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21A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21A
KR20180022121A KR1020160107026A KR20160107026A KR20180022121A KR 20180022121 A KR20180022121 A KR 20180022121A KR 1020160107026 A KR1020160107026 A KR 1020160107026A KR 20160107026 A KR20160107026 A KR 20160107026A KR 20180022121 A KR20180022121 A KR 2018002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case
le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현
Original Assignee
이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현 filed Critical 이옥현
Priority to KR102016010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121A/ko
Publication of KR2018002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빨래를 널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 구조로 구성되어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빨래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Washing drying hanger}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빨래를 널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첩 구조로 구성되어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조대는 주로 다수개의 횡대를 가지는 양측널판을 삼각 형태의 양측 널판버팀대로 힌지 결합하여 널판이 양측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한 사각 스텐드형 빨래 건조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5376호 "접이식 빨래건조대"가 제시된바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0825376호는 빨래를 널기 위한 널판; "∧"자 형상으로 펼쳐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양측의 중간 지점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재; 널판을 지지하기 위한 널판버팀대로 이루어져, 상기 널판은 받침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펼친 상태에서 이 널판의 횡대에 빨래를 널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각 스텐드형 빨래건조대 외에 많이 사용하는 빨래건조대는 고정대 상단에 고리가 구성되고, 이 하단에는 다수개의 빨래걸이대가 방사형으로 힌지 결합된 걸이형 빨래건조대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걸이형 빨래건조대는 고정대 상단 고리를 기존 실내에 설치된 빨래줄이나 기타 걸이수단에 걸어 고정한 다음 그 하단 빨래건조대를 방사형으로 펼친 상태에서 빨래를 널어 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실내에서 빨래를 건조시 주로 사각 스탠드형 빨래건조대나 걸이형 빨래건조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구성 중 사각 스탠드형 빨래건조대는 부피가 매우 커 많은 양의 빨래를 건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실내공간을 활용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간이 협소한 실내의 특정공간, 즉 베란다 등에서는 사용하는데 많은 제한을 받게 됨은 물론 빨래건조대를 보관하는데 상당히 불편함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탠드형 빨래건조대는 부피문제로 인해 보관이 매우 불편해 통상 실내 구석자리에 세워두어야 하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걸이형 빨래건조대는 사각 스탠드형 빨래건조대에 비해 그 부피가 작아 실내 공간 활용면과 보관 면에서는 이점이 있으나, 많은 양의 빨래건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빨래걸이대가 방사형으로 다수개 펼쳐진 상태로 사용함에 따라 빨래와 빨래 사이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건조효율이 저하되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림과 동시에 심한 경우 악취 등 빨래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이형 빨래건조대는 이를 사용시 실내에 기존 설치된 빨래줄이나 기타 걸이수단 등이 있어야만 걸이형 빨래건조대의 상단 고리를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장소의 구애를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53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6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39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테나 방식과 같이 다단으로 인출부재를 인출시켜 건조대를 설치하여 빨래를 널어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을 작게 차지하며, 많은 양의 빨래를 널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인출 방식으로 다수개의 인출부재를 인출 또는 삽입시켜 건조대를 설치 및 접는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리부 또한 인출 방식으로 케이스에 형성된 다리안치홀로부터 인출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건조대를 접었을 때 건조대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게 되어 용이하게 건조대를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리부재를 케이스의 다리안치홀로부터 인출시켜 펼친 후 다리부재의 결속구가 케이스에 형성된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펼쳐진 다리부재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건조대에 빨래를 널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 및 인출부재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인출부재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고정홀이 가이드역할을 하고, 삽입고정홀의 하부에 고정돌기가 결속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인출부재를 다단으로 인출하고, 빨래걸이부재를 펼쳐 빨래를 널었을 때 빨래의 무게 등에 의해 인출부재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빨래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상단 내측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커버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판의 하단에 위치되게 제1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다리안치홀이 형성되며, 이 다리안치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게 결속홈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이 형성된 방향의 다리안치홀 내주면에는 제1고정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케이스부의 케이스에 형성된 다리안치홈에 인출되게 설치되되, 일측부에 케이스에 형성된 제1고정힌지에 결속 고정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이 장홈이 형성된 방향에 다리안치홀에 형성된 결속홈에 결속 해지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다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홈이 형성된 다리부재의 타측 양측면에는 돌출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케이스부의 케이스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부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제1인출부재와, 상기 제1인출부재의 상부로 인출되게 내측에 설치되는 제2인출부재와, 상기 제2인출부재의 상부로 인출되게 내측에 설치되는 제3인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인출부재는 내측에 제1인출공간이 형성되고, 제1인출공간 상단에는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출부재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제1삽입고정홀이 형성되며, 제1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1지지공이 형성되고, 제1지지공이 형성된 정면에는 제2고정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부재의 외측 상단부에는 제1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인출부재에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의 상단에 위치되게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형성하여 케이스의 제1고정돌기가 슬라이드되게 결속되며, 상기 제1삽입고정홀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부 하단은 측부로 절곡된 제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인출부재는 내측에 제2인출공간이 형성되고, 제2인출공간 상단에는 중앙에 제3관통공이 형성된 제3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인출부재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제2삽입고정홀이 형성되며, 제2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2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지지공이 형성된 방향의 제2삽입고정홀의 내주면에 제3고정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인출부재의 외측 상단부에는 제2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인출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삽입고정홀 상단에 위치되게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 형성하여 제1인출부재의 제2고정돌기가 결속되며, 연장 형성된 제2삽입고정홀의 하단부는 측부로 절곡된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인출부재는 외측부에 다수개의 제3삽입고정홀이 형성되고, 제3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3지지공이 형성되며, 제3지지공이 형성된 방향의 제3삽입고정홀 내주면에는 제4고정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인출부재에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 형성하여 제2인출부재의 제3고정돌기가 결속되고, 연장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측부로 절곡된 제3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3인출부재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3인출부재의 상단부에는 걸이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빨래걸이부는 일측부에 인출부의 제1,2,3인출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1,2,3삽입고정홀에 안착되되, 제1,2,3삽입고정홀에 각각 구비된 제1,2,3고정힌지에 회동되게 결속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이 형성된 방향에는 제1,2,3지지공에 지지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빨래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테나 방식과 같이 다단으로 인출부재를 인출시켜 건조대를 설치하여 빨래를 널어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공간을 작게 차지하며, 많은 양의 빨래를 널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출 방식으로 다수개의 인출부재를 인출 또는 삽입시켜 건조대를 설치 및 접는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리부 또한 인출 방식으로 케이스에 형성된 다리안치홀로부터 인출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건조대를 접었을 때 건조대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게 되어 용이하게 건조대를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리부재를 케이스의 다리안치홀로부터 인출시켜 펼친 후 다리부재의 결속구가 케이스에 형성된 결속홈에 결속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펼쳐진 다리부재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건조대에 빨래를 널어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스 및 인출부재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인출부재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고정홀이 가이드역할을 하고, 삽입고정홀의 하부에 고정돌기가 결속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인출부재를 다단으로 인출하고, 빨래걸이부재를 펼쳐 빨래를 널었을 때 빨래의 무게 등에 의해 인출부재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케이스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리부를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인출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빨래걸이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보인 평면도이고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케이스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인출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빨래걸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케이스부(110)와, 상기 케이스부(110)에 설치되는 다리부(210)와, 상기 케이스부(110)에 설치되어 케이스부(110)로부터 인출 및 삽입동작을 수행하는 인출부(310)와, 상기 인출부(310)에 절첩되게 설치되어 빨래를 널 수 있도록 하는 빨래걸이부(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설치공간(114)이 형성된 케이스(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반원 형상으로 분할되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되어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112)의 설치공간(114) 상단부에는 중앙에 제1관통공(116a)이 형성된 제1커버판(116)이 구비되고, 제1커버판(116)이 형성된 하단에 위치되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돌기(1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돌기(118)는 서로 대응면에 대응되게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1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다수개의 다리안치홀(120)이 형성되고, 이 다리안치홀(12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1고정힌지(122)가 형성되며, 제1고정힌지(122)가 형성된 다리안치홀(120)의 방향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게 결속홈(1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2)의 설치공간(114)에는 케이스(11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210)는 케이스부(110)의 케이스(112)에 형성된 다리안치홀(120)에 일측부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다리안치홀(120)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펼쳐지도록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에 다리안치홀(120)에 구비된 제1고정힌지(122)에 결속되는 장홈(214)이 형성되고, 이 장홈(214)이 형성된 방향에는 케이스(112)의 결속홈(124)에 결속/해지되는 결속돌기(216)가 돌출 형성된 다리부재(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212)에 형성된 장홈(214)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홈(214)의 내측 공간 범위 내에서 제1고정힌지(122)를 따라 다리부재(212)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재(212)는 제1고정힌지(122)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어 다리안치홀(120)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펼쳐지게 되고, 다리부재(212)가 펼쳐진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다리부재(212)는 제1고정힌지(122)의 안내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속돌기(216)가 결속홈(124)에 결속되어 안전하게 다리부재(212)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재(212)의 타측부, 즉 장홈(214)이 형성된 반대 방향의 양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돌기(2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재(212)를 다리안치홀(120)에 삽입시킬 때 돌출돌기(218)가 다리안치홀(120)의 내측 측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게 되어 다리안치홀(120)에 삽입된 다리부재(212)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다리안치홀(120)에 삽입된 다리부재(212)가 펼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310)는 케이스부(110)의 케이스(112)에 형성된 설치공간(114)에 설치되되,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인출부재(312)가 구비되고, 제1인출부재(312)에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인출부재(330)가 구비되며, 제2인출부재(330)에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인출부재(3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출부(310)는 제1,2,3인출부재가 안테나 방식으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출부재를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인출부재(312)는 케이스(112)와 동일하게 반원 형상의 한 쌍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인출부재(312)의 지름은 케이스(112)의 제1커버판(116)에 형성된 제1관통공(116a)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인출부재(312)는 케이스(112)의 설치공간(114)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제1인출공간(314)이 형성되며, 제1인출공간(314)의 상단부에는 중앙에 제2관통공(316a)이 형성된 제2커버판(316)이 구비되고, 제2커버판(316)이 형성된 제1인출부재(312)의 외주면에는 케이스(112)의 제1커버판(116) 상부에 위치되게 제1걸림턱(3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2)의 내측에 제1인출부재(312)가 수납될 때에는 제1걸림턱(318)이 케이스(112)의 제1커버판(116)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인출부재(31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다수개의 제1삽입고정홀(320)이 형성되고, 제1삽입고정홀(320)의 하단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2고정힌지(322)가 구비되며, 제2고정힌지(322)가 구비된 방향의 제1삽입고정홀(320) 내측에는 제1지지공(3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인출부재(312)에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320)의 상단에 위치되되,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2고정돌기(326)가 구비되고, 제2고정돌기(326)가 형성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320)의 하단을 하부로 연장 형성하며, 연장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320)의 하단은 측부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제1고정돌기(118)가 결속 고정되는 제1고정홈(32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제1삽입고정홀(320) 중 하부가 연장형성되어 제1고정홈(328)이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320)은 케이스(112)의 제1고정돌기(118)가 결속되어 제1고정돌기(118)의 안내에 따라 제1인출부재(312)가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출부재(312)는 케이스(112)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이때 제1인출부재(312)를 케이스(112)의 상부로 인출시킬 때 케이스(112)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118)가 제1삽입고정홀(320)에 결속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로 진입한 다음 제1인출부재(3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고정돌기(118)가 제1고정홈(328)으로 결속되면서 고정되어 제1인출부재(312) 케이스(112)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인출부재(330)는 제1인출부재(312)와 동일하게 반원 형상으로 제작된 한 쌍을 서로 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키게 되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인출부재(330)의 지름은 제1인출부재(312)의 제2커버판(316)에 형성된 제2관통공(316a)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인출부재(330)는 제1인출부재(312)의 제1인출공간(314)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인출부재(330)의 내측에는 제2인출공간(332)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인출부재(330)의 제2인출공간(332) 상단부에는 중앙에 제3관통공(334a)이 형성된 제3커버판(334)이 구비되고, 제2인출부재(33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인출부재(312)의 제2커버판(316) 상부에 위치되는 제2걸림턱(3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인출부재(330)가 제1인출부재(312)의 내측에 삽입될 때에는 제2걸림턱(336)이 제1인출부재(312)의 제2커버판(316)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인출부재(33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다수개의 제2삽입고정홀(340)이 형성되고, 제2삽입고정홀(34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3고정힌지(342)가 구비되며, 제3고정힌지(342)가 구비된 방향의 제2삽입고정홀(340) 내측부에 제2지지공(34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삽입고정홀(340)이 형성된 상단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제3고정돌기(346)가 형성되고, 제3고정돌기(346)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삽입고정홀(340)은 하부로 연장형성하고, 이 연장 형성된 제2삽입고정홀(340)의 하단부에는 측부로 절곡된 제2고정홈(34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홈(348)이 형성된 제2삽입고정홀(340)은 제1인출부재(312)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326)가 결속되고, 제2고정돌기(326)가 결속된 제2삽입고정홀(340)은 제2인출부재(330)의 인출 및 삽입시 슬라이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인출부재(330)는 제1인출부재(312)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로 인출시켜 고정시키게 되고, 제2인출부재(330)가 제1인출부재(312)의 상부로 인출될 때 제1인출부재(312)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326)가 제2삽입고정홀(340)을 안내하게 되며, 제2고정돌기(326)가 제2삽입고정홀(340)의 연장 형성된 하단부에 위치한 후에 제2인출부재(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고정돌기(326)는 제2고정홈(348)으로 체결 고정되어 제2인출부재(330)가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인출부재(350)는 제1,2인출부재(312)(330)와 동일하게 반원 형상으로 한 쌍을 제작한 후 이를 서로 볼트 등 고정수단으로 결합 고정시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3인출부재(350)의 지름은 제2인출부재(330)의 제3커버판(334)에 형성된 제3관통공(334a)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3인출부재(350)는 제2인출부재(330)의 제2인출공간(332)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3삽입고정홀(360)이 형성되고, 제3삽입고정홀(360)의 하단부에는 제3지지공(362)이 형성되며, 제3지지공(362)이 형성된 위치의 제3삽입고정홀(360) 내주면에는 한 쌍의 제4고정힌지(364)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제3인출부재(350)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인출부재(330)의 제3커버판(334) 상부에 위치되는 제3걸림턱(354)이 형성되고, 제3걸림턱(354)의 상부에는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5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가 제2인출부재(330)에 삽입시 제3걸림턱(354)이 제2인출부재(330)의 제3커버판(334)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인출부재(330)의 제3고정돌기(346)에 대응되는 제3삽입고정홀(360)의 하단은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360)의 하단은 측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3고정홈(36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고정홈(366)이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360)은 제2인출부재(330)의 제3고정돌기(346)가 결속되어 제3인출부재(350)가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때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를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인출시킬 때 제3삽입고정홀(360)에 결속된 제3고정돌기(346)의 안내에 따라 상부로 인출되고, 인출 완료 후에 제3인출부재(3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3고정돌기(346)가 제3고정홈(366)에 체결 고정되어 제3인출부재(350)는 제2인출부재로(330)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3인출부재(312)(330)(350)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측에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빨래걸이부(410)는 제1,2,3인출부재(312)(330)(350)에 각각 형성된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구비된 제2,3,4고정힌지(322)(342)(364)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는 고정공(414)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414)이 형성된 방향에는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형성된 제1,2,3지지공(324)(344)(362)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돌기(416)가 형성된 빨래걸이부재(4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빨래걸이부재(412)는 제2,3,4고정힌지(322)(342)(364)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삽입 고정되거나,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져 빨래를 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빨래걸이부재(412)는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50)에 삽입 고정되는 제1,2,3고정돌기(118)(326)(346)에 접촉되지 않게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번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먼저, 빨래걸이부재(412)가 제1,2,3인출부재(312)(330)(350)의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112)의 설치공간(114)으로 제1,2,3인출부재(312)(330)(350)가 삽입되고, 다리부재(212)는 다리안치홀(120)에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빨래 건조대(100)를 보관 상태에서 빨래를 널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12)의 다리안치홀(120)에 삽입된 다리부재(212)를 회동시키게 되면 이 다리부재(212)는 제1고정힌지(1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고, 다리부재(212)를 펼친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제1고정힌지(122)의 안내에 따라 다리부재(212)가 이동하여 다리안치홀(120)에 형성된 결속홈(124)에 다리부재(212)의 결속돌기(216)가 결속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다리부재(212)를 외측부로 당겨주게 되면 결속홈(124)으로부터 결속돌기(216)가 이탈되면서 다리부재(212)는 자유롭게 제1고정힌지(12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다리안치홀(120)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재(212)가 펼쳐진 상태에서 결속돌기(216)가 결속홈(214)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빨래 건조대(100)를 안전하게 세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재(212)를 펼친 상태에서 제3인출부재(350)를 상부로 당겨 올리게 되면 제3인출부재(350)는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상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인출부재(350)가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인출될 때 제3삽입고정홀(360)에 제2인출부재(330)의 제3고정돌기(346)가 결속되어 제3인출부재(350)가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인출될 때 제3삽입고정홀(360)은 제3고정돌기(346)의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3고정돌기(346)는 제3삽입고정홀(360)의 하단 연장부로 진입하게 되고, 제3고정돌기(346)가 제3삽입고정홀(360)의 연장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3인출부재(3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3고정돌기(346)가 제3고정홈(366)에 체결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가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제2인출부재(330)의 제3고정돌기(346)의 안내에 따라 제3삽입고정홀(360)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3고정돌기(346)가 제3고정홈(366)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3인출부재(350)는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3인출부재(350)를 제2인출부재(33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인출부재(35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3고정홈(366)으로부터 제3고정돌기(346)를 이탈시켜 제3삽입고정홀(360)의 연장부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제3인출부재(350)를 삽입시키게 되면 제3고정돌기(346)의 안내에 따라 삽입되어 제3인출부재(350)의 제3걸림턱(354)이 제2인출부재(330)의 제3커버판(334) 상부에 안착되면서 제3인출부재(350)의 삽입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인출부재(350)를 인출 완료 후 계속하여 제3인출부재(350)를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제2인출부재(330)는 제1인출부재(312)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인출부재(330)가 제1인출부재(312)로부터 인출되는 방식은 제2인출부재(330)로부터 제3인출부재(350)가 인출되는 동일한 방식, 즉 제2인출부재(330)의 제2삽입고정홀(340)에 결속된 제1인출부재(312)의 제2고정돌기(326)의 안내에 따라 상부로 인출되고, 제2고정돌기(326)가 제2삽입고정홀(340)의 연장부에 위치한 후 제2인출부재(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고정돌기(326)가 제2고정홈(348)에 결속되면서 제2인출부재(330)가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인출부재(330)를 제1인출부재(312)로부터 인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계속하여 제2인출부재(330)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인출부재(312)는 케이스(112)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인출부재(312)를 케이스(112)로부터 인출시키는 방법은 제2,3인출부재(330)(350)를 인출 고정시키는 동일한 방식, 즉 제1인출부재(312)의 제1삽입고정홀(320)에 결속된 케이스(112)의 제1고정돌기(118)의 안내에 따라 제1인출부재(312)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고정돌기(118)가 제1삽입고정홀(320)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에 위치한 후 제1인출부재(3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고정돌기(118)는 제1인출부재(312)의 제1고정홈(328)에 결속되어 제1인출부재(312)가 케이스(11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의 케이스(112)로부터 제1,2,3인출부재(312)(330)(350)는 안테나가 순차적으로 인출되는 방식으로 펼쳐지고, 반대로 케이스(112)의 내측으로 제1,2,3인출부재(312)(330)(350)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3인출부재(312)(330)(350)를 인출시켜 펼친 상태에서 제1,2,3인출부재(312)(330)(350)의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삽입고정된 빨래걸이부재(412)를 인출시키게 되면 제2,3,4고정힌지(322)(342)(36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펼쳐지게 되어 빨래를 걸어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빨래걸이부재(412)가 제2,3,4고정힌지(322)(342)(36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질 때 빨래걸이부재(412)에 형성된 지지돌기(416)가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에 형성된 제1,2,3지지공(324)(344)(362)에 삽입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빨래걸이부재(412)를 펼칠 때 제1,2,3인출부재(312)(330)(350)에 각각 구비된 빨래걸이부재(412)는 상부에서 볼 때 서로 엇갈린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제1,2,3인출부재(312)(330)(350)에 각각 구비된 빨래걸이부재(412)에 빨래를 걸 때 서로 겹치지 않게 되어 빨래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빨래 건조대(100)를 펼쳐 빨래를 널어 건조가 이루어진 후 빨래 건조대(100)를 접어 보관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빨래 건조대(100)를 펼칠 때의 반대로 제1,2,3인출부재(312)(330)(350)의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로 빨래걸이부재(412)를 삽입 고정시킨 후 제1,2,3인출부재(312)(330)(350)를 순차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2,3고정홈(328)(348)(366)에 결속된 제1,2,3고정돌기(118)(326)(346)가 각각 이탈되어 제1,2,3삽입고정홀(320)(340)(360)의 연장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2,3인출부재(312)(330)(350)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제1,2,3인출부재(312)(330)(350)는 제1,2,3고정돌기(118)(326)(346)의 안내에 따라 순차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케이스(112)의 내측으로 제1,2,3인출부재(312)(330)(350)가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케이스(112) 내측으로 제1,2,3인출부재(312)(330)(35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리부재(212)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결속홈(124)으로부터 결속돌기(216)가 이탈되도록 한 후 회전시켜 다리안치홀(120)로 삽입시키게 되면 빨래 건조대(100)의 접는 작업이 모두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빨래 건조대(100)를 접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부피가 작아 보관 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어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동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인출부재(350)의 상부의 상부에는 걸이구(35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출부재(350)의 상부에 형성된 걸이구(358)는 빨래 건조대(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2,3인출부재(312)(330)(350)를 인출시킬 때 이 걸이구(358)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용도로 사용함과 동시에 이 걸이구(358)를 이용하여 천장 등에 설치된 걸이수단에 걸어 설치하는 방식으로 빨래 건조대(100)를 걸어 설치한 후 빨래를 널어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 건조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빨래 건조대 110 : 케이스부
112 : 케이스 114 : 설치공간
116, 316, 334 : 제1,2,3커버판
116a, 316a, 334a : 제1,2,3관통공
118, 326, 346 : 제1,2,3고장돌기
120 : 다리안치홀
122, 322, 342, 364 : 제1,2,3,4고정힌지
124 : 결속홈 210 : 다리부
212 : 다리부재 214 : 장홈
216 : 결속돌기 218 : 돌출돌기
310 : 인출부 312, 330, 350 : 제1,2,3인출부재
314, 332 : 제1,2인출공간 318, 336, 354 : 제1,2,3걸림턱
320, 340, 360 : 제1,2,3삽입공정홀
324, 344, 362 : 제1,2,3지지공
328, 348, 366 : 제1,2,3고정홈
356 : 손잡이 358 : 걸이구

Claims (14)

  1.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다리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로 인출 및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빨래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상단 내측에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커버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판의 하단에 위치되게 제1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다리안치홀이 형성되며, 이 다리안치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게 결속홈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이 형성된 방향의 다리안치홀 내주면에는 제1고정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케이스부의 케이스에 형성된 다리안치홈에 인출되게 설치되되, 일측부에 케이스에 형성된 제1고정힌지에 결속 고정되는 장홈이 형성되고, 이 장홈이 형성된 방향에 다리안치홀에 형성된 결속홈에 결속 해지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된 다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홈이 형성된 다리부재의 타측 양측면에는 돌출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케이스부의 케이스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부로 인출되게 설치되는 제1인출부재와,
    상기 제1인출부재의 상부로 인출되게 내측에 설치되는 제2인출부재와,
    상기 제2인출부재의 상부로 인출되게 내측에 설치되는 제3인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부재는 내측에 제1인출공간이 형성되고, 제1인출공간 상단에는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출부재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제1삽입고정홀이 형성되며, 제1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1지지공이 형성되고, 제1지지공이 형성된 정면에는 제2고정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인출부재의 외측 상단부에는 제1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부재에 형성된 제1삽입고정홀의 상단에 위치되게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형성하여 케이스의 제1고정돌기가 슬라이드되게 결속되며,
    상기 제1삽입고정홀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부 하단은 측부로 절곡된 제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재는 내측에 제2인출공간이 형성되고, 제2인출공간 상단에는 중앙에 제3관통공이 형성된 제3커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인출부재의 외측부에는 다수개의 제2삽입고정홀이 형성되며, 제2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2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지지공이 형성된 방향의 제2삽입고정홀의 내주면에 제3고정힌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인출부재의 외측 상단부에는 제2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삽입고정홀 상단에 위치되게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 형성하여 제1인출부재의 제2고정돌기가 결속되며, 연장 형성된 제2삽입고정홀의 하단부는 측부로 절곡된 제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출부재는 외측부에 다수개의 제3삽입고정홀이 형성되고, 제3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제3지지공이 형성되며, 제3지지공이 형성된 방향의 제3삽입고정홀 내주면에는 제4고정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출부재에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의 하부를 연장 형성하여 제2인출부재의 제3고정돌기가 결속되고, 연장 형성된 제3삽입고정홀의 하단에는 측부로 절곡된 제3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출부재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출부재의 상단부에는 걸이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래걸이부는 일측부에 인출부의 제1,2,3인출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1,2,3삽입고정홀에 안착되되, 제1,2,3삽입고정홀에 각각 구비된 제1,2,3고정힌지에 회동되게 결속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이 형성된 방향에는 제1,2,3지지공에 지지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빨래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160107026A 2016-08-23 2016-08-23 빨래 건조대 KR20180022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26A KR20180022121A (ko) 2016-08-23 2016-08-23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26A KR20180022121A (ko) 2016-08-23 2016-08-23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21A true KR20180022121A (ko) 2018-03-06

Family

ID=6172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026A KR20180022121A (ko) 2016-08-23 2016-08-23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6975A (zh) * 2018-07-12 2018-11-23 贵州理工学院 一种旋转式晾衣装置及晾衣系统
CN110629473A (zh) * 2019-11-13 2019-12-31 陈晓芳 可折叠晾衣架
KR102105490B1 (ko) * 2018-12-06 2020-04-28 권민준 다용도 스탠드 옷걸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6975A (zh) * 2018-07-12 2018-11-23 贵州理工学院 一种旋转式晾衣装置及晾衣系统
KR102105490B1 (ko) * 2018-12-06 2020-04-28 권민준 다용도 스탠드 옷걸이
CN110629473A (zh) * 2019-11-13 2019-12-31 陈晓芳 可折叠晾衣架
CN110629473B (zh) * 2019-11-13 2021-04-16 浙江贝莱氏婴童用品股份有限公司 可折叠晾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20180022121A (ko) 빨래 건조대
US20120293052A1 (en) Work top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laundry hanging device
KR100834064B1 (ko)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920054B1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KR200469090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200463856Y1 (ko) 벽면 부착형 상/하 슬라이드 행거
KR101794481B1 (ko)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선반이 구비된 건조대
KR100988711B1 (ko) 빨래 건조대
KR101183349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200458584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KR200464898Y1 (ko) 걸이기능을 구비한 다림질판
KR101032689B1 (ko) 빨래건조대
KR20150004071U (ko)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KR200449636Y1 (ko) 빨래 건조대
KR200461957Y1 (ko) 빨래 건조대
KR20100003453U (ko) 접이식 건조대
KR200470722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