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971A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971A
KR20180015971A KR1020160099661A KR20160099661A KR20180015971A KR 20180015971 A KR20180015971 A KR 20180015971A KR 1020160099661 A KR1020160099661 A KR 1020160099661A KR 20160099661 A KR20160099661 A KR 20160099661A KR 20180015971 A KR20180015971 A KR 2018001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unit
ima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윤정
김기형
김보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971A/en
Publication of KR2018001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9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05Y2800/42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against unauthorised use, e.g.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main body which ha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wherein foods are stored; a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door switch which senses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t least one sub-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units; at least one locking unit which locks the sub-door; a video acquisition unit which extracts a video of a user who opens the door; and a controlling unit which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racted video of the user,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Moreover, the controlling unit specifies a user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and controls a locking function or an unlocking function of the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user.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이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allows storage of a stored product in a fresh state for a long time by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The cool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is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is uniform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by the convection so that the food can be stored at a desired temperature.

종래에는, 사용자에 따라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나, 각각의 저장부의 선호도를 파악하지 않고, 단순히 도어스위치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냉장고 저장실에 광원이 작동된다.Conventionally, when the door is opened by a door switch simply without grasping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or the preference of each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user,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in the refrigerator storage room.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원하거나 선호는 식품의 위치를 쉽게 파악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can not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food that the user desires or prefer.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에 상관없이 각각의 저장부를 개폐하는 저장부의 도어가 열림상태로 존재하므로, 사용자에 상관없이 저장부에 저장된 식품을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식품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door of the storage unit for opening / closing each storage unit exists in an open state regardless of the user, so tha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taken out regardless of the user.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access to the dangerous foods can not be controlled.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냉장고를 공유하는 경우, 도난의 문제가 발생된다.Further,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share one refrigerator, a problem of theft occu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사용자에 맞추어 저장부의 사용을 허가 또는 제한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ermit or restrict the use of a storage unit in accordance with a user to solve the problem.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 상기 복수의 저장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를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유닛,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획득유닛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락킹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for storing foo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 door switch for sensing that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 door, at least one locking unit that locks the sub door,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extracts an image of a user who opens the door, extract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racted image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the control unit specifies a us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locks or unlocks the locking unit in response to the specified user. And controls the unlocking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냉장고를 공유하는 경우, 냉장고의 복수의 저장부를 사용자에 맞추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서, 다수의 사용자가 식품의 도난 염려 없이 냉장고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refriger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of the refrigerator can be locked or unlocked according to the user, so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can share the refrigerator without fear of food stolen.

또한, 본 발명은 성인이 아닌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위험한 위험식품을 유아가 인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stricting the infant from withdrawing dangerous food dangerous to a non-adult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허가된 식품의 위치를 빛으로 가이드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uiding the position of the food permitted to the user to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서브도어를 제거한 본체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브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브도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락킹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block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when the door is opene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with the sub door removed;
FIG. 5 is a front view of a main body for explaining a storage unit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for explaining the sub door shown in FIG. 1;
FIG. 7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b door shown in FIG. 1,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unit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is opened. Fig. Front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가 형성된 본체(3), 본체(3)를 개폐하는 도어(4), 도어(4)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160),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도어(60), 서브도어(60)를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유닛(190), 복수의 저장부(S1, S2, S3)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140),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획득유닛(110) 및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1 to 3,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for storing foods, a door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3, A door switch 160 for detecting that the door 4 is opened and closed, at least one sub door 60 for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to be stored and a sub door 60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140 for supplying ligh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an image acquiring unit 130 for acquiring images of a user opening the door 4; And a control unit 130 for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nit 110 and the extracted user's image and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190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출입감지부(120) 및 통신부(150)를 더 포함한다.Als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entrance sensing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본체(3)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3)는 복수개의 저장실(S)이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저장실(S)이 베리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본체(3)는 상측 저장실과 하측 저장실을 포함하거나 좌측 저장실과 우측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실과, 냉장실의 하측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storage chamber S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3. When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3,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S may be partitioned by a barrier. The main body 3 may include an upper storage chamber and a lower storage chamber, or may include a left storage chamber and a right storage chamber. The main body 3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hamber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a freezing chamber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main body 3 may include an outer case 10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구체적으로, 본체(3)는 이너 케이스(2)에 의해 저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는 아우터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3)에는 아우터 케이스(10)와 이너 케이스(2) 사이에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orage compartment S can be formed in the main body 3 by the inner case 2. [ The inner case 2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case 10. [ The main body 3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2. [

이너 케이스(2)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는 좌측판(21)과 우측판(22)과 상판(23)과 하판(24) 및 후판(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case 2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hose front surface is opened. The inner case 2 may include a left plate 21 and a right plate 22, an upper plate 23, a lower plate 24 and a thick plate 25.

본체(3)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가 형성된다.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서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되는 공간이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본체(3)의 저장실(S)이 셀프(6)에 의해 구획되어 정의될 수 있다.The main body 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for storing food.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may be partitioned into independent spaces, and the spaces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logically divided.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may be defined by the shelf S of the main body 3 being partitioned by the shelf 6.

셀프(6)는 저장실(S)에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것으로서, 저장실(S)에 적어도 하나 위치되어서 저장실(S)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shelf 6 is placed in the storage room S so that the storage room S can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3)는 저장실(S)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3 may include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storage chamber S. [

냉각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device may include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an expansion mechanism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and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expanded in the expansion mechanism.

본체(3)는 저장실(S)의 냉기를 증발기로 유동시킨 후 저장실(S)로 공급하는 저장실(S)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저장실(S)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덕트(14)에는 안내되는 냉기를 저장실(S)로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3 may include a storage room (S) fan (not shown) for supplying cool air of the storage room S to the storage room S afte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The main body 3 may include a cool air duct 14 for guiding the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to the storage room S. [ The cool air duct 14 may be formed with a cool air discharge port 16 for discharging cool air guided to the storage room S.

도어(4)는 단수개가 저장실(S)을 여닫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가 함께 저장실(S)을 여닫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4)와 본체(3)에는 도어(4)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160)가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oors 4 can open / close the storage room S, and a plurality of doors 4 can open / close the storage room S together. The door 4 and the main body 3 may be provided with a door switch 160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4.

도어스위치(160)는 도어(4)가 본체(3)를 개폐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유닛(130)에 송신한다. 도어스위치(160)는 도어(4)의 오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The door switch 160 senses that the door 4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3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30. Various known techniques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4 is opened can be used for the door switch 160.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영상획득유닛(110)은 일예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유닛(110)은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성별, 나이, 얼굴 및 사용자의 접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s an apparatus for acquiring an imag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include a camera as an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to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user's sex, age, face, and the access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

영상획득유닛(110)은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여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여기서,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은 사용자가 도어(4)에 근접하거나, 도어(4)를 터치하거나, 도어(4)를 여는 것을 포함한다.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제어유닛(130) 내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extracts an image of the user who opens the door 4 and provides the extracted image to the control unit 130. [ Here, the image of the user opening the door 4 includes a user approaching the door 4, touching the door 4, or opening the door 4. [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b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30. [

영상획득유닛(110)은 도어(4)의 개방 전에 사용자의 제1영상을 추출하는 제1영상획득유닛(111)과, 도어(4)의 개방 후에 사용자의 제2영상을 추출하는 제2영상획득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11 for extracting a first image of a user before opening the door 4 and a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11 for extracting a second image of the user after opening the door 4, And an acquisition unit 112. [

제1영상추출유닛(111)은 도어(4)의 주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영상추출유닛(111)은 본체(3)의 외면 또는 도어(4)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extracting unit 111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image of the periphery of the door 4 can be obtained. Specifically, the first image extracting unit 111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3 o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 [

제2영상추출유닛(112)은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상추출유닛(112)은 도어(4)를 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image extracting unit 112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The second image extracting unit 11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door 4 is opened.

실시예는 광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4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 각각에 광을 공급한다. 광원(140)은 소정의 광도를 가지는 광을 출력하여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게 해준다. 광원(140)은 저장실(S) 보다 작은 영역이 저장부에 집중적인 광을 제공하기 위해 점광원(14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14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배치된다. 광원(140)은 하나의 저장부에 단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140. The light source 140 supplies ligh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The light source 140 outputs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luminous intensity, thereby securing a view of the user. Preferably, the light source 140 is used as a point light source 140 in order to provide a concentrated light to a storage area smaller than the storage room S. The light sources 14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One or more light sources 140 may be disposed in one storage unit.

광원(140)은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색을 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연색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백색광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제어유닛(130)에 의해 그 색상과 밝기가 제어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40 is preferably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One o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ay be disposed. Further, whe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arranged, each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may emit different colors or may have different color temperatures. The light emitting diode preferably emits white light having excellent color rendering and visibility. In addition,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의 출입을 감지하여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입출되는 식품의 종류, 그 위치 등의 식품출입 정보를 감지한다. 제어유닛(130)은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한다.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 선호하는 저장부와, 선호하는 식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entrance sensing unit 120 senses entrance and exit of foo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130 with food. The entrance / exit detection unit 120 detects food entrance / exit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food to / from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food acces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sensed by the entrance sensing unit 120. [ The entrance sensing unit 120 allows the user to extract information on a preferred storage unit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and the type of the preferred food.

출입감지부(12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가압센서, 근접센서 및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 121, 122, and 123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food in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have.

근접센서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내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를 감지하여서 제어유닛(130)에 제공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센서는 셀프(6)에 설치되어서 셀프(6)의 상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The proximity sensor senses the presence of foods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and provides them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Specifically, the proxim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shelf 6 to detect the presence of food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elf 6.

가압센서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 그 압력 값을 제어유닛(130)으로 출력한다. 제어유닛(130)은 가압센서에서 입력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 식품이 존재하는 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가압센서는 셀프(6)에 설치되어서 셀프(6)의 상부에 위치되는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The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and outputs the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130).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whether food exist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based on the pressure valu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shelf 6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od placed on the shelf 6.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일예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의해 식품의 출입, 출입되는 식품의 종류, 저장된 식품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are devices for acquiring images of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may include a camera as an example.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may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for example,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to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130 can determine the type of food entering and leaving the food, the type of food stored,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각각의 저장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셀프(6) 또는/및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orage units.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are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y can acquire images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Specifically,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lf 6 or / and the inner case 2.

통신부(150)은 서버(200)와 냉장고 또는/및 복수 개의 냉장고들 사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통신부(150)은 서버(200)에서 수신된 정보를 제어유닛(130)에 전달하고, 제어유닛(130)의 제어신호를 다른 냉장고 또는 서버(200)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provid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200 and a refrigerator or / and a plurality of refrigerator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to the other refrigerator or server 200.

예를 들면, 통신부(15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200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50)는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서버(200)는 복수의 냉장고에서 축적된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 사용자의 특성정보 및 인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유닛(130)과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된다. 서버(200)는 제어유닛(130)에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 사용자의 특성정보 및 인가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0 stores a previous usage pattern of a specific user accumulated in a plurality of refrigerato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and authorized user information, and i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control unit 130. The server 200 may provide the control unit 130 with a previous usage pattern of a specific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and authorized user information.

제어유닛(130)은, 냉장고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제어유닛(130)은 락킹유닛(190) 또는 광원(14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와, 광원(140)의 동작 또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사용자를 감지하여서 사용자에 따라 저장부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게 락킹유닛(1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locking unit 190 or the light source 140 so as to control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190 and operation or state of the light source 140. [ The control unit 130 can sense the user and control the locking unit 190 to lock or unlock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may extrac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racted user's image and control the locking unit 190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예를 들면, 제어유닛(130)은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프로세서(131)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processor 131 that makes logical decisions and a memory 132 that stores data.

프로세서(131)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유닛(13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유닛(13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31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130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130,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제어유닛(130)은 각각의 냉장고에 구비될 수도 있고, 냉장고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서버(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냉장고와 서버(200)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rovided in each refrigerator or may be provided in the server 200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or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server 200 at the same time.

메모리(132)에는 냉장고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정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2)는 추출된 사용자, 식품의 영상, 사용자의 특성정보, 사용자의 사용패턴, 인가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된다. Variou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re stored in the memory 132. Specifically, the memory 132 stores extracted users, images of food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users, usage patterns of users, authorized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이하, 복수의 저장부(S1, S2, S3)와, 서브도어(60), 락킹유닛(190), 복수의 광원(140)의 배치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the sub door 60, the locking unit 190,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실(S)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서브도어(60)를 제거한 본체(3)의 정면도이다. 4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3 in which the sub door 60 is removed to explain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S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체(3)의 저장실(S)은 복수 개의 저장부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부(S1, S2, S3)는 본체(3)의 저장실(S)이 셀프(6)에 의해 구획되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orage room S of the main body 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may be defined by the shelf S of the main body 3 being partitioned by the shelf 6.

셀프(6)는 저장실(S)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셀프(6)는 복수개가 하나의 저장실(S)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프(6)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셀프(6)는 저장실(S)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helf 6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inside the storage chamber 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helves 6 are arranged vertically in one storage room S. The entire shape of the shelf 6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shelf (6) can be detachably arranged in the storage room (S).

구체적으로, 이너 케이스(2)에 셀프(6)가 착탈되는 셀프(6) 홀더(5)를 포함할 수 있고, 셀프(6)는 셀프(6) 홀더(5)(도 6 참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case 2 may include a shelf 6 holder 6 to which the shelf 6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shelf 6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lf 6 (see FIG. 6) Possibly combined.

셀프(6)는 각각의 저장부에 배치된 광원(140)에서 생성된 광이 다른 저장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과성 재질 또는 반투과성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6 preferably has an impermeable material or a semi-permeable material to prevent light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140 disposed in each storage unit from leaking to the other storage unit.

더욱 구체적으로, 저장실(S)은 제1셀프(6a)와 제1셀프(6a)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셀프(6b)에 의해 제1 저장부(S1)와, 제2 저장부(S2) 및 제3 저장부(S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S1)는 이너 케이스(2)의 상판(23)과 제1셀프(6a) 사이의 공간이고, 제2 저장부(S2)는 제1셀프(6a)와 제2셀프(6b) 사이의 공간이며, 제3 저장부(S3)는 제2셀프(6b)와 이너 케이스(2)의 바닥 사이의 공간이다.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room S is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unit S1 by a first shelf 6a and a second shelf 6b by a second shelf 6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elf 6a, (S2), and a third storage unit (S3). The first storage unit S1 is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23 of the inner case 2 and the first shelf 6a and the second storage unit S2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shelf 6a and the second shelf 6b And the third storing portion S3 is a space between the second shelf 6b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 [

복수 개의 광원(140)은 각각의 저장부에 광을 공급하기 용이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광원(140)은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거나, 셀프(6)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40)은 셀프(6)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셀프(6)의 상부에 식품이 배치되는 경우, 식품에 의해 광이 차단되게 되면, 저장부에 원할한 광 공급이 어렵기 때문이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40 are arranged to easily supply light to the respective storage unit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4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2 or may be disposed on the shelf 6. The light source 140 may be arranged to emit light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6. This is because, when the food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elf 6, if the light is blocked by the food,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light to the storage part.

구체적으로, 광원(140)은 제1 저장부(S1)에 광을 제공하는 제1 광원(141)과, 제2 저장부(S2)에 광을 제공하는 제2 광원(142)과, 제3 저장부(S3)에 광을 제공하는 제3 광원(143)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ght source 14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141 for providing light to the first storage unit S1, a second light source 142 for providing light to the second storage unit S2, And a third light source 143 for providing light to the storage unit S3.

제1 광원(141)은 이너 케이스(2) 상판에 배치되어 제1셀프(6a) 상면으로 광을 제공하고, 제2 광원(142)은 제1셀프(6a)의 하면에 배치되어 제2셀프(6b) 상면으로 광을 제공하며, 제3 광원(143)은 제2셀프(6b) 하면에 배치되어 이너 케이스(2)의 바닥으로 광을 제공한다.The first light source 141 is disposed on the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2 to provide ligh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6a and the second light source 14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helf 6a, And the third light source 143 is disposed on the second bottom surface 6b to provide light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

이 때, 출입감지부(120)의 일 구성인 내부 영상획득유닛(121, 122, 123)은 제1 저장부(S1)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내부 영상획득유닛(121)과, 제2 저장부(S2)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 내부 영상획득유닛(122)과, 제3 저장부(S3)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 내부 영상획득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s 121, 122, and 123, which are components of the entrance detection unit 120, include a first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 121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first storage unit S1, A second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 122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storage unit S2 and a third internal image acquisition unit 123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third storage unit S3.

제1 내부 영상획득유닛(121)은 이너 케이스(2) 상판과 제1셀프(6a)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내부 영상획득유닛(122)은 제1셀프(6a)와 제2셀프(6b)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3 내부 영상획득유닛(123)은 제2셀프(6b)와 이너 케이스(2)의 바닥 사이의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배치된다.The first internal image acquiring unit 12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2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first shelf 6a and the second internal image acquiring unit 122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6b and the inner case 2 between the second shelf 6b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2 and the third inner image acquiring unit 12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2 between the second shelf 6a and the second shelf 6b, (2).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저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브도어(60)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브도어(6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본체의 평단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for explaining the storage portion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for explaining the sub door 60 shown in Fig. 1, 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b door 60. Fig.

서브도어(6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를 개폐한다. 서브도어(60)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수의 저장부(S1, S2, S3)를 개폐할 수 있다. 서브도어(60)의 일부는 중앙 방향으로 함몰되어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경계와 에어갭(6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갭(61)은 사용자의 손잡이가 된다.The sub door 60 opens and closes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The sub door 60 can be rotated about a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o open / close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A part of the sub door 60 is depressed in the center direction to form the air gap 61 and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This air gap 61 becomes the handle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서브도어(60)는 이너 케이스(2)의 일면에 힌지(62)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서브도어(60)는 이너 케이스(2)의 측면(21)에 힌지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sub door 60 is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2 through a hinge 62. [ The sub door (60) is hinged to the side surface (21) of the inner case (2).

서브도어(60)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거나,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도어(60)는 제1 저장부(S1)를 개폐하는 제1 서브도어(60a)와, 제2 저장부(S2)를 개폐하는 제2 서브도어(60b)와, 제3 저장부(S3)를 개폐하는 제3 서브도어(60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 door 60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or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Specifically, the sub door 60 includes a first sub door 60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torage unit S1, a second sub door 6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storage unit S2, And a third sub door 60c that opens and closes the part S3.

실시예는 각각의 서브도어(60)의 개폐를 설정하는 개폐설정 스위치(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설정 스위치(66)는 각각의 서브도어(60)의 개폐를 설정하는 물리버튼 또는 터치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설정 스위치(66)는 서브도어(60)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고, 셀프(6)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setting switch 66 (for set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ub door 60). The opening / closing setting switch 66 is a physical button for setting the opening / closing of each sub door 60 And a touch button. The opening / closing setting switch 66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ub door 60,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helf 6.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락킹유닛(190)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8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unit 190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락킹유닛(190)은 서브도어(60)를 락킹한다. 락킹유닛(190)은 서브도어(60)가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는 다수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락킹유닛(190)은 제어유닛(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브도어(60)의 개방을 허용(잠금해제)하거나, 서브도어(60)의 개방을 제한(잠금)한다.Referring to FIG. 8, the locking unit 190 locks the sub door 60. The locking unit 190 may use a number of means to limit the opening of the sub-door 60. The locking unit 190 permits (unlocks) the opening of the sub door 60 or restricts (locks) the opening of the sub door 6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

예를 들면, 락킹유닛(190)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92)와, 피니언 기어(192)와 치합되어 피니언 기어(192)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잠금랙(19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locking unit 190 includes a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a pinion gear 192 that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to the motor, and a pinion gear 192 that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92, And a locking rack 191 that reciprocates by a locking mechanism 19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잠금랙(191)은 서브도어(60)에 형성된 잠금홈(63)에 내삽되어서 서브도어(60)를 잠금하고, 잠금홈(63)에서 이탈되어서 서브도어(60)를 잠금해제한다.The lock rack 191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63 formed in the sub door 60 to lock the sub door 60 and unlock the sub door 60 by being disengaged from the lock groove 63. [

락킹유닛(190)은 이너 케이스(2)의 측면(2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락킹유닛(190)은 이너 케이스(2)와 아우터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19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21 of the inner case 2. Specifically, the locking unit 190 can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2 and the outer case 1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 또는/및 광원(140)을 제어한다.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을 제어할 수 있다.9,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s image extrac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utputs the locking unit 190 and / or the light source 140 ). When the door 4 is opened, the control unit 130 can identify the user based on the us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control the locking unit 190 according to the specified user.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영상획득유닛(110)을 제어하여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유닛(130)은 영상획득유닛(110)에 의해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o capture an image of the user who is close to the door 4. [ The control unit 130 can acquire the image of the user who opens the door 4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4 is sensed. Then, the control unit 130 can extrac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image of the user extrac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

여기서, 특성정보는 사용자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한 자료이다. 예를 들면,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정보, 연령 정보, 얼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사용자에 따라 복수의 저장부의 사용을 허가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특성정보는 제어유닛(130)의 메모리(132)에 저장되고,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특성정보를 미리 저장된 특성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게 된다.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data for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user.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ender information, age information, and fac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to permit the use of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is user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32 of the control unit 130 and stored in the server 200. [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the user by comparing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이를 위해, 영상획득유닛(110)은 사용자의 영상 추출을 위해서 예컨대 파프제오르지우(Papgeorgiou)와 포기오(Poggio)에 의해서 제안된 폴리노미알 서포트 벡터 머신(Polynomial Support Vector Machine)을 결합한 하(Haar) 기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브릴라(Gavrila)와 필로민(Philomin)에 의해서 제안된 경계선 영상과 예제 데이터베이스간의 챔퍼(chamfer) 거리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비올라(Viola)에 의해서 제안된 확장된 유사 하웨이블렛(Harr wavelet) 방식 등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image extraction of a user, for example, by combining a Polynomial Support Vector Machine proposed by Papgeorgiou and Poggio Haar-based approach may be used, or a method using a chamfer distance between the boundary image proposed by Gavrila and Philomin and the sample database, or an extended method proposed by Viola A technique such as a Harr wavelet method can be used.

제어유닛(130)은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한다. 제어유닛(130)은 서버(20)에서 제공된 특성정보 및 인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지 기 사용자인지 판별한다.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전체 락킹유닛(190)을 잠금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130)은 신규 사용자가 복수의 저장부(S1, S2, S3)에서 식품을 인출하는 것을 제한한다.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the us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locking unit 190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er 2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user is a new user or a new user.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entire locking unit 190 to lock if the specified user is a new user.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restricts a new user from fetching food from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기 사용자인 경우, 특정된 사용자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인지 판단하고,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한다.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기 사용자인 경우, 특정된 사용자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되게 제어한다.11, if the specified user is a preexisting user,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authorized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user is the same authorized user, .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locking unit 190 to be 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user is not the same as the authorized authorized user.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사용인가영역 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 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금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가 사용자란 특정한 저장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사용자로써, 인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유닛(130)이 판단한다. 여기서, 인가 영역 정보는 인가 사용자 별로 복수의 저장부 중 접근이 허용되는 저장부를 저장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인가 사용자 정보, 또는 인가 영역 정보는 특정한 사용자가 각각의 서브도어(60)에 대응되는 개폐설정 스위치(66)를 작동시키면, 그 특정한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만, 설정된 서브도어(60)가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locking units 190 to be locked based on the usage area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Here, the authorized user is a user authorized to use a specific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based on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Herein, the application area information is information storing a storage unit allowing access amo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each authorized user. For example, when the specific user activates the opening / closing setting switch 66 corresponding to each sub door 60,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or the authorized area information is displayed only when the specific user opens the door, Can be unlocked.

다른 예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기 사용자 인 경우,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저장부는 복수의 저장부(S1, S2, S3) 중에 출입감지부(120)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을 분석하여서,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저장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사용자의 이전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선호 저장부를 제1 저장부(S1)로 특정하고, 제1 저장부(S1)를 개폐하는 제1 서브도어(60a)에 대응 되는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 되게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the user's favorite preference storage unit based on the previous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when the specified user is the default user, and selects the locking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storage unit, Can be controlled to be unlocked. Here, the preference storage unit refers to a storage unit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y the user by analyzing the previous usage pattern of the user stored by the entrance sensing unit 120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and S3.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user's previous usage pattern to specify the preference storage unit as the first storage unit S1,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subdoor 60a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torage unit S1 The locking unit 190 can be controlled to be unlock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가 냉장고를 공유하는 경우, 냉장고의 복수의 저장부를 사용자 별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여서, 다수의 사용자가 식품의 도난 염려 없이 냉장고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성인이 아닌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위험한 위험식품을 유아가 인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Theref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a plurality of users share a refrigerator,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of the refrigerator can be locked or unlocked for each user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share the refrigerator without fear of food stolen exis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limiting infant withdrawals of dangerous foods that are dangerous for non-adult users to handle.

다만, 도어(4)의 개방 전과, 도어(4)의 개방 후에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 미인가된 사용자가 저장부에서 식품을 인출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중복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user is changed before the door 4 is opened and after the door 4 is opened, the image of the user may be redundantly extracted in order to restrict unauthorized users from fetching food from the storage unit.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도어(4)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제1영상획득유닛(111)에서 획득된 제1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고,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제2영상획득유닛(112)에서 제2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인 경우 락킹유닛(19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130)은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제2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130)은 제어유닛(130)은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 특정된 사용자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인지 판단하고,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고, 사용자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되게 제어한다.10, when the door 4 is opened,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a user based on the property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acquired by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11 And controls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190 in response to the specified user.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4 is detect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112 acquires the second image And controls the state of the locking unit 190 to be maintained when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the same person. If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not the same pers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ocking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user spec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econd image) ) Of the user. That is, if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not the same pers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user who is permitted to use ,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190 to be lock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the same as the authorized authorized user.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잠금이 해제된 저장부를 안내하기 위해 락킹유닛(190)과 함께 광원(140)이 제어될 수 있다.Also, the embodiment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140 with the locking unit 190 to guide the user to the unlocked storage.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잠금해제와 광원(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11, when the door 4 is opened,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the user based on the user's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locks / locks the locking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user. Off and the on / off of the light source 140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가 저장부의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인지 판단하고,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며, 잠금해제되는 락킹유닛(190)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되게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가 제3 저장부(S3)의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3서브도어(60c)를 락킹하는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며, 제3광원(143)이 온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닛(130)은 특정 사용자의 사용인가영역 정보를 바탕으로 락킹유닛(190) 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금되게 제어하고, 잠금되는 락킹유닛(190)들에 대응되는 광원(140)들이 오프되게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user who is permitted to use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190 to be unlock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user is the same. 190 are turned 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user who is permitted to use the third storage unit S3, the locking unit 190 for locking the third sub-door 60c And controls the third light source 143 to be turned 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units 190 to be locked based on the usage area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and the light sources 140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units 190 to be locked are turned off .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잠금해제와 광원(140)의 온/오프를 제어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전제 광원(140)이 온되게 제어할 수 있다.12,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locking /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190 and on / off of the light source 140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user,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otal light sources 140 of the storage units S1, S2,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출입감지부(120)에서 감지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축적한다. 제어유닛(130)은 축적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vious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specified user does not exist,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food acces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sensed by the entrance sensing unit 120 with the extracted food user information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s accumulated.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accumulated specific user to the server 200.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13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구획벽(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embodiment of FIG. 13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170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구획벽(170)은 복수의 저장부(S1, S2, S3)를 다수 복수의 서브 저장부로 구획하는 파티션이다. 구획벽(170)은 셀프(6)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170)은 불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브도어(60)는 각각의 서브 저장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70 is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into a plurality of sub-storage units. The partition wall 17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helf 6. The partition wall 170 may comprise an impermeable or semi-permeable material. At this time, the sub doors 60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sub storage units.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추출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인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저장부(S1, S2, S3)의 서브도어(60)를 잠금/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extracting an image of a user opening a door 4, a step of extracting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a user based on the extracted image, S2, S3) for controlling the locking / unlocking of the sub-doors (60)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1, S2, S3) based on the pre-stored authorized user information, Step < / RTI >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세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detail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먼저, 영상획득유닛(110)이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S1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제1 영상획득유닛(111)을 제어하여 도어(4)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Firs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captures an image of a user who is close to the door 4 (S1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first image acquiring unit 111 to capture an image of a user who is close to the door 4.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지 판단한다 (S20).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pening of the door 4 is sensed (S20).

제1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4)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제1영상획득유닛(111)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에 추출한다 (S30).In the first step,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4 is sensed,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the image of the user who opens the door 4 into the image obtained by the first image acquiring unit 111 S30).

제2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추출된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한다 (S40).In the second step,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racted user's image (S40).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S60), 특정된 사용자가 인가 사용자인지 판단한다(S70). In a third step, the control unit 130 identifies a us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6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ed user is an authorized user (S70).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인가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인가 사용자에게 인가된 저장부에 대응되는 락킹유닛(190)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고(S81), 인가 사용자에게 인가된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온(on)되게 제어한다(S83). In the third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user is the authorized user,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unlocking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unit applied to the authorized user to be unlocked (S81)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140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storage unit to be turned on (S83).

제3단계에서, 제어유닛(130)은 특정된 사용자가 인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락킹유닛(190)이 잠금되게 제어하고(S85), 잠금된 저장부에 대응되는 광원(140)이 오프(off)되게 제어한다(S87).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locking unit 190 to be locked (S85)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user is not the authorized user, and the light source 140 corresponding to the locked storage is turned off (S87).

또한, 실시예는 도어의 개방 후에 사용자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중복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overlap the image of the user to detect that the user is changed after opening the door.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30)은 도어(4)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제1영상획득유닛(111)에서 획득된 제1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고, 도어(4)의 개방이 감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제2영상획득유닛(112)에서 제2영상에서 추출(S91)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인 경우 락킹유닛(19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3). 그리고, 제어유닛(130)은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제2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락킹유닛(19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4 is sensed,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the us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acquired by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11, (S91) from the second image in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112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4 is sens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y controlling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190 The user can be spec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locking unit 190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when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the same (S93). If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not the same pers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ocking unit 190 (corresponding to the user spec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econd image) ) Of the user.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entirely reflect actual size or area.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Further, the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in the specification, reference poi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angles are not explicitly referred to, reference is made to the relevant drawing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식품이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
상기 복수의 저장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도어;
상기 서브도어를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유닛;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획득유닛;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락킹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for storing foo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 door switch for sensing that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t least one sub-door opening / closing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At least one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sub door;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extracts an image of a user opening the door; And
And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extracted image of the user and controlling the locking uni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specifies a user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 specified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의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인지 판단하고,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락킹유닛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user who is permitted to use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person is pres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와,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인가영역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락킹유닛 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금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sub doors and the locking units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controls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units to be locked based on the usage permission area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사용패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 저장부를 특정하고, 상기 선호 저장부에 대응되는 상기 락킹유닛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user preference storage unit specifies a favorite preference storage unit based on the previous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storage unit to be unlo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유닛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전에 상기 사용자의 제1영상을 추출하는 제1영상획득유닛과,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후에 상기 사용자의 제2영상을 추출하는 제2영상획득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comprises:
A first image acquiring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extract a first image of the user before opening the door;
And a second image acquir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to extract a second image of the user after the door is ope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2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상기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상기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인 경우 상기 락킹유닛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specifies a us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when the door is opened,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a specified user,
A user identified by the first image and a user ident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econd image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controls the state of the locking unit to be maintained when the occupant is the same person.
제7항에 있어서,
상게 제어유닛은,
상기 제1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와 상기 제2영상으로 특정된 사용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상기 제2영상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ver-
If the user specified by the first image and the user specified by the second image are not the same person, the locking unit is locked or unlocked corresponding to the user spec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econd image Controlled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 각각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supplying ligh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ser is ident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on / off of the light source is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u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의 사용이 허가된 인가 사용자와 동일인인지 판단하고,
동일인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락킹유닛이 잠금해제되게 제어하며,
잠금해제되는 상기 락킹유닛에 대응되는 광원이 온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user is the same as the authorized user who is permitted to use the storage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person is present, controls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to be turned 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와,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특정 사용자의 사용인가영역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락킹유닛 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금되게 제어하고,
잠금되는 상기 락킹유닛들에 대응되는 광원들이 오프되게 제어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the sub doors and the locking units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units to be locked based on the use permission area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And the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units to be locked are turned off.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냉장고에서 축적된 사용자의 특성정보 및 인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유닛과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된 상기 특성정보 및 인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락킹유닛을 제어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rver for storing user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authorized user information accumulated in a plurality of refrigerators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cking uni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uthorized us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식품의 출입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에 제공하는 출입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출입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복수의 저장부의 식품출입 정보와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의 사용패턴정보를 축적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sensing unit for sensing entrance and exit of food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and providing the foo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on the basis of the food acces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sensed by the entrance sensing unit and the extracted image of the us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식품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가압센서, 근접센서 및 내부 영상획득유닛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ntrance /
A proximity sensor and an internal image acquir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food is present in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도어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추출하는 제1 단계;
추출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특정하고, 미리 저장된 인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부의 서브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A first step of extracting an image of a user opening the door;
A second step of extrac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based on the extracted image;
And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sub door of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user information and specifying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KR1020160099661A 2016-08-04 2016-08-04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159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61A KR20180015971A (en) 2016-08-04 2016-08-04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61A KR20180015971A (en) 2016-08-04 2016-08-04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71A true KR20180015971A (en) 2018-02-14

Family

ID=6122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661A KR20180015971A (en) 2016-08-04 2016-08-04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97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71A (en)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20181721A1 (en) * 2019-03-13 2020-09-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3068877A1 (en) * 2021-10-21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11920860B2 (en) 2020-02-1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71A (en) * 2018-06-01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20181721A1 (en) * 2019-03-13 2020-09-1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48450B2 (en) 2019-03-13 2022-09-20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20860B2 (en) 2020-02-1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WO2023068877A1 (en) * 2021-10-21 2023-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5971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46635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9174106A (en) System, and method
US11980310B2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KR20180048089A (en) Refrigerator
CN105806038A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door lock and refrigerator
KR20120117464A (en)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10207165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7164296B2 (en) refrigerator
JP7421654B2 (en)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US1151966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WO2021212993A1 (en) Camera module in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for preventing lens from fogging
CN106766660A (en) A kind of refrigerator op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
EP3048399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0052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270124A (en) Method for viewing and tracking stored items
KR102145607B1 (en) Electric product
KR20190106430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206323A1 (en) A cooling device
KR20170017326A (en) Refregerator providing inside image using camera
US20230284797A1 (en) Gesture Operated Refrigerated Display Case
WO20201817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297252A (en) A kind of refrigeration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based on deposit object
JP2012226485A (en) Monitoring device
KR2017002346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refre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