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089A -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 Google Patents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089A
KR20180022089A KR1020160106959A KR20160106959A KR20180022089A KR 20180022089 A KR20180022089 A KR 20180022089A KR 1020160106959 A KR1020160106959 A KR 1020160106959A KR 20160106959 A KR20160106959 A KR 20160106959A KR 20180022089 A KR20180022089 A KR 20180022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output
hous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0210B1 (en
Inventor
양승학
서성일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성일
양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성일, 양승학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21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sh receptacle device for providing a DC output and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 receptacle device comprises: a housing configured to form an external shape of the flush receptacle device; an input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receive direct current power; a first output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output first direct current power based on the direct current power; a first convers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convert the direct current power into alternating current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Therefore, the flush receptacle device can minimize power loss due to power conversion so as to increase efficiency of using power.

Description

DC 출력을 제공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receptacle device for providing a DC output, and a DC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flush receptacle device.

본 발명은 DC 출력을 제공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및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포함하는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for providing a DC output and a DC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경제/산업발전에 의해 전력수요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전력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new and renewable energy)를 이용한 전력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력은 직류(DC: Direct Current) 전력이지만, 현재의 전원설비는 220V의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압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DC 전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As the demand for electric power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economic / industrial development, researches on electric power production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power use efficiency. However, since the power generated using renewable energy is direct current (DC), the present power supply facility is constructed based on an alternating current (AC) voltage of 220 V, .

DC 전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중 하나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7384호 (공개일: 2016년 06월 14일) "가정용 매립형 콘센트에 내장되며 교환될 수 있는 직류변환 장치"에는 220V 입력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 5V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복수의 USB 포트와 2.5파이 포트를 통해 이를 출력하는 구조를 갖춘 직류 변환장치 모듈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 가정용 매립형 콘센트에 220VAC의 입력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생산된 DC 전력을 220VAC 전력으로 변환해야 하며 이를 다시 부하에 제공하기 위하여 220VAC의 전력을 5VDC 전력으로 변환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전력 변환 과정에서 많은 전력이 손실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DC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DC converter, which is built in a household flush-type socket-outlet and can be exchanged, is provided with 220V A DC converter module having a structure for converting AC power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to DC 5 V and outputting the AC voltage through a plurality of USB ports and a 2.5-port port. However, in case of using renewable energy, in order to provide an input voltage of 220 VAC to a household flush-type outlet, DC power produced based on renewable energy needs to be converted to 220 VAC power, and 220 VAC power is supplied to 5 VDC power So that a lot of power is lost in such a power conversion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use DC power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력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power use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력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C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power usage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 input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DC power,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into an AC power, the first converter being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outpu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AC power.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3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second conver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verting the direct current power into second direct current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first direct current power, And a third output unit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rsion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second DC power.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trols the voltage of the second direct-current pow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and output through the third output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접속된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request voltage informatio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request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상기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기준 전압으로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변환부의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현재 출력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DC power to be output as a reference voltage when the power recep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and when the request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ption unit, The target voltag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voltag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output voltage may be stepped up or down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reaches the target voltag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whether or not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portion, the second output portion and the third output portion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sensing sig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current sensor or a voltage senso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a switch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hrough the switch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각각에서 전력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portion to determine whether power is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output portion, the second output portion and the third output por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ED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은 태양 에너지, 바람 에너지 및 열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생성 장치, 상기 전력 생성 장치 및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 및 상기 전력 저장 장치와 전력 공급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includes a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generates power by converting at least one of solar energy, wind energy, and therm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 power generation device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and outputs the AC power. The first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AC power into AC power, and the second output unit outputs the AC p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 input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DC power,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irst direct current power to the housing or a first output unit for converting a direct current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to an inside of the housing or one side of the housing to a second direct current power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first direct current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and outputs the second DC power.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변환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사용 효율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loss due to the power conversion can be minimized, the power use efficiency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C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to"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C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100)은 전력 생성 장치(110), 전력 저장 장치(150) 및 콘센트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100)이 옥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시스템(100)은 옥내뿐만 아니라 옥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 DC power suppl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generation device 110, a power storage device 150, and an outlet device 200. In FIG. 1,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doors, but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doors as well as indoors.

도 1에서 전력 생성 장치(110)와 전력 저장 장치(150) 및 전력 저장 장치(150)와 콘센트 장치(200)는 각각 직류 배선(DC gri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류 배선은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일 수 있다. 직류 배선은 전력변환으로 인한 전력손실이 낮아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고품질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다.In FIG. 1,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110, the power storage apparatus 150, the power storage apparatus 150, and the receptacle apparatus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C grid. Wherein the direct current wiring may be a smart grid including a communication network. DC wiring is low in power loss due to power conversion, resulting in high energy efficiency and high-quality power supply.

전력 생성 장치(110)는 태양 에너지, 바람 에너지 및 열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직류(DC: Direct Current) 전력을 생성한다. 일 예로 전력 생성 장치(100)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solar cell), 바람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 발전기(wind power generator), 지하수나 지하의 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지열 발전기(geothermal power genera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device 110 generates direct current (DC) power by converting at least one of solar energy, wind energy, and therm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olar cell that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wind power generator that converts wind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geothermal power generator.

전력 저장 장치(150)는 전력 생성 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전력 및/또는 전력 공급원(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한다.The power storage device 150 stores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device 110 and / o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20.

콘센트 장치(200)는 전력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전력 및/또는 전력 공급원(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전 장치(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력 저장 장치(150) 및 전력 공급원(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직류 전력을 입력 전력으로서 요구하는 전자 기기를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출력부는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력을 입력 전력으로서 요구하는 전자 기기와의 호환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콘센트 장치(200)는 저전압의 직류 전력을 요구하는 전자 기기를 위하여 전력 저장 장치(150) 및/또는 전력 공급원(120)으로부터의 DC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3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apparatus 200 is for providing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torage device 150 and / o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120 to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load), and the power storage apparatus 150 And a power supply source 120,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a DC power supply unit for convert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into AC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and outputs the AC power. Wherein the first output is for an electronic device requiring direct current power as input power and the second output may be for compatibility with an electronic device requiring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as input power. Also, the receptacle device 200 may supply the DC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device 150 and / or the power source 120 to the power source 120 for the electronic device requiring low-voltage DC power, 2 DC power, and a third outpu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and outputting the second DC power.

한편, 콘센트 장치(200)는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장치(200)는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콘센트 장치(200)는 출력부에 수전 장치의 플러그(plug)가 삽입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해 해당 출력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해당 출력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기전력(standby power) 즉, 수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의 준비상태를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ptac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Also, the receptacle devic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power is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a switch unit for allowing the switch to be turned on. In this case, the receptacle apparatus 200 can prevent the risk of electric shock by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unit only when insertion of a plug of the receptacle into the output unit is detected. In add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output unit only when power supply is required, so that standby power, that is, power consumed in maintaining the ready state before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s normally operated can be cut off.

한편 도 1에서는 일 예로서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하나의 콘센트 장치(200)만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100)에는 상기 콘센트 장치(200)와 동일한 콘센트 장치가 복수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필요에 따라 콘센트 장치(200) 내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장치는 콘센트 장치(200)의 제3 출력부에 접속된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콘센트 장치(200)의 제2 변환부에서의 출력 전압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 장치는 콘센트 장치(200)의 제3 출력부에 수전 장치가 최초 접속되는 경우 기준 전압(예를 들어, 5V)으로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해당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 장치(200)의 제2 변환부에서 현재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현재 출력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PLC를 통해 홈네트워크(home network)와 연동하거나 또는 전력선을 기반으로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홈네트워크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1,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includes only one receptacle device 200. However, in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a plurality of receptacle devices similar to the receptacle device 200 are provided, .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second direct current powe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 ≪ / RTI > Here, the control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receptacle device 200 as required. For example, when the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section of the receptacle apparatus 200, the control apparatus controls the second converting section So that the output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can be adjusted adaptively. To this e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second DC power to be output at a reference voltage (for example, 5 V) when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s initially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section of the receptacle apparatus 200, When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target voltag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And the present output voltage can be stepped up or down until the voltage currently output by the second converter of the receptacle apparatus 200 reaches the target voltage. Here, the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from the power receiving devic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n this case, the DC power suppl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rwork with a home network through a PLC or configure a home network based on a power line.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이하, 콘센트 장치(200)가 매립형 콘센트 장치로 구성되고, 콘센트 장치(200) 내에 상기 제어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receptacle device 200 is constituted by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device is provided in the receptacl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200)는 하우징(210; housing), 입력부(도시되지 않음), 제1 출력부(220) 및 제2 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10, an input unit (not shown), a first output unit 220, and a second output unit 230 ).

하우징(210)은 매립형 콘센트 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한다.The housing 2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200.

상기 입력부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직류 배선을 통해 직류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부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2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직류 전원의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10. DC power may be input to the input unit through the DC wiring. For example, the input unit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2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DC power source.

제1 출력부(220)는 하우징(210)의 타측(예를 들어, 정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력과 동일한 레벨(level)의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은 고전압일 수 있으며, 일 예로 350VDC, 380VDC 등일 수 있다.The first output unit 2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210 and may output the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Here, the voltage of the first DC power may be the same level as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voltage of the first DC power may be a high voltage, for example, 350 VDC, 380 VDC, or the like.

제2 출력부(230)는 제1 출력부(22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10)의 타측에 형성되거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출력부(23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교류 전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210)의 내측 또는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변환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부 및 제2 출력부(2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2 출력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일 예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 변환기(converter)일 수 있다.The second output unit 2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10 or on one side thereof, like the first output unit 220. The second output unit 230 outputs A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is end, a convers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210. The conversion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230 to convert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to AC power and provide the DC power to the second output unit 230. The converting unit may be, for example, a DC-AC converter that converts DC power into AC power.

한편 도 2에는 일 예로, 제1 출력부(220) 및 제2 출력부(230)가 각각 1개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출력부(220) 및 제2 출력부(2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매립형 콘센트 장치(200)에는 과전류, 과전압, 과부하 등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보호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output unit 220 and the second output unit 230 are shown as one output terminal in FIG. 2, the first output unit 220 and the second output unit 230 May each be constituted by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circuit for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overvoltage, overload, and the like.

도 3은 도 2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Fig.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입력부(310), 스위치부(320), 제1 출력부(330), 변환부(340), 제2 출력부(350), 감지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310, a switch unit 320, a first output unit 330, a conversion unit 340, a second output unit 350 ), A sensing unit 360, and a control unit 370.

입력부(310)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 저장 장치, 전력 공급원 등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3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d can receive DC power from a power storage device, a power supply source, or the like.

스위치부(32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고 전력선을 통해 입력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320 is provided inside or on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10 through a power line so as to switch or cut off the supply of the DC power. For this purpose, the switch unit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제1 출력부(330)는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입력부(310)와 스위치부(32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고전압의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고전압이란 100V 이상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예로 300VDC, 350VDC, 380VDC 등일 수 있다.The first output unit 3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outputs the first DC power of high voltage based on the D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310 and the switch unit 320. Here, the high voltage may mean a voltage of 100V or more, for example, 300VDC, 350VDC, 380VDC, and the like.

변환부(34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부(310)와 스위치부(32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교류 전력의 전압 레벨은 상기 직류 전원과 동일한 레벨일 수 있다.The converting unit 340 may convert DC power supplied to the inside or one 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input unit 310 and the switch unit 320 to AC power. The voltage level of the AC power may be the same level as the DC power.

제2 출력부(350)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변환부(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변환부(34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력을 출력한다.The second output unit 3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rting unit 340 to output AC power supplied from the converting unit 340.

감지부(360)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하우징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출력부(330) 및 제2 출력부(350)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센서 및/또는 전압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출력부(330) 및/또는 제2 출력부(350)와 전력선 및/또는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60 may be provided inside or on a side of the housing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to sense whether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330 and the second output unit 350.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360 may comprise at least one current sensor and / or a voltage senso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unit 330 and / or the second output unit 350 via a power line and / have.

제어부(37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고 감지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360)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치부(3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may be provided inside or on the housing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360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320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36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400)는 하우징(410), 입력부(도시되지 않음), 제1 출력부(420), 제2 출력부(430), 제3 출력부(440, 440') 및 표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410, an input unit (not shown), a first output unit 420, a second output unit 430, A third output unit 440, 440 ', and a display unit 450. [

제2 실시예에서 하우징(410), 입력부, 제1 출력부(420) 및 제2 출력부(43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410, the input unit, the first output unit 420, and the second output unit 43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 출력부(440, 440')는 입력 전력으로서 저전압의 직류 전력을 요구하는 전자 기기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것으로, 제1 출력부(420) 및 제2 출력부(430)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저전압의 직류 전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제3 출력부(440, 440')의 출력 단자는 일 예로, 20V 및 5A의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USB 타입-C(Universal Serial Bus Type C)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410)의 내측 또는 일측에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이외에 상기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저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환부는 일 예로 DC-DC 변환기일 수 있다.The third output units 440 and 440 'ar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requiring low voltage DC power as input power and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output unit 420 and the second output unit 430 Thereby outputting DC power of low voltage. To this end, the output terminals of the third output units 440 and 440 'may be implemented as a USB type-C (Universal Serial Bus Type C) supporting power transmission of 20V and 5A,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in addition to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a high-voltage direct-current pow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to alternating-current power, the high-voltage direct-current power is converted into a low- And a secon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the first conversion unit. The second conversion unit may be a DC-DC converter, for example.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400)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 스위치부 및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 control unit, a switch unit, and a sensing unit as in the first embodiment.

표시부(450)는 하우징(410)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출력부(420), 제2 출력부(430) 및 제3 출력부(440, 440') 각각에서 전력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450)에는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직류 전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느 출력부에서 전력이 출력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4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so that the first output unit 420, the second output unit 430, and the third output units 440 and 440 '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power is output in the display unit 100 may be displayed. For this, the display unit 450 may include at least one LED (Light Emitting Diode). DC power may be supplied to or cut off from the display unit 450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unit, thereby indicating to which output unit the power is output.

한편 도 4에는 일 예로, 제1 출력부(420) 및 제2 출력부(430)가 1개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고 제3 출력부(440, 440')가 2개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출력부(420) 내지 제3 출력부(440, 440')는 모두 하나 이상의 출력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400)에도 과전류, 과전압, 과부하 등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보호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4, the first output unit 420 and the second output unit 430 are constituted by one output terminal and the third output units 440 and 440 'are constituted by two output terminals. The first to fourth output units 420 to 440 'may be configured as one or more output terminals. Also,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circuit for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overvoltage, overload and the like.

도 5는 도 4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Fig.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입력부(510), 스위치부(520), 제1 출력부(530), 제1 변환부(540), 제2 출력부(550), 제2 변환부(560), 제3 출력부(570), 감지부(580), 제어부(590) 및 표시부(595)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510, a switch unit 520, a first output unit 530, a first conversion unit 540, A second conversion unit 560, a third output unit 570, a sensing unit 580, a control unit 590, and a display unit 595, as shown in FIG.

입력부(510)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 저장 장치, 전력 공급원 등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51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of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nd receive DC power from the power storage device, the power supply source, or the like.

스위치부(520)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하우징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고 전력선을 통해 입력부(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전원이 제1 출력부(530), 제2 출력부(550) 및 제3 출력부(570)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부(520)는 복수개의 스위치(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520 is provided inside or on the housing of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510 through a power line so that the DC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unit 530, the second output unit 550, 3 output unit 570, as shown in FIG. For this, the switch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제1 출력부(530)는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입력부(510)와 스위치부(52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고전압(예를 들어, 300V 이상)의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output unit 53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outputs a first DC power of a high voltage (for example, 300 V or more) based on the D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510 and the switch unit 520 .

제1 변환부(54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부(51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류 전력의 전압은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1 변환부(540)는 상기 직류 전원을 200VAC, 110VAC, 100VAC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전압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first conversion unit 540 may be dispos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convert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510 into AC power. Here, the voltage of the AC power may be equal to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Alternatively, the first converter 540 may convert the DC power into AC power having a preset voltage such as 200 VAC, 110 VAC, 100 VAC, or the like.

제2 출력부(550)는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1 변환부(5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변환부(54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output unit 55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540 to output AC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conversion unit 540.

제2 변환부(56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입력부(510)와 스위치부(52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예를 들어, 3.6V 내지 20V)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변환부(560)는 가변 전압 범위 내에서 적응적으로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may convert the DC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510 and the switch unit 520 to a second direct current power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irect current power (for example, , 3.6V to 20V).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may adaptively adjust the output voltage within a variable voltage range.

제3 출력부(570)는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2 변환부(5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변환부(56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한다.The third output unit 5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and outputs second DC power supplied from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감지부(580)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하우징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출력부(530) 내지 제3 출력부(570)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580)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센서 및/또는 전압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출력부(530), 제2 출력부(550), 제3 출력부(570) 및/또는 제어부(590)와 각각 전력선 및/또는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80 may be provid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of the flush-type receptacle apparatus so as to detect whether the power reception apparatu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530 to the third output unit 570. For this purpose, the sensing unit 580 may comprise at least one current sensor and / or voltage sensor, and may include a first output 530, a second output 550, a third output 570, and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90 through a power line and / or a communication line, respectively.

제어부(590)는 하우징의 내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고 스위치부(520), 제2 변환부(560) 및 감지부(5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출력부(530), 제2 출력부(550) 및 제3 출력부(570) 각각에서 전력이 출력 또는 차단되도록 감지부(580)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부(5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거나, 제2 변환부(560)에서의 출력 전압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90 is provid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520,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and the sensing unit 580 and includes a first output unit 530, The switching unit 520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520 using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580 so that power is output or interrupted at each of the first output unit 550 and the third output unit 570, 2 conversion unit 560. [0064] FIG.

일 예로, 제어부(590)는 제3 출력부(570)에 수전 장치가 접속된 상황에서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제2 변환부(56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90)와 수전 장치 간의 통신은 PLC일 수 있다. 즉,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전력선을 통해 수전 장치로부터 제어부(59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별도의 통신선을 통해 수전 장치로부터 제어부(590)로 전송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from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570, the control unit 590 controls the second converting unit 560 Can be adjusted. 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590 and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may be a PLC. That is, the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to the control unit 590 through the power line. The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to the control unit 590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한편, 제어부(590)는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전력선 및/또는 통신선을 이용하여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른 전압 제어 신호를 제2 변환부(56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90)는 감지부(58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출력부를 통해 직류 또는 교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스위치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감지 신호가 제3 출력부(570)에서 플러그가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라면, 제어부(590)는 제3 출력부(570)를 통해 기준 전압의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수전 정치의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수신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590)는 해당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 제2 변환부(560)의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현재 출력 전압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90)는 제3 출력부(570)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5VDC의 기준 전압으로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590)는 수전 장치로부터 9V에 대한 전압 요구 정보가 수신되면, 제2 변환부(560)의 출력 전압을 9V로 설정하고 제2 변환부(560)에서 9V로 직류 전력이 출력될 때까지 일정 레벨씩 제2 변환부(560)의 출력 전압이 상승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90)는 제2 변환부(560)의 출력 전압을 200mV씩 점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590 may transmit the voltag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using the power line and / or the communication line. The control unit 590 may control the switch unit 520 to output DC or AC power through the corresponding output unit when the sensing unit 58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If the detection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lug is detected at the third output unit 570, the controller 590 controls the DC power of the reference voltage to be output through the third output unit 570, It is possible to wa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receive the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f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ption device, the controller 590 sets the target voltage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The current output voltage may be stepped up or down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ter 560 reaches the target voltag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90 may control the DC power to be output to the reference voltage of 5VDC when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57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590 sets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to 9V and outputs the DC power at 9V from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when the voltage requirement information for 9V is received from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ter 560 may be controlled to be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level until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ter 560 increase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90 may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by 200 mV.

다른 예로, 제어부(59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9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3 출력부(570)의 출력 전압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표 전압을 설정하면, 제어부(590)는 제2 변환부(560)의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59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interfa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90 can receive the set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output unit 570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target voltage via the interface, the control unit 590 can control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until the output voltage reaches the target voltage .

표시부(595)는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595)는 스위치부(5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로 구성되어, 제1 출력부(530), 제2 출력부(550) 및 제3 출력부(570) 각각에서 전력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595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display unit 595 includes at least one LE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520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unit 530, the second output unit 550 and the third output unit 570,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outputted.

한편, 감지부(580), 제어부(590) 및/또는 표시부(595)는 제2 변환부(560)로부터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변환부(560)는 제3 출력부(570)로 제2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변환기(도시되지 않음)와, 감지부(580), 제어부(590) 및/또는 표시부(59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변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예를 들어 5VDC, 12VDC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580, the control unit 590, and / or the display unit 595 may receive the DC power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rom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To this end, the second conversion unit 560 includes a first converter (not shown) for supplying the second DC power to the third output unit 570, a sensing unit 580, a control unit 590, and / (Not shown)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ource 595.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from the first converter and the output voltage from the second convert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utput voltage from the second converter may be fixed, for example, to 5VDC, 12VDC,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직류 전력과 교류 전력을 모두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매립형 콘센트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필요에 따라 직류 전력만이 출력 가능한 형태 또는 교류 전력만이 출력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콘센트 장치는 필요에 따라 제1 출력부 내지 제3 출력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부만이 포함된 형태 또는 어느 2개의 출력부가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both the direct-current power and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form capable of outputting only the direct- May be implemented in a printable form. That is,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only one output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output portions is included, or a combination of any two output portions, if necessary.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또는 제어 장치)가 제2 변환부(DC-DC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ter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는 출력 단자에 플러그의 접속이 감지되면 기준 전압으로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610).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C power to be output to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connection of the plug is detected at the output terminal (S610).

이후, 상기 플러그를 통해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S620),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S630),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변환부(또는 변환기)에서 상기 목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640).Thereafter, when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device through the plug (S620), a target voltage is set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S630), and a conversion unit And controls to output the target voltage (S640).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압이 5VDC이고 상기 목표 전압이 12VDC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에서의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12VDC에 도달할 때까지 전압 증가 요청 신호를 상기 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는 상기 전압 증가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200mV씩 출력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12VDC의 전력으로 출력 전력을 변환할 것을 지시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상기 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는 상기 전압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목표 전압을 12VDC로 설정하고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가지 200mV씩 출력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is 5VDC and the target voltage is 12VDC,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voltage increase request signal to the converting unit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ing unit reaches 12VDC. In this case, the conversion unit may increase the output voltage by 200 mV each time the voltage increa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o the conversion unit a voltage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convert the output power at a power of 12 VDC. In this case, the converter may set the target voltage to 12VDC based on the voltage control signal, and increase the output voltage by 200mV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reaches the target voltage.

만일, 현재 변환부에서의 출력 전압이 20VDC이고 상기 목표 전압이 5VDC인 경우 즉, 현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이 20VDC인 상황에서 수전 장치가 과열 방지를 위하여 5VDC의 직류 전력을 전송할 것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는 변환부에서의 현재 출력 전압이 5VDC에 도달할 때까지 전압 하강 제어 신호를 상기 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는 상기 전압 하강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200mV씩 출력 전압을 하강(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5VDC의 전력으로 출력 전력을 변환할 것을 지시하는 전압 제어 신호를 상기 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는 상기 전압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목표 전압을 5VDC로 설정하고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가지 200mV씩 출력 전압을 하강시킬 수 있다.If the output voltage of the current conversion unit is 20VDC and the target voltage is 5VDC, that is, when the DC power output through the current output unit is 20VDC, the power reception apparatus will transmit DC power of 5VDC to prevent overheating If requeste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voltage drop control signal to the converting unit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at the converting unit reaches 5VDC. In this case, the converting unit may lower (or decrease) the output voltage by 200 mV each time the voltage lowering control signal is receiv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o the conversion unit a voltage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convert the output power at a power of 5VDC. In this case, the converting unit may set the target voltage to 5VDC based on the voltage control signal, and may lower the output voltage by 200mV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reaches the target voltage.

이후 제어부는 현재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S650), 현재의 출력 전압을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output voltage has reached the target voltage (S650), the controller can control to maintain the current output voltag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콘센트 장치
210: 하우징
220: 제1 출력 단자
230: 제2 출력 단자
200: outlet device
210: Housing
220: first output terminal
230: second output terminal

Claims (21)

매립형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를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In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 input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DC power;
A first output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outputting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A first converting uni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convert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into AC power; And
And a second output unit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AC power,
Wherein the receptacle-type receptacle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3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vert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verts the DC power into second DC power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first DC power;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output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second DC p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voltage of the second direct current power tha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er and is output through the third output unit A flush receptacl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접속된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djusts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상기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기준 전압으로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변환부의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현재 출력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ontrols the second DC power to be output as a reference voltage when the power reception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section and sets the target voltage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when the power supply apparatus receives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Wherein the current output voltage is stepped up or down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reaches the target volt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from the power reception devic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sensing whether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To the grou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current sensor or voltage sens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switch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to supply pow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Wherein the recessed socket-type socket is provided with a recessed so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각각에서 전력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display unit tha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and displays information on whether power is output from each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Wherein the plug-in receptacle is a plug-in receptac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play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 에너지, 바람 에너지 및 열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생성 장치;
상기 전력 생성 장치 및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 및
상기 전력 저장 장치 및 전력 공급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1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
를 포함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In a DC power supply system,
A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generates power by converting at least one of solar energy, wind energy, and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the power supply;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DC power su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and the power supply source, a fir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supply, a DC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into AC power And a second output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version unit and outputs the AC power,
And a DC power suppl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 및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3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seco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second DC power lower than a voltage of the first DC power; And
And a third outpu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to output the second DC pow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sion unit to control a voltage of the second DC power output through the third output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접속된 수전 장치로부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device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request voltage informatio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request volt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3 출력부에 상기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기준 전압으로 상기 제2 직류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구 전압 정보에 따라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변환부의 현재 출력 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상기 현재 출력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device includes:
Controls the second DC power to be output as a reference voltage when the power reception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section and sets the target voltage according to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when the power supply apparatus receives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Wherein the current output voltage is stepped up or down until the current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verter reaches the target volt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 상기 수전 장치로부터 상기 요구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required voltage information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수전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ceptacle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장치는,
상기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출력부,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3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공급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nd a switch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to supply pow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unit,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third output unit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Features a DC power supply system.
매립형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콘센트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직류 전원을 기반으로 제1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제1 직류 전력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를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 장치.
In a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flush-type receptacle device;
An input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DC power;
A first output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outputting first D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A converter disposed in the housing or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converting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into a second DC power having a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first DC power; And
And a second output unit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rting unit to output the second DC power,
Wherein the receptacle-type receptacle device comprises:
KR1020160106959A 2016-08-23 2016-08-23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KR101850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59A KR101850210B1 (en) 2016-08-23 2016-08-23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959A KR101850210B1 (en) 2016-08-23 2016-08-23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89A true KR20180022089A (en) 2018-03-06
KR101850210B1 KR101850210B1 (en) 2018-04-19

Family

ID=6172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959A KR101850210B1 (en) 2016-08-23 2016-08-23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2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396A (en) * 2020-10-13 2020-10-29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KR102171999B1 (en)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Connec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1781A (en) 2004-05-25 2005-12-08 Furuta Tetto Kensetsu Kk Plug socket
JP2012151132A (en) 2012-05-14 2012-08-09 Panasonic Corp Dc outlet
JP6194262B2 (en) * 2014-02-28 2017-09-06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DC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999B1 (en)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Connec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20200123396A (en) * 2020-10-13 2020-10-29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210B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088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701083B2 (en) Portable hybrid applications for AC/DC load sharing
JP2022525901A (en) EV charger with adaptive charging protocol
CN107154564B (en) AC/DC universal charging pile plug, AC/DC universal charging pile socket and control method of AC/DC universal charging pile plug and AC/DC universal charging pile socket
WO2011033352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10288387A (en) Dc power feeding system
JP2012029421A (en) Hybrid power source connection interface device
CN111357163A (en) Modular power supply system
KR101850210B1 (en) Flush receptacle providing direct current output and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US11641129B2 (en) DC to DC edge device
KR101903850B1 (en) Multi outlet using direct current power
JP4999324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10523117B2 (en) Dead band direct current converter
KR1018552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cket for three-phase
JP5077958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10095024A (en) Potable receptacle for family use
JP5346184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power receiving terminal
TWI622248B (en) Power Distribution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Power Source
CN220122622U (en) Power generation grid-connected system
US110885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and control of power for consumer power circuits
CN109120061B (en) Intelligent centralize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JP6719604B2 (en)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KR20150021708A (en) Smart socket apparatus
WO2022177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power delivery with multiple charging ports
JP2018014790A (en) Battery units and pow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