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787A -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787A
KR20180019787A KR1020160103434A KR20160103434A KR20180019787A KR 20180019787 A KR20180019787 A KR 20180019787A KR 1020160103434 A KR1020160103434 A KR 1020160103434A KR 20160103434 A KR20160103434 A KR 20160103434A KR 20180019787 A KR20180019787 A KR 2018001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tie bar
movable plate
lower nut
upp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787A/en
Priority to CN201721028039.XU priority patent/CN207415841U/en
Publication of KR2018001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7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7Tie-ro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apparatus with a movable plate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omprising: a first supporting unit coupled to a first tie bar for guiding a movement of a movable plate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and decoupled from the first tie bar to releas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a second supporting unit coupled to a second tie bar for guiding a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ie bar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and decoupled from the second tie bar to releas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operate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and a connecting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operate simultaneously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ving plate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이동형판을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ed for supporting a movable plate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performing injection molding.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Injection molding is the most widely use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roducts. For example, in various products such as televisions, mobile phones, PDAs, etc., various parts including covers, cases and the like can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Generally, the production of a product by injection molding is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a molding material to which a pigment, a stabilizer, a plasticizer, a filler and the like are added is put into a hopper to be melted. Next, the mold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is injected into the mold and then solidified through cooling. Next, after removing the solidified molding material from the mold, unnecessary portions are removed. Through these processes, injection products of various types and sizes are manufactured.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설비로, 사출성형기가 이용된다.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s used a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injection mold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10)는 사출장치(11), 및 형체장치(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injection apparatus 11, and a mold clamping apparatus 12.

상기 사출장치(11)는 상기 형체장치(12)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11)는 배럴(111), 상기 배럴(1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출스크류(112), 및 상기 사출스크류(112)를 구동시키는 사출구동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장치(11)는 호퍼를 통해 상기 배럴(111)의 내부로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상기 배럴(111)에서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계량한 후에 상기 사출구동부(113)가 상기 사출스크류(11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형체장치(12)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The injection apparatus 11 supplies a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to the mold clamping apparatus 12. The injection apparatus 11 includes a barrel 111, an injection screw 112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rrel 111, and an injection driving unit 113 for driving the injection screw 112. After the molding material is supplied into the barrel 111 through the hopper and the molding material is melted and weighed in the barrel 111, the injection driving unit 113 drives the injection screw 112 ) Is rotated to supply the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to the mold clamping device (12).

상기 형체장치(12)는 상기 사출장치(11)로부터 공급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켜서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장치(12)는 고정형판(121), 상기 고정형판(1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형판(122), 및 상기 이동형판(122)의 이동을 안내하는 타이바(123)를 포함한다.The mold clamping apparatus 12 cools the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supplied from the injection apparatus 11 through cooling to produce an injection product. The mold clamping device 12 includes a fixed plate 121, a movable plate 122 that moves relative to the fixed plate 121, and a tie bar 123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122 do.

상기 고정형판(121) 및 상기 이동형판(122) 각각에는 금형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형판(122)이 상기 타이바(123)를 따라 상기 고정형판(121)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형판(121)에 설치된 금형 및 상기 이동형판(122)에 설치된 금형이 서로 접촉되어서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출장치(11)는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성형재료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이동형판(122)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형판(122)을 지지하는 지지장치(124)가 구비된다.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장치(124)는 상기 이동형판(122)에 대한 지지를 해제한다. 그 후, 상기 이동형판(122)은 상기 금형들이 개방되도록 상기 타이바(123)를 따라 이동한다.Each of the fixed plate 121 and the movable plate 122 is provided with a metal mold. As the movable plate 122 moves to the fixed plate 121 along the tie bar 123, the metal plate provided on the fixed plate 121 and the metal plate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12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o. In this state, the injection apparatus 11 supplies molten molding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molds. In this case, a supporting device 124 for supporting the movable plate 122 is provided so that the movable plate 122 does not move as the molding material is supplied into the dies. When the cooling for the molten molding material is completed, the supporting device 124 releases th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122. Thereafter, the movable plate 122 moves along the tie bars 123 so that the molds are opened.

이와 같이, 상기 지지장치(124)가 상기 이동형판(122)을 완전하게 지지한 후에, 상기 사출장치(11)가 상기 금형들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정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124)가 상기 이동형판(122)에 대한 지지를 완전하게 해제한 후에, 상기 이동형판(122)이 상기 금형들이 개방되도록 이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장치(124)가 상기 이동형판(122)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사출성형에 걸리는 공정시간 및 사출제품에 대한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After the supporting device 124 completely supports the movable plate 122, the injection device 11 starts supplying molten molding material to the molds. Further, after the support device 124 completely releases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122, the movable plate 122 starts to move to open the molds. Accordingly, the time taken until the support device 124 completes the support and release of the movable plate 122 greatly affects the process time for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productivity for the injection product.

따라서, 상기 이동형판(1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이동형판(122)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지지장치(124)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Therefore, development of the support device 124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movable plate 122 and reducing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support and release of the movable plate 122 is urgently required do.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동형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형판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plate suppor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movable plate, Devi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는 이동형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타이바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1타이바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타이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타이바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2타이바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first tie ba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and to release th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tie bar which is coupled to a second tie ba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ie bar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and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tie bar, 2 support;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operate simultaneously with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이동형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형판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출제품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support and release of the movable plate while stably supporting the movable plat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olded product, And can contribute to increase productiv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구비된 사출성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이동형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대해 체결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대해 체결 해제되도록 동작한 모습을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체결되도록 동작한 모습을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이동형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대해 체결 해제되도록 동작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가 타이바에 체결되도록 동작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provided with a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movable plate;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tie bar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engaged from a tie bar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perated to be fastened to a tie bar,
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ovable plate;
FIG. 10 is a schematic rear view of a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rear view of a movable plate support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10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사출성형기(100)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200), 및 상기 사출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사출제품으로 응고시키는 형체장치(300)를 포함한다.2 to 4, 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100 for producing an injection product.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100 includes an injection apparatus 200 for supplying a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and a mold apparatus 300 for solidifying the molten molding material supplied from the injection apparatus 200 into an injection product through cooling, .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형체장치(300)에 설치된다. 상기 형체장치(300)는 고정형판(310), 상기 고정형판(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형판(320), 및 상기 이동형판(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타이바들(330, 3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판(310) 및 상기 이동형판(320) 각각에는 금형(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형판(320)이 상기 타이바들(330, 340)을 따라 상기 고정형판(31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형판(310)에 설치된 금형 및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된 금형이 서로 접촉되어서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출장치(200)는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old clamping apparatus 300. The mold clamping apparatus 300 includes a fixed plate 310, a movable plate 320 that moves relative to the fixed plate 310, and a plurality of tie bars 330 and 330 that guid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320. [ 340). Each of the fixed plate 310 and the movable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mold (not shown). As the movable plate 320 moves toward the fixed plate 310 along the tie bars 330 and 340, the metal plate provided on the fixed plate 310 and the metal plate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320 contact each other And closed. In this state, the injection apparatus 200 supplies molten molding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molds.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되어서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성형재료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이동형판(320)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제1지지부(2), 제2지지부(3), 구동부(4), 및 연결부(5)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ovable plate 320 so that the movable plate 320 is not moved as the molding material is supplied into the molds, So as to support the plate 320. To this end,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art 2, a second supporting part 3, a driving part 4, and a connecting part 5.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된 제1타이바(3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first support part 2 selectively supports the movable plate 320. The first support part 2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tie bar 330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o selectively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예컨대, 상기 이동형판(320) 및 상기 고정형판(310) 각각에 설치된 금형들이 폐쇄되면,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가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면, 상기 사출장치(200)가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정, 및 상기 형체장치(300)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사출제품으로 응고시켜서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lds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and the fixed plate 310 are closed,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coupled to the first tie bar 330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can do. Wherein the injection device (200) supplies a molten molding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molds when the first support part (2) supports the movable plate (320), and a step in which the mold clamping device (300) May be cooled and solidified into an injection product to produce an injection product.

예컨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형판(320)은 상기 제1타이바(330)를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금형들을 개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oling of the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is completed,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ie bar 330 to release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When th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320 is released, the movable plate 320 may move along the first tie bar 330 to open the molds.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이동형판(320)의 일면(32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20)의 일면(320a)은, 상기 이동형판(320)에서 상기 고정형판(310)을 향하는 타면(320b)에 대해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가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2)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first support part 2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so as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320a of the movable plate 320. [ One surface 320a of the movable plate 320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320b of the movable plate 320 toward the fixed plate 310. [ The first support part (2)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to move the movable plate 3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Can be selectively supported.

상기 제1지지부(2)에는 상기 제1타이바(330)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20,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공(20)은 상기 제1지지부(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에서 상기 제1삽입공(20)이 형성된 내면에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타이바(3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2)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들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20 (shown in FIG. 6) into which the first tie bar 330 is inserted. The first insertion hole (20)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2). A screw thread engageable with the first tie bar 3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 where the first insertion hole 20 is formed.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ie bar 330 may be formed with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 Through these threads, the first support portion 2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2)는 제1상부너트(21) 및 제1하부너트(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first support portion 2 may include a first upper nut 21 and a first lower nut 22.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nut 2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ie bar 330. The first upper nut 21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by moving relative to the first lower nut 22.

예컨대,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부(上部)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upper nut 21 may move toward the first lower nut 22 and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Accordingly, the first upper nut 21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so that the first upper barrel 21 is fastened to the moving plate 320 using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y the first tie bar 330, . ≪ / RTI > In this case, the first upper nut 21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by lowering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예컨대,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해 체결 해제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upper nut 21 may be moved awa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b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lower nut 22. Accordingly, the first upper nut 21 is disengaged from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thereby releasing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In this case, the first upper nut 21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ie bar 330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nut (22) is disposed below the first tie bar (330). The first lower nut 22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by moving relative to the first lower nut 22.

예컨대,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부(下部)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ower nut 22 may move toward the first upper nut 21 and may contact the lower portion (low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Accordingly, the first lower nut 22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so that the first lower barrel nut 22 is fastened to the moving plate 320 using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y the first tie bar 330, . ≪ / RTI >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nut 22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by rai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예컨대,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해 체결 해제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ower nut 22 may be moved awa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b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upper nut 21. Accordingly, the first lower nut 22 is disengaged from the thread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ie bar 330, thereby releasing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nut 22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tie bar 330 by lowering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상기 제1하부너트(22) 및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너트(22) 및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 및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너트(22) 및 상기 제1상부너트(21)는 각각 하나의 너트(Nut)를 분할한 하프 너트(Half Nut)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so that they can move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tie bar 330 by moving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may be implemented as a half nut,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one nut.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된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타이바(340)는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제2타이바(340)는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selectively supports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tie bar (340) guides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ie bar (330). The second tie bar 3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tie bar 330. The second support part 3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to selectively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예컨대, 상기 이동형판(320) 및 상기 고정형판(310) 각각에 설치된 금형들이 폐쇄되면,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면, 상기 사출장치(200)가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정, 및 상기 형체장치(300)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사출제품으로 응고시켜서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lds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320 and the fixed plate 310 are clos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can do. Wherein the injection device (200) supplies molten molding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molds when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supports the moving plate (320) May be cooled and solidified into an injection product to produce an injection product.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to support the moving plate 320.

예컨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에 대한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면, 상기 이동형판(320)은 상기 제2타이바(340)를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금형들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oling of the molding material in a molten state is complete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can be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ie bar 340 to release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When the support for the movable plate 320 is released, the movable plate 320 may move along the second tie bar 340 to open the molds.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ortion 2 may be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ie bar 330 and released from the support of the movable plate 320.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이동형판(320)의 일면(32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타이바(340)가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so as to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320a of the movable plate 320. [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 When the second tie bar 34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tie bar 33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may be installed in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to move the movable plate 3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Can be selectively supported.

상기 제2지지부(3)에는 상기 제2타이바(340)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30,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공(30)은 상기 제2지지부(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에서 상기 제2삽입공(30)이 형성된 내면에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타이바(340)의 외면에는 상기 제2지지부(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들을 통해,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hole 30 (shown in FIG. 6) into which the second tie bar 340 is inserted. The second insertion hole (30)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part (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where the second insertion hole 30 is formed, a thread that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ie bar 340 may be formed with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Through these threads,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to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3)는 제2상부너트(31) 및 제2하부너트(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include a second upper nut 31 and a second lower nut 32.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nut 3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ie bar 340.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by moving relative to the second lower nut 32.

예컨대,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upper nut 31 may move toward the second lower nut 32 and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Accordingly, the second upper nut 31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so that the second upper tie nut 31 is fastened to the moving plate 320 using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y the second tie bar 340. [ . ≪ / RTI > In this case,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by lowering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예컨대,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해 체결 해제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upper nut 31 may move awa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b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lower nut 32. Accordingly, the second upper nut 31 is released from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thereby releasing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In this case,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ie bar 340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nut 32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tie bar 340.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by moving relative to the second lower nut 32.

예컨대,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향하는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lower nut 32 may move toward the second upper nut 31 and may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Accordingly, the second lower nut 32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so that the second lower nut 32 is fastened to the moving plate 320 using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y the second tie bar 340. [ . ≪ / RTI > In this case,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예컨대,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해 체결 해제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moved awa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b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upper nut 31. Accordingly, the second lower nut 32 is disengaged from the thread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ie bar 340, thereby releasing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In this case,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tie bar 340 by lowering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상기 제2하부너트(32) 및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너트(32) 및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하부너트(32) 및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너트(32) 및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각각 하나의 너트를 분할한 하프 너트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의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tie bar 340 by moving up and down with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formed as half nuts each having a single nut.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ower nut 22.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타이바들(330, 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타이바들(330, 340)에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타이바들(330, 3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2 to 6, the driving unit 4 operates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The driving part 4 moves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are moved to the tie bars 330 and 340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can be operated to selectively engage.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can selectively support the moving plate 320 by using the supporting force supported by the tie bars 330 and 340. The driving part 4 moves the first support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 up and down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 move up and down the tie bars 330 and 340,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may be operated to selectively engage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

상기 구동부(4)는 구동기구(41) 및 구동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 may include a driving mechanism 41 and a driving member 42.

상기 구동기구(4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기구(41)가 발생시킨 구동력은,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된다. 상기 구동기구(4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는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등을 통해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drive mechanism (41) generates a driving force.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chanism 41 is used to operat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The drive mechanism 41 may be implemented as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The driving unit 4 includes a ball screw system using a motor and a ball screw, a gear system using a motor,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a belt system using a motor, a pulley and a belt,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operated. In this case, the driving mechanism 41 may be implemented by a motor.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의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구동기구(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상측에서 상기 제2상부너트(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e mechanism 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 In this case, the driving mechanism 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Wh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 the drive mechanism 41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nut 22 .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mechanism 41. The driving mechanism 4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upper nut 31.

상기 구동부재(42)는 상기 구동기구(41)와 상기 제1하부너트(22) 각각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재(42)는 상기 구동기구(41)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구동기구(41)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42)는 상기 구동기구(41)와 상기 제1하부너트(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구동부재(4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재(4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구동부재(4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의 하측에서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구동부재(42)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부재(42) 및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driving mechanism 41 and the first lower nut 22, respectively. The driving member 42 may transmit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chanism 41 to the first lower nut 22. [ The first lower nut 22 can be mov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chanism 41. The driving member 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mechanism 41 and the first lower nut 22. The driving mechanism 4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member 4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and coupled to the driving member 4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respectively. Wh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 the drive member 42 is mov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ower nut 22 to the first lower nut 22). In this case, the driving mechanism 41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member 4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member 42, respectively.

상기 구동부재(42)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기구(41)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장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driving member 4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o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riving member 42 may be a rectangular shape or the like in a form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chanism 41 to the first lower nut 22. But may be formed in other forms.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5)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 및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연결부(5)를 통해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타이바들(330, 34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2) 및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연결부(5)를 통해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타이바들(330, 340)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2 to 8, the connecting portion 5 connects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 5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are simultaneously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part 4. [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can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tie bars 330 and 34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5.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simultaneously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tie bars 330 and 34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5.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복수개의 타이바들(330, 340)에 체결되어 지지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연결부(5)를 통해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are coupled to a plurality of tie bars 330 and 340,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movable plate 320 can be increased. 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ing par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simultaneously operate through the connecting part 5 to move the moving plate 320 By being selectively suppor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support and release of the movable plate 32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사출제품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movable plate 320, and can shorten the process time for manufacturing the injected product. Accordingly,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quality of the injection product, but also contributes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injection product.

상기 연결부(5)는 제1연결부재(51) 및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5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51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52.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동시에 동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connects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to each other.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can simultaneously move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 Therefore,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can be connected to operate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일측은, 상기 제1상부너트(21)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삽입되는 제1통과공(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과공(511)은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1통과공(5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통과공(511)을 통해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통과하여 상기 제1상부너트(21)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51)의 타측은, 상기 제2상부너트(31)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upper nut 21.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nut (22)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assage hole (511)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is inserted. The first passage hole 511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lower nut 22.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ssage hole 511 to pass through the first lower nut 22 through the first passage hole 511 to the first upper nut 21, As shown in FI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장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제1지지부(3)와 상기 제1지지부(2)가 서로 이격된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51 may be formed as a generally rectangular r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as to move simultaneously Or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when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Z-axis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5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51.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51 may be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at positions spaced from each other.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42)가 상기 구동기구(41)와 상기 제1하부너트(22) 각각에 결합된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4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동시에 동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linking member 52 connects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together.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simultaneously moved through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When the driv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driving mechanism 41 and the first lower nut 22, the driving mechanism 41 moves the first lower nut 22 up and down, The driving member 42 can be moved up and down so as to move the second lower nut 32 up and down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52. Therefore,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can be connected to operate simultaneously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일측은,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의 타측은, 상기 제2하부너트(3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상부너트(31)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삽입되는 제2통과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공(521)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제2통과공(5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통과공(521)을 통해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통과하여 상기 제2하부너트(3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lower nut 32. In this case,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assage hole 521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is inserted. The second passage hole 521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upper nut 31.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ssage hole 521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nut 32 through the second upper nut 31 through the second passage hole 521, As shown in FIG.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장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3)가 상기 제1지지부(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세워져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may be formed as a generally rectangular r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so as to be moved at the same time Or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Whe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2,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is dis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linking member 52 an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an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driving unit 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52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direction (X axis direction).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linking member 52 an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can be mov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u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4. [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동시에 하강하면,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동시에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is lowere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can be raised. Accordingly, wh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simultaneously descen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be simultaneously rais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5)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increases, Can be releas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5)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preads .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51)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동시에 상승하면,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ascends, the first linking member 51 can descend. Accordingly, wh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simultaneously ris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descen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4)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becomes narrower .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4)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becomes narrower .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52)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 각각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5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s 52. In this case, the second linking members 52 may be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5)는 링크기구(53)를 포함할 수 있다.2 to 11, the connection unit 5 may include a link mechanism 53.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구(41)가 상기 구동부재(42)를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승하강시키면,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함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될 수 있다.The link mechanism 53 connects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to each other. The link mechanism 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The link mechanism 5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echanism 41 moves up and down the driving member 42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lower nut 22, the link mechanism 53 moves the first lower nut 22 up and down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trength. Therefore, the link mechanism 53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that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ove simultaneously. have.

한편,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기 링크기구(53)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연결부재(51), 상기 제2연결부재(52), 및 상기 링크기구(5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상부너트(21), 상기 제1하부너트(22), 상기 제2상부너트(31), 및 상기 제2하부너트(32)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지지부(2) 및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 및 지지 해제를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41)가 상기 구동부재(4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된 경우,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링크기구(53)를 통해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구동기구(41)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제1지지부(2) 및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upper nut 31 can move up and down the first upper nut 2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while moving up and down by the link mechanism 53. Accordingly,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inking member 51,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The nut 21, the first lower nut 22,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simultaneously moved. Accordingly,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movable plate 3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support and release of the movable plate 320. When the driving mechanism 41 is coupled to the driving member 4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respectively, the driving mechanism 41 drives the second upper nut 31 ) Can be ascended and descended in the process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ccordingly,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ar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driving mechanism 41 .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상기 제2연결부재(52)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할 수 있다.The link mechanism 53 is provided with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You can connect.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42)가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승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7, when the driving member 42 moves down the first lower nut 22,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2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is lowered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lower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the link mechanism 53 can raise the second upper nut 31 as the first lower nut 22 descends.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lifted and the first upper nut 21 can be lifted up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supported by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5)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increases. It can be disengag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5)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preads .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기 구동부재(42)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는 상승하면서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8, when the first lower nut 22 is lifted by the driving member 42,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moves up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rais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link mechanism 53 can lower the second upper nut 31 as the first lower nut 22 is lifted. The second upper nut 31 may descend while lowering the first upper nut 2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4)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becomes narrower, .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4)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becomes narrower .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구동부(4)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상기 제2연결부재(5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링크기구(53)가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상기 제2연결부재(5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지지부(2) 및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구동부(4) 및 상기 이동형판(3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The link mechanism 5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in the direction from the driving unit 4 toward the moving plate 320. Accordingly, the link mechanism 53 can be arranged to avoi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Therefore, in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mechanism 5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link mechanism 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4 and the movable plate 320.

상기 링크기구(53)는 제1링크부재(531), 제2링크부재(532), 및 회전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mechanism 53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531, a second link member 532, and a rotating member 533. [

상기 제1링크부재(53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회전부재(53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링크부재(53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회전부재(53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구(41)가 상기 구동부재(42)를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하부너트(22)를 승하강시키면, 상기 제1링크부재(53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5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link member 531 connects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rotary member 533. The first link member 53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rotary member 533,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echanism 41 moves up and down the driving member 42 to move the first lower nut 22 upward and downward, the first link member 531 moves to the first lower nut 22, So that the rotating member 533 can be rotated.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상기 제2상부너트(31)와 상기 회전부재(53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상기 제2상부너트(31)와 상기 회전부재(53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531)가 상기 회전부재(53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상기 회전부재(533)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533)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상부너트(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532 connects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rotary member 533. The second link member 53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rotary member 533,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first link member 531 rotates the rotation member 533, the second link member 532 moves as the rotation member 533 rotates to rotate the second upper nut 31 )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533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제1링크부재(531)와 상기 제2링크부재(5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제1링크부재(531)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링크부재(5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형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33)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531)와 상기 제2링크부재(53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531)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5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5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상부너트(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일측 및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 사이에 위치한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부재(531) 및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상기 회전부재(533)의 회전축(533a)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을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일측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타측을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타측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533 connects the first link member 531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2. The rotation member 533 can move the second link member 532 while rotating around the rotation axis 533a as the first link member 531 moves. The rotary member 533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ry shaft 533a. The first link member 531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2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533, respectively.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member 533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member 53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The rotary member 533 may rotate around a rotary shaft 533a locat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and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 That is, the first link member 531 and the second link member 532 may be coupled to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533a of the rotary member 533. The rotary member 533 rotates about the rotary shaft 533a and moves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may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기 구동부재(42)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타측은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일측은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부재(533)를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타측은 상승하면서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상승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기 구동부재(42)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5에 도시됨)에 대해 체결 해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first lower nut 22 is lowered by the driving member 42,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as shown in FIG. 10, 1 can be lowered as the lower nut 22 is lowered. Thus,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1 can be raised by rotating the rotation member 533 about the rotation axis 533a while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is descending. In this case, the rotation member 533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shaft 533a with reference to FIG. As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ris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can be raised and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raised. Accordingly, the second upper nut 31 can be lifted and the first upper nut 21 can be rais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7, as the first lower nut 22 is lowered by the driving member 42,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2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is lowered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lowered.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5)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increases, Can be releas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s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5)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preads .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기 구동부재(42)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타측은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531)의 일측은 상승하면서 상기 회전부재(533)를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회전부재(533)는 상기 회전축(53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일측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링크부재(532)의 타측은 하강하면서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상기 구동부재(42)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는 상승하면서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1상부너트(2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1타이바(33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하부너트(3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2타이바(340, 도 4에 도시됨)에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lower nut 22 is lifted by the driving member 42,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as shown in FIG. 11, 1 can be raised as the lower nut 22 is lifted. Accordingly,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531 is raised and the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can be lowered by rotating the rotation member 533 about the rotation axis 533a. 11, the rotating member 533 can rotate clockwise about the rotating shaft 533a. As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descend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32 can descend and descend the second upper nut 31. Accordingly, the second upper nut 31 can descend the first upper nut 2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1 while descending. 8, as the first lower nut 22 is lifted by the driving member 42,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is moved upward The second lower nut 32 can be raised.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ortion 2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shown in FIG. 4)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first upper nut 21 becomes narrower .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tie bar 340 (shown in FIG. 4) as the gap between the second lower nut 3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becomes narrower .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제1고정부(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ixing portion 6.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지지부(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이동형판(320)의 일면(320a)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고정부(6)를 통해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너트(21) 및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부너트(21) 및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고정부(6)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타이바(330, 도 4에 도시됨)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6) supports the first supporting part (2).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The first fixing part 6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surface 320a of the movable plate 320. [ The first supporting part 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ing part 2 can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6.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first lower nut 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first lower nut 22 ar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first fixing part 6 by u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part 4,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ie bars 330 (shown in Fig. 4).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제1고정부(6)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상부너트(21) 및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각각 양측이 상기 제1고정부(6)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portions 6.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ortions 6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at position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both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first lower nut 22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s 6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제2고정부(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ortion 7.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2지지부(3)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이동형판(320)의 일면(320a)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1고정부(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1고정부(6)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고정부(7)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고정부(7)를 통해 상기 이동형판(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너트(31) 및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 및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7)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제2타이바(340, 도 4에 도시됨)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7) supports the second supporting part (3).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surface 320a of the movable plate 320. [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6. The second fixing part 7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6 downward. The second support part 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can b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320 through the second fixing portion 7.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such that they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ly,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second lower nut 32 mov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econd fixing portion 7 by u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portion 4,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ie bar 340 (shown in Fig. 4).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제2고정부(7)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상부너트(31) 및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각각 양측이 상기 제2고정부(7)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plate supporting apparatus 1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econd fixing portions 7.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portions 7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second lower nut 3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s 7 so that both sides thereof can be raised and lower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20)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성형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1)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20)을 더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더 향상된 품질을 갖는 사출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plurality of movable plate supporting device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In this case,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device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320 at position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100 further supports the movable plate 320 by using the movable plate supporting apparatuses 1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roduct having a higher quality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 : 사출장치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2 : 제1지지부
3 : 제2지지부 4 : 구동부
5 : 연결부 6 : 제1고정부
7 : 제2고정부 20 : 제1삽입공
21 : 제1상부너트 22 : 제1하부너트
30 : 제2삽입공 31 : 제2상부너트
32 : 제2하부너트 41 : 구동기구
42 : 구동부재 51 : 제1연결부재
52 : 제2연결부재 53 : 링크기구
511 : 제1통과공 521 : 제2통과공
531 : 제1링크부재 532 : 제2링크부재
533 : 회전부재 533a : 회전축
1: a movable plate supporting device for an injection apparatus 2: a first supporting part
3: second support part 4:
5: connection part 6: first fixing part
7: second fixing part 20: first insertion hole
21: first upper nut 22: first lower nut
30: second insertion hole 31: second upper nut
32: second lower nut 41: driving mechanism
42: driving member 51: first connecting member
52: second link member 53: link mechanism
511: first passage hole 521: second passage hole
531: first link member 532: second link member
533: Rotating member 533a:

Claims (8)

이동형판(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타이바(33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고, 상기 제1타이바(330)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제1지지부(2);
상기 제1타이바(33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타이바(340)에 체결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지지하고, 상기 제2타이바(340)에 대해 체결 해제되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제2지지부(3);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4); 및
상기 구동부(4)가 발생시킨 구동력으로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2)와 상기 제2지지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5)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The first tie bar 330 is fastened to the first tie bar 33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20 to support the moving plate 320 and is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ie bar 330, A first support portion (2) releasing support for the first support portion (2);
A second tie bar 340 coupled to the second tie bar 34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ie bar 330 to support the transfer plate 320, 340) and releasing the support to the movable plate (320);
A driving unit 4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2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3; And
A connecting portion 5 fo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 operate simultaneously with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portion 4 ) For support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2)는 상기 제1타이바(330)의 상측에 배치된 제1상부너트(21), 및 상기 제1타이바(330)의 하측에 배치된 제1하부너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3)는 상기 제2타이바(340)의 상측에 배치된 제2상부너트(31), 및 상기 제2타이바(340)의 하측에 배치된 제2하부너트(3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51), 및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하부너트(32)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art 2 includes a first upper nut 2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ie bar 330 and a first lower nut 2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ie bar 330, Lt; / RTI >
The second support portion 3 includes a second upper nut 3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ie bar 340 and a second lower nut 3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ie bar 340, / RTI >
The connection portion 5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that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move simultaneously, The connecting member 51 and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are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that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lower nut 32 move simultaneously, 2 connecting member (52).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구동기구(41), 및 상기 구동기구(41)와 상기 제1하부너트(22) 각각에 결합된 구동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4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52)를 통해 상기 제2하부너트(32)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재(42)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4 includes a driving mechanism 41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and a driving mechanism 41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mechanism 41 and the first lower nut 22), respectively, the drive member (42)
The driving mechanism 41 is configured to move the driving member 42 to move up and down the second lower nut 32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2 while the first lower nut 22 is moving up and down Wherein the movable plate is moved down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하는 링크기구(53)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키되, 상기 제2상부너트(31)가 승하강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재(51)를 통해 상기 제1상부너트(21)를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portion 5 includes a link mechanism 53 connecting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The link mechanism 53 moves up and down the second upper nut 31 as the first lower nut 22 ascends and descends while the second upper nut 31 moves up and down, (31) is lifted and lower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upper nut (21) through the second upper nut (5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하부너트(22)에 결합된 제1링크부재(531), 상기 제2상부너트(31)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532), 및 상기 제1링크부재(531)와 상기 제2상부너트(31) 각각에 결합된 회전부재(5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531)는 상기 제1하부너트(22)가 승하강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533)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링크부재(532)는 상기 회전부재(533)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nk mechanism 53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531 coupled to the first lower nut 22, a second link member 532 coupled to the second upper nut 31, And a rotating member (533) coupled to the member (531) and the second upper nut (31), respectively,
The first link member 531 moves as the first lower nut 22 ascends and descends to rotate the rotary member 533,
Wherein the second link member (532) moves as the rotary member (533) rotates to move up and down the second upper nut (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제2연결부재(52)를 회피하도록 상기 구동부(4)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51)와 상기 제2연결부재(5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nk mechanism 53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linking member 51 in the direction from the drive unit 4 toward the moving plate 320 so as to avoi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52)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된 제1고정부(6), 및 상기 제1고정부(6)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형판(320)에 고정되게 결합된 제2고정부(7)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너트(21)와 상기 제1하부너트(22)는 상기 제1고정부(6)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상부너트(31)와 상기 제2하부너트(32)는 상기 제2고정부(7)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fixing part 6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320 and a second fixing part 33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320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fixing part 6, (7)
The first upper nut 21 and the first lower nut 22 ar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6 so as to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second upper nut (31) and the second lower nut (32) ar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 such that they can move up and dow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53)는 상기 제2연결부재(52)와 상기 제1연결부재(51)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하부너트(22)와 상기 제2상부너트(3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nk mechanism 53 is provided with the first lower nut 22 and the second upper nut 31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linking member 52 and the first linking member 51 And the connec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late.
KR1020160103434A 2016-08-16 2016-08-16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18001978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34A KR20180019787A (en) 2016-08-16 2016-08-16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01721028039.XU CN207415841U (en) 2016-08-16 2017-08-16 Injection molding machine mobile model plate suppor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34A KR20180019787A (en) 2016-08-16 2016-08-16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787A true KR20180019787A (en) 2018-02-27

Family

ID=6139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434A KR20180019787A (en) 2016-08-16 2016-08-16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9787A (en)
CN (1) CN207415841U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415841U (en)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28136A (en) A kind of vertical double coloured plastic injection machine
CN210211173U (en) Plastic bottle blowing, stretching and injection molding mold
KR101213663B1 (en) Injection molded ejecting device type
JP5410203B2 (en) Mold making method and apparatus
EP273542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CN106584774A (en) Injection mold for forming assembly
JP2013132812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multi-material molding, and its molding method
CN210501244U (en) Mold ejection system for generator winding bone
CN117429024A (en) Ultrasonic plasticizing injection mold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19787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08812474U (en) A kind of automation demoulding mechanism
KR101691167B1 (en) Mold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ulti-layer injection molding press press
KR102597580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10173020U (en) Clamp for mold production
KR20180045148A (en)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09454082U (en) A kind of leather shoes punching press injection mold
CN106671441A (en) Assembly mechanism for forming and assembling
CN108859000A (en) A kind of injection mold of fast automatic positioning
KR102510357B1 (en) Middle Mold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CN216127652U (en) Glue injection mold for preventing product from being worn
JP2006142600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CN219095780U (en) Injection mold for control panel
CN216182508U (en) Energy-efficient PVC material injection moulding device
KR102593391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oving Plat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4309082B (en) A kind of injection mold apparatus matched moulds die-sinking device of tightness adjus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