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730A -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730A
KR20180015730A KR1020187000330A KR20187000330A KR20180015730A KR 20180015730 A KR20180015730 A KR 20180015730A KR 1020187000330 A KR1020187000330 A KR 1020187000330A KR 20187000330 A KR20187000330 A KR 20187000330A KR 20180015730 A KR20180015730 A KR 2018001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torage
target
network service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571B1 (ko
Inventor
하오 쉬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6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life time, e.g. increasing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73Mapping of cache memory to specific storage devic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4Management of space entities, e.g. partitions, extents, po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2Employing cache memory using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22Non-volatil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2Allocation control and poli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4Capacity control, e.g. partitioning, end-of-life degra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5Cleaning, compaction, garbage collection, eras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6Reconfiguration of flash memory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컴퓨터들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은, 미리-설정된 지속시간 내에, 타겟 스토리지 디바이스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제1 단위 지속시간 기입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단위 지속시간 기입 용량과 리던던트 공간 용량 사이의 상관에 따라, 제1 단위 지속시간 기입 용량에 대응하는 제1 리던던트 공간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 이러한 상관에서, 리던던트 공간 용량은 단위 지속시간 기입 용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됨 -; 및 제1 리던던트 공간 용량에 따라 타겟 스토리지 디바이스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리던던트 공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겟 스토리지 디바이스의 서비스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7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ORAGE DEVICE"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946978.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토리지 관리 방법 및 스토리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토리지 용량들이 큰 스토리지들이 네트워크 측 상에 널리 사용된다.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들은 빠른 판독 속도, 낮은 전력 소비 등의 특성들로 인해 네트워크 서비스 스토리지들에 대한 최상의 선택이 된다.
종래 기술에서, 기술자는 각각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스토리지에 기본 스토리지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설정한다.
연구에서, 종래 기술은 적어도 다음의 문제점들을 갖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각각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할당되는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기본 스토리지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는 고정된 용량들을 갖는다. 따라서, 많은 양의 트래픽이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스토리지가 쉽게 채워져, 무효 데이터 클리닝의 빈도가 높아진다. 클리닝 프로세스는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스토리지 블록들을 어느 정도 손상시킬 수 있고, 이는 타겟 스토리지의 서비스 수명을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토리지 관리 방법 및 스토리지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르면, 스토리지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는 단계;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는 단계- 대응에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 -;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스토리지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대응에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 -;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기초하여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증가할 때,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자동으로 증가되어 데이터 클리닝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타겟 스토리지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될 첨부 도면들이 이하 간략히 설명된다. 명백하게,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첨부 도면들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창조적인 작업 없이도 다른 첨부 도면들이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 및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와 타겟 스토리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장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장치의 결정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를 도시하는 개략 구조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다.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서버일 수 있고,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스토리지 관리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는 이러한 처리에 요구되는 데이터 및 이러한 처리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방법의 처리 흐름은 단계들 101 내지 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에서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검출된다.
타겟 스토리지는 다수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스토리지 공간들을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스토리지는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일 수 있다.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는,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DiDi Taxi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일 수 있으며, 이는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서버 디바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기입 양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기입 양을 미리 결정된 기간의 간격으로 결정하여,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획득한다.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 당 타겟 스토리지에 기입되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양은 200M이거나, 분 당 타겟 스토리지에 기입되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양은 1G이다.
예를 들어,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관하여,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데이터는 타겟 스토리지에 저장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기간은 10분이라고 가정되고,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지난 10분에 타겟 스토리지에 기입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양이 200M임을 검출한다. 따라서,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은 20M라고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은 또한 시간 단위 당 기입들의 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 당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입들의 수는 200,000이거나, 또는 분 당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입들의 수는 500,000이다.
단계 102에서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이 결정된다.
여기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 또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된 스토리지 용량(기본 스토리지 용량이라고도 지칭됨) 이외의 스토리지 용량일 수 있으며,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1T의 고정된 스토리지 용량이 제공되고,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으로서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100G의 스토리지 용량이 추가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추가로 제공되는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 스토리지 용량이 10T이고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추가로 제공되는 스토리지 용량이 1T인 경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10%이다.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이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대응에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증가할 때,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동적으로 증가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클리닝을 지연시키고 데이터 클리닝 동안 클리닝되는 무효 데이터(또한, 더티 데이터라고도 지칭됨)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기입 증폭이 감소될 수 있다.
예로서, 표 1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을 도시하며, 여기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으로서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사용되고,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으로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이 사용된다. 표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속하는 값 구간에 따라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제공되는 대응은 예일 뿐이며,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은 실제 요건에 따라 이러한 대응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1
예로서,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결정한 후,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제1 시간 단위가 속하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값 구간을 제1 값 구간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값 구간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가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이고,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가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500M라고 결정하는 경우, 500M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속하는 제1 값 구간은 300M-600M라고 결정될 수 있고, 다음으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설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300M-600M의 제1 값 구간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이 검색되어 500M라고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큰 경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크게 설정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클리닝을 지연시키고, 데이터 클리닝 동안 클리닝되는 무효 데이터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표 2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다른 대응을 도시하며, 여기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으로서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사용되고,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으로서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이 사용된다. 표 2에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미리 결정된 값 구간은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에 대응한다. 제공되는 대응은 예일 뿐이며,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은 실제 요건에 따라 이러한 대응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2
대안적으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은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처리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기본 스토리지 용량,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표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본 스토리지 용량,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이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표 3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을 도시한다. 결정된 값 구간에서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대해,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상이한 기본 스토리지 용량들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동일한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해,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상이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들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표 3에서 제공되는 대응은 예일 뿐이며,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실제 요건에 따라 이러한 대응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3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고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기본 스토리지 용량,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가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이고,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가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500M라고 결정하고,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 스토리지 용량이 10T라고 결정하는 경우, 10T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500M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이 검색되어 1T라고 결정되고, 따라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은 1T라고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03에서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가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구성된다.
예로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한 후,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을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처리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임 -;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가비지 재활용 임계값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타겟 스토리지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를 클리닝하는 타겟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 양일 수 있다.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대응은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더 많은 기입 양은 더 작은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에 대응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타겟 스토리지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기입하기에 충분한 공간들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대응이 표 4에 도시된다. 예로서, 표 4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대응을 도시하고, 여기서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으로서 사용된다. 표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속하는 값 구간에 따라 시간 단위 당 기입 데이터 양에 대응하는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이 결정될 수 있다. 제공되는 대응은 예일 뿐이며,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은 실제 요건에 따라 이러한 대응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4
예로서,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결정한 후,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대응에 따라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결정하고,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어, WeChat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제공되는 기본 스토리지 용량이 100T인 경우,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500M라고 검출할 때,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300-600M의 값 구간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300-600M의 값 구간에 대응하는 가비지 재활용 임계값을 검색하고 이것이 95T라고 결정하고, 다음으로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95T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양이 95T인 경우, 타겟 스토리지는 WeChat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데이터를 클리닝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4에서는,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으로서 사용된다. 시간 단위 당 기입들의 수가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무효 데이터 임계값이 또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처리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대응하는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무효 데이터 임계값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임 -;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무효 데이터 임계값은 더티 데이터 임계값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타겟 스토리지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일 수 있다.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 사이의 대응은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대응에서, 더 큰 리던던트 스토리지는 더 큰 무효 데이터 임계값에 대응한다. 따라서, 데이터 클리닝은 더 많은 양의 무효 데이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사될 필요가 있는 유효 데이터의 양이 적고, 그렇게 함으로써 기입 증폭을 감소시킨다. 표 5에서는,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이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으로서 사용된다.
Figure pct00005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한 후,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의 대응에 따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대응하는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결정하고, 다음으로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겟 스토리지에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의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이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에 도달할 때, 타겟 스토리지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를 클리닝하도록 트리거된다. 예로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스토리지 공간은 다수의 스토리지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고, 데이터는 다수의 스토리지 블록들에 병렬로 기입될 수 있다. 무효 데이터 비율이 상대적으로 큰 블록은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할 때 먼저 클리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세스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다음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는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서버 디바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는 가상 디스크, 플래시 변환 레이어, 기본 드라이버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가상 디스크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에 논리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플래시 변환 레이어는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대응(예를 들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대응)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기본 드라이버는 타겟 스토리지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 A 등과 같은) 다수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상이한 서버 디바이스들에 설치되지만,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의 플래시 변환 레이어를 공유하고 하나의 타겟 스토리지를 공유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상 디스크에 대응하고, 가상 디스크들의 수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의해 결정된다. 가상 디스크들의 수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정비례할 수 있다. 기술자는 경험 값에 따라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대응 양의 대응,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응은 플래시 변환 레이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등록 인터페이스,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태 쿼리 인터페이스가 플래시 변환 레이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등록 인터페이스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및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쿼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어 인터페이스는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따라 가상 디스크들의 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태 쿼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행 부분 및 동시 액세스 부분이 플래시 변환 레이어에 제공될 수 있다. 실행 부분은 어드레스 매핑 관계, 즉,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기록되는 스토리지 어드레스의 논리 어드레스와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기록되는 스토리지 어드레스의 물리 어드레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동시 액세스 부분은 타겟 스토리지의 다수의 스토리지 블록들을 병렬로 액세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타겟 스토리지에 의해 제공되는 스토리지 공간은 다수의 스토리지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고, 데이터는 데이터 기입 동안 다수의 스토리지 블록들에 병렬로 기입될 수 있다.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가 타겟 스토리지에 저장될 때,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검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및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이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데이터는 가상 디스크에 송신되고, 이는 서비스 데이터를 플래시 변환 레이어에 송신할 수 있다. 실행 부분은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비스 데이터의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시 액세스 부분은 기본 드라이버를 통해 어드레스 매핑 관계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를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대응하는 스토리지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타겟 스토리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서비스 데이터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즉, 우선 순위가 더 높은 현재 서비스 데이터가 먼저 기입될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 데이터가 기입된 후, 다른 서비스 데이터가 기입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검출되고,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이 결정되고,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리던던트 스토리지가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증가할 때,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데이터 클리닝의 빈도를 감소시키도록 자동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타겟 스토리지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제2 실시예
동일한 기술적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장치는 검출 모듈(410), 결정 모듈(420) 및 설정 모듈(430)을 포함한다.
검출 모듈(410)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모듈(420)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대응에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설정 모듈(430)은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들의 수 또는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의 양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 또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420)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이다.
설정 모듈(430)은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420)은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대응하는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무효 데이터 임계값은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이다.
설정 모듈(430)은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결정 모듈(420)은 검출 서브-모듈(421) 및 결정 서브-모듈(422)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서브-모듈(421)은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서브 모듈(422)은 기본 스토리지 용량,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이 검출되고;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이 결정되고- 대응에서,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 -;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리던던트 스토리지가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이 증가할 때,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데이터 클리닝의 빈도를 감소시키도록 자동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타겟 스토리지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위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토리지 관리 장치의 스토리지 관리 프로세스는 위에 설명된 기능 모듈들의 분할에 의해 예시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로는, 위 기능들을 상이한 기능 모듈들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토리지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에 설명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는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또한, 위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되는 스토리지 관리 장치 및 스토리지 관리 방법은 동일한 개념에 속하고, 스토리지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는다.
제3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조도를 도시하는 도 6이 참조된다.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위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관리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되는 태스크 실행 서버(600)로서 구성될 수 있다. 태스크 실행 서버(600)는 상이한 구성들 및 성능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서들(1922), 메모리(1932), 및 애플리케이션(1942) 또는 데이터(1944)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스토리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매체들(1930)을 포함한다. 메모리(1932) 및 스토리지 매체(1930)는 일시적 스토리지들 또는 지속적 스토리지들일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19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모듈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듈은 태스크 실행 서버의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1922)은 스토리지 매체(1930)와 통신하고 매체(1930)에서의 일련의 명령어들을 태스크 실행 서버(600) 상에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스크 실행 서버(600)는 하나 이상의 전원들(1926),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950),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들(1958), 하나 이상의 키보드들(1956), 및/또는 Windows ServerTM, 5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운영 체제들(19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스크 실행 서버(600)는 스토리지,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스토리지에 저장됨 -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위에 설명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에 포함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위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드웨어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명령을 받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일 수 있다.
위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원리들 내에 있는 임의의 수정들, 등가의 대체들, 개선들 등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스토리지 관리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는 단계;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응에서,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 -; 및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들의 수 또는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 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 또는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스토리지 용량,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상기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임 -; 및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상기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대응하는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효 데이터 임계값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임 -; 및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상기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스토리지 관리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길이의 시간 동안,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상기 대응에서,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 -; 및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따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은 시간 단위 당 기입들의 수 또는 시간 단위 당 기입되는 데이터 양을 포함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은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 또는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에 대한 리던던트 스토리지 용량의 비율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검출 서브-모듈 및 결정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서브-모듈은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스토리지 용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서브-모듈은 상기 기본 스토리지 용량,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 및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에 따라 상기 기본 스토리지 용량 및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시간 단위 당 기입 양과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시간 단위 당 제1 기입 양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임 -;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을 상기 제1 데이터 클리닝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양과 무효 데이터 임계값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리던던트 스토리지의 제1 양에 대응하는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무효 데이터 임계값은 상기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무효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도록 상기 타겟 스토리지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는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총 데이터 양에 대한 무효 데이터 양의 비율임 -;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타겟 스토리지에서의 타겟 네트워크 서비스의 무효 데이터 임계값을 상기 제1 무효 데이터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KR1020187000330A 2015-12-17 2016-06-02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00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46978.1 2015-12-17
CN201510946978.1A CN106897022B (zh) 2015-12-17 2015-12-17 一种管理存储设备的方法及装置
PCT/CN2016/084479 WO2017101263A1 (zh) 2015-12-17 2016-06-02 管理存储设备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30A true KR20180015730A (ko) 2018-02-13
KR102100571B1 KR102100571B1 (ko) 2020-04-13

Family

ID=5905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330A KR102100571B1 (ko) 2015-12-17 2016-06-02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98180B2 (ko)
EP (1) EP3392754B1 (ko)
JP (1) JP6522168B2 (ko)
KR (1) KR102100571B1 (ko)
CN (1) CN106897022B (ko)
WO (1) WO2017101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3605B (zh) * 2017-11-14 2021-03-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存储卡处理方法及装置
CN108733320A (zh) * 2018-04-03 2018-11-02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ssd性能和容量配置方法
CN110058810B (zh) * 2019-01-17 2022-06-1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分布式系统的磁盘清理方法和装置、分布式系统
CN111078588B (zh) * 2019-12-17 2022-03-25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垃圾回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194055B (zh) * 2019-12-30 2022-09-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数据存储频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9198A2 (en) * 2005-08-03 2007-02-15 Sandisk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scheduled reclaim operations
US20110099320A1 (en) * 2009-10-23 2011-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id State Drive with Adjustable Drive Life and Capac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2897A (ja) * 2004-02-27 2005-09-08 Oki Electric Ind Co Ltd フラッシュディスク装置
JP2008171103A (ja) * 2007-01-10 2008-07-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管理システム、半導体記憶装置、半導体記憶装置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72311B1 (en) * 2010-01-11 2013-10-29 Apple Inc. Redundant data storage in multi-die memory systems
JP2011192260A (ja) * 2010-02-16 2011-09-2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CN102053802B (zh) * 2010-12-31 2012-09-05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网络独立冗余磁盘阵列系统
JP6016137B2 (ja) * 2011-05-24 2016-10-26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ソリッドステートドライブ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8671249B2 (en) * 2011-07-22 2014-03-11 Fusion-Io,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orage capacity recovery
CN103379156B (zh) * 2012-04-24 2016-03-09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实现存储空间动态均衡的方法、系统和装置
US9645917B2 (en) * 2012-05-22 2017-05-09 Netapp, Inc. Specializing I/O access patterns for flash storage
JP5788369B2 (ja) * 2012-09-12 2015-09-30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管理方法
US9852058B2 (en) 2012-09-28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VS thresholding for efficient data management
CN104040512B (zh) * 2012-12-28 2017-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空间的处理方法及装置
GB2511325A (en) * 2013-02-28 2014-09-03 Ibm Cache allocation in a computerized system
US9645924B2 (en) * 2013-12-16 2017-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arbage collection scaling
CN103838524B (zh) * 2014-03-13 2017-01-18 深圳市迪菲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精简配置的实现方法与存储系统
US9632702B2 (en) * 2014-10-15 2017-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initialization of a thinly provisioned storage ar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9198A2 (en) * 2005-08-03 2007-02-15 Sandisk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scheduled reclaim operations
US20110099320A1 (en) * 2009-10-23 2011-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id State Drive with Adjustable Drive Life and Capa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22168B2 (ja) 2019-05-29
EP3392754B1 (en) 2022-10-19
JP2018516410A (ja) 2018-06-21
EP3392754A4 (en) 2019-06-26
US20180004409A1 (en) 2018-01-04
WO2017101263A1 (zh) 2017-06-22
CN106897022A (zh) 2017-06-27
US10198180B2 (en) 2019-02-05
CN106897022B (zh) 2019-05-31
EP3392754A1 (en) 2018-10-24
KR102100571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550B2 (en) Application and tier configuration management in dynamic page reallocation storage system
KR102100571B1 (ko)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850152B2 (en) Method of data migration and information storage system
US929221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object based tier
US8775731B2 (en) Write spike performance enhancement in hybrid storage systems
US10838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data from a mirror server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318477B1 (ko) Ssd 어레이 관리를 위한 스트림 식별자 기반 스토리지 시스템
US20150234669A1 (en) Memory resource sharing among multiple compute nodes
US9483315B2 (en) Autonomous dynamic optimization of platform resources
JP6511795B2 (ja) ストレージ管理装置、ストレージ管理方法、ストレー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9904474B2 (en) Control device and storage system
JP2007140728A (ja) 記憶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制御方法
CN10376105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9626110B2 (en) Method for selecting a page for migration based on access path information and response performance information
US20130238867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ploy and backup volumes
WO2013061376A1 (en) Stor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storage system
US20120311602A1 (en) Storage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management method
US9396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unified cache to one or more logical units
US9395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8468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llocate area to virtual volume based on object access type
US8990523B1 (en) Storage apparatus and its data processing method
RU2022106942A (ru) Сохранение данны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рядка очистки апертур памяти
WO2017163322A1 (ja) 管理計算機、および計算機システムの管理方法
WO2017046902A1 (ja) 管理システム、管理計算機、及び、ストレージ装置の管理方法
JP2012003567A (ja) ストレージ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