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866A -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 Google Patents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866A
KR20180020866A KR1020170043566A KR20170043566A KR20180020866A KR 20180020866 A KR20180020866 A KR 20180020866A KR 1020170043566 A KR1020170043566 A KR 1020170043566A KR 20170043566 A KR20170043566 A KR 20170043566A KR 20180020866 A KR20180020866 A KR 2018002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ring
electric
wire guide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911B1 (ko
Inventor
포-위안 창
Original Assignee
팔콘 머신 툴스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팔콘 머신 툴스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팔콘 머신 툴스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2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6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vibrating, e.g. ultras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주축, 하나의 전기 전도 유닛 및 하나의 전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하나의 부싱, 하나의 절연 슬리브, 두개의 전기 전도 링, 하나의 밀착 링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싱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절연 슬리브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절연 슬리브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링은 일정한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절연 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밀착 링은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와이어의 일단은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의 타단은 각각 대응 위치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 및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부싱은 상기 주축에 끼워지되 상기 밀착 링에 의하여 상기 주축과 밀착 결합하고, 상기 전기 공급 유닛은 외부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에 전달한 다음 다시 상기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하여 전력을 출력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시공이 쉽고 조립 품질이 양호하며 전기 전도의 확실성이 우수한 등 효과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Modularized electric main spindle structure}
본 고안은 전기 회전 주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회전 주축은 고속 회전 및 전력 전달의 두가지 주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회전 주축과 연결된 초음파 나이프가 전기 회전 주축을 따라서 동기화 회전함으로써 작업 부품을 절삭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 상기 전기 회전 주축에 의하여 전달된 전력을 통하여 고주파수로 진동시킴으로써 절삭 효율을 향상시키고 절삭 과정 중에 발생하는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단, 종래의 전기 회전 주축은 대만 특허 공개 제M428012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주로는 주축에 하나씩 전기 전도용 컴포넌트(예를 들면 베어링, 절연체 등 컴포넌트)를 조립하여야 하는데, 주축에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컴포넌트의 조립 및 전기 전도 와이어의 용접 등 작업을 실행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조립 품질 불량을 초래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의 확실성이 불량한 문제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회전 주축에 있어서 시공이 어렵고 시공 품질 불량 혹은 전기 전도 확실성 불량 등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주축; 하나의 부싱, 하나의 절연 슬리브, 두개의 전기 전도 링, 하나의 밀착 링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싱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절연 슬리브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절연 슬리브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링은 일정한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절연 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밀착 링은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와이어의 일단은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의 타단은 각각 대응 위치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 및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부싱은 상기 주축에 끼워지되 상기 밀착 링에 의하여 상기 주축과 밀착 결합하는 하나의 전기 전도 유닛; 상기 전기 전도 유닛에 끼워지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링에 접촉되여 외부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에 전달한 다음 다시 상기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하나의 전기 공급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두개의 주축 전기 전도 접점, 두개의 관통 홀 및 두개의 와이어 안내 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와이어 안내 홀은 대응 위치의 관통 홀과 연통되어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의 각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켜 각 전기 전도 와이어와 상기 각 주축 전기 전도 접점을 연결시킨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하나의 주축 레버, 하나의 커플러 및 하나의 주축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개 관통 홀은 상기 주축 레버의 반경 방향 위치에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주축 레버의 축 방향 위치에 개방 형성되고, 상기 주축 전기 전도 접점은 상기 주축 레버에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주축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축 레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주축 레버를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주축 슬리브는 상기 주축 레버의 타단 외부에 끼워지고;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의 밀착 링은 상기 주축 레버에 밀착된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하나의 가압 캡 및 약간의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 캡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가압 캡 로킹 홀 및 두개의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부싱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부싱 로킹 홀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가압 캡의 가압 캡 로킹 홀 및 상기 부싱의 부싱 로킹 홀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 캡 및 상기 부싱을 로킹시키고, 상기 가압 캡은 상기 밀착 링과 접촉되어 상기 밀착 링을 압박하며; 상기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킨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환상 차단 링부가 돌기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링은 상기 차단 링부에 의하여 서로 차단된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두개의 절연 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절연 링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절연 링은 상기 부싱의 위주면에 끼워지는 동시에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의 외단과 접촉되며, 상기 두개의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각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킨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선단에는 하나의 환형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부싱 로킹 홀 및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환형 플랜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상기 부싱의 말단에 로킹되는 하나의 멈춤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환형 플랜지 및 멈춤 너트는 상기 절연 슬리브, 전기 전도 링 및 절연 링을 상기 부싱에 고정시킨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유닛은 하나의 환형 베이스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는 상기 환형 베이스를 통과하여 일단이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에 의하여 외부의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으로 도입한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는 카본 브러싱 장치이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유닛은 하나의 고정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주축이 설치된 기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환형 베이스는 고정 베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착 링은 하나의 외부 링 및 하나의 내부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링 및 상기 내부 링은 경사면을 따라 서로 계합되며, 상기 외부 링이 힘을 받을 때 상기 내부 링을 밀어 내어 상기 주축에 밀착시킨다.
본 고안은 전기 공급 유닛과 주축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전도 유닛을 모듈화 방식으로 우선 주축의 외부에서 조립하고,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의 조립이 완성된 다음 전반적으로 상기 주축에 조립함으로써; 조립 과정 중 주축의 협소한 작업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각 컴포넌트 및 전기 전도 와이어가 충족한 작업 공간에서 원활하게 조립 및 용접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품질과 양호한 전기 전도 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 부품 분해도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심사관께서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도록,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100)는 하나의 주축(10), 하나의 전기 전도 유닛(20) 및 하나의 전기 공급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중,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축(10)은 하나의 주축 레버(11), 하나의 커플러(12) 및 하나의 주축 슬리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축 레버(11)의 반경 방향에는 두개의 관통 홀(111)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주축 레버(11)의 축 방향에는 와이어 안내 홀(112)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어 안내 홀(112)은 대응 위치의 관통 홀(111)과 연통되고, 상기 커플러(12)는 상기 주축 레버(11)의 일단(선단)에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 출력(미도시)측에 연결됨으로써 회전 동력을 상기 주축 레버(11)로 전달하여 상기 주축 레버(11)를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주축 슬리브(14)는 상기 주축 레버(11)의 타단(말단) 외부에 씌워진다. 상기 주축(10)은 예를 들면 임의 가공 기기의 주축, 예를 들면 드릴링기, 밀링기, 연삭기, 선반기, 갠트리 가공기 등 기기의 주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기 본체는 가공 기기의 기기 본체를 가리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전도 유닛(20)은 하나의 부싱(21), 하나의 절연 슬리브(22), 두개의 전기 전도 링(23), 두개의 절연 링(24), 하나의 밀착 링(25), 하나의 가압 캡(26), 약간의 로킹 유닛(27), 하나의 멈춤 너트(28)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싱(21)의 선단에는 환형 플랜지(210)가 구비되고, 상기 환형 플랜지(210)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부싱 로킹 홀(211) 및 두개의 부싱 와이어 안내 홀(212)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절연 슬리브(22)는 상기 부싱(21)의 중간부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절연 슬리브(22)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221)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절연 슬리브(22)의 외주면 중간부 위치에는 환형의 차단 링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링(23)은 상기 절연 슬리브(22)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차단 링부(222)에 의하여 차단되어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며; 상기 각 절연 링(24)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241)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절연 링(24)은 상기 부싱(21)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23)의 외단에 접촉되고, 상면의 절연 링(24)는 환형 플랜지(210)를 지지하며; 상기 밀착 링(25)은 상기 부싱(21)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부싱(21)의 선단에 접근하며; 상기 가압 캡(26)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가압 캡 로킹 홀(261) 및 두개의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262)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로킹 유닛(27)은 볼트이고 상기 가압 캡(26)의 가압 캡 로킹 홀(261) 및 상기 부싱(21)의 부싱 로킹 홀(211)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 캡(26) 및 상기 부싱(21)의 선단을 로킹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압 캡(26)과 상기 밀착 링(25)을 접촉시키고; 상기 멈춤 너트(28)는 상기 부싱(21)의 말단에 로킹되고 하면의 절연 링(24)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연 슬리브(24), 전기 전도 링(23) 및 절연 링(24)이 상기 부싱(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29)는 각각 일단이 상기 각 전기 전도 링(23)에 고정 연결(납땜)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29)의 타단은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 위치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221),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241), 부싱 와이어 안내 홀(212)을 경유하여 상기 가압 캡 와이어 안내홀(262)을 따라 인출된다.
상기 전기 전도 유닛(20)은, 상기 부싱(21)이 상기 주축(10)의 주축 레버(11)에 끼워진 다음 상기 로킹 유닛(27)을 통하여 상기 가압 캡(26)을 압박하여 상기 밀착 링(25)이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축(10)의 주축 레버(1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두개의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262)로부터 인출된 각 전기 전도 와이어(29)를 순차적으로 상기 주축 레버(11) 상 대응 위치의 관통 홀(111) 및 와이어 안내 홀(112)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각각 상기 주축 레버(11) 상의 두개의 주축 전기 전도 접점(113)에 연결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공급 유닛(30)은 하나의 환형 베이스(31),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32) 및 하나의 고정 베이스(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13)는 상기 주축이 설치된 기기 본체(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환형 베이스(31)는 상기 전기 전도 유닛(20)의 외부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고정 베이스(1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31)와 상기 전기 전도 유닛(20)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32)는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환형 베이스(31)를 통과하여 일단이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23)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32)에 의하여 외부의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32)으로 도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32)는 카본 브러시 장치이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100)의 각 부분의 구조 및 그 조성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 사용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주축(10)의 주축 레버(11)의 말단과 하나의 초음파 나이프 핸들(90)을 연결한 다음, 상기 주축(10)을 통하여 상기 초음파 나이프 핸들(9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나이프 핸들(90) 상의 나이프(미도시)가 작업 부품을 절삭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상기 전기 공급 유닛(30)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32)에 의하여 외부 전력을 접촉되어 있는 전기 전도 유닛(20)의 전기 전도 링(23)으로 도입하고, 이어서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29)를 통하여 상기 주축(10)의 주축 전기 전도 접점(113)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주축 전기 전도 접점(113)과 상기 초음파 나이프 핸들(90) 상의 나이프 핸들 전기 전도 접점(91)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초음파 나이프 핸들(90) 내의 초음파 변환기(92)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 변환기(92)의 고주파 진동을 일으켜 절삭 과정의 원활성을 향상시키고 나이프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전기 공급 유닛(30)으로부터 주축(10)까지 전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전도 유닛(20)을 모듈화 방식으로 우선 주축(10)의 외부에서 조립하고, 상기 전기 전도 유닛(20)의 조립이 완성된 다음 다시 전반적으로 상기 주축(10)에 조립한다. 이에 따라, 조립 과정 중 주축의 협소한 작업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전기 전도 와이어가 충족한 작업 공간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접합(용접)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품질과 양호한 전기 전도 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 링(25)은 하나의 외부 링(251) 및 하나의 내부 링(25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링(251) 및 상기 내부 링(252)은 경사면을 따라 서로 계합되며, 상기 외부 링(251)이 상기 누름 뚜껑(26)의 압박을 받을 때 상기 내부 링(252)을 밀어 내어 상기 주축(10)의 주축 레버(11)에 밀착시킨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고안의 실시 범위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 분야의 관련 기술자에 따른 본 고안에 대한 모든 균등한 변화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10 : 주축
20 : 전기 전도 유닛
11 : 주축 레버
111 : 관통 홀
112 : 와이어 안내 홀
113 : 주축 전기 전도 접점
12 : 커플러
13 : 고정 베이스
14 : 주축 슬리브
21 : 부싱
210 : 환형 플랜지
211 : 부싱 로킹 홀
212 : 부싱 와이어 안내 홀
22 : 절연 슬리브
221 : 절연 와이어 안내 홀
222 : 차단 링부
23 : 전기 전도 링
24 : 절연 링
241 :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
25 : 밀착 링
251 : 외부 링
252 : 내부 링
26 : 가압 캡
261 : 가압 캡 로킹 홀
262 :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
27 : 로킹 유닛
28 : 멈춤 너트
29 : 전기 전도 와이어
30 : 전기 공급 유닛
31 : 환형 베이스
32 : 전기 전도 컴포넌트
90 : 초음파 나이프 핸들
91 : 핸들 전기 전도 접점
92 : 초음파 변환기

Claims (11)

  1. 하나의 주축;
    하나의 부싱, 하나의 절연 슬리브, 두개의 전기 전도 링, 하나의 밀착 링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싱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절연 슬리브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절연 슬리브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링은 일정한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절연 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밀착 링은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두개 전기 전도 와이어의 일단은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와이어의 타단은 각각 대응 위치의 절연 슬리브 와이어 안내 홀 및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부싱은 상기 주축에 끼워지되 상기 밀착 링에 의하여 상기 주축과 밀착 결합하는 하나의 전기 전도 유닛;
    상기 전기 전도 유닛에 끼워지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링에 접촉되여 외부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에 전달한 다음 다시 상기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하나의 전기 공급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두개의 주축 전기 전도 접점, 두개의 관통 홀 및 두개의 와이어 안내 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와이어 안내 홀은 대응 위치의 관통 홀과 연통되어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의 각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켜 각 전기 전도 와이어와 상기 각 주축 전기 전도 접점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하나의 주축 레버, 하나의 커플러 및 하나의 주축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개 관통 홀은 상기 주축 레버의 반경 방향 위치에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주축 레버의 축 방향 위치에 개방 형성되고, 상기 주축 전기 전도 접점은 상기 주축 레버에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주축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축 레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주축 레버를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주축 슬리브는 상기 주축 레버의 타단 외부에 끼워지고;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의 밀착 링은 상기 주축 레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하나의 가압 캡 및 약간의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 캡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가압 캡 로킹 홀 및 두개의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부싱의 축 방향에는 약간의 부싱 로킹 홀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가압 캡의 가압 캡 로킹 홀 및 상기 부싱의 부싱 로킹 홀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 캡 및 상기 부싱을 로킹시키고, 상기 가압 캡은 상기 밀착 링과 접촉되어 상기 밀착 링을 압박하며; 상기 가압 캡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환상 차단 링부가 돌기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링은 상기 차단 링부에 의하여 서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두개의 절연 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절연 링의 축 방향에는 두개의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두개의 절연 링은 상기 부싱의 위주면에 끼워지는 동시에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의 외단과 접촉되며, 상기 두개의 절연 링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각 전기 전도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선단에는 하나의 환형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부싱 로킹 홀 및 부싱 와이어 안내 홀은 상기 환형 플랜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전도 유닛은 상기 부싱의 말단에 로킹되는 하나의 멈춤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환형 플랜지 및 멈춤 너트는 상기 절연 슬리브, 전기 전도 링 및 절연 링을 상기 부싱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유닛은 하나의 환형 베이스 및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개의 전기 전도 컴포넌트는 상기 환형 베이스를 통과하여 일단이 각각 상기 각 전기 전도 링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에 의하여 외부의 전력을 상기 전기 전도 링으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컴포넌트는 카본 브러싱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유닛은 하나의 고정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주축이 설치된 기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환형 베이스는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링은 하나의 외부 링 및 하나의 내부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링 및 상기 내부 링은 경사면을 따라 서로 계합되며, 상기 외부 링이 힘을 받을 때 상기 내부 링을 밀어 내어 상기 주축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KR1020170043566A 2016-08-19 2017-04-04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KR101871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212685U TWM534063U (en) 2016-08-19 2016-08-19 Modular electrical rotating spindle structure
TW105212685 2016-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66A true KR20180020866A (ko) 2018-02-28
KR101871911B1 KR101871911B1 (ko) 2018-06-27

Family

ID=5822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66A KR101871911B1 (ko) 2016-08-19 2017-04-04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1911B1 (ko)
TW (1) TWM5340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9332A (zh) * 2018-08-03 2018-12-18 北京安和加利尔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结构及具有其的超声手术刀
CN110696644A (zh) * 2019-10-25 2020-01-17 北京维通利电气有限公司 旋转导电关节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1377B (zh) * 2019-06-26 2020-04-21 李慧玲 刀把供電主軸(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613U (ko) * 2012-03-16 2013-09-25 쉐 홍 인더스트리알 코., 엘티디 초음파 주축의 전기적 접점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613U (ko) * 2012-03-16 2013-09-25 쉐 홍 인더스트리알 코., 엘티디 초음파 주축의 전기적 접점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9332A (zh) * 2018-08-03 2018-12-18 北京安和加利尔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结构及具有其的超声手术刀
CN109009332B (zh) * 2018-08-03 2023-12-15 北京安和加利尔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结构及具有其的超声手术刀
CN110696644A (zh) * 2019-10-25 2020-01-17 北京维通利电气有限公司 旋转导电关节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696644B (zh) * 2019-10-25 2024-05-28 北京维通利电气有限公司 旋转导电关节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911B1 (ko) 2018-06-27
TWM534063U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240B1 (ko) 전기 회전 주축과 초음파 나이프 핸들의 전력 전도 연결 구조
KR101871911B1 (ko) 모듈화 전기 회전 주축 구조
JP2005224865A (ja) 超音波スピンドル加工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先端ユニット
CN101376175A (zh) 超声振动钻孔的回转式换能器主轴装置
CN110394469B (zh) 超声波刀柄、超声波加工组件及超声波主轴
TWM575744U (zh) Ultrasonic knife handl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CN110394463B (zh) 一种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KR20180020864A (ko) 자동 세척식 전기 회전 주축 구조
CN110802423B (zh) 超声波刀把总成
CN206236943U (zh) 电气旋转主轴与超音波刀把的电力导接结构
TWM424210U (en) Machining spindle set with electrical conduction device
CN109926826B (zh) 一种面向叠层材料的超声辅助钻铆装置
CN206230031U (zh) 模组化电气旋转主轴结构
TWI698304B (zh) 刀把供電主軸
CN210435380U (zh) 一种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CN210548151U (zh) 一种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CN110474185B (zh) 一种超声波主轴的电连接结构
CN104128625A (zh) 基于电机驱动的超声波切割刀具自动更换装置及方法
CN209913206U (zh) 超声波刀把供电主轴
CN210443682U (zh) 一种超声波主轴及其电连接结构
CN110394464A (zh) 一种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TWM428011U (en) Knife axle and tool holder structure with power transmission
CN215903085U (zh) 刀柄换能器导电装置、系统以及刀柄
CN110421366A (zh) 一种超声波主轴及导电结构
EP3863792A1 (en) Welding torch assemb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