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794A -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 Google Patents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794A
KR20180014794A KR1020180007812A KR20180007812A KR20180014794A KR 20180014794 A KR20180014794 A KR 20180014794A KR 1020180007812 A KR1020180007812 A KR 1020180007812A KR 20180007812 A KR20180007812 A KR 20180007812A KR 20180014794 A KR20180014794 A KR 20180014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treadmill
running
desk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희
Original Assignee
박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희 filed Critical 박건희
Priority to KR102018000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794A/ko
Publication of KR2018001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794A/ko
Priority to KR1020180113442A priority patent/KR20190035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60Use of locks or ledges for limiting the sea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6Treadmill combined with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하측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러닝머신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의자를 책상의 하부 공간으로 밀어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러닝머신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필요 없이 책상을 사용한 일상생활 중 간편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러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는 양측의 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상기 양측의 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종레일과, 상기 두 종레일을 연결하는 횡레일과, 상기 횡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책상의 하측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RUNNING CHAIR}
본 발명은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하측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러닝머신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의자를 책상의 하부 공간으로 밀어서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러닝머신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필요 없이 책상을 사용한 일상생활 중 간편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러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헬스장이나 공원 또는 운동장 등에서 가벼운 달리기 또는 걷기 등의 운동을 실시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직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또는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대부분은 바쁜 일상으로 인해 운동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내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실내에서 책상을 이용한 일상생활 중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으면서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가벼운 달리기 내지 걷기와 같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2-0046574호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판상으로 발을 올려놓는 것이 가능한 발 거치대, 상기 발 거치대와 체결되어 상향 연장 연결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 상단에 체결되며 발 거치대의 좌우방향 회전 또는 전후좌우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포스트를 전방위로 회동시키는 운동축 및 운동축을 책상의 하면에 고정하고 지지하는 운동축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앉아 있는 자세 그대로 발 거치대를 이용해 다리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 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운동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본래의 업무나 수업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의자에 앉은 상태로 다리를 움직일 때 다리가 책상에 걸려 사용이 매우 불편하여 효용성이 떨어진다.
이에 가벼운 달리기나 걷기 등이 가능한 러닝머신을 책상에 접목한 기술이 제기되고 있다.
도 1은 러닝머신(20)과 책상이 접목된 스탠딩책상(ST)을 도시한 측면도로, 입식 업무가 가능하도록 책상의 높이를 높이고 이러한 스탠딩책상(ST) 밑에 러닝머신(2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러닝머신 위에 서서 책상을 이용함은 물론, 필요 시 러닝머신을 이용해 달리기나 걷기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스탠딩책상(ST)은 사용자가 선채로 책상을 이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책상 외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어 운동 중 러닝머신의 후방으로 넘어질 위험성이 크고, 운동 중 전방의 책상을 잡기에는 책상이 높이가 맞지 않아 자세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제10-2017-0123386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제안하였다. 참고로, 제10-2017-0123386호의 발명은 미공개 상태이다.
본 출원인의 발명한 상기 제10-2017-0123386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는 의자가 러닝머신의 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의자의 착석자는 일반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주로 이동하지만 좌우방향으로 많이 이동한다. 그래서 상기 제10-2017-0123386호의 발명은 의자의 사용에 다소 불편이 있다.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의좌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에 의자에 많은 부하가 가해져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0-2017-0123386호의 발명은 의자가 러닝머신의 러닝 벨트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서, 운동시에 러닝 벨트를 모두 활용할 수 없다. 그래서 러닝머신의 길이를 더 길게 제작하거나, 짧은 길이의 러닝 벨트 위에서 주의하며 운동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와,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발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실내에서 책상을 이용한 일상생활 중 자리를 이탈하여 별도의 시간을 할애할 필요 없이, 자신의 자리에서 잠깐의 쉬는 시간을 이용해 가벼운 달리기 또는 걷기를 실시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자가 러닝머신 위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여 의자의 사용에 불편이 없고, 부하의 집중에 의해 의자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자는 러닝머신의 러닝 벨트를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여, 의자로 인해 러닝머신의 이용이 제한되지 않는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는
양측의 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상기 양측의 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종레일과, 상기 두 종레일을 연결하는 횡레일과, 상기 횡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책상의 하측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러닝 의자는 상기 횡레일은 상기 종레일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종레일은 그 전방측이 프레임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선반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종레일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는
책상에 앉아서 책상을 사용할 때,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 자리를 이동할 필요 없이 자신의 자리에서 바로 가벼운 달리기나 걷기와 같은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별도의 비용 및 시간을 투자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바로 운동이 가능하므로 쉬는 시간마다 자주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고,
러닝머신 위에서 의자는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의자를 이용함에 있어 러닝머신에 의한 불편이 최소화되고,
운동시에 의자를 러닝머신을 벗어나도록 전방으로 밀어넣고 사용할 수 있어서 의자에 의해 러닝벨트의 사용이 방해되지 않고,
의자의 등받이 위에 선반을 구비하여서, 사용자의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볼 수도 있고, 선바에 키보드 등을 올려놓은 상태로 서서 업무도 가능한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러닝머신의 사용이 가능한 스탠딩책상을 도시한 측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의 프레임에 설치된 이동유닛과 의자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의 다양한 사용 상태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는 크게 책상(10) 하부에 설치되는 러닝머신(20), 러닝머신(20) 상부에 설치되는 의자(30), 의자(30)가 러닝머신(20) 위에서 전후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책상(10)은 일반 사무용 또는 학생용 책상, 또는 회의용 테이블 등을 통칭으로 한다.
상기 러닝머신(20)은 책상(10)의 하부 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양측 프레임(21)과, 상기 양측 프레임(21)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22), 벨트를 순환회전시키는 모터(23), 모터(23)를 구동시키는 인버터(24), 프레임(21)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러닝머신(2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퀴(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25)는 러닝머신(20)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러닝머신(20) 위에서 달리기를 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에어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닝머신(2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작동 방식 등은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의자(30)는 이동유닛(40)을 통해 상기 러닝머신(20)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의자(30)는 좌대(31), 등받이(32), 팔걸이(33), 포스트(34)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34)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좌대(3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방향전환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운동시에는 회전이 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러닝머신(20)의 구동을 제어하고, 서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의자(30)의 등받이(32)에는 브라켓(35), 프로파일(36), 선반(37), 손잡이(38) 등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35)은 상기 등받이(32)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프로파일(36)은 상기 브라켓(35)의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프로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선반, 손잡이 등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파일(36)에는 상기 브라켓(35)에 조이거나 풀어서 프로파일(36)이 상하로 이동되거나 고정되록 하는 고정핸들(39)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37)은 양측 프로파일(36)의 상부를 연결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그 위에 업무를 위한 키보드나 노트, 필기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38)는 상기 프로파일(38)의 상부에서 후방측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38)를 잡고 의자(30)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고, 러닝머신(20)에서 달리기 운동 중에 필요한 경우 손잡이(38)를 잡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38)에는 러닝머신을 온/오프시키거나 러닝 벨트(22)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하는 각종 버튼(B)과 소형 모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의자(30)가 상기 러닝머신(20) 위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유닛(40)은 가이드블럭(41), 종레일(42), 횡레일(43), 이동블럭(44) 및 스토퍼(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블럭(41)은 상기 러닝머신(20)의 프레임(21) 전방측에 치우쳐 설치되고, 하나의 프레임(21) 위에 가이드블럭(41) 두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종레일(42)은 상기 가이드블럭(41)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러닝머신(20)의 프레임(2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종레일(42)은 상기 가이드블럭(41)의 레일홈에 삽입안착되어 결합되는 레일봉(421)과, 상기 레일봉(42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41)의 상부에 얹혀져 지지되는 지지판(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횡레일(43)은 양측으로 배열된 두 종레일(42)을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횡레일(43)은 상기 종레일(42)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두 개가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횡레일(43)도 종레일(42)처럼 레일봉과 지지판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블럭(44)은 상기 횡레일(4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44)에는 상기 의자(30)의 포스트(34)기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종레일(42)을 상기 러닝머신(20)의 프레임(21)에 고정시킨다.
상기 스토퍼(45)는 상기 종레일(42)의 후방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1)에 가압되어 종레일(42)을 프레임(21)에 고정시킨다. 이때, 스토퍼(45)는 상기 프레임(21)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방식의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40)은 가이드블럭(41)이 러닝머신(20) 프레임(21)의 전방에 치우쳐 결합되고, 종레일(43)이 횡레일(42)의 전방에 치우쳐 결합됨으로써, 횡레일(42)이 전방방향으로 이동하면 종레일(43)은 러닝머신(20)의 프레임(21)을 벗어나게 된다.
즉, 이동유닛(40)의 횡레일을 전방으로 밀면, 종레일(43) 위에 위치한 의자(30)는 러닝머신(20)의 러닝벨트(22) 위에 있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의자(30)가 러닝벨트(22)의 영역을 침범하여 운동시 러닝벨트(22)에서 활용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러닝의자의 활용 상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러닝의자는 러닝머신(20) 위에 그리고 책상(10) 앞에 구비된 의자(30)에 앉아 책상 위의 업무를 볼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러닝의자는 의자(30)의 등받이 뒤에 서서 선반(37)에 구비된 키보드 등을 이용해 책상 위의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때, 의자(30)는 전방으로 밀어 책상(10)의 하부공간으로 수납시켜 의자(30)와 책상(10)의 거리를 최소화시켜 서서 업무를 보는데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러닝의자는 의자(30)는 전방으로 밀어 책상(10)의 하부공간으로 수납시킨 후에 러닝머신(20)의 러닝 벨트(22)에 올라가 달리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의자(30)는 러닝벨트(22)를 벗어나게 되어 사용자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러닝의자는 의자(30)를 뒤로 제껴 휴식을 취하는 경우, 뒤에서 러닝머신(20)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위자(30)가 뒤로 넘어가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러닝 의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책상 20 : 러닝머신
21 : 프레임 22 : 러닝벨트
30 : 의자 31 : 좌대
32 : 등받이 35 : 브라켓
36 : 프로파일 37 : 선반
38 : 손잡이 39 : 고정핸들
40 : 이동유닛 41 : 가이드블럭
42 : 종레일 43 : 횡레일
44 : 이동블럭 45 : 스토퍼

Claims (4)

  1. 양측의 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러닝 벨트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상기 양측의 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종레일과, 상기 두 종레일을 연결하는 횡레일과, 상기 횡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책상의 하측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러닝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레일은 상기 종레일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종레일은 그 전방측이 프레임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 구비되는 선반과,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의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종레일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 의자.
KR1020180007812A 2017-09-25 2018-01-22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KR20180014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12A KR20180014794A (ko) 2018-01-22 2018-01-22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KR1020180113442A KR20190035553A (ko) 2017-09-25 2018-09-21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12A KR20180014794A (ko) 2018-01-22 2018-01-22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794A true KR20180014794A (ko) 2018-02-09

Family

ID=6119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12A KR20180014794A (ko) 2017-09-25 2018-01-22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7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2195B2 (en) Individual physical training device
KR20190035553A (ko)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CN210020194U (zh) 一种手臂伸展式康复设备
US20180207047A1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KR101429950B1 (ko) 기립도우미형 의자보조장치
US9820578B2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US9044639B2 (en) Support frame for exercise apparatus
KR20170006285A (ko) 운동 기기
KR20180014794A (ko)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US6733429B2 (en) Multi-mode exerciser
KR102375375B1 (ko) 2단 발 받침장치
KR101316246B1 (ko) 스포츠 휠체어용 발판 각도 조절장치
GB2127705A (en) Invalid's walking frame
US11744765B2 (en) Standing training mobile device
US20130045839A1 (en) Sitting type stepper
KR20160060891A (ko)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이동식 기립 보조 장치
CN214105730U (zh) 一种仰卧起坐辅助器
KR101424698B1 (ko) 휠체어 이용이 가능한 고령친화형 상체 운동기구
CN211323882U (zh) 一种新型残疾人公共座椅
US20020134902A1 (en) Shifting plate
CN215503842U (zh) 一种带水平度可调座椅的爬楼轮椅
KR20140089194A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CN214232563U (zh) 一种康复保健用护理椅
CN108853921A (zh) 一种用于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CN212395227U (zh) 一种普外科病人术后康复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