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875A -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 Google Patents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875A
KR20180017875A KR1020160102376A KR20160102376A KR20180017875A KR 20180017875 A KR20180017875 A KR 20180017875A KR 1020160102376 A KR1020160102376 A KR 1020160102376A KR 20160102376 A KR20160102376 A KR 20160102376A KR 20180017875 A KR20180017875 A KR 20180017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branches
bin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찬열
Original Assignee
차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찬열 filed Critical 차찬열
Priority to KR102016010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875A/ko
Publication of KR20180017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모든 나무들은 제멋대로 자란다. 본 발명은 과일나무나 조경수, 정원수 등 제멋대로 자라는 나뭇가지를 오므리고 벌리고 밀고 당겨줌으로서 원하는 수형으로 키움은 물론 공간 활용과 햇볕을 골고루 들게 함으로서 원활한 통풍과 광합성효과를 극대화하여 양질의 과수 생산과 수목 보호, 나아가 비바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대에 가지를 받치는 받침대와 지지대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나뭇가지의 수형에 따라 밀착 고정하기 위한 회전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과일나무나 조경수의 수목에 따라 키우는 방법이 다르고 어린 유목 때부터 여러 개의 가지가 겹쳐 자라는 나뭇가지를 벌리고 오므리고 밀고 당기고 하여 원하는 대로 수형을 잡으면서 나뭇가지끼리의 거리(폭)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가지와 가지를 서로 밀고 당겨줌으로서 강풍이나 세찬 비바람에도 나무와 과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를 필요에 따라 쉽게 탈부착 할 수 있고 나뭇가지에 밀착되도록 반곡형 받침대와 갈고리가 구비되어 나무와 지지대가 밀착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자 할 때 별도의 끈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홀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인한 안정성으로 과수나무를 원하는 데로 키우면서 과수을 보호함은 물론 과수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A wooden molding equipped with a control feature length support }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목 때부터 제멋대로 자라는 과일나무나 조경수, 정원수 등 나뭇가지를 오므리고 벌리고 밀고 당겨줌으로서 원하는 나무 모양으로 키움에 따른 균형성장은 물론 공간 확보와 햇볕을 골고루 들게 함으로서 통풍과 광합성효과를 극대화하여 양질의 과수 생산과 수목보호를 위한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말명은 성장기 나뭇가지의 처짐과 흔들림을 방지하고 비바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양질의 과수 생산과 수목의 성장발육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복숭아 등 유실수는 물론 조경수 등도 수종에 따라 어릴 때(유목
Figure pat00001
)부터 나무모양 만들기(수형잡기)가 매우 중요하지만 정작 나무모양을 제대로 만들 수 있는 기구나 도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성장기 나무일수록 가지끼리 뒤엉킴에 따른 일조량 저하, 통풍 불균형으로 인한 과수의 성장 장해 및 나무가 고사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과일이 성장하면서 과일의 무게에 의한 나뭇가지 처짐 및 부러짐 발생, 비바람 등 외력에 의한 낙과, 흔들림 및 부러짐 발생 등의 피해가 심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작업에 심혈을 기울여보지만 정작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지대나 방법이 전무한 실정인 것 또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 가지 기구들이 시판되고 있지만 이들 기구들 중 대표적 기구가 어린 나뭇가지 하나만 원하는 방향이나 각도로 유인하는 일명 E클립이 있으나 이것은 어린 나뭇가지 하나만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유인만 할 뿐 오므라진 두 가지나 벌어진 두 가지를 벌리고 오므릴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뭇가지가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부러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과일이 매달린 나뭇가지와 지면 사이의 공간에 해당 높이의 버팀목을 받쳐 나뭇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한거루의 과일나무에서 뻗어난 여러 개의 가지마다 일일이 버팀목을 설치해야 함으로 인한 노동력 과다, 작업성 저하, 인건비 부담 등의 경제적 손실과 나무 주변공간을 버팀목이 점유함으로 인한 작업자 및 운반구 등의 통행 방해, 제초작업 등 영농작업에 불편함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부를 바닥면에 고정되게 하고 나무의 원둥치와 끈으로 결박하여 고정시킨 지주대의 상부에 다수의 걸이공이 구비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나뭇가지에 매달은 로프를 각각의 걸이 공에 결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과수의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나뭇가지를 결속하여 가지가 처지지 않고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구사하고 있으나 이 또한 원기둥에 가지 하나씩을 로프로 묶어 가지가 처지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겹친 가지를 펴주고 퍼진 가지를 오므려주지를 못함은 물론 어린 유목의 수형잡기 와는 거리가 멀고 가지가 흔들리고 태풍을 대비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들을 모두 없애고 어린 유목부터의 수형잡기는 물론 가지끼리 벌리고 오므림으로 인한 일조량 증가, 과일의 성장에 따른 처짐을 방지하고 비바람 등 외력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음에 따른 노동력과 인건비 절감은 몰론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대를 구성하기 위한 암지지대(1)와 숫지지대(2), 지지대에 부착되어 나뭇가지를 받쳐 주는 받침대(3), 암수지지대를 연결하고 길이를 조절하는 연결조절장치대(4), 나뭇가지가 자란 방향이나 각도에 관계없이 나뭇가지에 밀착시키는 회전장치(5), 그리고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 후 고정시키는 걸림쇠(10-1)가 구비된 결속장치(10) 등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로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에는 필요한 길이조절이 가능함으로서 유목 때부터 나무의 모양을 만들고 가지와 가지끼리 서로 밀고 당겨줌으로서 일조량 증가 및 원활한 통풍에 의한 수목 보호는 물론 양질의 과수를 생산하고 가지가 처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하며 비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과수농가의 일손부족을 해소하고 농가소득향상과 반영구적 사용으로 인한 원가절감, 튼튼하고 왕성한 수목을 오래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대를 구성하기 위한 암지지대(1)와 숫지지대(2);
지지대에 부착되어 나뭇가지를 받쳐주는 받침대(3);
암수지지대를 연결하고 길이를 조절하는 연결조절장치대(4);
나뭇가지가 자란 방향이나 각도에 관계없이 나뭇가지에 밀착시키는 회전장치(5);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 후 고정시키는 걸림쇠(10-1)가 구비된 결속장치(10); 등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바람직하게는, 암지지대(1)의 말단 일 측면에는 암지지대와 숫지지대를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는 연결조절장치대(4)가 구비되고 암지지대(1)의 또 다른 말단부에는 받침대고정나사끼움홀(3-2)이 구비된 받침대(3)가 결합되며, 숫지지대(2)의 말단 일 측면에는 방향과 각도가 다른 나뭇가지끼리의 밀착 고정을 위한 회전장치(5)가 구비되고 회전장치(5)의 말단부에는 회전체(3-1)가 구비된 받침대(3a)가 끼움 결합되고, 숫지지대(2)의 외부 표면에는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길이조절홀(2-1)이 구비된다.
암지지대(1)의 내부 일 측면에는 숫지지대(2)가 암지지대(1)에 삽입 시 회전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모노레일(monorail)이, 숫지지대(2)의 외부 일 측면에는 레일로(rail
Figure pat00002
)가 각각 구비되며 연결조절장치대(4)의 상부 일 측면에는 결속장치(10)를 결합할 수 있는 결속장치거치대(4-1)와 스프링거치대(20-1)가 구비되고 결속장치(10)의 일 측 끝단부에는 숫지지대(2)에 구비된 길이조절홀(2-1)에 끼움 되어 지지대가 고정되는 걸림쇠(10-1)가 구비되며 또 다른 하부 일 측면에는 스프링거치대(20-1)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지지대는 누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한 기능과 종류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지지대 구조의 일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한 것일 뿐, 지지대마다 다양한 종류의 기능과 디자인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도1 내지 도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대를 구성하기 위한 암지지대(1);와 숫지지대(2); 원형의 나뭇가지에 미끄러짐 없이 밀착되게 받쳐주는 받침대(3);와 갈고리(3'); 암수지지대(1,2)를 연결 결합하고 길이를 조절하는 결속장치(10)가 결합되는 연결조절장치대(4); 지지대(1,2)의 일 측 말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체(3-1)가 부착된 받침대(3a)가 끼움 결합되는 회전장치(5); 지지대에 다수 구비된 길이조절홀(2-1)에 끼워져 암수지지대가 고정되는 걸림쇠(10-1)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결속장치(10);가 연결조절장치대(4)에 구비된 결속장치거치대(4-1)에 결합 구비된다.
암수지지대(1,2)는 기본적으로 철재류나 알루미늄관 또는 합금관 등으로 제작되며 필요와 용도에 따라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도 성형 사출된다. 외형은 기본적으로는 기능에 맞는 원형으로 제작되지만 편의성과 용도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도 제작된다.
지지대(1,2)의 굵기나 길이는 나무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제작된다.
암지지대(1)의 내부에는 숫지지대(2)가 삽입 시 회전하거나 유동을 방지하고 특히, 지지대에 구비된 길이조절홀(2-1)과 걸림쇠(10-1)가 왕복하는 지지대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모노레일(monorail)(1-1)이 구비되고 숫지지대(2)의 외부 일 측 표면에는 암지지대(1)의 내부로 삽입 시 모노레일(monorail)(1-1)이 삽입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로(rail
Figure pat00003
)(2-2)가 구비된다.
나뭇가지와 가지 사이의 거리와 필요에 따라 지지대(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홀(2-1)이 숫지지대(2)의 일 측면에 일렬로 다수 구비된다. 길이조절홀(2-1)은 연결조절장치대(4)에 결합되는 결속장치(10)에 구비된 걸림쇠(10-1)와 걸림 결합되어 고정되고,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속장치(10)를 누르면 걸림쇠(10-1)와 길이조절홀(2-1)이 분리되는데 이때 필요한 길이만큼 조절 후 다시 결속장치(10)를 놓으면 걸림쇠(10-1)가 길이조절홀(2-1)에 끼움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나무를 받치고 받침대(3)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사출되며 햇볕이나 자연 상태에서 무방비 노출을 감안하여 UV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제작할 수 있고 받침대(3)가 지지대(1,2)에 바로 끼움 결합되는 것과 회전체(3-1)가 일체형인 받침대(3a)로도 제작된다. 지지대(1,2)에 바로 끼움 결합되고 나뭇가지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받침대(3)를 기본형으로 제작되지만 회전장치(5)에 끼움 결합되는 회전체(3-1)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받침대(3a)가 하나 이상 지지대(1,2)에 결합되는 회전형 받침대로도 제작되며 나무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는 받침대(3)와 나무를 당겨주는 기능을 하는 갈고리(3')가 일체형으로(un자가 합쳐진 형상) 구비되는 받침대(33)로도 제작되고, 타원형의 받침대에 일부 면이 개방되어 (
Figure pat00004
) 나뭇가지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받침대(333)를 지지대(1,2)에 끼움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물론, 회전체(3-1)가 구비된 받침대(3a, 33a, 333a)로도 제작되며 필요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받침대(3+3, 3a+3, 3a+3a, ...등)를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받침대(3)와 갈고리(3')는 지지대의 용도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며 나뭇가지에 설치된 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대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끈(로프) 등으로 결속하고자 할 때 끈(로프)을 끼울 수 있도록 받침대(3)와 갈고리(3')의 양쪽 끝단부에 끼움홀(200)이 구비되고, 또 다른 다용도홀(200')이 받침대 일 측면에 구비되며 지지대(1,2)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받침대고정나사끼움홀(100)이 받침대(3)의 하단부에 별도로 구비된다.
암지지대(1)의 일 측 말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조절장치대(4)는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사출된다. 물론, 강한 햇볕에 견뎌야 하고 자연 상태에서의 사용을 감안하여 UV안정제 등을 첨가하여 성형 사출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철재류로도 제작할 수 있다.
연결조절장치대(4)는 암지지대(1) 외부에 끼움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외형과 동일한 원통형(도4의 정면도)으로 제작되며 지지대의 외형에 따라 동일 형태로 제작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암지지대(1)의 외형 크기와 동일한 사이즈로 빡빡하게 끼워지도록 제작되며 끼움 결합 후에는 연결조절장치대(4)가 지지대(1)에서 빠지지 않도록 접착제를 바르고 끼움 결합하거나 지지대(1) 일 측면에 거치홀을 형성하고 연결조절장치대(4)를 삽입하면 연결조절장치대에 구비된 거치대가 거치홀에 끼움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도 제작할 수 있으며 연결조절장치대(4)의 앞부분은 지지대(1)에 삽입 시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대(1) 두께 만큼의 검림턱이 형성 구비된다.
연결조절장치대(4)의 상부에는 결속장치(10)를 결합할 수 있는 결속장치거치대(4-1)가 평행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고 스프링(20)을 끼움 결합하는 스프링거치대(20-1)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결속장치거치대(4-1)에는 결속장치고정나사를 끼울 수 있는 결속장치고정나사끼움홀(4-2)이 구비된다.
지지대(1,2)를 연결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결속장치(10)는 연결조절장치대(4)와 동일한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숫지지대(2)의 길이조절홀(2-1)과 끼움 고정되는 걸림쇠(10-1)와 스프링(20)을 끼울 수 있는 스프링거치대(20-1')가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되며 UV안정제 등을 첨가하거나 또는 용도에 따라 철재류로도 제작된다.
결속장치(10)의 일 측 말단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쇠(10-1)는 숫지지대(2)에 길이조절 및 고정을 위하여 다수 구비된 길이조절홀(2-1)과 끼움 고정되며 결속장치(10)의 또 다른 일 측 말단부에 구비된 스프링(20)의 힘으로 길림쇠(10-1)가 고정되어 있다가 길이조절이나 필요에 따라 결속장치(10)를 누르면 걸림쇠(10-1)가 길이조절홀(2-1)에서 빠지면서 결속이 해제되고 다시 결속장치(10)를 놓으면 걸림쇠(10-1)가 길이조절홀(2-1)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결속장치를 누르고 숫지지대를 암지지대 내부로 밀거나 당겨 원하는 길이를 맞춘 후 결속장치를 놓으면 걸림쇠가 길이조절홀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결속장치(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스프링거치대(20-1')는 연결조절장치대(4)에 구비된 스프링거치대(20-1) 사이에 스프링(20)을 끼움 결합하여 항상 결속장치(10)를 밑에서 밀어 올려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스프링(20)을 끼우기 위하여 구비된다.
결속장치(10)의 위 표면에는 사람의 손으로 눌릴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embossing 10-3)가 형성된다. 특히, 농사일을 하는 농민들은 장갑을 끼고 일을 하기 때문에 눌릴 때의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구비된다.
지지대(1,2)에 직접 끼움 결합되는 받침대(3)가 기본형으로 제작되지만 나무가 자란 방향이나 각도에 따라 지지대에 결합된 하나의 받침대를 회전하여 나무에 밀착 지지할 수 있는 회전체(3-1)가 구비된 받침대(3a, 33a, 333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대(1,2)의 일 측 말단부에 회전장치(5)가 끼움 결합된다. 회전장치(5) 또한 다른 부분품과 마찬가지로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사출되며 자연 상태에서의 노출을 감안하여 UV안정제를 첨가하여 성형 사출할 수 있다. 회전장치(5)는 받침대 하부에 구비된 회전체(3-1)가 끼움 결합되어 받침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매립홈(5-1)이 일 측면에 구비되고 지지대(1,2)에 끼움 결합 후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나사끼움홀(5-2)이 별도로 구비된다. 매립홈(5-1)은 받침대의 회전체(3-1)를 위에서 강하게 끼우면 플라스틱의 신축성에 의하여 끼워지고 끼움 후에는 빠지지 않도록 반달형보다 조금 오목하게 형성되며 회전체(3-1)가 끼워지면 회전체(3-1)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체(3-1')와 받침대(3)의 밑 부분의 고정체(3-1")가 맞물려 빠지지 않으면서 받침대(3a)는 회전장치(5)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연결조절장치대(4)와 결속장치(10) 하부에 설치되어 결속장치(10)를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길이조절홀(2-1)에 걸림쇠(10-1)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스프링(20)은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되 제조방법이나 용도에 따라 판스프링으로도 제작되며 기성품이나 용도에 맞는 스프링을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 또한 자연 상태에서의 무한 노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텐이나 부식방지용 도금처리를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나머지 본 지지대 제작에 필요한 고정나사(30)나 볼트너트 등 부품들은 기성품을 사용하거나 용도에 맞게 제작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 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길이조절장치와 결속장치, 회전장치, 받침대 등 지지대의 구성 내지는 방법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수나무, 조경수 등 어린 유목의 수형잡기가 가능하고 가지 처짐 및 흔들림, 또는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대와 받침대, 연결조절장치, 회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대를 설치한 후에도 필요 시 언제든지 간단한 길이조절과 탈부착으로 나뭇가지를 유인하고 나뭇가지와 가지를 묶는 등 어떠한 형태의 나뭇가지든 관계없이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으면서 처진 나뭇가지를 처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비바람에 의한 흔들림 및 부러짐을 방지 등 피해를 예방하고 햇볕과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맛 좋고 품질 좋은 과일을 수확하고, 왕성하고 건강한 수목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노동력 절감은 물론 농가소득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품이 될 것은 자명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조립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암수지지대의 정면도,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암수지지대의 조립 정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연결조절장치의 정면도, 입체평면도,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연결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연결조절장치의 조립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회전장치의 분해도, 조립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회전장치의 정단면도 및 조립단면도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지지대와 받침대의 분해도, 조립도
도10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종류의 받침대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암지지대 1-1 모노레일(Monorail) 2 숫지지대
2-1 길이조절홀 2-2 레일로(rail
Figure pat00005
) 3 받침대
3' 갈고리 3-1 회전체 3-2 받침대고정나사끼움홀
4 연결조절장치대 4-1 누름단추거치대 4-2 누름단추고정나사끼움홀
5 회전장치 5-1 매립홈 5-2 고정나사끼움홀
10 결속장치 10-1 걸림쇠 10-2 누름단추고정나사끼움홀
10-3 돌기(embossing) 20 스프링 20-1 스프링거치대
30 고정나사 100 받침대고정나사끼움홀 200 로프끼움홀
200' 다용도홀
.

Claims (9)

  1. 지지대를 구성하기 위한 암지지대(1);와 숫지지대(2);
    나무에 밀착 지지하는 받침대(3);
    지지대(1,2)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하는 걸림쇠(10-1)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결속장치(10)가 결합된 연결조절장치대(4);로 이루어진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에 있어서
    받침대(3)를 나뭇가지에 받치고 결속장치(10)를 눌러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한 후 결속장치를 놓으면 걸림쇠(10-1)가 길이조절홀(2-1)에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조절장치대(4);
    연결조절장치대(4)와 결속장치에 돌출된 스프링거치대(20-1, 20-1')에 삽설된 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해 걸림을 허용하다가 결속장치(10)를 누르면 걸림이 해제되고 놓으면 다시 자동으로 걸림 되는 걸림쇠(10-1)를 포함하는 결속장치(10);
    누름단추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는 스프링(20);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2. 상기 1항에 있어서,
    암지지대(1)의 일 측 말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결속장치(10)를 결합할 수 있는 연결조절장치대(4);
    암지지대(1)의 내부 일 측면에는 숫지지대(2)가 삽입 시 회전하거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모노레일(monorail 1-1);
    숫지지대(2)의 일 측면에는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고 걸림쇠(10-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길이조절홀(2-1);
    숫지지대(2)의 외부 일 측면에는 암지지대(1)에 삽입 시 회전과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로(rail
    Figure pat00006
    2-2);
    암수지지대(1,2)의 일 측 말단부에 받침대(3)나 회전장치(5)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나사끼움홀(100);을 포함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3. 상기 1항에 있어서,
    받침대(3)는 지지대(1,2)에 직접 끼움 결합하는 받침대(3);
    받침대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서 나뭇가지의 방향이나 각도에 관계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체(3-1):
    받침대(3)의 양쪽 끝단부에 구비되어 필요 시 끈(로프) 등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홀(200);
    또 다른 일 측면에 구비된 다용도홀(200');
    지지대(1,2)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나사끼움홀(3-2);를 포함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4. 상기 1항에 있어서,
    연결조절장치대(4)는 결속장치(10)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속장치거치대(4-1);
    스프링(20)을 거치하는 스프링거치대(20-1);
    결속장치거치대에 구비되어 결속장치를 고정하는 결속장치고정나사끼움홀(4-2);을 포함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5. 상기 1항에 있어서,
    지지대(1,2)의 일 말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장치(5)는 회전체(3-1)가 구비된 받침대(3a, 33a, 333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매립홈(5-1);
    지지대(1,2)와 조립할 수 있는 고정나사끼움홀(5-2);을 포함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6. 상기 1항에 있어서,
    연결조절장치대(4)에 조립되는 결속장치(10)는 결속장치의 일 측 말단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밀어주는 스프링(20)의 힘으로 길이조절홀(2-1)에 끼워져 지지대(1,2)가 고정되고 결속장치(10)를 다시 누르면 길이조절홀(2-1)에서 빠지면서 고정이 해제되는 기능을 하는 걸림쇠(10-1);
    결속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20)을 끼워 거치하는 스프링거치대(20-1');
    결속장치를 연결조절장치대(4)와 끼움 결합하는 결속장치고정나사끼움홀(10-2);
    결속장치를 누를 때 미끄럼방지를 위한 돌기(embossing 10-3);를 포함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7. 지지대(1,2)에 나뭇가지를 밀어주는 단순 받침대(3, 33, 33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8. 지지대(1,2)의 어느 하나는 나뭇가지를 밀어주는 단순 받침대(3, 33, 333);가 부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체(3-1)가 구비된 받침대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회전장치(5);에 회전체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받침대(3a, 33a, 333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9. 단순히 나뭇가지만 밀어주는 Y형 받침대(3, 3a);
    나뭇가지를 밀어주는 받침대(3)와 나뭇가지를 당겨주는 갈고리(3')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nu형 받침대(33, 33a);
    나뭇가지를 밀어주고 당겨주는 기능을 하나로 할 수 있는 (
    Figure pat00007
    )형 받침대(333, 333a); 등 여러 종류의 받침대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KR1020160102376A 2016-08-10 2016-08-10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KR20180017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376A KR20180017875A (ko) 2016-08-10 2016-08-10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376A KR20180017875A (ko) 2016-08-10 2016-08-10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75A true KR20180017875A (ko) 2018-02-21

Family

ID=6152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376A KR20180017875A (ko) 2016-08-10 2016-08-10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8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7029A1 (en) * 2019-11-12 2021-05-13 Michael Hiers Tree Limb Hook Connector and Method of Use
KR200497847Y1 (ko) * 2022-12-19 2024-03-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목전지 장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7029A1 (en) * 2019-11-12 2021-05-13 Michael Hiers Tree Limb Hook Connector and Method of Use
KR200497847Y1 (ko) * 2022-12-19 2024-03-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목전지 장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525B2 (en) Vegetation attachment device
US6708832B1 (en) Device for hanging objects on a vertical support
US8499492B2 (en) Support for plants
KR20180006217A (ko)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KR101332951B1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KR20160144893A (ko) 유실수 나뭇가지의 인위적 결속·지지장치 및 그 방법
JP2018509179A (ja) 水耕栽培器
KR20180017875A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무 수형잡기 지지대
US20100325949A1 (en) Support apparatus for climbing plants
US20180084736A1 (en) Cultivating tool
KR101877172B1 (ko) 배수가 용이한 공중재배용 화분
KR100907788B1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US20200375123A1 (en) Tree support assembly
US20200275613A1 (en) Vegetated Canop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644074B1 (ko) 주지 유인장치
US20230043671A1 (en) Removable plant hanger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US20080078121A1 (en) Combined planter and flag holder adjustably and detachably secured to tree or pole
KR20170067114A (ko) 360도 회전 받침대가 구비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180016166A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나뭇가지 유인 줄
US20080179487A1 (en) Bird feeder and plant hanger
WO2008003961A2 (en) Adaptable bracket
KR200157887Y1 (ko) 식물재배용 유인끈 케이스
KR101813045B1 (ko) 나무 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