispersion solvent into a water-soluble solvent, the preferred dispersion solvent and high molecular weight PLGA are used, It was first confirmed that PLGA fine particles having a sponge-like porosity can be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분자 미립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sponge, and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ponge produced thereby.

나아가,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comprising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to have a sponge-like structure:

(a) 소수성 고분자를 분산용매로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및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에 녹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a) dissolving the hydrophobic polymer in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isopropyl acetate, propyl formate and isopropyl formate as a dispersion solvent to prepare a dispersed phase;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분산상을 수성 용매를 첨가하여 수중유(oil-in-water; O/W)형 유제를 제조하는 유제 제조 단계; 및(b) an emulsion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oil-in-water (O / W) emulsion by adding an aqueous solvent to the dispersed phase prepared in step (a); And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제에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유발인자를 첨가하여 상기 분산상 중의 고분자 및 분산용매와 반응시켜 수용성 분해 산물을 발생시키는 단계.(c) adding at least one chemical induc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amine, ethylamine and dimethylamine to the oil-in-water type emulsion prepared in the step (b) to react with the polymer in the dispersion phase and the dispersion solvent to form a water- ≪ / RTI >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단계 (a) 에서는 소수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수성 고분자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형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소수성 고분자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타디엔)과 같은 폴리(디엔)류 및 이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알켄)류,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폴리(아크릴)류, 폴리(메틸렌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메타크릴)류,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폴리(비닐 에스터)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카보네이트)류,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와 같은 폴리(에스터)류, 폴리(오르토에스터)류, 폴리(에르테라마이드)류,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아마이드)류, 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터류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터류와 같은 소수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락틱-코-글리콜산)(PLGA)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미립자의 물성 등에 따라 적절한 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종래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29183호에서는 가암모니아 반응의 부산물, 즉 물에 녹는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수상으로 확산되고 비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를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분자량의 고분자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분자량의 고분자를 사용하여도 화학적 유발인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산용매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고 동시에 상기 분해 반응의 부산물, 즉 물에 녹는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수상으로 확산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스폰지와 같은 구조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In the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drophobic polymer can be used. Any hydrophobic polymer tha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pecifically, poly (diene) s such as poly (butadiene) and derivatives thereof; Poly (acrylates) such as poly (acrylic acid), poly (methacrylates) such as poly (methylene methacrylate), poly (vinyl esters) such as poly (vinyl acetate) , Poly (ester), poly (ertheraimide), poly (anhydride), poly (lactone-co-glycolide) Cellulose esters such as ethyl cellulose, and cellulose esters such as cellulose acetate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preferably poly (lactic acid), poly (urethane), poly (Co-glycolic acid) (PLGA) and ethyl cellulose can be used. Th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polymers having appropriate molecular weights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29183, the by-product of the ammonia reaction, that is, the water-soluble components, is effectively dispersed in the water phase and the polymer having a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is us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duction of the non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dispersion solven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the chemical inducing factor even if a polymer having a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y-product of the decomposition reaction, that is, the water-soluble components can be effectively diffused into the water phas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sponge.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은 분산 용매와 접촉 또는 혼합되어 분산상으로 제조된다. 이때 사용되는 분산용매는 할로겐을 분자 중에 포함하지 않는 비할로겐 유기용매로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나 이들 유기용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910892호 및 미국특허 제8,202,525호 등에서 가암모니아 반응을 위하여 사용되던 유기용매는 모두 할로겐화된 유기용매(halogenated organic solvent)로서 용매 자체의 독성 때문에 제약산업에서는 실제적으로 사용하기 힘든 용매이고, 이에 의해서는 단지 비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만이 제조될 뿐이며,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29183호에서는 비록 비할로겐화된 유기용매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제약 산업에서 널리 선호되어 사용하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가암모니아 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이들이 아닌 에틸포르메이트,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만을 사용하여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가 사용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극강의 다공성을 지닌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약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비할로겐화된 유기용매로서 제약산업에 직접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Such a polymer compound is contacted or mixed with a dispersion solvent to prepare a dispersed phase. The dispersion solvent used herein is a non-halogen organic solvent containing no halogen in the molecul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isopropyl acetate, propyl formate, isopropyl formate and mixtures of these organic solvent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and isopropyl formate. In Korean Patent No. 910892 and US Patent No. 8,202,525, the organic solvents used for the ammonia reaction are all halogenated organic solvents, which is a solvent tha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us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due to toxicity of the solvent itself In this case, only non-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are produc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29183, methyl propionate, which is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lthough it uses a non-halogenated organic solvent, , And ethyl acetate were used, ammonia reaction did not proceed effectively. Therefore, only ethyl formate, methyl formate, ethyl formate and propyl formate had to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 Isopropyl acetate, It is possible to produce micro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ow toxicity as well as a porosity of an ultra-high strength and can be used as a non-halogenated organic solvent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industry.

나아가, 상기 고분자 화합물과 분산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분산상은 단계 (b)에서 수성용매와 혼합되면서 수중유형(O/W)의 단일 유제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수성용매로는 친수성 유화제,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또는 트윈(Tween) 계열과 같은 유화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이의 공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용매에 함유되어 있는 유화제의 농도는 0.1에서 4%(w/w),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w/v)를 사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ispersed phase prepared by using the polymer compound and the dispersion solvent is mixed with an aqueous solvent in step (b) to produce a single emulsion of the water type (O / W). As the aqueous solvent used here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hydrophilic emulsifier, for example, an emulsifier such as polyvinyl alcohol or Tween series, or a co-solvent thereof may be used.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contained in the dispersion solvent may be 0.1 to 4% (w / w), preferably 0.2 to 2.0% (w / v).

상기 단계 (a)에서, 분산상을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화합물과 분산용매의 비율은, 제조된 분산상 내의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3(w/v)% 내지 30(w/v)%, 바람직하게는 3.75(w/v)% 내지 20(w/v)%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30(w/v)%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상의 점도가 상승하여, 후속 단계인 단계 (c)에서 화학적 유발인자에 의한 분산용매의 분해 반응이 억제되고, 이 분해 반응 부산물의 확산이 억제되어 다공성 형성 정도가 감소하고, 3(w/v)% 미만인 경우 미립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0.25 g의 PLGA를 4 ml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여 분산상을 제조하였다. In the step (a), the ratio of the polymer compound to the dispersion solvent for producing the dispersed phase is preferably from 3 (w / v) to 30 (w / v)%, (w / v) to 20 (w / v)%. In this regar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exceeds 30 (w / v)%, the viscosity of the dispersed phase increases and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dispersion solvent by the chemical inducing factor is suppressed in the subsequent step (c) Diffusion of decomposition reaction byproducts is suppressed to reduce the degree of porosity formation,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3% (w / v),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ine particles is weak, resulting in poor practicality. In one specific example, 0.25 g of PLGA was dissolved in 4 ml of methyl propionate to prepare a dispersion.

나아가,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분산상을 단계 (b)에서 수성용매와 혼합시, 그 혼합부피비는 1: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10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성용매의 양이 너무 많아지면 용매추출이 일어나 다공성 형성 화학반응이 억제됨에 따라 미립자의 다공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는 단계 (b)에서 제조된 수중유형 단일 유제에 화학적 유발인자를 첨가하여 분산용매의 분해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화학적 유발인자로서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화학적 유발인자의 사용으로 인해, 고분자량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고, 종래 가암모니아 반응을 이용하는 미립자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할 수 없던, 메틸프로피오네이트나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학적 유발인자의 사용량은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되는 분산 용매의 부피를 기준으로 결정하며, 분산용매 : 화학적 유발인자의 몰비율이 1:0.25 내지 1:5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범위를 벗어나도록 소량의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하는 경우 공극이 형성되지 않거나, 상기 범위를 벗어난 과량의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공극은 많이 형성되기는 하나, 고분자의 분해가 증가할 수 있고, 약물과 화학적 유발인자 사이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립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dispersed phase prepared in step (a) is mixed with an aqueous solvent in step (b), the mixing volume ratio thereof is 1: 1 to 1: 100, preferably 1: 4 to 1:10. In this regard, when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vent is too large, solvent extraction occurs, and the porosity of the fine particles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porous forming chemical reaction. Also, in step (c), a chemical inducer is added to the oil-in-water type single emulsion prepared in step (b) to perform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the dispersion solvent.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hemical inducing factor is characterized b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amine, ethylamine and dimethylamine. Due to the use of such a chemical inducing factor, a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compound is used, Methyl propionate or ethyl acetate which can not be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ducing fine particles using the ammonia reaction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chemical inducing factor to be us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volume of the dispersion solvent used in the step (a), and the molar ratio of the dispersion solvent to the chemical inducing factor is preferably 1: 0.25 to 1: 5 . In this connection, when a small amount of a chemical inducing agent is used to deviate from the above range, voids are not formed, or when an excessive amount of the chemical inducing agent outside the above range is used, a lot of voids are formed, The reaction between the drug and the chemical inducer may occur,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ine particles may become weak.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립자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제조공정들과는 달리, 고분자 화합물을 제약 산업에서 주로 선호하여 사용되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와 같은 비할로겐 유기용매에 녹인 분산상을 수용액에 유화시켜 O/W 형의 유제를 형성하고, 그후에 화학적 유발인자를 상기 O/W 유제에 첨가하고, 그 결과 유제 방울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분산용매를 수용성의 분해산물로 분해되게 된다(예를 들어, 메틸아민을 첨가하는 경우 메틸 프로피오네이트가 메탄올과 N-메틸 프로피온아마이드로 분해됨). 이들 수용성 분해산물은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반용매(anti-solvent)로 작용하기 ‹š문에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되지 않으므로 유제방울 내에서 고분자 화합물이 풍부한 도메인과 고분자 화합물이 없는 도메인으로 구분되어지고, 상기 수용성 분해산물은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반용매(anti-solvent)로 작용하고, 이후 자발적으로 수상으로 확산됨에 따라 결국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매우 다공성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미립자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과정은 매우 신속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그 결과, 대량의 quenching liquid를 사용한 용매추출이나 또는 용매증발 단계가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고, 낮은 에너지의 유화기로서 쉽게 O/W형의 유제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계장치나 고-에너지 또는 고-전단 혼합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특히, 바이오 거대분자(biomacromolecules)의 경우 분산상을 이루는 유기용매에 노출되거나 유기용매/물 계면에 노출되는 공정 또는 유제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고에너지 혼합 기기(high-energy mixing device)에 의한 전단으로 인한 바이오 거대분자 자체의 변성, 응집 또는 분해가 될 위험이 있다. 하지만 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를 활용하면 100% 수성 조건에서 안전하게 바이오 거대분자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봉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미립자를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다공정 미립자 제조 기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포로겐(porogens)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 가암모니아 반응을 사용하는 제조방법과 달리 제약 산업에서 선호하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면서도 현저한 다공성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fin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conventional processes for prepar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 polymer compound is preferably used in a non-halogen organic solvent such as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or isopropyl formate, Is added to the O / W emulsion, and the resultant dispersion solvent constituting the emulsion droplets is decomposed into a water-soluble decomposition product (For example, when methylamine is added, methyl propionate is decomposed into methanol and N-methylpropionamide). Since these water-soluble decomposition products act as an anti-solvent for the polymer compound, the polymer compound is not dissolved and thus the polymer compound-rich domain and the polymer compound-free domain are divided into the emulsion droplets, The water-soluble decomposition product acts as an anti-solvent for the polymer compound, and then spontaneously diffuses into the water phas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fine particles of a highly porous polymer compound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As a result, the solvent extraction using a large amount of quenching liquid or the step of evaporating the solvent is not required at all, and an O / W type emulsion can be easily produced as a low energy emulsifier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special machinery, high-energy or high-shear mixing equip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iomacromolecules, due to shearing by a high-energy mixing device used for forming processes or emulsions exposed to an organic solvent in a dispersed phase or exposed to an organic solvent / water interface There is a risk of denaturation, aggregation or degradation of the biomacromolecule itself. However, the use of the present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s an advantage that bioactive molecules such as biomolecules can be safely encapsulated under 100% aqueous conditions. Further, in the case of producing the fine particles by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using ammonia reaction without using the porogens essential in the conventional multi-processing fine particle manufacturing technique, It has an advantage that a remarkable porous structure can be secured while using methyl propionate or ethyl acetate which is preferred.

나아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펀지 형태의 미립자에 관한 것이다. Further,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nge-like fine particle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는, 기존의 다공성 PLGA 미립자들와 달리 수많은 공극이 미립자 내부 및 외부에 골고루 분포해 있는 극도의 다공도를 나타내는 스폰지와 같은 형상의 공극 또는 기공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특유의 성상을 갖는다.Specifically, the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voids or voids in the form of a sponge that exhibits extreme porosity, in which many voids are distributed evenly inside and outside the microparticles, unlike conventional porous PLGA microparticles, And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connected to form a networ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미립자는 평균 직경이 20 내지 1,000u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u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망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다. 이때, 미립자의 평균 직경은 유제의 점성도, 분산상의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 분산상과 분산용매의 용적비, 유화제의 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fine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20 to 1,000 μm, preferably 50 to 350 μ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a desired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determined by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compound in the dispersed phas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compound, the volume ratio of the dispersed phase and the dispersed solve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는 스펀지 형태의 다공성을 가져 약물 전달체로 사용시 장기간 지속적인 약물의 방출이 가능하고, 우수한 약물의 봉입률을 나타낸다는 장점을 같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exhibiting excellent drug encapsulation rate because they can release drugs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when they are used as a drug delivery device due to the porous nature of sponge.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및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compris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nd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ponge.

구체적으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생물이 생을 영위함에 있어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혹은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약물을 비롯한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바람직하게 바이오 거대분자(biomacromolecules)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단백질, 나노입자, DNA, RNA, 단일클론항체 또는 백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현재 소수성 약물들을 PLGA 미립자에 봉입하는 경우 비공극성을 띄는 미립자가 주로 활용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는 소수성 약물들을 공극성 미립자에 봉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Specifically,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refers to any substance that promotes or suppresses the function of a living body when living organisms live, including drugs capable of exerting a desired effect in vivo. The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may be biomacromolecules and may b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peptides, polypeptides, polynucleotides, proteins, nanoparticles, DNA, RNA, monoclonal antibodies or vaccines . In addition, when hydrophobic drugs are encapsulated in PLGA fine particles, nonporous fine particles are mainly used. However, the 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basis for encapsulating hydrophobic drugs into the fine particles.

이러한 생리학적 활성물질의 바람직한 예로서, 성장인자, 성장 호르몬,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의약품, 소염진통제,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성호르몬, 항생제, 항균제 또는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Preferred examples of such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clude growth factors, growth hormones, peptides or protein drugs, anti-inflammatory analgesics, anticancer agents, antiviral agents, sex hormones, antibiotics, antibacterial agents or low molecular compounds.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은 상기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및 생리활성물질 외에,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arriers, excipients, additives and the like commonly used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nd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나아가, 또 다른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상기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의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Prepar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ponge; And

상기 미립자에 생리활성물질을 봉입시키는 단계.Encapsulating the microparticles with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봉입 단계는 미립자와 생리활성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승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승온 단계는 미립자의 유리전이온도 부근까지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p of enclosi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may include a step of contacting the microparticles with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a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emperature raising step can be perform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to arou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ne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다공성의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하는 경우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과 같은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하여 비할로겐화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제약 산업에서 선호되는 유기용매들을 다공성 미립자 제조를 위한 소수성 고분자의 가용화 분산용매로 사용하며, 포로겐의 도움없이 간단한 o/w 유제-템플릿된 기술 플랫폼으로 극도의 다공성을 갖는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지닌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고, 이는 종래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제조기법들과 비교시 분산용매로서 비할로겐화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나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그리고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용매 제거가 용이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극도의 다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 및 간이상 제조공정의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 및 특별한 추가의 장치나 처리 없이 규제당국이 요구하는 미립자 잔류유기용매 한계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바, 다양한 분야에서 long-acting drug depots, 흡수제, 및 생분해성 스캐폴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When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rganic solvents preferr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uch as non-halogenated methyl propionate and the like using chemical inducing factors such as methylamine, dimethylamine, Solubilization of hydrophobic polymers for the production of fine particles Polymeric microparticles having a structure such as sponge with extreme porosity can be produced by simple o / w emulsion-template technology platform without the aid of porogen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preparing 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non-halogenated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propyl formate, and isopropyl formate can be used as a dispersion solvent. , The extreme porosity can be achiev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establish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ver the liver and meeting the criterion of residual particulate organic solvent required by the regulatory authorities without any special additional equipment or treatment. As a result, long-acting drug depots, sorbents, and biodegradable scaffolds.

도 1은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이층 시스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보여주는 GC 크로마토그램이다. 물에는 어떠한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어주지 않았다. 화살표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의 피크를 나타낸다. 6분에 나타나는 상기 피크는 내부 표준인 이소프로판올을 나타낸다.
도 2은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이층 시스템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메탄올 농도를 보여주는 GC 크로마토그램이다. 물에는 암모니아를 첨가하였다. 화살표 1과 2는 각각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메탄올 피크를 나타낸다. 아주 소량의 메탄올만이 형성되며 수용성 메탄올 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도 3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2층 시스템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메틸프로피오네이트의 물에서의 농도(화살표 1), 메탄올(화살표 2) 및 N-메틸 프로피온아마이드(화살표 3)을 보여주는 GC 크로마토그램에 관한 것이다. 물에는 메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아주 소량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관측되며, 이 용매의 분해산물인 메탄올과 N-메틸 프로피온아마이드의 물에서의 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도 4은 (a)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b) 메탄올의 물에서의 농도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2층 시스템의 수상으로 부가된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경우, (△,▲)는 암모니아를 부가한 경우, (□,■)는 메틸아민을 부가한 경우이다. 상기 결과는 메틸아민이 수상에 용해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탁월한 화학적인 유발인자임을 나타낸다.
도 5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2층 시스템에서 관찰되는 N-메틸 프로피온아마이드의 물에서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다. 메틸아민이 수상에 부가된 후, 물에서의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의 농도를 시간함수로서 분석하였다.
도 6는 시간함수로서 수단-III 함유 수중 유형 유제를 관찰한 것이다. (a)는 유제에 아무것도 부가하지 않은 경우, (b) 암모니아를 부가한 경우, (c) 메틸아민을 부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메틸아민-처리된 수중유형 유제의 색은 투명하였고, 이는 메틸아민이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도 7는 메틸아민으로 처리한 Sudan III-함유 수중유형 유제의 색상의 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이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메틸아민의 몰비는 1:0.5로 설정하였다.
도 8은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양한 수중유형 유제의 상태를 확인한 도면이다. (a)는 미처리군, (b)는 암모니아, (c) 내지 (f)는 메틸아민을 유제에 처리한 군이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메틸아민 몰비는 (c) 1:0.75, (d) 1:1, (e) 1:1.25, and (f) 1:1.5로 설정하였다.
도 9는 메틸아민을 사용한 용매 제거 방법에 의해 제조된 PLGA 미립자의 전형적인 스폰지 형상의 내부 구조를 확인한 SEM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비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및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미립자의 형성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a)와 같이 전형적인 증발/추출 공정에서는, 유제 액적 밖의 분산된 용매 분자들의 느린 확산이 그들의 내부로의 수축을 야기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다공정 매트릭스가 만들어진다. (b) 메틸아민은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반응하기 위해 유제 액적 내로 확산되고, 그 결과 수용성의 메탄올과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분해시키기 위한 PLGA의 반용매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반응은 유제 액적의 미립자로의 전환을 야기함과 동시에 미립자의 다공성을 유도하게 된다.
도 11은 서로 다른 스폰지와 같은 뼈대를 갖는 다공성 PLGA 미립자의 (a) 외부 및 (b), (c) 내부 형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미립자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메틸아민의 몰비는 1:0.5 내지 1:1.25이다. 미립자들은 그들의 내부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었다. (a) 미립자의 표면을 테이프를 사용하여 벗겨내었고, (b) 횡단 전에 에폭시 수지 내에 함침시켰다.
도 12는 서로 다른 메틸프로피오네이트-메틸아민 몰비율 (a) 1:0.5, (b) 1:0.75, (c) 1:1, 및 (d) 1:1.25을 사용하여 제조한 PLGA 미립자의 열중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고분자 화합물로서 에틸셀룰로오스(4cp) 및 화학적 유발인자로서 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를 제조하고 이의 내부 및 외부 형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4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에틸셀룰로오스(10cP) 및 화학적 유발인자로서 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를 제조하고 이의 내부 및 외부 형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15는 에틸아세테이트-물 2층 시스템의 여러 가지 조건들에서 취한 수상 샘플들의 가스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a)는 대조시험, 즉 수상에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지 않은 경우. (b)는 화학적 유발인자로서 암모니아를 사용한 경우. (c)는 메틸아민을 사용한 경우. 1과 2는 각각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 피크를 나타낸다.
도 16은 시간함수로서 수단-III 함유 유중 수형 유제를 관찰한 사진이다. (a)는 유제에 아무것도 부가하지 않은 경우, (b) 암모니아를 부가한 경우, (c) 메틸아민을 부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메틸아민-처리된 수중유형 유제는 투명하여, 그 결과 메틸아민은 에틸아세테이트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7은 시간함수로서 수단-III 함유 유중 수형 유제를 관찰한 사진이다. (a)는 유제에 아무것도 부가하지 않은 경우, (b) 암모니아를 부가한 경우, (c) 메틸아민, (d) 디메틸아민, 및 (e) 에틸아민을 부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및 에틸아민과 같은 아민류 화합물은 이소프로필 포르메이트를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화학적 유발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 is a GC chromatogram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water soluble methyl propionate over time in a methyl propionate-water two-layer system. No chemical inducers were added to the water. The arrow indicates the peak of methyl propionate. The peak appearing at 6 minutes represents the internal standard isopropanol.
2 is a GC chromatogram showing th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methyl propionate and methanol over time in a methyl propionate-water two-layer system. Ammonia was added to the water. Arrows 1 and 2 indicate methyl propionate and methanol peak, respectively. Only a small amount of methanol is formed and the concentration of water soluble methanol tends to increase with time.
Figure 3 shows the concentration of methyl propionate in water (arrow 1), methanol (arrow 2) and N -methyl propionamide (arrow 3) over time in the methyl propionate- GC chromatogram. Methylamine was added to the water. A very small amount of methyl propionate is observed, and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and N - methyl propionamide, which are degradation products of this solvent, in water increases with time.
Figure 4 shows the time course of the concentration of (a) methyl propionate and (b) methanol in water. (□, □) indicates that when no addition was made as the water phase of the methyl propionate-water two-layer system, (Δ, ▲) indicates the case where ammonia was added, to be. The results indicate that methylamine is an excellent chemoattractant for removing methyl propionate dissolved in aqueous phase.
Figure 5 shows the change in water concentration of N -methyl propionamide observed in a methyl propionate-water two-layer system. After methylamine was added to the aqueous phase, the concentration of N -methylpropionamide in water was analyzed as a function of time.
Fig. 6 is a view of the means-III containing water-in-oil emulsion as a function of time. (a) shows the case where nothing is added to the emulsion, (b) when ammonia is added, and (c) methylamine is added. The color of the methylamine-treated water-in-oil emulsion was clear, demonstrating that methylamine can completely remove methyl propionate.
7 is a photograph showing a dynamic change in color of Sudan III-containing water-in-oil type emulsion treated with methylamine. The molar ratio of methyl propionate to methylamine was set at 1: 0.5.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various oil-in-water type emulsions stirred for 1 hour. (a) is an untreated group, (b) is ammonia, and (c) to (f) are groups in which methylamine is treated with an emulsion. Methyl propionate-methylamine molar ratio was set to 1: 0.75, (d) 1: 1, (e) 1: 1.25, and (f) 1: 1.5.
9 is a SEM micrograph showing a typical sponge-like internal structure of PLGA microparticles prepared by a solvent removal method using methylamine.
10 shows a mechanism of forming fine particles having a structure such as non-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and sponge. In a typical evaporation / extraction process, as in (a), the slow diffusion of dispersed solvent molecules outside the emulsion droplets causes their shrinkage into the interior, resulting in a non-process matrix. (b) Methylamine diffuses into the emulsion in order to react with methyl propionate. As a result, it acts as an anti-solvent for PLGA to decompose methyl propionate with water-soluble methanol and N -methyl propionamide. This chemical reaction leads to the conversion of the emulsion droplets into fine particles and at the same time induces the porosity of the fine particles.
Fig. 11 is a SEM micrograph of (a) exterior and (b) and (c) internal shapes of porous PLGA microparticles having different skeletons such as sponges. The molar ratio of methyl propionate to methylamin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fine particles is from 1: 0.5 to 1: 1.25. The particles were processed in two ways to identify their internal form. (a)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was peeled off using a tape, and (b) the epoxy resin was impregnated before the crossing.
1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activity of PLGA microparticles prepared using different methyl propionate-methylamine molar ratios (a) 1: 0.5, (b) 1: 0.75, (c) 1: The result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is shown.
Fig. 13 is a photograph of a micro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prepared by using ethyl cellulose (4cp) as a polymeric compound and ethylamine as a chemical inducing factor, and observing its inner and outer shapes with an electron microscope.
Fig. 14 is a photograph of a micro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prepared by using ethyl cellulose (10 cP) as a polymeric compound and ethylamine as a chemical inducing factor, and observing the inside and outside shapes thereof with an electron microscope.
15 shows the gas chromatogram of the aqueous samples taken at various conditions of the ethyl acetate-water two-layer system. (a) is a control test, that is, when no chemical inducer is added to the water phase. (b) when ammonia is used as a chemical inducer. (c) when methylamine is used. 1 and 2 indicate ethyl acetate and ethanol peaks, respectively.
Fig. 16 is a photograph of Sulu-III containing water-in-oil type emulsion as a function of time. (a) shows the case where nothing is added to the emulsion, (b) when ammonia is added, and (c) methylamine is added. The methylamine-treated oil-in-water type emulsion is clear, indicating that methylamine can completely remove ethyl acetate.
Fig. 17 is a photograph of Sulu-III containing water-in-oil type emulsion as a function of time. (a) shows the case where nothing is added to the emulsion, (b) ammonia is added, and (c) methylamine, (d) dimethylamine and (e) ethylamine are added. Thus, it is confirmed that amines such as methylamine, dimethylamine and ethylamine are chemically induced factors that can be effectively degraded even when isopropyl formate is used as a solvent.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사용되는 물질 1: Materials used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비율이 75:25(inherent viscosity = 0.71 dL/g in CHCl3)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를 Evonik Corporation (Theodore, AL, USA)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이 중합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한 PLGA로 약칭한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는 Alfa Aesar (Ward Hill, MA, USA) 및 J.T. Baker (Phillipsburg, PA, USA)으로부터 각각 제공받았다. 28%의 암모니아 용액은 Merck (Darmstadt, Germany)로부터, 40% 메틸아민 용액과 Sudan III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Lactide: glycolide ratio of 75:25 (inherent viscosity = 0.71 dL / g in CHCl 3 ) Poly (lactide-co-glycolide) was purchased from Evonik Corporation (Theodore, AL, USA). This polymer is abbreviated PLGA unless otherwise stated. Methyl propionate and ethyl acetate were supplied from Alfa Aesar (Ward Hill, MA, USA) and JT Baker (Phillipsburg, PA, USA). A 28% ammonia solution was purchased from Merck (Darmstadt, Germany), 40% methylamine solution and Sudan III from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N-프로피온아마이드는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Tokyo, Japan)로부터 구하였고, 메탄올은 Burdick & Jackson (Muskegon, MI, USA), 폴리비닐알코올(PVA; 88% hydrolyzed, Mw = 25,000 g/mol)은 Polysciences Inc. (Warrington, PA, USA)로부터 사입하였다. N -propionamide was purchased from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PVA; 88% hydrolyzed, Mw = 25,000 g / mol) were purchased from Polysciences Inc. (Tokyo, Japan), and methanol was purchased from Burdick & Jackson (Muskegon, MI, USA). (Warrington, PA, USA).

실시예Example 2:  2: 메틸프로피오네이트Methyl propionate -물 2층 시스템에서의 수성 용매 농도의 -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vent in the two-layer system of water 모니터링monitoring

30 ml의 0.5% aqueous PVA 용액을 50 ml 크기의 beaker에 넣고 여기에 3.2 ml의 40% 메틸아민 용액을 첨가하였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 4 ml을 조심스럽게 넣은 후 two phases가 섞이지 않도록 110 rpm으로 천천히 교반하였다.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수층에서 0.2 ml의 수용액을 채취하여 200 mg MgSO4와 10 ml의 부탄올을 넣어 vortexing 하였다. 이후 0.45 mm syringe filter를 사용하여 얻은 filtrate 0.4 ml에 0.2 ml의 내부 표준 용액을 가하여 GC injection sample 용액으로 하였다. 위에서 사용한 내부 표준 용액은 이소프로판올 100 ml를 1.9 ml의 부탄올에 녹인 후 이를 부탄올로 10배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위의 실험을 메틸아민 대신 28% 암모니아 용액 2.5 ml을 가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메틸아민이나 암모니아를 전혀 넣지 않는 control 실험도 진행하였다.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was placed in a 50 ml beaker and 3.2 ml of 40% methylamine solution was added thereto. 4 ml of methyl propionate was carefully added and stirred slowly at 110 rpm to avoid mixing of the two phases. 0.2 ml of aqueous solution was taken from the water lay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200 mg of MgSO 4 and 10 ml of butanol were vortexed. Then 0.2 ml of internal standard solution was added to 0.4 ml of filtrate obtained by using a 0.45 mm syringe filter to prepare a GC injection sample solution. The internal standard solution used above was prepared by dissolving 100 ml of isopropanol in 1.9 ml of butanol and diluting it 10 times with butanol. The abov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dding 2.5 ml of 28% ammonia solution instead of methylamine. In addition, a control experiment in which no methylamine or ammonia was added was also conducted.

각 샘플의 부분표본(aliquot)은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장착한 model GC-2010 gas chromatograph(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으로 주입하였다. Zebron ZB-624 컬럼(30m × 0.32mm × 1.80 mm; Phenomenex, Torrance, CA, USA)을 고정상으로 사용하였다. 질소 가스의 컬럼 유입속도를 1.1 mL/min으로 설정하였다. 인젝터 및 디텍터의 온도는 각각 200 °C 및 220 °C로 설정하였다. 오븐 온도는 80 °C에서 6.3분 동안 유지하고, 200 °C/min의 속도로 180°C까지 상승시켰다. 메탄올,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의 알려진 농도의 표준 용액은 부탄올을 사용하여 준비하였으며, 이소프로판올 내부 표준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들의 standard calibration curve는 미지의 샘플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축되었다. Aliquots of each sample were injected into a model GC-2010 gas chromatograph (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 equipped with a flame ionization detector. Zebron ZB-624 column (30 m x 0.32 mm x 1.80 mm; Phenomenex, Torrance, CA, USA) was used as a stationary phase. The flow rate of the nitrogen gas into the column was set at 1.1 mL / min. The injector and detector temperatures were set at 200 ° C and 220 ° C, respectively. The ove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80 ° C for 6.3 minutes and increased to 180 ° C at a rate of 200 ° C / min. Standard solutions of known concentrations of methanol, methyl propionate and N - methyl propionamide were prepared using butanol and the isopropanol internal standard solution was added. Their standard calibration curves were constructed to determine unknown sample concentrations.

이와 같이 PLGA-free 메틸프로피오네이트 4 ml을 30 ml의 0.5% 수성 PVA 용액 위에 위치시켜 2종의 상을 형성시킨 후 각 시점에서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GC를 사용해 관측해본 결과, 도 1에서 보여준 GC 크로마토그램과 같이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는 곧 유기용매층으로부터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일부가 수상으로 천천히 확산됨에 따라 발생한 것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수상(aqueous phase)에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1:1 당량의 암모니아를 넣어주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관측되었다(도 2). 하지만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1:1 당량의 메틸아민을 수상에 넣어준 후 10분 경과하였을 때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는 현격히 감소하였다. 시간이 더 지나더라도 여전히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는 매우 낮게 관측되어졌다. 대신 메틸아민과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서로 반응하여 생성된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와 메탄올의 물에 대한 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도 3). 이는 곧 수상에 첨가한 메틸아민이 유기용매층으로 이행하여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반응하고, 생성되는 반응분해산물인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와 메탄올이 수상으로 확산되어짐을 제시한다. Thus, when 4 ml of PLGA-free methyl propionate was placed on 30 ml of a 0.5% aqueous PVA solution to form two kinds of phases, and the water-soluble methyl propionate concentration was observed at each time point using GC, The concentration of water soluble methyl propionate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as shown in the GC chromatogram shown in FIG. This is caused by the gradual diffusion of methyl propionate from the organic solvent layer into the water phase.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hen 1: 1 equivalent of ammonia was added to the aqueous phase in comparison to methyl propionate under the same conditions (FIG. 2).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water - soluble methyl propionate was remarkably decreased when 10 minutes elapsed after adding 1: 1 equivalent of methylamine to methyl propionate in the aqueous phase. Even after more time, the water-soluble methyl propionate concentration was still observed to be very low. Instead, the concentration of N - methylpropionamide and methanol in water produced by the reaction of methylamine and methyl propionate with each other increased with time (FIG. 3). This suggests that the methylamine added to the aqueous phase migrates to the organic solvent layer and reacts with methyl propionate, and the resulting reaction decomposition products, N - methylpropionamide and methanol, are diffused into the aqueous phase.

상기의 GC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관측되는 수상에서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메탄올 농도를 정량한 결과, 도 4a에서 보여지듯이,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이층상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는 점차로 증가되면서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다. 수상에 암모니아를 첨가한 경우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concentration은 상대적으로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주었다. 이러한 결과들과는 매우 다르게 메틸아민을 첨가하였을 때에 수용성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농도는 매우 미미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3 가지 조건에서 수상에서의 메탄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 4b에 나타나 있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물 이층상의 수상에 첨가한 암모니아는 유기용매 층에 존재하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였지만, 메틸아민은 매우 효과적으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분해시켜 메탄올을 생성함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시험조건들에서 수용성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해보았을 때 도 4b에서 나타난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관측되었다(도 5). 이러한 모든 결과는 암모니아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반면에, 메틸아민은 매우 효과적으로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제거하는 화학적 유발인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above GC experiment, the concentrations of methyl propionate and methanol in the water phase observed under various conditions were determined, and as a result, nothing was added on the methyl propionate-water two-layer As the time elapsed, the water soluble methyl propionate concentration gradually increased and saturation reached. When ammonia was added to the water phase, the concentration of water soluble methyl propionate tended to decrease slightly. Very different from these results, when methylamine was added, th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methylpropionate was very small.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in the aqueous phase under the above three conditions are shown in FIG. 4B. Ammonia added to the aqueous phase of the methyl propionate-water bilayer did not effectively remove the methyl propionate present in the organic solvent layer, but methylamine decomposes very efficiently methyl propionate to produce methanol have. When the water-soluble N -methylpropionami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over time under the same test conditions, the same results as those shown in Fig. 4b were observed (Fig. 5). All o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monia does not effectively remove methyl propionate, whereas methylamine is a highly effective chemoattractant to remove methyl propionate.

실시예Example 3: 서로 다른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한 용매( 3: Solvent with different chemical inducers ( 메틸프로피오네이트Methyl propionate ) 제거 공정의 비교 ) Comparison of removal processes

실시예 2에 따른 GC 실험을 통하여 메틸아민이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수용성 용매(water-soluble solvents)로 분해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반응을 이용하여 미립자 제조 공정 중 용매제거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디자인하였다.GC experiments according to Example 2 confirmed that methylamine decomposes methyl propionate into water-soluble solvent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solvent removal can be achieved in the microparticl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is reaction.

구체적으로, 수용성 붉은 염료인 Sudan III를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0.25 mg/ml 농도로 사용하였다. 이 염료 용액의 4ml를 30 ml의 0.5% 수성 PVA 용액에 부가하고 3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오일상에 Sudan III가 녹아있기 때문에 수중유형 유제는 적색을 나타내었다. 3분이 되었을 ‹š, 암모니아 또는 메틸아민을 상기 유제로 부가하였다. 상기 화학적 유발인자(암모니아 또는 에틸아민)은 유기용매 대비 1:0.5 또는 1:1 비율로 첨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유제에 아무것도 부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각 유제의 상태는 시간의 함수로 모니터링하였다. Specifically, the water-soluble red dye, Sudan III, was dissolved in methyl propionate to a concentration of 0.25 mg / ml. 4 ml of this dye solution was added to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and stirred at 300 rpm. Since the Sudan III was dissolved in the oil phase, the oil type emulsion showed red color. After 3 minutes, ammonia or methylamine was added to the oil. The chemical inducer (ammonia or ethylamine) was added in a 1: 0.5 or 1: 1 ratio to the organic solvent. As a control, no emulsion was added. The state of each emulsion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time.

붉은 색의 소수성 염료인 Sudan III를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인 후 물에 교반하여 o/w 유제를 형성하면 적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성 염료인 Sudan III가 오일상에 녹아있기 때문이었다. 오일상을 구성하고 있는 유기용매가 제거되지 않는 한 유제는 계속 적색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제로,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어주지 않고 유제를 계속 교반만 시켜주는 대조군 시험 조건에서는 붉은 색의 o/w 유제가 지속적으로 관측되었다(도 6).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암모니아의 사용 몰비가 1:1인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관측되었다. 하지만 메틸아민을 첨가하였을 때 유제의 색깔은 놀랍게도 5분 지났을 때 맑은 색으로 변하였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메틸아민에 의하여 분해 제거됨에 따라 Sudan III가 석출되어 비이커 기벽에 흡착되고 일부는 매우 작은 입자로서 수상에 분산됨에 따라 적색이 소실되면서 맑은 색깔을 띄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판단이 사실이라면, 유제 색깔의 변화속도는 o/w 유제에 첨가하는 메틸아민 용량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제로 사용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0.5 당량의 메틸아민을 첨가해보았을 때, 예상대로 유제의 색깔변화 속도는 1 당량을 사용한 경우보다 낮게 관측되었다(도 7). Sudan III, a red hydrophobic dye, was dissolved in methyl propionate and stirred in water to form an o / w emulsion, which turned red.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fact that the hydrophobic dye, Sudan III, was dissolved in the oil phase. As long as the organic solvent constituting the oil phase was not removed, the emulsion was considered to show red color continuously. Indeed, a red o / w emulsion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the control test conditions, which allowed the emulsion to continue to agitate without any chemical inducers (FIG. 6).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when the molar ratio of methyl propionate to ammonia was 1: 1. However, when methylamine was added, the color of the emulsion was surprisingly changed to clear color after 5 minutes. As methyl propionate is decomposed and removed by methylamine, Sudan III is precipitated and adsorbed on the beaker walls, and some of them are dispersed in water as very small particles,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red color and a clear color. If this is true, the rate of change in the emulsion color will be influenced by the methylamine capacity added to the o / w emulsion. When 0.5 equivalents of methylamine was added to the methyl propionate actually used, the color change rate of the emulsion was observed to be lower than expected when one equivalent was used (Fig. 7).

실시예Example 4:  4: 광학현미경에On optical microscope 의한 다양한 유제  Various emulsions by 액적Droplet /초기 미립자의 관찰 / Observation of early particulate matter

GC와 수단 III 염료 실험을 통해 메틸아민을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제거하는 화학적 유발인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법을 활용하여 PLGA microspheres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에, PLGA를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인 분산상을 수상에 유화시켜 제조한 o/w 유제를 여러 조건에서 처리한 후 유제 status를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It is expected that methylamine can be used as a chemical inducer to remove methyl propionate through GC and Sudan III dye experiments and that PLGA microspheres can be effectively produced using this technique. Thus, the o / w emulsion prepared by emulsifying the dispersed phase of PLGA in methyl propionate into water phase was tre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the status of emulsion was monitored by optical microscope.

구체적으로, PLGA (0.25 g)를 4 ml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용해시키고, 이를 450 rpm 로 교반하면서 0.5% PVA 수성 용액에 부가하였다. 교반 3분이 지난 후 사용한 유기용매 대비 1:1 당량에 해당하는 암모니아 또는 메틸아민을 상기 수중유형 유제에 첨가하였다. 또 다른 대조군 시험에서는 아무런 화학적인 유발인자를 넣어주지 않고 계속 교반시켰다. 교반 1 시간 후, 상기 유제의 물리적인 상태를 model S16C 광학현미경(MiCro Scopes, Inc.,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PLGA (0.25 g) was dissolved in 4 ml of methyl propionate and added to 0.5% PVA aqueous solution with stirring at 450 rpm. Ammonia or methylamine corresponding to 1: 1 equivalent to the organic solvent used after 3 minutes of stirring was added to the oil type emulsion. In another control test, stirring was continued without any chemical inducer. After 1 hour of stirring, the physical state of the emulsion was observed using a model S16C optical microscope (MiCro Scopes, Inc., St. Louis, Mo., US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8a의 경우는 실험조건에서 명시한대로 o/w 유제를 만든 후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지 않고 1시간 지났을 때 유제 일부를 sampling하여 관측한 것이다. 이때 유제 액적은 교반을 멈추자 바로 융합되어 polymeric films/aggregates가 되었다. o/w 유제를 형성한 후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1:1 당량의 암모니아를 넣어주고 1시간 지났을 때도 유사한 현상이 관측되었다(도 8b). 이러한 결과들은 유제 droplets로부터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았기에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과 완전히 상충되게, 유제 제조를 위해 사용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0.75 당량 이상의 메틸아민을 o/w 유제에 넣어주었을 때는 유제 droplets들은 opaque/dark image를 보여주었다(도 8 (c) 내지 (f)). 이러한 결과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였을 때는 유제방울이 미립자로 잘 경화되지 않음에 반해(도 8), 메틸아민을 사용하였을때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손쉽게 분해되어 아주 효과적으로 수중유형 유제방울에 있는 메틸프로피오네이트를 제거하여 유제방울을 PLGA 미립자로 경화시켰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In the case of FIG. 8A, o / w emulsion was prepared 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 portion of the emulsion was sampled after 1 hour without adding any chemical inducer. When the emulsion droplets stopped stirring, they were immediately fused to polymeric films / aggregates. A similar phenomenon was observed after 1 hour of adding 1: 1 equivalent of ammonia to methyl propionate after forming an o / w emulsion (Fig. 8B).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fact that methyl propionate was not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droplets. In complete contrast with these results, emulsion droplets showed an opaque / dark image when methyl ophthalate of greater than 0.75 equivalent to the methyl propionate used for emulsion preparation was added to the o / w emulsion (Fig. 8 (c) f)). These results show that when ammonia is used, emulsion droplets are not cured well as fine particles (FIG. 8). When methylamine is used, methylpropionate is easily decomposed and methylpropionate in an oil-in-water emulsion droplet is effectively decomposed And the emulsion droplets were hardened with PLGA fine particles.

실시예Example 5:  5: 스폰지와Sponge and 같은  same PLGAPLGA 미립자의 제조  Manufacture of fine particles

0.25 g PLGA를 4 ml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인 분산상을 30 ml의 0.5% aqueous PVA 용액에 유화시켰다. 이 때 유화를 위해 digital magnetic plate를 사용하여 수상을 450 rpm으로 교반시켰다. 3분이 지난 후 수중유형 유제에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당량 대비 0.5 내지 1.5 당량에 해당하는 용량의 메틸아민을 첨가하였다. 1시간 교반 후 형성된 microsphere suspension을 dialysis bag에 넣어 준 후 1L의 물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투석시켰다. 여과를 통해 수득한 미립자를 상온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0.25 g of the dispersed phase in which PLGA was dissolved in 4 ml of methyl propionate was emulsified in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At this time, the water phase was stirred at 450 rpm using a digital magnetic plate for emulsification. After 3 minutes, an amount of methylamine equivalent to 0.5 to 1.5 equivalents of methyl propionate equivalent to the water-in-oil emulsion was added. After stirring for 1 hour, the formed microsphere suspension was put into a dialysis bag and dialyzed with 1 L of water for 8 hours. The fine particle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실시예Example 6: 미립자 형상의 관찰  6: Observation of particle shape

Spongy microspheres 외부 및 내부의 형상을 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미립자의 내부를 보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미립자 표면쪽으로 치우친 내부 형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미립자를 금속 막대에 부착시킨 double-sided adhesive tape에 분산시켜 흡착 시킨 후 그 위에 새로운 adhesive tape를 눌러 압착시킨 후 떼어내었다. 이때 spongy microspheres의 표면 부분들이 벗겨져 내부 모습이 노출되었다. Spongy microspheres의 심층 내부를 보기 위해서는 미립자 샘플을 우선 에폭시 수지에 분산시켜 경화시킨 후 니퍼를 사용해 잘라주었다. 처리한 모든 미립자 샘플들을 platinum을 사용해 sputter-coating 시킨 후 SEM (model JSM-5200; Jeol Inc., MA, USA)으로 그들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The external and internal shapes of the Spongy microspheres were observed using SEM. Two methods were used to view the interior of the particles. In order to observe the internal shape biased toward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the fine particles were dispersed in a double-sided adhesive tape adhered to a metal rod, adsorbed thereon, pressed with a new adhesive tape, and then peeled off. At this time, the surface portions of the spongy microspheres were peeled off and the inside was exposed. In order to view the deep inside of Spongy microspheres, the particle sample was first dispersed in epoxy resin and cured, and then cut with a nipper. All processed microparticle samples were sputter-coated with platinum and observed with SEM (model JSM-5200; Jeol Inc., MA, USA).

도 9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립자 제조공정을 따라 제조한 전형적인 미립자의 내부를 보여주는 SEM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극강의 공극성을 지닌 스폰지 PLGA microspheres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매우 놀라운 사실은 포로겐의 도움을 받는 w/o/w 유제 microencapsulation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o/w 유제를 기반으로 하는 제조공정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립자의 다공성은 매우 뛰어나다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용매제거 기법에 근거한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의 PLGA microspheres 제조 기전을 보여주고 있다. PLGA를 녹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용액을 물에 유화시켜 o/w 유제를 제조한다. 연후에 수상에 첨가한 메틸아민이 유제의 분산상으로 확산되어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반응하여 메탄올과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가 형성된다. 이들은 친수성 용매로서 PLGA에 대하여 반용매로 작용하여 유제 액적 내부는 수많은 작은 PLGA-rich domains과 PLGA-free anti-solvent domains로 나누어지게 된다. 메틸프로피오네이트가 점점 고갈되어짐에 따라 PLGA 침전으로 인해 미립자의 스폰지와 같은 골격구조가 형성되며, anti-solvents들이 수상으로 확산되어짐에 따라 미립자에는 수많은 공극들이 남게 되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유제방울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의 확산과 증발을 유도하는 대부분의 용매제거기법들은 비다공성 매트릭스를 지닌 미립자가 형성된다. 그 이유는 유제방울로부터 외상으로의 용매확산이 서서히 발생할 때 PLGA 침전 발생 전까지 유제방울이 지속적으로 수축되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9 is an SEM photograph showing the inside of typical microp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the microparticle manufactur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As can be seen from these photographs, it is proved that sponge PLGA microspheres having an extremely strong polarity can be effectively produced by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at is very surprising is that the porosity of the microparticles is very good, despite the use of a simple o / w emulsion based manufacturing process without the w / o / w emulsion microencapsulation process, which is supported by porogen. FIG. 10 shows a mechanism of manufacturing a porous PLGA microspheres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based on a new solvent remov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yl propionate solution in which PLGA is dissolved is emulsified in water to prepare an o / w emulsion. After that, the methylamine added to the water phase diffuses into the dispersed phase of the emulsion and reacts with methyl propionate to form methanol and N - methyl propionamide. They act as anti-solvents for PLGA as a hydrophilic solvent, and the inside of the emulsion is divided into numerous small PLGA-rich domains and PLGA-free anti-solvent domains. As the methyl propionate is gradually depleted, a skeletal structure such as a sponge of a particulate is formed due to PLGA precipitation. As the anti-solvents are diffused into the water phase, a lot of voids are left in the fine particles. In contrast, most solvent removal techniques that induce diffusion and evaporation of organic solvents in emulsion droplets form microparticles with non-porous matrices. The reason for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when the solvent diffusion from the emulsion droplet to the traumatic phase occurs slowly, the emulsion droplet is continuously contracted until the PLGA precipitation occurs.

o/w 유제에 첨가한 메틸아민의 용량이 스폰지 미립자 형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로 하였다. 사용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대비 0.5, 0.75, 1, 그리고 1.25 당량의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한 PLGA 미립자의 SEM micrographs를 관측하였다(도 11). Double adhesive tape을 사용하여 미립자의 표면을 떼어내었을 때 관측되는 미립자의 성상은 모두 스폰지 형태의 극도의 다공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니퍼를 사용하여 미립자의 깊숙한 내부를 절단하여 관측하였을 때 미립자 내부는 메틸아민 사용량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즉 1:0.5 당량비의 경우 미립자의 심층 내부는 매트릭스 형상을 유지하였으며 외부쪽으로 치우친 지역에서는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를 보여주었다. 1:0.75 당량 비에서도 심층 내부의 일부는 매트릭스 형태를 보여주었지만 1:0.5 경우보다 그 도메인은 훨씬 감소되었다. 1:1 당량 비 이상에서는 미립자 내부에는 상당한 양의 매트릭스 도메인이 관측되지 않았으며 모든 내부에 공극이 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methylamine added to the o / w emulsion on the shape of the sponge microparticles was determined. SEM micrographs of PLGA microparticles prepared using 0.5, 0.75, 1, and 1.25 equivalents of methylamine relative to the methyl propionate used were observed (Figure 11). When the surface of the fine particles was peeled off using a double adhesive tape, the properties of the fine particles observed were all extremely porous in sponge form. However, when the nipper was used to observe the deep interior of the microp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methylamine used w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microparticles in the microparticles. That is, in the case of 1: 0.5 equivalent ratio, the inside of the deep layer of the fine particles maintained the matrix shape, and the sponge-like porosity was shown in the outwardly biased region. Even at a 1: 0.75 equivalent ratio, some of the deep layers showed a matrix form, but the domain was much smaller than in the case of 1: 0.5. At a 1: 1 equivalence ratio, no significant amount of matrix domains were observed within the microparticles and the pores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all the microparticles.

실시예Example 7:  7: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y (( TGATGA ))

미립자를 제조한 후 잔류하는 유기용매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 위해 열질량분석(TGA)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립자 샘플의 열적 동태를 조사하기 위해 Thermogravimetric analyzer (model Q50; TA Instruments, DE, USA)를 사용하였다. 미립자 샘플 (5.078 내지 9.483 mg)를 platinum pan 담았다. 30 °C에서 5분 동안 equilibrium 시킨 후 20 °C/min의 속도로 550 °C까지 온도를 올려주었다. 온도의 변화에 따른 시료 질량의 변화를 TA Universal Analysis 2000 software program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측정하였다. Thermal mass spectrometry (TGA) wa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residual organic solvent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fine particles. Specifically,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model Q50; TA Instruments, DE, US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behavior of the particulate samples. Microparticle samples (5.078 to 9.483 mg) were platinum pan. After equilibrium at 30 ° C for 5 minute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550 ° C at a rate of 20 ° C / min. The change of sample mass with temperature was automatically measured by TA Universal Analysis 2000 software program.

메틸프로피오네이트의 비점이 79 °C임을 고려하여 30 °C에서 150 °C 사이에 걸쳐 관측되는 질량변화를 TG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0.5, 그리고 1:0.75 당량 반응조건을 사용하여 제조한 PLGA 미립자 경우 관측된 질량 감소는 1.32 내지 1.38%이었다. 1:1 이상의 당량 비에서는 잔류하는 유기용매의 양은 모두 0.40% 미만으로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제거기법이 효과적이며, 동시에 매우 낮은 미립자 잔류용매 수준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Considering that the boiling point of methyl propionate is 79 ° C, the mass change observed from 30 ° C to 150 ° C was measured using TG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s can be seen in FIG. 10, the observed mass reduction for PLGA fine particles prepared using 1: 0.5 and 1: 0.75 equivalent reaction conditions was 1.32 to 1.38%. At an equivalence ratio of 1: 1 or more, the amount of residual organic solvent was observed to be less than 0.40%.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solvent removal technique us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effective and at the same time shows a very low residual solvent level of the micro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가 특별한 잔류유기용매 제거공정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잔류유기용매를 함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에틸클로로아세테이트나 에틸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유기용매로 사용하고 암모니아를 사용한 가암모니아 반응 기반의 미립자 제조 공정을 통해 PLGA 미립자를 제조하였을 때에 미립자는 비다공성의 형상을 보여주었으며, 잔류하는 유기용매는 2.67% 이상이었다(참고문헌, 그리고 HY Im, H Sah, IJP). 이 경우 가암모니아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분해산물인 클로로아세타마이드의 융점 및 aqueous solubility가 각각 120 °C와 9%이어서 효과적으로 수상로 침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미립자의 비다공성 매트릭스가 그들의 침출을 억제할 것이다. 이에 비해 메틸아민과 메틸프로피오네이트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의 융점 및 물에 대한 용해도는 각각 -3 °C 및 19%이기 때문에 수상으로 훨씬 더 잘 침출/확산되어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는 비다공성이고, 치밀한 매트릭스를 가지지 않고 다공성이 매우 높은 스폰지와 같은 구조 형상을 지니므로 손쉬운 잔류유기용매 제거가 가능하게 해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전에 발표한 ammonolysis-based microencapsulation을 통해 형성된 미립자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한 미립자에 훨씬 적은 량의 잔류용매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y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e spo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a relatively low residual organic solvent in spite of not using the special residual organic solvent removal process. When PLGA microparticles were prepared by using ammonium chloroacetate or ethyl fluoroacetate as an organic solvent and ammonia-based microparticle production process, the microparticles showed a non-porous shape and residual organic solvent was 2.67% (References, and HY Im, H Sah, IJP). In this case, since the melting point and aqueous solubility of chloroacetamide, which is a decomposition product produced by the ammonia reaction, are 120 ° C and 9%, respectively, so that they are not effectively leached into the water phase and the nonporous matrices of the fine particles inhibit their leaching will be. On the other hand, the melting point and the solubility in water of N-methylpropionamide produced by the reaction of methylamine and methyl propionate are -3 ° C and 19%, respectively, and thus tend to leach / diffuse farther into the water phase . In addition, the micro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n-porous, and have a structure such as a sponge having a very dense matrix and a very high porosity, thus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residual organic solvent. Therefore, much smaller amount of residual solvent will be present in the microparticles prepared through this study than the microparticles formed through the ammonolysis-based microencapsulation previously reported.

실시예Example 8:  8: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And 에틸아민를Ethylamine 사용한  Used 스폰지Sponge 같은 미립자의 제조(4cP) Production of the same fine particles (4 cP)

0.25 g 에틸 셀룰로오스(toluene/ethanol 80:20 혼합액에 5% 농도로 녹였을 때 점도가 4 cP; 48% ethoxyl)를 4 ml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인 분산상을 30 ml의 0.5% aqueous PVA 용액에 유화시켰다. 이 때 emulsification을 위해 digital magnetic plate를 사용하여 수상을 450 rpm으로 교반시켰다. 3분이 지난 후 o/w 유제에 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에틸아민의 몰 당량비는 1:1이 되도록 해주었다. 1시간 교반 후 형성된 microsphere suspension을 dialysis bag에 넣어 준 후 1 liter water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투석시켰다. 여과를 통해 수득한 미립자를 상온에서 밤새도록 건조하였다. 건조 후 미립자의 외부 및 내부 형상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아민을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분해를 위한 화학적 유발인자로 사용하였을 때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을 지닌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A dispersed phase of 0.25 g of ethyl cellulose (viscosity of 4 cP; 48% ethoxyl when dissolved in toluene / ethanol 80:20 mixture at 5% concentration) in 4 ml of methyl propionate was dissolved in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And emulsified. At this time, the water phase was stirred at 450 rpm using a digital magnetic plate for emulsification. After 3 minutes, ethylamine was added to the o / w emulsion. At this time, the molar ratio of methyl propionate to ethyl amine was 1: 1. After stirring for 1 hour, the microsphere suspension was placed in a dialysis bag and dialyzed for 8 hours using 1 liter of water. The fine particle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ere dried overnight at room temperature. The external and internal shapes of the particles after drying were observ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As can be seen from FIG. 13, it is proved that when ethylamine is used as a chemical inducer for methylpropionate decomposition, fine particles having sponge-like porosity can be produced.

실시예Example 9:  9: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And 에틸아민를Ethylamine 사용한  Used 스폰지Sponge 같은 미립자의 제조(10cP) Production of the same fine particles (10 cP)

0.25 g 에틸셀룰로오스(toluene/ethanol 80:20 혼합액에 5% 농도로 녹였을 때 점도가 10 cP; 48% ethoxyl)를 4 ml의 메틸프로피오네이트에 녹인 분산상을 30 ml의 0.5% aqueous PVA 용액에 유화시켰다. 이 때 emulsification을 위해 digital magnetic plate를 사용하여 수상을 450 rpm으로 교반시켰다. 3분이 지난 후 o/w 유제에 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메틸프로피오네이트와 에틸아민의 몰 당량비는 1:1이 되도록 해주었다. 1시간 교반 후 형성된 microsphere suspension을 dialysis bag에 넣어 준 후 1 liter water을 사용하여 8시간 동안 투석시켰다. 여과를 통해 수득한 미립자를 상온에서 밤새도록 건조하였다. 건조 후 미립자의 외부 및 내부 형상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잇는 바와 같이, 에틸아민을 메틸프로피오네이트 분해를 위한 화학적 유발인자로 사용하였을 때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을 지닌 미립자가 제조되었으며, 실시예 8과 동일하지만 분자량(점도)이 다른 에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아민류의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해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To a solution of 0.25 g of ethyl cellulose (viscosity of 10 cP; 48% ethoxyl when dissolved in toluene / ethanol 80:20 mixture at 5% concentration) in 4 ml of methyl propionate was added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And emulsified. At this time, the water phase was stirred at 450 rpm using a digital magnetic plate for emulsification. After 3 minutes, ethylamine was added to the o / w emulsion. At this time, the molar ratio of methyl propionate to ethyl amine was 1: 1. After stirring for 1 hour, the microsphere suspension was placed in a dialysis bag and dialyzed for 8 hours using 1 liter of water. The fine particle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ere dried overnight at room temperature. The external and internal shapes of the particles after drying were observ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s can be seen from FIG. 14, when ethylamine was used as a chemical inducer for the decomposition of methyl propionate, fine particles having a sponge-like porous structure were prepared. Ethylamin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 except that ethyl Even if cellulose is used, th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can be prepared by using the chemical induction factors of amines by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10: 에틸아세테이트-물 2층 시스템에서의 수성 용매 농도의  10: Ethyl acetate - water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vent in the two-layer system 모니터링monitoring

30 ml의 0.5% aqueous PVA 용액을 50 ml 크기의 beaker에 넣고 여기에 3.2 ml of the 40% 메틸아민 용액을 첨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4 ml을 조심스럽게 넣은 후 두 상이 섞이지 않도록 110 rpm으로 천천히 교반하였다. 교반을 50 분간 시킨 후 수층에서 0.2 ml의 수용액을 채취하여 200 mg MgSO4와 10 ml의 부탄올을 넣어 vortexing 하였다. 이후 0.45 mm syringe filter를 사용하여 얻은 filtrate 0.4 ml에 0.2 ml의 내부표준 용액을 가하여 GC injection sample 용액으로 하였다. 위에서 사용한 내부 표준 용액은 이소프로판올 100 ml를 1.9 ml의 부탄올에 녹인 후 이를 부탄올로 10배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위의 실험을 메틸아민 대신 28% 암모니아 용액 2.5 ml을 가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메틸아민이나 암모니아를 전혀 넣지 않는 대조군 실험도 진행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샘플들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was added to a 50 ml beaker and 3.2 ml of the 40% methylamine solution was added. 4 ml of ethyl acetate was carefully added and the mixture was slowly stirred at 110 rpm so that the two phases did not mix. After stirring for 50 minutes, 0.2 ml of aqueous solution was taken from the aqueous layer, and 200 mg of MgSO 4 and 10 ml of butanol were vortexed. Then 0.2 ml of internal standard solution was added to 0.4 ml of filtrate obtained by using a 0.45 mm syringe filter to prepare a GC injection sample solution. The internal standard solution used above was prepared by dissolving 100 ml of isopropanol in 1.9 ml of butanol and diluting it 10 times with butanol. The abov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dding 2.5 ml of 28% ammonia solution instead of methylamine. A control experiment was also carried out in which no methylamine or ammonia was added at all.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도 15에서는 수상에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지 않는 경우 상당량의 에틸아세테이트가 물에 녹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암모니아를 첨가한 경우에도 수상에는 높은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가 관측되었으며 아주 미미한 양의 에탄올 피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에틸아세테이트는 암모니아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메틸아민을 사용한 경우 수상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거의 관측되지 않았으며 대신 높은 농도의 에탄올이 관측되었다. 즉 메틸아민과 에틸아세테이트간의 효과적인 반응에 의해 에탄올 분해산물이 잘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에틸아세테이트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ure 15 shows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ethyl acetate is dissolved in water when no chemical inducer is added to the water phase. Even when ammonia was added, a high concentration of ethyl acetate was observed in the water phase and a very small amount of ethanol peak was observed. These results show that ethyl acetate is not effectively removed by ammonia. However, when methylamine was used, ethyl acetate was hardly observed in the aqueous phase, but a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observed. In other words, the efficient reaction between methylamine and ethylacetate shows that the ethanol degradation products are well formed, and thus ethyl acetate can be easily removed.

실시예Example 11: 11: 서로 다른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한 용매(에틸아세테이트) 제거 공정의 비교Comparison of Solvent (Ethyl Acetate) Removal Process with Different Chemical Inducers

소수성 염료인 Sudan III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여 0.25 mg/ml 농도로 만들었다. 4 ml을 취하여 300 rpm의 속도로 교반되고 있는 0.5% PVA 수용액 30 ml에 넣어주었다. 이때 형성되는 o/w 유제는, 오일상에 Sudan III가 녹아있기 때문에, 적색을 나타내었다. 3분 경과 후, 에틸아세테이트 대비 1몰 당량의 암모니아 또는 메틸아민을 첨가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제 상태를 관측하였다. 대조 시험으로서는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Sudan III, a hydrophobic dye, was dissolved in ethyl acetate to a concentration of 0.25 mg / ml. 4 ml was taken and placed in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stirred at 300 rpm. The o / w emulsion formed at this time showed red color because Sudan III was dissolved in the oil phase. After 3 minutes, 1 molar equivalent of ammonia or methylamine was added to ethyl acetate, and the state of the emulsion over time was observed. As a control test, no chemical inducer was used.

도 16에서는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를 넣어주지 않고 유제를 계속 교반만 시켜주는 대조군 시험 조건에서는 붉은 색의 o/w 유제가 지속적으로 관측되었다. 암모니아를 넣어주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관측되어, 붉은 색의 유제가 관측되었다. 하지만 메틸아민을 첨가하였을 때 5분 경과하였을 때 유제는 맑은 색으로 변하였다. 이는 곧 에틸아세테이트가 메틸아민에 의하여 분해 제거됨에 따라 Sudan III가 석출되어 비이커 기벽에 흡착되고 일부는 작은 입자로서 수상에 분산됨에 따라 붉은 색이 소실되면서 맑은 색깔을 띄게 되는 것이다. 즉 메틸아민은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화학적 유발인자로서 아주 유용함을 증명하고 있다. In Figure 16, a red o / w emulsion was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control test conditions in which no chemical inducer was added and the emulsion was only agitated continuously.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hen ammonia was added, and a red emulsion was observed. However, when methylamine was added, emulsion became clear color after 5 minutes. This is because ethyl acetate is decomposed and removed by methylamine, Sudan III is precipitated and adsorbed on the beaker walls, and a part of the Sudan III is dispersed in the water phase as a small particle, so that the red color disappears and the color becomes clear. That is, methylamine has proven to be very useful as a chemical inducer to remove ethyl acetate.

실시예Example 12: 12: 서로 다른 화학적 유발인자를 사용한 용매(이소프로필 Solvents with different chemical inducers (isopropyl 포르메이트Formate ) 제거 공정의 비교) Comparison of removal processes

소수성 염료인 Sudan III을 이소프로필 포르메이트에 녹여 0.25 mg/ml 농도로 만들었다. 4 ml을 취하여 300 rpm의 속도로 교반되고 있는 0.5% PVA 수용액 30 ml에 넣어주었다. 이때 형성되는 the o/w 유제는, oil phase에 Sudan III가 녹아있기 때문에, 적색을 나타내었다. 3 분 경과 후, 이소프로필 포르메이트 대비 1몰 당량의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또는 에틸아민을 첨가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제 상태를 관측하였다. 대조 시험으로서는 아무런 화학적 유발인자도 사용하지 않았다.Sudan III, a hydrophobic dye, was dissolved in isopropyl formate to a concentration of 0.25 mg / ml. 4 ml was taken and placed in 30 ml of 0.5% aqueous PVA solution stirred at 300 rpm. The o / w emulsion formed at this time showed red color because Sudan III was dissolved in the oil phase. After 3 minutes, 1 molar equivalent of ammonia, methylamine, dimethylamine or ethylamine was added to the isopropyl formate, and the state of the emulsion over time was observed. No chemical inducer was used as a control test.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메틸아민 뿐만 아니라 디메틸아민 그리고 에틸아민 역시 훌륭한 화학적 유발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유제방울에 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미립자 경화 및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17, dimethylamine and ethylamine, as well as methylamine, also play a role as good chemical inducers. That is, it has an ability to remove organic solvents in the emulsion droplets, and it is suggested that microparticle hardening and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can be produced by using the sa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는 경우 종래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들과는 완전히 다르게, 포로겐의 도움 없이, 그리고 제약 산업에서 선호됨에도 불구하고 가암모니아 반응 등에서는 사용되기 어려운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분산 용매로 사용하면서 아주 간단한 수중 유형 유제 기술로서 스폰지 유사 PLGA 미립자를 최초로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다공성 PLGA 미립자들와 달리 수많은 공극 미립자 내부 및 외부에 골고루 분포해 있는 극도의 다공도를 나타내는 스폰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PLGA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polymer fine particle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porous polymer microparticle production methods and which is difficult to use in the ammonia reaction, , Ethyl acetate, and the like as a dispersing solvent, sponge-like PLGA microparticles could be produced first as a very simple underwater type emulsion technique. Nevertheless, unlike conventional porous PLGA microparticles, PLGA microparticles having a sponge-like structure exhibiting extreme porosity distributed evenly inside and outside many void microparticles can be produced.

Claims (13)

(a) 소수성 고분자를, 분산용매로서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및 이소프로필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에 녹여 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분산상을 수성 용매를 첨가하여 수중유(oil-in-water; O/W)형 유제를 제조하는 유제 제조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제에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유발인자를 첨가하여 상기 분산상 중의 고분자 및 분산용매와 반응시켜 수용성 분해 산물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a) dissolving a hydrophobic polymer in at least on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propion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isopropyl acetate, propyl formate and isopropyl formate as a dispersion solvent to prepare a dispersed phase ;
(b) an emulsion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oil-in-water (O / W) emulsion by adding an aqueous solvent to the dispersed phase prepared in step (a); And
(c) adding at least one chemical induc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amine, ethylamine and dimethylamine to the oil-in-water type emulsion prepared in the step (b) to react with the polymer in the dispersion phase and the dispersion solvent to form a water- , ≪ / RTI >
Wherein the sponge-lik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re dispersed in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분산상 내의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3 내지 30 (w/v)%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compound in the dispersed phase prepared in the step (a) is 3 to 30 (w / 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분산상 : 분산용매의 부피비가 1:1 내지 1:100인 것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ume ratio of the dispersed phase: dispersed solvent in the step (b) is 1: 1 to 1: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수성용매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것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queous solvent used in step (b) i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매 : 화학적 유발인자의 몰 비율이 1:0.25 내지 1:5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lar ratio of the dispersion solvent to the chemical inducing factor is 1: 0.25 to 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디엔)류, 폴리(알켄)류, 폴리(아크릴)류, 폴리(메타크릴)류, 폴리(비닐에스터)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카보네이트)류, 폴리(에스터)류, 폴리(오르토에스터)류, 폴리(에르테라마이드)류,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아마이드)류, 셀룰로오스 에테르류 및 셀룰로오스 에스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ydrophobic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 (diene), a poly (alkene), a poly (acrylic), a poly (methacryl), a poly (vinyl ester), a poly (styrene) (Amides), cellulose ethers, and cellulose ester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anhydrides), poly (orthoesters), poly (erthera mides), poly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and the porous polymer fine particles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PLGA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인,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The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ophobic 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GA and ethyl cellulos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공극을 가지며, 상기 공극들이 미립자 내에서 상호 연결된 열린 구조의 스폰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8. Sponge-like porous polymeric microparticles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voids and the openings have a sponge shape of an open structure interconnected in the micropartic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직경은 20 내지 1000um인 것인,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The sponge-lik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ne particles have a diameter of 20 to 1000 μ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및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상기 고분자 미립자에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 A method for produc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sponge-lik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and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s encapsulated in the polymer microparticles Com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바이오 거대분자 또는 소수성 약물인 것인,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s a biomacromolecule or a hydrophobic dru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거대분자는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단백질, DNA, RNA, 나노입자, 단일클론항체 또는 핵산인 것인,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iomacromolecule is a peptide, a polypeptide, a polynucleotide, a protein, a DNA, an RNA, a nanoparticle, a monoclonal antibody or a nucleic aci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스폰지 형상의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립자에 생리활성물질을 봉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ous polymer fine particle, comprising: preparing sponge-like porous polymer microparticles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injecti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into the microparticles.
KR1020160110709A 2016-08-30 2016-08-30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65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09A KR101965708B1 (en) 2016-08-30 2016-08-30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09A KR101965708B1 (en) 2016-08-30 2016-08-30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59A true KR20180024459A (en) 2018-03-08
KR101965708B1 KR101965708B1 (en) 2019-04-04

Family

ID=6172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709A KR101965708B1 (en) 2016-08-30 2016-08-30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7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83A1 (en)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씨트리 Method for producing rotigotine-containing polymer micropart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203A (en) * 1994-03-31 1995-12-05 Kao Corp Amphoteric porous fine particles,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KR20020011992A (en) * 1999-05-27 2002-02-09 오베르그 셰리 씨. Porous drug matr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4503484A (en) * 2000-06-15 2004-02-05 アキュスフィア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orous celecoxib matrix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203A (en) * 1994-03-31 1995-12-05 Kao Corp Amphoteric porous fine particles,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KR20020011992A (en) * 1999-05-27 2002-02-09 오베르그 셰리 씨. Porous drug matr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4503484A (en) * 2000-06-15 2004-02-05 アキュスフィア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orous celecoxib matrix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83A1 (en)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씨트리 Method for producing rotigotine-containing polymer micro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708B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983B1 (en)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phere with improved safety and storage stability
JP6318271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icroparticles with reduced initial excess release and polymer microparticles produced by the method
CN101229098B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microsphere and apparatus therefor
AU699080B2 (en) Sustained release particles
FI103183B (en) Emulsion-based method for microencapsulating a substance into a microencapsulated product
KR101543507B1 (en) A 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microspheres and microspheres prepared thereby
JPH05112468A (en) Sustained release base and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Kwo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release of insulin from poly (lactic acid) microbeads and pellets
US20140314853A1 (en) Microspheres for controlled- or sustained-release delivery of therapeutics
Reverchon et al. Production of loaded PMMA structures using the supercritical CO2 phase inversion process
EP0425023B1 (en) Cellulosic coating
KR101418888B1 (en) Porous hollow microsphere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31417B1 (en) Porous microspheres with spontaneous pore-closing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65708B1 (en) Sponge-like porous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006667B1 (en)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containing drugs
EP2781213B1 (en) Method of preparing microspheres by using polymer having sol-gel transition property
JP2003526503A (en) Method for preparing colloidal particles in the form of nanocapsules
JP2911732B2 (en) Sustained release polynuclear microsphere prepa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Nakashima et al. Design of highly dispersible PLGA microparticles in aqueous fluid for the development of long-acting release injectables
Mirek et al. Formation of disaggregated polymer microspheres by a novel method combining pulsed voltage electrospray and wet phase inversion techniques
KR101453996B1 (en) Method for producing microspheres using methyl propionate
Kharel et al. Osmogen‐Mediated One‐Step Technique of Fabricating Hollow Microparticles for Encapsulation and Delivery of Bioactive Molecules
CN114042044B (en) Trace polylactic acid/rifampicin drug-loaded microsphe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im et al. Methylamine acts as excellent chemical trigger to Harden emulsion droplets into spongy PLGA microspheres
JP3709808B2 (en) Microsphere prod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