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546A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3546A KR20180023546A KR1020160109081A KR20160109081A KR20180023546A KR 20180023546 A KR20180023546 A KR 20180023546A KR 1020160109081 A KR1020160109081 A KR 1020160109081A KR 20160109081 A KR20160109081 A KR 20160109081A KR 20180023546 A KR20180023546 A KR 201800235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ion force
- tension
- longitudinal
- force band
- longitudinal rea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으로 종방향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이하, "프리텐션 빔"이라고 약칭함)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대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기 위하여 긴장재를 긴장할 때, 종방향 반력대에 대해여 좌굴을 유발하는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종방향의 축력만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방향 반력대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종방향 반력대의 재활용 가치를 향상시키며 종방향 반력대의 규모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프리텐션 빔의 제작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텐션 빔의 제작을 위한 제작대와, 이러한 제작대를 이용하여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프리텐션 방식으로 긴장력(프리스트레스)이 도입되는 프리텐션 빔을 제작할 때에는, 긴장재의 양단을 당겨서 고정시킴으로써 긴장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원하는 부재 형상으로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긴장재의 양단을 절단하는 등의 방법으로 긴장재를 릴리스하여 긴장재가 수축하면서 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긴장재가 배치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표기하며, 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표기한다.When preparing a pre-tension beam in which a tension force (prestress) is introduced by a pre-tensioning method, by pulling both ends of a tension member to fix the tension member, the concrete is cured by curing the concrete member in a desired member shape so that the tension member is embedded.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beam as the prestressing material shrinks by releasing the prestressing material by cutt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members are disposed is referred to as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is referred to as" lateral direction ".
이와 같이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긴장재를 미리 긴장해놓을 수 있는 제작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7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8002호 등에서는 다양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제작대가 개시되어 있다. 프리텐션 빔을 위한 제작대에는, 긴장재를 미리 당겨서 긴장할 때 발생하는 반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반력대 즉, 종방향 반력대가 구비된다. 그런데 긴장재는 종방향 반력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결국 긴장재에 도입되는 긴장력은 종방향 반력대의 중심축과는 편심을 위치를 가지고 종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종방향 반력대에는 휨모멘트가 유도되거나 또는 좌굴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휨모멘트 유도 또는 좌굴이 유발되는 경우, 종방향 반력대에는 휨변형이 발생되어 직선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종방향 반력대의 재활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pre-tension beam in this way, a production stand capable of pre-tensioning the tension material is used. In Korean Patent No. 10-1302719 and Korean Patent No. 10-1268002, Lt; / RTI > The workbench for pretensioning beams is provided with a reaction force b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in order to support a rea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strain is pulled and tensed in advance. However, since the tensile material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the tensional force applied to the tensile material eventually 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bending moment is induced or buckling is induced i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When such bending moment induction or buckling is induced, a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so that the linear bending moment can not be maintained,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recycle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이러한 문제 즉, 종방향 반력대에 대한 휨모멘트 유도 또는 좌굴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종방향 반력대의 강성을 높이거나 단면을 증대시켜야 하며, 이는 결국 종방향 반력대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가시켜서 프리텐션 빔의 제작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at is, to prevent bending moment induction or buckling induction o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or to increase the cross section,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eam is increas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프리텐션 빔을 제작할 때, 긴장재가 종방향 반력대의 중심축과 편심 위치를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더라도, 그로 인하여 종방향 반력대에 휨모멘트 또는 좌굴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종방향의 축력만이 종방향 반력대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종방향 반력대의 휨변형 발생을 방지하여 종방향 반력대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tensioner beam,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 central axis of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So that only the longitudinal axial force acts o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and enabling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to be recycled.
또한 본 발명은 종방향 반력대의 강성을 높이거나 단면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종방향 반력대에 휨모멘트 또는 좌굴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종방향 반력대의 과도한 강성 증가 또는 단면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를 방지하여 프리텐션 빔의 제작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revents the bending moment or buckling from being caused i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even when the rigidity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is increased or the cross section is not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increase in rigidity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or increase in cost And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production of a pre-tension beam.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대로서, 평평한 상면을 가지며 지면에 배치되고 거푸집이 놓이게 되는 바닥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바닥부에 결합설치되는 종방향 반력대; 상기 종방향 반력대의 양단에 각각 결합 구비되어 휨모멘트의 전달은 차단하고 축력만이 종방향 반력대에 전달되도록 힌지 결합을 이루게 되는 제1, 2힌지연결재; 제1힌지연결재에 결합되고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며 긴장재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정착측 횡지지대; 제2힌지연결재에 밀착 배치되는 신축 잭; 신축 잭과 밀착 설치되며 긴장재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고 신축 잭이 신장되면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긴장재를 긴장시키게 되는 긴장측 횡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긴장재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에는 그 중심축에서 축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duction stand for manufacturing a pre-tension beam, compris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being placed on a ground surface;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ransversely spaced apart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to block transmission of the bending moment and to make the axial force only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A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fixed to the bottom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hinge connection member so that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passes through and is fixed; A telescopic jack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hinge connector; And a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which is tightly installed with the stretching jack and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by penetrating and the stretching jack is extended to tense the tension member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acts as an axial force on the central axi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프리텐션 빔 제작대를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하고, 바닥부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긴장재의 양단이 각각 정착측 횡지지대 및 긴장측 횡지지대를 각각 관통한 후, 정착장치를 결합하여 정착측 횡지지대 및 긴장측 횡지지대 각각의 외측 정착면에 긴장재 양단을 각각 정착 고정시키고, 신축 잭을 신장시켜 긴장측 횡지지대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긴장재를 긴장하되, 긴장재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에는 그 중심축에서 축력으로 작용하게 하며,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긴장재 양단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긴장재에 미리 도입되어 있던 긴장력이 콘크리트 부분으로 전달되어 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tension beam,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pre-tension beam production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ing a mold, installing a mold on a floor, After both ends pass through the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and the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tension member are fixed to the outer fixing surfaces of the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and the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respectively by fixing device, The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y acting as an axial force on the center axi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and the concrete is placed so that the tension material is embedded. ,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both ends of the tension material are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the tension force previously introduced to the tension material is transmitted to the concrete portion And a pre-tension beam is produced so that a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beam.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1, 2힌지연결재는, 2개의 접합판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종방향 반력대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빔 부재가 연속되어 일체 연결된 분절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ion members may include two bonding plates and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am members conn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It can have a segmented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반력대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연결재에 의해 힌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긴장재에는 긴장력이 도입될 때, 긴장측에 배치된 제1긴장측 횡지지대에서 발생하는 큰 휨모멘트가 종방향 반력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종방향 반력대에는 그 중심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축력만이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종방향 반력대에 휨변형 또는 좌굴이 유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inge structure is formed by the hinge joints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when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le material, a larg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first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arranged on the tension side is called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So that only the axial force 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from being bent or buckling induced. do.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반력대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방향 반력대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여 다른 현장에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서 시공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from being bent, thereby preventing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r from being damaged, and being easily recycled at other sites,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반력대의 강성을 높이거나 단면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종방향 반력대에 휨모멘트 또는 좌굴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종방향 반력대의 과도한 강성 증가 또는 단면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프리텐션 빔의 제작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bending moment or a buckling from being induced i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without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or increasing the cross-section, so that the excessive increase in rigidity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or the cos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e-tension be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션 빔 제작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 A로 표시된 정착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 B로 표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6은 단일 강관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이중 강관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2개의 웨브를 가지는 H 빔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2힌지연결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신축 잭의 신장 작동에 의해 긴장재에 긴장력이 도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원 C로 표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re-tension beam produc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using side end indicated by circle A in Fig.
FIG. 3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fixing side end shown in FIG. 2. FIG.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side end indicated by circle B in Figure 1;
5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tension side end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pair of longitudinal reaction force chains made of a single steel pipe.
FIG. 7 is a view showing a pair of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rs made of double steel pipes.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pair of longitudinal reaction force groups made up of H beams having two webs. Fig.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is applied to a tension member by stretching operation of a stretch jack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side end indicated by circle C in Fig.
12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tension side end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션 빔 제작대(100)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원 A부분 즉, 정착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정착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의 원 B부분 즉, 긴장재를 당기게 되는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긴장재가 연장되는 방향 즉, 프리텐션 빔의 길이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며, 이에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한다.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re-tension beam production st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A portion, that is, the fixing side end portion of FIG. 1,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fixing side end portion shown in Fig. 2 is shown. Fig. 4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1, i.e., the tension side end to pull the tension, and Fig. 5 show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of the tension side end shown in Fig. 4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member extends,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tension beam, is referred to as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lateral direction ".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프리텐션 빔 제작대(100)에는, 바닥부(7), 종방향 반력대(6), 정착측 횡지지대(5), 신축 잭(3), 긴장측 횡지지대(2) 및 제1, 2힌지연결재(1a, 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tensioning beam manufacturing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구체적으로 바닥부(7)는 평평한 면 위에서 프리텐션 빔이 제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평평한 상면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콘크리트 슬래브로 제작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종방향 반력대(6)는 긴장재(8)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2개 이상의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바닥부(7) 위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가 구비되어 있으며,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 사이의 횡방향 간격 내에, 프리텐션 빔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이 배치된다. 편의상 도면에서는 프리텐션 빔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종방향 반력대(6)는 종방향으로 짧은 길이의 빔 부재가 복수개로 연속되어 일체 연결된 "분절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The longitudinal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종방향 반력대(6)가, 상,하부 플랜지와 하나의 웨브를 가지는 H 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종방향 반력대(6)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작하려는 프리텐션 빔의 규모에 따라, 단일 강관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중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H 빔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웨브가 2개 인 이중 H 빔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단일 강관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서 도면 (b)는 도면 (a)의 선 K1-K1에 따른 단면도 즉, 단일 강관에 대한 종방향의 단면도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the longitudinal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반력대(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일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 양단에는 각각 마감을 위한 단부판(63)이 구비될 수 있다.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 양단에 단부판(6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제1, 2힌지연결재(1a, 1b)가 설치될 때 제1, 2힌지연결재(1a, 1b)의 접합판(10)은 단부판(63)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단일 강관을 이용하여 종방향 반력대(6)를 구축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단일 강관 내에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를 채울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반력대(6)가 단순한 빔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단부판(63)이 구비될 수 있다. 6, the longitudinal
도 7에는 종방향 반력대(6)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 내부에 추가적인 강관이 더 배치되어 있는 이중 강관으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의 (b)는 도 7의 (a)에서 선 K2-K2에 따른 단면도 즉, 한 개의 2중 강관에 대한 종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의 (c)는 도면 7의 (a)에서 선 J-J에 따른 단면도 즉, 한 개의 2중 강관에 대한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제작하려는 프리텐션 빔을 위한 긴장재(8)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또는 긴장재(8)에 도입되는 긴장력이 커지게 되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2중 강관을 종방향 반력대(6)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방향 반력대(6)로서 이중 강관을 이용하는 경우, 종방향의 강성이 더욱 증가되면서도 도 6에서 예시한 단일 강관의 내부를 채움재로 채운 것보다는 중량을 감소되므로 제작 및 취급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중 강관을 종방향 반력대(6)로 이용함에 있어서, 이중 강관을 이루는 2개의 강관 사이에는 도 7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간격재(62)를 설치할 수도 있다.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ngitudinal
도 8에는 상,하부 플랜지를 가지며,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 복수개의 웨브(63)가 구비된 빔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선 K3-K3에 따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 반력대(6)는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웨브(64)가 구비된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종방향 반력대(6)에서도 앞서 살펴본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 양단에는 각각 단부판(6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부판(63)은 제1, 2힌지연결재(1a, 1b)의 접합판(10)과 결합된다. Fig. 8 shows a pair of longitudinal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 사이의 횡방향 간격에는 브레이싱 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레이싱 부재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싱 부재는 한 쌍의 종방향 반력대(6)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 긴장재(8)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불평형력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rac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a lateral gap between the pair of longitudinal
이와 같은 종방향 반력대(6)는 바닥부(7) 위에 놓여서 바닥부(7)와 결합되는데, 종방향으로 반력대(6)가 변위될 수 있는 형태로 즉,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형태로 종방향 반력대(6)가 바닥부(7)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반력대(6)가 상,하부 플랜지를 가지는 빔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 플랜지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장공(61)을 형성하고, 이 장공을 앵커(60)가 관통하여 바닥부(7)에 고정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위와 같이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형태로 종방향 반력대(6)를 바닥부(7)에 결합 설치할 수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The longitudinal
앞서 살펴본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종방향 반력대(6)에, 이와 같이 장공(61)이 형성된 별도의 판부재를 일체로 결합 구비하여, 위와 같이 장공(61)에 앵커(60)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6 to 8, a separate plate member having the
본 발명에서 바닥부(7)의 종방향 일측 즉, 긴장재의 일단이 정착되어 있게 되는 정착측에는 정착측 횡지지대(5)가 바닥부(7)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정착측 횡지지대(5)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바닥부(7)에 완전히 고정되어 긴장재(8)의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을 바닥부(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긴장재(8)의 정착측 단부는 정착측 횡지지대(5)를 관통하게 되며, 이렇게 정착측 횡지지대(5)를 관통한 긴장재(8)의 정착측 단부에는 정착장치(예를 들면, 결합볼트)가 결합되어 정착측 횡지지대(5)의 외측 정착면에 정착 고정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ation side
종방향 반력대(6)의 정착측 단부는 정착측 횡지지대(5)에 결합된다. 즉, 복수개로 구비된 종방향 반력대(6)의 전부는 그 정착측 단부가 각각 정착측 횡지지대(5)에 연결되어 결합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반력대(6)의 정착측 단부와 정착측 횡지지대(5)의 내측 결합면 사이에는 제1힌지연결재(1a)가 위치한다. 즉, 제1힌지연결재(1a)의 일측에는 종방향 반력대(6)의 정착측 단부가 결합되는 것이고, 제1힌지연결재(1a)의 타측에는 정착측 횡지지대(5)의 내측 결합면이 결합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각각의 종방향 반력대(6) 종방향 단부에 단부판(6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단부판(63)이 제1힌지연결재(1a)의 일측과 결합된다. The fixing side end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is engaged with the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5). In other words, all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제1힌지연결재(1a)는, 종방향 반력대(6)의 정착측 단부와 정착측 횡지지대(5)의 내측 결합면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방향 반력대(6)와 정착측 횡지지대(5) 사이에 휨모멘트는 전달하지 않고 종방향으로의 힘만을 전달하는 부재이다. 제1힌지연결재(1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first
바닥부(7)의 종방향 타측 즉, 긴장측에서는 종방향 반력대(6)의 긴장측 단부에 제2힌지연결재(1b)가 결합되며, 후속하여 제2힌지연결재(1b)에는 신축 잭(3)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긴장측에는 신축 잭(3)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직접 종방향 반력(6)의 긴장측 단부에 신축 잭(3)이 직접 결합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종방향 반력대(6)의 긴장측 단부와 신축 잭(3) 사이에는 제2힌지연결재(1b)가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힌지연결재(1b)의 일측에는 종방향 반력대(6)의 긴장측 단부가 결합되고, 신축 잭(3)의 일단이 제2힌지연결재(1b)의 타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종방향 반력대(6)의 종방향 단부에 단부판(6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2힌지연결재(1b)의 일측은 단부판(63)에 결합된다. The second
제2힌지연결재(1b)도, 앞서 설명한 제1힌지연결재(1a)와 유사하게, 종방향 반력대(6)의 긴장측 단부와 신축 잭(3)이 서로 힌지 결합되도록 하며, 신축 잭(3)은 긴장측 횡지지대(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종방향 반력대(6)와 신축긴장측 횡지지대(2) 사이에서 휨모멘트는 전달되지 않고 종방향으로의 힘만이 전달된다. 도 9에는 제1, 2힌지연결재(1a, 1b)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제1, 2힌지연결재(1a, 1b)는, 2개의 접합판(1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힌지연결재(1a)에서 2개의 접합판(10)은 각각 종방향 반력대(6)의 정착측 단부 및 정착측 횡지지대(5)의 내측 결합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제2힌지연결재(1b)에서 2개의 접합판(10)은 각각 종방향 반력대(6)의 긴장측 단부 및 신축 잭(3)과 결합된다. 탄성재(11)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의 부재로서, 종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도 전단변형될 수 있다. The second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2힌지연결재(1a, 1b)는 각각 2개의 접합판(10) 사이에 탄성재(11)가 끼워져 있는 샌드위치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 2힌지연결재(1a, 1b)가 종방향 양측의 부재를 연결함에 있어서, 휨모멘트는 전달하지 않고 종방향으로의 힘만이 전달되도록 하는 힌지결합이 이루어지게 만든다. 즉, 제1, 2힌지연결재(1a, 1b)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속되는 종방향 양측 부재 사이에서는, 휨모멘트는 전달되지 않고 단지 종방향으로의 힘만이 전달되는 것이다. Thus, the first and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션 빔 제작대(100)의 긴장측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방향 반력대(6)의 단부에 제2힌지연결재(1b)가 일체로 결합되고, 후속하여 제2힌지연결재(1b)에는 신축 잭(3)이 설치된다(도 4 참조). 이 때, 신축 잭(3)은 종방향 반력대(6)와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신축 잭(3)의 타측은 긴장측 횡지지대(2)의 내측 결합면에 밀착된다. A second
긴장측 횡지지대(2)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정착측 횡지지대(5)와 마찬가지로, 긴장재(8)의 긴장측 단부가 긴장측 횡지지대(2)를 관통하게 되며, 이렇게 긴장측 횡지지대(2)를 관통한 긴장재(8)의 긴장측 단부에는 정착장치(88)(예를 들면, 결합볼트)가 결합되어 긴장측 횡지지대(2)의 외측 정착면에 정착 고정된다. 한편, 정착측 횡지지대(5)는 바닥부(7)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데 반하여, 긴장측 횡지지대(2)는 신축 잭(3)의 신축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긴장측 횡지지대(2)가 종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부(7)에 종방향으로 이동레일(70)을 설치하고, 긴장측 횡지지대(2)가 이동레일(70) 위에 놓여 이동레일(7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5 참조). The tension side
도 10에는 신축 잭(3)의 신장 작동에 의해 긴장재(8)에 긴장력이 도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의 원 C 부분 즉,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긴장측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점선은 긴장재(8)에 긴장력이 도입되기 전의 상태 즉, 신축 잭(3)이 신장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긴장재(3)에 미리 긴장력이 도입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종방향 반력대(6), 정착측 횡지지대(5), 신축 잭(3), 긴장측 횡지지대(2) 및 제1, 2힌지연결재(1a, 1b)가 각각 위에서 설명한 형태로 바닥부(7) 위에 설치되고, 긴장재(8)의 양단이 각각 정착측 횡지지대(5) 및 긴장측 횡지지대(4)를 각각 관통하여 긴장재(8)의 양단에 정착장치가 결합되어 정착측 횡지지대(5) 및 긴장측 횡지지대(4) 각각의 외측 정착면에 정착 고정된다. 10 to 12,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ocess of introducing a tension force into the
이러한 상태에서 신축 잭(3)이 신장하게 되면, 긴장측 횡지지대(2)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긴장재(8)가 긴장되어 긴장재(8)에는 긴장력이 도입되며, 그에 따른 반력은 제2힌지연결재(1b)를 거쳐 종방향 반력대(6)에 축력의 형태로 가해진다. 이렇게 종방향 반력대(6)에 가해진 축력은 정착측 단부에서 제1힌지연결재(1a)를 거쳐 정착측 횡지지대(5)로 전달되고, 궁극적으로는 바닥부(7)로 전달된다. When the
이와 같은 긴장재(8)에는 긴장력이 도입되고 그에 따른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6)로 전달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반력대(6)의 양단에 각각 제1, 2힌지연결재(1a, 1b)가 결합되어 힌지 결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방향 반력대(6)에는 그 중심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축력만이 작용하게 되고, 종방향 반력대(6)에 휨변형 또는 좌굴을 야기할 수 있는 휨모멘트는 종방향 반력대(6)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2차 응력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긴장재(8)가 종방향 반력대(6)의 중심축과 편심 위치를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긴장재(8)의 긴장력 도입에 의해 발생되는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6)의 중심축과 어긋난 위치에 작용하더라도, 제1, 2힌지연결재(1a, 1b)에 의해 휨모멘트는 종방향 반력대(6)로 전달되지 않고 오로지 종방향의 축력만이 종방향 반력대(6)로 전달되므로, 종방향 반력대(6)에 휨모멘트 또는 좌굴이 유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반력대(6)에 휨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방향 반력대(6)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여 다른 현장에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서 시공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ngitudi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반력대(6)의 강성을 높이거나 단면을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종방향 반력대(6)에 휨모멘트 또는 좌굴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종방향 반력대(6)의 과도한 강성 증가 또는 단면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프리텐션 빔의 제작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ending moment or the buckling from being caused in the longitudinal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긴장재(8)에 긴장력이 도입된 후에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종방향 반력대(6) 사이의 간격에서 바닥부(7)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긴장재(8)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긴장재(8) 양단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긴장재(8)에 미리 도입되어 있던 긴장력이 콘크리트 부분으로 전달되어 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다. After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1a: 제1힌지연결재
1b: 제2힌지연결재
2: 제2긴장측 횡지지대
3: 신축 잭
5: 정착측 횡지지대
6: 종방향 반력대
7: 바닥부
8: 긴장재1a: first hinge connector
1b: second hinge connector
2: second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3: Extension Jack
5: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6: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7:
8: Tension material
Claims (7)
평평한 상면을 가지며 지면에 배치되고 거푸집이 놓이게 되는 바닥부(7);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바닥부(7)에 결합설치되는 종방향 반력대(6);
종방향 반력대(6)의 양단에 각각 결합 구비되어 휨모멘트의 전달은 차단하고 축력만이 종방향 반력대(6)에 전달되도록 힌지 결합을 이루게 되는 제1, 2힌지연결재(1a, 1b);
제1힌지연결재(1a)에 결합되고 바닥부(7)에 고정 설치되며 긴장재(8)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정착측 횡지지대(5);
제2힌지연결재(1b)에 밀착 배치되는 신축 잭(3);
신축 잭(3)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긴장재(8)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고, 신축 잭(3)이 신장되면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긴장재(8)를 긴장시키게 되는 긴장측 횡지지대(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긴장재(8)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6)에는 그 중심축에서 축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As a stand for producing pre-tension beams
A bottom portion 7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being placed on the ground and placed in a mold;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ransversely spaced apart and arranged parallel to the bottom (7);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1a and 1b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so as to be hinged so that only the axi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while blocking transmission of the bending moment. ;
A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5 coupled to the first hinge connection member 1a and fixed to the bottom portion 7 and having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8 penetrated and fixed;
A telescopic jack 3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hinge connector 1b;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8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tension jacket 3. The tension jacket 3 is tensioned when the stretch jack 3 is extended, 2)
Wherein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course of straining the tensile material (8) acts o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as an axial force on the central axis thereof.
제1, 2힌지연결재(1a, 1b)는, 2개의 접합판(10)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1a, 1b) include two bonding plates (10) and an elastic material (11) located therebetween.
종방향 반력대(6)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빔 부재가 연속되어 일체 연결된 분절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has a segmen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am member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종방향 반력대(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일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is made of a single steel pi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종방향 반력대(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 내부에 추가적인 강관이 더 배치되어 있는 이중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is made of a double steel pipe in which an additional steel pipe is further disposed inside a steel pi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종방향 반력대(6)는, 상,하부 플랜지를 가지며,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는 복수개의 웨브(64)가 구비된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is composed of a beam having upper and lower flanges, and a plurality of webs (64)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바닥부(7)를 지면에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반력대(6)와, 상기 종방향 반력대(6)의 양단에 각각 결합 구비되어 휨모멘트의 전달은 차단하고 축력만이 종방향 반력대(6)에 전달되도록 힌지 결합을 이루게 되는 제1, 2힌지연결재(1a, 1b)와, 제1힌지연결재(1a)에 결합되고 바닥부(7)에 고정 설치되며 긴장재(8)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정착측 횡지지대(5)와, 제2힌지연결재(1b)에 밀착 설치되는 신축 잭(3)과, 상기 신축 잭(3)과 밀착설치되며 긴장재(8)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고 신축 잭(3)이 신장되면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긴장재(8)를 긴장시키게 되는 긴장측 횡지지대(2)를 포함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대(100)를 바닥부(7) 위에 설치하고;
바닥부(7) 위에 거푸집을 설치하며, 긴장재(8)를 그 양단이 각각 정착측 횡지지대(5) 및 긴장측 횡지지대(2)를 각각 관통한 후, 정착장치를 결합함으로써, 긴장재(8)의 양단을 각각 정착측 횡지지대(5) 및 긴장측 횡지지대(2) 각각의 외측 정착면에 정착 고정시키고;
신축 잭(3)을 신장시켜 긴장측 횡지지대(2)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긴장재(8)를 긴장하되, 긴장재(8)를 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종방향 반력대(6)에는 그 중심축에서 축력으로 작용하게 하며;
긴장재(8)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긴장재(8) 양단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긴장재(8)에 미리 도입되어 있던 긴장력이 콘크리트 부분으로 전달되어 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프리텐션 빔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빔 제작방법. A method of fabricating a pretension beam,
A bottom portion 7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s provided on the ground;
A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ransversely spaced apart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ransverse reaction force band (6)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1a and 1b are hinge-connected to be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s 6.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1a and 1b are coupled to the first hinge connector 1a and fixed to the bottom portion 7, 8 and a fixing jig 3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hinge connection member 1b and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tretching jack 3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tension member 8 And a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2) for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8) while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tretching jack (3) is stretched. The pretensioner beam manufacturing stand (100) (7);
A mold is provided on the bottom part 7 and the tension member 8 is passed through both the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5 and the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2 respectively and then the fixing device is engaged, ) To the outer fixing surfaces of the fixing side transverse support (5) and the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 (2), respectively;
The tension jacket 3 is stretched to move the tension side transverse supporter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ense the tension member 8.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8 is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reaction force band 6 Acting as an axial force on its central axis;
When concrete is cur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prestressing material 8 is buried, the both ends of the prestressing material 8 are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so that the prestressing force introduced into the prestressing material 8 is transferred to the concrete portion, Wherein the pre-tension beam is produc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e-tension beam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9081A KR20180023546A (en) | 2016-08-26 | 2016-08-26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9081A KR20180023546A (en) | 2016-08-26 | 2016-08-26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3546A true KR20180023546A (en) | 2018-03-07 |
Family
ID=616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9081A KR20180023546A (en) | 2016-08-26 | 2016-08-26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3546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426681A1 (en) * | 2018-08-16 | 2019-01-28 | Stanisław Barabaś | Method and the device for producing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elements |
CN111155710A (en) * | 2020-02-17 | 2020-05-15 | 西安建筑科技大学 | Indirect tensioning method for prefabricated assembled hybrid beam and prestressed steel strand |
KR102113430B1 (en) * | 2019-10-23 | 2020-05-20 | 장현옥 | Manufacturing method of pretension PSC structure using inner bulkhead and inner reaction bar |
CN112227175A (en) * | 2020-09-30 | 2021-01-15 | 山东交通学院 | Assembly type bridge structure for improving fulcrum shear-resisting bearing capacity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2982196A (en) * | 2021-03-15 | 2021-06-18 | 吉林建筑大学 | Bridge prestress reinforcing method |
WO2022183654A1 (en) * | 2021-03-05 | 2022-09-09 | 中国铁建国际集团有限公司 |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unit, positioning assembly, and method for unloading positioning assembly |
KR20230087714A (en) | 2021-12-10 | 2023-06-1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sc member using end concrete block as tendon fixing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
KR20240010654A (en) * | 2022-07-15 | 2024-01-24 | (주)범우피씨 | Portable tensioning production post using compress member of multiple-steel pipe type |
CN117868555A (en) * | 2024-03-12 | 2024-04-12 | 北京工业大学 | Stay cable prestress compens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2683300B1 (en) * | 2023-05-26 | 2024-07-08 | 김상규 | PC slab manufacturing equipment to which prestress is applie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46630A (en) * | 2003-05-22 | 2004-12-09 | Haratekku:Kk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
-
2016
- 2016-08-26 KR KR1020160109081A patent/KR2018002354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46630A (en) * | 2003-05-22 | 2004-12-09 | Haratekku:Kk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46630호(2004.12.09.) 1부. *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426681A1 (en) * | 2018-08-16 | 2019-01-28 | Stanisław Barabaś | Method and the device for producing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elements |
KR102113430B1 (en) * | 2019-10-23 | 2020-05-20 | 장현옥 | Manufacturing method of pretension PSC structure using inner bulkhead and inner reaction bar |
CN111155710A (en) * | 2020-02-17 | 2020-05-15 | 西安建筑科技大学 | Indirect tensioning method for prefabricated assembled hybrid beam and prestressed steel strand |
CN112227175A (en) * | 2020-09-30 | 2021-01-15 | 山东交通学院 | Assembly type bridge structure for improving fulcrum shear-resisting bearing capacity and construction method |
WO2022183654A1 (en) * | 2021-03-05 | 2022-09-09 | 中国铁建国际集团有限公司 |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unit, positioning assembly, and method for unloading positioning assembly |
CN112982196A (en) * | 2021-03-15 | 2021-06-18 | 吉林建筑大学 | Bridge prestress reinforcing method |
KR20230087714A (en) | 2021-12-10 | 2023-06-1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sc member using end concrete block as tendon fixing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
KR20240010654A (en) * | 2022-07-15 | 2024-01-24 | (주)범우피씨 | Portable tensioning production post using compress member of multiple-steel pipe type |
KR102683300B1 (en) * | 2023-05-26 | 2024-07-08 | 김상규 | PC slab manufacturing equipment to which prestress is applied |
CN117868555A (en) * | 2024-03-12 | 2024-04-12 | 北京工业大学 | Stay cable prestress compens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CN117868555B (en) * | 2024-03-12 | 2024-05-28 | 北京工业大学 | Stay cable prestress compensation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23546A (en)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 Concrete Beam | |
KR101862278B1 (en) | Steel composite concrete member | |
KR101080942B1 (en) | Portable pretension making apparatus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73984B1 (en) | Strut beam using steel-concrete and tension steel wi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19881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 |
KR20170046286A (en) | Launching Method of Composite CFT Truss Girder Bridge | |
KR10187333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Concrete Member | |
KR100858963B1 (en) | H-shape block,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precast beams using h-shape block, and joining method of prestressed precast beams to columns using h-shape block | |
KR20090126957A (en) | Pre-loading apparatus for upper structure unit of a bridge and bending method of upper structure unit using thereof | |
JP2016182715A (en) | Pre-tension application device | |
KR101771911B1 (en) | Costruction method of presressed segment streel composite girder with load-locking structure | |
KR20180069554A (en) | Prestressed steel circular tube girder with partial filled concret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it | |
JP2016194223A (en) | Method for introducing pre-stress to cast-in-place concrete | |
KR101655330B1 (en) | Rahmem structure using composite steel bea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660888B1 (en) | Girder with pressing embed ahchorage apparatus and the girder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170069680A (en) |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91184B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column | |
KR101404477B1 (en) | Longitudinal Segmental Girder | |
KR20170105778A (en) | Prestressed concrete-steel composite pile, form of prestressed concrete-steel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JP5331268B1 (en) | Fixing device for shear force transmission with tensile resistance function | |
KR101483173B1 (en) |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20190022139A (en) | Pretension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96600B1 (en) | Box-Section Composite Girder Using One Pairs of Module Memb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4413763B2 (en) | Bridge web unit and main gir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web unit | |
KR10166416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