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409A -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409A
KR20180023409A KR1020160108661A KR20160108661A KR20180023409A KR 20180023409 A KR20180023409 A KR 20180023409A KR 1020160108661 A KR1020160108661 A KR 1020160108661A KR 20160108661 A KR20160108661 A KR 20160108661A KR 20180023409 A KR20180023409 A KR 2018002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point
coordinates
angl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신동윤
(주)디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윤, (주)디렉션 filed Critical 신동윤
Priority to KR102016010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409A/en
Publication of KR2018002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4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06T3/0006
    • G06T3/00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2Affine trans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36Depth or shape recovery from perspective effects, e.g. by using vanishing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identifiable at a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identifiable at a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providing improved readability, and to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method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identifiable at a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he operating method may comprise the steps of: providing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generating a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viewpoint information on the first image, wherein the viewpoi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viewing direction and a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extracting coordinates of a first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coordinates of a second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image,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converting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Description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stant identification image i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providing enhanced readability.

도 1은 종례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노면상의 정보를 얻는 모습의 예를 도시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by utilizing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technique.

증강현실은 현실공간에 가상정보를 3차원으로 합성하여 가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실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다. 현실 공간에서는 환경에 끼치는 시각적 영향, 공간 범위의 제한, 시간에 따른 여건 변화 등의 이유로 인해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면 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증강현실이라고 하더라도 현실공간과 동일한 3차원의 공간을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현실공간과 마찬가지로 시점에 따른 이미지 왜곡의 문제점이 동일하게 발생한다.Augmented Reality is a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that combines virtual information into a real space in three dimensions to make virtual information appear to exist in real time.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only limi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due to reasons such as the visual effect on the environment, the limitation of the spatial range, and the change in the condition over time,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it as. However, even if it is augmented reality, because it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the same three-dimensional space as the real space, the problem of image distortion due to the point of view occurs in the same way as in the real spa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공간에 3차원으로 합성되어 보여지는 가상정보의 시각화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관되고 용이한 이미지 변환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선된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sistent and easy image conversion method in constructing the visualization of the virtual information synthesiz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real space, An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관되고 용이한 이미지 변환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선된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consistent and easy image conversion method and provide improved readability,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시점 정보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선 방향 및 시선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의 좌표 및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와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first image comprising at least one character; Generating a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viewpoint information on the first image, the viewpoi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viewing direction and a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Included -; Extracting coordinates of a first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coordinates of a second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transforming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is recor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 소정의 시점을 반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 단계 - 상기 시점은 시선 방향 및 시선각으로 정의됨 - ; 및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 및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참조점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와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includes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An image converter unit for generating a second image in which a ratio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reflecting a predetermined viewpoint, the viewpoint being defined by a viewing direction and a viewing angle; And a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wherein the image transforming unit transform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points, the first image can be trans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역원근법을 활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노면, 건물 벽 등의 대상 표면에 상기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표시할 시, 원근법에 의해 증강현실 속 원거리 이미지가 뭉쳐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키고, 가독거리 영역 내에서 이미지의 가까운 쪽과 먼 쪽의 가로축의 두께가 비슷한 굵기로 보이게 되어, 보다 가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is displayed on a target surface such as a road surface or a building wall by implemen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by modifying the original image using an inverse perspective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distant images in the augmented reality converge and to increase the readability because the thicknesses of the near side and far side of the image in the read distance range are similar in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시선 방향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그 상대적 비율을 변형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적용된 글자체의 정체성을 유지시키고 3차원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tive ratio is deformed only in one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set visu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applied font by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imag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바라보는 가상현실 속의 모습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irtual reality in which a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utilize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on apparatus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illustrate an operation method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illustrate an exemplary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on apparatus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도 3의 100)는 역원근법을 적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변환함으로써, 소정의 시선 방향 및 시선각에서의 가독성이 향상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역원근법은 원근법을 역으로 적용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응시 대상에 대하여 응시자의 위치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영역을 확대하고 가까운 거리의 영역을 축소하여 나타냄으로써, 대상물을 특정 시점에서 바라볼 때 원근법에 따라 대상물이 왜곡되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n original image by applying an inverse perspective method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mage having improved readability in a predetermined viewing direction and viewing angle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can be generated. Specifically, the inverse perspective is applied in reverse to the perspective. Specifically, by enlarging a region far from the candidate'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and narrowing the region with a short distance, To reduce the distortion of the object.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술하면, 응시자가 노면, 건물 벽 등의 대상 표면 상에 표시된 이미지(a)를 소정의 제 1 시점(S)에서 소정의 시선각(θ)으로 바라본다고 가정하면, 원근법에 의해, 이미지(a)의 하단부(c1)에서 상단부(c2)로 진행할수록 이미지의 크기가 축소되는 것처럼 왜곡되어 응시자의 시선에 투영되게 된다.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응시자의 시선각(θ)을 고려하여, 이미지(a)를 하단부(c1)에서 상단부(c2)로 갈수록 크기가 확대되는 형태로 변형하여 표시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변형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술한 역원근법이 적용될 수 있다. 2, assuming that the candidate looks at the image a displayed on the object surface such as the road surface or the building wall at a predetermined viewing angle S at a predetermined first viewing angle S, As the image moves from the lower end portion c1 to the upper end portion c2 of the image a, the image is distorted as if it is reduced in size and projected to the gaze of the candidate. In order to correct such a distortion, it is required that the image (a) is transformed from the lower end portion (c1) to the upper end portion (c2) in such a manner that the image is enlarged in consideration of the gaze angle In order to obtain such a deformed image, the above-described inverse perspective method can be applied.

즉, 상기 제 1 시점(S)과 이미지(a)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맞은편 위치에 가상의 제 2 시점(S’)을 설정하고, 제 2 시점(S’)에서 응시자가 이미지(a)를 동일한 시선각(θ)으로 바라본다고 가정하면, 제 1 시점(S)과는 반대로, 이미지(a)의 상단부(c2)에서 하단부(c1)로 진행할수록 이미지(a)의 크기가 축소되는, 다시 말하면, 하단부(c1)에서 상단부(c2)로 갈수록 크기가 확대되는 것처럼 응시자의 시선에 투영되게 될 것이다. 역 방향의 가상의 제 2 시점(S’)에서 응시자에게 투영되는 이러한 이미지는, 제 1 시점(S)에서와 동일한 시선각(θ)에 따라, 원본 이미지(a)가 하단부(c1)에서 상단부(c2)로 갈수록 크기가 확대되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므로, 이를 기초로 노면, 건물 벽 등의 대상 표면에 표시될 실제 이미지를 구성하는 경우, 제 1 시점(S)에서의 상술한 왜곡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virtual second viewpoint S 'is se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viewpoint 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a, and at the second viewpoint S' The image a is reduced in size from the upper end portion c2 to the lower end portion c1 of the image a in contrary to the first view point S, In other words, it will be projected onto the gaze of the candidate as if the size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portion c1 to the upper end portion c2. This image projected to the candidate at the imaginary second time point S 'in the reverse direction is obtained by moving the original image a from the lower end portion c1 to the upper end portion c1 in accordance with the same line- when the actual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object surface such as a road surface or a building wall is 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is, the above-mentioned distortion phenomenon at the first point of sight S is minimized .

이와 같은, 역원근법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도 3의 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ng apparatus (100 in FIG. 3) in the augmented reality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inverse perspectiv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를 도시한다.3 show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이미지 제공부(120), 참조점 추출부(130) 및 이미지 변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3,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0, an image providing unit 120, a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130, (140).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 1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폭(w) 및 높이(h), 제 1 이미지에 포함될 소정의 문자 및/또는 기호, 이들의 글자체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 제공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 제공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2 차원 이미지인 제 1 이미지를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시점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변환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140)는 수신한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제 1 이미지를 소정의 제 2 이미지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시점 정보는 시선 방향, 시선각 및 기준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등의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0 includes a user input for setting a width w and height h for defining a display area of the first image, predetermined characters and / or symbols to be included in the first image, And deliver it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In accordance with such user input,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a first image on the display area that is a two-dimensional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and / or symbol.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10 may receive the viewpoint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viewpoint information to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converts the first image into a predetermined second image by reflecting the received time poi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iewpoi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gaze direction, a gaze angle, and a reference distance.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line of sigh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user input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means known in the art capable of receiving predetermined user inputs such as a touch screen, a mouse, and a keyboard.

이미지 제공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폭(w) 및 높이(h)의 설정 값, 제 1 이미지에 포함될 소정의 문자 및/또는 기호, 글자체에 관한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면, 이미지 제공부(120)는, 설정된 표시 영역 상에 소정의 글자체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배치함으로써, 제 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and / or symbol. That is, the user inputs setting information of the width (w) and height (h) for defining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image, predetermined characters and / or symbols to be included in the first image, ),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can generate the first image by arranging at least one character and / or symbol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nt on the set display area.

참조점 추출부(130)는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와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를 추출하여, 이미지 변환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이미지 변환부(140)가 소정의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제 1 이미지의 적어도 일 영역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면, 참조점 추출부(130)는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도 9의 r1-r7)과 이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를 이미지 변환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도 9의 r1-r7)과 제 2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에 의해 분할되는 제 1 이미지 상의 기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9)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the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the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and can transmit the extracted coordinates to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0064] That is, when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generates the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the predetermined viewpoint information, the reference point extraction unit 130 extracts the first reference of the first image (R1-r7 in Fig. 9)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hereto and extracts the result of the extraction to the image transforming unit 140 . 9)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r7, thereby chang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area on the first image to generate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이미지 변환부(140)는 소정의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제 1 이미지의 적어도 일 영역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변환부(140)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고,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제 1 이미지를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선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설정된 시선 방향의 맞은 편에서 제 1 이미지를 바라본 평면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역원근법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미지의 회전각은 설정된 시선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와 제 2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제 1 이미지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과 제 1 참조점(r1-r7)에 대응하는 제 2 참조점(도 9의 r1-r7)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제 1 참조점(도 9의 r1-r7)에 의해 분할되는 기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제 1 이미지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로 변환하게 된다.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may generate the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the predetermined viewpoin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converts the first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reflects the viewpoint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 And then extracting a plane image of the first image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et viewing direction, thereby generating a second image to which the inverse perspective method is applied.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imag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viewing angle. 9)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It can be converted into an identification image. 9)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Fig. 9 (b))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thereby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a part of the reference area divided by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n Fig. 9), thereby enlarging or reducing the first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It is converted into an identification image.

도 3에서, 사용자 입력부(110), 이미지 제공부(120), 참조점 추출부(130) 및 이미지 변환부(140)는 복수의 물리적인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110), 이미지 제공부(120), 참조점 추출부(130) 및 이미지 변환부(140) 각각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이용하거나 펌웨어(firmware)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3, the user input unit 110,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the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130, and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physical device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each of the user input unit 110,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the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130, and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may use various methods such as using software or using firmware, . ≪ / RTI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A more specific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ng apparatus 100 in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4 and 5 illustrate an operation method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emplary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410 단계에서, 이미지 제공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폭(w) 및 높이(h)의 설정 값, 제 1 이미지에 포함될 소정의 문자 및/또는 기호, 글자체에 관한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하면, 이미지 제공부(12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표시 영역 상에 소정의 글자체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배치함으로써, 2차원 이미지인 제 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표시 영역은, 이후, 생성된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가 적용될, 예를 들어, 노면, 건물 벽 등의 대상 표면 상의 표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 1 이미지는 메모리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In step S410,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and / or symbol. At this time, the first image may be a generated two-dimensional image based on a predetermined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That is, the user inputs setting information of the width (w) and height (h) for defining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image, predetermined characters and / or symbols to be included in the first image, 6, the image providing unit 120 arranges at least one character and / or symbol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nt on the display area set by the user, A first image that is an image can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t display area may correspond to a display area on a target surface such as a road surface or a building wall to which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for example.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image may be a two-dimensional image previously stored in a memory unit (not shown).

계속하여, S420 단계에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소정의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제 1 이미지의 적어도 일 영역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변환부(140)는 소정의 시점 정보를 기초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역원근법에 따라 제 1 이미지의 적어도 일 영역의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시점 정보는 제 1 이미지에 대한 가상의 응시자의 시선의 중심이 위치하는 3차원 상의 지점(즉, 기준 시점)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로서, 시점 정보는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선 방향, 시선각, 기준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선 방향 및 시선각은 기준 시점으로부터 제 1 이미지의 중심(m)을 연결한 가상의 연장선의 진행 방향과 상기 연장선이 제 1 이미지와 이루는 각으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시선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선이 제 1 이미지의 중심(m)을 지나는 가로축(u) 또는 세로축(v)과 수직이 되도록, 제 1 이미지의 하측 외부의 기준 시점에서 제 1 이미지의 중심(m)을 바라보는 방향(E 방향), 상측 외부의 기준 시점에서 제 1 이미지의 중심(m)을 바라보는 방향(F 방향), 좌측 외부의 기준 시점에서 제 1 이미지의 중심(m)을 바라보는 방향(G 방향) 및 우측 외부의 기준 시점에서 제 1 이미지 중심(m)을 바라보는 방향(I 방향) 중 하나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준 거리는 제 1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 시점까지의 수평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시선 방향, 시선각 및 기준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420,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may generate the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at least one area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the predetermined viewpoint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generates the second image by changing the ratio of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inverse perspectiv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based on the predetermined viewpoint information. Here, the viewpoi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efining a point on a three-dimensional plane (i.e., a reference point of time) where the center of the virtual candidate's gaze for the first image is located. The viewpoint information includes a view direction for the first image, , And a reference distance. Here, the gaze direction and the gaz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may be respectively defined b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 (m) of the first image from the reference viewpoint and the angle formed by the extension line with the first image . At this time, the gaze direction is preferably set such that the extension line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xis (u) or the vertical axis (v) passing the center (m) of the first image, (Direction F) of looking at the center m of the first image at the reference point outside the upper side, a direction (direction F) of viewing the center m of the first image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imag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n one of a direction (G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m) of the first image is viewed and a direction (I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mage center m is viewed from the reference point in the right outer side. Further,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defined as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mage to the reference point. At least one of the gaze direction, the gaze angle, and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도 5를 참조하면, S420 단계는,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S422) 및 제 1 이미지를 시선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회전각만큼 회전하고, 평면 이미지 추출함으로써, 제 2 이미지 생성하는 단계(S424)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operation S420, a first image is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S422), and a second image is generated by rotating the first image by a predetermined angle of rotation toward the eye direction, (Step S424).

먼저, S422 단계에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평면 이미지의 3차원 이미지로의 변환은 당해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서로 수직하는 세 개의 축, 즉, x축, y축 및 z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좌표 공간에서, x 축 및 y축의 좌표값에 의해 정의되는 xy 평면에 제 1 이미지를 대입시키고, z축의 좌표값을 동일한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First, in step S422,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may convert the first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Conversion of such a two-dimensional planar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applicable in the art. As an example, the image transforming unit 140 transforms the xy plane defined by coordinate values of the x and y axes in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pace defined by three ax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at is, x axis, y axis, The first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by substituting the first image into the first image and set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z-axis to the same value (for example, 0).

S424 단계에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제 1 이미지를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선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후, 설정된 시선 방향의 맞은 편에서 제 1 이미지를 바라본 평면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시선 방향과 수직하고 제 1 이미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이미지와의 동일 평면 상의 가로축(u) 및 세로축(v)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은 시선 방향이 E 또는 F 방향이면 가로축(u)이 되고, 시선 방향이 G 또는 I 방향이면 세로축(v)으로 결정되게 된다. 또한, 제 1 이미지의 회전각은 설정된 시선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설정된 시선각을 φ라 할 때, 상기 회전각은 90°-2φ 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각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φ의 각도일 수 있다.In step S424,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reflects the viewpoint information, rotates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by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bout the predetermined rotation axis toward the visual line direction, By extracting the planar image looking at the first image from the opposite side, a second image can be generated. The rotation axis is preferably one of the horizontal axis (u) and the vertical axis (v) on the same plane with the first image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set viewing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image. Specifically, the axis of rotation is a horizontal axis (u) when the line of sight is in the E or F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v) if the line of sight is in the G or I direction. Further,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imag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viewing angle. When the set viewing angle is represented by phi, the rotation angle may be an angle greater than 90 DEG -2 DEG and less than 90 DEG, and preferably an angle of 90 DEG -φ.

S424 단계에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먼저, 회전된 제 1 이미지를 회전 전의 제 1 이미지가 포함된 평면 상에 투영시킴으로써, 설정된 시선 방향의 맞은 편에서 제 1 이미지를 바라본 소정의 평면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설정된 시선 방향이 E 방향인 때, 이미지 변환부(140)는, 가로축(u)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 1 이미지를 시선 방향으로 90°- 시선각(φ)만큼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 1 이미지를 회전 전의 제 1 이미지가 포함된 평면(예를 들어, xy 평면) 상에 투영시키는 방식으로, 평면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추출된 평면 이미지는 시선 방향인 E 방향과 대칭되는 F 방향에서 동일한 시선각(φ)으로 제 1 이미지를 바라봤을 때, 응시자의 시선에 투영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된다. In step S424,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first projects the rotated first image onto a plane including the first image before rotation, thereby obtaining a predetermined plane image from the first image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et eye direction Can be extracted. 7, when the set visual axis direction is the E-axis direction, the image transforming unit 140 transforms the first image into the 90-degree angle of sight angle with the horizontal axis u as the rotation axis, the plane image can be extra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ted first image is projected onto a plane (e.g., xy plane) including the first image before rotation. In this case, the extracted planar image becomes the same image as the image projected on the gaze of the candidate when the first image is viewed with the same gaze angle (?) In the F direction symmetrical with the gaze direction E direction.

다음으로, 이미지 변환부(140)는, 추출된 평면 이미지를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배수만큼 확대하여, 추출된 평면 이미지의 높이 및 폭 중 하나를 제 1 이미지와 대응하게 수정함으로써, 역원근법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평면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방향은 설정된 시선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시선 방향이 E 또는 F 방향이면, 세로 방향(또는, 높이 방향)으로 추출된 평면 이미지를 확대하고, 시선 방향이 G 또는 I 방향이면, 가로 방향(또는, 폭 방향)으로 추출된 평면 이미지를 확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 도시된 평면 이미지를 제 1 이미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세로 방향(또는, 높이 방향)으로 확대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제 2 이미지는 시선 방향이 E 방향인 경우를 전제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역원근법에 따라, 제 2 이미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문자의 폭과 길이가 커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Next,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enlarges the extracted plane image by a predetermined multip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modifies one of the height and width of the extracted plane imag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mage, And generate the applied second image.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racted plane image is enlarg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gaze direction. That is, if the visual direction is the E or F direction, the plane image ex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eight direction) is enlarged, and if the visual direction is the G or I direction, . Referring to FIG. 8, the generated second image can be confirmed by enlarging the plane image shown in FIG. 7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eight direction)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image. Since the second image shown in FIG. 8 is gener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ne of sight is in the E directio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haracter are increas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an inverse perspective method.

한편, S424 단계에 대하여, 제 1 이미지의 회전, 회전된 제 1 이미지에서 평면 이미지의 추출 및 추출된 평면 이미지의 확대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술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과정들이 일괄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step S424, it is described that the rotation of the first image, the extraction of the plane image in the rotated first image, and the enlargement of the extracted plane image are performed in seque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rocesses may be performed in a batch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S430 단계에서, 참조점 추출부(130)는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r1-r7)의 좌표와 제 1 참조점(r1-r7)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참조점(r1’-r7’)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참조점(r1-r7)은 제 1 이미지를 복수의 기준 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지점을 의미 하는 것으로서, 제 1 참조점(r1-r7)의 결정 기준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는 하나의 문자를 기준으로 제 1 참조점(r1-r7)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제 1 참조점(r1-r7)은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1 이상의 문자 및/또는 기호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tep S430, the reference point extraction unit 130 extracts the reference point r1-r7 of the first image from the coordinate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 '-r7') can be extracted. Here,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means a point serving as a reference for dividing the first image into a plurality of reference regions, and the determination criterion of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r7)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being practiced. That is, although FIG. 9 shows that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s determined based on one character, this is an exemplary 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s the firs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ermined based on one or more characters and / or symbols included in the image.

제 1 참조점(r1-r7)이 결정되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이미지는 제 1 참조점(r1-r7)에 의해 복수의 기준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제 1 참조점(r1-r7)에 의한 복수의 영역의 분할 방향은 설정된 시선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시선 방향이 E 또는 F 방향이면, 기준 영역은 제 1 참조점(r1-r7)을 기준으로 수평 분할되며, 시선 방향이 G 또는 I 방향이면, 제 1 참조점(r1-r7)을 기준으로 수직 분할되게 된다. When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 to r7 are determined, the first imag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ference areas by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 to r7,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dividing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regions by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r7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gaze direction. That is, if the visual direction is the E or F direction, the reference area is horizontally divid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If the visual direction is the G or I direction, the first reference point r1- .

이후,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r1-r7)의 좌표와 제 2 참조점(r1’-r7’)의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제 1 이미지를 변형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image converting unit 140 compare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r7 'to enlarge or reduce the reference region, . ≪ / RTI >

도 9에서 도시되는 제 1 참조점(r1-r7) 및 제 2 참조점(r1-r7)의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ositions and the number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r7 and the second reference points r1-r7 shown in FIG. 9 are illustrative, and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440 단계에서,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r1-r7)의 좌표와 제 2 참조점(r1-r7)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제 1 이미지를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변환부(140)는 제 1 참조점(r1-r7)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과 제 1 참조점(r1-r7)에 대응하는 제 2 참조점(r1-r7)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제 1 참조점(r1-r7)에 의해 분할되는 기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제 1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 방향의 시선 방향이 적용됨을 전제로,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인 r4, r5의 좌표가 각각 (x4, y4), (x5, y5)이고, 이와 대응하는 제 2 참조점인 r4’, r5’의 좌표가 (x4’, y4’), (x5’, y5’)라고 가정하면, 제 1 참조점 r4, r5에 의해 정의되는 기준 영역의 높이가 y5- y4에서 y5’- y4’가 되도록, 제 1 참조점 r4, r5에 의해 정의되는 기준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각각의 제 1 참조점(r1-r7)에 의해 분할되는 기준 영역에 대하여 수행함으로써, 원본의 제 1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보정한 도 10의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상에서 원본 이미지인 도 6의 제 1 이미지가 세로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S440,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the first image into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r7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s r1-r7 can do. Specifically,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at least one of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r1-r7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r1-r7 The first image can be converted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points r1-r7 by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a part of the reference area divided by the first reference points r1-r7.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eye direction in the E direction is applied,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s r4 and r5 of the first image are (x4, y4), (x5, y5) Assuming that the coordinates of the points r4 'and r5' are (x4 ', y4') and (x5 ', y5'), the height of the reference area defined by the first reference points r4 and r5 is y5 - y4 ', the reference area defined by the first reference points r4 and r5 may be enlarged or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reference area defined by the reference points r1-r7 Area,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R in Fig. 10 in which the first image of the original is cor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image of FIG. 6, which is the original image on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is modified to be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1에서는 도 10의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E 방향의 시선 방향에서 소정의 설정 시선각으로 바라볼 때 응시자의 시선에 투영되는 이미지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를 통해, 특정 시선 방향 및 시선각에서 응시자에게 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가독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11, an image projected on the gaze of a candidate is exemplarily shown when the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the augmented reality of Fig. 10 is viewed at a predetermined setting gaze angle in the gaze direction in the E direction. Referring to FIG. 11, an image to be projected to a candidate in a specific eye direction and a gaze angle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remote image generated by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100 in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드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middleware, microcode, software, and /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other electronic unit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may be stored or enco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stored or encoded i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cause a programmable processor or other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for example,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any medium that facilitates transfer of a computer program from one place to another. The storag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comprise RAM, ROM, E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edia, magnetic disk storage media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Or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used to carry or store data in the form of data structures.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Such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ame device or within separate devices to support the various operation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Additionally, components, units, modules, components,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parts"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ogether as separate but interoperable logic devices. The description of different features for modules, units, etc. is intended to emphasize different functional embodiments and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y must be implemented by individual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Rather, the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dules or units may be perform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or may be incorporated within common or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acts in a particular order are shown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acts ar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in a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illustrated acts ne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 In any environment,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division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a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component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시점 정보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선 방향 및 시선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 1 이미지의 제 1 참조점의 좌표 및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와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An operation method of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generating apparatus in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 first image comprising at least one character;
Generating a second image in which the ratio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viewpoint information on the first image, the viewpoi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viewing direction and a view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Included -;
Extracting coordinates of a first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coordinates of a second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And converting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3 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선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회전각만큼 회전시키고, 평면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the second image comprises:
Converting the first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generated by extracting a plane image by rotating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by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oward the visual axis around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by reflecting the viewpoint information, ≪ / RTI >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 평면 상의 가로축 및 세로축 중 하나이고,
상기 회전각은 상기 시선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axis is one of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
Wherein the angle of rotation is determined by the viewing ang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각을 φ라 할 때, 상기 회전각은 90°-2φ 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gle of rotation is greater than 90 ° -2φ and less than 90 ° when the viewing angle is φ.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과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참조점에 의해 분할되는 기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rting the first image comprises:
At least one value among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areas divided by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enlarging or reducing a portion of the imag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recorded.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
소정의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비율이 변경된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 - 상기 시점 정보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시선 방향 및 시선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 및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추출하는 참조점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와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remote identification image in an augmented reality,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An image converter for generating a second image in which a ratio of the first image is changed by reflecting predetermined viewpoint information, the viewpoi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gaze direction and a gaze angle for the first image -; And
And a reference poin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Wherein the image transforming unit transforms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시점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3 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선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회전각만큼 회전시키고, 평면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first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reflects the viewpoint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to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the second image is generated by extracting the plane image.
상기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된 상기 제 1 이미지와 동일 평면 상의 가로축 및 세로축 중 하나이고,
상기 회전각은 상기 시선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tation axis is one of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image converted into the three-
Wherein the rotation angle is determined by the gaze ang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각을 φ라 할 때, 상기 회전각은 90°-2φ 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ngle of rotation is greater than 90 ° -2φ and smaller than 90 ° when the viewing angle is φ.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환부는 상기 제 1 참조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과 상기 제 1 참조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참조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참조점에 의해 분할되는 기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이미지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속 원거리 식별 이미지 생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conversion unit compares at least one value amo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reference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Wherein the first image is transformed by enlarging or reducing at least a part of the reference region.

KR1020160108661A 2016-08-25 2016-08-25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234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61A KR20180023409A (en) 2016-08-25 2016-08-25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61A KR20180023409A (en) 2016-08-25 2016-08-25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09A true KR20180023409A (en) 2018-03-07

Family

ID=6168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61A KR20180023409A (en) 2016-08-25 2016-08-25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4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436B2 (en) Interface-based modeling and design of three dimensional spaces using two dimensional representations
US8411091B2 (en) Image drawing system, image drawing server, image draw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29923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66880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37403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device
KR20180039923A (en) Method for generating integral image marker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JP7387001B2 (en) Image synthesis methods, equipment, and storage media
KR20150093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graphics data and medium record of
JP201914615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701041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on screen display
KR101727987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23409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identifiable in long distance in augmented reali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8021210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generating free-viewpoint image using multi-viewpoint image
US10553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WO2019163128A1 (en) Virtual object display control device, virtual object display system, virtual object display control method, and virtual object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588409B1 (en) Method for providing stereo sound onto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diplayed by marker
CN105320783A (en) Three-dimensional vector object representation method based on two-dimensional SVG vector graphics in integrated circuit design tool
CN116431095B (en) Panoramic display method, panoramic display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434428B1 (en) Method of creating composite images, apparatus for creating composite image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JP6611143B1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100914915B1 (en) A low cost view-volume clipp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JP2008217547A (en) Method of generating free eye point image
CN11778865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ndering images
JP2011186930A (en) Drawing control device, drawing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of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with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80139438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