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256A -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 Google Patents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256A
KR20180017256A KR1020160100633A KR20160100633A KR20180017256A KR 20180017256 A KR20180017256 A KR 20180017256A KR 1020160100633 A KR1020160100633 A KR 1020160100633A KR 20160100633 A KR20160100633 A KR 20160100633A KR 20180017256 A KR20180017256 A KR 20180017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av
portable
button
flight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대
철 이
강병룡
전다형
홍동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to KR102016010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256A/ko
Publication of KR2018001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2Target-seeking control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유인기; 상기 유인기의 조종석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비치된 지상장비에 탑재되는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통제를 받아 비행하는 무인기기;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자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 또는 볼마우스 형태의 조작부; 및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와 상기 무인기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유인기와 무인기의 협동을 통한 다양한 임무와 전술을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SYSTEM FOR COMBINATION AVIATION OF MANNED AIRPLANE AND UAV WITH PORTABLE UAV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인기 또는 지상장비에 탑재되어 상기 유인기 또는 지상장비에서 통제사 또는 부종사의 조작에 따라 유인기와 복수의 무인기가 합동작전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인기는 내부조종사가 지상통제차량 또는 지상통제센터에서 운용하는 방식으로 무인 항공기 단독으로 운영되어 정찰, 감시, 공격 등의 임무를 수행해 왔다.
하지만, 향후 무인항공기의 운영방식은 복수의 무인기에서 유인기와 합동작전 능력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어 진화하는 추세이다.
특히, 유인기와 무인기의 전투체제 통합운용개념은 무인 항공기의 최상위 운용개념으로써 미래 전장 환경에서 매우 효율적인 임무수행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미래 전장환경에 부합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협업 임무형태 및 운용모드를 도출하여 전투효과가 큰 유인기와 무인기 협동 임무형태들을 표준화하고 임무형태별 명확한 운영개념을 정립하여 이에 운용 가능한 통제장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826호(2014. 12. 03)
상술한 바와 같은 추세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유인기 또는 지상장비에 탑재되어 상기 유인기 또는 지상장비에서 통제사 또는 부종사의 조작에 따라 유인기와 복수의 무인기가 합동작전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유인기; 상기 유인기의 조종석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비치된 지상장비에 탑재되는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통제를 받아 비행하는 무인기기;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자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 또는 볼마우스 형태의 조작부; 및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와 상기 무인기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일반적인 무인항공기의 단독 운영방식에서 유인기와 무인기의 협동을 통한 다양한 임무와 전술을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유인항공기 내에 탑재되어 무인기의 임무의 성격에 따라 공중우세 확보여부, 임무지역 정찰, 감시, 적 저항 수준 판단, 유인기의 제한된 임무시간 대체, 우군 인명피해 최소화, 상대 교란용 기만기, 타격기 등으로 활용 가능하며, 민간용으로 재난구조 임무, 산불진화, 물자수송 등의 임무에 활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휴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운용방식인 지상에서의 무인기 통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상세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을 캡처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는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 조작부(200), 유인기(300), 지상장비(400), 통신망(500), 및 무인기(6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기(300)의 조종석 또는 지상에 비치된 지상장비(400)에 탑재되어 운용된다.
특히,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가 상기 유인기(300)에 탑재된 경우, 부조종사(통제사)가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를 조작하여 상기 무인기(600)를 통제하고, 상기 지상장비(400)에 탑재하여 운용되는 경우, 별도의 통신장비와 연동하여 단독으로 운용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200)는 무인기 조종 조이스틱 및 통제장비용 볼마우스와 같은 형태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 자체에 장착되거나, 장거리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에 의해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무인기 조종 조이스틱 및 통제장비용 볼마우스와 같은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의 수동비행 모드에서 상기 통제사가 사용한다.
상기 통신망(500)은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가 탑재된 상기 유인기(300) 또는 상기 지상장비(400)와 무인기(600)간에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좌·우측 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L, R)가 듀얼로 구비되는데,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부는 가장자리 측면에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른 상태를 표시한다.
먼저, 좌측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L)의 측면에는 자동비행버튼(111), 수동비행버튼(112), 비행종료버튼(113), 자동이륙버튼(114), 자동착륙버튼(115), 미션버튼(116), 팔로우버튼(117), SDF버튼(118), 및 스페어버튼(119)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비행버튼(111)은 상기 무인기(600)를 자동비행 모드로 전환시켜, 기저장된 경로 또는 프로그램된 경로대로 자세, 속도, 고도 및 기수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수동비행버튼(112)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무인기(600)를 수동비행 모드로 전환시켜, 무인기 조종 조이스틱 및 통제장비용 볼마우스와 같은 상기 조작부(200)를 상기 통제사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비행종료버튼(113)은 상기 자동착륙버튼(115)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인기(600)의 착륙 후, 엔진시동이 꺼지고 전원이 차단되는 종료절차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자동이륙버튼(114)은 상기 자동비행버튼(111)의 조작 후, 조작되는 버튼으로, 조작에 따라 이륙지점과 이륙시점 등을 상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하여 자동으로 이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동이륙버튼(114)의 조작에 따른 이륙 모드에 대한 프로파일은 SDF(System Data File)로 구성된다.
상기 이륙 모드에 대한 프로파일은 임무 전, 조종사 또는 통제사의 사전 임무분석에 따른 무인기의 이륙절차, 사전 프로그램 항로설정, 안전지대 등 설정된 임무의 정보를 SDF의 포맷으로 저장된 것을 말한다.
상기 자동착륙버튼(115)은 비행중인 상기 무인기(600)의 착륙을 유도하는 버튼으로, 조작에 따라 착륙지점과 착륙시점 등을 상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하여 자동으로 착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션버튼(116)은 상기 무인기(600)에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무인기(600)가 상기 명령신호대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명령신호는 어떻게 비행하고,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어느 지점에 위치한 타겟을 공격하라"와 같이 프로그램화되어 기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명령신호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하게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팔로우버튼(117)은 상기 유인기(300)의 비행과 동일 또는 유사한 궤적으로 비행하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버튼이다.
이때, 상기 팔로우버튼(117)이 작동하면, 상기 무인기(600)는 상기 유인기(300)의 비행좌표를 추적하고, 상기 유인기(300)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추적한 좌표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좌표궤적을 따라 비행하거나, 동일 좌표를 시간적 간격을 두고 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DF버튼(118)은 기 설정된 임무정보 프로파일을 무인기에 송신하여 설성되도록 하는 System Data File 장입 버튼이다.
상기 스페어버튼(119)은 상기 무인기(600)의 운용개념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버튼으로, 예를 들어 보다 신속한 임무수행을 위해 미션별로 할당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우측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R)의 측면에는 레이지 확대버튼(121), 레인지 축소버튼(122), 점항법 버튼(123), HVR버튼(124), AVH버튼(125), 고도버튼(126), 속도버튼(127), 헤딩버튼(128), 및 조그휠버튼(129)을 포함한다.
상기 레인지 확대버튼(121) 및 상기 레인지 축소버튼(122)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R)에 표시된 비행지역 지도의 축적을 포함하여, 표시된 화면을 확대시키고 축소시킨다.
상기 점항법 버튼(123)은 항로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과 고도, 속도를 유지한채 선회비행을 하는 점항법 모드 인가 후 조그힐로 반경을 입력한다.
상기 HVR버튼(124)은 상기 유인기(300)와 합동 비행하는 무인기(600)가 수직이착륙하는 무인기인 경우, 호버링(HOVERING) 즉 공중정지 상태로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AVH버튼(125)은 고도, 속도, 무인기 기수정보만으로 비행하는 Altitude Velocity Heading 모드로 상기 무인기(600)가 비행한다.
상기 고도버튼(126)은 상기 자동비행버튼(111)의 작동으로 상기 무인기(600)가 자동비행 중, AVH모드에서 고도 값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로터리(Rotay)타입으로 상기 고도 값을 설정 후, 누름으로써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고도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속도버튼(127)은 상기 자동비행버튼(111)의 작동으로 상기 무인기(600)가 자동비행 중, AVH모드에서 속도 값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로터리(Rotay)타입으로 상기 속도 값을 설정 후, 누름으로써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속도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헤딩버튼(128)은 상기 자동비행버튼(111)의 작동으로 상기 무인기(600)가 자동비행 중, AVH모드에서 헤딩 값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로터리(Rotay)타입으로 상기 헤딩 값을 설정 후, 누름으로써 상기 무인기(600)의 비행기수(또는 방향)를 입력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비행기수를 헤딩(HEADING)이라고 표현하는데, 330 4 MILE은 목표지점이 항공기 기수방향이 북쪽을 중심으로 해서 330도 4마일 정도 남았다는 의미인데, 북쪽을 기준으로 0도(360도)이고, 동쪽이면 90도, 남쪽이면 180도, 서쪽이면 270도로, 결과적으로 330도면 대략 북북서쪽을 의미한다.
상기 조그휠버튼(129)은 회전과 누름 방식으로 조작되며, 임무프로파일 선택, 점항법 모드 선회반경 설정, 미션설정을 위한 버튼으로서, 복수의 임무프로파일, 미션, 또는 점항법 모드의 선회반경 중에서, 비행에 필요한 임무프로파일, 미션, 또는 점항법 모드의 선회반경을 회전동작을 통해 찾고, 찾은 임무프로파일, 미션, 또는 점항법 모드의 선회반경을 누름동작을 통해 설정 또는 선택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에 듀얼로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L, R) 각각의 하단에는 동일하게 PFD 표시버튼(131), HVR 표시버튼(132), TCTM 표시버튼(133), 상태 표시버튼(134), MAP 표시버튼(135), 및 EO/IR 표시버튼(136)이 구비되어, 각 표시버튼을 누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L, R)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을 캡처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L, R)는 상기 PFD 표시버튼(131)을 누르면, 상기 무인기(600) 전방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HVR 표시버튼(132)을 누르면 호버링(HOVERING) 즉 공중정지 상태의 상기 무인기(600) 계기판 상태가 표시되고, 상기 TCTM 표시버튼(133)을 누르면 원격 명령과 원격측정을 표시하고, 상기 상태 표시버튼(134)을 누르면, 상기 무인기(600)의 고장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MAP 표시버튼(135)을 누르면 상기 무인기(600)가 비행하는 지역의 지도를 2D 또는 3D로 표시하며, 상기 EO/IR<Electro Optical Infra-Red> 표시버튼(136)을 누르면 전기광학의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영상을 표시한다.
참고로, 상기 TCTM 표시버튼(133)은 TeleCommand(TC)-TeleMetry(TM)의 약어로써 무선통신시 명령과 그에 대한 응답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신절차 버튼으로, 휴대용 무인기기에서의 구체적인 데이터의 명령값과 그에 따른 무인기의 상태정보를 TC/TM 정보를 통해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11 : 자동비행버튼 112 : 수동비행버튼
113 : 비행종료버튼 114 : 자동이륙버튼
115 : 자동착륙버튼 116 : 미션버튼
117 : 팔로우버튼 118 : SDF버튼
119 : 스페어버튼
121 : 레이지 확대버튼 122 : 레인지 축소버튼
123 : 점항법 버튼 124 : HVR버튼
125 : AVH버튼 126 : 고도버튼
127 : 속도버튼 128 : 헤딩버튼
129 : 조그휠버튼
131 : PFD 표시버튼 132 : HVR 표시버튼
133 : TCTM 표시버튼 134 : 상태 표시버튼
135 : MAP 표시버튼 136 : EO/IR 표시버튼
200 : 조작부
300 : 유인기
400 : 지상장비
500 : 통신망
600 : 무인기

Claims (14)

  1. 유인기(200);
    상기 유인기(200)의 조종석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비치된 지상장비(400)에 탑재되는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의 통제를 받아 비행하는 무인기기(600);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 자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근거리 또는 장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 또는 볼마우스 형태의 조작부(200); 및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와 상기 무인기(600)와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좌·우측 분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L, R)가 듀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상기 무인기(600)를 자동비행 모드로 전환시켜, 기저장된 경로 또는 프로그램된 경로대로 자세, 속도, 고도 및 기수방향을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상기 무인기(600)를 비행하도록 하는 자동비행버튼(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수동비행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조작부(200)에 조작에 따라 상기 무인기(600)가 비행하도록 하는 수동비행버튼(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이륙지점과 이륙시점 등을 상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하여 상기 무인기(600)가 자동으로 이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이륙버튼(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착륙지점과 착륙시점 등을 상기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하여 자동으로 상기 무인기(600)가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착륙버튼(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상기 무인기(600)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무인기(600)가 상기 명령신호대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션버튼(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조작에 따라, 상기 유인기(300)의 비행과 동일 또는 유사한 궤적으로 비행하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팔로우버튼(117);을 포함하되,
    상기 무인기(600)는 상기 유인기(300)의 비행좌표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비행좌표 궤적을 따라 비행하거나, 또는 동일 좌표를 시간적 간격을 두고 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상기 유인기(300)와 합동 비행하는 무인기(600)가 수직이착륙하는 무인기인 경우, 호버링(HOVERING)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HVR버튼(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비행중인 상기 무인기(600)의 고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입력하기 위한 고도버튼(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비행중인 상기 무인기(600)의 속도를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입력하기 위한 속도버튼(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비행중인 상기 무인기(600)의 헤딩(HEADING) 값을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입력하기 위한 헤딩버튼(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임무프로파일 선택, 점항법 모드 선회반경 설정, 미션설정을 위한 조그휠버튼(1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L, R)에
    상기 무인기(600) 전방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PFD 표시버튼(131);
    상기 무인기(600)의 호버링(HOVERING) 중인 상기 무인기의 계기가 표시되도록 하는 HVR 표시버튼(132);
    상기 무인기(600)에 전달된 원격 명령과 원격측정이 표시되도록 하는 TCTM 표시버튼(133);
    상기 무인기(600)의 고장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상태 표시버튼(134);
    상기 무인기(600) 비행지역의 지도가 2D 또는 3D로 표시되도록 하는 MAP 표시버튼(135); 및
    전기광학의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EO/IR<Electro Optical Infra-Red> 표시버튼(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KR1020160100633A 2016-08-08 2016-08-08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KR20180017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33A KR20180017256A (ko) 2016-08-08 2016-08-08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33A KR20180017256A (ko) 2016-08-08 2016-08-08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256A true KR20180017256A (ko) 2018-02-21

Family

ID=6152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633A KR20180017256A (ko) 2016-08-08 2016-08-08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2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24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비행체 운영 시스템
KR102592262B1 (ko) * 2022-11-09 2023-10-20 국방과학연구소 유무인 협업을 위한 무인기 통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826A (ko) * 2013-05-24 2014-12-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기의 지상통제 표준운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826A (ko) * 2013-05-24 2014-12-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기의 지상통제 표준운용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14.11.) *
신보현 외 2명, 다수 유/무인기 협동을 통한 신개념 임무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2014.11, 805-808 (4 pages)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024A (ko) * 2021-08-17 2023-02-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비행체 운영 시스템
KR102592262B1 (ko) * 2022-11-09 2023-10-20 국방과학연구소 유무인 협업을 위한 무인기 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382B2 (en) Intuitive vehicle and machine control
US862636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navigation
US8068950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take-off and landing systems
US20170269594A1 (en)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System
EP21779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navigation
CN106200681B (zh) 可移动物体的起飞辅助的方法以及系统
KR10111720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비행체 자동 및 수동 조종시스템
US6694228B2 (en) Control system f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for operational payload employment
US8515593B2 (en) Flight management system of an unmanned aircraft
EP3274779B1 (en) Path-based flight maneuvering system
US202101979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ircraft collision avoidance
US2017035725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smart device
EP2056059A1 (en) Guided delivery of small munitions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054957B2 (en) Haptic feedback for realtime trajectory constraints
EP2363343A1 (en) System for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124907B1 (en) Autorotation guidance command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170074453A (ko) 근거리 무선통신망 기반의 드론과 드로간 자동 충돌방지 및 회피 시스템
Cacan et al. Human-in-the-loop control of guided airdrop systems
CN106483980A (zh) 一种无人机跟随飞行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10293934B2 (en) Dual-aircraft system
KR20180017256A (ko) 유인기와 무인기 합동비행이 가능한 휴대용 무인항공기 통제장비
KR102288037B1 (ko) 복합임무 수행용 하이브리드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uzuki et al. Teleoperation of a tail-sitter VTOL UAV
US2021001147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ime limited communication for remotely controlled vehicles
KR102525912B1 (ko) 무인 비행체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