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589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589A
KR20180017589A KR1020160101651A KR20160101651A KR20180017589A KR 20180017589 A KR20180017589 A KR 20180017589A KR 1020160101651 A KR1020160101651 A KR 1020160101651A KR 20160101651 A KR20160101651 A KR 20160101651A KR 20180017589 A KR20180017589 A KR 2018001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arer
filter
breathin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179B1 (ko
Inventor
곽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 에프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 에프 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 에프 엘
Priority to KR102016010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층 구조로 구성되며 일측에 필터수용홀이 구비되는 바디, 및 필터수용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폐쇄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개방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마스크 { MASK }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의 착용에도 착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 또는 기관지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물품이다.
최근,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호흡을 통해 체내로 유입되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스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52075호(특허문헌 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5467호(특허문헌 2)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고 좌우 양측으로 절개 포켓부가 구비되는 마스크 본체, 및 네 귀퉁이 부위를 절개함에 따라 마스크 본체 좌우 양측의 절개 포켓부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결합단부가 좌우 양측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크와 유사하며,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고 좌우 양측으로 절개부가 구비되는 마스크 본체, 및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마스크 본체의 절개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를 포함하는 종래의 마스크는 미세먼지의 차단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도모하지만,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520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546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인체 친화적인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장시간의 착용하는 경우에도에도 피부 또는 호흡기에 무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층 구조로 구성되며 일측에 필터수용홀이 구비되는 바디, 및 필터수용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폐쇄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개방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바디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피층, 내피층에 적층되는 제 1 필터층, 제 1 필터층에 적층되고 제 1 필터층과 다른 크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층, 및 착용자의 착용 시 가장 바깥층을 형성하도록 제 2 필터층에 적층되는 외피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내피층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고, 제 1 필터층은 면 부직포로 구성되고, 제 2 필터층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구성되고, 외피층은 폴리코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는, 내피층에서 외피층을 향하여 필터수용홀에 끼워지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안착 지지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베이스부에 안착되어 베이스부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탄성 변형 되어 베이스부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호흡보조패드, 외피층에서 내피층 방향으로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호흡보조패드가 변형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베이스부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는 내피층에서 외피층을 향하여 필터수용홀에 끼워지는 중공 원통 형상의 보스부, 보스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피층과 접촉하는 외부플랜지부, 보스부와 안착턱을 형성하도록 보스부의 내주면을 따라 그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내부플랜지부, 내부플랜지부의 내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심부를 형성하며 서로 만나게 구성되되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레그부, 및 호흡보조패드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호흡보조패드는, 삽입고정핀에 끼워져 보스부와 내부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턱에 안착 지지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내부플랜지부와 지지레그부를 덮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며,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내부플랜지부와 지지레그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베이스부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는, 외피층에서 내피층 방향으로 보스부에 끼워져 호흡보조패드의 변형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베이스부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슬릿이 구비된 커버바디부, 및 커버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피층과 접촉되면서 외부플랜지부와 함께 바디를 물어잡도록 구성되는 커버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커버부는, 삽입고정핀에 끼워져 호흡보조패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수용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바디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는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는 인체 친화적인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장시간의 착용하는 경우에도 피부 또는 호흡기에 무해한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디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디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바디(100) 및 필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귀걸이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10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형상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바디(100)는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복수의 층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디(10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피층(110), 내피층에 적층되는 제 1 필터층(120), 제 1 필터층(120)에 적층되고 제 1 필터층(120)과 다른 크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층(130), 및 착용자의 착용 시 가장 바깥층을 형성하도록 제 2 필터층(130)에 적층되는 외피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필터층(120) 및 제 2 필터층(13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 열가소성 수지 원료를 고압 열풍 하에 극세 섬유로 구성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나노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면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필터층(120)은 착용자의 피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층인 것을 감안하여 면 부직포로 구성하고, 제 2 필터층(130)은 제 1 필터층(13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 트러블 현상을 저감시키고 동시에 2중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우수한 공기 정화 효과가 도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피층(110)은 착용자의 호흡 시 콧물, 침 등이 튀기는 현상에 대비하여 건조성을 가지며, 피부 친화적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피층(140)은, 폴리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체적인 형상을 지지, 흡습성 향상, 및 정전기 발생 저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폴리코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디(100)는 일측에는 후술하는 필터(200)가 관통 장차되는 필터수용홀(150)이 구비된다.
아울러, 바디(100)에는 내피층(110)이 착용자의 코에 편안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코편부(16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코편부(160)는 알루미늄, 철심, 합성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철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내피층(110)에는 착용자의 피부 측으로 코편부(160)를 보조하여 내피층(110)과 피부 사이의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스펀지부(170)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필터(200)는 바디(100)의 필터수용홀(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200)는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폐쇄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개방되어 내피층(140)과 피부 사이에 호흡 공기가 원활하게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필터(200)가 없는 경우, 내피층(140)과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호흡 공기가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로 전달되어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필터(200)는 베이스부(210), 호흡보조패드(220), 및 커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210)는 내피층(110)에서 외피층(140)을 향하여 필터수용홀(150)에 끼워지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베이스부(210)는 내피층(110)에서 외피층(140)을 향하여 필터수용홀(150)에 끼워지는 중공 원통 형상의 보스부(211), 보스부(2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피층(110)과 접촉하는 외부플랜지부(212), 보스부(211)와 안착턱(211a)을 형성하도록 보스부(211)의 내주면을 따라 그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내부플랜지부(213), 내부플랜지부(213)의 내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심부(214a)를 형성하며 서로 만나게 구성되되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레그부(214), 및 호흡보조패드(22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중심부(214a)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고정핀(2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부(210)는 보스부(211)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커버부(2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홈(211b)이 구비될 수 있다.
호흡보조패드(220)는 베이스부(210)에 안착 지지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베이스부(210)에 안착되어 베이스부(210)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며,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탄성 변형 되어 베이스부(210)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비된다.
호흡보조패드(220)는 삽입고정핀(215)에 끼워져 보스부(211)와 내부플랜지부(213)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턱(211a)에 안착 지지되고, 도 5의 위의 그림과 같이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내부플랜지부(213)와 지지레그부(214)를 덮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며, 도 5의 아래 그림과 같이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내부플랜지부(213)와 지지레그부(214)에서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베이스부(210)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흡보조패드(220)는 착용자의 호흡 시 인체에 무해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30)는 외피층(140)에서 내피층(110) 방향으로 베이스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호흡보조패드(220)가 변형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경우, 커버부(230)는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베이스부(210)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커버부(230)는, 외피층(140)에서 내피층(110) 방향으로 베이스부(210)의 보스부(211)에 끼워져 호흡보조패드(220)의 변형 공간(231a)을 형성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베이스부(210)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슬릿(231b)이 구비된 커버바디부(231), 및 커버바디부(23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피층(140)과 접촉되면서 베이스부(210)의 외부플랜지부(212)와 함께 바디(100)를 물어잡도록 구성되는 커버플랜지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부(230)는, 베이스부(210)의 삽입고정핀(215)에 끼워져 호흡보조패드(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바디부(231)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수용돌기부(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30)는, 커버바디부(231)의 내측에 베이스부(210)에 형상된 결합홈(211b)에 수용되어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플랜지부(231c)가 형성될 수 있다.
귀걸이부(300)는 바디의 양 측면에 구비된다.
귀걸이부(300)는 스토퍼 등과 같은 길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귀걸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도 5의 위의 그림과 같이,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는, 호흡보조패드(220)가 보스부(211)와 내부플랜지부(213)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턱(211a)에 안착 지지되면서 내부플랜지부(213)와 지지레그부(214)를 덮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도 5의 아래 그림과 같이,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는, 호흡보조패드(220)가 커버부(230)의 커버바디부(231)와 베이스부(210) 사이의 변형 공간(231a)에서 탄성 변형되면서, 착용자의 호흡 공기가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210)를 지나 커버부(230)의 배출슬릿(231b)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는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착용자의 안경 또는 고글 등의 렌즈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며, 인체 친화적인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장시간의 착용하는 경우에도 피부 또는 호흡기에 무해한 장점을 지닌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의료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바디 110: 내피층
120: 제 1 필터층 130: 제 2 필터층
140: 외피층 150: 필터수용홀
160: 코편부 170: 스펀지부
200: 필터 210: 베이스부
211: 보스부 211a: 안착턱
211b: 결합홈 212: 외부플랜지부
213: 내부플랜지부 214: 지지레그부
214a: 중심부 215: 삽입고정핀
220: 호흡보조패드 230: 커버부
231: 커버바디부 231a: 변형 공간
231b: 배출슬릿 231c: 결합플랜지부
232: 커버플랜지부 233: 고정핀수용돌기부
300: 귀걸이부

Claims (9)

  1.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형상을 이루고, 복수의 층 구조로 구성되며, 일측에 필터수용홀이 구비되는 바디; 및
    상기 필터수용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폐쇄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개방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에 적층되는 제 1 필터층;
    상기 제 1 필터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필터층과 다른 크기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층; 및
    착용자의 착용 시 가장 바깥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필터층에 적층되는 외피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필터층은 면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필터층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층은 폴리코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내피층에서 상기 외피층을 향하여 상기 필터수용홀에 끼워지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 지지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탄성 변형 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호흡보조패드;
    상기 외피층에서 상기 내피층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호흡보조패드가 변형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내피층에서 상기 외피층을 향하여 상기 필터수용홀에 끼워지는 중공 원통 형상의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피층과 접촉하는 외부플랜지부;
    상기 보스부와 안착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보스부의 내주면을 따라 그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내부플랜지부;
    상기 내부플랜지부의 내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심부를 형성하며 서로 만나게 구성되되,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호흡 공기를 배출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레그부; 및
    상기 호흡보조패드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삽입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패드는,
    상기 삽입고정핀에 끼워져 상기 보스부와 상기 내부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턱에 안착 지지되고,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상기 내부플랜지부와 상기 지지레그부를 덮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며,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내부플랜지부와 상기 지지레그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통한 호흡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피층에서 상기 내피층 방향으로 상기 보스부에 끼워져 상기 호흡보조패드의 변형 공간을 형성하고,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배출되는 호흡 공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슬릿이 구비된 커버바디부; 및
    상기 커버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피층과 접촉되면서 상기 외부플랜지부와 함께 상기 바디를 물어잡도록 구성되는 커버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고정핀에 끼워져 상기 호흡보조패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핀수용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귀걸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60101651A 2016-08-10 2016-08-10 마스크 KR10191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51A KR101915179B1 (ko) 2016-08-10 2016-08-1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51A KR101915179B1 (ko) 2016-08-10 2016-08-10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89A true KR20180017589A (ko) 2018-02-21
KR101915179B1 KR101915179B1 (ko) 2019-01-07

Family

ID=6152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51A KR101915179B1 (ko) 2016-08-10 2016-08-1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31B1 (ko) * 2019-04-09 2019-08-27 주식회사 티엔솔루션 방진 마스크
IT202000010993A1 (it) * 2020-05-14 2021-11-14 Italian Converter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respiratoria in tessuto spaziato
KR20220007817A (ko) 2020-07-10 2022-01-19 박수업 통풍형 귀걸이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32Y1 (ko) * 2019-03-28 2019-11-28 주식회사 뉴바이오제약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210152667A (ko) 2020-06-09 2021-12-16 조복만 마스크
KR102306605B1 (ko) * 2020-11-05 2021-09-29 신명복 온도 체크가 가능한 마스크 유닛
KR20220131614A (ko) 2021-03-22 2022-09-29 조복만 압박형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506Y1 (ko) 1998-06-23 2001-12-28 김종기 방독마스크용호흡의흡기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31B1 (ko) * 2019-04-09 2019-08-27 주식회사 티엔솔루션 방진 마스크
IT202000010993A1 (it) * 2020-05-14 2021-11-14 Italian Converter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respiratoria in tessuto spaziato
KR20220007817A (ko) 2020-07-10 2022-01-19 박수업 통풍형 귀걸이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79B1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79B1 (ko) 마스크
KR20190067323A (ko) 마스크
TW201714630A (zh) 具風扇輔助呼吸的微粒過濾面罩
EP2950888A2 (en) Respiratory mask having a clean air inlet chamber
US11400245B2 (en) Respirator mask
KR20170104196A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20210009833A (ko) 코호흡 분리형 마스크
JP2016534764A (ja) 鼻支持拡張部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KR20190097802A (ko) 마스크
KR102179117B1 (ko) 호흡용 마스크
KR102229882B1 (ko) 마스크용 디스팬서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KR200492269Y1 (ko)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KR101964732B1 (ko) 방진마스크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286B1 (ko) 기계식 마스크
KR20240008326A (ko) 재사용이 가능한 고-여과성 안면 마스크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KR20130112444A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20210009832A (ko) 흡기와 호기 분리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