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52A -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452A
KR20180017452A KR1020160101282A KR20160101282A KR20180017452A KR 20180017452 A KR20180017452 A KR 20180017452A KR 1020160101282 A KR1020160101282 A KR 1020160101282A KR 20160101282 A KR20160101282 A KR 20160101282A KR 20180017452 A KR20180017452 A KR 2018001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tooth
virtual
bracke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907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0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0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CN201680001873.1A priority patent/CN107920869B/zh
Priority to US15/317,224 priority patent/US10588714B2/en
Priority to PCT/KR2016/011094 priority patent/WO2018030576A1/ko
Priority to EP16800869.6A priority patent/EP3498218A4/en
Priority to JP2016570954A priority patent/JP6595512B2/ja
Priority to AU2016273856A priority patent/AU2016273856B2/en
Priority to TW105143124A priority patent/TWI613561B/zh
Publication of KR2018001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07B1/ko
Priority to US16/236,864 priority patent/US108209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가 로딩되고,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이 추출되는 제1단계; 상기 추출된 가상 교정 탬플릿의 각 가상 브라켓과 가상 와이어가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연속치열구조와 대응되도록 정렬배치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각 가상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합되는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그립돌출부가 일체로 포함된 디지털 브라켓이 개별 설계되고, 설계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디지털 브라켓이 3차원 프린팅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orthodontic digital bracket using digital library}
본 발명은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이 되는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 없이 환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치열을 미세조정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써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치열 교정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단일의 규격으로 획일화되어 구비되되, 평탄하게 형성된 패드부의 일면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된다. 이때, 치아배열에서 양측으로 이웃하는 치아에 각각 부착되는 브라켓의 위치가 일정하지 못하게 고정되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치아가 원하는 배열로 교정되지 못하여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며, 이를 수정하기 위한 추가교정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 인해 치열 교정치료기간 및 교정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05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가 로딩되고,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이 추출되는 제1단계; 상기 추출된 가상 교정 탬플릿의 각 가상 브라켓과 가상 와이어가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연속치열구조와 대응되도록 정렬배치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각 가상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합되는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그립돌출부가 일체로 포함된 디지털 브라켓이 개별 설계되고, 설계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디지털 브라켓이 3차원 프린팅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가상 브라켓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단부 외면과 형합되되, 상기 가상 브라켓과의 경계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절되도록 부분절개된 분절엣지가 설계되며, 상기 그립돌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각 치아의 종류 및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표식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는 치열궁 프로파일, 치아의 종류, 배열간격 및 각도를 선택항목으로 갖는 복수개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에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는 상기 잇몸이미지와 분리되되,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중앙부와 양측단을 연결하여 횡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식립각도에 대응하여 종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2기준선을 포함하는 정렬기준부가 설정되고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정렬기준부의 3차원 조작을 통해 상기 각 치아이미지가 가상조절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에 포함된 상기 가상 브라켓이 상기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의 연속치열구조와 대응되도록 개별조절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단계 내지 제3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이 상기 각 치아에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는 제1커버홈부와, 상기 가상 브라켓 및 가상 와이어어의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는 제2커버홈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장치가 더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개인별 편차를 대표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복수개의 가상 교정 탬플릿 중 피시술자의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는 선택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가 역으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설계정보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계될 수 있으므로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은 복수개의 가상 브라켓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되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 대응되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상에 동시에 배치되되, 각 치아이미지의 가상조절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개별적으로 미세조절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디지털 브라켓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교정 시술의 신뢰도가 현저히 증가하며 피시술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시술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각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형합되는 지그부와 각 치아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그립돌출부가 상기 패드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제조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취부하여 각 교정대상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분절엣지를 통하여 고정이 완료된 패드부로부터 상기 지그부와 그립돌출부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오랄스캔 이미지의 조절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가상 교정 탬플릿이 배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치열구조에 대응하여 가상 브라켓의 위치가 미세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지그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브라켓가 설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이 치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리테이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오랄스캔 이미지의 조절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가상 교정 탬플릿이 배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치열구조에 대응하여 가상 브라켓의 위치가 미세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지그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브라켓가 설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이 치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1)가 로딩되고, 디지털 라이브러리(10)로부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2)와 대응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11)이 추출된다(s10).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이 바람직한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로 교정되도록 수립된 치열 교정시술 계획에 따른 가상 치열궁 프로파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전체적인 구조 및 상기 시술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수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에 포함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후술되는 정렬기준부(5)를 기준으로 3차원 조작되어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가상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피시술자의 교정대상 치아가 실질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게 교정되도록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설계된 후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 표시된 치조골 상단부측 잇몸의 아치형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 표시된 구치(molar)측 치열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실질적으로 치열변형이 적거나 발생하지 않는 구치측의 연속적인 치아 배열상태를 기반으로 전치(incisor)측의 치아 배열상태를 예측함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가 설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는 연령, 성별, 상악 및 하악의 크기 등의 개인별 편차를 대표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 혹은 후술되는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복수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술자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 혹은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복수개의 연속치열구조 중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 대응되는 하나의 연속치열구조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되도록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의 각 치아이미지(2)를 3차원 조작함에 따라 상기 각 치아이미지(2)를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로 가상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에는 피시술자의 상악 및 하악 중 치열 교정시술이 필요한 교정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 내부의 치아이미지(2) 및 잇몸이미지(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가 포함된 구강 내부의 일측만을 스캔하여 획득될 수도 있으나, 교정대상 치아측과 대합치아측 간의 기능적, 심미적 교합관계가 고려되도록 상하악에 대한 스캔 이미지가 함께 획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오랄스캐너를 이용하여 직접 스캔하여 획득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인상모형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모형을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이때, 획득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는 이미지 변환을 통한 영상처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3차원 벡터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는 시술자에 의해 획득되어 시술자측 단말기에 저장되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조자측 서버로 전송된 후 제조자에 의해 영상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술자측은 실질적인 치열 교정시술이 수행되는 일반적인 개별 치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라 함은 상기 시술자가 획득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가 저장되는 매체로써 PC 내지 별도의 전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자측이라 함은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의 3차원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치열 교정시술에 필요한 보철물(브라켓 및 와이어 등)을 제작하는 시술 지원 센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자측 서버는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서 전송받은 정보가 저장된 장치로써, 상기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치아교정용 보철물을 설계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한다.
즉,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가 로딩된다 함은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가 상기 제조자측 서버로 전송된 후 3차원 이미지 조작을 위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에 로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시술자측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응되는 인상모형을 제조 및 상기 제조자측으로 배송하고, 상기 제조자측에서 상기 인상모형을 스캔하여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가 획득될 수도 있다. 더욱이, 피시술자는 상기 제조자측에 방문하여 상기 제조자측에 구비된 오랄스캐너를 통하여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가 획득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와 상기 제조자측 서버는 양방향으로 유무선 통신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조자측 서버에서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서 상기 제조자측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거나 상호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획득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는 영상분석을 통하여 상기 각 치아이미지(2)와 상기 잇몸이미지(3)가 구분되되, 상기 각 치아이미지(2)가 상기 잇몸이미지(3)와 분리되도록 영상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에 표시되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2)와 상기 잇몸이미지(3)의 경계를 따라 복수개의 경계점(4)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호 이웃하여 설정된 경계점(4) 사이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영역을 설정함에 따라 상기 각 치아이미지(2)가 상기 잇몸이미지(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계점(4) 사이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상기 각 치아이미지(2)가 상기 잇몸이미지(3)로부터 더욱 명확하고 정밀하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점(4)은 상기 시뮬레이션 장치상에서 수동으로 지정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경계영역 지정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의 각 치아이미지(2) 및 잇몸이미지(3)의 색상 차이를 기준으로 지정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설정된 지정값에 따라 상기 각 치아이미지(2)와 잇몸이미지(3) 사이에 상기 경제점(4)의 위치 및 간격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술한 색상 차이 외에도 각 이미지(2,3)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정값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된 상기 경계점(4)은 상기 제조자측에서 영상 재분석을 통하여 수동으로 보정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분리작업이 더욱 명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서 각 치아에 따라 식립된 위치 및 각도가 상이하므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에 표시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개별적으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하여 개별적인 3차원 조작이 가능하므로 더욱 정확한 치열 교정시술 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잇몸이미지(3)는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따라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하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함께 가상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치아이미지(2)가 가상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구강 내부의 전체적인 교정상태를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를 통하여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치열 교정시술의 정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각 치아이미지(2)와 분리된 상기 잇몸이미지(3)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로부터 소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영상처리 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각 치아이미지(2)에는 정렬기준부(5)가 개별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하도록 상기 정렬기준부(5)를 기준으로 3차원 조작하여 상기 각 치아이미지(2)가 가상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기준부(5)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중앙부와 양측단을 연결하여 횡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1기준선(5a)과, 상기 각 치아의 식립각도에 대응하여 종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2기준선(5b)을 포함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조작 및 무빙이라 함은 상기 각 치아이미지(2)를 바람직한 치열 즉,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가상조절하기 위한 회전, 위치이동 및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3차원적인 이미지 조작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를 기준으로 상기 제1기준선(5a)의 상호 이웃하는 양단부가 연속적인 아치형태를 형성하도록 회전 및 이동되어 가상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상기 대합치아와 기능적, 심미적으로 바람직한 교합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제2기준선(5b)을 기준으로 위치 및 각도가 3차원 조작되어 가상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응하여 획득되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로 가상조절되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정밀한 설계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피시술자의 교정대상 치아와 대합치아 간의 기능적, 심미적 교합관계가 고려된 치열 교정시술 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 교정시술 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치열 교정시술을 통한 피시술자의 시술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정밀하고 명확한 치열 교정시술 계획이 수립되도록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응하는 CT 촬영 이미지가 더 획득될 수도 있다. 즉, 상기 CT 촬영 이미지를 통하여 각 치아의 치근의 방향 및 길이, 치조골의 밀도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획득될 수 있으므로 치열 교정시술 계획이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수립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치아이미지(2)는 상기 정렬기준부(5)의 각 기준선(5a,5b)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정렬기준부(5)의 각 기준선(5a,5b)이 상기 연속치열구조(6)와 상호 매칭되도록 자동으로 정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영상처리 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따라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와 대응되도록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로부터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11)이 선택되어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개인별 편차를 대표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열궁 프로파일, 치아의 종류, 배열간격 및 각도를 선택항목으로 갖는 복수개의 가상 교정 탬플릿(11)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에는 각 치아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복수개의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과 이를 연결하는 가상 와이어(13)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11b,11c)의 디지털 외형정보가 복수개로 포함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외형정보라 함은 후술되는 디지털 브라켓의 외형 및 구조가 대응되게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벡터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디지털 외형정보는 제조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설계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이 선택되면 별도의 설계 내지 측정 작업 없이도 각 치아에 대응되는 디지털 브라켓의 전체적인 형태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설계 및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브라켓(12)은 치아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패드부(14)와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부(15)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함께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브라켓을 용이하게 설계 및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11b,11c)은 각 선택항목을 기준으로 세분화되어 분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11b,11c)은 성별 및 연령별 치열궁 프로파일 및 치아 간의 배열간격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 및 선택항목으로 지정하여 1차 분류(A)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분류(A)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11b,11c)은 치아의 식립각도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 및 선택항목으로 지정하여 2차 분류(B)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시술자에 따라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11)이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에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에 신속하게 정렬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교정대상 치아에 다수개의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동시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설계 및 제조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상기 가상 와이어(13)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 정렬되어 배치되므로 후술되는 상기 가상 브라켓의 정렬배치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선택항목에 대응하는 기준값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로부터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기준값을 선택항목으로 지정하여 입력하기만 하면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로부터 피시술자의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이 선택 및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은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상기 가상 와이어(13)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세트(set)로 저장된다. 이에 따라, 추출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a)을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에 동시에 가상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 교정시술을 위한 보철물의 설계공정 및 소요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응하는 각 치아이미지(2)에 대응되되, 바람직하게는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측 6개의 치아를 특정하여 매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치열변형이 적은 구치측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치열변형이 발생하여 치열 교정시술을 필요로 하는 상기 전치측에 한정하여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제조시 3차원 조작되는 이미지수가 최소화되므로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추출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의 각 가상 브라켓(12)과 가상 와이어(13)가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정렬배치된다(s20).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은 치열 교정시술이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교정대상 치아의 각 치아이미지(2)의 외면측 또는 내면측 중 어느 일측에 연속적으로 가상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은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내면측에 가상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치아이미지(2)의 내면측이라 함은 구강의 내측 즉, 혀 및 입천장측과 대응되는 부분이고 외면측은 이와 대향되어 입술의 내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이 상기 각 치아의 내면측에 부착되도록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 교정시술 기간 중 상기 디지털 브라켓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심미적 만족감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돌출된 외면부에 입술 내측이 긁혀 상처가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은 상기 가상 와이어(13)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위치에 배열된 상태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 동시에 가상배치되되, 각 가상 브라켓을 개별적으로 미세조절하여 상기 각 치아이미지(2)에 대응하도록 정렬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설계 및 제조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면서도 각 치아에 대응하여 교정정밀도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각 치아의 내면에는 대합치아와의 교합 및 음식물의 저작을 위한 저작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저작면은 개인별뿐만 아니라 각 치아마다 상이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에 포함된 각각의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은 각 치아에 대응되도록 동시에 배치되되, 각 치아의 배치각도 및 저작면에 따라 개별조절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각 치아의 위치가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맞게 교정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3차원 위치가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가상조절되는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의 위치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명확하게 산출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를 위한 설계정보로 활용되므로 교정시술의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가상 브라켓(12a,12b,12c,12d,12e,12f)이 상기 치아이미지(2)의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치아이미지(2)에 개별정렬되면(s20), 상기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100)이 개별 설계되고, 설계된 데이터를 기초로 3차원 프린팅된다(s30).
이때, 상기 각 가상 브라켓(12)의 상부에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합되는 지그부(120) 및 상기 지그부(120)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그립돌출부(130)가 일체로 포함되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부(120)는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상단부 즉, 상기 패드부(도 3의 14)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상단부 외면과 형합되도록 설계된다.
상세히, 상기 가상 브라켓(12)이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각 치아의 위치를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맞게 교정할 수 있는 위치에 가상배치된 상태에서 그의 상단부에 상기 지그부(120)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설계된다.
이때, 상기 지그부(120)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상단부 외면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설계됨에 따라 추후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각 치아의 일면에 정확하게 형합 배치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상기 지그부(120)가 상기 각 치아(t)의 상단부(ta) 외면에 형합 고정되면 상기 패드부(110)가 상기 각 치아(t)의 기설정된 위치에 정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라 함은 상기 각 치아(t)가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하여 교정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위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지그부(120)의 내면에는 상기 각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형합되는 형합홈부(1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형합홈부(121)가 상기 각 치아(t)의 특징적인 저작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고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상기 각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더욱 명확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가 치열 교정시술 계획에 따라 정확하게 교정되므로 교정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은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로부터 산출되므로 상기 지그부(120)의 설계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120)에 의해 고정위치가 정렬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상기 패드부(110)의 내면에 접착제 등이 도포되어 각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브라켓(12)과 상기 지그부(120)의 경계부에는 외력에 의해 분절되도록 부분절개된 분절엣지(122)가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분절엣지(122)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상기 각 치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110)로부터 분리되도록 주변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분절엣지(122)는 상기 경계부를 따라 찢어진 슬릿(slit) 형태로 설계되거나 'v'자 내지 'u'자 형상의 쐐기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절엣지(122)는 관통부 및 밀폐연결부가 교번된 파선(broken lin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그부(120)가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패드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지털 브라켓(100)은 상기 지그부(120)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가해질 수 있는 각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손쉽게 정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기 분절엣지(122)를 통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기 지그부(1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성 및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되면서도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그부(120)와 상기 분절엣지(122)가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설계하기 위하여 획득되어 가상조절되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를 기반으로 동시에 설계되므로 이와 연계되어 즉각적인 제조가 가능하며 정밀성 또한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그부(120)의 상측방향으로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돌출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기설정된 취부면적을 갖도록 상향 돌설된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쥐거나 별도의 취부수단으로 취부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손쉽게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립돌출부(130)를 쥐고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기 분절엣지(122)를 경계로 상기 지그부(120)와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동시에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그립돌출부(130)가 기설정된 높이로 돌출됨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와 상기 분절엣지(122)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그립돌출부(130)에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분절엣지(122)가 손쉽게 파쇄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돌출부(130)의 단부에는 상기 각 치아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표식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표식부(131)에는 각 디지털 브라켓(100)과 대응되는 각 치아에 대한 안내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기 표식부(131)에는 상기 구강 내부의 정중선(midline, ML)을 기준으로 좌측 치아인지 우측 치아인지와 몇 번째 전치인지 혹은 견치인지 등에 대한 안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하악의 치열이 동시에 교정된다면, 상기 표식부(131)에는 상악인지 하악인지에 대한 안내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디지털 브라켓(100)이 좌측 하악의 견치(canine)에 해당된다면 이에 해당되는 안내정보가 상기 표식부(131)에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정보는 점자(132)로 기호화되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좌측, 하악, 견치'에 대한 정보는 점자(132) 타입으로 기호화되어 상기 표식부(131)의 외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손으로 취부시 손가락에 감촉으로 전달되는 정보만으로도 상기 치아의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시술정확도 및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취부시 미끄럼이 방지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취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정보는 알파벳, 숫자 및 이를 조합한 형태로 기호화되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디지털 외형정보 및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상단부에 상기 지그부(120), 상기 그립돌출부(130) 및 상기 분절엣지(122)가 일체로 설계되면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디지털 외형정보는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라켓을 개별적으로 설계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부(120)가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상단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설계되되 상기 그립돌출부(120)의 상단에 각 치아이미지(2)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상기 표식부(131)가 형성되므로 3차원 프린팅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각 치아의 바람직한 위치에 손쉽게 정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 브라켓(12)의 각 패드부(도 3의 14)는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패드부(도 3의 14)의 내면이 상기 각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형합안착부가 더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상기 형합홈부(121) 및 상기 형합안착부에 의해 상기 각 치아의 더욱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교정시술의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2)의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도록 조절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의 상기 가상 와이어(13)로부터 산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술자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 상에서 산출된 상기 가상 와이어(13)의 길이정보를 토대로 상기 와이어를 준비할 수 있으므로 교정시술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에서 리테이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브라켓이 상기 각 치아에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설계시 리테이너 장치(70)가 더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테이너 장치(70)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및 상기 디지털 브라켓과 이를 연결하여 교정을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를 아울러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효율 및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 장치(70)는 상기 피시술자의 교정대상 치아측의 구강 내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홈부(71)와 상기 디지털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2커버홈부(72)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버홈부(71)와 상기 제2커버홈부(72)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측의 외면, 상기 디지털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되, 실질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디지털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의 조합과 아울러 상기 리테이너 장치(70)에 의해 커버되어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교정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홈부(71)와 제2커버홈부(72)에 미백제 내지 불소화합물 등을 도포한 상태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하면, 상기 디지털 브라켓과 와이어에 의해 미세하게 세척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 장치(70)도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상에서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상에서 상기 가상 브라켓이 가상배치되고 상기 가상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가상 와이어가 연결된 후 그의 외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각 커버홈부(71,72)가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커버홈부(71,72)로부터 기설정된 두께로 돌출되어 외면부가 설계됨에 따라 상기 리테이너 장치가 손쉽게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 장치(70)의 두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 및 와이어를 고정하면서도 저작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두께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대상 치아, 디지털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탄발복원력에 따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치열 교정이 더욱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치열 교정시술을 위한 디지털 브라켓(100)뿐만 아니라 이를 보조하는 리테이너 장치 역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용이하게 설계 및 3차원 프린팅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시술의 신속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 장치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소정의 고정력을 갖는 투명 내지 반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브라켓(100)의 제조방법은 개인별 편차를 대표하도록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10)에 기저장된 복수개의 가상 교정 탬플릿(11) 중 피시술자의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6)에 대응되는 선택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11)의 디지털 외형정보가 역으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설계정보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계될 수 있으므로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11)은 복수개의 가상 브라켓(12)이 하나의 세트로 저장되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 대응되는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 동시에 배치되되, 각 치아이미지(2)의 가상조절된 연속치열구조(6)에 따라 개별적으로 미세조절된다. 이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제조된 디지털 브라켓(100)의 정밀도가 향상됨으로써 교정 시술의 신뢰도가 현저히 증가하며 피시술자의 기능적, 심미적인 시술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형합되는 지그부(120)와 각 치아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그립돌출부(130)가 상기 패드부(110)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제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취부하여 각 교정대상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분절엣지(122)를 통하여 고정이 완료된 패드부(110)로부터 상기 지그부(120)와 그립돌출부(130)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피시술자의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가 고려된 치열 교정시술 결과를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1)상에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2)를 3차원 조작하여 가상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더욱 정밀하고 명확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오랄스캔 이미지 2 : 치아이미지
3 : 잇몸이미지 4 : 경계점
5 : 정렬기준부 10 : 디지털 라이브러리
11,11a,11b,11c : 가상 교정 탬플릿 12 : 가상 브라켓
100 :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110 : 패드부
120 : 지그부 121 : 형합홈부
122 : 분절엣지 130 : 그립돌출부
131 : 표식부

Claims (5)

  1.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가 로딩되고,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는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이 추출되는 제1단계;
    상기 추출된 가상 교정 탬플릿의 각 가상 브라켓과 가상 와이어가 가상조절된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연속치열구조와 대응되도록 정렬배치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각 가상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합되는 지그부 및 상기 지그부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그립돌출부가 일체로 포함된 디지털 브라켓이 개별 설계되고, 설계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디지털 브라켓이 3차원 프린팅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가상 브라켓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상단부 외면과 형합되되, 상기 가상 브라켓과의 경계부를 따라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절되도록 부분절개된 분절엣지가 설계되며,
    상기 그립돌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각 치아의 종류 및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표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는 치열궁 프로파일, 치아의 종류, 배열간격 및 각도를 선택항목으로 갖는 복수개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오랄스캔 이미지에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는 상기 잇몸이미지와 분리되되,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중앙부와 양측단을 연결하여 횡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1기준선과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식립각도에 대응하여 종방향 무빙을 가이드하는 제2기준선을 포함하는 정렬기준부가 설정되고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정렬기준부의 3차원 조작을 통해 상기 각 치아이미지가 가상조절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추출된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에 포함된 상기 가상 브라켓이 상기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의 연속치열구조와 대응되도록 개별조절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내지 제3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이 상기 각 치아에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상기 각 치아이미지의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는 제1커버홈부와, 상기 가상 브라켓 및 가상 와이어어의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는 제2커버홈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장치가 더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20160101282A 2016-08-09 2016-08-09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186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82A KR101869907B1 (ko) 2016-08-09 2016-08-09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US15/317,224 US10588714B2 (en) 2016-08-09 2016-10-05 Orthodontic bracket
PCT/KR2016/011094 WO2018030576A1 (ko) 2016-08-09 2016-10-05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EP16800869.6A EP3498218A4 (en) 2016-08-09 2016-10-05 DIGITAL ORTHODONTIC CLAMP FOR DIGITAL LIBRARY 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201680001873.1A CN107920869B (zh) 2016-08-09 2016-10-05 利用数位数据库的牙齿矫正用数位支架的制造方法
JP2016570954A JP6595512B2 (ja) 2016-08-09 2016-10-05 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を用いた歯牙矯正用デジタルブラ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6273856A AU2016273856B2 (en) 2016-08-09 2016-10-05 Orthodontic digital bracket using digital libra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TW105143124A TWI613561B (zh) 2016-08-09 2016-12-26 利用數位資料庫的牙齒矯正用數位支架及其製造方法
US16/236,864 US10820966B2 (en) 2016-08-09 2018-12-31 Orthodontic digital bracket for using digital libra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82A KR101869907B1 (ko) 2016-08-09 2016-08-09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52A true KR20180017452A (ko) 2018-02-21
KR101869907B1 KR101869907B1 (ko) 2018-06-21

Family

ID=6152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82A KR101869907B1 (ko) 2016-08-09 2016-08-09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75B1 (ko) * 2018-03-08 2019-07-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20200004047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1072A (ko) * 2020-03-02 2021-09-10 황동현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장치,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 교정 디바이스
WO2022019647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174B1 (ko) * 2022-01-13 2024-04-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정상 치열 모형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2781B2 (en) * 2012-02-15 2015-05-05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that accommodate incremental and continuous tooth movement,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75B1 (ko) * 2018-03-08 2019-07-12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20200004047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11072A (ko) * 2020-03-02 2021-09-10 황동현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장치,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 교정 디바이스
WO2022019647A1 (ko) * 2020-07-24 2022-01-27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07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0869B (zh) 利用数位数据库的牙齿矫正用数位支架的制造方法
EP2432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1869907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CA2484019C (en) Orthodontic appliance based on predicted sizes and shapes of unerrupted teeth system and method
KR101857951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1913834B1 (ko) 디지털 치열교정 시스템
KR101953862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교정체크피스 및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및 치아교정용 디지털 교정체크피스
KR101883943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US20140154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1917274B1 (ko)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1999375B1 (ko)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US11317998B2 (en) Method for aligning digital representations of a patient's jaws
KR101869911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537014B1 (ko)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
KR102537012B1 (ko) 치아교정을 위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하는 방법
US20200367999A1 (en) Digitizing and merging sectional impression trays to create a dental arch for dental device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