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391A -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 Google Patents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391A
KR20180015391A KR1020160098855A KR20160098855A KR20180015391A KR 20180015391 A KR20180015391 A KR 20180015391A KR 1020160098855 A KR1020160098855 A KR 1020160098855A KR 20160098855 A KR20160098855 A KR 20160098855A KR 20180015391 A KR20180015391 A KR 2018001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touch
holder
switch assembly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5445B1 (en
Inventor
노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6009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1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switch assembly for the AVN system of a vehicle. The multi switch assembly includes an upper body part having a first mounting part and a second mounting part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in a square; a lower bod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form an inner space; a control part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and having a rotation knob rotatab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button par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knob to be pressed; a touch pad which is provided in a second installation part, detects the touch input of a user, perform a downward push function in one center position and pushes an eccentrically downward push function in the four positions of an edge part spaced apart in a direction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center pos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본 발명은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적절한 조작감을 부여하고,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witch assembly for an A / V system of a vehicle which can easily be operated by a user, .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에 필요한 필수적인 기능 동작부 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 동작부가 곳곳에 산재 배치된다. 예를 들면,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및 음원을 제공하는 Audio&Video 기능부와 차량 주행 목적지를 맵(map)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여 안내하는 Navigation 기능부가 구비될 수 있고(여기서, Audio&Video 기능부 및 Navigation 기능부를 통칭하여 'AVN System(에이브이엔 시스템)'이라 정의하며, 이하에서는, 'AVN 시스템'이라 약칭한다), 관련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운전석과 조수석의 가운데 전방부에 제공된다.Generally, in addition to an essential functional operation portion necessary for traveling, the functional operation portion for user's convenience is scattered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may include an audio & video function unit for providing a desired image and sound source by a user, and a navigation function unit for providing a map image or image to a vehicle driving destination, AVN system ", hereinafter abbreviated as" AVN system "),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related images is provided in the center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s seat.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린 전체가 터치 패널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선택 항목을 간단히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부의 하단부에 별도로 다수의 물리적인 스위치 버튼들을 구비하여 상술한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과 함께 AVN System을 물리적으로 병행 조작할 수 있도록 AVN 시스템 연동 스위치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unit has been made of a touch panel,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a desired selection item by simply touching with a finger. Further, a plurality of physical switch button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An AVN system interlock switch assembly is provided so that the AVN system can be physically operated in parallel with the touch operation of the panel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 연동 스위치 조립체의 경우, 운전자 또는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와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직접 허리를 숙여 손을 뻗은 다음 정확하게 터치 조작 또는 스위칭 조작하여야 하므로, 운전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VN system interlocking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user is somewhat spaced apart from the driver or the user aboard the passenger seat, the user must directly lean his / , Which leads to a problem of obstructing the driving visual fiel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switch assembly for an A / V system of a vehicle.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적절한 조작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부면에 사각형으로 개구된 제1설치부 및 제2설치부가 형성된 상부 바디부와; 상부 바디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부와; 제1설치부에 구비되되,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노브와, 회전노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부와; 제2설치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가운데 1개소에서 직하방으로 푸쉬 가능함과 아울러 가운데 1개소를 기준으로 90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가능하게 베치된 터치패드를 포함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switch assembly comprising: an upper body having a first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opened in a squar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form an inner space; A control knob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the control knob including a rotary knob rotatably disposed,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knob to be pushe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detect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pushes the touch panel from one position to the lower position, and pushes the touch panel downward at four positions at 90 degrees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touch panel. Possibly including a battered touchpad.

또한, 터치 패드는, 터치패드의 중앙에 구비되어, 터치동작 및 푸쉬동작이 동시에 입력되면 실행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1입력부와; 터치패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해당 영역 선택으로 인식하는 제2입력부와; 터치패드의 하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메뉴실행 또는 이전메뉴로 돌아가기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3입력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uch pad includes a first input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pad and recognizing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ush operation as an execution command when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ush operation are simultaneously input;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uch pad and recognizing the touch operation when the touch operation is input; And a third input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uch pad for recognizing the menu operation or returning to the previous menu when the touch operation is inputted.

또한, 제1입력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필기체를 인식한다.Further, the first input unit recognizes a handwriting input by the user.

또한, 제2입력부는, 사용자가 터치동작을 통하여 메뉴 또는 라디오 주파수 등을 설정한다.In addition, the second input unit sets a menu or a radio frequency or the like through a touch operation by a user.

또한, 내부 공간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택트 스위치 및 LED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터치패드는, 푸쉬 동작으로 상기 상부 바디부와 상기 하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홀더부를 관통하는 푸셔를 매개로 상기 택트 스위치를 접점시킨다.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further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tact switch and an 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touch pad includes a hold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The tact switch is contacted via a pusher that penetrates.

또한, 푸셔는, 상부 바디부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와; 지지판부의 하면 중앙에서 택트 스위치로 직하방 연장되는 접점로드와; 지지판부의 테두리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한다.Further, the pusher includes: a support plate portion for supporting a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A contact rod extending directly below the tact switch at the bottom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guide rods exten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또한, 홀더부와 상기 터치패드 사이에는, 상기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작동된 상기 터치패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pr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touch pa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ouch pad, which is eccentrically downwardly pushed at four places of the rim,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터치패드 하부에는, 상기 홀더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면서 상기 터치패드의 직하방 푸쉬 작동 및 편심 푸쉬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가 다수개 구비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inges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d to enable the push-down operation and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of the touch pad with contact with or disengagement from the holder portion.

또한, 힌지부는,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작동될 때 다수개의 힌지부 전부가 홀더부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멀티 푸쉬 노브가 편심 푸쉬 작동될 때 편심 측에 위치한 힌지부만이 홀더부와의 접촉이 해제된다.When the touch pad is directly pushed down, the hinge portion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holder portion, and only the hinge portion located on the eccentric side when the multi-push knob is operated eccentrically is operated to push the holder portion The contact is released.

또한, 힌지부는,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작동되거나 편심 푸쉬 작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수개의 힌지부 전부가 홀더부에 접촉되어 걸림된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d is directly pushed down or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hinge portion is held in contact with the hold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inge portions.

또한, 스프링 부재는, 상기 노브 홀더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상기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홀더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비된다.The spr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nob holder, and is provided with four leaf springs corresponding to the rim portions, and both ends of the plate spring are bent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조작 및 편심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하여 제품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since the touch pa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the push-down operation and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ibility of the product by giving the user a sense of operation.

둘째,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조작 및 편심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하여 터치 입력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ly, since the touch pa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a direct downward push operation and an eccentric push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operation to the use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touch input.

셋째, 터치패드에 직하방 푸쉬 조작 및 편심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나의 터치패드를 입력 방식에 따라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touch pad can be pushed rightward and eccentric pushed, and a single touch pad can be inputted with various commands by distinguishing the areas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넷째, 하나의 스위치 조립체에 회전노브, 복수의 버튼부, 터치패드 등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a variety of commands such as a rotary knob,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touch pad can be input to one switch assembl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상부 바디부와 홀더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multi-switch assembly of an AV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ing memb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FIG.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part and the holder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2 are coupl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ulti-switch assembly of an AV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한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인 경우이다.The preferred vehicle A / V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may be modifi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in this embodiment is an A / V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multi-switch assembly of an AV system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이하, 'AVN 시스템'이라 칭함)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운전석(Driver Seat, 도면부호D' 참조)과 조수석(Assistant Seat, 도면부호 'A' 참조) 사이에 구비된 센터 콘솔(미도시)의 전방부에 배치된다.1,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or's seat (not shown)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see reference numeral D ') and the assistant seat (reference seat' A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100)는, 센터 콘솔과 그 전방에 배치된 변속 레버(210)와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센터 콘솔과 변속 레버(210) 사이는 운전석(D) 및 조수석(A) 탑승자가 각각 오른손 또는 왼손을 허리를 굽히거나 별도의 운전 자세 및 탑승 자세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뻗으면 닿을 수 있는 위치로써, 운전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가장 적절한 위치이다.In particular, the AVN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between the center console and the shift lever 210 disposed in front of the center console. Between the center console and the shift lever 210 is a position where the driver (D) and the passenger (A) can reach each other even if they do not bend their left or right hands or change their operation and attitude. It is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that does not disturb your view.

즉,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100)는, 운전자가 운전 자세 및 운전 시야를 흩트리지 않고서도 손의 감각만으로도 충분히 접근성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운전석(D)에 탑승한 운전자는 기타 조수석(D) 및 후방석(미도시)의 탑승객에 비하여 운전 시야를 흩트리게 되면 곧바로 주행 안정성을 크게 해치기 때문이다.That is, the main feature of the AVN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ver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accessibility is sufficiently easy even with the sense of the hand without disturbing the driving posture and the driving visibility. The driver on the driver's seat (D) seriously hurts his driving stability as soon as he disturbs the driver's view compared to other passengers (D) and rear passengers (not shown).

운전석(D)과 조수석(A) 전방에 좌우로 수평되게 배치된 인스투르먼트 패널(22)의 중앙 하부에는,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디스플레이부(200)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 돌출되는 팝업형 또는 외관 설치형 중 어느 것으로 채택되어도 무방하다.A built-in type display unit 200 may be disposed below the center of the instrument panel 22 horizontally disposed horizontally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D and the passenger's seat A. However, the display unit 200 is not necessarily a built-in type,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a pop-up type or an exterior type that protrudes outwardly.

디스플레이부(200)는,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과 비디오 시스템(Video System)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통칭하는 AVN 시스템의 선택 및 작동을 위한 각종 이미지와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The display unit 200 displays various images and moving images for selecting and operating an AVN syste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audio system, a video system, and a navigation system.

특히,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음원 및 영상의 선택, 선택된 음원 및 영상의 음량 조절,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조작 등을 터치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200)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부(200)와 별도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장치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In particula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VN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200 including a touch panel, a sound source and an image, a volume control of a selected sound source and an image, The display unit 200 can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200 without touching the display unit 200 direct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구성 중 상부 바디부와 홀더부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part and the holder part of the structure of FIG. 2 are coupl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는 상부면에 사각형으로 개구된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가 형성된 상부 바디부(110)와; 상부 바디부(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부(120)와; 제1설치부(111)에 구비되되,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노브(141)와, 회전노브(141)를 중심으로 양측에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부(142)가 구비된 조작부(140)와; 제2설치부(112)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가운데 1개소에서 직하방으로 푸쉬 가능함과 아울러 가운데 1개소를 기준으로 90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가능하게 베치된 터치패드(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12, An upper body part 110; A lower body part 12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10 to form an inner space; A rotary knob 141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14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knob 141, 14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o push it from one place to the downward position and to eccentrically move at four places of the edge portion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90 degre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place And a touch pad 150 that is pushably pushed downward.

상부 바디부(110)는 후술하는 하부 바디부(120)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센터 콘솔과 변속 레버(210) 사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주요 구성이고, 내부 공간(S)이 형성되어 상술한 조작부(140)와 터치패드(150)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body 110 is coupled with the lower body 120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AVN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rnal space S is formed so that the operation unit 140 and the touch pad 150 are installed.

상부 바디부(110)는 차체의 사양 및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상이할 수 있지만, 전단과 후단 사이의 길이가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길이보다 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 바디부(110)의 상부면이 내부 공간(S)와 연통되도록 사각형의 개구된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가 형성된다.The upper body 110 may have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and the type of the body, but the upper body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length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long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A first mounting portion 111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12 having a rectangular shape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2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S.

여기서, 제1설치부(111)와 제2설치부(11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설치부(111)와 제2설치부(112)의 크기는 각각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at the sizes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부 바디부(110)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홀더부(130)를 관통하는 라이트 가이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13)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160)의 LED(16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수렴하여 터치패드(150)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upper body 110 may include a light guide 113 extending downward and passing through the holder 130. The light guide 113 can guide light to the touch pad 150 by converg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6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라이트 가이드(113)는 후술하는 터치패드(150)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식(A, B, C, D, E)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13)는 하부에 위치된 LED(162)의 빛이 수렴되도록 내부 공간(S)과 연통되거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guide 113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markers A, B, C, D, and E displayed on a touch pad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guide 1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S so that the light of the LED 162 located below may converge.

하부 바디부(120)는 상부 바디부(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 할 수 있다. 하부 바디부(120)는 상부 바디부(1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lower body part 120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lower body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part 110.

하부 바디부(120)의 상단에는 내부 공간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택트 스위치(161) 및 LED(162)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160 may include a tact switch 161 and an LED 16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in a horizontal direction.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홀더부(13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회전노브(141) 및 복수의 버튼부(142)를 포함하는 조작부(140)와 라이트 가이드(113) 등이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상부 바디부(110)와 하부 바디부(120)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내부 공간(S)와 외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2 and 3, the holder 130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part 140 including a rotation knob 141 and a plurality of button parts 142 to be described later, and a light guide 113 And is configured to shield the inner space S and the outer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조작부(140)는 제1설치부(111)에 구비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노브(141)와, 회전노브(141)를 중심으로 양측에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40 includes a rotation knob 141 disposed on the first installation unit 111 and rotatab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button units 14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knob 141 142 may be provided.

회전노브(141)는 제1설치부(111)의 중심에 원형으로 구비되고, 회전노브(141)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AVN 시스템의 세부 메뉴를 선택 항목으로서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노브(1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량을 세부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음량을 세부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rotation knob 141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knob 141 by the user, A detailed menu of the AVN system can be operated as a selection item. For example, the rotation knob 141 can be set to be capable of reducing the volume of sound in detail by not only increasing the volume output through the audio system in a clockwise rotation operation but also rotating counterclockwise have.

그러나, 회전노브(141)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이 단순히 음량 조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계방향의 회전일 경우에는 리스트화된 복수의 선택항목 중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선택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시계방향의 회전일 경우에는 복수의 선택항목 중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141 is not limited to the volume control. In the case of clockwise rotation, the rotation knob 141 may be moved downward among the plurality of selected items, , And in the case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it can be set to be selected while moving upward among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복수의 버튼부(142)는 회전노브(141)를 중심으로 양측에 눌림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노브(14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2개씩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버튼부(142)는 푸쉬 동작으로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AVN 시스템의 세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14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knob 141 so as to be pr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wo rotary knobs 14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knob 14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42 can select a submenu of the AVN system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as a push operation.

이하에서는, 회전노브(141) 및 복수의 버튼부(142)의 작동 메커니즘과 연계된 디스플레이부(200)의 세부적인 조작 설정과 관련된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핵심 요지와는 거리가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related to the detailed operation setting of the display unit 200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rotary knob 141 and the plurality of button units 142 are distant from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스위치 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택트 스위치(161) 및 다수의 LED(162)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V switch system interlocking multi-switch assembly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s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internal sp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160 having a plurality of LEDs 162.

여기서, 택트 스위치(161)는 모듈화된 스위치로서, 미도시되었으나, 인쇄회로기판(163)의 상면에 인쇄된 접점 회로의 상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터치패드(150) 조작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림되면 접점 회로와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터치패드(150)를 푸쉬하는 사용자의 푸쉬력(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접점 회로와의 접점이 해제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Although not illustrated, the tact switch 161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contact circuit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63, and when pressed down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touch pad 150, Circuit, and when the push force (external force) of the user pushing the touch pad 150 is removed, the switch is released by the self-elasticity and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circuit is released.

터치패드(150)는 제2설치부(112)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가운데 1개소에서 직하방으로 푸쉬 가능함과 아울러, 가운데 1개소를 기준으로 90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테두리 부위에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ouch pad 150 is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12 and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he touch pad 150 can push the touch pad 150 from one place to the right and below, Can be arranged to be pushably downwardly eccentrically at four places on the region.

터치패드(150)는 터치패드(150)의 중앙에 구비되어, 터치동작 및 푸쉬동작이 동시에 입력되면 실행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1입력부(151)와, 터치패드(150)의 상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해당 영역 선택으로 인식하는 제2입력부(152)와, 터치패드(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메뉴실행 또는 이전메뉴로 돌아가기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3입력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ad 15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pad 150 and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51 for recognizing a touch operation and a push operation as an execution command, A second input unit 152 for recognizing the touch operation as a region selection when the touch operation is input, a third input unit 152 provided below the touch pad 150 for recognizing the menu operation or returning to the previous menu when the touch operation is input, (Not shown).

여기서, 제1입력부(151)는 사용자가 어느 위치를 터치하더라도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입력부(151) 사용자가 입력하는 필기체(문자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동작 및 푸쉬동작이 동시에 입력되면 컴퓨터의 엔터키(Enter Key)와 같은 동작으로 해당 메뉴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Here, the first input unit 151 can sense the touch pos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handwriting (character type) input by the user of the first input unit 151. In addition, if the touch operation and the push operation are simultaneously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same operation as the enter key of the computer can be recognized a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menu.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입력부(151)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1입력부 4개소의 모서리부분에 소정의 영역 표식(A)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입력부(151)의 외측에는 터치패드(150)의 푸쉬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식(B)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입력부(151)를 중심으로 제1입력부(151)의 상/하/좌/우측 4개소에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표식(B)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area mark A is displayed at the corner of the first input unit 4 in order to distinguish the first input unit 151. In addition, a direction indicator B indicating the push direction of the touch pad 150 is preferably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51.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 directional mark B indicating directions is displayed at four position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input unit 151 with the first input unit 151 as a center.

제2입력부(152)는 사용자가 터치동작을 통하여 메뉴 또는 라디오 주파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cond input unit 152 can set a menu, a radio frequency, or the like through a touch operation by the us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입력부(152)는 제1입력부(151)의 상측에 구비되고, 라디오 주파수를 입력하거나, 특정 메뉴를 저장하여 해당 메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단축키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제2입력부(152)를 구분하기 위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숫자 표식(C)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input unit 15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51 and is used as a shortcut key for inputting a radio frequency or storing a specific menu,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numeric mark C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second input unit 152.

제3입력부(153)는 제1입력부(15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동작을 입력하면 메뉴실행 또는 이전메뉴로 돌아가기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third input unit 15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51. When the user inputs the touch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input unit 153 can recognize the menu operation or return to the previous menu.

보다 상세하게는, 제3입력부(153)의 좌측에는 메뉴(MENU)버튼(D)이 표시되고, 제3입력부(153)의 우측에는 이전메뉴로 돌아가기(BACK)버튼(E)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 MENU button D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input unit 153 and a BACK button 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input unit 153 .

터치패드(150)의 가운데 1개소를 사용자가 터치함과 동시에 직하방으로 푸쉬하면, 인쇄회로기판 조립체(160)의 상면 가운데 구비된 택트 스위치(161)를 접점시킨다. 택트 스위치(161)는 AVN 시스템의 다양한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스위칭 방법으로 채택될 수 있다.When the user touches the center of the touch pad 150 and pushes the touch pad 150 directly downward, the tact switch 161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160 is contacted. The tact switch 161 can be adopted as a switching method for executing various menus of the AVN system.

터치패드(150)는 상부 바디부(110)와 하부 바디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홀더부(130)를 관통하는 푸셔(170)를 매개로 택트 스위치(161)를 접점시킬 수 있다.The touch pad 150 may contact the tact switch 161 via the pusher 170 passing through the holder 130 provided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

여기서, 푸셔(170)는 상부 바디부(110)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는 지지판부(171)와, 지지판부(171)의 하면 중앙에서 택트 스위치(161)로 직하방 연장되는 접점로드(172)와, 지지판부(171)의 테두리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로드(1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sher 170 includes a support plate portion 171 for supporting the bottom center of the upper body portion 110 and a contact rod 172 for directly extending the tactile switch 161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171, And a plurality of guide rods 17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171.

지지판부(171)는, 상부 바디부(110)의 하면 전부가 아니라 가운데 부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패드(150)에 직하방으로 푸쉬력을 가할 때 균일한 푸쉬력이 택트 스위치(161)로 전달되도록 사용자의 푸쉬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plate portion 171 is provided to support a part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110 rather than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110. When the user applies a pushing force directly below the touch pad 150, And to distribute the push force of the user so that the push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usher 161.

접점 로드(172)는 홀더부(130)에 직하방으로 통공된 가이드홀(131)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지지판부(171)의 하면 가운데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택트 스위치(161)의 상단과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패드(150)에 직하방으로 푸쉬력을 가할 때 택트 스위치(161)를 접점시키는 역할을한다.The contact rod 172 extends through the guide hole 131 penetrated through the holder 130 and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hole 131 and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71 to the upper end of the tact switch 161 And serves to contact the tact switch 161 when the user applies a pushing force directly below the touch pad 150. [

복수의 가이드 로드(173)는, 지지판부(171)의 하면 테두리 부위에서 하방으로 복수개가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접점 로드(172)가 택트 스위치(161)를 가압할 때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가이드 로드(173)는, 지지판부(171)의 중심으로 90° 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uide rods 173 ar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guide rods 173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171 to prevent the contact rods 172 from eccentric to one side when pressing the tact switch 161 . The plurality of guide rods 173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17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0 degrees.

한편, 홀더부(130)와 터치패드(150)사이에는,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작동된 터치패드(15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A spring member 132 is provided between the holder 130 and the touch pad 15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ouch pad 150, which is eccentrically downwardly pushed down from four places of the edge, May be provided.

여기서, 스프링 부재(132)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위는 홀더부(13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고, 양단부가 상부 바디부(110)의 상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4, the middle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132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130, and has a V-shaped portion (not shown) so that both ends thereof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110,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as a plate spring bent in a shape.

한편, 상부 바디부(110)의 하부에는, 홀더부(130)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면서 터치패드(150)의 직하방 푸쉬 작동 및 편심 푸쉬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114)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114 ar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10 to enable the pushing operation and the eccentric pushing operation of the touch pad 150 in contact with or disengagement from the holder 130. [ .

도 5를 참조하면, 힌지부(114)가 형성된 상부 바디부(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홀더부(130)에는 힌지부(114)가 관통하여 하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연통되는 힌지 회동 홀(133)이 형성된다.5, the holder 1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part 110 where the hinge part 114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hinge pivot hol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hinge part 114 so as to protrude into the lower internal space, (133) is formed.

여기서, 힌지부(114)의 하단은 대략 상측으로 걸림되는 걸림단(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단은 홀더부(130)의 하면에 해당하는 힌지 회동 홀(133)의 단부에 걸림되어 접촉되거나 그 접촉이 해제되는 동작으로 터치패드(150)의 편심 푸쉬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hinge portion 114 is formed in a hook shape having an engaging end (not shown) which is hooked upward, and the engaging e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inge pivot hole 133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130 So that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of the touch pad 150 is enabled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touch pad 150 is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r the contact is released.

힌지 회동 홀(133)의 상부 외측 부위는, 터치패드(150)를 상부에서 홀더부(130)의 힌지 회동 홀(133)을 통하여 결합시킬 때,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부(114)가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34)이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rotation hole 133 is engaged with the hinge rotation hole 133 of the holder 13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pad 150. The hinge portion 114, An inclined surface 134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이와 같은 힌지부(114)는, 터치패드(150)가 직하방 푸쉬 작동될 때 다수개의 힌지부(114) 전부가 홀더부(130)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터치패드(150)가 편심 푸쉬 작동될 때 편심 측에 위치한 힌지부(114)만이 홀더부(130)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편심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When the touch pad 150 is directly pushed down, the hinge portion 114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holder 130 and the touch pad 150 is pushed by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Only the hinge portion 114 positioned on the eccentric side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holder portion 130, thereby enabling eccentric operation.

또한, 힌지부(114)는, 터치패드(150)가 직하방 푸쉬 작동되거나 편심 푸쉬 작동된 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패드(15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외력이 제거되면 다수개의 힌지부(114) 전부가 스프링 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홀더부(130)에 접촉되어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ng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d 150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the user pushes the touch pad 150 downward or eccentrically pushes the finger, the hinge part 114 rotates the plurality of hinge parts 114, So that the entirety of the spring member 132 abuts against the holder 130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132.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스위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조작 및 편심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하여 제품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키고, 터치 입력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d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 downward push operation and an eccentric push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ibility quality and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touch input.

또한, 터치패드에 직하방 푸쉬 조작 및 편심 푸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나의 터치패드를 입력 방식에 따라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 조립체에 회전노브, 복수의 버튼부, 터치패드 등 다양한 방식의 명령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ush-down operation and an eccentric push operation directly on the touch pad, and it is possible to input various commands by distinguishing one touch pad according to an input method, Buttons, and a touch pa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스위치 조립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ulti-switch assembly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멀티 스위치 조립체
110 : 상부 바디부 120 : 하부 바디부
130 : 홀더부 140 : 조작부
150 : 터치패드 160 :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170 : 푸셔
<Detailed Description of Main Drawings>
100: Multi-switch assembly
110: upper body part 120: lower body part
130: holder part 140:
150: touch pad 160: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170: pusher

Claims (11)

상부면에 사각형으로 개구된 제1설치부 및 제2설치부가 형성된 상부 바디부와;
상기 상부 바디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부와;
상기 제1설치부에 구비되되,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노브와, 상기 회전노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부와;
상기 제2설치부에 구비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가운데 1개소에서 직하방으로 푸쉬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가운데 1개소를 기준으로 90도 방향으로 이격되는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가능하게 베치된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An upper body part having a first mounting part and a second mounting part opened in a squar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form an inner space;
A control knob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rotatably arranged; and a contro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utton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knob so as to be pushed;
The touch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detects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pushes the first mounting portion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multi-switch assembly includes a push pad that is pushably pivoted by the push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터치패드의 중앙에 구비되어, 터치동작 및 푸쉬동작이 동시에 입력되면 실행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터치패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해당 영역 선택으로 인식하는 제2입력부와;
상기 터치패드의 하측에 구비되어, 터치동작이 입력되면 메뉴실행 또는 이전메뉴로 돌아가기 명령으로 인식하는 제3입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pad includes:
A first input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pad for recognizing a touch operation and a push operation simultaneously as an execution command;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on the touch pad and recognizing a touch operation when the touch operation is input;
And a third input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touch pad and recognizing a menu operation or a return command to a previous menu when a touch operation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필기체를 인식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input unit recognizes a handwriting input by a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는, 사용자가 터치동작을 통하여 메뉴 또는 라디오 주파수 등을 설정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input unit sets a menu or a radio frequency or the like through a touch operation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택트 스위치 및 LED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드는,
푸쉬 동작으로 상기 상부 바디부와 상기 하부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는 홀더부를 관통하는 푸셔를 매개로 상기 택트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tact switch and an 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touch pad includes:
A multi-switch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a pusher that passes through a hold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by a pushing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상부 바디부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하면 중앙에서 상기 택트 스위치로 직하방 연장되는 접점로드와;
상기 지지판부의 테두리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usher
A support plate portion for supporting a center of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A contact rod extending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to the tact switch;
And a plurality of guide rods exten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와 상기 터치패드 사이에는, 상기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서 편심되게 하방으로 푸쉬 작동된 상기 터치패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가 구비된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멀티 스위치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pr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touch pa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ouch pad, which is eccentrically downwardly pushed down from four positions of the rim, downward to an original position, Switch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하부에는, 상기 홀더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면서 상기 터치패드의 직하방 푸쉬 작동 및 편심 푸쉬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가 다수개 구비된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hinges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uch pad to enable the push-down operation and the eccentric push operation of the touch pad when the touch pad is in contact with or disengaged from the hol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작동될 때 다수개의 힌지부 전부가 상기 홀더부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멀티 푸쉬 노브가 편심 푸쉬 작동될 때 편심 측에 위치한 힌지부만이 상기 홀더부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스위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inge unit includes:
When the touch pad is directly pushed downward, all of the plurality of hinge parts are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holder part,
Only the hinge portion located on the eccentric side when the multi-push knob is operated by the eccentric push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hold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터치패드가 직하방 푸쉬 작동되거나 편심 푸쉬 작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수개의 힌지부 전부가 상기 홀더부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inge unit includes:
Wherein the plurality of hinge parts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hold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the touch pad is pushed down or eccentrically oper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노브 홀더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상기 테두리 부위의 4개소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홀더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절곡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비된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r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nob holder and is provided at four positions of the rim portion and has both ends bent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Switch assembly.
KR1020160098855A 2016-08-03 2016-08-03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KR101855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55A KR101855445B1 (en) 2016-08-03 2016-08-03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55A KR101855445B1 (en) 2016-08-03 2016-08-03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91A true KR20180015391A (en) 2018-02-13
KR101855445B1 KR101855445B1 (en) 2018-06-08

Family

ID=6123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55A KR101855445B1 (en) 2016-08-03 2016-08-03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69B1 (en) * 2018-03-28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93B1 (en)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Automotive metal rotary swi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325A (en) * 2003-04-10 2004-11-04 Tokai Rika Co Ltd Controller
KR20090054534A (en) * 2007-11-27 2009-06-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Multi-switch system for vehicle
JP2011096632A (en) * 2009-09-30 2011-05-12 Panasonic Corp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325A (en) * 2003-04-10 2004-11-04 Tokai Rika Co Ltd Controller
KR20090054534A (en) * 2007-11-27 2009-06-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Multi-switch system for vehicle
JP2011096632A (en) * 2009-09-30 2011-05-12 Panasonic Corp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69B1 (en) * 2018-03-28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45B1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1569B2 (en) Operating too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805104B1 (en)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US9346356B2 (en) Operation input device for vehicle
US20170351422A1 (en) Transportation means,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overlapping the display of display contents over two display devices
KR20090021840A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0166868B2 (en) 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on support system
US20080238874A1 (en) Operation device
JP2013025422A (en) Input device of computer and portable computer
JP2013222214A (en) Display opera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JP6319182B2 (en) Operating device
KR101915661B1 (en)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KR101855445B1 (en) Multi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 of Vehicles
KR101826552B1 (en) Intecrated controller system for vehicle
JP2021054391A (en) Operating device
US20160170507A1 (en) Touch pad module, 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input system
JP2017208185A (en) Input device
JP6329932B2 (en) Vehicle operation system
JP6610452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477123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1798758B2 (en) Steering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system
US20140267054A1 (en) Pivotable input pad
JP2000235453A (en) Position data output device
JP6018855B2 (en) Steering switch, steering wheel
JP5879500B2 (en) Multistage switch and vehicl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CN110870204B (e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ith the aid of an operating device,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