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748A -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748A
KR20180022748A KR1020180021135A KR20180021135A KR20180022748A KR 20180022748 A KR20180022748 A KR 20180022748A KR 1020180021135 A KR1020180021135 A KR 1020180021135A KR 20180021135 A KR20180021135 A KR 20180021135A KR 20180022748 A KR20180022748 A KR 2018002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unit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er
mas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709B1 (ko
Inventor
은동진
윤여준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7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근접한 단말기들 간에 쉽고 빠르게 페어링을 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외부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근접한 단말기들 간에 쉽고 빠르게 페어링을 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시장은 구매를 자극하는 다양한 디자인과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하여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온라인 마켓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휴대 단말기의 성능과 저장 공간이 향상되면서 사람과 사람, 기기와 기기 간의 연결 및 컨텐츠 공유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기기들 간에 페어링(Pairring)하여 통신하는 방식과, 액세스 포인트 없이 기기들 간에 직접 페어링하여 통신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WiFi) 모듈을 이용해 기기들 간에 직접 페어링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애드훅(Adhoc),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Mobile A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와이파이 등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무선랜 등에 지식이 없거나 익숙치 않는 사용자에게는 페어링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게 느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근접한 기기들 간에 페어링을 자동으로 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외부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와 랜덤하게 선택된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고,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하며,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근접한 기기들 간에 페어링을 자동으로 할 수 있고, 페어링 절차가 매우 간단하고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말기가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누가 호스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구분된다. 다시 말해, 페어링을 위해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고 페어링을 수락하는 단말기가 마스터가 되고, 이러한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슬레이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이러한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써, 파일 송수신, 게임, 채팅, 화면 공유, 영상 통화, 음성 통화,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파일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면,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채널번호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며, 생성된 식별자를 외부기기 즉, 슬레이브 단말기로 브로드 캐스팅하여 페어링 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식별정보에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앱 고유코드를 포함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그 종류별로 앱 고유코드를 달리한다. 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파일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은 앱 고유코드를 달리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여,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물론, 그 주변의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마스터 단말기의 채널번호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보안을 위해,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대신, 자신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전송한 슬레이브 단말기에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할 수 있다. 한편, 드문 경우이겠지만, 근접한 거리에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다수 존재할 수가 있다. 이때, 다수의 마스터 단말기가 서로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게 되면 페어링의 오류가 생긴다. 즉, 채널번호는 식별자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채널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0~999라고 가정하면, 마스터 단말기들은 상기 범위에서 동일한 채널번호를 선택할 확률은 극히 적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기들은 서로 다른 채널번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식별자 중복으로 인한 페어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면,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기는 검색된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한 외부기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하게 된다. 즉, 슬레이브 단말기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를, 자신이 페어링을 해야 할 마스터 단말기가 브로드 캐스팅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만약, 드문 경우이지만, 주변에 마스터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있게 되어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가 두 개 이상 검색되면, 슬레이브 단말기는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검색된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자가 두 개 이상 검색되면, 다수의 검색된 식별자 중에서 신호 감도가 가장 좋은 식별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식별자의 해당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을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무선통신부(140), 카메라(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111)과 키입력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1)은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는 그 동작에 따라, 터치 앤 드롭(Touch&Drop),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플릭 앤 드롭(Flick&Dro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앤 드롭은 어느 한 지점을 눌렀다가 그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동작이고, 드래그 앤 드롭은 어느 한 지점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동작이며, 플릭 앤 드롭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어부(160)는 이동 속도로 플릭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앤 드롭은 터치 시간에 따라, 탭(Tap)과 프레스(Press)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탭은 짧게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는 터치 동작이고, 프레스는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는 터치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이벤트는 그 의미에 따라, 마스터 시작 이벤트, 마스터 종료 이벤트,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및 슬레이브 종료 이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이벤트는 위치, 방향, 거리 및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12)는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로 구성되고, 키 이벤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지시자 영역,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고, 지시자 영역에 시간, 배터리 잔량 및 수신율 등을 표시하고 나머지 두 영역에는 각각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인 화면은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화면은 일반적으로 표시부(12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이다. 또한, 홈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이다. 한편, 서브 화면은 실행 중이거나 사용자가 즐겨 찾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서브 화면은 메인 화면의 변경 등을 위한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주기억부(main storage unit)와 보조기억부(secondary storage unit)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기억부는 플래시 메모리로 그리고 주기억부는 램(R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기억부는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는 공간이다. 즉, 단말기(100)가 부팅되면, 운영체제는 보조기억부에서 주기억부로 로딩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어플리케이션 또한, 보조기억부에서 주기억부로 로딩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이 종료되면, 주기억부에서 삭제된다. 한편, 보조기억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OS),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보조기억부는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식별자 생성을 위한 앱 고유코드와 패스워드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앱 고유코드는 유니코드(Unicode) 체계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 테이블은 다수의 채널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채널번호는 앱 고유코드와 함께, 식별자에 포함되는 번호로써, 예컨대 그 범위는 "0~999"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거나 주변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5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것으로, 단말기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잠금 해제 이벤트 예컨대, 좌에서 우 방향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을 감지하게 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한다. 제어부(160)는 어느 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벤트 예컨대, 탭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홈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및 슬레이브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에 대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앞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말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임을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마스터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자 화면(301), 홈 화면(302) 및 서브 화면(30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304)을 탭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은 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단계 2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그 실행 화면(305)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2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전송 아이콘(306)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예컨대, 도 3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선택 화면(308)을 표시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309)을 탭하게 되면, 단계 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2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다. 예컨대, 단계 203에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채널 번호 구간 예컨대, 0~999에서 305를 임의로 선택하여 채널번호로 설정한 다음 단계 204로 진행한다. 단계 204에서 제어부는 단계 2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 "ch 305"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205 및 단계 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205 및 단계 206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명칭인 Emolink와 채널번호 "ch 305"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도 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준비 및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페어링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307)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실행 화면(401)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2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아이콘(402)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209로 진행한다. 단계 209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 다음 단계 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210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210에서의 확인 결과 2개 이상이면 단계 211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212로 진행하며, 0개이면 단계 209로 복귀한다. 단계 211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된 식별자들 예컨대, "EmoLink ch 107"과 "EmoLink ch 305"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채널번호(도 3 (c) 참조)와 동일한 채널번호 즉, "ch 305"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채널번호 "ch 305"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212로 진행한다.
단계 212에서 제어부는 단계 21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 즉, "ch 305"를 추출한 다음 단계 213으로 진행한다. 한편, 검색된 식별자의 개수가 1개인 경우, 단계 212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 즉, "ch 305를 추출한 다음 단계 213으로 진행한다. 단계 21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 "ch 305"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214로 진행한다. 단계 2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여기서, 페어링 요청 신호는 단계 213에서 추출된 패스워드와 마스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2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215에서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게 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3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도 마스터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하면,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단계 2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202에서 선택된 사진을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3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사진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3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사진을 수신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4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어링 절차가 매우 간단하고 쉽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04; 도 3 (a) 참조)과 사진 전송 아이콘(306; 도 3 (b) 참조)을 각각 탭하는 것만으로 페어링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도 적게는 두 번, 많게는 세 번의 탭으로 페어링을 완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5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5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503으로 진행한다. 단계 5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504로 진행한다. 단계 504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505 및 단계 506으로 진행한다. 단계 505 및 단계 506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다른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지속적으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5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5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5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5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508로 복귀하고 1개 이상이면 단계 510로 진행한다. 단계 510에서 제어부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단계 510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단계 5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512로 진행한다. 단계 512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다시 확인하여 2개 이상이면 단계 513으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514로 진행한다. 단계 5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514로 진행한다. 단계 514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515로 진행한다. 단계 515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516으로 진행한다. 단계 51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5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517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518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6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6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6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604로 진행한다. 단계 604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605 및 단계 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605 및 단계 606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있지 않더라도,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다른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마스터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6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6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608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607로 복귀하고 1개 이상이면 단계 609로 진행한다. 단계 609에서 제어부는 식별자가 검색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단계 609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식별자가 검색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와 슬레이브 기능의 수행 여부에 대해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단계 61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611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612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다시 확인하여 2개 이상이면 단계 613으로 진행하고 1개이면 단계 614로 진행한다. 단계 6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61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614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515로 진행한다. 단계 615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616으로 진행한다. 단계 61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6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617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618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패스워드 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설정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게 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7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7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단계 7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패스워드를 임의로 설정할 것인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의 입력부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고, 마스터 단말기의 입력부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달된 패스워드를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로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03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704로 진행한다. 단계 704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 다음 단계 705로 진행한다. 단계 705에서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706 및 단계 707로 진행한다. 단계 706 및 단계 707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한편, 단계 7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7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7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711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710으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712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713으로 진행한다. 단계 712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713으로 진행한다. 단계 713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사용자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입력부로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고, 슬레이브 단말기의 입력부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달된 패스워드를 페어링을 위한 패스워드로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즉, 페어링 요청 신호는 마스터 단말기의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702에서 설정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715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7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주변의 채널번호를 검색하여 비어있는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8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8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803으로 진행한다. 단계 803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803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804로 진행한다. 단계 804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채널번호를 제외하고 가장 빠른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한다. 예컨대, 채널번호 ch 0, ch 1이 검색되면, 이들을 제외하고 가장 빠른 번호인 ch 2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설정한다. 이렇게, 마스터 단말기들이 채널번호를 순서대로 정하게 되면, 동일한 채널번호를 설정하는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에서는 채널번호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805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단계 806 및 단계 807으로 진행한다. 단계 806 및 단계 807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한편, 단계 8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80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810으로 진행한다. 단계 810에서 제어부는 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811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811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810으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812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813으로 진행한다. 단계 812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 예컨대, ch 0, 1 및 2를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 예컨대, ch 2를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813으로 진행한다. 단계 813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814로 진행한다. 단계 814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815로 진행한다. 단계 815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807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816으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817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는 식별자 브로드 캐스팅을 생략하여 식별자를 숨김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901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9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903으로 진행한다. 단계 903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직접 검색한다. 다시 말해, 단계 903에서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선점 여부를 확인한 다음, 단계 904로 진행한다. 단계 904에서 제어부는 검색되지 않은 채널번호를 자신의 채널번호로 결정한 다음 단계 905로 진행한다. 단계 905에서 제어부는 결정된 채널번호를 표시한다. 단계 903 내지 단계 905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브로드 캐스팅 결과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다음 제2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반면,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식별자로 결정한다. 여기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채널번호에서 내림 또는 오름차순으로 앱 고유코드와 조합하여 검색용 식별자를 차례대로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마스터 단말기는 첫 번째로 "EmoLink ch 0"을 생성하여 브로드 캐스팅한다. 이에 대해 다른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마스터 단말기는 두 번째로 "EmoLink ch 1"을 생성하여 브로드 캐스팅하고 반면, 응답이 없으면 "EmoLink ch 0"을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위한 식별자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결정된 식별자 또는 이에 포함된 채널번호 ch 1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한편, 단계 906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9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908로 진행한다. 단계 908에서 제어부는 주변의 채널번호를 직접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908에서 제어부는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하고,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브로드 캐스팅 결과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다음 제2순번의 검색용 식별자를 생성한 다음 이를 브로드 캐스팅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반면,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단계 909로 진행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수의 채널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채널번호에서 내림 또는 오름차순으로 앱 고유코드와 조합하여 검색용 식별자를 차례대로 생성하게 된다. 특히, 슬레이브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하게 채널번호를 설정한다. 즉,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가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검색하기 위해, 채널번호를 '0'번부터 오름차순으로 설정하듯이,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 또한 채널번호를 '0'번부터 오름차순으로 설정한다. 단계 909에서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9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908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910으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911로 진행한다. 단계 910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색된 식별자들 각각의 채널번호 예컨대, ch 0 및 1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채널번호들 중에서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채널번호 예컨대, ch 1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탭이 된 채널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선택한 다음 단계 911로 진행한다. 단계 911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912로 진행한다. 단계 912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913으로 진행한다. 단계 913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자신의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914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915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아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페어링을 종료하면, 기존의 네트워크로 복귀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1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자 화면(1101), 홈 화면(1102) 및 서브 화면(110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104)을 탭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은 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단계 1001에서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그 실행 화면(1105)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1002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마스터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1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시작 아이콘(1106)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03으로 진행한다. 단계 1003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채널번호를 임의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1004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앱 고유코드와 설정된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한 후 단계 1005 및 단계 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005 및 단계 1006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채널번호(1107)를 표시하게 하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식별자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도 1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시도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108)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와 함께, 보안 설정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007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실행 화면(1201)을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1008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시작 이벤트 예컨대,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시작 아이콘(1202)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09로 진행한다. 단계 1009에서 제어부는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앱 고유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단계 1010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검색된 개수를 확인한다. 단계 1009에서의 확인 결과 0개이면 단계 1009로 복귀하고, 2개 이상이면 단계 1011로 진행하며, 1개이면 단계 1012로 진행한다. 단계 1011에서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다수의 채널번호 예컨대, "EmoLink ch 107"과 "EmoLink ch 305"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된 식별자들 중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Card Game"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온라인 카드 게임을 실행 중인 다른 마스터 단말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의 명칭 예컨대, Iptime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에 표시된 채널번호(1107; 도 11 (c))와 동일한 "EmoLink ch 305"을 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EmoLink ch 305"를 선택한 다음 단계 1012로 진행한다.
단계 1012에서 제어부는 식별자에서 채널번호를 추출한 다음 단계 1013으로 진행한다. 단계 1013에서 제어부는 추출된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 다음 단계 1014로 진행한다. 한편, 이러한 패스워드 추출 과정은 마스터 단말기가 보안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1014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의 무선통신부는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계 1006에서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해당되는 패스워드를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추출된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단계 1015로 진행하여 페어링 수락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게 된다.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제3자와의 페어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자의 브로드 캐스팅을 중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스터 단말기는 예컨대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식별자의 브로드 캐스팅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을 완료한 후,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도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어링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1016에서, 서로 페어링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하나의 예로, 도 11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전송 버튼(1109)을 탭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선택 화면(1110)을 표시하게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1111)을 탭하게 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선택된 사진을 슬레이브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부를 제어하여 도 11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사진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1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완료!"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2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수락 버튼(1203)을 탭하게 되면, 사진을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도 12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상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1017에서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벤트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종료 버튼(1112; 도 11 (h))에 대한 탭을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18로 진행한다. 단계 1018에서 제어부는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로 복귀한다. 즉,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는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종료하고, 슬레이브 단말기와 페어링 하기 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에 다시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1019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게 되면, 단계 1020으로 진행하여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단말기
110: 입력부 111: 터치스크린
112: 키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무선통신부
150: 카메라 160: 제어부

Claims (1)

  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식별정보와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를 외부기기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팅된 식별자에 응답한 외부기기와 페어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외부기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KR1020180021135A 2018-02-22 2018-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KR10202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ko) 2018-02-22 2018-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ko) 2018-02-22 2018-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11A Division KR101833454B1 (ko) 2011-06-14 2011-06-14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36A Division KR102056124B1 (ko) 2019-09-16 2019-09-16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748A true KR20180022748A (ko) 2018-03-06
KR102026709B1 KR102026709B1 (ko) 2019-09-30

Family

ID=6172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35A KR102026709B1 (ko) 2018-02-22 2018-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277B2 (en) * 2001-10-31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90303197A1 (en) * 2008-05-02 2009-12-10 Bonczek Bryan S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100070767A1 (en) * 2005-11-03 2010-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secured direct link set-up (DLS) for wireless networks
EP2261793A2 (en) * 2009-06-09 201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076948A1 (en) * 2009-03-03 2011-03-31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1056044A2 (en) * 2009-11-09 201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277B2 (en) * 2001-10-31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00070767A1 (en) * 2005-11-03 2010-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secured direct link set-up (DLS) for wireless networks
US20090303197A1 (en) * 2008-05-02 2009-12-10 Bonczek Bryan S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110076948A1 (en) * 2009-03-03 2011-03-31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form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2261793A2 (en) * 2009-06-09 201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ed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WO2011056044A2 (en) * 2009-11-09 201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ho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709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45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RU2636677C2 (ru) Способ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ривязки устройства
EP30654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ifi list
KR101156321B1 (ko) 발견된 디바이스 리스트를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
JP6228676B2 (ja) 接続状態プロンプ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US9125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EP3232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wireless access point
EP3029889A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US1004516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a wireless access point
EP2690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US1000191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functions of dial and calculator and method thereof
US1056753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data
KR1020267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KR10205612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CN110602325B (zh) 一种终端的语音推荐方法和装置
CN106484261B (zh) 信息获取方法和装置、信息发送方法和装置、以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