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961A -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 Google Patents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961A
KR20180021961A KR1020160106249A KR20160106249A KR20180021961A KR 20180021961 A KR20180021961 A KR 20180021961A KR 1020160106249 A KR1020160106249 A KR 1020160106249A KR 20160106249 A KR20160106249 A KR 20160106249A KR 20180021961 A KR20180021961 A KR 2018002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ttribute
rule
review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782B1 (ko
Inventor
김인한
최중식
장재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7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7/30067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로서 법규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법규를 추출하여 건물 정보 파일(IFC)을 이용하여 법규 정합성을 검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법규에서 추출된 단어들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객체, 속성 및 정합성값으로 구분하되, 객체는 공간 객체 및 부위 객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고 속성은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며, 구분된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정합성값이 할당되게 함으로써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정확도를 상승시켰다.

Description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checking at architectural design phas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본 발명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건축 설계 단계에서 적법성을 자동으로 검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과정에 있어서, 건축주, 설계자, 시공자 등의 관계자는 건축 타당성 검토부터 건축 인허가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많은 건축 법규를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해당 분야의 많은 경험을 갖는 전문가라 할 지라도, 건축법, 시행령,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이르기까지 전체를 검토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종종 시행착오를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전산화하거나 자동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 관련한 대표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인 오토캐드(AutoCad®)의 경우, 건축법규검토 프로그램이 서드파티 프로그램들로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의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건축법규를 화면으로 출력해주어, 사용자가 직접 해당 법규 만족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일종의 편의성 제공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기에, 사실상 건축법규를 수동으로 확인하여 일일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과 큰 차이가 없다.
한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최근 건설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3차원 설계기술을 의미하는데, 개방형BIM은 어떤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던 관계없이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도록 국제표준(IFC)을 사용하는 BIM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한 법규검토 방법도 제시된 바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010642호는 BIM 시스템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관련 법령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에 관한 법령에 제한되어 BIM이 갖고 있는 포괄적은 정보를 검토하지 못하여, 본 종래기술만으로는 모든 건축법규에 확대하는 것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등록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13087895호에서 "BIM을 이용한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법규 자동화 검토 방법"이 제안되는데,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난법규에 국한된 것이기는 하나 BIM이 갖고 있는 정보들로부터 유효한 정보를 추출하여 법규를 검토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제안하였다. 다만, 본 종래기술의 경우 초고층 건물에서 피난법규만을 한정하여 알고리즘을 결정한 것이기에, 모든 건축법규에 확대시켜 이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지는 못하였다.
이를 극복한, 본 발명자들에 의한 다른 등록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에서는 속성정보를 활용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즉, 법규 데이터베이스에서 텍스트인 법규와 정합성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상응하도록 미리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확인하여, 법규 정합성 여부를 검토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예를 들어,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 제2항 제1호 바목에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라는 법규와 "0.9미터 이상"이라는 정합성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데,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에 매칭되는 것으로 미리 저장된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0.9미터 이상인지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정합성 여부를 검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타당성 검토가 필요한 모든 건축법규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방대한데, 건물 정보 파일(IFC) 내의 정보들 중에서 이에 매칭되는 정보들을 일일이 매칭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의 경우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건물 정보 파일(IFC)이 나타내는 건축물의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계단실을 모두 확인한 후,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를 모두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둘째, 매칭되는 정보들을 일일이 매칭하는 것이 어렵기에, 건축법규가 변경된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우며 업데이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라는 건축법규 상 타당성 검토가 필요한 속성이 "계단실의 1개층 평면 넓이"로 간단하게 변경된 경우라도, 사용자는 건물 정보 파일(IFC)이 나타내는 건축물의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계단실을 모두 확인한 후 각 층마다의 계단실의 평면을 모두 확인하여 매칭시켜주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이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에 따라 자동화된 법규 정합성 검토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기술들에서 제안되지 않은 전체 건축법규의 정합성 여부를 검토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 제2014-010642호
(특허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308789호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
(특허문헌3)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를 개량하되, 해당 특허가 갖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건축법규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적법성 검토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고자 한다.
특히, 건축법규가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단어들을 신속하게 추출하여, 사람이 일일이 추출하여야 하는 작업 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건물정보모듈(10)이 대상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 파일(IFC)을 생성하는 단계; (b)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텍스트(text)로서 법규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법규를 추출하여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을 이용하여 법규 정합성을 검토하는 단계; 및 (c) 출력 모듈(200)이 상기 검토된 법규 정합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추출된 텍스트인 법규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를 요구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 (b2)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상기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상기 요구정보인 추출된 단어들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객체, 속성 및 정합성값으로 구분하되, 객체는 공간 객체 및 부위 객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고 속성은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며, 구분된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정합성값이 할당되는 단계; (b3)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이 상기 (b2) 단계에서 구분된 상기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비교값을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b4)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법규 정합성 검토 모듈(140)이 상기 (b3) 단계에서의 비교값과 상기 (b2) 단계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할당된 정합성값을 비교함으로써, 정합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3) 단계에서, (b3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상기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이, 상기 (b2) 단계에서 구분된 객체 및 속성들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비교값이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에 없는 경우, (b3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이 추가요구정보(Pset) 및 그 비교값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 객체는, "층", "거실" 및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부위 객체는, "벽", "창문" 및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속성은,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속성은, "높이", "면적" 및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물성 속성은, "내화구조" 및 "불연재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참고 속성은 "피난", "비상용" 및 "지역기구"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어느 하나가 검색되는 경우, 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층"을 검색한 경우, 그 앞에 기재된 숫자 및 그 뒤에 기재된 비교연산자와 함께 이를 공간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합성값은 수치 또는 참(true)/거짓(false)이며, 상기 정합성값이 참/거짓인 경우,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목적어로서 상기 정합성값에 함께 설정되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d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d2)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는 단어를 확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변경된 단어들이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이거나, 미리 결정된 상기 정합성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개방형BIM을 이용한 설계에 있어서 설계의 단계마다 또는 설계의 종료시에 법규 정합성을 검토할 수 있어서, 법규에 맞는 최적화된 설계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설계가 완성된 이후 법규에 따라 설계를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 및 이로 인한 설계 변경 시 일부만 변경이 되고 다른 일부는 변경이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에서는, 건축법규에서 사람이 일일이 법규 텍스트를 검토하여야 하므로, 방대한 건축법규의 정리가 어려웠고 자동 검토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필요한 정보들을 객체와 속성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객체와 속성 역시 하위 개념을 갖도록 하여 정형화함으로써, 건축법규의 모든 법규 정리가 자동으로 가능하며 적법성 검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법규가 변경되더라도 자동으로 변경된 법규에서의 필요한 텍스트 추출이 가능하여 효과적이며 정확한 정합성 검토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정보를 구분하는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건축법규에서 정보가 추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됨에 따라 분류되어 정리되는 정보들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의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건물정보모듈(10)은 건물에 관련된 정보가 입출력되고 건물 정보 파일(IFC)을 생성,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는 전술한 개방형BIM일 수 있다.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는 적합성 검토 대상인 법규들이 텍스트(text)로서 저장되어 있다. 법규가 변경된 경우 바로 반영될 수 있도록 송수신이 가능하다.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는 법규에서 요구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결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미리 저장된 기준은 후술한다. 또한, 후술하는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에 따라 추가되는 정보 역시 저장된다.
법규검토 모듈(100)은,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 IFC 정보 추출 모듈(130) 및 법규 적합성 검토 모듈(140)을 포함한다.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은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text)로서 저장되어 있는 법규들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들, 즉 요구정보들을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미리 저장된 기준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단어들인 요구정보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속성 및 정합성값 중 어느 하나이다. 다시, 객체는 공간 객체 또는 부위 객체이며, 속성은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이다. 정합성값은 구분된 객체 또는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할당된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8958호에서는 이러한 정보의 구분 없이 단순히 요구속성과 정합성값으로만 구분되어 있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법규가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인 경우 자동으로 해당 정보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였으며 수동으로 많은 단계에 걸쳐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해당하는 값을 일일이 확인하였어야 했다, 즉, 국제 표준에 따라 저장된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개방형BIM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수동으로 하나씩 검색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객체와 속성으로 크게 구분할 경우, 객체 정보는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객체(objec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동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속성 정보는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속성(property)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동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정보의 구분으로 자동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객체를 공간 객체 또는 부위 객체로 구분하고, 속성을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으로 구분함으로써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객체(object) 또는 속성(property)에 대한 정보의 하위 그룹에서 손쉬운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전술한 예시인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에서는, 공간 객체인 "건축물", "내부", "계단실"과 부위 객체인 "출입구"와 물성 속성인 "너비"가 추출되어 조합됨으로써 "건축물 - 내부 - 계단실 - 출입구"의 "너비"라는 정합성값 확인 대상이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완성된 확인 대상의 실제 값(즉, 유효 너비)는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자동으로 확인됨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이 법규에서 추출될 수 있는 단어들은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로 미리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층"은 공간 객체로 미리 구분되어 있고, "계단"은 부위 객체로 미리 구분되어 있고, "지상"과 "지하"는 식별 객체로 미리 구분되어 있고, "직통"은 물성 속성으로 구분되어 있고, "피난" 및 "특별 피난"은 참고 객체로 미리 구분되어 있다. 더 많은 예시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서는 부위 객체를 건축 객체와 설비 객체로 구분하여 두었다.
여기서, 공간 객체로서 "층"이 검색된 경우에는, 그 앞에 기재된 숫자 및 그 뒤에 기재된 비교연산자(이상, 이하, 초과, 미만)와 함께 이를 공간 객체로 추출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5층 이상", "2층 이하"와 함께 추출되는 것이다.
정합성값은 수치 (또는 수치 범위) 또는 참(true)/거짓(false)이다.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예시인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실로 통하는 출입구의 유효너비가 0.9미터 이상"이라는 법규에서의 정합성값은 "0.9미터 이상"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마무리되는바, 정합성값은 "참"이다.
한편, 정합성값이 "참" 또는 "거짓"인 경우, 각각에 대한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바, 정합성값과 함께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정합성값의 목적어는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이다. 따라서, 정합성값은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 참"으로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 제1항이다. 여기에 기재된 텍스트는 많은 단어들로 구성되는데, 이 단어들은 미리 구분된 규칙에 따라, 도 4의 좌측도와 같이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 또는 정합성값으로 각각 구분된다. 즉, 예외조항(괄호 안의 내용)을 제외하면,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및 참고 속성의 조합으로서, "5층 이상 - 지하 2층 이하 - 피난층 - 지상 - 직통 계단"이 추출된다. "피난 계단"과 "특별 피난 계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합성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바, 정합성값은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 참"으로 추출된다.
한편,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은 추출되지 않은 요구정보가 법규검토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추가요구정보와 정합성 값을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추가속성정보(Pset)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용들은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다시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은 건물정보파일(IFC)로부터 요구정보 또는 추가요구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데이터들을 비교값으로서 추출한다.
법규 정합성 검토 모듈(140)은 요구정보 추출 모듈(120)에서 추출된 정합성값과 IFC 정보 추출 모듈(130)에서 추출된 비교값을 비교하여 법규 정합성 여부를 확인한다.
검토 결과는 출력 모듈(200)을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출력 모듈(200)은 추가속성정보(Pset)의 입력을 위한 다른 정보들도 출력할 수 있다.
방법의 설명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건물정보모듈(10)이 건물 정보 파일(IFC)을 생성한다(S100).
다음,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텍스트(text)로서 법규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법규를 추출하여 건물 정보 파일(IFC)을 이용하여 법규 정합성을 검토한다.
즉,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추출된 텍스트인 법규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를 요구정보로서 추출한다(S201).
다음,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추출된 단어들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객체, 속성 및 정합성값으로 구분하되, 객체는 공간 객체 및 부위 객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고 속성은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며, 구분된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정합성값이 할당된다(S202).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5층 이상 - 지하 2층 이하 - 피난층 - 지상 - 직통 계단"이 객체 및 속성의 조합으로 추출되고, 이에 할당된 정합성값은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 참"이다.
다음,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이 먼저 구분된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비교값이 건물 정보 파일(IFC)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3).
해당 정보가 건물 정보 파일(IFC)에 있는 경우, 이를 비교값으로 추출하여(S204), 법규 정합성 검토 모듈(140)이 정합성값과 비교함으로써 정합성을 결정한다(S206).
해당 정보가 건물 정보 파일(IFC)에 없는 경우,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이 추가요구정보(Pset) 및 비교값을 입력하도록 안내한다(S205).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은 "5층 이상 - 지하 2층 이하 - 피난층 - 지상 - 직통 계단"을 대상으로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 참"(즉,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이 있는지 여부)를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확인하게 된다. 다시 말해 5층 이상 지하 2층 이하이라는 조건인 층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는 직통 계단을 건물 정보 파일(IFC)에서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직통 계단이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인지 여부를 건물 정보 파일(IFC)에 포함된 정보에서 확인 가능하다면 이에 대한 정합성을 결정한다.
해당 직통 계단이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인지 여부를 건물 정보 파일(IFC)에 포함된 정보만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추가요구정보 모듈(120)이 추가요구정보(Pset) 및 비교값으로서 피난 계단 또는 특별 피난 계단인지 여부를 입력받아 비교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출력 모듈(200)이 S206에서 검토된 법규 정합성을 출력한다.
한편, 법규가 변경된 경우 다음의 절차에 따를 수 있다.
먼저,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음을 기존값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는 단어를 확인한다.
다음,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변경된 단어들이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에 포함되는 단어들이거나, 미리 결정된 정합성값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업데이트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물정보모듈
21: 법규 데이터베이스
22: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
100: 법규검토 모듈
110: 요구정보 추출 모듈
120: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
130: IFC 정보 추출 모듈
140: 법규 정합성 검토 모듈
200: 출력 모듈

Claims (7)

  1. (a) 건물정보모듈(10)이 대상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 파일(IFC)을 생성하는 단계;
    (b)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텍스트(text)로서 법규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법규를 추출하여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을 이용하여 법규 정합성을 검토하는 단계; 및
    (c) 출력 모듈(200)이 상기 검토된 법규 정합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서 추출된 텍스트인 법규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를 요구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
    (b2)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상기 요구정보 추출 모듈(110)이 상기 요구정보인 추출된 단어들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객체, 속성 및 정합성값으로 구분하되, 객체는 공간 객체 및 부위 객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고 속성은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물성 속성 및 참고 속성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며, 구분된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정합성값이 할당되는 단계;
    (b3)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이 상기 (b2) 단계에서 구분된 상기 객체 및 속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비교값을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b4)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법규 정합성 검토 모듈(140)이 상기 (b3) 단계에서의 비교값과 상기 (b2) 단계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할당된 정합성값을 비교함으로써, 정합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법규 자동 사전검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b3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상기 IFC 정보 추출 모듈(130)이, 상기 (b2) 단계에서 구분된 객체 및 속성들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비교값이 상기 건물 정보 파일(IFC)에 없는 경우, (b3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의 추가요구정보 입력 모듈(120)이 추가요구정보(Pset) 및 그 비교값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객체는, "층", "거실" 및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부위 객체는, "벽", "창문" 및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속성은,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속성은, "높이", "면적" 및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물성 속성은, "내화구조" 및 "불연재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참고 속성은 "피난", "비상용" 및 "지역기구"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어느 하나가 검색되는 경우, 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층"을 검색한 경우, 그 앞에 기재된 숫자 및 그 뒤에 기재된 비교연산자와 함께 이를 공간 객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값은 수치 또는 참(true)/거짓(false)이며,
    상기 정합성값이 참/거짓인 경우,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목적어로서 상기 정합성값에 함께 설정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d1)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d2)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상기 법규 데이터베이스(21)에 텍스트로서 저장된 법규 중에서 변경이 있는 단어를 확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사전 법규검토 모듈(100)이 변경된 단어들이 상기 공간 객체, 부위 객체, 식별 속성, 형상 속성 및 물성 속성들에 포함되는 단어들이거나, 미리 결정된 상기 정합성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요구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KR1020160106249A 2016-08-22 2016-08-22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KR10184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49A KR101842782B1 (ko) 2016-08-22 2016-08-22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49A KR101842782B1 (ko) 2016-08-22 2016-08-22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961A true KR20180021961A (ko) 2018-03-06
KR101842782B1 KR101842782B1 (ko) 2018-03-28

Family

ID=6172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49A KR101842782B1 (ko) 2016-08-22 2016-08-22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7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7212A (zh) * 2019-09-27 2020-01-21 贵州百胜工程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bim模型校验方法
KR2020006159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올앤올 토지속성 정보와 관련 법령 기반 건설 인허가 의사결정 방법
CN111881171A (zh) * 2020-07-17 2020-11-03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图纸识别推荐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04B1 (ko) 2020-03-24 2020-09-10 (주)더퍼스트아이씨티 증강현실 기술 기반 비아이엠 설계데이터의 시공현장 스마트 검측과 설계갱신 시스템
KR102166870B1 (ko) 2020-03-31 2020-10-19 (주)더퍼스트아이씨티 비아이엠 설계데이터 기반 정밀시공 스마트검측 설계지원 시스템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958B1 (ko) * 2015-03-02 2015-1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법규 사전검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95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올앤올 토지속성 정보와 관련 법령 기반 건설 인허가 의사결정 방법
CN110717212A (zh) * 2019-09-27 2020-01-21 贵州百胜工程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bim模型校验方法
CN111881171A (zh) * 2020-07-17 2020-11-03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图纸识别推荐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782B1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782B1 (ko)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KR101568958B1 (ko)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법규 사전검토 방법
Solihin et al. Classification of rules for automated BIM rule checking development
KR101752913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Sanguinetti et al. General system architecture for BIM: An integrated approach for design and analysis
US69965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ke-off of materials using two-dimensional CAD interface
KR101393750B1 (ko) Bim을 이용하여 정보호환성을 향상시킨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US20160267123A1 (en) Method for propagating information between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a specification document
Beazley et al. Enhancing energy efficiency in residential buildings through the use of BIM: The case for embedding parameters during design
Perrone et al. Automated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elements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KR102004903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 위험도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78231B1 (ko) 3d 모델링 미작성 객체에 대한 물량 산출 방법
KR20200082816A (ko) 간접작업항목 도출을 이용하는 건축물량산출장치 및 건축물량산출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US202303061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a building
Parsamehr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model checking to ensure occupant safety in institutional buildings
Choi et al. Development of an open BIM-based legality system for building administration permission services
CN111815024A (zh) 在建筑中计算平面内任意点到点最短路径的方法及系统
Temel et al. Investigation of IFC file format for BIM based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KR101796767B1 (ko)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CN114722185B (zh) 建筑规范条款智能筛选确定方法
US202101418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issues and conflicts with building construction
JP7332318B2 (ja) 異なるbimモデルの構成要素比較装置、bimモデル共有システム、異なるbimモデルの構成要素比較方法、及び異なるbimモデルの構成要素比較プログラム
Li Automated Code-checking of BIM models
WO2022234563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fficient design of buildings
Xu et al. Code checking and visualization of an architectur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