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55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55A
KR20180022155A KR1020160107100A KR20160107100A KR20180022155A KR 20180022155 A KR20180022155 A KR 20180022155A KR 1020160107100 A KR1020160107100 A KR 1020160107100A KR 20160107100 A KR20160107100 A KR 20160107100A KR 20180022155 A KR20180022155 A KR 20180022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information
data
diagram illustrating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빈
목영중
백상규
아닐 에기월
김대균
권종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155A/ko
Publication of KR2018002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빔 변경(Beam change)과 핸드오버(Handover) 간 지연시간을 줄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빔 변경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빔 변경(Beam change)과 핸드오버(Handover) 간 지연시간을 줄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빔 변경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도1은 Beam change의 기존 동작 중 다운링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2는 Beam change의 기존 동작 중 업링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3과 도4는 기지국 간 핸드오버 시 빔에 따른 문제 사항을 나타낸 도면인데, 해당 도면을 보면 기지국 간 핸드오버 시 빔에 따른 지연 시간으로 시스템 성능의 하락 발생이 가능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빔 변경(Beam change)과 핸드오버(Handover) 간 지연시간을 줄여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Beam change)과 핸드오버(Handover) 간 지연시간을 줄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Beam change의 기존 동작 중 다운링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Beam Change의 기존 동작 중 업링크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 간 핸드오버 시 빔에 따른 문제 사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기지국 간 핸드오버 시 빔에 따른 문제 사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네트워크 기반 MAC Level 제안 방법 중 다운링크 상황에서의 제안에서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포함된 기능 중 하나인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포함된 빔 인덱스 피드백을 Node가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plink 자원을 예약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포함된 빔 인덱스 피드백을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plink 싱크를 맞추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데이터 수신을 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ser Context Sharing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Bearer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Beam Feedback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Node 들간의 Scheduling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 Node 1이 주체가 되어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Data Multicasting인 경우에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Node1이 Node2에게 Data를 알아서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Node2가 Node1 에게 Data를 요청하여 전달 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Node1이 Node2에게 Data를 알아서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Node2가 Node1에게 Data를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네트워크 기반 MAC Level 제안 방법 중 업링크 상황에서의 제안에서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업링크 전송 방법 중 Beam Feedback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Node1과 Node2간의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Node1이 Node2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Node1과 Node2간의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Node1이 Node2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Node들간 Uplink Data Sync를 맞추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UE 기반의 MAC Level Uplink 신호 전송 제안에서 다운링크 기반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Uplink Beam Training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UE 기반의 MAC Level Uplink 신호 전송 제안에서 업링크 기반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의 구성은 1)네트워크 기반으로 한 MAC Level 제안 방법(DL/UL Case)과 2)사용자 단말 기반으로 한 MAC Level 제안 방법(DL/UL Cas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포함하는 Node는 E-UTRAN의 eNB이거나 WiFi AP이거나 5G Nod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는 방법 및 절차는 하나 이상 포함 될 수 있다.
도 5는 네트워크 기반 MAC Level 제안 방법 중 다운링크 상황에서의 제안에서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포함된 기능은 1)빔 트레이닝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2)빔 트레이닝 시그널 전송, 3)빔 인덱스 피드백을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4)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5)Beam Feedback 전송, 6)Data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7)Data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함된 기능은 순차적 실행하거나 동시에 실행 되거나 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동작 할 수 있다.
도 6 은 상기 도 5에서 포함된 기능 중 하나인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따를 경우 Beam Training Signal을 확인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에서 Beam Training 신호 측정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능은 Beam Training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수신이 가능하고, 노드 1은 단말에게 Beam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전송 가능하며, 또는 노드 2가 직접 단말에게 Beam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노드1이 노드2의 정보를 받아 노드1에서 UE에게 Beam Measurement Configuration 상기 Beam Measurement Configuration 포함 가능 정보는 1)단말이 측정 신호를 확인 할 수 있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정보, 대역폭 정보, 신호 위치 정보 (Subframe or Slot 위치)), 2)측정 신호의 주기 (예, 측정 Period), 3)단말이 Beam Feedback 시 사용 가능한 Preamble 정보, 4)Measurement 정보 포함(예, Beam Feedback (Triggering Event), Filtering 값 등), 5)Neighboring 기지국의 정보(상기의 정보를 포함 가능 (예, 신호 위치 정보, 주기, Measurement 정보 등)), 6)Serving 기지국을 기준으로 Neighboring Cell의 Configuration 정보를 Decoding 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Serving 기지국 정보와 Neighboring 기지국 정보와의 offset 정보(실시 예, Serving 기지국 Subframe + offset 인 경우 Neighboring 기지국 정보 위치), 해당 정보는 Subframe 기준 또는 Slot 기준으로 offset 결정 가능), 7)Neighboring Cell 정보를 측정하는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5에서 포함된 빔 인덱스 피드백을 Node가 받기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plink 자원을 예약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UE는 Node1 에게 UE Status Report 전달이 가능하다. UE Status Report 정보는 예를 들어 UE가 Node 2에게 자원을 할당 받았는지 유무에 관할 것일 수 있다. Node1은 Triggering for Coordination 동작 가능하며, UE Status Report를 받아 보고 Node2에게 자원 요청이 있는지 확인 가능하고, 또는 Node1이 UE Status Report를 받지 않아도 근접 Node에게 요청 가능하다. 예를 들어 node1 의 serving Beam 을 기준으로 인접 Node 결정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Node1이 UE로부터 Beam Feedback(Beam 확인)을 수신 후 요청 가능하며, Node1과 Node2는 Coordination between Node1 & Node2 를 통해 Node2의 자원을 미리 할당 가능하고, 해당 Node 2의 Uplink 자원 정보는 Node 2가 Node1에게 전달하여 제공 하거나 Node1 이 사전에 미리 할당되어 전달하거나 Node 2가 직접 전달 할 수 있다. 단말에게 전달 되는 정보 Resource Information은 1) Node2 의 업링크 자원의 위치(예를 들어 자원의 주파수, 시간 등이며, LTE 시스템인 경우 PDCCH 정보 또는 PUCCH 또는 PUSCH 정보 등), 2)Node 2의 Uplink Sync 정보 (예, Time Alignment), 3)Random Access 실행 명령 Indicator 또는 Random Access Preamble, 4)기지국에서 할당한 UE Specific 정보(예, C-RNT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서 포함된 빔 인덱스 피드백을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plink 싱크를 맞추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Uplink Sync가 맞는 경우 해당 동작 없이 Beam Feedback을 Node로 바로 전송 가능하다. Beam Index Feedback을 Node2에 전송 시 Uplink Sync가 맞지 않는 경우에 Uplink Sync를 획득 하는 방법으로 다음 2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Node2 와 Random Access를 통해 Uplink 싱크 정보 획득 하는 경우 Random Access 절차를 통해 Node 2의 Uplink Sync 정보를 획득 가능하며, Random Access 절차를 통해 Beam Feedback Information을 바로 전송 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Node2 에게 Beam Index Feedback 전송 시 Feedback 메시지를 Preamble화 하여 전송하여 Node2에서 확인 할 수 있다. Node는 사전에 단말에게 사용 가능한 Preamble 정보를 Beam Measurement Configuration으로 전송하거나 따로 전송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데이터 수신을 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Node 들의 Downlink 설정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노드 1 또는 노드 2는 단말에게 Downlink Monitoring Configuration 전송 할 수 있다. 또는 노드1이 노드2의 정보를 받아 노드1이 UE에게 Downlink Monitoring Configuration 을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Downlink Monitoring Configuration 정보는 1)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위치(예, 주파수, 대역폭, 자원 위치), 2)모니터링 주기, 3)UE Specific 정보(예, Downlink 제어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C-RNTI 등, C-RNTI같은 경우 Node간에 다른 C-RNTI일 수도 있으며 Node들간 협력을 통해 만들어진 Common C-RNTI가 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User Context Sharing을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노드 1과 노드 2는 User Context 정보를 교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노드 1 또는 노드 2는 단말에게 User Information 전송이 가능하며, 노드1이 노드2의 정보를 받아 노드1이 UE에게 Information을 전송 할 수 있다. User Context 정보는 1)Security 정보 (예, AS Security Key 등), 2)단말 Capa(예, Beam 정보, Tx/Rx 정보 등), 3)QoS 정보, 4)UE History Info(예, Tracking Area 등), 5)User Information 정보, 6)Security 정보 (예, AS Security Key 등), 7)Qo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Bearer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노드 1과 노드 2는 Coordination 을 통해 Node 간 Bearer 정보를 교환하여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또한 노드 1 또는 노드 2는 단말에게 Bearer Information 전송이 가능하며, 노드1이 노드2의 정보를 받아 노드1이 UE에게 Bearer Information을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Bearer Information 정보는 1)Radio Bearer 정보(Node2 DRB ID / SRB ID 등), 2)Layer 정보 (PDCP/RLC/RRC/MAC/PHY 등 Setup 정보), 3)Serving에서 사용하던 Bearer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Beam Feedback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Node에게 Best Beam의 정보들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단말은 Beam Feedback을 Node1로 보내거나 Node 2로 보낼 수 있으며, Node1이 수신한 Beam Feedback을 Node 2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UE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통해 Beam Feedback을 Node1 또는 Node2 중 어디로 전송 할지 결정 가능(Decide Node for Beam Feedback)하다.(예를 들어 UE가 사전에 Node2에 대한 Uplink 자원을 할당 받고 Node2의 Beam 신호가 좋은 경우 Node2로 바로 전송 가능하다.) 상기 Beam Feedback 정보로는 신호에 대한 정보인 1)Beam Information(예를 들어, Beam Index, Node Id, Beam의 세기, 퀄리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데이터 정보(예, Sequence Number) , 3)해당 정보는 한 개 빔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중 Node 들간의 Scheduling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 Node 1이 주체가 되어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Node 들 중 어떤 Node가 데이터를 UE에게 전송 할 지 결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Node1이 주체가 되어 데이터 전송 주체를 결정 할 수 있다.(그 반대인 Node 2로도 가능) 또한, Node2가 Beam Feedback을 Node1으로부터 전달 받거나 UE로부터 직접 수신하면 Node1 에게 Scheduling Decision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Node1은 Scheduling Decision 요청 메시지를 확인 후 결정 사항을 Node2에게 ACK으로 전송 가능하다. 상기 Scheduling Decision Request 정보는 Beam Feedback 정보(도면13 Feedback정보 참고)로 결정 방법으로는 예로, Node2에 Best Beam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Scheduling Decision Request ACK 정보는 해당 Node에서 데이터 전송 가능 유무 결정 사항 정보이다.
도 14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Data Multicasting인 경우에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에게 DL Data를 전송하기 위해 Node들의 Data 싱크를 맞추기 위한 방법으로 Data는 Gateway에서 사전에 Node 1과 Node 2에게 동일하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 2에서 단말에게 Data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Data 전송 요청 메시지를 Node 1 또는 Node2 또는 Node 1이 Node 2에게 전달 가능하다. Data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Node 2는 단말에게 Data를 전송하며, Node 1에게는 Data 전송 중지 메시지를 전송한다.(옵션) 상기 메시지는 1)Stop 요청을 한 시점, 2)Node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는 1)Data Sequence Number (예, PDCP Sequence / RLC Sequence 등) 또는 2)Beam Feedback 메시지에 해당 데이터 정보가 포함 가능하다.
도 15는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Node1이 Node2에게 Data를 알아서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에게 DL Data를 전송하기 위해 Node들의 Data 싱크를 맞추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이 Node1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 Node 1은 수신한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확인 후 해당하는 데이터 부터 Node 2로 전달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는 1)Data Sequence Number (예, PDCP Sequence / RLC Sequence 등) 또는 2)Beam Feedback 메시지에 해당 데이터 정보가 포함 가능하다.
도 16는 는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Node2가 Node1 에게 Data를 요청하여 전달 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에게 DL Data를 전송하기 위해 Node들의 Data 싱크를 맞추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이 Node2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 하거나 Node 1이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Node2에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Node2가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Node1 에게 데이터 요청 정보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를 요청 할 수 있다. Node1은 Node2로부터 Data Forwarding Request 정보를 수신하면 Node2 로 해당 하는 데이터부터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Data Forwarding Request 정보는 1)Data Sequence Number (예, PDCP Sequence / RLC Sequence 등) 또는 2)Beam Feedback 메시지에 해당 데이터 정보가 포함 가능하다.
도 17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Node1이 Node2에게 Data를 알아서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Node1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Node 1은 수신한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확인 후 해당하는 데이터부터 게이트웨이로 전달이 가능하며, 게이트웨이는 전달 받은 데이터를 Node 2로 데이터 전달 가능하고 데이터를 전달 받은 Node 2는 단말로 데이터 전송 가능하다.
도 18은 Data 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에서 기지국 간 데이터 전달 하는 방법 중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Node2가 Node1에게 Data를 보내 주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Node2에게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전송 하거나 Node 1이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Node2에 전달 할 수 있으며, Node2가 데이터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Node1 에게 데이터 요청 정보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를 요청 할 수 있다. Node1은 Node2로부터 Data Forwarding Request 정보를 수신하면 게이트웨이로 해당 하는 데이터부터 전달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전달 받은 데이터를 Node 2로 데이터 전달 가능하고, 데이터를 전달 받은 Node 2는 단말로 데이터 전송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 요청 정보는 1)Data Sequence Number (예, PDCP Sequence / RLC Sequence 등) 또는 2)Beam Feedback 메시지에 해당 데이터 정보가 포함 가능하다.
도 19은 네트워크 기반 MAC Level 제안 방법 중 업링크 상황에서의 제안에서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9에 포함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빔 트레이닝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2)빔 트레이닝 시그널 전송, 3)빔 인덱스 피드백을 받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4)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5)Beam Feedback 전송, 6)UE Buffer Status를 공유 하는 방법, 7)Scheduling 된 자원 정보를 받는 방법, 8)Uplink Data 동기를 맞추는 방법, 9)Data 전송, 상기 기능 중 Beam Feedback 전송, UE Buffer Status를 공유 하는 방법, Scheduling 된 자원 정보를 받는 방법, Uplink Data 동기를 맞추는 방법 외에 동작은 상기 도19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 할 수 있다.
도 20은 업링크 전송 방법 중 Beam Feedback을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Node에게 Best Beam의 정보들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 가능하며, 단말은 Beam Feedback을 Node1로 보내거나 Node 2로 보낼 수 있다. 또한 Node1이 수신한 Beam Feedback을 Node 2로 전달 할 수 있다. UE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통해 Beam Feedback을 Node1 또는 Node2 중 어디로 전송 할지 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UE가 사전에 Node2에 대한 Uplink 자원을 할당 받고 Node2의 Beam 신호가 좋은 경우 Node2로 바로 전송 가능한 것이다. 상기 Beam Feedback 정보로는 신호에 대한 정보인 1)Beam Information(예를 들어, Beam Index, Node Id, Beam의 세기, 퀄리티 등), 2)데이터 정보(예, Sequence Numb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원 요청에 대한 정보 (Scheduling Request or Buffer Status Report) 를 추가로 전송 가능하고 해당 정보는 한 개 빔 또는 그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Node1과 Node2간의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Node1이 Node2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Node1과 Node2 간에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기 위해 이용되며 Node 1이 UE의 Buffer Status를 가지고 있는 경우 Node2에게 전달 가능하다. Node1은 UE의 Buffer Status를 UE를 통해 받거나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이용 가능하다. 상기 UE Buffer Information 정보는 1)UE의 ID, 2)UE의 Buffer 상태(예를 들어, Buffer 내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Node1과 Node2간의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중 Node1이 Node2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Node1과 Node2 간에 UE의 Buffer Status를 공유하기 위해 이용되며, Node 2가 UE의 Buffer Status를 가지고 있는 경우 Node1에게 전달 가능하다. Node2은 UE의 Buffer Status를 UE를 통해 받거나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이용 가능하다. 상기 UE Buffer Information 정보는 1)UE의 ID, 2)UE의 Buffer 상태(예를 들어, Buffer 내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케쥴링 정보를 UE에게 전달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며 스케쥴링 결정 방법은 상기 도면23을 참고할 수 있다.(예를 들어, node1이 주체가 되어 결정 가능하다.) Node1이 Node 2의 Scheduling 정보를 받아 UE에게 전달 가능하고 Node2가 Scheduling 정보를 직접 UE에게 전달 가능하다. 상기 Scheduling for Data 정보는 UE가 Uplink로 사용 가능한 자원 정보(예, 주파수, 시간 등)를 포함한다.
도 24은 Node들간 Uplink Data Sync를 맞추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Node 들간 Uplink Data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이용 가능하며 Node 1은 Node2에게 Forward Buffer Data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 전달 가능하다. Node 1은 Node2에게 End marker 전송을 통해 데이터 전달 완료 알림 가능하고, Node 2는 Status Report를 UE에게 전달하여 Node2가 가지고 있는 Data 정보를 전달 가능하며, UE는 Status Report의 정보를 통해 보내야 하는 데이터 확인 후 Data 전송 가능하고, Node 2는 UE로 부터 받은 데이터와 Buffer에 있는 데이터의 Reordering 가능하다. 상기 Status Report 정보는 Data Sequence Number(예, PDCP Sequence Num, RLC Sequence Nu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은 UE 기반의 MAC Level Uplink 신호 전송 제안에서 다운링크 기반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5의 포함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Uplink 빔 트레이닝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2)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3)빔 트레이닝 시그널 전송, 4)Data를 전송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5)Data 전송, 또한 상기 포함된 기능은 순차적 실행하거나 동시에 실행 되거나 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동작 할 수 있으며, 상기 Uplink 빔 트레이닝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외에 기능들은 상기 도에 설명한 방법을 따를 수 있다.
도 26은 Uplink Beam Training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Node1과 Node2는 Coordination for UL Beam Training 과정을 통해 UE가 사용 가능한 Uplink Beam Training을 위해 자원 정보를 공유 가능하며, 노드 1은 단말에게 Beam Training Information 을 전송 가능하고, 노드 2가 직접 단말에게 Beam Training Information 을 전송 가능하며, 노드1이 노드2의 정보를 받아 노드1에서 UE에게 Beam Training Information도 가능하다. 상기 Beam Training Information은 1) UE가 사용 가능한 Uplink Reference Signal 정보 (예, Frequency, Time, Sequence 등), 2)UE가 Beam Training Signal 전송하는 주기, 3) UE가 Beam Training Signal을 전송 할 수 있는 시점에 대한 Event 방법(예를 들어, 다운링크 Bema Training을 이용한 Event 또는 단말 상태를 통한 Event (예, HARQ 에러가 특정 횟수 이상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는 UE 기반의 MAC Level Uplink 신호 전송 제안에서 업링크 기반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27에 포함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1)Uplink 빔 트레이닝 시그널을 보내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 2)Data 수신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3)빔 트레이닝 시그널 전송, 4)UE Buffer Status 공유 방법, 5)Scheduling for Data, 6)Uplink Data 싱크를 맞추는 방법, 7)Data 전송, 상기 기능들은 상기 도27에 설명한 방법을 따를 수 있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160107100A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80022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00A KR20180022155A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00A KR20180022155A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55A true KR20180022155A (ko) 2018-03-06

Family

ID=6172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100A KR20180022155A (ko) 2016-08-23 2016-08-2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1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419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beam-tracking and beam feedback operation in a beam-forming based system
CN110447263B (zh) 用于在随机接入(rach)过程期间执行初始波束对准的方法和用户设备
EP2810462B1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KR102625132B1 (ko)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17012B1 (ko) 효과적인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80122963A (ko) 단말 자율 핸드오버에서의 측정 리포트 이벤트 운용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CN111052843B (zh) 用于改进新无线电覆盖的技术和装置
JP201852337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装置
US11405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beam tracking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85428A (ko) 빔포밍 기반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및 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JP2020535726A (ja) ビーム障害回復プロシージャのためのリソース割当て
US11671890B2 (en) Timing advance group reporting for layer 1/layer 2-centric inter-cell mobility
US1169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downlink transmission beam in a cellular network
US11963232B2 (en) Beam refinement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random access procedure
US11997726B2 (en) Beam-specific coverage enhancement for random access procedure
US11395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dicating alternative resource at collision of configured grants
KR201900198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운딩 기준 신호의 구성을 위한 방법
KR2017010999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115002A (ko) Configured Grant의 충돌 시 대안자원을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989644A (zh) 随机接入规程期间的波束指示
KR2018002215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변경 방법 및 장치
KR20180136853A (ko) 서로 다른 기준 신호를 활용한 rach 자원 설정 방법 및 단말의 rach 자원 선택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202302998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222054A1 (en) Ue-to-ue ranging based on sidelink groupcasting
KR2024000629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서비스 범위 내 사이드링크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