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806A -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806A
KR20180014806A KR1020180012138A KR20180012138A KR20180014806A KR 20180014806 A KR20180014806 A KR 20180014806A KR 1020180012138 A KR1020180012138 A KR 1020180012138A KR 20180012138 A KR20180012138 A KR 20180012138A KR 20180014806 A KR20180014806 A KR 2018001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omer
glycidyl
silicone elastomer
group
thermoplastic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진택
Original Assignee
황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진택 filed Critical 황진택
Priority to KR102018001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806A/en
Publication of KR2018001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80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6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of 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having low hardness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and having smooth surface properties without surface stickiness; and to a preparation method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Description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본 발명은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having a low hardness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and smooth surface characteristics ≪ / RTI >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는 가소성과 고무상 특성을 둘 다 갖는 중합체 재료이다. 이들은 탄성중합체성과 기계적 특성을 갖지만, 기존의 열경화성 고무와는 달리 승온에서 재가공될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이러한 재가공성으로 인해 구성 부품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자투리 조각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가교결합된 고무에 비해 크게 유리하다.Thermoplastic elastomers (TPE) are polymeric materials having both plastic and rubbery properties. They have elastomeric and mechanical properties, but can be reworked at elevated temperatures unlike conventional thermoset rubbers. Thermoplastic elastomers are greatly advantageous over chemically cross-linked rubbers because they enable recycling of components due to such reworkability, which greatly reduces scuffing.

일반적으로, 2가지 주요한 유형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공지되어 있다.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주변 온도보다 높은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경질' 플라스틱 세그먼트를 함유할 뿐만 아니라 실온보다 훨씬 낮은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연질' 중합체 세그먼트도 함유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경질 세그먼트는 집합하여 상이한 마이크로상을 형성하고 연질 상에 대한 물리적 가교결합으로서 작용하여, 실온에서 고무상 특성을 부여한다. 승온에서, 경질 세그먼트는 용융되거나 연화되어 공중합체가 유동하며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같이 가공될 수 있다. In general, two major types of thermoplastic elastomers are known. The block copolymer thermoplastic elastomer not only contains a 'hard' plastic segment having a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but also a 'soft' polymer segment having a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uch lower than room temperature. In such a system, the hard segments aggregate to form a different microphase and act as a physical bridge to the soft phase, imparting rubber-like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At elevated temperatures, the hard segment is melted or softened to flow the copolymer and can be processed like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resin.

또는, 단순한 혼합물(물리적 혼합물)로도 지칭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탄성중합체 성분을 열가소성 수지와 균질하게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성분이 혼합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가교 결합되는 경우에도, 당해 분야에서 열가소성 가황물(Thermoplastic vulcanizate, TPV)로서 공지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가 생성된다. 열가소성 가황물의 가교결합된 탄성중합체상은 승온에서 불용성이며 비유동성이므로, 열가소성 가황물은 일반적으로 내오일성 및 내용매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혼합물에 비해 영구압축변형률이 감소된다.Alternatively, a thermoplastic elastomer, also referred to as a simple mixture (physical mixture), can be obtained by homogeneously mixing the elastomeric component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Even when the elastomer component is crosslinked during the mixing process, a thermoplastic elastomer known as 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is produced in the art. Since the crosslinked elastomeric phase of the thermoplastic vulcanizate is insoluble and inflexible at elevated temperatures, thermoplastic vulcanizates generally have improved oil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as well as reduced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compared to simple mixtures.

전형적으로, 열가소성 가황물은 동적 가황으로 공지된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이때 탄성중합체와 열가소성 매트릭스가 혼합되고 탄성중합체는 가교결합제 및/또는 촉매의 조력하에 혼합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경화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가황물의 다수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가교결합된 탄성중합체 성분이 실리콘 중합체인 반면 열가소성 성분이 실리콘계가 아닌 유기 중합체일 수 있다.Typically, the thermoplastic vulcanizate is formed by a process known as dynamic vulcanization wherein the elastomer and the thermoplastic matrix are mixed and the elastomer is cured during the mixing process under the aid of a crosslinking agent and / or catalyst. Many of these thermoplastic vulcanizates are known in the art, some of which may be organic polymers in which the crosslinked elastomer component is a silicone polymer while the thermoplastic component is not a silicone.

한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는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하며, 내유성,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분야 및 자동차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우레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와 함께 엔지니어링 계통의 부품에 사용되는 탄성체이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는 보통 폴리에테르 에스테르계의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이 대표적이며 주로 중합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t low temperatures, and is excellent in oi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the thermoplastic urethane elastomer and the 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ic / It is an elastic body used for parts of the system. As such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a polyetherester-based block copolymer resin composition is typical and is mainly produced by a polymerization process.

이러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오래전부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이하 PBT)를 하드세그먼트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이하 PTMEG)의 폴리옥시알킬렌(Polyoxy alkylene)류를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실용화 되고 있다.Such a polyetherester elastomer has long been used as a hard segmen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s a hard segment, a polyoxyalkylene (PTMEG) polyoxyalkylene series as a hard segment, It has been known that it is manufactured as a segment and has been practically used.

일반적으로 저경도를 가지는 고분자 소재는 일상생활에서 손과 자주 접촉하는 물건,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밴드, 이어폰, 또는 리모콘과 같은 전자 용품 및 스포츠와 레저 용품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polymer material having low hardness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good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smart band, an earphone, or a remote control, and sports and leisure goods.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저경도화를 위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포함된 저경도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duce a low-hardness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 phthalate plasticizer and a non-phthalate plasticizer in a polyetherester elastomer for lowering the hardness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4769호에서는 낮은 경도를 가지는 엘라스토머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환경 유해성이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였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0-0060104호에서는 엘라스토머와 가소제를 혼합 후 저경도 재료를 만들려고 하였으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경우 일반 가소제와 혼합 후, 성형품을 사출하였을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성형품 외부에 가소제가 표출되는 현상이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0-007680호와 제1997-0059209호에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가소제를 이용하였으나, 소재의 유해성이 있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4-0034769 discloses an elastomer having low hardness. However, a phthalate plasticizer having environmental haze is u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60104, a mixture of an elastomer and a plasticizer is mixed with a low-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when a molded product is injected after mixing with a general plasticizer, there is a phenomenon that plasticiz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ed produc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2000-007680 and 1997-0059209, polyvinyl chloride and a plasticizer were used, but the materials were harmful.

상기와 같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기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나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같은 엔지니어링 엘라스토머에 속하여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경도를 구현할 수 없어 적용 용도에 제한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belongs to an engineering elastomer such as a conventional thermoplastic polyurethane or a thermoplastic polyamide ester, and although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t can not realize a low hardness and thus has a limited application.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라디칼 개시제, 가교조제 및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와 실리콘 엘라스토머로부터 동적 가황공정으로 제조되는 재가공 가능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종래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보다 기계적 물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저경도를 가지며, 열적 특성이 우수하다.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scovere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reworkabl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epared from a polyetherester elastomer and a silicone elastomer by a dynamic vulcanization process using a radical initiator, a crosslinking aid and a compatibilizer, without using a plasticizer.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such a production method has lower hardness and excellent thermal properties while minimizing deterio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than conventional polyether ester elastomers.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476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34769 한국공개특허 제2000-006010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60104 한국공개특허 제2000-00768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7680 한국공개특허 제1997-00592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59209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hich has low hardness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and has smooth surface characteristics without surface stickiness A process for producing the elastomer and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the proce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i) ASTM D926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가소화도가 30 이상이며, 분자내 2개 이상의 알케닐 그룹을 갖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및 강화 충전제(A")가 포함된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상용화제(D)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i) 단계의 혼합물에 라디칼 개시제(E)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의 혼합물에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를 가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 a diorganosiloxane rubber having a degree of plasticity of 30 or more as measured by ASTM D926 measurement method and having at least two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A), a silicone elastomer resin (B), a crosslinking auxiliary (C), and an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a glycidyl ester polymer and an organofunctional (Ii) mixing a radical initiator (E) with the mixture of step (i), and (iii) mixing the (ii) at least one compatibiliz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Vulcanizing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n a mixture of at least one diorganosiloxane rubber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A)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화충전제(A")가 5 내지 20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e base (A)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filler (A ")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i) 단계는 실리콘 베이스(A) 2 내지 60 중량%,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35 내지 95 중량%, 가교조제(C) 0.5 내지 10 중량% 및 상용화제(D) 0.5 내지 10 중량%를 용융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 comprises 2 to 60 wt% of the silicone base (A), 35 to 95 w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0.5 to 10 wt% And 0.5 to 10% by weight of the compatibilizing agent (D) are melted and mix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ii) 단계는 상기 (i) 단계의 혼합물 총중량에 대하여, 라디칼 개시제(E) 0.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i) may be performed by mixing 0.1 to 5% by weight of the radical initiator (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of the step (i).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의 디오가노폴리실록산(A')은 디메틸실록산 단위와 메틸비닐실록산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와 메틸헥세닐실록산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고무이고, 상기 실리콘 베이스의 강화 충전제(A")는 열분해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based diorganopolysiloxane (A ') is a copolymer comprising a dimethylsiloxane unit and a methylvinylsiloxane unit or a copolymer consisting of a dimethylsiloxane unit and a methylhexenylsiloxane unit , And the silicon-based reinforcing filler (A ") is pyrolytic silic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를 이루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에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ester forming derivative of the dicarboxylic acid or 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hard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 , 6-dicarboxylic acid, diethyl terephthalate, and dimethyl terephtha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를 이루는 디올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디올, 1,4-부탄디올,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 메틸렌 글리콜, 헵탄 메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diol constituting the hard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1,3-propylene diol, 1,4-butanediol, Hexamethylene glycol, heptane methylene glycol, and 1,4-cyclohexane dimethan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옥타메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polyetherester elastomeric resin wherein the polyalkylene oxide which constitutes the soft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xyethylene glycol,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and poly And oxyoxymethyleneglycol. ≪ Desc / Clms Page number 7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의 함량이 20 ~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polyalkylene oxide (polyalkylene oxide) constituting the soft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20 to 80% by weight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교조제(C)는 TAIC(Trially Isocyanurate), TAC(Trially cyanurate), TMPTMA(TrimethylopropaneTrimeth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ZDA(Zinc diacrylate) 및 ZDMA(Zinc dimethacrylat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IC (Trially Isocyanurate), TAC (Triallyl cyanurate), TMPTMA (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TMP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ZDA (Zinc diacrylat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에폭시 지수(Epoxy Index)가 0.35 Eq/kg 내지 5.5 Eq/kg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has an epoxy index of 0.35 Eq / kg to 5.5 Eq / k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y-functional polysiloxan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화학식 3](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R은 알데히드기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 200의 정수이다.In the above formulas (3) and (4), R is an aldehyde group, and n and m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10 to 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제1 반복 단위와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제2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glycidyl ester monomer and a second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Olefin monomer can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ycidyl ester polym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ycidyl ester monomer is glycidyl acrylate or glycidyl methacry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올레핀-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efin-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 an olefin-vinyl acetate-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 and an olefin-glycidyl ) Acrylate-alkyl (meth) acrylate polyme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랜덤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랜덤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characterized by being a random ethylene / acrylic acid ester / 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or random ethylene / acrylic acid ester / glycidyl methacrylate terpolymer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과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s a homopolymer of an olefin and an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 a copolymer of an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 and a terpolymer of an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는 카복실산, 카복실산 염, 아미드, 이미드, 에스테르, 무수물, 에폭시, 알콕시 및 옥사졸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관능성 그룹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 comprises at least one orga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lic acid, carboxylic acid salt, amide, imide, ester, anhydride, epoxy, alkoxy and oxazoline Containing ethylenic unsaturated hydrocarb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EPDM 고무 및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SEBS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ethylene-co-vinyl acetate) grafted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grafted maleic anhydride, polyethylene-polypropylene grafted male Maleic anhydride grafted EPDM rubber, maleic anhydride grafted SEBS copolym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E)는 유기 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cal initiator (E) is an organic peroxid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자동차, 전자용품, 전기, 전선, 가전기기, 의료, 스포츠 등의 다양한 분야의 부품과 부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having a low hardness and having a smooth surface property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It can be economically manufactured and can be usefully applied to parts and members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mobiles, electronic appliances, electric power, electric wires, home appliances, medical, sports, and the like.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general, the nomenclature used herein is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i) ASTM D926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가소화도가 30 이상이며, 분자내 2개 이상의 알케닐 그룹을 갖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및 강화 충전제(A")가 포함된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상용화제(D)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i) 단계의 혼합물에 라디칼 개시제(E)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의 혼합물에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를 가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 a diorganosiloxane rubber (A ') having a degree of plasticity of 30 or more as measured by the ASTM D926 measurement method and having at least two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and a reinforcing filler (A "), (A),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 crosslinking assistant (C), and an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a glycidyl ester polymer, and an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i) mixing the radical initiator (E) with the mixture of step (i), and (iii) mixing the diorganosiloxane rubber ( A ')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교조제 및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이를 라디칼 개시제를 적용하여 동적 가황시킴으로써,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homogeneously mixing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and a silicone elastomer using a crosslinking assistant and a compatibilizing agent without using a plasticizer, and applying a radical initiator thereto By dynamic vulcanization,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having low hardness and excellent surface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and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surface stickiness can be economically produc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는 먼저, ASTM D926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가소화도 30 이상이며, 분자내 2개 이상의 알케닐 그룹을 갖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및 강화 충전제(A")가 포함된 실리콘 베이스(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B); 가교조제(C); 및 상용화제(D)를 150 ~ 230 ℃에서 10 ~ 60분 동안 용융 혼합한다[(i) 단계].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first preparing a diorganosiloxane rubber (A ') having a degree of plasticity of 30 or more as measured by the ASTM D926 measurement method and having at least two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and a reinforcing filler (A (B);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and the compatibilizer (D) are melted and mixed at 150 to 230 ° C for 10 to 60 minutes [(i) ].

이때, 상기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상용화제(D)의 용융 혼합 조건이 150 ℃ 미만이거나, 또는 10분 미만으로 혼합시킬 경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용융되지 않아 실리콘 베이스와의 상용성이 낮아 표면특성이 떨어지고,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230 ℃를 초과하거나, 60분을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열분해되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melt mixing conditions of the silicone base (A),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the crosslinking aid (C) and the compatibilizing agent (D) are less than 150 ° C or less than 10 minutes, The ester elastomer is not melted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silicone base is low, so that the surface properties are deteriorated and the properties are deteriorated. When the temperature is more than 230 ° C. or more than 60 minutes,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May be thermally decomposed to deteriorate physical properties.

상기 실리콘 베이스(A)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와 강화용 충전제(A")의 균질한 혼합물이다.The silicone base (A) is a homogeneous mixture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and the reinforcing filler (A ").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는 분자 내의 탄소수가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개의 알케닐 그룹을 함유하는, 조도가 높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알케닐 그룹으로는 비닐, 알릴,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데세닐 등으로 특정하게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알케닐 그룹이 비닐 또는 헥세닐일 수 있다.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may be a high-gloss polymer or copolymer having two or more, preferably two to twenty,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The alkenyl group is specifically exemplified by vinyl, allyl, butenyl, pentenyl, hexenyl, decenyl, etc., and preferably the alkenyl group may be vinyl or hexenyl.

또한,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의 알케닐 작용기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는 분자쇄 말단, 분자쇄 중의 말단 이외의 위치 또는 이들 두 위치 모두에서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알케닐 그룹이 디오가노실록산 고무 중에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가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alkenyl functional group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s not critical, and it may be bonded at the molecular chain terminal,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terminal end in the molecular chain, or at both positions, The presence in the diorganosiloxane rubber in an amount of 0.001 to 3% by weight, preferably 0.01 to 1% by weight, .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중의 잔여(즉, 비알케닐) 규소 결합된 유기 그룹은 지방족 불포화도를 함유하지 않는 탄화수소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들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그룹(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및 헥실), 사이클로알킬 그룹(예: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 그룹(예: 페닐, 톨릴 및 크실릴),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르알킬 그룹(예: 벤질 및 펜에틸)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할로겐화 알킬 그룹(예: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및 클로로메틸)에 의해 특정하게 예시된다. 물론, 이들 그룹은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가 실온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또는 융점)를 가져서 당해 고무가 탄성 중합체성이 되도록 선택됨을 이해할 것이다. 성분(A')에서 비불포화 규소 결합된 유기 그룹의 50 mo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을 메틸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idual (i.e., non-alkenyl) silicon-bonded organic groups in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hydrocarbon or halogenated hydrocarbon groups that do not contain aliphatic unsaturation. These include alkyl groups of 1 to 20 carbon atoms such as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and hexyl, cycloalkyl groups such as cyclohexyl and cycloheptyl, aryl groups of 6 to 12 carbon atoms, And xylyl), aralkyl groups having 7 to 20 carbon atoms (e.g., benzyl and phenethyl), and halogenated alkyl group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e.g., 3,3,3-trifluoropropyl and chloromethyl) . Of course, these groups will understand that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has a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than room temperature, so that the rubber is selected to be elastomeric.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50 mol%, more preferably at least 90 mol%, of the non-unsaturated silicon-bonded organic groups in component (A ') consist of methyl.

따라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는 이러한 유기 그룹을 함유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메틸비닐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메틸헥세닐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 디메틸실록시 단위 및 페닐메틸실록시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 디메틸실록시 단위 및 디페닐실록시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 및 디메틸실록시 단위, 디페닐실록시 단위 및 페닐메틸실록시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가 포함되며,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메틸비닐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 디메틸실록산 단위 및 메틸헥세닐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 구조는 중요하지 않으며 직쇄 및 부분 분지된 직쇄가 예시될 수 있으며, 선형 구조가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may be a homopolymer or a copolymer containing such an organic group. Examples thereof include rubbers comprising dimethylsiloxane units and methylvinylsiloxane units; A rubber comprising a dimethylsiloxane unit and a methylhexenylsiloxane unit; A rubber comprising a dimethylsiloxy unit and a phenylmethylsiloxy unit; A rubber comprising a dimethylsiloxy unit and a diphenylsiloxy unit; And rubbers comprising dimethylsiloxy units, diphenylsiloxy units, and phenylmethylsiloxy units, including a dimethylsiloxane unit and a methylvinylsiloxane unit; A rubber comprising a dimethylsiloxane unit and a methylhexenylsiloxane unit is preferred. In addition, the molecular structure is not critical, and linear and partially branched straight chains can be exemplified, and a linear structure is preferred.

이러한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의 특정 예는, 트리메틸실록시-말단차단된 디메틸실록산-메틸헥세닐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헥세닐실록시-말단차단된 디메틸실록산-메틸헥세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말단차단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말단차단된 메틸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차단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차단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차단된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비닐실록시-말단차단된 메틸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말단 그룹이 디메틸하이드록시실록시인 유사한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저온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로는 메틸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및 디페닐실록산-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특히 디메틸실록산 단위의 몰 함량이 약 93 mol%인 것들이 포함된다.Specific examples of such diorganosiloxane rubbers (A ') include trimethylsiloxy-terminated dimethylsiloxane-methylhexenylsiloxane copolymers; Dimethylhexenylsiloxy-endblocked dimethylsiloxane-methylhexenylsiloxane copolymer; Trimethylsiloxy-terminated 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 Trimethylsiloxy-terminated methylphenylsiloxane-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 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dimethylpolysiloxanes; 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 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methylphenyl polysiloxanes; Dimethylvinylsiloxy-terminated methylphenylsiloxane-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 And similar copolymers in which one or more terminal groups are dimethylhydroxy siloxane. Preferred diorganosiloxane rubbers (A ') for use at low temperatures include methylphenylsiloxane-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s and diphenylsiloxane-dimethylsiloxane-methylvinylsiloxane copolymers, especially those having a molar content of about 93 mol %.

또한,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는 둘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는 분자의 각 말단이 비닐 그룹으로 말단화된 폴리디메틸실록산 단독중합체이거나, 주쇄를 따라 하나 이상의 비닐 그룹도 함유하는 이러한 단독중합체이다.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may also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rganopolysiloxanes. More preferably,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s a homopolymer of polydimethylsiloxane wherein each end of the molecule is terminated with a vinyl group, or a homo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vinyl group along the main chain.

한편,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는 ASTM(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시험 방법 D926에 의하여 측정된 가소화도가 30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소화도는 부피가 2 cm3이고, 높이가 10 mm인 원통형 시료에 25 ℃에서 3분 동안 49 Newton의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이 시료의 두께(mm) × 100으로 정의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may have a degree of plasticity of 30 or more as measured by ASTM (Tested by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method D926. The degree of plasticity is defined as the thickness (mm) × 100 of the specimen after a compressive load of 49 Newtons is applied to the cylindrical specimen having a volume of 2 cm 3 and a height of 10 mm at 25 ° C for 3 minutes.

만일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의 가소화도가 30 미만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동적 가황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불량한 균일성을 나타내어, 높은 실리콘 함량(예를 들면, 50 내지 70 중량%)에서 실질적으로 실리콘만으로 이루어진 영역과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이 존재하고 조성물이 약하고 부서지기 쉽다. 이러한 고무는 선행기술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유체보다 점성이 훨씬 높다. 예를 들면, 전술된 미국등록특허 제4,500,688호에서 시험한 실리콘은 점도 상한치가 100,000 cS(0.1 m2/s)이며, 이러한 저점도 유체의 가소화도가 ASTM D926에 의해서는 쉽게 측정되지 않지만, 가소화도 약 24에 상응하는 것으로 측정된다. If the degree of plasticization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s less than 30,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the dynamic vulcan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poor uniformity and has a high silicone content (for example, 50 to 70 % By weight), there is a region consisting substantially of only silicon and a region substantially consisting of only thermoplastic resin, and the composition is fragile and fragile. These rubbers are much more viscous than the silicone fluids used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the silicone tested in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No. 4,500,688 has a viscosity upper limit of 100,000 cS (0.1 m 2 / s), and the plasticity of such low viscosity fluids is not easily measured by ASTM D926, It is determined that the degree of oxidation corresponds to about 24.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의 가소성의 절대 상한은 없지만, 통상의 혼합 장치에서의 가공성을 실제로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이 값을 한정한다면, 가소화도는 100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5일 수 있다.Although there is no absolute upper limit of the plasticity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f the value is generally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ability in a conventional mixing apparatus, the degree of plasticization is preferably 100 to 200, and most preferably 120 to 185 Lt; / RTI >

조도가 높은 불포화 그룹 함유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의 제조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원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알케닐 관능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은 유사한 알케닐 관능성 종의 존재하에 사이클릭 및/또는 선형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의 염기-촉매화 평형을 포함한다.Since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unsaturated group-containing diorganosiloxane rubber (A ') having high illuminance is well known, a specific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example, conventional methods for preparing alkenyl functional polymers include base-catalyzed equilibrium of cyclic and / or linear diorganopolysiloxanes in the presence of similar alkenyl functional species.

한편, 강화 충전제(A")는 상기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미분 충전제로서, 열분해 실리카, 침강 실리카, 실리카 에어로겔, 비표면적이 50 m2/g 이상인 이산화티탄과 같은 미분된 열안정성 무기물로부터 선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filler (A ") is a finely divided filler known to strengthen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such as pyrolytic silica, precipitated silica, silica airgel, titanium dioxide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m 2 / And are selected from finely divided thermally stable minerals.

특히, 열분해 실리카는 450 m2/g에 달할 수 있는 높은 비표면적을 토대로 바람직한 강화용 충전재로, 비표면적이 50 내지 400 m2/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80 m2/g인 열분해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실리콘 고무 분야에서 전형적으로 수행되는 바와 같이 표면이 소수성이 되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는 실란올 그룹 또는 실란올 그룹의 가수분해 가능한 전구체를 함유하는 액상 유기 규소 화합물과 실리카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Particularly, pyrolytic silica is a preferable reinforcing filler based on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capable of reaching 450 m 2 / g, and pyrolytic silica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to 400 m 2 / g, preferably 200 to 380 m 2 / g, , And the surface is treated to be hydrophobic, as is typically done in the silicone rubber field. This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reacting silica with a liquid organosilicon compound containing a hydrolyzable precursor of silanol groups or silanol groups.

실리콘 고무 분야에서 항크리핑제(anti-creeping agent) 또는 가소화제라고도 하는 충전제 처리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는 저분자량 액상 하이드록시- 또는 알콕시-말단화된 폴리디오가노실록산, 헥사오가노디실록산, 사이클로디메틸실라잔, 헥사오가노디실라잔 등과 같은 성분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 화합물은 평균 중합도(DP)가 2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이고, 실리카 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5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또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가 바람직한 비닐 관능성 또는 헥세닐 관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경우, 이러한 처리제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Compounds used as filler treating agents, also known as anti-creeping agents or plasticizers in the silicone rubber field include low molecular weight liquid hydroxy- or alkoxy-terminated polydiorganosiloxanes, hexaorganodisiloxane, cyclodimethyl Silazane, hexaorganodisilazane, and the like. The treating compoun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2 to about 100, preferably about 2 to about 10, and is used in an amount of about 5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a filler. In addition, when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s the preferred vinyl functional or hexenyl 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 such a treating agent is preferably a hydroxy-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상기 강화 충전제(A")는 디오가노폴리실록산 고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부로 디오가노폴리실록산 고무(A')에 균질하게 혼합하여 실리콘 베이스(A)를 제조한다. 만일, 상기 강화 충전제(A")가 디오가노폴리실록산 고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강도 증대 및 열적 특성 향상 효과가 없고, 2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화 충전제의 과다로 영구압축변형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filler (A ") is used in an amount of 5 to 2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5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organopolysiloxane rubber (A '). (A ') are mixed homogeneously to prepare a silicone base A. If the reinforcing filler (A' ') is mixed in an amount of less than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organopolysiloxane rubber (A') , There is no effect of increasing the strength and improving the thermal properties, and if it exceeds 200 parts by weight, the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of the reinforcing filler may be lowe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A)의 함유량은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2 ~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50 중량%로, 2 중량% 미만일 경우 실리콘 고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탄성체를 얻을 수 없고,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리콘 베이스의 함량이 많아져 열가소성 특성이 떨어지므로 재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silicone base (A) is 2 to 60% by weight, preferably 2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 by weight, an elastic body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6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silicon base increases and the thermoplastic properties deteriorate.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단쇄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하드 세그먼트와 장쇄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단쇄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소프트 세그먼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성분으로 조성된다. 즉, 요약하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다음의 3 원료로 합성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탄소수가 2 내지 10의 지방족 디올 또는 지환식 디올 및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장쇄 디올과 같이 3성분으로 공중합체를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composed of a hard segment composed of a short chain polyester and a soft segment composed of a long chain polyester. The hard segment comprises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a short chain diol component, and the soft segment is composed of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a polyalkylene oxide component. That is, in summary,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is synthesized from the following three raw materials.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which is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or an ester forming derivative thereof, an aliphatic diol having 2 to 10 carbon atoms or an alicyclic diol and a polyalkylene oxide long chain diol.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4,4'-디카르복실산, 또는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n-프로필 테레프탈레이트, 디-n-프로필 이소프탈레이트, 이소프로필 테레프탈레이트, 디-t-부틸 테레프탈레이트, 부틸벤질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디메틸 디페닐-4,4'-디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에틸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diphenyl-4,4'-dicarboxylic acid, or 4,4'-diphenoxyethane Dicarboxylic acid, and the ester-forming derivative of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 terephthalate, dimethyl isophthalate, dimethyl phthalate, diethyl terephthalate, diethyl isophthalate, diethyl phthalate, di- Diisopropyl terephthalate, di-t-butyl terephthalate, butyl benzyl terephthalate, diethyl 2,6-naphthalene-dicarboxylate, diethyl 2,7-naphthalene dicarboxylate , Or dimethyldiphenyl-4,4'-dicarboxylate. Preferred example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its ester-forming derivative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dimethylterephthalate and diethyl terephthalate .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의 함량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7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지게 되며,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합성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tent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d the ester-forming derivative thereof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70%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synthesis time is long.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디올(di-ol) 성분은 탄소수가 2 내지 10의 지방족 디올 및 지환식 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올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디올, 1,4-부탄디올,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 메틸렌 글리콜 또는 헵탄 메틸렌 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및 1,4-시크로헥산디메탄올의 지환식 디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이 2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 지방족 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m=2) 및 1,4-부탄디올(m=4)을 사용하는 것이다.The diol compon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di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diols having 2 to 10 carbon atoms and alicyclic diols. Preferably an aliphatic diol such as ethylene glycol, 1,3-propylene diol, 1,4-butanediol, pentamethylene glycol, hexamethylene glycol or heptane methylene glycol and an alicyclic diol of 1,4-cyclohexane dimethanol And most preferably ethylene glycol (m = 2) and 1,4-butanediol (m = 2), wherein m is an integer of 2 to 10, 4) is used.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HO-(CH2)m-0HHO- (CH 2) m -0H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다.In the above formula (1), m is an integer of 2 to 10.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성분은 m'이 2 ~ 10인,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lyalkylene oxide (polyalkylene oxide) compon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wherein m 'is 2 to 10.

[화학식 2](2)

HO-[-(CH2)m'-O-]n-H HO - [- (CH 2 ) m ' -O-] n -H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4 ~ 20의 정수이다.M 'is an integer of 2 to 10, and n is an integer of 4 to 20.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이하 PEG),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Polyoxypropylene glycol),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oxyterteramethylen golycol: 이하 PTMG) 및 폴리옥시옥타메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장쇄 디올 성분인 PTMG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탄성 및 탄성회복성, 낮은 영구압축 변형율 및 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PEG의 경우에는 낮은 탄성회복률을 보이나, 내열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The preferred polyalkylene oxide compon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xyethylene glycol (PEG),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terteramethyleneglycol (PTMG) and polyoxyoctamethylene glycol At least one selected can be used. When PTMG, a long-chain diol component, is used,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exhibits excellent elasticity and elastic recovery properties, low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and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PEG exhibits a low elastic recovery rate, but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in heat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함량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8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지게 되며, 80 중량% 이상은 합성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alkylene ox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high, and when it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 time for synthesis becomes long.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의 분자량은 제한이 없으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 3,000 g/mol인 상용화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중량평균분자량 500 ~ 2000 g/mol이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g/mol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ut a commercialized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 to 3,000 g / mol is used. In particular,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2000 g / mol is used,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g / mol.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는 단쇄 에스테르로 구성된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는 장쇄 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장쇄 에스테르의 폴리에테르 부분의 말단은 에스테르 연결을 통해 디카르복실산에 연결되어, 소프트 세그먼트 및 하드 세그먼트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편의상 소프트 세그먼트는 그의 폴리에테르 부분의 말단에 에스테르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하드 세그먼트 및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로 구성된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한다.Generally, the hard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composed of a short chain ester. The soft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comprised of a long chain ester and the end of the polyether portion of the long chain ester is linked to the dicarboxylic acid via an ester linkage so that the soft segment and the hard segment are connected toge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soft segment is defined as comprising an ester linkage at the end of its polyether moiety.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hard segment composed of a polyetherester elastomer,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a soft segment composed of polyox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이러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이다. 만일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함유량이 35 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특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의 함량이 떨어져 실리콘 특성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35 to 95% by weight, preferably 5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is less than 35% by weight, thermoplastic properties may not be exhibited.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exceeds 95%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silicone rubber may fall and the silicone property may not be exhibited. .

본 발명에 있어서, 가교조제(C)는 가교 공정시 가교 효율의 증가, 균일한 가교 및 실리콘 기재와의 상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may be includ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crosslinking efficiency during crosslinking, uniform crosslinking, and improving compatibility with a silicon substrate.

상기 가교조제(C)로는 TAIC(Trially Isocyanurate), TAC(Trially cyanurate), TMPTMA(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ZDA(Zinc diacrylate), ZDMA(Zinc dimethacrylate)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TAIC 및 ZDA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include trially isocyanurate (TAIC), trially cyanurate (TAC), 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TMPTM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zinc diacrylate (ZDA), and Zinc dimethacrylate And preferably one or more of TAIC and ZDA can be used.

상기 가교조제(C)는 사용시 가교 효율이 우수하고, 균일한 가교가 이루어지며, 가교 시 실리콘 베이스(A)와의 상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uxiliary (C) has excellent crosslinking efficiency during use, uniform crosslinking is performed, and compatibility with the silicone base (A) during crosslinking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가교조제(C)의 함량은 혼합물 총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0.5 중량% 미만으로 가교조제가 포함될 경우 가교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밀도가 너무 높아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ssistant (C) may be 0.5 to 10% by weight, preferably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f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crosslink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If the amoun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crosslinking density may be too high, resulting in poor processabili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용화제(D)는 실리콘 베이스(A)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와의 상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조성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용성 측면에서 1 내지 5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상용화제(D)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원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와 실리콘 베이스(A)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와 실리콘 베이스(A)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나, 가격이 상승되어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tibilizer (D) is used for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silicone base (A) and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nd 0.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can be used , Preferably 1 to 5% by weight in terms of compatibility. If the compatibilizer (D) is us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desired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nd the silicone base (A)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exceeds 10 wt%, the compatibility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with the silicone base (A) is excellent, but the production cost may be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price.

상기 상용화제(D)로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와 실리콘 베이스(A)와의 상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compatibilizing agent (D) is preferably a polyfunctional polysiloxane, a glycidyl ester polymer, and an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n terms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nd the silicone base (A)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일 예로 하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의 에폭시 지수(Epoxy Index)는 0.35 내지 5.5 Eq/kg 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에폭시 지수가 0.35 Eq/kg 미만일 경우, 상용화제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5.5 Eq/kg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 밀도가 높아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The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may be represented by, for example,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and the epoxy index of the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may be 0.35 to 5.5 Eq / kg. If the epoxy index is less than 0.35 Eq / kg, the function as a compatibilizing agent may be deteriorated. If the epoxy index is more than 5.5 Eq / kg, the crosslinking density may be high and moldability may be deteriorated.

[화학식 3](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R은 알데히드기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 20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R은 -CH2CH2CH2OCH2-이며,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50 ~ 150의 정수이다.In the above formula 3 and 4, and R is an aldehyde group, n and m is an integer from 10 to 200 each independently, preferably, R is -CH 2 CH 2 CH 2 OCH 2 - , and, n and m are each independently It is an integer from 50 to 150.

또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정의된다. 당해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복실산(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타콘산)의 길리시딜 에스테르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defined as a polymer comprising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one or more glycidyl ester monomers. The glycidyl ester polymer may be a homopolymer, a copolymer or a terpolymer. The glycidyl ester monomer of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a glycidyl ester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lycidyl acrylate, Cidyl methacrylate, and glycidyl itaconate.

본 발명에서 적합한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내충격 개질제로서 본원에서 참조 인용되는 미국등록특허 제5,981,661호에 기재된 글리시딜 에스테르로,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제1 반복 단위와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예: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로부터 유도되는 제2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적합한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임의로,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기타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미량, 즉 약 5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glycidyl ester polymer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glycidyl esters described in U.S. Patent No. 5,981,66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a glycidyl ester impact modifier, wherein the glycidyl ester polymer comprises one or more glycidyl And a second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first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ester monomer and at least one? -Olefin monomer (e.g., ethylene, propylene, 1-butene, 1-pentene). Preferably, the glycidyl ester monomer is glycidyl acrylate or glycidyl methacrylate. Suitable glycidyl ester polymers may optionally contain repeat units derived from one or more other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glycidyl ester monomers in minor amounts, i.e., up to about 50% by weight.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는 분자당 에틸렌 불포화 위치를 하나 가짐을 의미한다. 적합한 공중합 가능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면, 비닐 방향족 단량체(예: 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 비닐 에스테르(예: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C1 ~ C20)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예: 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term "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 as used herein means having one ethylenic unsaturation position per molecule. Suitable copolymerizable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vinylaromatic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vinyltoluen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and (C1-C20) alkyl (meth) Acrylates (e.g.,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C1 ~ C20) 알킬'은 그룹당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예: 메틸, 에틸, 데실, 에이코실, 사이클로헥실)을 의미하고,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총괄적으로 지칭한다. 적합한 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자유 라디칼로 개시된 공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1-C20) alkyl"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from 1 to 20 carbon atoms per group such as methyl, ethyl, decyl, eicosyl, cyclohexyl, Methacrylate " refers collectively to an acrylate compound and a methacrylate compound. Suitable glycidyl ester copolymers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copolymerization initiated with conventional free radicals.

본 발명에서 상용화제로서 보다 바람직한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올레핀-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로타더(LOTADER)® AX 8900 수지, 로타더® AX 8930 및 로타더® AX 8840로서 Arkema사에서 시판하는 로타더(LOTADER)® GMA 제품과 같은 랜덤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More preferred glycidyl ester polymers as compatibiliz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lefin-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s, olefin-vinyl acetate-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s, and olefin-glycidyl Acrylate-alkyl (meth) acrylate polymers. Most preferably, a random ethylene / acrylic acid ester / glycidyl ether such as LOTADER AX 8900 resin, Rotador AX 8930 and LOTADER GMA product marketed by Arkema as Rotador 8840, ≪ / RTI > dime methacrylate copolymer or terpolymer.

한편,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과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이다. 적합한 올레핀의 대표적인 예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 올레핀 혼합물,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의 혼합물, 즉 소위 EPDM을 포함한다. 올레핀은 또한 C5 ~ C20 탄화수소 α-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알킬 그룹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등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s are homopolymers, copolymers or terpolymers of olefins and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s.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itable olefins include ethylene, propylene, butylene and the like; Olefin mixtures, e. G. Mixtures of ethylene, propylene and dienes, so-called EPDM. The olefin may also be selected from C5-C20 hydrocarbon alpha-olefins, vinyl acetate, alkyl acrylates or alkyl methacrylates and the alkyl group may be methyl, ethyl, propyl, butyl, and the like.

상기 탄화수소 α-올레핀의 적합한 예는 1-헥센, 1-옥텐 및 1-데센을 포함하며,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알킬 그룹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을 포함한다.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는 카복실산, 카복실산 염, 아미드, 이미드, 에스테르, 무수물, 에폭시, 알콕시 및 옥사졸린과 같은 유기 관능성 그룹을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옥사졸린 그룹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Suitable examples of the hydrocarbon? -Olefin include 1-hexene, 1-octene and 1-decene, and examples of the alkyl group of the alkyl acrylate include methyl, ethyl, propyl and butyl. Organofunctional grafting monomers may be selected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rga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carboxylic acids, carboxylic acid salts, amides, imides, esters, anhydrides, epoxies, alkoxy and oxazolines. The oxazoline group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6).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6에서, 환은 탄소수 1 내지 4의 탄화수소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6), the ring may contain at least one substituent selected from a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상기 카복실산과 무수물을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의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및 치환된 말레산 무수물(예: 디메틸 말레산 무수물) 또는 시트라콘산 무수물, 나드산 무수물, 나드산 메틸 무수물 및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이며, 말레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 산의 유도체의 예는 염, 아미드, 이미드 및 에스테르, 예를 들면, 모노나트륨 말리에이트, 디나트륨 말리에이트, 아크릴아미드, 말레이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 푸마레이트이다. 상기 에폭시 관능성 단량체의 예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1,2-에폭시-7-옥텐, 1,2-에폭시-9-데센, 및 1,2-에폭시-5-헥센을 포함한다. 상기 옥사졸린 관능성 단량체는 비닐옥사졸린이다.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 상용화제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그래프팅 단량체는 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containing carboxylic acid and anhydride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crotonic acid, itaconic anhydride, maleic anhydride and substituted maleic anhydride Acid anhydrides) or citraconic anhydride, nadic anhydride, myristic acid anhydride and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with maleic anhydride being particularly preferred. Examples of such unsaturated acid derivatives are salts, amides, imides and esters, such as monosodium malate, disodium malate, acrylamide, maleimide, glycidyl methacrylate and dimethyl fumarate. Examples of the epoxy functional monomer include allyl glycidyl ether, 1,2-epoxy-7-octene, 1,2-epoxy-9-decene, and 1,2-epoxy-5-hexene. The oxazoline functional monomer is vinyl oxazoline. Preferred grafting monomers for use in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compatibilizers are selected from maleic anhydride and maleic anhydride derivatives.

이 중,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 상용화제로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그래 프팅된 EPDM 고무,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SEBS(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듀폰사에서 시판중인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EPDM, 또는 동일한 회사로부터 Fusabond®로서 시판중인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폴리프로필렌이다. 불포화 그래프팅 단량체의 함량은 그래프팅된 중합체 중의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Preferred examples of the organic 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compatibilizer include poly (ethylene-co-vinyl acetate) -grafted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grafted maleic anhydride, polyethylene-polypropylene-grafted Maleic anhydride, grafted maleic anhydride, maleic anhydride grafted EPDM rubber, maleic anhydride grafted SEBS (styrene-ethylene / but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and most preferably maleic anhydride from grafted EPDM, or the same company is a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as Fusabond ®. The content of unsaturated grafting monomers may be from 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from 0.3 to 4% by weight, in the grafted polymer.

이후 상기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상용화제(D)가 용융 혼합된 혼합물에 라디칼 개시제(E)를 혼합한다[(ii) 단계].Then, the radical initiator (E) is mixed with the mixture of the silicon base (A),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and the compatibilizing agent (D).

상기 라디칼 개시제(E)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유기 퍼옥사이드를 이용해서 가황 가교 반응을 개시한다.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는 가황 가교 반응시 가공온도를 낮춰줌으로써 가황 가교 반응에 유리하다. The radical initiator (E) initiates the vulcanization crosslinking reaction using the thermally activated organic peroxide. The organic peroxide is advantageous for the vulcanization crosslinking reaction by lowering the processing temperature in the vulcanization crosslinking reaction.

상기 유기 퍼옥사이드의 일 예로는 디알킬퍼옥사이드, 케탈퍼옥사이드, 아랄킬퍼옥사이드, 퍼옥사이드 에테르 또는 퍼옥사이드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퍼옥사이드 경화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퍼옥사이드의 예로는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tert-부틸 쿠밀 퍼옥사이드, 디-(2-ter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 디쿠밀 퍼옥사이드, 부틸 4,4-디-(ter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er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 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디벤질 퍼옥사이드,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디-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2,5-비스(ter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An example of such an organic peroxide is a dialkyl peroxide, a ketal peroxide, an aralcohol peroxide, a peroxide ether or a peroxide ester. Examples of suitable peroxides for use in the peroxide curing system include 2,5-dimethyl-2,5-di- (tert-butylperoxy) hexyne-3, di-tert-butylperoxide, 2,5 (2-tert-butylperoxyisopropyl) benzene, dicumyl peroxide, butyl 4,4-di (tert-butylperoxy) - (tert-butylperoxy) valerate, 1-di- (tert-butylperoxy) -3,3,5-trimethylcyclohexane, tert-butylperoxybenzoate, 2,5-bis (tert-butylperoxy) -2,5-dimethylbenzoyl peroxide, di-2-methylbenzoyl peroxide, Dimethyl hexane, or mixtures thereof.

상기 라디칼 개시제(E)의 함량은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상용화제(D)의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로,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교도가 떨어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 반응이 과격하게 일어나 컬러가 변색되거나, 분해가 되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radical initiator (E) is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ilicone base (A),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the crosslinking aid (C)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crosslink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5% by weight, the crosslinking reaction may occur excessively to cause color discoloration or decomposition, The problem of falling may occur.

전술된 바와 같이 라디칼 개시제(E)가 혼합되면, 상기 혼합물에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를 가황시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제조한다[(iii) 단계]. 이때, 상기 가황은 10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90 ℃에서 수행된다.When the radical initiator (E) is mixed as described above,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s vulcanized in the mixture to prepare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step (iii)). At this time, the vulcanization is performed at 100 to 200 ° C, preferably 150 to 190 ° C.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어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열 안정제, 가공조제, 안료 등을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i) 단계 또는 (ii) 단계에 추가로 첨가시킬 수 있다. The process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rried out by adding (i) additives known in the art such as UV stabilizers, antioxidants, heat stabilizers, processing aids and pigments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n step (ii).

상기 첨가제 중, 열 안정제로는 IRGANOX(등록상표)259(헥사메틸렌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IRGANOX(등록상표)1010(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벤젠프로판산, 2,2-비스[[3-[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 IRGANOX(등록상표)1076(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Irganox(등록상표)1098(N,N'-헥사메틸렌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IRGANOX(등록상표)B215(IRGANOX(등록상표)1010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의 33/67 블렌드), IRGANOX(등록상표)B225(IRGANOX(등록상표)1010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의 50/50 블렌드) 및 IRGANOX(등록상표)B1171 (IRGANOX(등록상표)1098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의 50/50 블렌드)이고, 이들 모두는 바스프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Among these additives,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259 (hexamethylenebis (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1010 (1,1-dimethylethyl) -4-hydroxybenzenepropanoic acid, 2,2-bis [[3- [3,5- 1,3-propanediyl ester),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1076 (octadecyl 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 Irganox (registered trademark) 1098 N, N'-hexamethylenebis (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mide), IRGANOX B215 (IRGANOX TM 1010 and tris tert-butylphenyl) phosphite, a 50/50 blend of IRGANOX TM B225 (IRGANOX TM 1010 and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and A 50/50 blend of IRGANOX (R) B1171 (IRGANOX (R) 1098 and tris (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It can be purchased from the BASF Company.

상기 안료는 무기 규소 안료(예를 들면 실리카 안료)와 같은 투명한 안료 및 종래의 조성물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안료 모두를 포함한다. 종래의 안료로는 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및 산화철; 금속 수산화물; 금속 플레이크, 예를 들면 알루미늄 플레이크; 크로메이트, 예를 들면 크롬산납; 술파이드; 술페이트; 카보네이트; 카본 블랙; 실리카; 활석; 백토; 프탈로시아닌 블루 및 그린, 오르가노 레드; 오르가노 마룬 및 기타 유기 안료 및 염료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고온에서 안정한 안료이다. The pigments include both transparent pigments such as inorganic silicon pigments (e.g., silica pigments) and pigments used to apply conventional compositions. Conventional pigments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dioxide and iron oxide; Metal hydroxides; Metal flakes, such as aluminum flakes; Chromate, for example, lead chromate; Sulfide; Sulfate; Carbonates; Carbon black; Silica; talc; Clay; Phthalocyanine blue and green, organogel red; Organo maroon and other organic pigments and dyes. Particularly preferred are pigment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상기 안료는 일반적으로 안료를 혼입시키고자 하는 물질과 혼화성이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는 분산 수지와 안료를 혼합시킴으로써, 혼련안료(millbase) 내로 배합된다. The pigments are blended into a kneading pigment (millbase) by mixing the pigments with a dispersing resin, which is generally miscible with, or may be the same as, the material with which the pigment is to be incorporated.

일반적으로 필요하거나 또는 사용되지는 않지만, 무기 충전제, 미끄럼방지제, 가소제 및 핵제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도 혼입될 수 있다.Other additives, such as inorganic fillers, anti-skid agents, plasticizers, nucleating agents, etc., which are generally required or not used, may also be incorporated.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압출, 진공성형, 사출 성형, 취입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을 거의 또는 전혀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재가공시킬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can be process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extrusion, vacuum molding, injection molding, blow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In addition, such compositions can be reworked with little or no degradation in 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 특성을 가져, 자동차, 전자공학, 전기, 전선, 가전기기, 의료, 스포츠 등의 다양한 분야의 부품과 부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hardness and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compression set, and has smooth surface properties without surface stickiness,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parts and members of various fields such as electric wires, household appliances, medical care, sport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 중,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상용화제(D) 및 산화방지제를 니더를 사용하여 200 ℃에서 20분간 용융 혼합하였다. 상기 용융 혼합된 혼합물에 라디칼 개시제(E)를 건식 혼합(dry blending) 후, Ф30mm, L/D=40을 가지는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 300 rpm에서 가황시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 중합체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은 80 ℃에서 2 시간 건조시킨 다음,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200 ℃, 금형온도 25 ℃로 사출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A),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 crosslinking aid (C), a compatibilizing agent (D) and an antioxidant were melt-mixed at 200 ° C for 20 minutes using a kneader Respectively. The radical initiator (E) was dry blended into the melt-mixed mixture and then vulcanized at 200 DEG C and 300 rpm using a twin-screw extruder having? 30 mm and L / D = 40 to prepare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ellet . The pellets were dried at 80 ° C for 2 hours and then injected at a molding temperature of 200 ° C and a mold temperature of 25 ° C in an extruder to prepare physical specimens.

구분division 실시예1
(중량%)
Example 1
(weight%)
실시예2
(중량%)
Example 2
(weight%)
실시예3
(중량%)
Example 3
(weight%)
실시예4
(중량%)
Example 4
(weight%)
실시예5
(중량%)
Example 5
(weight%)
실시예6
(중량%)
Example 6
(weight%)
실시예7
(중량%)
Example 7
(weight%)
비교예1
(중량%)
Comparative Example 1
(weight%)
비교예2
(중량%)
Comparative Example 2
(weight%)
실리콘 베이스
(A)
Silicon base
(A)
16.716.7 35.535.5 34.534.5 16.716.7 35.535.5 34.534.5 34.534.5 17.717.7 36.536.5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8080 6060 6060 8080 6060 6060 6060 8080 6060 가교조제(C)Crosslinking aid (C) 22 33 33 22 33 33 33 22 33 상용화제(D1)The compatibilizer (D1) 1One 1One 22 -- -- -- -- -- -- 상용화제(D2)The compatibilizer (D2) -- -- -- 1One 1One 22 -- -- -- 상용화제(D3)The compatibilizer (D3) -- -- -- -- -- -- 22 -- -- 산화방지제Antioxidant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0.10.1 라디칼 개시제
(E)
Radical initiator
(E)
0.20.2 0.40.4 0.40.4 0.20.2 0.40.4 0.40.4 0.40.4 0.20.2 0.40.4

(1) 실리콘 베이스(A): KCC사의 HTV SH0050U 제품[ASTM D926 측정 가소화도 220](1) Silicone base (A): HTV SH0050U product of KCC [ASTM D926 measured plasticizer degree 220]

(2)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 LG화학사 KEYFLEX BT 1030D 제품[쇼어경도(ASTM D2240) 80A](2)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LG Chemie KEYFLEX BT 1030D [Shore hardness (ASTM D2240) 80A]

(3) 가교조제(C): Nippon Kasei Chemical사 TAIC M-60 제품[TAIC](3) Crosslinking aid (C): TAIC M-60 product of Nippon Kasei Chemical Co. [TAIC]

(4) 상용화제(D1) : 다미폴리켐사 FD480[화학식 1의 양말단형(R은 -CH2CH2CH2OCH2-이고, n은 100임)](4) a compatibilizer (D1): Damiani poly kemsa FD480 [socks Monotype of formula 1 (R is -CH 2 CH 2 CH 2 OCH 2 - , n is 100 Im);

(5) 상용화제(D2) : Arkema사, Lotader® AX 8900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5 compatibilizer (D2): Arkema Inc., Lotader ® AX 8900 glycidyl ester polymer

(6) 상용화제(D3) : DuPont사 Fusabond 416D(6) compatibilizer (D3): DuPont Fusabond 416D

(7) 산화방지제 : 송원산업사, Songnox 1010 제품(7) Antioxidant: Songwon Ind Co., Songnox 1010 product

(8) 라디칼 개시제(E) : Arkema사 Luperox 101XL45 제품(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ane)(8) Radical initiator (E): 2,5-Bis (tert-butylperoxy) -2,5-dimethylhexane, product of Arkema Luperox 101XL45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편의 하기 물성을 측정하여 표 3, 4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prepar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s 3 and 4.

(1) 경도(Hardness) : ISO 86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Hardness: Measu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defined in ISO 868.

(2) 수지 흐름성(Melt index) : ISO 113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90℃에서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Melt index: Measured under the load condition of 10 kg at 190 ° C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specified in ISO 1133.

(3) 비중 : ISO 118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3) Specific gravity: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ISO 1183.

(4) 인장강도 및 신율 : ISO 37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따라 만능시험기(UTM,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4)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 machine (UTM)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defined in ISO 37.

(5) 인열강도 : ISO 34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5) Tear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specified in ISO 34.

(6) Taber Abrasion : ASTM D3389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6) Taber Abrasion: Measu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specified in ASTM D3389.

(7) 영구압축변형율 : 23℃, 22시간 조건하에서 ISO 81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7) Permanent compression strain: Measur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defined in ISO 815 under conditions of 23 ° C and 22 hours.

구분division 경도
Hardness
수지흐름성
(190 ℃, 10 kg)
Resin flowability
(190 < 0 > C, 10 kg)
비중importance 인장강도The tensile strength 신율Elongation 인열강도
Phosphorus strength
Taber Abrasion
(mg/1000 cycles)
Taber Abrasion
(mg / 1000 cycles)
영구압축변형율
(23 ℃, 22 hr)
Permanent compressive strain
(23 < 0 > C, 22 hr)
단위unit Shore AShorea g/10ming / 10 min -- MPaMPa %% kN/mkN / m kJ/m2 kJ / m 2 %% 실시예 1Example 1 7373 4848 1.081.08 19.719.7 600600 40.440.4 6767 2222 실시예 2Example 2 6767 6565 1.121.12 11.711.7 500500 27.227.2 135135 2929 실시예 3Example 3 6767 6565 1.111.11 13.213.2 450450 30.130.1 9898 2323 실시예 4Example 4 7373 4646 1.081.08 20.520.5 600600 40.740.7 6060 2222 실시예 5Example 5 6767 5656 1.121.12 12.312.3 550550 27.827.8 137137 2929 실시예 6Example 6 6767 4848 1.111.11 13.113.1 550550 30.730.7 9393 2525 실시예 7Example 7 6868 6060 1.111.11 11.411.4 500500 28.828.8 104104 313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7474 7070 1.101.10 13.113.1 400400 27.427.4 8181 3333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868 7373 1.141.14 6.16.1 350350 18.918.9 165165 323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비교예 1 및 2에서 비슷한 조성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보다 상용성이 증대되어 제반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2, it was found that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s prepared in Examples 1 to 7 had higher compatibility than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similar compositions, and thus ha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저경도를 가지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영구압축변형율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표면 끈적거림이 없이 부드러운 표면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the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does not use a plasticizer, has a low hardness,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tea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compression set,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produce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1)

(i) ASTM D926 측정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가소화도가 30 이상이며, 분자내 2개 이상의 알케닐 그룹을 갖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및 강화 충전제(A")가 포함된 실리콘 베이스(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가교조제(C); 및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상용화제(D)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i) 단계의 혼합물에 라디칼 개시제(E)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의 혼합물에서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를 가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i) a silicone base (A) containing a diorganosiloxane rubber (A ') and a reinforcing filler (A') having a degree of plasticity of 30 or more as measured by the ASTM D926 measurement method and having two or more alkenyl groups in the molecule At least one compatibilizing agent (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a crosslinking auxiliary (C), and an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a glycidyl ester polymer and an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Melt mixing;
(ii) mixing the mixture of step (i) with a radical initiator (E); And
(iii) vulcanizing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in the mixture of step (i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A)는 디오가노실록산 고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화충전제(A")가 5 내지 20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licone base (A) contains 5 to 200 parts by weight of a reinforcing filler (A ")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diorganosiloxane rubber (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실리콘 베이스(A) 2 내지 60 중량%,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 35 내지 95 중량%, 가교조제(C) 0.5 내지 10 중량% 및 상용화제(D) 0.5 내지 10 중량%를 용융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i) comprises: 2 to 60 wt% of silicone base (A), 35 to 95 wt% of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0.5 to 10 wt% of crosslinking auxiliary (C)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는 상기 (i) 단계의 혼합물 총중량에 대하여, 라디칼 개시제(E) 0.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ii) comprises mixing 0.1 to 5% by weight of a radical initiator (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of step (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베이스의 디오가노폴리실록산(A')은 디메틸실록산 단위와 메틸비닐실록산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디메틸실록산 단위와 메틸헥세닐실록산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고무이고, 상기 실리콘 베이스의 강화 충전제(A")는 열분해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licon-based diorganopolysiloxane (A ') is a rubber selected from a copolymer consisting of dimethylsiloxane units and methylvinylsiloxane units or a copolymer consisting of dimethylsiloxane units and methylhexenylsiloxane units, the silicon-based reinforcing filler ( A ") is pyrolytic silic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를 이루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에틸 테레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ester-forming derivative of the dicarboxylic acid or 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hard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di Wherein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terephthalate and dimethyl terephtha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를 이루는 디올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디올, 1,4-부탄디올, 펜타메틸렌 글리콜, 헥사 메틸렌 글리콜, 헵탄 메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diol constituting the hard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1,3-propylene diol, 1,4-butanediol, pentamethylene glycol, hexamethylene glycol, heptane methylene glycol and 1 , And 4-cyclohexane dimethanol. The method of produc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옥타메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is a resin composition wherein the polyalkylene oxide constituting the soft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xyethylene glycol,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and polyoxyoctamethylene glycol Wherein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is at least one kind of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B)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이루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의 함량이 20 ~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B) has a content of polyalkylene oxide (polyalkylene oxide) which is a soft segment of the polyetherester elastomer is 20 to 8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C)는 TAIC(Trially Isocyanurate), TAC(Trially cyanurate), TMPTMA(TrimethylopropaneTrimeth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ZDA(Zinc diacrylate) 및 ZDMA(Zinc dimethacrylat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linking auxiliary (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IC (Trially Isocyanurate), TAC (Trially cyanurate), TMPTMA (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TMP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ZDA (Zinc diacrylate) and ZDMA ≪ / RTI > wherein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is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에폭시 지수(Epoxy Index)가 0.35 Eq/kg 내지 5.5 Eq/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has an Epoxy Index of 0.35 Eq / kg to 5.5 Eq / k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3 및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06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R은 -CH2CH2CH2OCH2-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 200의 정수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poxy functional polysiloxan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3) and (4): < EMI ID =
(3)
Figure pat00006

[Chemical Formula 4]
Figure pat00007

In the above formulas (3) and (4), R is -CH 2 CH 2 CH 2 OCH 2 -, and n and m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10 to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제1 반복 단위와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제2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lycidyl ester polymer comprises a first recurring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glycidyl ester monomer and a second recurring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Olefin monom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단량체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a glycidyl ester monomer, wherein the glycidyl ester monomer is glycidyl acrylate or glycidyl methacryl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올레핀-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올레핀-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glycidyl ester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olefin-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 an olefin-vinyl acetate-glycidyl (meth) acrylate polymer, and an olefin-glycidyl (meth) acrylate- Wherein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tex polyme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스테르 중합체는 랜덤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랜덤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lycidyl ester polymer is a random ethylene / acrylic acid ester / 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or a random ethylene / acrylic acid ester / glycidyl methacrylate ter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과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의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mopolymers of olefins and organic functional grafting monomers, copolymers of organic functional grafting monomers and ternary copolymers of organic functional grafting monomers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 단량체는 카복실산, 카복실산 염, 아미드, 이미드, 에스테르, 무수물, 에폭시, 알콕시 및 옥사졸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관능성 그룹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organic functional grafting monomer i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lic acid, carboxylic acid salt, amide, imide, ester, anhydride, epoxy, alkoxy and oxazoline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관능성 그래프팅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및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팅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BS)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organofunctional grafted polyolef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ethylene-co-vinyl acetate) grafted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grafted maleic anhydride, polyethylene-polypropylene grafted maleic anhydride, maleic anhydride grafted Ethylene-butylene-styrene (SEBS) copolymer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ethylene-propylene rubber (EPDM), and maleic anhydride-grafted styrene- Of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E)는 유기 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cal initiator (E) is an organic peroxide.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20. The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produced by the process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KR1020180012138A 2018-01-31 2018-01-31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800148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38A KR20180014806A (en) 2018-01-31 2018-01-31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38A KR20180014806A (en) 2018-01-31 2018-01-31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495A Division KR20170133969A (en) 2016-05-27 2016-05-27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806A true KR20180014806A (en) 2018-02-09

Family

ID=6119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38A KR20180014806A (en) 2018-01-31 2018-01-31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8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339B1 (en)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Composition
US7943694B2 (en) Crosslinkable compositions, thermoplastic elastomers obtainable therefrom and their use
JP2736279B2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U2006242473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4731644B2 (en) High temperature, oil resistant, thermoplastic vulcanizates made from polar plastics and acrylate or ethylene / acrylate elastomers
US7244790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H0488063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0614475B1 (en) Thermoplastic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for wire coating applications
KR20170133969A (en)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060247378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KR20180014806A (en) Thermoplastic Silicone Elastom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8013067B2 (en) Curable thermoplastic elastomeric ble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H0940865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EP1085052B1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EP1406937B1 (en) Heat and oil resistant thermoplastic elastomer
US20230051913A1 (en) Polymer blend
EP0722983A1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H0480262A (en) Pps-containing resin composition
JP3034566B2 (en) Impact resistant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EP0230703B1 (en) Impact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molding compositions
JPH0480263A (en) Pps-containing resin composition
JP2997301B2 (en) Impact resistant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JPH08259824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H11199748A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its production
JPH03227361A (en)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