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894A -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894A
KR20180020894A KR1020170102173A KR20170102173A KR20180020894A KR 20180020894 A KR20180020894 A KR 20180020894A KR 1020170102173 A KR1020170102173 A KR 1020170102173A KR 20170102173 A KR20170102173 A KR 20170102173A KR 20180020894 A KR20180020894 A KR 2018002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magnetic wave
polyvinyl alcohol
treatment
bas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2665B1 (en
Inventor
요스케 다나카
츠토무 후루야
용현 권
중만 박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to obtain a polarizing film with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produces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nd comprises: a dyeing process of dyeing and treat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 dichromatic pigment; a cross-linking process of cross-linking and treat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dyeing process;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of irradiating an electromagnetic wave containing infrared light to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process; and a high humidity treatment process of expos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to an environment more than 80 g/m^3 of absolute humidity after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Description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 소자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투명 수지 필름(보호 필름 등)을 접합한 구성의 것이 일반적이다. The polarizing plate is widely used as a polarizing element or the like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s the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film is generally formed by bonding a transparent resin film (protective film or the like) to on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편광 필름은 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 필름에 대하여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염색욕에 침지시키는 처리, 이어서 붕산 등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가교욕에 침지시키는 처리 등을 실시함과 더불어, 어느 단계에서 필름을 일축 연신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일축 연신에는, 공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과, 상기 염색욕 및 가교욕 등의 액중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이 있다. The polarizing film is mainly made by immersing the original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in a dyeing bath containing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or the like and subsequently immersing the film in a crosslinking bath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boric acid And uniaxially stretching the film at a certain stage. Uniaxial stretching includes wet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ir, and stretching in a liquid such as a dyeing bath and a crosslinking bath.

편광 필름은 가교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되면 수축되기 쉬워,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신 배율을 높이면 수축되기 쉬워,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4880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붕소 함유량을 1∼3.5 중량%로 낮은 함유량으로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Since the polarizing film is crosslinked, it tends to shrink when it is heated, resulting in insufficient durability. In addition, i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increased to impr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e film tends to shrink and the durability may not be suffici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48806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a boron content is as low as 1 to 3.5 wt%,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s provided.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14880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3-148806

그러나, 편광 필름에 있어서, 붕소 함유량을 저감시키면 충분한 가교도를 얻을 수 없어 광학 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특성과 내구성이 함께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owever, in the polarizing film, if the boron content is reduced, a sufficient degree of crosslinking can not be obtained,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may be lower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hat can obtain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both optical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in a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described below.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 처리하는 염색 공정과, A dyeing step of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상기 염색 공정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하는 가교 공정과, A cross-linking step of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dyeing step with a cross-

상기 가교 공정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 공정과,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of irradiating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ncluding infrared rays;

상기 전자파를 조사한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And a high-humidity treatment step of expo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an atmosphere having an absolute humidity of 80 g / m 3 or more.

[2]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과 상기 고습 처리 공정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1],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step of cleaning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betwee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and the high moisture treatment step.

[3]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이 전체 방사 에너지의 25%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3]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step,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ratio of the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and not more than 4 탆 is not less than 25% Gt;

[4]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단위체적당 100 J/㎤ 이상 50 kJ/㎤ 이하인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irradiation energ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is 100 J / cm3 or more and 50 kJ / cm3 or less per unit volume of the polyvinyl alcohol- ≪ / RTI >

[5] 상기 고습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04∼1.2배로 일축 연신하는 [1]∼[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at 1.04 to 1.2 times in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6]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6] A produc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 처리하는 염색부와, A dyeing section for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상기 염색 처리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하는 가교부와, A cross-linking portion for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dyeing treatment with a cross-linking agent,

상기 가교 처리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부와,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section for irradiating the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ncluding infrared rays;

상기 전자파를 조사한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부를 구비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And a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for expo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an atmosphere having an absolute humidity of 80 g / m 3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특성과 내구성이 함께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optical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전자파 조사기 종류마다의 방사 에너지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and a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used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radiant energy spectrum for each type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Lt;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 필름은,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요오드나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비누화도는 통상 약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9 몰% 이상이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약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약 1500∼5000 정도이다. 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sually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saponification degree is usually at least about 85 mol%, preferably at least about 90 mol%,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99 mol%. The polyvinyl acetate resin may be, for example, a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and the like.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unsaturated sulfonic acids.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and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These polyvinyl alcohol resins may be modifi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vinyl formal modified with aldehydes,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 제조의 개시 재료로서, 두께가 65 ㎛ 이하(예컨대 6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인 미연신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원반 필름)을 이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arting material for polarizing film production, an unoriented polyvinyl (meth) acrylate having a thickness of 65 占 퐉 or less (for example, 60 占 퐉 or less), preferably 5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35 占 퐉 or less, Alcohol-based resin film (original film) is used.

이에 의해 시장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박막의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원반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400∼6000 mm 정도일 수 있다. 원반 필름은, 예컨대 긴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롤(원반 롤)로서 준비된다. As a result, a polarizing film of a thin film, which is increasingly in demand in the market, can be obtained. The width of the original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400 to 6000 mm. The original film is prepared, for example, as a roll (disk roll) of a long unoriented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이것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에 적층된 것이라도 좋고, 즉, 당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 필름으로서 준비되어도 좋다. 이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minated on a base film suppor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at i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may include a bas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May be prepared as a laminated film. In this cas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coating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base film and then drying it.

기재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이며,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일 수 있다. As the base film, for example, a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film made of a light-transmitting thermoplastic resin, preferably an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 film-like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etc.) Polyolefin resin; 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resin; (Meth) acrylic resin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resins; Polystyrene type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based resin; Acrylonitrile-styrene series resin; Polyvinyl acetate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s; Polyamide based resin; A polyacetal-based resin; Modified polyphenylene ether-based resin; Polysulfone resins;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arylate resins; Polyamideimide series resin; A polyimide-based resin, or the like.

편광 필름은, 상기한 긴 원반 필름을 원반 롤로부터 권출하면서, 편광 필름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반송시키고, 처리조에 수용된 처리액(이하, 「처리욕」이라고도 함)에 침지시킨 후에 인출하는 소정의 처리 공정을 실시한 후에 건조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긴 편광 필름으로서 연속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공정은, 필름에 처리액을 접촉시켜 처리하는 방법이라면 필름을 처리욕에 침지시키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무, 유하, 적하 등에 의해 처리액을 필름 표면에 부착시켜 필름을 처리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처리 공정이 필름을 처리욕에 침지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처리 공정을 행하는 처리욕은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처리욕에 필름을 순차 침지시켜 하나의 처리 공정을 완성시키더라도 좋다. The polarizing film is continuously transported along the film transport path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while being unwound from the master roll, and is immersed in the processing liqui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processing bath &quot; The film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as a long polarizing film by carrying out a drying process after carrying out a predetermined process for drawing out. Here, the treatment step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in which the film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bath if the treatment is conducted by bringing the treatment solution into contact with the film, and a method of treating the film by adhering the treatment solution to the film surface by spraying, . In the case where the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the film is immersed in a treatment bath, the treatment bath for performing one treatment process is not limited to one, and one process may be completed by sequentially immersing the film in two or more treatment baths .

상기 처리액으로서는 팽윤액, 염색액, 가교액, 세정액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 공정으로서는, 원반 필름에 팽윤액을 접촉시켜 팽윤 처리를 행하는 팽윤 공정과, 팽윤 처리 후의 필름에 염색액을 접촉시켜 염색 처리를 행하는 염색 공정과, 염색 처리 후의 필름에 가교액을 접촉시켜 가교 처리를 행하는 가교 공정과, 가교 처리 후의 필름에 세정액을 접촉시켜 세정 처리를 행하는 세정 공정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일련의 처리 공정의 사이(즉,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의 전후 및/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 중)에, 습식 또는 건식으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한다.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처리 공정을 부가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treatment liquid include a swelling liquid, a staining liquid, a crosslinking liquid, a cleaning liquid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cessing steps include a swelling step of swelling the original film by bringing the swelled liquid into contact with the original film, a dyeing step of performing a dyeing treatment by bringing the dye after contact with the swelled film into contact with the film, A cross-linking step of carrying out a cross-linking treatment, and a cleaning step of carrying out a cleaning treatment by bringing a cleaning liquid into contact with the film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In addition,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carried out either wet or dry during these series of treatment steps (that is, before and / or after any one or more treatment steps). Other treatment steps may be added as necessary.

본 발명에서는, 가교 처리 후에, 필름에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한다. 또한, 전자파 조사 공정 후에,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 공정을 행한다. 이러한 2개의 공정을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켜 수축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수축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of irradiating the film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ncluding infrared rays is performed. After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the film is subjected to a high-humidity treatment step in which the film is exposed to an atmosphere having an absolute humidity of 80 g / m &lt; 3 &gt; By having these two processe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hrinking force can be further suppressed. The shrinkage force can be suppressed,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an be obtained.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미연신) 필름(10)을, 원반 롤(11)로부터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킴으로써, 필름 반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팽윤욕(팽윤조 내에 수용된 팽윤액)(13), 염색욕(염색조 내에 수용된 염색액)(15), 제1 가교욕(가교조 내에 수용된 제1 가교액)(17a), 제2 가교욕(가교조 내에 수용된 제2 가교액)(17b) 및 세정욕(세정조 내에 수용된 세정액)(19)을 순차 통과시켜 고습 처리를 행하는 고습 처리부(21)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습 처리부(21)를 통과한 필름의 수분율을 더 조정하기 위해서, 건조로(도시되지 않음)를 통과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얻어진 편광 필름(23)은, 예컨대, 그대로 다음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 필름(23)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 하는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필름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and a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used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such that an original (non-stretchable) film 10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conveyed along a film conveying path while being continuously unwound from the original roll 11, (Swelling liquid contained in the swelling bath) 13, a dyeing bath (dye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dyeing bath) 15, a first crosslinking bath (the first crosslinking liquid contained in the crosslinking bath) 17a, (Second bridging solution) 17b contained in a crosslinking bath (a second crosslink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crosslinking bath) and a cleansing bath (a cleans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cleansing bath) 19 to pass through the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for performing the high-humidity treatment . Further, in order to further adjust the moisture percentage of the fil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it may be passed through a drying furnace (not shown).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23 can be conveyed as it is, for example, in the next polarizing plate producing step (a step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23). The arrows in Fig. 1 indicate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도 1의 설명에 있어서 「처리조」는 팽윤조, 염색조, 가교조 및 세정조를 포함하는 총칭이고, 「처리액」은 팽윤액, 염색액, 가교액 및 세정액을 포함하는 총칭이고, 「처리욕」은 팽윤욕, 염색욕, 가교욕 및 세정욕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팽윤욕, 염색욕, 가교욕 및 세정욕은 각각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팽윤부, 염색부, 가교부 및 세정부를 구성한다.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 term &quot; treatment tank &quot; is a general term including a swelling bath, a dye bath, a crosslinking tank and a washing tank, and the term &quot; treatment liquid &quot; is a generic term including a swollen liquid, Treatment bath &quot; is a generic term including a swelling bath, a dyeing bath, a crosslinking bath, and a cleansing bath. The swelling bath, the dyeing bath, the crosslinking bath and the cleansing bath constitute a swelling portion, a dyeing portion, a crosslinking portion and a cleansing portion in th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처리욕 외에, 반송되는 필름을 지지하거나 혹은 추가로 필름 반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가이드 롤(30∼48, 60, 61)이나, 반송되는 필름을 압박·협지하여, 그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필름에 부여할 수 있거나 혹은 추가로 필름 반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닙 롤(50∼55)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가이드 롤이나 닙 롤은, 각 처리욕의 전후나 처리욕 중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처리욕에의 필름의 도입·침지 및 처리욕으로부터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도 1 참조〕. 예컨대, 각 처리욕 중에 1 이상의 가이드 롤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 롤을 따라서 필름을 반송시킴으로써, 각 처리욕에 필름을 침지시킬 수 있다. The film transport path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in addition to the above treatment bath, guide rolls 30 to 48, 60 and 61 which support the film to be transported or which can further change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And the nip rolls 50 to 55 capable of changing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can be disposed at appropriate positions. The guide rolls and nip rolls can be disposed before or after each treatment bath and the treatment bath, whereby the introduction and immersion of the film in the treatment bath and the withdrawal from the treatment bath can be performed (see Fig. 1). For example, one or more guide rolls may be provided in each treatment bath, and the film may be transported along these guide rolls to immerse the film in each treatment bath.

도 1에 도시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는, 각 처리욕의 전후에 닙 롤이 배치되어 있고(닙 롤(50∼54)), 이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욕 안에서, 그 전후에 배치되는 닙 롤 사이에 주속차(周速差)를 붙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1, nip rolls (nip rolls 50 to 54) are arrang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bath, and thus, in any one or more treatment baths, a nip roll It is possible to carry out roll-to-roll stretching in which longitudinally uniaxial stretching is carried out by attaching a main speed difference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therebetween.

도 1에 도시되는 편광 필름 제조 장치에서는, 제2 가교욕(17b)의 하류이며 세정욕(19)의 상류의 반송 경로 상에 전자파 조사부(71)가 배치되어 있어, 전자파 조사 공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욕(19)의 하류의 반송 경로 상에 고습 처리부(21)가 배치되어 있어, 고습 처리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하 각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section 71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and on the conveying path upstream of the cleansing bath 19, and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step is performed. Further, the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is disposed on the conveyance path downstream of the cleansing bath 19, and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Each step will be described below.

(팽윤 공정)(Swelling process)

팽윤 공정은, 원반 필름(10) 표면의 이물 제거, 원반 필름(10) 중의 가소제 제거, 이염색성의 부여, 원반 필름(10)의 가소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당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이면서 또한 원반 필름(10)의 극단적인 용해나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The swelling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original film 10, removing the plasticizer in the original film 10, imparting this coloring property, plasticizing the original film 10, and the like.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object an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extreme dissolution of the original film 10 and loss of transparency.

도 1을 참조하면, 팽윤 공정은, 원반 필름(10)을 원반 롤(11)로부터 연속적으로 권취하면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고, 원반 필름(10)을 팽윤욕(13)에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원반 필름(10)을 권출하고 나서 팽윤욕(13)에 침지시킬 때까지의 사이, 원반 필름(10)은, 가이드 롤(60, 61) 및 닙 롤(50)에 의해서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된다. 팽윤 처리에 있어서는, 가이드 롤(30∼32) 및 닙 롤(51)에 의해서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된다. 1, in the swelling step, the original film 10 is conveyed along the film conveying path while continuously winding the original film 10 from the original roll 11, and the original film 10 is immersed in the swelling bath 13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withdrawing it. 1, the original film 10 is held by the guide rolls 60, 61 and the nip roll 50 until the original film 10 is unwound and then immersed in the swelling bath 13 And is transported along the constructed film transport path. In the swelling process, the film is conveyed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 established by the guide rolls 30 to 32 and the nip rolls 51.

팽윤욕(13)의 팽윤액으로서는, 순수 외에, 붕산(일본 특허공개 평10-153709호 공보), 염화물(일본 특허공개 평06-281816호 공보), 무기산, 무기염, 수용성 유기 용매, 알코올류 등을 약 0.01∼1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the swelling liquid of the swelling bath 13, boric acid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53709), chlorid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06-281816), inorganic acid, inorganic salt,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alcohol Or the like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about 0.01 to 10% by weight.

팽윤욕(13)의 온도는, 예컨대 10∼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 정도이다. 원반 필름(10)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 정도이다. 또한, 원반 필름(10)이 미리 기체 중에서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인 경우, 팽윤욕(13)의 온도는 예컨대 2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60℃ 정도이다. 원반 필름(10)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240초 정도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13 is, for example, about 10 to 50 占 폚, preferably about 10 to 4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about 15 to 30 占 폚. The immersion time of the original film 10 is preferably about 10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about 20 to 200 seconds. Further, when the original film 10 i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tretched in advance in a gas,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13 is, for example, about 20 to 70 캜, preferably about 30 to 60 캜. The immersion time of the original film 10 is preferably about 30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about 60 to 240 seconds.

팽윤 처리에서는, 원반 필름(10)이 폭 방향으로 팽윤하여 필름에 주름이 들어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 주름을 제거하면서 필름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30, 31 및/또는 32)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擴幅)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예컨대, 닙 롤(50)과 닙 롤(51)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팽윤욕(13)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n the swell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iginal film 10 is swolle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lm is wrinkled. As a means for transporting the film while removing the wrinkles, a roll having a wider width function such as an expander roll, a spiral roll, and a crown roll may be used for the guide rolls 30, 31 and / or 32, Or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ross gauders, bend bars, tenter clips or the like.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is to perform stretching treatment. For exampl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e swelling bath 13 using the difference in speed between the nip roll 50 and the nip roll 51.

팽윤 처리에서는,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도 필름이 팽윤 확대되기 때문에, 필름에 적극적인 연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반송 방향의 필름의 늘어짐을 없애기 위해서, 예컨대, 팽윤욕(13)의 전후에 배치하는 닙 롤(50, 51)의 속도를 컨트롤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윤욕(13) 중의 필름 반송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팽윤욕(13) 내에서의 수류를 수중 샤워로 제어하거나, EPC 장치(Edge Position Control 장치: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여 필름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등을 병용하거나 하는 것도 유용하다. In the swelling treatment, since the film swells and expands even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when the film is not actively stretched, in order to eliminate sagging of the film in the transport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take measures such as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olls 50 and 51 or the like. Further,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film transportation in the swelling bath 13, the water flow in the swelling bath 13 may be controlled by an underwater shower, or an EPC apparatus (Edge Position Control apparatus: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 팽윤욕(13)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 롤(32), 닙 롤(51), 가이드 롤(33)을 순차 통과하여 염색욕(15)에 도입된다. 1, the film drawn out from the swelling bath 13 is introduced into the dyeing bath 15 through the guide roll 32, the nip roll 51 and the guide roll 33 in order.

(염색 공정)(Dyeing process)

염색 공정은, 팽윤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당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또한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나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염색 공정은, 닙 롤(51), 가이드 롤(33∼36) 및 닙 롤(52)에 의해서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고, 팽윤 처리 후의 필름을 염색욕(15)(염색조에 수용된 처리액)에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기 위해서,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염색 처리 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 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 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yeing step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and orienting the dichroic dye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The treatment conditions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object can be achieved and within a range in which problems such as extreme melting of the film and loss of transparency do not occur. 1, the dyeing process is carried out along a film transport path established by the nip roll 51, the guide rolls 33 to 36 and the nip roll 52, and the film after the swelling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dyeing bath 15 ) (A treatment solution contained in a dyeing bat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withdrawing it. In order to enhance the dyability of the dichroic dye, the film provided in the dyeing step is preferably a film subjected to at least som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r in place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or in addition to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t the time of the dyeing treatment.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욕(15)의 염색액에는,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약 0.003∼0.3/약 0.1∼10/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 대신에, 요오드화아연 등의 다른 요오드화물을 이용하여도 좋고, 요오드화칼륨과 다른 요오드화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키더라도 좋다. 붕산을 첨가하는 경우는, 요오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교 처리와 구별되며, 수용액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약 0.003 중량부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면, 염색욕(15)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욕(15)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이다.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n aqueous solution having an iodine / potassium iodide / water concentration of about 0.003 to 0.3 / about 0.1 to 10/100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by weight can be used for the dyeing solution of the dyeing bath 15. Instead of potassium iodide, other iodides such as zinc iodide may be used, or potassium iodide and other iodid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urther, compounds other than iodide such as boric acid,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and the like may coexist. When boric acid is added, it is distinguished from a crosslinking treatment to be described later in that it contains iodine. I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s about 0.003 part by weight or more of iodine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t is regarded as a dyeing bath 15 .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15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is usually about 10 to 45 캜, preferably 10 to 40 캜, more preferably 20 to 35 캜,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30 to 600 Sec, preferably 60 to 300 sec.

이색성 색소로서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욕(15)의 염색액에는,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이색성 염료/물=약 0.001∼0.1/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염색욕(15)에는 염색 조제 등을 공존시켜도 좋고, 예컨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색성 염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염료를 병용하여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욕(15)의 온도는 예컨대 20∼8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70℃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 정도이다. When a water-soluble dichroic dy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dichroic dye / water concentration of about 0.001 to 0.1 / 100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by weight, for example, may be used for the dyeing bath of the dyeing bath 15. The dyeing bath 15 may be provided with a dyeing assistant or the like, and may contain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or a surfactant. The dichroic dy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dichroic dy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15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is, for example, about 20 to 80 캜, preferably 30 to 70 캜,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about 30 to 600 seconds, preferably about 60 to 300 seconds to be.

상술한 것과 같이 염색 공정에서는, 염색욕(15)에서 필름의 일축 연신을 행할 수 있다. 필름의 일축 연신은, 염색욕(15)의 전후에 배치한 닙 롤(51)과 닙 롤(52)의 사이에 주속차를 붙이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In the dyeing step as described above, uniaxial stretching of the film can be performed in the dyeing bath 15. The uniaxial stretching of the film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attaching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nip roll 51 and the nip roll 52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dyeing bath 15.

염색 처리에 있어서도,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필름의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하기 위해서, 가이드 롤(33, 34, 35 및/또는 36)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In the dyeing treatment, as in the case of the swelling treatment, the guide rolls 33, 34, 35, and / or 36 are provided with the same rolls as the expander rolls, spiral rolls, crown rolls A roll having a widening function, or another widening device such as a cloth guider, a bent bar, and a tenter clip.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is to perform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swelling treatment.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 염색욕(15)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 롤(36), 닙 롤(52) 및 가이드 롤(37)을 순차 통과하여 가교욕(17)에 도입된다. 1, the film drawn out from the dyeing bath 15 is introduced into the crosslinking bath 17 through the guide roll 36, the nip roll 52 and the guide roll 37 in order.

(가교 공정)(Crosslinking step)

가교 공정은,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필름이 푸른색을 띠는 것을 방지하는 등)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처리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가교 공정을 행하는 가교욕으로서 2개의 가교욕이 배치되어, 내수화를 목적으로 하여 행하는 제1 가교 공정을 제1 가교욕(17a)에서 행하고, 색상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행하는 제2 가교 공정을 제2 가교욕(17b)에서 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가교 공정은, 닙 롤(52), 가이드 롤(37∼40) 및 닙 롤(53a)에 의해서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고, 제1 가교욕(17a)(가교조에 수용된 제1 가교액)에 염색 처리 후의 필름을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제2 가교 공정은, 닙 롤(53a), 가이드 롤(41∼44) 및 닙 롤(53b)에 의해서 구축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고, 제2 가교욕(17b)(가교조에 수용된 제2 가교액)에 제1 가교 공정 후의 필름을 소정 시간 침지하고, 이어서 인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하, 가교욕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제1 가교욕(17a) 및 제2 가교욕(17b) 모두를 포함하고, 가교액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제1 가교액 및 제2 가교액 모두를 포함한다. The crosslinking process is a proces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for example, water resistance by crosslinking and color adjustment (preventing the film from becoming blu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wo crosslinking baths are arranged as a crosslinking bath for carrying out a crosslinking process, and a first crosslinking process for the purpose of water resistance is performed in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Is carried out in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1, the first crosslinking process is carried out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 constructed by the nip roll 52, the guide rolls 37 to 40 and the nip roll 53a, and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The first crosslink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crosslinking tank)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withdrawing the film. The second crosslinking process is carried out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 constructed by the nip roll 53a, the guide rolls 41 to 44 and the nip roll 53b, and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Crosslinking solution) by immersing the film after the first crosslinking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withdrawing the film. Hereinafter, in the case of a crosslinking bath, it includes both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and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and in the case of a crosslinking bath, it includes both the first crosslinking bath and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가교액으로서는 가교제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이나,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라도 좋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추가로,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여도 좋다. 가교 용액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농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20 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crosslinking solution, a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a crosslinking agent in a solv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and glyoxal and glutaraldehyd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solvent, for example, water may be used, and further, an organic solvent compatible with water may be contained.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wt%,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 to 15 wt%.

가교액으로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예컨대 약 1∼10 중량부 함유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가교액은, 염색 처리에서 사용한 이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붕산에 더하여 요오드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양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30 중량부로 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공존시키더라도 좋다. The crosslinking solution may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for example, about 1 to 10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the dichroic dye used in the dyeing treatment is iodine, the crosslinking solution preferably contains iodide in addition to boric acid, and the amount thereof may be, for example, 1 to 3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and zinc iodide. Further, compounds other than iodide such as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zirconium chloride, sodium thiosulfate, potassium sulfite, sodium sulfate and the like may coexist.

가교 처리에 있어서는, 그 목적에 따라서, 붕산 및 요오드화물의 농도, 그리고 가교욕(17)의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가교 처리의 목적이 가교에 의한 내수화인 제1 가교액의 경우,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3∼10/1∼20/100인 수용액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 대신에 다른 가교제를 이용하여도 좋고, 붕산과 다른 가교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제1 가교욕(17a)의 온도는 통상 5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53∼65℃이고,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0∼3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이다. 또한, 팽윤 처리 전에 미리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염색 처리 및 제1 가교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경우, 제1 가교욕(17a)의 온도는 통상 50∼85℃ 정도, 바람직하게는 55∼80℃이다. In the crosslinking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and iodide and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17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crosslinking solution in which the purpose of the crosslinking treatment is water-resisting by crosslinking, it may be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boric acid / iodide / water = 3 to 10/1 to 20/100 in terms of weight ratio. If necessary, other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instead of boric acid, or boric acid and other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when immersing the film is usually about 50 to 70 占 폚, preferably 53 to 65 占 폚,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about 10 to 600 seconds, preferably 20 to 300 Sec, and more preferably 20 to 200 seconds. When the dyeing treatment and the first cross-linking treatment are performed in this order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previously drawn before the swelling treatmen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is usually about 50 to 85 캜, Lt; / RTI &gt;

색상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제2 가교액에 있어서는, 예컨대,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1∼5/3∼30/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제2 가교욕(17b)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3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100초이다.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for example, boric acid / iodide / water = 1/5/3 to 30/100 can be used in a concentration by weight ratio in the second crosslinking liquid for color adjustment purpos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is usually about 10 to 45 DEG C,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about 1 to 300 seconds, preferably 2 to 100 seconds.

가교 처리는 여러 번 행하여도 좋으며, 통상 2∼5회 행해진다. 이 경우, 사용하는 각 가교욕의 조성 및 온도는, 상기한 범위 내라면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처리는 각각 복수의 공정으로 행하여도 좋다. The crosslinking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several times, usually 2 to 5 times.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each crosslinking bath to be use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f they ar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cross-linking treatment for water resistance by cross-linking and the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may be carried out by a plurality of steps, respectively.

닙 롤(52)과 닙 롤(53a)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제1 가교욕(17a)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닙 롤(53a)과 닙 롤(53b)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제2 가교욕(17b) 중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in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7a using the peripheral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nip roll 52 and the nip roll 53a. In addition,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using the difference in speed between the nip roll 53a and the nip roll 53b.

가교 처리에 있어서도,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필름의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하기 위해서, 가이드 롤(38, 39, 40, 41, 42, 43 및/또는 44)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팽윤 처리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39, 40, 41, 42, 43 and / or 44) is fed to the guide rolls 38, 39, 40, 41, 42, 43 and / or 44 in order to transport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hile removing the wrinkles of the film, A roll having a widening function such as a roll, a crown roll, or another widening device such as a cloth guider, a bent bar, and a tenter clip.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is to perform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swelling treatment.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 제2 가교욕(17b)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은, 가이드 롤(44), 닙 롤(53b)을 순차 통과하여 세정욕(19)에 도입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ilm drawn out from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44 and the nip roll 53b, and is introduced into the cleansing bath 19 sequentially.

(세정 공정)(Cleaning process)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가교 공정 후의 세정 공정을 포함한다. 세정 처리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부착된 여분의 붕산이나 요오드 등의 약제를 제거할 목적으로 행해진다. 세정 공정은, 예컨대, 가교 처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욕(19)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세정 공정은, 세정욕(19)에 필름을 침지시키는 공정 대신에, 필름에 대하여 세정액을 샤워로서 분무함으로써, 혹은 세정욕(19)에의 침지와 세정액의 분무를 병용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 cleaning step after the crosslinking step is included. The cleaning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removing excess boric acid or iodine adhered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e cleaning step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the cleansing bath 19. The cleaning step may be performed by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film as a shower or by using both the immersion in the cleansing bath 19 and the spraying of the cleaning liquid in place of the step of immersing the film in the cleansing bath 19.

도 1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욕(19)에 침지하여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세정 처리에 있어서의 세정욕(19)의 온도는 통상 2∼40℃ 정도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2∼120초 정도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s immersed in a cleansing bath 19 to perform a cleaning treatment. The temperature of the cleansing bath 19 in the cleansing treatment is usually about 2 to 40 DEG C,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about 2 to 120 seconds.

또, 세정 처리에 있어서도, 주름을 제거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반송할 목적으로, 가이드 롤(45, 46, 47 및/또는 48)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 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세정 처리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Also, in the cleaning process, a widening function such as an expander roll, a spiral roll, and a crown roll is applied to the guide rolls 45, 46, 47 and / or 48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the polyvinyl alcohol- , Or by using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loth guiders, bend bars, tenter clips, or the like. Further, in the film washing treatment, a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고습 처리 공정)(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세정욕(19) 뒤에 고습 처리부(21)를 가지고, 고습 처리부(21) 내에 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필름을 고습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를 행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fter a cleansing bath 19, a high-humidity treatment unit 21 is provided, and a film is passed through the high-humidity treatment unit 21 to perform a high-humidity treatment for exposing the film to a high humidity atmosphere.

필름을 고습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를 행함으로써 필름의 수축력을 억제할 수 있다. 고습 처리부(21) 내의 절대습도는, 필름의 수축력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80 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 이상이다. 또, 절대습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고습 처리부 내에서의 결로의 발생이나 결로수에 의한 필름의 오염이 우려되므로, 절대습도는 바람직하게는 55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g/㎥ 이하이다. 수축력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의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The shrinking force of the film can be suppressed by performing the high humidity treatment in which the film is exposed to a high humidity atmosphere. The absolute humidity in the high 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is 80 g / cm 3 or higher, preferably 100 g / cm 3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120 g / cm 3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hrinking force of the film. If the absolute humidity is excessively high, there is a risk of dew condensation or contamination of the film due to dew condensation in the high humidity treatment section. Therefore, the absolute humidity is preferably 550 g / m 3 or less, more preferably 400 g / m 3 or less ,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00 g / m 3,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180 g / m 3. By suppressing the shrinkage force,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an be obtained.

고습 처리부(21) 내의 분위기 온도는, 절대습도를 상기한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는 관점 및 필름의 반송성을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또한 당해 분위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며, 우수한 광학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The atmosphere temperature in the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is preferably 40 ° C or higher, more preferably 55 °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easy adjustment of the absolute humidity to the preferable numerical value range described above, Or more, more preferably 60 ° C or more.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is preferably 100 占 폚 or lower, and preferably 90 占 폚 or low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고습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이다. 또한 당해 시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너무 길면 광학 특성의 열화가 우려되므로, 바람직하게는 6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분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분 이하이다. The high-humidity treatment for exposing the film to an atmosphere having a high humidity of at least 80 g / cm 3 is preferably 5 second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seconds or more. The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but is preferably 60 minutes or shorter, more preferably 30 minutes or shorter, still more preferably 10 minutes or shorter, 5 minutes or less.

고습 처리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세정 공정 후에 실시되지만, 고습 처리 공정 중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등에 의해 고습 처리와 세정 처리를 동시에 행하여도 좋고, 또한, 고습 분위기 하에 노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필름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 고습 처리가 세정 처리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the cleaning process. However, the high-humidity treatment and the clean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during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or the film may be substantially cleaned Or the like may be combined with the cleaning treatment.

고습 처리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하는 처리, 즉, 그 수분율을 저하시키는 처리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적절히 수분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고습 처리 공정 전이나 후에 건조 처리를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다.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may also be a treatment for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at is, a treatment for lowering the moisture content. Accordingly, when the moisture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erform the drying treatment before or after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고습 처리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의 수분율은, 필름의 두께에 의존하지만, 통상 13∼50 중량%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이다. 고습 처리 공정에 의한 수분율 저하의 정도, 즉 고습 처리 전의 수분율과 고습 처리 후의 수분율의 차(수분율차 ΔS)도 또한 필름의 두께에 의존하지만, 예컨대 5∼4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8∼35 중량%이다. 예컨대 원반 필름의 두께가 40 ㎛ 정도 이하인 경우, 수분율차 ΔS는 15 중량% 미만으로 할 수 있다.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lm provided in the high-moisture treatment process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film, but is generally about 13 to 50% by weight, preferably 30 to 50% by weight. The difference in moisture percentage due to the high moisture treatment proces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isture percentage before the high humidity treatment and the moisture percentage after the high humidity treatment (moisture content difference? S) also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film, but is in the range of 5 to 45 wt% Weight%.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original film is about 40 占 퐉 or less, the moisture content difference? S can be less than 15% by weight.

고습 처리 공정 후의 필름(고습 처리 공정이 최종 공정인 경우에는 편광 필름)의 수분율도 또한 필름의 두께에 의존하지만, 5∼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후의 필름의 반송성의 관점에서, 6∼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분율이 너무 낮으면 반송 중에 필름이 찢어지기 쉽게 되고, 또한 수분율이 너무 높으면, 방습(放濕)에 의해 필름 단부에 컬이 생기기 쉽게 된다.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lm after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the polarizing film when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is the final process) also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film, but is preferably 5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15% by weight. If the moisture content is too low, the film tends to be torn during transportation, and if the moisture content is too high, curling of the film ends is liable to occur due to moisture release.

대체로 필름이 얇을수록 수분은 산일(散逸)되기 쉬우며, 따라서 원반 필름이 얇을수록 고습 처리 공정 후에 있어서의 수분율이 낮아진다. 수분율이 너무 지나치게 낮으면 필름의 반송성이 저하하기 쉽게 된다. In general, the thinner the film, the more easily the moisture is scattered. Therefore, the thinner the original film, the lower the moisture content after the high-humidity treatment process. If the moisture content is too low, the transportability of the film tends to deteriorate.

고습 처리 공정은, 가교 공정 또는 세정 공정 직후에 행하여도 좋고, 가교 공정 또는 세정 공정에 이어서 다른 공정을 실시한 후에 행하여도 좋다. 다른 공정으로서는 건조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단, 수축력의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가교 공정 또는 세정 공정의 필름을 그대로 고습 처리 공정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crosslinking step or the cleaning step, or may be carried out after the crosslinking step or the cleaning step, followed by another step. Examples of other processes include a drying process.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uppressing the rise of the shrinkage for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ilm of the crosslinking step or the washing step to the high-moisture treatment step as it is.

(연신 공정)(Drawing step)

상술한 것과 같이 원반 필름(10)은, 상기 일련의 처리 공정의 사이(즉,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의 전후 및/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 중)에, 습식 또는 건식으로 일축 연신 처리된다. 일축 연신 처리의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필름 반송 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닙 롤(예컨대, 처리욕 전후에 배치되는 2개의 닙 롤) 사이에 주속차를 붙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일본 특허 제2731813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롤간 연신이다. 일축 연신 공정은, 원반 필름(10)으로부터 편광 필름(23)을 얻을 때까지의 사이에 여러 번에 걸쳐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연신 처리는 필름의 주름 발생의 억제에도 유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film 10 is uniaxially stretched in a wet or dry manner during the series of processing steps (that is, before and / or after any one or more processing steps). A specific method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for example, a roll-to-roll stretching in which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by attaching a main speed difference between two nip rolls constituting a film transport path (for example, two nip rolls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ath) A hot roll stretching method, a tenter stretching method, and the like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2731813, and is preferably a roll-to-roll stretching method.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several times between the original film 10 and the polarizing film 23. As described above, the stretching treatment is also advantageous in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in the film.

원반 필름(10)을 기준으로 하는, 편광 필름(23)의 최종적인 누적 연신 배율은 통상 4.5∼7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6.5배이다. 연신 공정은 어느 처리 공정에서 행하여도 좋으며, 2 이상의 처리 공정에서 연신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연신 처리는 어느 처리 공정에서 행하여도 좋다. The final cumulative stretch magnification of the polarizing film 23 based on the original film 10 is usually about 4.5 to 7 times, preferably 5 to 6.5 times.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ny process step, and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tretching process in two or more process steps, the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ny process step.

필름의 수축력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연신 공정은, 세정 공정의 완료까지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제1 연신 공정과, 고습 처리 공정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제2 연신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신 공정과 제2 연신 공정을 가짐으로써, 제1 연신 공정으로만 동일한 연신 배율을 실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축력을 억제할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hrinking force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step includes a first stretching step for performing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until completion of the cleaning step and a second stretching step for performing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the high humidity treatment step. By having the first stretching step and the second stretching step, contraction force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ame stretching ratio is achieved only in the first stretching step.

제2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일축 연신 처리는 건식 연신 및 습식 연신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고습 분위기 하에서 연신을 행하는 경우, 통상은 건식 연신이다. 건식 연신에 의한 일축 연신 처리는, 2개의 닙 롤 사이에 주속차를 붙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일 수 있다. 제2 연신 공정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01∼1.4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배∼1.2배이다.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the second stretching step may be either dry stretching or wet stretching, but in the case of stretching under a high humidity atmosphere, it is usually dry stretching.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y dry stretching may be roll stretching, thermal roll stretching, tenter stretching, or the like, in which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by attaching a main speed difference between two nip rolls. The drawing magnification of the second drawing step is preferably 1.01 to 1.4 times, more preferably 1.04 to 1.2 times.

제2 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에 걸리는 장력은, 수축력의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50∼50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필름 장력은 300∼150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lm in the second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50 to 5000 N / m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the contracting forc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of the film, the film tension is more preferably 300 to 1500 N / m.

(전자파 조사 공정)(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도 1에 도시되는 장치에서는, 필름이, 제2 가교 공정(17b)으로부터 인출되어, 닙 롤(53b)을 통과한 후에, 세정욕(19)에 침지되기 전에, 필름에 대하여 전자파의 조사(전자파 조사 공정)가 행해진다. 도 1에 도시되는 장치에서는, 전자파 조사부(71)로부터 전자파의 조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자파 조사 공정에서 이용되는 전자파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것이며,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이 전자파의 전체 방사 에너지의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이러한 전자파를 필름에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자파에 관해서,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80% 이하이다. 통상 파장 0.75 ㎛∼1000 ㎛의 전자파를 적외선이라고 한다.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after the film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crosslinking step 17b,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3b, and then immersed in the cleansing bath 19, the film is irradiated with electromagnetic waves Irradiation step) is performed.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electromagnetic waves are irradiated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unit 71. Fig. The electromagnetic wave used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rared ray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to 4 탆 or less is preferably 25% or more of the total radiant energy of electromagnetic waves, 2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5% or more. By irradiating such an electromagnetic wave to the film,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can be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electromagnetic wa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atio of the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2 탆 or more and 4 탆 or l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80% or less,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wave having a wavelength of 0.75 mu m to 1000 mu m is called an infrared ray.

본 발명은, 고습 처리 공정을 행하고, 또한 그 전에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하는 방법임으로써, 편광 필름의 수축력의 더한층의 억제, 광학 특성의 더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수축력을 억제할 수 있고,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카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전자파 조사 공정에 의해 필름 내의 분자 운동이 여기되고, 이에 의해 가교 처리된 필름 중의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의 고정화가 촉진되고, 이 상태에서 고습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수축력의 억제 및 광학 특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arrying out a high-humidity treatment step and for carrying out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before that, thereby further suppressing the shrinking for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further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mechanism capable of restraining the shrinking for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s not clear, the molecular motion in the film is exci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and thereby the dichroic dye such as iodine Immobilization is promoted and high-humidity treatment is performed in this state, which is presumed to contribute to suppression of contraction force and improvement of optical characteristics.

도 2는 전자파 조사기 종류마다의 방사 에너지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또한, 표 1은, 전자파 조사기 종류마다의, 각 파장 영역(파장 x ㎛의 범위로 나타냄)의 전자파의 방사 에너지의 전체 방사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도 2 및 표 1에 나타내는 전자파 조사기는, 할로겐 히터(열원 온도 2600℃), 단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2200℃), 고속 응답 중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1600℃), 카본 히터(열원 온도 1200℃), 카본 히터(열원 온도 950℃), 중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900℃)이다. Fig. 2 shows a radiant energy spectrum for each type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Table 1 shows the ratio of the radiant energy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in each wavelength range (expressed in the range of wavelength x 占 퐉) to the total radiant energy for each type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shown in Fig. 2 and Table 1 is a halogen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2600 캜), a short wavelength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2200 캜), a fast response medium wave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1600 캜), a carbon heater ), A carbon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950 캜), and a medium-frequency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900 캜).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전자파 조사부(71)에 있어서는, 수축력을 더욱 억제하여, 광학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이 전체 방사 에너지의 25% 이상인 전자파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2200℃), 고속 응답 중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1600℃), 카본 히터(열원 온도 1200℃), 카본 히터(열원 온도 950℃), 중파장 적외선 히터(열원 온도 900℃)는,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이 전체 방사 에너지의 25% 이상이다. In the electromagnetic-wave irradiator 7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and not more than 4 탆 is not less than 25% of the total radiant energy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suppressing the contractive force and further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 As shown in Table 1, it is possible to use a short wavelength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2200 ° C), a high-speed response medium-wave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1600 ° C), a carbon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1200 ° C), a carbon heater The infrared heater (heat source temperature 900 캜) has a ratio of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and 4 탆 or less of 25% or more of the total radiant energy.

전자파 조사부(71)는, 1대의 전자파 조사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여러 대의 전자파 조사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러 대의 전자파 조사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러 대의 전자파 조사기로부터 방사되는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가 여러 대의 전자파 조사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의 전체 방사 에너지의 25% 이상이 되도록 여러 대의 전자파 조사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는, 필름의 한쪽의 면에만 전자파가 조사되도록 전자파 조사부(71)가 구성되어 있지만, 필름의 양면에서 전자파가 조사되도록 복수의 전자파 조사기를 배치하여도 좋다. 전자파 조사부(71)는, 조사 대상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폭 방향 전역에 전자파가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unit 71 may be constituted by on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or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In the case where it is constituted by several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the radiation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and not more than 4 탆 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is not less than 25% of the total radiation energy of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It is preferable to select several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as much as possible. 1,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unit 71 is configured to irradiate electromagnetic waves only on one side of the film, but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may be disposed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irradiated on both sides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71 is configured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are irradiated to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to be irradiated.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전자파는 필름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 상측으로부터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파 조사부(71)에 있어서의 전자파 조사기의 전자파 방사구와 필름 사이의 거리는 2∼40 cm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 c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 거리는, 전자파 조사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의 방사 에너지의 양이나 필름 표면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 조사 시의 필름 표면의 온도는 30∼90℃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0∼80℃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s irradiated from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lm surfac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or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and the film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71 is preferably 2 to 40 cm, more preferably 5 to 20 cm.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radiant energ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ed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the temperature of the film surface, and the like. The temperature of the film surface at the time of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is preferably maintained at 30 to 90 캜, and more preferably at 40 to 80 캜.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통상 100 J/㎤ 이상, 50 kJ/㎤ 이하로 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100 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J/㎤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온도 상승에 의한 필름의 열화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10 kJ/㎤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J/㎤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 J/㎤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전자파의 조사 열량에 비례하여 필름의 수분량이 감소하지만, 본 발명의 전자파 조사 공정은, 필름의 수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조사 열량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한다.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the irradiation calorific valu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unit volume of the film may be generally 100 J / cm3 or more and 50 kJ / cm3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preferably 100 J / cm3 or more, more preferably 500 J / cm3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0 J / cm3 or more. The irradiation heat amoun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unit volume of the film is preferably 10 kJ / cm3 or less, more preferably 5,000 J / cm3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00 J / cm3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film deterioration due to temperature rise More preferable. Usually, the water content of the film i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rradiation heat amoun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However,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lm, and the irradiation heat amou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Select appropriately within the range.

전자파 조사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가교욕에 침지시킨 후의 필름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면 되며,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든 가교욕에 침지시킨 후의 필름에 대하여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가교욕에 침지시킨 후이며 제2 가교욕에 침지되기 전의 필름에 대하여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하여도 좋고, 제2 가교욕에 침지시킨 후의 필름에 대하여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단, 전자파 조사 공정에 의해, 가교욕에 침지함으로써 필름 내에 도입된 붕산의 가교를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가교욕에의 침지가 완료된 필름에 대하여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하는 것이, 붕산의 가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전자파 조사 공정은, 가교 공정 후이면서 또한 고습 처리 공정 전이라면, 세정 공정 전이라도 후라도 좋다.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only needs to be performed on a film immersed in at least one crosslinking bath, and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film is immersed in all the crosslinking baths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film before being immersed in the first crosslinking bath and before being immersed in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or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film immersed in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An irradiation step may be performed. However, since the crosslinking of the boric acid introduced into the film can be advanced by immersing in the crosslinking bath by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it is more preferable to carry out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on the film having been immersed in all the crosslinking baths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advanced.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cleaning step, as long as it is after the crosslinking step and before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전자파의 조사는, 가교욕으로부터 필름이 인출된 후, 10초 이내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5초 이내에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욕으로부터 인출되고 나서 전자파가 조사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을수록 전자파 조사에 의한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 분자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표면에 물 분자가 존재하면, 필름 표면의 물 분자가 적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전자파 조사에 의한 필름 내의 분자 운동의 여기 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가교욕으로부터 인출된 직후에는 필름의 표면에 가교액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파 조사 공정 전에 이것을 제거하는 제액(除液)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닙 롤(53b)이,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가교액을 제거하는 제액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제액 수단으로서는, 닙 롤 이외에도, 필름에 에어를 불어 제액을 행하는 수단, 필름에 접촉하여 제액을 행하는 스크레이퍼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The irradi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preferably performed within 10 seconds after the film is drawn out from the crosslinking bath, more preferably within 5 seconds. The shorter the time from the drawing of the crosslinking bath to the irradi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he m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film by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can be improved. Further,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water molecul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is small. If water molecules ar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film, water molecules on the surface of the film absorb infrared rays, and the excitation effect of molecular motion in the film due to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is lowered. Immediately after being drawn out from the crosslinking bath, since the crosslinking liquid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film,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iquid removing means for removing the crosslinking liquid before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In Fig. 1, the nip roll 53b also functions as a liquid remover for removing the cross-linking liqui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In addition to the nip roll, a means for blowing air to the film to perform the solution, a scraper for contacting the film and performing the solution may be used as the solution remover.

경제성의 관점에서 필름 가공 속도를 고속으로 하면, 구체적으로는 가공 속도를 10∼100 m/min으로 빠른 가공 속도로 한 경우, 전자파 조사 시간이 단시간으로 되어, 조사 열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 대응으로서 전자파 조사기를 여러 대 병렬로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조사 열량을 얻을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al efficiency, when the film processing speed is set to a high speed, specifically, when the processing speed is set at a high processing speed of 10 to 100 m / m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time is shortened and the irradiation heat amount may be insufficient. As a countermeasure, a sufficient amount of irradiation heat can be obtained by providing several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s in parallel.

(건조 공정)(Drying step)

세정 공정 후이며 고습 처리 공정 전 또는 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처리를 할 수 있다. 필름의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can be dried after the cleaning step or before or after the high moisture treatment step. The drying method of th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컨대, 열풍건조기를 구비한 건조로를 이용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30∼100℃ 정도이며, 예컨대 30∼600초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는 처리는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23)의 두께는 예컨대 약 5∼30 ㎛ 정도이다. For example, a drying furnace equipped with a hot air dryer can be used. The dry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about 30 to 100 DEG C, for example, about 30 to 600 seconds. The treatment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erformed using a far-infrared heat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23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s, for example, about 5 to 30 占 퐉.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는,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40∼47%인 것이 바람직하고, 41∼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9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9.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가 클수록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 특성 향상 효과가 커진다. 따라서,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가 41% 이상, 나아가서는 42% 이상, 더 나아가서는 43.5% 이상인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Ty가 43.5% 이상이면서 Py가 99.994% 이상인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Ty 및 Py는 후술하는 실시예 항의 기재에 따라서 측정된다.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40 to 47% and more preferably 41 to 45%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with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is preferably 99.9% or more, more preferably 99.95% or more, and the larger the value, the more preferabl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of Polarizing Film The larger the single transmittance Ty is, the great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case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a visual sensitivity-corrected amature transmittance Ty of 41% or more, more preferably 42% or more, and furthermore 43.5% or 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olarizing film having a Ty of 43.5% or more and a Py of 99.994% or more can be obtained. Ty and Py ar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얻어진 편광 필름은, 권취 롤에 순차 권취하여 롤 형태로 하여도 좋고, 권취하지 않고서 그대로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보호 필름 등을 적층하는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may be rolled into a roll by sequentially winding on a winding roll, or may be provided to a polarizing plate production step (a step of laminating a protective film or the lik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as it is without winding.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대한 그 밖의 처리 공정)(Other Treatment Processes for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상기한 처리 이외의 처리를 부가할 수도 있다. 추가될 수 있는 처리의 예는, 가교 공정 후에 행해지는, 붕산을 포함하지 않는 요오드화물 수용액에의 침지 처리(보색 처리), 붕산을 포함하지 않고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의 침지 처리(아연 처리)를 포함한다. Processing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may be added. Examples of the treatment that can be added include an immersion treatment (complementary treatment) in an iodid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no boric acid, which is carried out after the crosslinking step, an immersion treatmen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zinc chloride or the like without containing boric acid Processing).

<편광판> <Polarizer>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되는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를 통해 보호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쇄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A polarizing plate can be obtained by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t least on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produced as described above through an adhesive. As the protective film, for example, a film comprising an acetylcellulose-based resin such as triacetylcellulose or diacetylcellulose; A film made of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resin film, cycloolefin resin film; Acrylic resin film; And a film made of a chain olefin resin of a polypropylene type resin.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편광 필름 및/또는 보호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합에 이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아크릴계 화합물과 광라디칼 중합개시제의 혼합물이나, 에폭시 화합물과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고, 개시제로서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와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corona treatment, a flame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n ultraviolet irradiation, a primer coating treatment, or a saponification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bonding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and / or the protective film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It is also good. Examples of the adhesive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include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such as an ultraviolet ray curable adhesive or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o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nd an aqueous adhesive such as a urethane emulsion adhesive .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may be a mixture of an acrylic compound and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mixture of an epoxy compound and a cationic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like. In addition, a cationic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 a radical polymerizable acrylic compou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together as an initiato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Lt; Example 1 >

도 1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실시예 1의 편광 필름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60 ㎛의 긴 폴리비닐알코올(PVA) 원반 필름〔(주)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쿠라레비닐론 VF-PE#6000」,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롤로부터 권출하면서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30℃의 순수로 이루어지는 팽윤욕에 체류 시간 89초로 침지시켰다(팽윤 공정). 그 후, 팽윤욕으로부터 인출한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2/0.3/100(중량비)인 요오드를 포함하는 30℃의 염색욕에 체류 시간 156초로 침지시켰다(염색 공정). 이어서, 염색욕으로부터 인출한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12/4/100(중량비)인 56℃의 제1 가교욕에 체류 시간 67초로 침지시키고, 이어서,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9/3/100(중량비)인 40℃의 제2 가교욕에 체류 시간 11초로 침지시켰다(가교 공정). 염색 공정 및 가교 공정에 있어서, 욕 중에서의 롤간 연신에 의해 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원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총 연신 배율은 5.69배로 했다. Using the pro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 polarizing film of Example 1 was produced wit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pecifically, a long original polyvinyl alcohol (PVA)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占 퐉 (trade name "Kurarabinetron VF-PE # 6000"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9 mol% , And immersed in a swelling bath made of pure water at 30 캜 for a residence time of 89 seconds (swelling step). Thereafter, the film drawn out from the swelling bath was immersed in a dyeing bath at 30 DEG C containing iodine with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of 2 / 0.3 / 100 (weight ratio) at a residence time of 156 seconds (dyeing step). Subsequently, the film drawn out from the dyeing bath was immersed in a first crosslinking bath at 56 ° C of 12/4/100 (weight ratio) of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ter at a residence time of 67 seconds, and then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Was immersed in a second crosslinking bath at 40 캜, which was 9/3/100 (weight ratio), at a residence time of 11 seconds (crosslinking step). In the dyeing step and the crosslinking step,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by roll-to-roll stretching in a bath. The total draw ratio based on the original film was 5.69 times.

이어서, 제2 가교욕(17b)으로부터 인출하여, 닙 롤(53b)을 통과한 필름에 대하여, 전자파 조사기(중파장 적외선 히터(MW 히터), 제품명: Golden 8 Medium-wave twin tube emitter, Heraeus사 제조, 열원 온도 900℃, 최대 에너지 밀도 60 kW/㎡)를 이용하여, 필름의 표면에서 5 cm 떨어진 위치에 전자파 방사구를 배치하고, 전자파 조사기의 최대 조사 출력에 대하여 출력 30%로 전자파를 조사했다. 필름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560 J/㎤였다. 또, 필름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이하의 식에 의해 계산했다. Subsequently, the film was taken out from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and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3b. The film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medium wave infrared heater (MW heater), product name: Golden 8 Medium-wave twin tube emitter, And a maximum energy density of 60 kW / m 2 at a heat source temperature of 900 ° C.), an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hole was disposed at a position 5 cm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film, and an electromagnetic wave was irradiated with an output power of 30% did. The irradiation calorific valu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film unit was 560 J / cm 3. The calorific value of the irradi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film unit volum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필름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최대 에너지 밀도)×(히터 가열부 표면적)×출력(%)/(전자파 조사 면적)}×(전자파 조사 시간)÷(필름 두께)(Irradiation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 per film unit) = {(maximum energy density) x (heater heating surface area) x output (%) /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area)

출력(%)이란, 전자파 조사기의 최대 조사 출력에 대하여 실제로 조사한 출력의 비율(%)을 나타낸다. The output (%) indicates the ratio (%) of the actually irradiated output to the maximum irradiation outpu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제2 가교욕(17b)으로부터 인출된 후, 필름이 반송되어 전자파 조사기의 조사 위치에 도달하여 전자파가 조사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5초였다. After the film was taken out from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7b, the film was transported, and the time taken until reaching the irradiating posi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and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was 5 seconds.

전자파를 조사한 필름을 5℃의 순수로 이루어지는 세정욕(19)에 체류 시간 3초로 침지시켰다(세정 공정). 그 후, 고습 처리부(21) 내에서, 온도 75℃, 절대습도 147 g/㎤, 상대습도 61%로 하여, 체류 시간 60초로 필름을 고습 환경 하에 노출했다. 이 때, 아울러 1.14배의 일축 연신 처리를 행했다. 마지막으로, 필름을 건조로 내에서, 온도 30℃, 절대습도 10 g/㎤, 체류 시간 120초로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거쳐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3 ㎛였다. The film irradiated with the electromagnetic wave was immersed in a cleansing bath 19 made of pure water at 5 캜 for a retention time of 3 seconds (cleaning step). Thereafter, the film was exposed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75 deg. C, an absolute humidity of 147 g / cm3, and a relative humidity of 61% in a high humidity treatment section 21 at a residence time of 60 seconds. At this tim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f 1.14 times was also performed. Finally, the film was dried in a drying furnace at a temperature of 30 DEG C, an absolute humidity of 10 g / cm &lt; 3 &gt; and a residence time of 120 seconds to obtain a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23 m.

<실시예 2∼3> &Lt; Examples 2 to 3 &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전자파 조사기의 출력(%) 및 필름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을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모두 23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output (%)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and the irradiation calorific valu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film unit volume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were as shown in Table 2.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all 23 占 퐉.

<비교예 1> &Lt; Comparative Example 1 &

전자파 조사 공정을 행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3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was not performe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23 占 퐉.

<비교예 2> &Lt; Comparative Example 2 &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의 전자파 조사기의 출력(%) 및 필름 단위체적당 전자파의 조사 열량을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점, 고습 처리 공정을 행하지 않은 점, 및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를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3 ㎛였다. The output (%)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or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and the irradiation calorific valu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er film unit volume are shown in Table 2, the high humidity treatment step was not performed,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one point.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23 m.

<비교예 3> &Lt; Comparative Example 3 &

전자파 조사 공정 및 고습 처리 공정을 행하지 않은 점, 고습 처리 공정을 행하지 않은 점, 및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를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3 ㎛였다.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rocess and the high humidity treatment process were not performed, the high humidity treatment process was not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in the drying process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2.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23 m.

[편광 필름의 평가][Evaluation of polarizing film]

(a) 단체 투과율, 편광도 및 직교 색상의 b값의 측정(a) Measurement of b-value of the unit transmittance, polarization degree and orthogonal color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에 관해서, 적분구를 지닌 분광광도계〔닛폰분코(주)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파장 380∼780 nm 범위에서의 MD 투과율과 TD 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식: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MD transmittance and the TD transmittance in a wavelength range of 380 to 780 nm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 The following formula:

단체 투과율(%)=(MD+TD)/2Bulk transmittance (%) = (MD + TD) / 2

편광도(%)={(MD-TD)/(MD+TD)}×100Polarization degree (%) = {(MD-TD) / (MD + TD)} 100

에 기초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를 산출했다. , The singl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polarization degree at each wavelength were calculated.

「MD 투과율」이란, 글랜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나오는 편광의 방향과 편광 필름 시료의 투과축을 평행하게 했을 때의 투과율이며, 상기 식에서는 「MD」로 나타낸다. 또한, 「TD 투과율」이란, 글랜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나오는 편광의 방향과 편광 필름 시료의 투과축을 직교로 했을 때의 투과율이며, 상기 식에서는 「TD」로 나타낸다. 얻어진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에 관해서, JIS Z 8701:1999 「색의 표시 방법-XYZ 표색계 및 X10Y10Z10 표색계」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하여,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시감도 보정 편광도(Py) 및 직교 색상의 b값을 구했다. 표 2에 산출 결과를 나타낸다. The "MD transmittance" is the transmittance whe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ed light emerging from the Glan Thompson prism is parallel to the transmittance axis of the sample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expressed by "MD" in the above expression. The term &quot; TD transmittance &quot; means the transmittance whe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of light emerging from the Glan Thompson prism is orthogonal to the transmittance axis of the sample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represented by &quot; TD &quot; The obtained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degree were subjected to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by a 2-degree visual field (C light source) of JIS Z 8701: 1999 "Color display method-XYZ color system and X 10 Y 10 Z 10 color system" Ty,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and the b value of the orthogonal color. Table 2 shows the calculation results.

(b) 수축력의 측정(b) Measurement of contraction force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으로부터, 흡수축 방향(MD, 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폭 2 mm, 길이 10 mm의 측정용 시료를 잘라냈다. 이 시료를 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주) 제조의 열기계 분석 장치(TMA)「EXSTAR-6000」에 셋트하여,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80℃에서 4시간 유지했을 때에 발생하는 긴 변 방향(흡수축 방향, MD)의 수축력(MD 수축력)을 측정했다. 이와 같이 측정하는 수축력은 작을수록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예컨대, 4 N/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easurement samples having a width of 2 mm and a length of 10 mm were cut out from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each having a long side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MD, stretching direction). This sample was set on a thermomechanical analyzer (TMA) &quot; EXSTAR-6000 &quot;, manufactured by Esa Eye Nanotechnology Co., Ltd., and maintained at 80 DEG C for 4 hours while keeping the dimensions constant. (MD shrinkage force) of the absorbent core (absorption axis direction, MD) was measured. The smaller the shrinkage force to be measured, the better the durability is, and for example, 4 N / 2 mm or less is preferabl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3의 편광 필름은, 비교예 1∼3의 편광 필름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3의 편광 필름은, 비교예 2, 3의 편광 필름과 비교하여 총 연신 배율이 높지만, 수축력이 보다 억제된 것이었다. As shown in Table 2, the polarizing films of Examples 1 to 3 had better optical characteristics than the polarizing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2, the polarizing films of Examples 1 to 3 had a higher total draw ratio as compared with the polarizing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but the shrinking force was further suppressed.

10: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 필름, 11: 원반 롤, 13: 팽윤욕, 15: 염색욕, 17a: 제1 가교욕, 17b: 제2 가교욕, 19: 세정욕, 21: 고습 처리부, 23: 편광 필름, 30∼48, 60, 61: 가이드 롤, 50∼52, 53a, 53b, 54, 55: 닙 롤, 71: 전자파 조사부.A first crosslinking bath; 17b: a second crosslinking bath; 19: a wash liner; and 21: a high-humidity processing unit. , 23: polarizing film, 30-48, 60, 61: guide roll, 50-52, 53a, 53b, 54, 55: nip roll, 71: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part.

Claims (6)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 처리하는 염색 공정과,
상기 염색 공정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하는 가교 공정과,
상기 가교 공정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 공정과,
상기 전자파를 조사한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dyeing step of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 cross-linking step of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dyeing step with a cross-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of irradiating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ncluding infrared rays;
And a high-humidity treatment step of expo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an atmosphere having an absolute humidity of 80 g / m 3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과 상기 고습 처리 공정의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step of cleaning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betwee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and the high moisture treatment ste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는, 2 ㎛ 초과 4 ㎛ 이하의 파장의 적외선의 방사 에너지의 비율이 전체 방사 에너지의 25% 이상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the electromagnetic wave has a ratio of radiant energy of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more than 2 탆 and not more than 4 탆 to not less than 25% of total radiant energ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조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의 조사 열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단위체적당 100 J/㎤ 이상 50 kJ/㎤ 이하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in the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on step, the irradiation heat amoun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not less than 100 J / cm 3 and not more than 50 kJ / cm 3 per unit volume of the polyvinyl alcohol- &Lt; / RTI &g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습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04∼1.2배로 일축 연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at 1.04 to 1.2 times in the high-humidity treatment step.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로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 처리하는 염색부와,
상기 염색 처리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하는 가교부와,
상기 가교 처리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적외선을 포함하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부와,
상기 전자파를 조사한 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절대습도 80 g/㎥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하는 고습 처리부를 구비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A produc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dyeing section for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 cross-linking portion for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dyeing treatment with a cross-linking agent,
An electromagnetic wave irradiating section for irradiating the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including infrared rays;
And a high-humidity treatment section for expo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irradia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to an atmosphere having an absolute humidity of 80 g / m 3 or more.
KR1020170102173A 2016-08-18 2017-08-11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25126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0808 2016-08-18
JPJP-P-2016-160808 2016-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94A true KR20180020894A (en) 2018-02-28
KR102512665B1 KR102512665B1 (en) 2023-03-21

Family

ID=6126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173A KR102512665B1 (en) 2016-08-18 2017-08-11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23532B2 (en)
KR (1) KR102512665B1 (en)
CN (2) CN114167539A (en)
TW (1) TWI72919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7746B (en) * 2020-04-17 2021-05-1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4706A (en) * 1982-11-22 1984-05-31 Mitsui Toatsu Chem Inc Manufacture of polarizing film
JP2013148806A (en) 2012-01-23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er
KR20150035528A (en) * 2012-07-02 2015-04-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fabrication method and fabrication device
KR20150101510A (en) * 2014-02-26 2015-09-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of preparing polarizer
JP2016093278A (en) * 2014-11-13 2016-05-26 福田 英樹 Umbrella bundling device and umbrella unit
WO2016093277A1 (en) * 2014-12-12 2016-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176A (en) * 2003-06-10 2005-01-06 Asahi Denka Kogyo Kk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film
JP4213616B2 (en) * 2004-03-31 2009-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Base film for liquid crystal panel, functional film for liquid crystal panel,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unctional film
US7573637B2 (en) * 2004-08-03 2009-08-11 Seiko Epson Corporation Intrinsic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rinsic polarizer
GB0520489D0 (en) * 2005-10-07 2005-11-16 Kontrakt Technology Ltd Organic compound, optical crystal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JP2008122502A (en) * 2006-11-09 2008-05-29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US8623476B2 (en) * 2008-11-28 2014-01-07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2123229A (en) * 2010-12-09 2012-06-28 Sumitomo Chemic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185734B2 (en) * 2012-03-30 2017-08-23 株式会社クラレ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TWI537287B (en) * 2013-11-06 2016-06-11 Chang Chun Petrochemical Co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98491A1 (en) * 2013-12-25 2015-07-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Cellulose-ester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larizing plate
CN107111035B (en) * 2014-12-12 2020-05-29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4706A (en) * 1982-11-22 1984-05-31 Mitsui Toatsu Chem Inc Manufacture of polarizing film
JP2013148806A (en) 2012-01-23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er
KR20150035528A (en) * 2012-07-02 2015-04-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plate fabrication method and fabrication device
KR20150101510A (en) * 2014-02-26 2015-09-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of preparing polarizer
JP2016093278A (en) * 2014-11-13 2016-05-26 福田 英樹 Umbrella bundling device and umbrella unit
WO2016093277A1 (en) * 2014-12-12 2016-06-16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3532B2 (en) 2022-08-23
CN114167539A (en) 2022-03-11
TWI729190B (en) 2021-06-01
JP2018032023A (en) 2018-03-01
KR102512665B1 (en) 2023-03-21
TW201809760A (en) 2018-03-16
CN107765353A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65356B (en)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device and polarizing film
KR102535102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2580078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2512665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JP7030447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7178812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olarizing film
CN11248046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JP202213697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device
CN115032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KR20230086604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TW2023313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CN114103187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