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346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346A
KR20180017346A KR1020160101048A KR20160101048A KR20180017346A KR 20180017346 A KR20180017346 A KR 20180017346A KR 1020160101048 A KR1020160101048 A KR 1020160101048A KR 20160101048 A KR20160101048 A KR 20160101048A KR 20180017346 A KR20180017346 A KR 2018001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content
out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연
오주현
서우진
정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346A/ko
Priority to PCT/KR2017/007211 priority patent/WO2018030646A1/en
Priority to EP17839664.4A priority patent/EP3497655A4/en
Priority to US15/649,532 priority patent/US20180047056A1/en
Publication of KR2018001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발달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정이나 상업영역에서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넘어서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영상과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다양한 장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에 설치되는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옥내에 설치되는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가 있다.
건물 외벽이나 옥상 또는 도로 변에 설치된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동영상 광고뿐만 아니라 실시간 뉴스도 표시하는 옥외광고 매체로서의 기능을 확대하며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광고는 집 밖의(Out Of Home) 미디어를 활용한 광고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건물 내벽이나 통로에 설치된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의 크기만 줄인 경우도 있으나, 터치 스크린 방식의 키오스크(kiosk)를 적용하여, 사용자와의 상호작용하는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는 정해진 영상이 출력될 뿐이어서, 차량과 같은 빠른 이동 수단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지나치는 경우나, 도보와 같이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구분없이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하게 되기도 한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화려한 효과나 화려한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이상, 사람들의 관심도를 이끄는데 한계가 있어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광고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시청하는 사람의 이동 속도에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대상에게 적합한 컨텐트의 형태 및 정보량을 갖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의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하이면,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정지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하고 제2 기준 속도 이하이면, 정지된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오브젝트만이 움직이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차종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종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 통행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량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보행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거나 상기 보행자가 이동을 멈추면,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하이면, 동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정지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하고 제2 기준 속도 이하이면, 정지된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오브젝트만이 움직이는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차종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차종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 통행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차량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광고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보행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디스플레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거나 상기 보행자가 이동을 멈추면,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시청하는 사람이 시청하기에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어서, 광고 컨텐트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속도 판단을 위한 영상 촬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 방향의 차량에 대한 이동 속도 판단을 위한 영상 촬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지된 이미지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청하는 사람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비율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에는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전자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와치형 전자 장치 (smartwatch), 글래스형 전자 장치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장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 또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서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장치 내 정보, 전자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전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 또는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장치(100) 주변에, 상기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전자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장치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 장치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전자 장치 내 정보, 전자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전자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전자 장치(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전자 장치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전자 장치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전자 장치(100)일 수 있고,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일부 구성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210), 카메라(220), 디스플레이(250), 메모리(28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구성 중 일부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외부서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10)은,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10)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에 대응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되어,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의 시청 대상 또는 광고 대상이 되는 사람, 예를 들면 보행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시청 대상 또는 광고 대상이 탑승한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카메라(220)는 상술한 카메라(121)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0)는 다양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지 이미지, 일부 영역만이 움직이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2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일면 및 배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일면 및 배면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만 턴-온 되어 정보 또는 컨텐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2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정보 표시 기능, 컨텐트 출력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7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에 대한 컨텐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트 데이터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메모리(270)는 상술한 메모리(170)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8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건물 외벽이나 옥상 또는 도로 변과 같이 실외에 설치된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차량, 기차, 선박 등과 같은 이동 수단을 탑승한 사람을 시청 대상 또는 광고 대상으로 하는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다. 다만,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 또는 적용에 따라 실내에 설치되는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광고 대상이 탑승한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S3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광고 대상이 탑승한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지나는 차량의 변화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특정 영역을 지나는 복수의 차량의 평균적인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속도 판단을 위한 영상 촬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도로 옆에 위치할 수 있고, 지지대(4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일정 거리 떨어진 특정 영역(이하, "촬영 영역"이라고 한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450)을 지나는 차량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450)을 지나는 차량인 제1 차량(411) 및 제2 차량(412)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제1 차량(411) 및 제2 차량(412)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촬영 영역(450)에 대해 획득된 영상들로 판단된 차량들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촬영 영역(450)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 방향의 차량에 대한 이동 속도 판단을 위한 영상 촬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도로 옆에 위치할 수 있고, 지지대(4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해, 복수의 카메라(211, 212) 각각과, 복수의 디스플레이(251, 252) 각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1)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2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일정 거리 떨어진 특정 영역(이하, "제1 촬영 영역"이라고 한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221)는 제1 촬영 영역(551)을 지나는 차량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카메라(221)는 제1 촬영 영역(551)을 지나는 차량인 제1 차량(511)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제1 차량(511)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제1 촬영 영역(551)에 대해 획득된 영상들로 판단된 차량들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1 촬영 영역(551)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251)에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카메라(222)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22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일정 거리 떨어진 특정 영역(이하, "제2 촬영 영역"이라고 한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카메라(222)는 제2 촬영 영역(552)을 지나는 차량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222)는 제2 촬영 영역(552)을 지나는 차량인 제2 차량(512)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제2 차량(512)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제2 촬영 영역(552)에 대해 획득된 영상들로 판단된 차량들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2 촬영 영역(552)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2 디스플레이(252)에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의 카메라(220)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250)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3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속도, 예를 들면 평균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느리면, 동영상인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고, 판단된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빠르면, 정지된 이미지인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속도에 따라, 동영상, 정지된 이미지, 일부 영역만이 움직이는 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650)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촬영 영역(650)을 지나는 제1 차량(611), 제2 차량(612) 및 제3 차량(613) 각각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촬영 영역(650)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평균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하이면, 동영상인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속도는 차량 이동에 있어서 느린 속도이어서, 촬영 영역(650)을 포함하는 도로는 정체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준 속도는 10km/h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정체 상태의 도로의 차량에 컨텐트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변화량이 많은 컨텐트인 동영상인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매우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으면서, 사람들에게 많은 양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영상인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매우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광고 효과가 좋은 컨텐트인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출력되는 동영상의 재생 길이를 조절 또는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이동 속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지나는 차량이 출력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시간에 대응하는 재생 길이의 광고 동영상을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하는 차량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20초라고 판단되면, 20초짜리 광고 동영상을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750)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촬영 영역(750)을 지나는 제1 차량(711)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촬영 영역(750)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평균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하고 제2 기준 속도 이하이면,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속도는 차량의 서행 속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0km/h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판단된 평균 이동 속도가 10km/h를 초과하고 20km/h 이하이면,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서행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컨텐트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변화량이 적은 컨텐트인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이 포함된 이미지 컨텐트는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변화량이 적은 동영상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서행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으면서, 운전에 방해되지 않는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서행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광고 효과가 좋은 컨텐트인 일부 오브젝트만이 움직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출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움직임을 조절 또는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이동 속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지나는 차량이 출력되는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시간에 대응하는 정보량을 갖는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량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 오브젝트 등으로 구성된 광고 메시지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량이 많은 광고 이미지는 사람들이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정보량이 적은 광고 이미지는 사람들이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하는 차량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5초라고 판단되면, 5초 정도의 확인 시간이 필요한 정보량을 갖는 내용 및/또는 오브젝트 움직임을 갖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지된 이미지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850)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촬영 영역(850)을 지나는 제1 차량(811)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촬영 영역(850)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평균 이동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정지된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판단된 평균 이동 속도가 20km/h를 초과하면, 정지된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주행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에게 정지된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주행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으면서, 운전에 방해되지 않는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주행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광고 효과가 좋은 이미지로 구성된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출력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내용 또는 오브젝트의 양을 조절 또는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이동 속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지나는 차량이 출력되는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시간에 대응하는 정보량을 갖는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하는 차량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볼 수 있는 시간이 1초라고 판단되면, 1초 정도의 정보량을 갖는 내용 및/또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시청 대상 또는 광고 대상이 탑승한 차량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어서, 사람들에게 가장 효율적인 형태의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그래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사고 위험을 감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 중인 차량의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S3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카메라(2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종은 차량의 크기, 탑승객의 수, 적재량 등을 기초로 분류한 자동차의 종류뿐만 아니라, 차량의 제조사, 차량의 모델명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80)는 카메라(220)로부터 촬영 영역을 지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일정 시간 동안 촬영 영역을 지나는 차량들의 평균적인 차종, 예를 들면 가장 많이 지나간 차량의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촬영 영역(95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촬영 영역(950)을 지나는 제4 차량(914), 제5 차량(915) 및 제6 차량(916) 각각에 대한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280)는 촬영 영역(950)을 이미 지난, 제1 차량(911), 제2 차량(912) 및 제3 차량(913)에 대한 차종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종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지나는 차량의 평균 차종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제1 차량(911) 및 제4 차량(914)가 승용차이고, 제2 차량(912), 제3 차량(913), 제5 차량(915) 및 제6 차량(916)이 화물차이면, 평균 차종은 화물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차종 판단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기준에 따른 차종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차량의 용도 또는 크기에 따른 차종뿐만 아니라, 제조사 또는 모델명과 같은 구체적인 차종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종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34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종, 예를 들면 평균 차종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종의 운전자, 탑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의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메모리(27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판단된 차종에 따른 광고 대상 또는 광고 품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차종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승용차가 평균적인 차종이면, 승용차 운전자, 탑승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80)는 화물차가 평균적인 차종이면, 화물차 운전자, 탑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의 광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차량의 종류에 따른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어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차량의 통행량을 판단하고(S350), 판단된 통행량을 기초로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S35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특정 광고 컨텐트가 출력될 때의 차량 통행량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통행량을 기초로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특정 광고 컨텐트가 출력될 때의 차량 통행량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량 통행량을 기초로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량 통행량이 많으면 높은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고, 판단된 차량 통행량이 적으면 낮은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판단된 차량 통행량뿐만 아니라 광고를 출력한 시간을 더 고려하여, 광고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떨어진 거리의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연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되던 컨텐트의 다음 내용이 진행 방향의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S1010).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는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030).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의 제1 카메라(220a)는 제1 차량(111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의 제어부(280a)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제1 차량(1110)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a)는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제1 디스플레이(250a)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는 제1 차량의 이동 속도 및 출력된 컨텐트 재생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에 전송할 수 있다(S1050).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의 제어부(280a)는 판단된 제1 차량(1110)의 이동 속도 및 제1 디스플레이(250a)를 통해 출력된 컨텐트의 재생 정보를 제1 통신 모듈(210a)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재생 정보는 재생된 컨텐트의 종류, 내용 및 재생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는 전송된 이동 속도 및 컨텐트 재생 정보를 기초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070).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의 제어부(280b)는 전송된 이동 속도 및 컨텐트 재생 정보를 기초로, 컨텐트를 제2 디스플레이(250b)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b)는 제1 차량(1110)의 탑승자가 제1 디스플레이(250a)에서 시청하던 컨텐트의 다음 내용 또는 관련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250b)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280b)는 제1 차량(1110)의 이동 속도 및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와 제2 디스플레이(200b)간의 거리(d)를 기초로, 제1 차량(1110)dl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에 도달할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b)는 판단된 시점에 제2 디스플레이(250b)에 제1 디스플레이(250a)에서 출력되던 컨텐트의 다음 내용 또는 다음 구간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량(1110)에 탑승한 사람들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a)에서 출력되던 컨텐트의 다음 내용 또는 관련 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에서 이어 볼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b)는 제2 카메라(220b)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제1 차량(1110)의 이동 속도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이동 속도를 더 고려하여 컨텐트를 제2 디스플레이(250b)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건물 내벽이나 통로와 같은 실내에 설치된 인도어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와 같은 사람을 대상 또는 광고 대상으로 하는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다. 다만,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 또는 적용에 따라 실외에 설치되는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출력 중인 컨텐트에 반응하는 사람이 있으면, 추가적인 정보 또는 확대된 내용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에 반응하는 사람은 출력 중인 컨텐트를 보기 위해 이동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고, 출력 중인 컨텐트에서 유도하는 동작 또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1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2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컨텐트는 보행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컨텐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텐트는 화려한 색상, 밝은 밝기, 많은 움직임이 포함된 컨텐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보행자가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보행자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가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이동 중인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이동 중이던 보행자가 제1 컨텐트 출력 이후에 이동 속도가 느려지거나 멈춘 경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출력되는 제1 컨텐트에서 유도한 동작 또는 제스처를 보행자가 수행하면,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이동 중인 보행자의 시선을 판단하고, 보행자의 시선이 출력되는 제1 컨텐트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면,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이동 중인 보행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출력되는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가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2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80)는 보행자가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텐트는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보행자가 반응하면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어서, 보행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1310)이 지나갈 때,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1310)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보행자(1310)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1310)가 출력되는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이동 중이던 보행자(131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일정 거리 이내에 멈추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보행자가 멈추면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가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텐트는 광고 컨텐트일 수 있고,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하는 보행자(1310)의 시선 또는 관심을 유도하고, 광고 컨텐트인 제2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출력 중인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람 수를 판단하고, 일정 수 이상의 사람이 시청하면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출력 중인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람 수를 판단할 수 있다(S14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사람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 중인 컨텐트를 시청하는 사람을 판단할 수 있고, 시청하는 사람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50)를 바라보는 사람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사람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청하는 사람 판단에 대한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사람들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20)는 제1 보행자 내지 제6 보행자(1511-1516)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50)를 바라보는 사람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들의 시선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시선이 디스플레이(250)로 향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제1 보행자(1511), 제4 보행자(1514), 제5 보행자(1515) 및 제6 보행자(1516) 각각의 시선이 디스플레이(250)로 향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4명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제2 보행자(1512) 및 제3 보행자(15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컨텐트를 시청 중인 사람 수가 기준 이상이면, 출력 중인 컨텐트에 대한 추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420).
제어부(280)는 컨텐트를 시청 중인 사람 수가 기준 이상이면,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트는 이전에 출력되던 컨텐트에 대해 더 많은 내용, 예를 들면 정보량을 갖는 컨텐트일 수 있고, 이전에 출력되던 컨텐트에 비해 더 긴 재생 시간을 갖는 컨텐트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전체 사람 수 중에서 시청 중인 사람 수가 일정 비율 이상이면, 출력 중이던 컨텐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들이 관심을 갖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구체적인 광고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어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시청하는 사람 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멈춰있는 사람의 수와 이동하는 사람의 수 또는 멈춰있는 사람과 이동하는 사람 간의 비율을 기초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비율에 따른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정지한 사람과 이동 중인 사람의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S1610).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멈춰있는 사람과 이동하는 사람을 판단할 수 있고, 멈춰있는 사람과 이동하는 사람 간의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비율을 기초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620).
제어부(280)는 판단된 비율을 기초로, 디스플레이(250)에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멈춰있는 사람의 비율이 높으면 동영상인 광고 컨텐트를 출력하고, 이동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으면 정지 이미지인 광고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사람들에게 적합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어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17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을 이동하는 보행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S1720).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는, 판단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시선을 유지할 수 있는 컨텐트, 판단된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문자 또는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컨텐트 등과 같이, 이동 중인 보행자의 시선이 유지될 수 있는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서 이동하는 보행자들(1811-1814)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들(1811-1814) 각각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제1 보행자(1811), 제3 보행자(1813) 및 제4 보행자(1814)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제2 보행자(1812)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방향인 우측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컨텐트에 포함된 광고 문구(1830)이, 판단된 이동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출력되는 컨텐트에 포함된 광고 문구(1830)가 보행자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하는 보행자들이 광고 컨텐트에 대한 내용, 예를 들면 광고 문구에 주목하게 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2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서 이동하는 보행자들(1811-1814)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들(1811-1814) 각각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제1 보행자(1811), 제3 보행자(1813) 및 제4 보행자(1814)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제2 보행자(1812)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판단된 이동 방향인 우측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컨텐트에 포함된 오브젝트(1940)가, 판단된 이동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1940)는 광고 내용과 관련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출력되는 컨텐트에 포함된 오브젝트(1940)가 보행자들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하는 보행자들이 광고 컨텐트에 대한 내용, 예를 들면 광고 컨텐트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 출력에 대한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로, 광고 문구 및 오브젝트 이외에도 다양한 효과 등이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광고 컨텐트에 포함된 광고 문구 및/또는 오브젝트가 보행자의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은, 판단된 보행자의 이동 방향에 가장 적합한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180, 2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하이면,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을 갖는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2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정지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속도가 제1 기준 속도를 초과하고 제2 기준 속도 이하이면, 정지된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오브젝트만이 움직이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차종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종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 통행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량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출력되는 광고 컨텐트에 대한 광고비를 산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디스플레이;
    보행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1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2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거나 상기 보행자가 이동을 멈추면, 상기 출력된 제1 컨텐트에 반응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판단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101048A 2016-08-09 2016-08-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7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48A KR20180017346A (ko) 2016-08-09 2016-08-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7/007211 WO2018030646A1 (en) 2016-08-09 2017-07-06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7839664.4A EP3497655A4 (en) 2016-08-09 2017-07-06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5/649,532 US20180047056A1 (en) 2016-08-09 2017-07-13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48A KR20180017346A (ko) 2016-08-09 2016-08-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346A true KR20180017346A (ko) 2018-02-21

Family

ID=6115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48A KR20180017346A (ko) 2016-08-09 2016-08-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47056A1 (ko)
EP (1) EP3497655A4 (ko)
KR (1) KR20180017346A (ko)
WO (1) WO201803064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66A (ko) * 2018-10-18 2019-09-24 장명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20190108474A (ko) * 2018-11-29 2019-09-24 장명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WO2020222318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36895B1 (ko) * 2023-08-07 2024-02-16 포스텍네트웍스(주) 감지센서를 활용한 전력제어형 스마트 led 전광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R20180354U (es) * 2018-07-10 2018-10-16 Color Vision Sa Pantalla inteligente para la comunicación con el cuidadano
JP7122707B2 (ja) * 2018-09-24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数の車両を使用してノーマディック移動サービス車両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
US11030655B2 (en) 2018-11-02 2021-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enting targeted content to vehicle occupants on electronic billboards
JP2020109548A (ja) * 2018-12-28 2020-07-16 Line株式会社 端末の表示方法、端末、端末のプログラム
JP7196683B2 (ja) * 2019-02-25 202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210224855A1 (en) * 2020-01-21 2021-07-22 Joubert Joseph FOCO Device
CN117894282B (zh) * 2024-03-14 2024-05-28 深圳市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运动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168B2 (en) * 2001-08-31 2003-07-08 Intellisist,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able mobile user interface
US8781968B1 (en) * 2008-08-25 2014-07-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display based on estimated viewers
US20120054028A1 (en) * 2010-08-31 2012-03-01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advertising to a targeted vehicle
US9153128B2 (en) * 2013-02-20 2015-10-06 Holzmac Llc Traffic signal device for driver/pedestrian/cyclist advisory message scree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US9293042B1 (en) 2014-05-19 2016-03-22 Allstate Insurance Company Electronic display systems connected to vehicles and vehicle-based systems
US9111296B2 (en) * 2015-01-12 2015-08-18 Cognianc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xt-aware car diagnostics and commer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66A (ko) * 2018-10-18 2019-09-24 장명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20190108474A (ko) * 2018-11-29 2019-09-24 장명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WO2020222318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36895B1 (ko) * 2023-08-07 2024-02-16 포스텍네트웍스(주) 감지센서를 활용한 전력제어형 스마트 led 전광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7655A4 (en) 2020-01-22
WO2018030646A1 (en) 2018-02-15
US20180047056A1 (en) 2018-02-15
EP3497655A1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34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997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9182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6859A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29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524A (ko)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KR20180028211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09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1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066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65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4554A (ko) 실내 공간의 채광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6969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3273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63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4551A (ko) 실내 공간에 필요한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374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5701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4538A (ko) 사용자 맞춤형으로 추천 목적지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7096A (ko) 이동 단말기
KR20140147057A (ko)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5014555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1174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73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