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980A -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980A
KR20180021980A KR1020160106685A KR20160106685A KR20180021980A KR 20180021980 A KR20180021980 A KR 20180021980A KR 1020160106685 A KR1020160106685 A KR 1020160106685A KR 20160106685 A KR20160106685 A KR 20160106685A KR 20180021980 A KR20180021980 A KR 2018002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ata
external device
unit
transmitti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680B1 (ko
Inventor
이용우
윤창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680B1/ko
Priority to US15/635,355 priority patent/US10482845B2/en
Publication of KR2018002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5LAN communic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외부장치가 존재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전자장치가 송신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는 외부장치와 사이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의 전송측 또는 수신측의 설정을 수행할 때에 해당 설정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게 제공하는 구조의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며, 콘텐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지 않은 영상처리장치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진 영상처리장치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각기 단독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기능의 확장이나 사용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전자장치들이 상호 연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야 하며, 복수의 전자장치 중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측과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의 역할이 구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어느 전자장치를 송신측으로 설정할 것인지 아니면 수신측으로 설정할 것인지에 관해, 사용자가 전자장치에 제공되는 UI를 통해 해당 전자장치의 역할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결정은 사용의 편의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특히, 현재의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통신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전자장치가 일 설치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 경우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전자장치 사이의 연계 동작 시에 필요한 각 전자장치 별 설정이 가능한 한 사용자의 입력 없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외부장치가 존재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동 입력 없이 데이터의 송신측 및 수신측이 각각 자동으로 지정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장치는 외부장치가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이동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중 어느 것이 이동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및 상기 수신측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의 모션 제스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모션 제스쳐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실행하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 또는 상기 수신측으로 지정하는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자장치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 또는 상기 수신측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외부장치가 존재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가 취득 가능한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가 취득 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선택 이력을 호출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호출된 선택 이력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그룹이 지정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 모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정보에 지정된 상기 데이터의 그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외부장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를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하고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이동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및 상기 수신측을 각각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의 모션 제스쳐를 감지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모션 제스쳐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실행하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른 무선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UI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가 TV로부터 오디오장치로 근접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피커장치 및 제2스피커장치의 시스템에서, 제2스피커장치가 제1스피커장치로 근접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선택하게 마련된 UI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을 이루는 각 전자장치는 그 수와 종류가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서 상호 연계되는 복수의 전자장치 또한 어느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을 이루는 각 전자장치는 일 설치면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시스템 내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어느 한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전자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장치(10)와,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방송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TV(20)와,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30)를 포함한다. 스피커장치(3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마련되는 바, TV(2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TV(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데이터 및 오디오데이터로 분리하고,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한편, 오디오데이터를 기 설정된 통신규격에 따라서 중계장치(10)를 거쳐서 스피커장치(30)로 전송한다.
중계장치(10)는 예를 들면 AP(access point)로 구현됨으로써, TV(20) 및 스피커장치(30) 사이의 무선통신을 중계한다. 핫 스팟은 중계장치(10)를 중심으로 하는 통신가능 범위 영역을 의미하며, 핫 스팟 내에 있는 전자장치는 중계장치(1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장치(10)를 중계하여 각 장치들(20, 30, 40)이 상호 통신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중계장치(10)를 경유하지 않고 각 장치들(20, 30, 40) 사이에 다이렉트로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장치(30)가 TV(2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외에, 사용자는 TV(2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 대신에 모바일장치(40)에 재생되는 콘텐츠영상의 오디오데이터가 스피커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스피커장치(30)가 모바일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규격을 선택한다. 이러한 통신규격은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등이 가능하다. 모바일장치(40)는 UI 등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측으로서 스피커장치(30)를 선택한다. 본 선택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 및 스피커장치(30) 사이의 데이터 전송요청 승인 및 상호 통신접속이 수행된다. 모바일장치(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전송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스피커장치(30)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모바일장치(40), 스피커장치(30) 및 중계장치(10) 중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한 두 대의 전자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측 및 데이터의 수신측의 역할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동작함으로써, 송신측의 UI를 통한 통상적인 사용자의 입력 조작 없이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한 방식에 의해 데이터 혹은 콘텐츠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어느 하나의 전자장치는, 예컨대, 스피커장치(30)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외부장치, 예컨대, 모바일장치(40)를 감지하고, 모바일장치(40)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모바일장치(40)를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하고, 스피커장치(30)를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한다. 다만, 송신측 및 수신측의 지정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와 반대로, 이동하는 모바일장치(30)가 수신측으로 지정되고 스피커장치(30)가 송신측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할 송신측으로서 모바일장치(40)를 먼저 지정한 이후에, 수신측으로서 스피커장치(30)를 다시 지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한편, 스피커장치가 중계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라면, 스피커장치 대신 중계장치 및 모바일장치 사이에서 송신측 및 수신측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40) 및 스피커장치(30)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S12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무선신호 강도를 체크한다.
S13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으면, S1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중에서, 상호 장치들 사이가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한다. 즉,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가 근접하고 있는 상태가, 전자장치의 이동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외부장치의 이동에 의한 것인지를 체크한다. 반면,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지 않으면, 전자장치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된 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신호의 강도가 점점 증가하여 문턱값보다 높아졌다면,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근접하게 이동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된다면 해당 전자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전자장치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다면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전자장치를 송신측 또는 수신측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전자장치에 대한 지정에 대응하여, 외부장치는 수신측 또는 송신측으로 지정된다. 이동하는 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될 것인지 아니면 수신측으로 지정될 것인지에 관해서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각각에 저장된 사전 설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므로,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지에 관한 정보는 상호간에 공유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S17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장치가 해당 데이터를 처리 및 출력하도록 한다. 반면, 전자장치가 송신측이 아닌 수신측으로 지정되면, S18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 및 출력한다.
여기서, S160 단계 및 S170 단계 사이에는,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 송신측이 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측에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 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의 데이터 연동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한 조작을 최소화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가 상호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의 상호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무선신호의 강도 뿐만이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외부장치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포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외부장치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는 전자장치에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독립된 장치로서 전자장치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센서로부터의 감지 결과가 전자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무선신호 강도를 체크하는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른 무선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70)가 일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자장치(60)가 외부장치(70)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전자장치(60)가 외부장치(70)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치(60)가 외부장치(70)의 핫 스팟 이내로 위치해야 한다. 외부장치(70)의 설치 위치를 A0라고 하고 핫 스팟의 최외곽 경계 상의 위치를 A1라고 하면, 전자장치(60)가 A1으로부터 외부장치(70)에 접근하게 이동함에 따라서,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60)는 핫 스팟 내에서 외부장치(7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무선신호의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70)에 억세스할 수 있다. 또는, 외부장치(70)가 전자장치(6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감지하고, 전자장치(60)에 억세스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는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호간에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무선신호는 단지 통신환경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특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 사이의 통신환경은 양자간의 무선신호의 강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무선신호의 강도는 양자간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향상된다. 즉, 전자장치(60)가 일 위치에 있을 때에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다면 해당 위치에서의 통신환경은 좋으며, 전자장치(60)가 일 위치에 있을 때에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지 않다면 해당 위치에서의 통신환경은 나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60)가 위치 A3에 있을 때에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인 70dB을 나타낸다고 할 때, 전자장치(60)가 A3보다 외부장치(70)에 근접한 A4에 있으면 통신환경이 좋고, 전자장치(60)가 A3보다 외부장치(70)로부터 멀어진 A2에 있으면 통신환경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60)가 위치 A1으로부터 A0로 근접 이동함에 따라서 무선신호의 강도는 점점 증가하며, 전자장치(60)가 위치 A3를 지나면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인 70dB을 넘기게 된다. 반대로 전자장치(60)가 위치 A0으로부터 멀어지면, 무선신호의 강도는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60) 또는 외부장치(70)는 상호간의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을 넘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가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 사이의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아지도록 증가한다는 것은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가 상호간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 전자장치(60) 및 외부장치(70) 중에서 어느 장치가 이동하고 있는 것인지에 관해서는 경우에 따라서 나타내기 곤란할 수 있다.
이에, 전자장치(60)는 전자장치(60)의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구조를 가지는 바, 해당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60)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는 전자장치(60)로부터 외부장치(70)에 전송됨으로써, 외부장치(70)와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전자장치(6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태블릿, 모바일 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전자장치(100)는 이 외에도 스피커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 또는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0)가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지만, 그 외에 전자장치(100)가 어떤 형태로 구현되는지에 따라서 전자장치(1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4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15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전자장치(1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70)와,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통신모듈 또는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패킷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그 외에 예를 들면 RF 신호를 지정된 주파수로 튜닝하게 마련된 튜닝 칩(tuning chip),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접속포트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통신부(110)에 수신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는 영상과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물론, 텍스트,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칩셋, DSP,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재생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특화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영상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디코딩, 디테일 강화,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오디오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채널 별 구분, 증폭, 볼륨 조정 등의 오디오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 이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을 더 포함한다.
스피커(140)는,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스피커(140)는 어느 한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대응하게 마련된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복수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한다. 즉,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신호처리부(120)에 전달함으로써, 신호처리부(120)가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정보의 입력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150)는 전자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키, 디스플레이부(13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전자장치(10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연산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에 의해 억세스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60)는 전자장치(10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신호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센서(170)는,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휴대하고 이동할 때에 전자장치(100)의 이동 여부, 또는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들고 제스쳐를 취할 때에 전자장치(100)의 자세 등을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170)는 자기장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주파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들고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센서(170)는 전자장치(100)의 이동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CPU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신호처리부(120)의 처리를 위한 연산과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통신부(110)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센서(17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센서(170)로부터 전자장치(100)의 이동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전자장치(100)가 현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전자장치(100)를 전송측으로 지정한다. 또는, 제어부(180)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센서(170)로부터 전자장치(100)의 이동을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장치가 이동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0)가 아닌 외부장치가 현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에 따라서 전자장치(100)를 수신측으로 지정한다. 물론, 사전 설정 상태에 따라서, 판단 결과에 따른 전송측 및 수신측의 지정은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센서(170)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장치(100)가 현재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100)가 송신측인 것으로 지정한 이후, 전자장치(100)는 수신측인 외부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여야 한다. 송신측이 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측에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또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와의 무선신호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전자장치(100)의 이동의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송신측으로 지정된다. 전자장치(100)가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전자장치(100)는 수신측인 외부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한다.
한 가지 예로, 전자장치(10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으로 영상 및 오디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있으면, 전자장치(100)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자동으로 외부장치에 전송한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외부장치로 전송할 데이터가 사전에 지정된 상태일 수도 있다. 전자장치(100)는 데이터의 인덱스에서, 전송 플래그가 부여된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러한 전송 플래그는, 사전에 사용자가 지정하여 전자장치(1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사전에 저장된 선택 이력 정보를 호출하고, 해당 선택 이력 정보가 지정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UI(210)를 표시할 수도 있다. UI(210)는 전자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나타내며, 각 파일들의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UI(210)를 통해 파일들을 선택하면, 전자장치(100)는 선택된 파일들을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다만, UI(210)가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가 전자장치(100)에 저장된 것으로만 한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억세스할 수 있다면, UI(210)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UI(210)를 통해 서버의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되면, 전자장치(100)는 서버로부터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한다.
또는, 사용자가 사전에 본 UI(210)를 호출하여 소정의 파일들을 선택한 상태에서 전자장치(100)를 외부장치에 근접 이동시키면, 전자장치(100)는 전송측으로 지정된 이후에 상기한 파일들을 외부장치에 전송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는, 전자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제스처 방식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가 모바일장치로 구현되면, 사용자는 전자장치(100)를 들고 다양한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한손으로 전자장치(100)의 하측을 잡은 상태에서, 전자장치(100)의 상측을 상하좌우로 흔들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콘텐츠 데이터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종류, 장르 등의 조건 별로 카테고리화되며,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스쳐 동작이 지정된다. 를 들면, 좌우방향 축선이 X, 전후방향 축선이 Y,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 축선이 Z라고 할 때, 전자장치(100)가 디폴트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영상 카테고리의 데이터가 선택되고, 전자장치(100)가 디폴트 상태에서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오디오 카테고리의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전자장치(100)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스처의 형태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를 감지하는 시점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하는 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제스처를 감지하거나, 또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을 넘는 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선택하는 방법의 한 가지로서, 전자장치(100)는 전자장치(100)에서의 콘텐츠 선택 이력을 호출하고, 호출된 콘텐츠 선택 이력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선택된 이력이 있는 콘텐츠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기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 1시간 이내에 전자장치(100)에서 선택된 이력이 있는 콘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출 중에 모바일장치를 통해 인터넷의 앱 스토어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해당 콘텐츠를 모바일장치에서 재생시키지 않고 차후 귀가 후에 TV에서 재생시키고자 할 경우를 고려한다. 사용자가 귀가 후에 모바일장치를 들고 TV에 근접하게 이동하면,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TV가 수신측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에, 모바일장치는 앞서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선택 이력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TV에 전송함으로써 TV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서 수신측에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앞선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가 TV로부터 오디오장치로 근접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310)는 사용자가 들고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장치이다. 초기상태에서, 스피커장치(310)는 TV(32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한다. 만일 TV(32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가 아닌 오디오장치(33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가 스피커장치(310)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사용자가 원한다면, 사용자는 스피커장치(310)를 들고 오디오장치(330)에 근접하게 이동한다. 여기서, 스피커장치(310) 및 오디오장치(33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다.
스피커장치(310)가 오디오장치(330)에 근접함에 따라서 스피커장치(310) 및 오디오장치(330) 사이의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아진다. 스피커장치(310)는 자체 구비된 센서를 통해 스피커장치(310)가 이동하고 있음을 감지한다. 감지 결과에 따라서 스피커장치(310)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고, 오디오장치(330)는 송신측으로 지정된다.
초기상태에서는 수신측으로서의 스피커장치(310)가 송신측으로서의 TV(320)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였다. 이에 비해, 오디오장치(330)가 새로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스피커장치(310)는 TV(320) 대신 오디오장치(330)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장치가 있고 어느 한 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어느 장치를 송신측 또는 수신측으로 지정할지에 관한 것은, 사전에 약속된 설정 또는 각 장치의 특성에 따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피커장치 및 제2스피커장치의 시스템에서, 제2스피커장치가 제1스피커장치로 근접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스피커장치(340)는 초기상태에서 TV(36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스피커장치(350)를 들고 제1스피커장치(340)로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1스피커장치(340) 및 제2스피커장치(350) 사이의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아지고 제2스피커장치(350)가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스피커장치(340)가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제2스피커장치(350)가 수신측으로 지정된다.
이 때, 제1스피커장치(340)는 TV(36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오디오로서 출력하는 한편, 해당 오디오데이터를 제2스피커장치(350)에 전송한다. 이로써, TV(36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가 제1스피커장치(340) 및 제2스피커장치(350)로부터 공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제1스피커장치(340)는 TV(36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데이터를 오디오로서 출력하지 않고, 해당 오디오데이터를 제2스피커장치(3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1스피커장치(340)는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고 단지 TV(36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를 제2스피커장치(350)에 전송하는 중계역할만 수행한다. 이 경우에, TV(360)로부터의 오디오데이터는 제2스피커장치(350)로부터만 출력된다.
이와 같이, 양 장치 간에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 방식이 가능하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TV 및 스피커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프로세스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의 두 대의 장치 사이에서 무선신호의 강도를 체크하고, 이동하는 장치를 특정하며, 각 장치를 송신측 및 수신측으로 분류하고, 송신측의 장치로부터 수신측의 장치로 선택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본 프로세스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로서, 제1모바일장치 및 제2모바일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제1모바일장치를 제2모바일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1모바일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제1모바일장치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주소록 정보, 전화번호 정보 등을 제2모바일장치에 전송한다.
한 가지 형태로서, 모바일장치 및 TV를 포함하는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TV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소정의 콘텐츠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TV가 송신측으로 지정되면, 모바일장치는 TV로부터 해당 콘텐츠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로써, 모바일장치는 TV에서 표시하고 있는 콘텐츠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로서, 모바일장치 및 냉장고를 포함하는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냉장고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냉장고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모바일장치는 기 저장된 스케쥴 정보 또는 요리 레시피 정보를 냉장고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정보가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로서, 모바일장치 및 세탁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하에서, 모바일장치가 세탁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세탁기에 접근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모바일장치에 저장된 세탁 예약 정보가 세탁기로 전송된다. 세탁기는 모바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세탁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세탁 예약 정보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한 장치를 타 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장치 사이에 데이터가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이,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의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외부장치에 근접하게 이동한다고 할 때, 사전 설정에 따라서 전자장치가 송신측으로 지정될 수도 있고 수신측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지정을 위해 추가적인 조건이 부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무선신호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 상태가 초기상태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전자장치를 외부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아닌, 전자장치의 최초 위치에서 전자장치를 들고 특정 모션을 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자체 구비한 센서를 통해 전자장치의 모션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전자장치를 송신측 또는 수신측으로 지정한다. 여기서, 특정 모션이란,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들고 흔들거나,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들고 외부장치를 가리키거나,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들고 돌리는 등의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또는, 장치 자체의 특성, 예를 들면 장치의 주요 기능에 따라서, 어느 장치는 수신측으로만 동작하도록 지정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전자장치가 스피커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스피커장치는 통상적으로 타 장치로부터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므로, 송신측으로 동작하기보다는 오디오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동작한다. 또는, 전자장치가 세탁기의 경우에, 세탁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아니며 또한 통상적으로 세탁기가 특정 정보를 타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는 드물다면, 세탁기는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특정 장치는 송신측 또는 수신측으로 동작하도록 지정한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며, 필요 시 타 장치와 이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한다.
S22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무선신호의 강도를 체크한다.
S23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으면, S2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송신측 또는 수신측 여부를 지정한 플래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플래그 정보는 전자장치에 저장될 수 있지만, 전자장치가 억세스 가능한 타 장치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플래그 정보가 존재하면, S25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플래그 정보를 호출하여, 플래그 정보에 지정된 내용에 따라서 송신측 또는 수신측을 지정한다. S26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에 대한 지정 정보를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외부장치가 전자장치에 대응하여 송신측 또는 수신측을 지정하도록 한다.
반면, 플래그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S27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중에서 이동하는 장치를 감지한다. S28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송신측 또는 수신측을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가 최초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로부터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의 무선신호의 강도가 문턱값보다 높은 상태까지 진행되었다는 것은, 전자장치 및 외부장치 사이가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송신측 및 수신측을 지정하기 위해 전자장치 또는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였다. 그런데, 전자장치 또는 외부장치에 상기한 플래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굳이 이동 여부를 감지할 필요 없이 보다 용이하게 송신측 또는 수신측의 지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선택하게 마련된 UI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400)가 수신측으로 지정된 이후, 송신측인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다. 전자장치(40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도록 마련된 UI(410)를 표시할 수도 있다.
UI(410)의 구성은 특정한 형태 또는 기능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UI(410)는 기본적으로 전자장치(400)에 수신되는 데이터 전체 또는 데이터 일부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에 관해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제공한다. UI(410)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복수의 파일일 때, 각 파일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을 저장하거나 또는 삭제하기 위한 리스트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UI(41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전자장치(400)에 저장되게 하거나, 또는 일부 데이터만을 전자장치(40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I(41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장치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400)는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400)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실행하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4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실행시킬 것인지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표시하고, UI의 선택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장치
110 : 통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스피커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센서
180 : 제어부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외부장치가 존재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이동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및 상기 수신측을 각각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모션 제스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모션 제스쳐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실행하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 또는 상기 수신측으로 지정하는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자장치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 또는 상기 수신측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전자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외부장치가 존재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가 취득 가능한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가 취득 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선택 이력을 호출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호출된 선택 이력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그룹이 지정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 모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정보에 지정된 상기 데이터의 그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외부장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를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으로 지정하고 상기 전자장치를 상기 송신측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이동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이동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및 상기 수신측을 각각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모션 제스쳐를 감지하는 상기 전자장치의 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외부장치의 모션 제스쳐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모션 제스쳐가 발생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으로 지정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실행하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60106685A 2016-08-23 2016-08-23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KR10249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685A KR102495680B1 (ko) 2016-08-23 2016-08-23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US15/635,355 US10482845B2 (en) 2016-08-23 2017-06-28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685A KR102495680B1 (ko) 2016-08-23 2016-08-23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980A true KR20180021980A (ko) 2018-03-06
KR102495680B1 KR102495680B1 (ko) 2023-02-06

Family

ID=6124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685A KR102495680B1 (ko) 2016-08-23 2016-08-23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82845B2 (ko)
KR (1) KR102495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378A (ja) * 2006-02-01 2012-12-27 Memsic Inc 動き検知装置による携帯装置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US20130244575A1 (en) * 2012-03-16 2013-09-19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proximity sensors with near-field communication
US20130337849A1 (en) * 2011-12-30 2013-12-19 Chieh-Yih Wan Mobile device position detection
KR20160041620A (ko)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117A (en) 1994-05-23 1996-12-24 Hewlett-Packard Company Sender-selective send/receive order processing on a per message basis
US7287070B2 (en) 2001-05-25 2007-10-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etermining control of an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a sender and receiver
US7228336B2 (en) 2002-02-28 2007-06-05 Henry Steven G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rchiving data processed by a digital sender device
JP4474310B2 (ja) 2005-03-24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バイス切替システム、送信元および配信先デバイス
US9055467B2 (en) 2013-01-14 2015-06-09 Dell Products L.P. Sender device based pause system
US9280893B2 (en) 2013-01-30 2016-03-08 Richard N. Koch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broadcast audio or control to a remotely located device
US20160063559A1 (en) * 2014-08-28 2016-03-03 Cary Hargrove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Link to Advertising Content
KR101632627B1 (ko) 2014-09-02 2016-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KR101563841B1 (ko) 2015-01-28 2015-10-28 한국과학기술원 특이 터치 및 정전식 센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방법
US10852917B2 (en) * 2015-06-30 2020-12-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aring of selected content betwee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targe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378A (ja) * 2006-02-01 2012-12-27 Memsic Inc 動き検知装置による携帯装置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US20130337849A1 (en) * 2011-12-30 2013-12-19 Chieh-Yih Wan Mobile device position detection
US20130244575A1 (en) * 2012-03-16 2013-09-19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proximity sensors with near-field communication
KR20160041620A (ko)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1369A1 (en) 2018-03-01
US10482845B2 (en) 2019-11-19
KR102495680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161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P310195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87049B2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US10990271B2 (en) Method of inputting user comman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03544B1 (ko) 디스플레이 금지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원격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JP6759341B2 (ja) モバイル端末により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ウィンドウを表示する方法、及びモバイル端末
CN109756406B (zh) 用于提供ui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KR101143010B1 (ko) 디지털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68250A (ko)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20100067296A (ko) 메인 영상처리장치와 서브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8159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764211B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US20140089829A1 (en) System supporting manual user interface based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7271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630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480003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9239632B2 (en) Method of selectively operating a rotating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300247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95680B1 (ko)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US112459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of mobile device on display device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80720B2 (en) Reproduc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713203A1 (en) Electronic device paired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