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287A -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 Google Patents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287A
KR20180022287A KR1020160107517A KR20160107517A KR20180022287A KR 20180022287 A KR20180022287 A KR 20180022287A KR 1020160107517 A KR1020160107517 A KR 1020160107517A KR 20160107517 A KR20160107517 A KR 20160107517A KR 20180022287 A KR20180022287 A KR 2018002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toilet
rotating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길홍
윤명숙
Original Assignee
윤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홍 filed Critical 윤길홍
Priority to KR102016010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287A/en
Publication of KR201800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lve for a water closet, which is a valve for one water closet to respond to urine and feces. Therefore, an amount of water discharged to the water closet can be controlled, and further, only the valve for one water closet is necessary for one discharge port to be enough in a water tank. Moreover, in spite of urine and feces, a structure of a toilet seat needs not to be changed.

Description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좌변식 변기의 물탱크에 마련되는 변기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소변에 따라 물탱크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변기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valve provided in a water tank of a toilet seat of a left side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waste feces.

도 1은 종래의 변기용 밸브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변기용 밸브의 사용 상태의 개념도이다.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valve, and 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toilet valve.

변기 밸브(50)의 한 쪽에 오버플로우 관(42)에 장착되는 연결대(12)를 두는 데, 상기 변기 밸브(5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51)를 두고, 상기 플랜지(51)의 정상면에는 밀폐 형태를 형성하고 또 당김줄 걸림부(53)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당김줄 걸림부(53)에 당김줄(53)을 연결하며, 변기 밸브(50)의 하부에는 변기 배수구(41)에 대응하여 중공의 반구형의 마개(55)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마개(55)의 하부 중앙에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A flange (51)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oilet valve (50), and a top surface of the flange (51) is closed And a pulling string 5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so as to connect the pulling string 53 to the pulling string hook 53.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valve 50 corresponds to the water outlet 41 And a hollow hemispherical stopper 55 is disposed.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stopper 55.

상기와 같은 변기용 밸브는,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물의 양을 내려주게 되므로,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내려주게 되어 물의 낭비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The toilet valve as described above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faeces and the urine, but rather reduces the same amount of water. Therefore, when urinating, the unnecessary large amount of water is drained, thereby wasting water.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결과가 제안되었다.Various research result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통상 종래의 기술에서 제안된 기술들은 물탱크 내에 두 개의 변기용 밸브를 설치하되, 하나는 물탱크의 바닥상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더 높게 설치하여, 높게 설치된 변기용 밸브는 소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소변시의 물내림양을 줄여 절수할 수 있게 하였다.Generally, the techniques proposed in the prior art are to install two toilet valves in a water tank, one on the bottom of a water tank and the other on a higher level, It was possible to save water 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city.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두 개의 변기용 밸브가 필요하며, 아울러 각각의 변기용 밸브마다 배출구가 마련되어 두 개의 배출구가 필요하며, 또한 좌변식 변기에도 각 배출구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입구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의 변기용 밸브를 사용하려면 좌변식 변기에서부터 물탱크까지 모든 부분을 새로이 설치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너무 부담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structure requires two toilet valves, and each toilet valve requires an outlet to provide two outlets, and a toilet on the left should have two inlets corresponding to each outlet.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toilet valve of this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cost is too high since all parts from the toilet seat to the water tank must be newly install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62호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2011.12. 1)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162 entitled " Left-side toilet flush valve structure capable of regulating the amount of water fall according to feces and urine "(December 1, 201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416호 "변기용 절수 개폐밸브"(2003.6.2)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6416 "Water-saving valve for toilet bowl" (June 6, 2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6007호 "좌변기 절수용 개폐밸브"(2009.3.11)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26007 entitled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100호 "변기 절수형 밸브"(2003.1.3)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1100 of Korea Registered as "Valve Valve Type Valve" (Mar. 3, 20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소변에 따라 물탱크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변기용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a water tank to a toilet according to a fece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기용 밸브에 있어서 : 중앙에 마개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형 베이스몸체,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 연결대,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1당김줄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회동 몸체와 ;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당김줄 걸림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부와 함께 부력실을 형성하며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마개부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반구형의 마개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 결합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회동 몸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부의 하부 중앙에 메인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2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가장자리 타측에 상기 제2개방구와 다른 크기의 제1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valve comprising: a ring-shaped base body having a through-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hinge linkage formed at one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A first rotating body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and a first pulling str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Shaped base body, a flange portion formed on an edg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a second pulling string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 buoyancy cha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and hing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Wherein a first opening is formed at a center of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portion, a second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an edge of the stopper portion, a first opening portion having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fulcrum is 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대소변에 따라 물탱크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변기용 밸브를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toilet valv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waste water.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변기용 밸브로서 대변 및 소변에 대응하여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나의 변기용 밸브만이 필요하게 되므로 물탱크에는 하나의 배출구로서 충분하며, 또한 대소변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좌변식 변기는 그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o the toilet in response to the faeces and urine as one toilet valve, and only one toilet valve is required, so that the water tank is sufficient as one outlet, Despite this, the toilet on the left side does not need to change its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변기용 밸브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변기용 밸브의 사용 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밸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변기용 밸브가 닫힌 상태의 개념도,
도 7은 도 6에서 제1회동 몸체가 회동한 상태의 개념도,
도 8은 도 6에서 제2회동 몸체가 회동한 상태의 개념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valve,
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toilet valv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FIG. 3,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valve of FIG. 3 is close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body rotates in FIG. 6,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ody is rotated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imilar por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기용 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사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변기용 밸브가 닫힌 상태의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제1회동 몸체가 회동한 상태의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제2회동 몸체가 회동한 상태의 개념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5 is a cross-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body is rotated in FIG. 6, and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body is rotated in FIG.

본 변기용 밸브는 제1회동 몸체(100)와 제2회동 몸체(200)가 힌지 체결된 구조이다.The toilet valv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body 10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are hinged together.

먼저 제1회동 몸체(100)를 설명한다.First, the first rotating body 100 will be described.

제1회동 몸체(100)는 링형 베이스몸체(110)와, 힌지 연결대(120)와, 제1힌지 결합부(130)와, 제1당김줄 걸림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rotating body 100 includes a ring-shaped base body 110, a hinge connection part 120, a first hinge coupling part 130, and a first pulling string engagement part 140.

링형 베이스몸체(110)는 그 중앙에 마개부 관통공(111)이 형성된다.The ring-shaped base body 110 has a cap through-hole 1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마개부 관통공(111)은 후술하는 제2회동 몸체(200)의 마개부(220)가 삽입 관통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제2회동 몸체(200)가 제1회동 몸체(100)에 대하여 회동될 때에는 물탱크의 물이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되기도 한다.The stopper through hole 111 serves to insert the stopper 220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ody 100 It is also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n a water tank is discharged.

힌지 연결대(120)는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오버플로우 관에 힌지 체결되기 위한 부위로서, 이는 종래의 기술에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hinge connection block 1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and is hinged to the overflow pipe, which is a well-known structure in the prior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타측에 제1힌지 결합부(130) 및 제1당김줄 걸림부(140)가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hinge engaging part 130 and the first pulling string engaging part 140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힌지 결합부(130)와 제1당김줄 걸림부(140)는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함께 형성되지만, 이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130 and the first pulling string hooking part 140 are formed together at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but this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embodiment have.

제1힌지 결합부(130)는 후술하는 제2힌지 결합부(230)가 힌지 체결되는 부위이다.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30 is a portion where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230 described later is hinged.

제1당김줄 걸림부(140)에는 제1당김줄(301)이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당김줄(301)은 대변용으로 사용된다.A first pulling string (301) is caught in the first pulling string catching part (14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ulling string 301 is used for the counterweight.

상기와 같은 제1회동 몸체(100)에 제2회동 몸체(200)가 결합된다.The second rotating body 200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100 as described above.

제2회동 몸체(200)는 상판부(210), 마개부(220), 제2힌지 결합부(230), 제2당김줄 걸림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rotating body 200 includes an upper plate part 210, a stopper part 220,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230, and a second pulling string hooking part 240.

상판부(210)에는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부(211)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A flange portion 21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portion 210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플랜지부(211)가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면, 플랜지부(211)와 링형 베이스몸체(110) 사이로는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플랜지부(211)와 링형 베이스몸체(110) 사이에 패킹 등을 마련하여 수밀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When the flange portion 211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no water is discharg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211 and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Of course, packing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211 and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function.

또한 상판부(210)의 일측 상부에 제2당김줄 걸림부(230)가 형성된다. 제2당김줄 걸림부(230)에는 제2당김줄(302)이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당김줄(302)은 소변용으로 사용된다.And a second pulling string hooking part 23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210. And the second pulling string engaging portion 230 is engaged with the second pulling string 30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ulling string 302 is used for urine.

상판부(210)의 타측에 제2힌지 결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힌지 결합부(230)는 제1힌지 결합부(130)에 힌지 체결된다. 즉 제1,2힌지 결합부(130, 230)의 힌지 체결에 의하여 제2회동 몸체(200)는 제1회동 몸체(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된다.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210. [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230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130. That is,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ng body 100 by the hinge fastening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0 and 230.

본 실시예에서 제1,2힌지 결합부(130, 230)는 힌지축(231)을 매개로 서로 힌지 체결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2힌지 결합부(130, 230)의 힌지 체결 방식은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0 and 230 are hing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shaft 231.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inge fastening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upling parts 130 and 23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상판부(210)의 하부에 마개부(220)가 마련된다.A stopper 2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10.

마개부(220)는 상판부(210)와 함께 부력실(215)을 형성한다. 즉 부력실(215)은 마개부(220)와 상판부(210)에 의하여 포위된 공간이다.The stopper portion 220 forms the buoyancy chamber 215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210. That is, the buoyancy chamber 215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stopper 220 and the upper plate 210.

이와 같은 마개부(220)는 링형 베이스몸체(110)의 마개부 관통공(111)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며, 반구형의 형태를 가진다.The stopper 220 is disposed through the stopper through hole 111 of the ring-shaped base body 110, and has a hemispherical shape.

본 실시예에서 마개부(220)는 상판부(21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마개부(220)는 상판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topper 220 is shown separately from the upper plate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pper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210 as the case may be.

마개부(220)의 하부 중앙에 메인 개방구(223)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개방구(223)는 본 변기용 밸브가 열린 상태로 변환될 때 부력실(215)의 내부로 비교적 대량의 물이 유입되는 부위이다.A main opening 223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stopper 220. The main opening 223 is a portion whe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buoyancy chamber 215 when the toilet bowl valve is converted into an open state.

아울러 마개부(220)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2개방구(222)가 형성되며, 마개부(220)의 가장자리 타측에 제1개방구(221)가 형성되어 있다.A second opening 222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stopper 220 and a first opening 221 is formed at the other edge of the stopper 220.

제1개방구(221)와 제2개방구(222)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개방구(222)는 제1개방구(221)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The first opening 221 and the second opening 222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222 has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221.

제1,2개방구(221, 222)는 부력실(215)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 이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221 and 222 are used as passages through which air in the buoyancy chamber 2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제1,2당김줄(301, 302)의 작동을 위한 구조는 종래의 기술이 그대로 응용될 수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62호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의 당김줄 관련 구조가 본 발명의 밸브를 작동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structure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strings 301 and 302 can be applied as it is. That is, the pulling string related structure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162 entitled " left flush toilet flush valve structure capable of regulating the water drop amount according to the faeces and urine "may be applied to operate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통상적으로 본 변기용 밸브는 도 6과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물탱크로부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Normally, the toilet seat valve is kept closed as shown in Fig. 6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water tank.

이와 같은 변기용 밸브는 제1,2당김줄(301, 302)를 상부로 당김으로써 도 7 또는 도 8의 상태로 변환된다.This toilet valve is converted into the state shown in FIG. 7 or 8 by pulling the first and second pulling strings 301 and 302 upward.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제1당김줄(301)을 당기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는 대변용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이다.First, a case where the first pulling string 301 is pu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is the case where water is discharged for a stool.

제1당김줄(301)을 당기면 제1회동 몸체(100)가 힌지 연결대(12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7 기준). 이때 제2회동 몸체(200)는 제1회동 몸체(100)에 안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은 회동에 의하여 밸브는 열린 상태가 되어 물탱크로부터 물이 유출되기 시작한다.When the first pulling string 301 is pulled, the first rotating body 10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 connecting part 120 (refer to FIG. 7).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first rotating body 100. By this rotation, the valve is opened and water starts to flow out from the water tank.

이와 같은 상태로 변환되는 초기에 메인 개방구(223)를 통하여 부력실(215)로 비교적 대량의 물이 유입되며 부력실(215)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buoyancy chamber 215 through the main opening 223 and the air in the buoyancy chamber 2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7의 상태에서 부력실(215) 내부의 공기가 제1개방구(221)를 통하여 외부로 점차적으로 배출되며(연속되는 공기방울의 형태로 배출되며) 아울러 공기가 배출되는 만큼 부력실(215)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7, the air inside the buoyancy chamber 215 is grad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221 (discharged in the form of continuous air bubbles),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uoyancy chamber 215 ). ≪ / RTI >

이와같이 부력실(215) 내부의 공기가 계속 배출되면, 밸브의 부력이 밸브 자체가 가지는 하중보다 작아지게 되며, 이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밸브는 그 부력을 잃고 자체 하중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가 닫히게 되면 물탱크로터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Thus, when the air in the buoyancy chamber 215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e buoyancy of the valve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valve itself, so that the valve finally loses its buoyancy and rotates clockwise due to its own load. Thus, when the valve is closed, the water tank rotor water does not flow out.

이때 밸브가 열리고 닫힐 때까지의 시간은 제1개방구(221)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밸브가 부력을 잃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time until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is determined by the time required for the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21) and the valve to lose buoyancy.

제1개방구(221)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보다 느리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이 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opening 221 is form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more slowly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toilet.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제2당김줄(302)을 당기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는 소변용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이다.Next, a case of pulling the second pulling string 3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is the case when water is discharged for urine.

제2당김줄(302)을 당기면 제1회동 몸체(100)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제2회동 몸체(200)가 제1회동 몸체(100)의 제1힌지 결합부(13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8 기준). 즉 제2힌지 결합부(230)를 중심으로 제2회동 몸체(200)가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동에 의하여 밸브는 열린 상태가 되어 물탱크로부터 물이 유출되기 시작한다.When the second pulling string 302 is pulled, the first rotating body 100 is kept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is moved to the first hinge engaging portion 130 of the first rotating body 100 (Refer to Fig. 8). That is, the second rotating body 200 rotates around the second hinge engaging part 230. By this rotation, the valve is opened and water starts to flow out from the water tank.

이와 같은 상태로 변환되는 초기에 메인 개방구(223)를 통하여 부력실(215)로 비교적 대량의 물이 유입되며 부력실(215)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buoyancy chamber 215 through the main opening 223 and the air in the buoyancy chamber 2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8의 상태에서 부력실(215) 내부의 공기가 제2개방구(222)를 통하여 외부로 점차적으로 배출되며(연속되는 공기방울의 형태로 배출되며) 아울러 공기가 배출되는 만큼 부력실(215)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8, the air inside the buoyancy chamber 215 is grad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2 (discharged in the form of continuous air bubbles),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uoyancy chamber 215 ). ≪ / RTI >

이와같이 부력실(215) 내부의 공기가 계속 배출되면, 밸브의 부력이 밸브 자체가 가지는 하중보다 작아지게 되며, 이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밸브는 그 부력을 잃고 자체 하중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가 닫히게 되면 물탱크로터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Thus, when the air in the buoyancy chamber 215 is continuously discharged, the buoyancy of the valve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valve itself, so that the valve finally loses its buoyancy and rotates clockwise due to its own load. Thus, when the valve is closed, the water tank rotor water does not flow out.

이때 밸브가 열리고 닫힐 때까지의 시간은 제2개방구(222)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밸브가 부력을 잃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time until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is determined by the time taken for the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2 to lose the buoyancy.

제2개방구(222)는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되어 보다 빨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양의 물이 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opening 222 is formed in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thereby allow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toile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but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제1회동 몸체
110 : 링형 베이스몸체 111 : 마개부 관통공
120 : 힌지 연결대
130 : 제1힌지 결합부
140 : 제1당김줄 걸림부
200 : 제2회동 몸체
210 : 상판부 211 : 플랜지부
215 : 부력실
220 : 마개부 221 : 제1개방구
222 : 제2개방구 223 : 메인 개방구
230 : 제2힌지 결합부
240 : 제2당김줄 걸림부
301 : 제1당김줄
302 : 제2당김줄
100: first rotating body
110: ring-shaped base body 111: plug through hole
120: Hinge connecting rod
130: first hinge coupling part
140: first pulling string catching part
200: second rotating body
210: upper plate portion 211: flange portion
215: Buoyancy chamber
220: plug portion 221: first opening
222: second opening 223: main opening
230: second hinge coupling part
240: the second pulling jaw portion
301: 1st pull line
302: 2nd pull line

Claims (1)

중앙에 마개부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형 베이스몸체,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 연결대,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1힌지 결합부,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1당김줄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회동 몸체와 ;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당김줄 걸림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부와 함께 부력실을 형성하며 상기 링형 베이스몸체의 마개부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반구형의 마개부, 상기 상판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 결합부에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회동 몸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부의 하부 중앙에 메인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가장자리 일측에 제2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가장자리 타측에 상기 제2개방구와 다른 크기의 제1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변기용 밸브.

A first hing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a first hing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a second hing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ng- A first rotating body including a first rotating body;
Shaped base body, a flange portion formed on an edge of the ring-shaped base body, a second pulling string fasten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 buoyancy cha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and hing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And,
A main opening is formed in a lower center of the stopper portion, a second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stopper portion, and a first opening portion having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dge of the stopper portion The toilet valve which can distinguish feces and feces.

KR1020160107517A 2016-08-24 2016-08-24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KR201800222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17A KR20180022287A (en) 2016-08-24 2016-08-24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17A KR20180022287A (en) 2016-08-24 2016-08-24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647A Division KR20180048482A (en) 2018-04-25 2018-04-25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87A true KR20180022287A (en) 2018-03-06

Family

ID=6172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517A KR20180022287A (en) 2016-08-24 2016-08-24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2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34B1 (en) * 2019-07-11 2020-02-04 윤길홍 Urine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34B1 (en) * 2019-07-11 2020-02-04 윤길홍 Urine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53B2 (en) Variable water-saving Western-style toilet sewage discharge device
US20060195977A1 (en) Drain valve
US4341238A (en) Flushing means
US4937894A (en) Dual flush toilet
KR20180022287A (en)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KR20180048482A (en) Urin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JP5024723B2 (en) Toilet wash water tank equipment
US8122526B2 (en) Adjustable universal flapper
US20140289945A1 (en) Flush water tank assembly, and flush toilet with flush water tank assembly
KR102073234B1 (en) Urine and feces distinction type valve for water closet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200297671Y1 (en) Noiseless ball tap
KR200372410Y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KR200287466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rainage of a toilet
US8360093B2 (en) Pilot fill valve
KR200344345Y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US5761749A (en) Structure of toilet bowl
KR101498415B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US20180340322A1 (en) Flush water supply apparatus
KR20110003864U (en) Toilet Bowl Drain Valve
CN204804002U (en) Adjustable toilet tank of bath volume
KR200347170Y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KR200198086Y1 (en) Toilet bowl
JP2011074686A (en) Drain valve device
KR200251220Y1 (en) Water saving toilet fl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