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33A - 방음부스 - Google Patents

방음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33A
KR20180022133A KR1020160107063A KR20160107063A KR20180022133A KR 20180022133 A KR20180022133 A KR 20180022133A KR 1020160107063 A KR1020160107063 A KR 1020160107063A KR 20160107063 A KR20160107063 A KR 20160107063A KR 20180022133 A KR20180022133 A KR 2018002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soundproof
door
booth body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석
Original Assignee
송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석 filed Critical 송형석
Priority to KR102016010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133A/ko
Publication of KR2018002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방음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볍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음부스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가 퍼즐과 같이 서로 암수 결합방식으로 조립 완성되는 부스 본체를 포함하되,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몰딩부재와, 부스 본체를 완전히 덮어씌우도록 통짜로 제작되어 부스 본체를 덮는 코아 패드를 포함하는 방음부스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동 설치할 수 있고, 부스 본체를 통해 외부로 새어 나오는 소리를 흡입하여 우수한 방음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부스{SOUNDPROOF BOOTH}
본 발명은 방음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볍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음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부스는 외부의 소리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 소음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거나, 혹은 내부의 소리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주지않도록 하는 자기만의 독립된 밀폐 공간으로서, 주로 전문학원에 설치되어 특수한 목적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음부스는 악기나 보컬 연습, 녹음 등과 같이 특수 목적 이외에도, 집중력이 요구되는 수험생이나 홈시어터 등을 구축하여 영화를 감상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가정집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설치 비용과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후 이사갈 때 철거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기 때문에 보급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 설치가 비교적 용이한 전화부스 형태의 방음부스들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 고중량의 나무 목재와 철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벽체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방식으로 여전히 많은 설치 비용이 소요되었고, 고중량으로 인해 개인이 직접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설치 후에는 방음 성능을 결정하는 벽체의 두께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더 나은 방음 성능을 요구하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없어 방음 성능이 향상된 다른 고성능의 제품을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한 조립식 방음부스의 일례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7868호(등록일: 2004.04.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7854호(등록일: 2004.04.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9854호(등록일: 2012.01.18.)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방음부스들은 방음부스의 벽체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규격화된 방음판넬로 분할 제작하고, 이들을 상호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에 따라 방음부스를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여 이동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방음부스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해체가 어려웠다. 특히 벽체가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음 및 흡음 효과가 미흡하였고, 고중량의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손으로 인해 취급이 번거로워 조립 및 해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부 소리가 벽체를 통해 반사되어 잔향(반사음)이 생성됨에 따라 최적화된 방음공간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20-0347868 Y1, 2004. 04. 06. KR 20-0347854 Y1, 2004. 04. 06. KR 10-1109854 B1, 2012. 01. 1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비해 가볍고, 취급이 쉬우며,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방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음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가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부스 본체;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및 상기 측벽판재가 서로 암수 결합된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몰딩부재; 및 상기 부스 본체를 완전히 덮어씌우도록 통짜로 제작되어 상기 부스 본체를 덮는 코아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및 상기 측벽판재는 테두리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된 것끼리 서로 암수 결합되도록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상기 측벽판재 및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고, 계란판 형태로 이루어진 차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아 패드는 면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 및 상기 패드 내부에 충진된 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가 설치된 측벽판재에는 상기 부스 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어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타측부에는 자성체가 매립되어 닫힐 때 상기 문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문틀 사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가 퍼즐과 같이 서로 암수 결합방식으로 조립 완성되는 부스 본체를 포함하는 방음부스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직접 이동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몰딩부재와, 부스 본체를 완전히 덮어씌우도록 통짜로 제작되어 부스 본체를 덮는 코아 패드를 포함하는 방음부스를 제공함으로써 부스 본체를 통해 외부로 새어 나오는 소리를 흡입하여 우수한 방음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 본체를 구성하는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가 나무 벽체가 아닌 경량이면서 강도가 우수한 허니컴 보드 또는 웨이브 보드로 이루어진 방음부스를 제공함으로써 나무 벽체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이동 설치가 용이하고, 방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를 각 판재별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패드가 부스 본체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의 부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를 각 판재별로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10)는 부스 본체(11)와,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설치된 몰딩부재(12)를 포함한다.
부스 본체(11)는 도 3과 같이, 바닥판재(111), 측벽판재(112~115) 및 지붕판재(116)가 암수 결합방식으로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도 1과 같이,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타원형 구조 또는 꼭지점이 5개 이상인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닥판재(111)는 도 3과 같이, 일례로 사각형 구조의 판재로서,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p)와 홈부(g)가 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4개의 측벽판재(112~115)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p) 및 홈부(g)와 암수 결합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지붕판재(116)는 바닥판재(111)와 대칭하도록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형 구조의 판재로서, 도 3과 같이, 바닥판재(111)와 마찬가지로, 4개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p)와 홈부(g)가 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4개의 측벽판재(112~115)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p) 및 홈부(g)와 각각 암수 결합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측벽판재(112~115)는 사각형 구조의 판재로서, 4개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부(p)와 홈부(g)가 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측벽판재(112~115), 바닥판재(111) 및 지붕판재(116)에 형성된 돌출부(p) 및 홈부(g)와 암수 결합방식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측벽판재(112~115) 중 어느 하나에는 도어(117)가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에는 도어(117)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문틀(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문들은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어(117)는 상기 문틀과 같이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부는 상기 문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그리고 도어(117)의 타측부에는 자성체(미도시)가 매립되어 도어(117)가 닫힐 때 타측부에 매립된 자성체가 문틀에 부착되어 도어(117)와 문틀 사이를 자력으로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측벽판재(112~115) 중 어느 하나에는 창문(115a)과, 전자기기, 예를 들면 전자 악기 또는 냉난방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캡(113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문(115a)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닥판재(111), 지붕판재(116) 및 측벽판재(112~115), 그리고 도어(117)의 내측면에는 차음재(118)가 부착된다. 이때, 차음재(118)는 대략 40mm 두께의 계란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스 본체(11) 내부의 소리(연주음)이 벽체에 의해 반사되어 잔향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최적화된 방음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재(111), 지붕판재(116) 및 측벽판재(112~115)는 각각 비교적 두껍고 무거운 나무벽체 대신에 경량이면서 강도가 우수한 허니컴 보드 또는 웨이브 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웨이브 형상이 소리 전달 경로를 길게 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웨이브 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이브 보드는 내부에 형성된 심지가 웨이브 형상을 이루어져 소리 전달 경로를 길게 해 소음을 저감시키고, 이를 통해 방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웨이브 보드는 비교적 경량의 종이 또는 고지(古紙)를 재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면과 내면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처리될 수 있다. 이때,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에폭시수지 11~41중량%, 멜라민수지 10~30중량%, 기화성 방청제 4~7중량%, 방염제 15~25중량%, 방수제 5~10중량%, 메탄올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돌출부(p)와 홈부(g)를 통해 바닥판재(111), 지붕판재(116) 및 측벽판재(112~115)를 암수 결합하여 조립된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몰딩부재(12)가 설치된다. 이때 몰딩부재(12)는 경량의 합성수지재질(플라스틱)로 이루어지며, 실링 테이프를 통해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부착된다.
이러한 몰딩부재(12)는 부스 본체(11)의 외측 모서리뿐만 아니라, 내측 모서리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를 외측 및 내측에서 각각 지지하여 부스 본체(11)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10)는 외부 소리를 흡입하여 외부 소리가 내부로 유입되는 차단하기 위한 코아 패드(13, 도 4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패드가 부스 본체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아 패드(13)는 부스 본체(1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통짜로 제작된 천연 흡음재로서, 패드와, 상기 패드 내부에 충진된 솜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드는 천연소재인 고급 이불소재에 사용되는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솜은 12온스(oz) 이상으로 비교적 두텁게 상기 패드 내부에 충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아 패드(13)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스 본체(11)의 외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부스 본체(11)를 완전히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함에 따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부스 본체(11)를 밀폐하여 부스 본체(11)를 통해 새어나오는 소리를 완전히 흡수하여 흡음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아 패드(13)는 부스 본체(11)에 설치된 도어(117)와 대응되는 부위와, 부스 본체(11)에 설치된 창문(115a)과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13a, 1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의 부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10)는 소음센서(22), 외부 온도센서(23) 또는 연기센서(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소음센서(22), 외부 온도센서(23) 또는 연기센서(24)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경고등(25) 및/또는 경고음(26)을 동작시키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방음부스(10)는 외부 소음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된 밀폐 공간으로서, 화재 발생시 방음부스(10)의 내부에서는 화재 발생을 인지할 수 없다. 실제로 2016년 4월 2일 경기도 안산 소재의 모 음악학원 화재 발생시 방음부스 내부에서 연주를 하고 있는 강사와 학생이 화재 발생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망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10)는 부스 본체(11)의 외측에 소음센서(22), 외부 온도센서(23) 또는 연기센서(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이들 센서(22, 23, 24)를 통해 실시간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제어부(21)를 통해 부스 본체(11) 내부에 설치된 경고등(25) 및/또는 경고음(26)을 동작시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부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부스 본체(11)를 설치할 공간에 바닥판재(111)를 내려놓는다.
이후, 도 7과 같이, 부스 본체(11)의 측벽판재(112~115)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p)와 홈부(g)를 바닥판재(111) 및 지붕판재(116)의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p)와 홈부(g)에 암수 결합하여 도 8과 같이 부스 본체(11)를 조립 완성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몰딩부재(12)를 설치한다. 이때, 몰딩부재(12)는 실링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스 본체(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부착한다.
이후, 도 4와 같이, 코아 패드(13)를 몰딩부재(12)가 각 모서리 부위에 부착된 부스 본체(11)를 상부에서 하부로 덮어씌워 도 10과 같이, 방음부스(1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방음부스는 싱글박스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부스는 구현하고자 하는 방음 성능에 따라 더블박스 구조 또는 트리플박스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더블박스는 도 10에 도시된 싱글박스 구조의 방음부스에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를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상기 트리플박스 구조는 더블박스 구조의 방음부스에 코아 패드와 부스 본체를 순차적으로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방음부스
11 : 부스 본체
12 : 몰딩부재
13 : 코아 패드
111 : 바닥판재
112~115 : 측벽판재
116 : 지붕판재
117 : 도어
118 : 차음재

Claims (5)

  1. 바닥판재, 지붕판재 및 측벽판재가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부스 본체;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및 상기 측벽판재가 서로 암수 결합된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부스 본체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몰딩부재; 및
    상기 부스 본체를 완전히 덮어씌우도록 통짜로 제작되어 상기 부스 본체를 덮는 코아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및 상기 측벽판재는 테두리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된 것끼리 서로 암수 결합되도록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 상기 지붕판재, 상기 측벽판재 및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고, 계란판 형태로 이루어진 차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패드는,
    면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 및
    상기 패드 내부에 충진된 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설치된 측벽판재에는 상기 부스 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도어가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타측부에는 자성체가 매립되어 닫힐 때 상기 문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문틀 사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스.


KR1020160107063A 2016-08-23 2016-08-23 방음부스 KR20180022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63A KR20180022133A (ko) 2016-08-23 2016-08-23 방음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63A KR20180022133A (ko) 2016-08-23 2016-08-23 방음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33A true KR20180022133A (ko) 2018-03-06

Family

ID=6172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063A KR20180022133A (ko) 2016-08-23 2016-08-23 방음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1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629A (zh) * 2020-04-01 2020-08-25 北京沃科系统科技有限公司 隔音装置
US20210038458A1 (en) * 2019-08-08 2021-02-11 Standish Lee Sleep Enclosure Systems
US20210087846A1 (en) * 2019-09-19 2021-03-25 Wasserman Productions, Inc. Portable vocal recording booth
KR20210065507A (ko) * 2019-11-27 2021-06-04 (주)포바이오코리아 냉각기능이 내장된 초음파 파쇄기용 소음방지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8458A1 (en) * 2019-08-08 2021-02-11 Standish Lee Sleep Enclosure Systems
US20210087846A1 (en) * 2019-09-19 2021-03-25 Wasserman Productions, Inc. Portable vocal recording booth
KR20210065507A (ko) * 2019-11-27 2021-06-04 (주)포바이오코리아 냉각기능이 내장된 초음파 파쇄기용 소음방지 상자
CN111576629A (zh) * 2020-04-01 2020-08-25 北京沃科系统科技有限公司 隔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133A (ko) 방음부스
CN109072761B (zh) 增强型可充胀声音衰减系统
US10900222B2 (en) Special lightweight, durable mounting system for sound foam panel and quick installation process
JP5398529B2 (ja) 室内装飾に使用する壁構造
KR20180056036A (ko)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 패널
Ducourneau et al. The average absorption coefficient for enclosed spaces with non uniformly distributed absorption
US20200123766A1 (en) Partition Wall
JP5873252B2 (ja) 入隅部の吸音構造
JP2007107315A (ja) 遮音間仕切壁
KR101371502B1 (ko) 층간소음 방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KR100757687B1 (ko) 건축물의 내장용 마감판
JP5396683B2 (ja) 音響面材配置システム
EP2990557A1 (en) Panel for walls, ceilings, false ceilings, floor surfaces, furnishing elements and the like
CN105221019A (zh) 一种用于音乐厅的吸音防潮门
KR101085325B1 (ko) 흡음형 복층 유리
Cabrera et al. Airborne sound insulation of vacuum insulating glazing: General observations from measurements
CN207063238U (zh) 一种用于课程制作场景的吸音墙
CN211115622U (zh) 隔声门组件
KR102361698B1 (ko) 방음부스
KR102618356B1 (ko) 학습 환경 및 업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건축용 패널
KR101325157B1 (ko) 조립식 방음부스용 블럭
CN203271506U (zh) 一种隔声门门板结构
CN210421478U (zh) 一种防火隔音板
JPS6339325Y2 (ko)
Khan et al. Noise Control in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1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24

Effective date: 2019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