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89A -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89A
KR20180014489A KR1020160097803A KR20160097803A KR20180014489A KR 20180014489 A KR20180014489 A KR 20180014489A KR 1020160097803 A KR1020160097803 A KR 1020160097803A KR 20160097803 A KR20160097803 A KR 20160097803A KR 20180014489 A KR20180014489 A KR 2018001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ube
display
contro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모레이드
Priority to KR102016009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489A/en
Priority to PCT/KR2016/009621 priority patent/WO2017150780A1/en
Publication of KR2018001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es: a content providing device to set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surface of a content cube of a three dimensional cube form consisting of three surfaces by a setting screen of content provided by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content to generate content cubes, use a control cube to control a screen switch for each surface of the generated content cubes and a representation image for the content cubes to generate a map, and arrange the content cubes, the control cube, and the map on a webpage provided by a server; and a content display device to connect to the server to display a webpage screen provid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 content set on one surface of any one content cube arranged on the webpage screen by the map displayed on the webpage screen or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webpage screen.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페이지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콘텐츠큐브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고,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에 대한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one or more information through a content cube when displaying content on a web pag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a content display method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최근에는 동영상, 인터넷 신문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생성되고, 생성된 콘텐츠를 다양한 경로로 제공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internet newspapers, and the like have been created, and the generated contents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이 보급되어, 사용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정보 등을 제공받고 있으며, 한정된 크기의 단말의 표시화면에서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려고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computer, a mobile phone, and a tablet have been widely used. Users are receiving various contents, information, and the like by using the terminal. Researches for efficiently providing contents on a display screen of a terminal of a limited size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7750호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출력시키고 상기 서버와 통신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제1 디지털 콘텐츠를 불러들이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프로그램에서 상기 디지털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제3 디지털 콘텐츠와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콘텐츠 표시시스템 및 디지털콘텐츠 표시수단 생성방법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97750 disclose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erver having a content database and a member database, a user program having at least one digital frame connected to the server and a communication means,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the method comprising: loading a first digital content for display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digital frame using the user program in the user terminal; And outputting at least one second digital content in which a link with the third digital content is set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gital frame in the user program, and a digital content display means generation method have.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화면에 특정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특정 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배너를 함께 제공하기도 하는데, 사용자가 광고 등의 배너를 클릭하면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면서 배너의 관련된 광고를 제공하여 기존 사이트에 체류하면서 콘텐츠를 볼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a specific content is provided on one screen, and a banner such as another advertisement is provided together with a specific content. When a user clicks a banner such as an advertisement, There was a restriction that the content could not be seen while staying on the si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7750호 (2009.09.16.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7750 (Published September 16,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웹 페이지 상에서 3차원 콘텐츠큐브를 통해 하나의 표시영역에서 두 개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화면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웹 페이지 상에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를 배치하는 경우 맵을 통해 특정 콘텐츠큐브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iciently provide contents by making it easy to switch between two or more contents in one display area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ntents cube on a web page, and to arrange a plurality of contents cubes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 which access to a specific content cube is facilitated through a ma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광고 노출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in which advertisement exposure is facilitated by providing media content such as images, moving pictures, and text together with advertisement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큐브 및 광고 콘텐츠의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각 콘텐츠큐브 및 광고 콘텐츠의 키워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맵을 통해 해당 콘텐츠큐브 또는 광고 콘텐츠로의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cube and information of advertisement contents as a thumbnail imag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keywords of each content cube and advertisement cont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content display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which facilitate page navig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큐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큐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하고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content setting screen provided on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on a display screen; Se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a content cube having a plurality of faces through a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and creating a content cube including a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face; Creating a control cube that controls screen switching for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And setting the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the content cube and generating a map.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 상기 제어큐브 및 상기 맵을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lacing the content cube, the control cube, and the map on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또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상기 맵의 썸네일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of the map may set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the content cube as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또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 may be set to any one of image data, text data, and moving image data se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또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에 대한 옵션설정화면을 통해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map may set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through an option setting screen for the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콘텐츠의 데이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ent cubes may respectively set a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based on the data link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putted through the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may be set to any one of image data, text data, and moving image data.

또한,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맵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and add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map.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콘텐츠큐브의 백그라운드에 구현되는 정보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 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정보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fining a display area including the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content cube is displayed and implemen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 cube; And se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rea displayed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for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i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 광고 콘텐츠 및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맵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로의 화면이동 명령신호를 검출하면, 해당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 또는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display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ube, advertisement content, and a map disposed on a screen of a web page provided by a server; Checking a link information of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if a thumbnail image of one or mor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the map is detected based on a thumbnail imag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displaying the content set on one side of one of the content cubes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or the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based on the link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data.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표시영역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에서 제어큐브의 제어큐브1면에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2면에 상기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 상기 표시영역을 콘텐츠큐브와 정보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큐브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set on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may include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and making a selection mark on one side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in the control area; Detecting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making the selection mark on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Dividing the display area into a content cube and an information area; Reducing the content cube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And displaying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또한, 상기 콘텐츠큐브를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영역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at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또한,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3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3면에 상기 선택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termining whether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third content is detected if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is not detected; And selecting and displaying the three control cubes of the control cube when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third content is detected.

또한, 상기 정보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는, 광고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information area may be an advertisement.

또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가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가 아니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3면에 상기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f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content is not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making the selection mark on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세 개의 면으로 구성된 3차원의 큐브 형태로 된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여 콘텐츠큐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큐브 및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한 대표 이미지를 이용하여 맵을 생성하며, 상기 콘텐츠큐브, 상기 제어큐브 및 상기 맵을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배치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맵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 또는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a content cube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composed of three faces is set through a content setting scree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Generating a content cube, creating a map using a control cube for controlling screen switching for each side of the generated content cube, and a representative image for the content cub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cube, the control cube, To a web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a server connected to the server and displaying a web page screen provided from the server, wherein the content displayed on one side of one of the content cubes arranged on the web page screen through the map displayed on the web page screen, And a conten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페이지 상에서 3차원 콘텐츠 큐브를 통해 하나의 표시영역에서 두 개 이상의 콘텐츠에 대한 화면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웹 페이지 상에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를 배치하는 경우 맵을 통해 특정 콘텐츠큐브로의 접근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contents by facilitating screen switching of two or more contents in one display area through a three-dimensional contents cube on a web page, and to arrange a plurality of contents cubes on a web p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ccess to a specific content cube is facilitated through the ma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고, 맵을 통해 광고 콘텐츠로의 접근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dia contents such as images, moving pictures, and texts are provided together with advertisement contents, and access to advertisement contents is facilitated through a map.

특히, 본 발명은 특정 콘텐츠에서 다른 콘텐츠로의 이동 과정에서 정보영역을 통해 광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area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a specific content to another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큐브 및 광고 콘텐츠의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각 콘텐츠큐브 및 광고 콘텐츠의 키워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맵을 통해 해당 콘텐츠큐브 또는 광고 콘텐츠로의 페이지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cube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as a thumbnail imag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keywords of the respective content cube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page navigation Navigation) is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콘텐츠큐브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옵션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프리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맵을 통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b-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cube setting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 setting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preview scree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6 (e)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in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to 7 (e)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in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map information in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providing screen corresponding to a thumbnail image selected through the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information area 500 when a display area is changed in which a con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to which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b-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장치(10)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eb-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and a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먼저,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콘텐츠큐브(40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세 개의 면으로 구성된 3차원의 큐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irs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generate the content cube 400 when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user. Here, the content cube 4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cube consisting of three sides.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이 해당 될 수 있으며, 광고 데이터가 해당 될 수도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content data displayed on each side (area) of the content cube 400. [ The content displayed o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may correspond to an image, a moving image, a text, or the like, and may correspond to the advertisement data.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a link of the content data displayed o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

일 예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1면(410)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2면(420)에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동영상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할 수 있으며, 콘텐츠큐브3면(430)에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establish a link of the imag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fa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1 face 410.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a link of moving pictur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two sides of the contents cube 420, Can be set.

물론,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의 일 면에 광고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set a link of the advertisement data on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콘텐츠큐브(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400)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create the content cube 400 by setting and storing a link of the content data displayed o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 In this manner,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generate a plurality of content cubes 400. [

이렇게 생성된 콘텐츠큐브(400)는 표시화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된 표시영역(2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화면’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가령, 웹 페이지)을 의미하며, 콘텐츠큐브(400)가 표시되는 표시영역(200)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화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영역(100)에 표시되는 제어큐브(300)의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콘텐츠큐브(400)의 일 면에는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가 표시되는 표시영역(200)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The generated content cube 400 can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form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Here, the 'display screen' refers to a screen (for example, a web page)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and the display area 200 on which the content cube 400 is displayed includes a web page screen May be formed in one region. At this time, the content set on the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can be displayed by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of the control cube 300 displayed in the control area 100. [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0 in which the content cube 400 is displayed.

한편,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제어큐브(300)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큐브(300)는 콘텐츠큐브(400)의 각각의 면 중 표시영역(200)에 표시되는 면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the control cube 300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s 300 can control the face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among the respective faces of the content cubes 400. [

일 예로, 제어큐브(300)는 제어큐브1면에 의해 표시영역(200)에 콘텐츠큐브1면(4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링크에 연결할 수 있다. 제어큐브(300)는 제어큐브2면에 의해 표시영역(200)에 콘텐츠큐브2면(4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콘텐츠큐브2면(420)에 설정된 링크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큐브(300)는 제어큐브3면에 의해 표시영역(200)에 콘텐츠큐브3면(4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링크에 연결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cube 30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410 in the display area 200 by one side of the control cub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link set on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he control cube 300 can be controlled by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and connected to the link set on the two sides of the content cube 420. [ In addition, the control cube 30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ree content cubes 430 in the display area 200 by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and can connect to the link set in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제어큐브(300)는 표시화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된 제어영역(1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100)은 표시화면상에서 표시영역(200)과 분리된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영역(100)과 표시영역(200)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cube 300 may be displayed in the control area 100 form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Here, the control area 100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screen in another area separate from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control area 100 and the display area 200 may be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한편,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생성된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맵(6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400)에 설정된 콘덴츠 데이터에 대한 대표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콘텐츠큐브(400)에 대한 링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generate the map 600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ntent cube 400.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set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ontent data set in the generated one or more content cubes 400 as a thumbnail image, and set the link information for the content cube 400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

콘텐츠 제공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맵(600)은 표시화면 상에서 미리 지정된 영역인 제3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맵(600)은 표시화면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화면 이동 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map 600 genera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be displayed in the third area which is a predetermined area on the display screen. The map 600 may be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and may be fixed and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display.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생성된 콘텐츠큐브(400) 및 제어큐브(300)에 대한 정보와 표시영역(200) 및 제어영역(100) 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맵(600)에 대한 정보를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큐브(400) 및 제어큐브(300)에 대한 정보와 표시영역(200) 및 제어영역(100) 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맵(6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상에 해당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 등을 배치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content cube 400 and the control cube 300 and information on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control area 100 and information on the map 600 to the server 30). Accordingly, the server 3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control cube 300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information on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control area 1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may be arranged on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30 us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be 400,

한편,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서버(30)로부터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 등을 배치할 웹 페이지의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정보를 사전에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상에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웹 페이지를 완성하고, 완성된 웹 페이지를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30)는 콘텐츠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웹 페이지를 특정 웹 사이트 상에 업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receives information of a web page to which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are to be placed from the server 30, for example, source co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adds information on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on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provided from the server 30 to complete the web page , And provide the completed web page to the server 30. Therefore, the server 30 can upload the web pag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to a specific web site and provide it to the user.

한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서버(30)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an access the server 30 and access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30.

이에,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웹 페이지를 표시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 배치된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 등을 표시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displaying the web pag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display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disposed on the web page on the display screen.

먼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을 표시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표시영역(200)에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미리 지정된 제어영역(100)에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된 제어큐브(30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표시’라 함은, 가령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큐브1면(310)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으로, 제어큐브1면(310)이 선택표시되면 제어큐브1면(310) 상에 표시된 특정 색상이나 문양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First, whe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control cube 300 on the display screen, the content cube 400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410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e pre- Lt; / RTI >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can display the control cubes 300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first control plane 310 in the pre-designated control area 100. Here, the 'selection indication' indicates that when the first content set on the first content plane 410 is displayed, the first control plane 310 is selected and the first control plane 310 is selected And can be confirmed through a specific color or pattern displayed on the first surface 310 of the control cube.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이 선택됨에 따라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이하,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라 함)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를 하고,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2면(420)에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제2콘텐츠를 호출하여 표시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제2콘텐츠로 전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a display comman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tent') for the second content as the control plane 200 of the control cube 300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ontrol region 100, The control unit 200 makes a selection mark on the control cube 2 side 320 of the control cube 300 and selects the second control cube 300 on the second side 420 of the content cube 400, And invites the content to switch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to the second content.

한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좌측이동영역(33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이 선택되거나 우측이동영역(325)이 선택됨에 따라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를 하고, 표시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2면(420)에 설정된 제2콘텐츠로 전환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left moving area 335 and the right moving area 325 in the display area 200 and controls the two control cubes 32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 Is selected or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as the right movement area 325 is selected, a selection mark is displayed on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20 of the control cube 300, To the second content set on the content cube 2 side 420 of the content cube 400. [

또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좌측이동영역(335)을 표시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이 선택되거나 상단이동영역(315)이 선택됨에 따라 제3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이하,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라 함)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에 선택표시를 하고, 표시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3면(430)(330)에 설정된 제3콘텐츠로 전환하도록 한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top moving area 315 and the left moving area 335 in the display area 200 and displays three control cubes 33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third conten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top moving region 315 or the selection of the top moving region 315, (330) and switches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to the third content set in the content cube (430) (330) of the content cube (400).

표시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고,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콘텐츠큐브(400)의 백그라운드에 구현되는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하여 정보영역(500)에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영역(500)에 미리 설정된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광고가 해당될 수도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and converts the display area 200 to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content cube 400. [ And an information area 500 implemented in the background of the display area 400, and display information set in the information area 500 in advance. Here, the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information area 500 may correspond to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etc., and may correspond to an advertisement.

한편,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상에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400)가 배치되고,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가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맵(600)을 표시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우, 표시화면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맵(60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맵(600)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해당 웹 페이지 내에서 화면을 이동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ntent cubes 400 are arranged on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30, and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map 60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tent cubes 400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map 600 can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screen. At this time, the location where the map 600 is displayed can be fixed and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 even if the screen is moved within the web pag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복수 개의 콘텐츠큐브(400)에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대표 이미지를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display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ontent set in the plurality of content cubes 400 as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600.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맵(6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콘텐츠로의 화면이동 명령신호를 검출하면,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링크를 통해 해당 콘텐츠큐브(400)를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When one of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the map 60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600 in response to a scroll command signal to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a predetermined link corresponding to the image.

한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웹 페이지 상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can display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placed on the web page as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60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맵(600) 상에 디스플레이 된 광고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의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맵(600)에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링크를 통해 해당 광고 콘텐츠를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When the thumbnail image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ed on the map 600 i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isplay command signal of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is detected by the user,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in the map 600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s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set lin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의 콘텐츠큐브 생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ent cube generating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 생성을 위한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execute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for creating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에서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s shown in Fig.

먼저,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도면부호 251에서와 같이, 콘텐츠큐브1면(410)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이미지 데이터의 링크, 예를 들어, 'http://s_media.ab.com/Image/A1.jpg'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도면부호 253에서와 같이, 콘텐츠큐브2면(420)에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동영상 데이터의 링크, 예를 들어, 'http://blog.naver.com/abcd/220561'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도면부호 255에서와 같이, 콘텐츠큐브3면(430)에 대응하여 해당 면에 표시할 텍스트 데이터의 링크, 예를 들어, 'http://m.terms.naver.com/entry.nhn?...'를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transmits a link of imag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for example, 'http://s_media.ab.com/ Image / A1.jpg '.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link of video data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content cube 2 (420), for example, 'http://blog.naver.com / abcd / 220561 ".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also includes a link of text data to be displayed on the fa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three face 430, for example, 'http: //m.terms.naver .com / entry.nhn? ... '.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 설정이 완료된 후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SAVE' 버튼(271)이 조작되면 해당 콘텐츠큐브(400)를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한다. 물론,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CANCEL' 버튼(273)이 조작되면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 데이터 링크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When the 'SAVE' button 271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operated after the link setting of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s operate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 transmits the content cube 400 ' And stores it. Of cours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initialize the content data link setting of the content cube 400 when the 'CANCEL' button 273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operated.

한편,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OPTION' 버튼(275)이 조작되는 경우, 콘텐츠큐브(400)가 표시된 표시영역(200)의 정보영역(5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설정하거나, 해당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맵(600)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TION' button 275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operate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the information area 500 of the display area 200 displayed Or set the map 60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0050]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OPTION' 버튼(275)이 조작되는 경우에 제공되는 옵션 설정 화면은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option setting screen provided when the 'OPTION' button 275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manipulated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 화면(351)은 도면부호 371에서와 같이, 표시영역(20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 데이터, 즉, 정보영역(500)에 표시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3, the option setting screen 351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ncludes background data of the display area 200, that is, content data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5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nu for setting.

이때,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정보영역(500)에 표시할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 예를 들어, 'http://image.newsto.com/img/1.jpg'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a link of content data to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500, for example, 'http://image.newsto.com/img/1.jpg'.

한편,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옵션 설정 화면(351)은 도면부호 375에서와 같이, 표시영역(200)에 표시되는 콘텐츠큐브(400)에 대한 맵(600)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tion setting screen 351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may provide a menu for setting the map 600 for the content cube 400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75 .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맵(600)에 표시되는 해당 콘텐츠큐브(400)의 썸네일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큐브(400)로 화면 이동하기 위한 링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a thumbnail imag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displayed on the map 600, and sets link information for moving the scree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

물론,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해당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콘텐츠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 썸네일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Of cours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automatically set an image of the content set on the content cube 1 side 410 of the content cube 400 as a thumbnail image. The method of setting the thumbnail image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it is obvious that the method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한편,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PRIVIEW' 버튼(277)이 조작되는 경우, 콘텐츠큐브(400)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큐브(400)의 프리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IVIEW' button 277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operate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200 on which the content cube 400 is displayed, Can be provided.

도 2에서,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의 'PRIVIEW' 버튼(277)이 조작되는 경우에 제공되는 프리뷰 화면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FIG. 2, the preview screen provided when the 'PRIVIEW' button 277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is operated can be shown in FIGS. 4 and 5.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프리뷰 화면은 각 면에 설정된 각각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에 설정된 콘텐츠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표시영역(200)을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영역(200)에 근접하여 제어큐브(300)를 포함하는 제어영역(100)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review screen may provide a content cube 400 representing each content set on each side, and a display area 200 for allowing the user to view all the content set in the information area 500 And can provide a control area 100 including the control cubes 300 close to the display area 200. [

한편, 프리뷰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큐브(400)의 콘텐츠큐브1면(410)에 설정된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영역(200)을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영역(200)에 근접하여 제어큐브(300)를 포함하는 제어영역(100)을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view screen may provide a display area 200 indicating the content set on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of the content cube 400 as shown in Fig. 5, and may be provided close to the display area 200 A control area 100 including a control cube 300 may be provided.

도 4 및 도 5의 프리뷰 화면에서는 제어영역(100)이 노출된 상태에서 제어큐브(300)가 제어영역(100) 상에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프리뷰 화면에 제어영역(100)이 비노출된 상태에서 제어큐브(300)만이 노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4 and 5, the control cube 300 is exposed on the control area 100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area 100 is exposed. However,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control area 100 is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nly the control cube 300 in an unexposed state may be provided in an exposed form.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도 6(a) 내지 도 6(e)는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6 (a) to 6 (e)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in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to 6 (e) show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when the display area 200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is changed.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콘텐츠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a)는 제1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6(e)는 제2콘텐츠(예를 들어, 텍스트)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 내지 도 6(d)는 제1콘텐츠의 표시화면에서 제2콘텐츠의 표시화면으로 이동하면서, 정보영역(500)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6A to 6E show content i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shows that the first content (for example, moving image) is displayed. , And Fig. 6 (e) shows that the second content (e.g., text) is displayed. 6 (b) to 6 (d) show that th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is displayed while moving from the display screen of the first content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이때, 도 6(c)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까지 축소된 상태와, 콘텐츠큐브(400)를 제외한 표시영역(200)인 정보영역(500)에 미리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광고 등)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and information that is preset in the information area 500 that is the display area 200 excluding the content cube 400 , Advertisement, etc.) are displayed.

또한, 도 6(b)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6 (b) shows an operation in which the content cube 400 is rotated while reducing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또한, 도 6(d)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에서 크기를 확대면서, 표시영역(200)의 전체화면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6D shows a process of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도 6(a)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은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영역(200)과 제어큐브(300)가 포함되는 제어영역(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표시는 제어큐브1면(310)을 제어큐브2면(320), 제어큐브3면(330)과 구분되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제어큐브1면(310)을 깜빡이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표시가 가능하다.6A, the entir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include a display area 200 in which contents are displayed and a control area 100 in which a control cube 300 is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200 and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Here, the selection indication may be displayed in a variety of colors, such as displaying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20 and the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330, or flickering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in the form.

도 6(b) 내지 도 6(d)는 사용자 등의 외부입력에 의해서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한 경우를 예로 나타낸 것이다. 6 (b) to 6 (d) show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a second content is detected by an external input of a user or the lik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외부입력에 의해서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한다. 여기서, 선택표시는 제어큐브2면(320)을 제어큐브1면(310), 제어큐브3면(330)과 구분되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제어큐브1면(310)을 깜빡이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표시가 가능하다.Whe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etects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by an external input,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electively displays the control command on the two sides 320 of the control cube 300 of the control cube 300. Here, the selection indication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the control cube three side 330, or a variety of colors, such as flicking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in the form.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하고,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까지 축소한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and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예를 들어, 텍스트)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예를 들어, 그림이나 사진)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e.g., a movie)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1 side 410 and the second content 420 (e.g., text) is preset And a third content (e.g., a picture or a picture) may be preset in the content cube 43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에 광고 콘텐츠가 미리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제1콘텐츠를 보다가 제2콘텐츠를 보기 위해서 제어큐브(300) 또는 이동영역(예를 들어, 좌측이동 영역(335), 우측이동영역(325), 상단이동영역(315) 등)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정보영역(500)의 광고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정보영역(500)을 광고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use the information area 500 in various forms.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preset in the information area 500, the user can view the first content,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by selecting the first content 300 or the moving region (e.g., the left moving region 335, the right moving region 325, the upper moving region 315,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advertisements in the information area 500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rea 500 can be used as an advertisement area.

여기서, 도 6(b)에서 도 6(d)로의 과정에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 크기까지 축소하고 확대하면서, 미리 설정된 광고를 보여주고, 선택된 컨텐츠를 보여준다. 이때, 설정에 따라 최소 크기를 얼마로 할지, 콘텐츠큐브(400)의 동작 방향 등은 설정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6 (b) to 6 (d),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advertisement and displays the selected content while reducing and enlarging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setting, the minimum size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content cube 4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etting.

도 6(e)는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FIG. 6 (e) shows a screen in which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while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at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도 6(b) 내지 도 6(e)에서 제어큐브(300)는 외부입력에 의해서 선택된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가 된다.6 (b) to 6 (e), the control cube 300 is selected on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20 selected by the external input.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e)는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7 (a) to 7 (e)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in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s. 7 (a) to 7 (e)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when the display area 200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is changed.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6(e)의 실시예와 비교 할 때, 표시장치(1300)에서 표시영역(200), 제어영역(100)과 함께, 이동영역을 표시한 점에서 차이가 있고,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도 6(a) 내지 도 6(e)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a) through 7 (e)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a) through 6 (e) in that the display area 200, 6 (a) to 6 (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technical features as those of the embodiments of Figs. 6 (a) to 6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표시영역(200)과 이동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이때, 이동영역은 제어큐브(3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7A to 7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moving area i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wherein the moving area is a control area, And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control unit 300 shown in FIG.

이동영역은 제어큐브(3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영역은 우측이동영역(325), 좌측이동영역(335), 상단이동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이동영역(31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상단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고, 우측이동영역(32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우측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이동영역(33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하단 또는 좌측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다.The moving region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oving region may include a right moving region 325, a left moving region 335, and an upper moving region 315. [ For example, the upper movement area 315 may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full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to overlap with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right movement area 325 may be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The display area 200 can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tire screen. In addition, the left moving area 335 may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lower or left side of the entir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o as to overlap with the display area 200.

예를 들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가 되고, 좌측이동 영역(33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될 경우, 외부로부터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하고,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좌측이동영역(335)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단이동영역(315)을 선택하여 제1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볼 수 있고, 좌측이동영역(335)을 선택하여 다시 제3콘텐츠(예를 들어, 그림이나 사진)를 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When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outside on the control plane two sides 320 or the right movement area 325 from the outside when the area 335 and the right movement area 325 are displayed, And the top moving region 315 and the left moving region 335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 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the top moving area 315 to view the first content (e.g., moving picture), select the left moving area 335, Or photos).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가 되고, 좌측이동영역(33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될 경우, 외부로부터 제어큐브3면(330) 또는 좌측이동영역(335)에서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에 선택표시하고,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는 우측이동영역(325)을 선택하여 제2콘텐츠를 볼 수 있고, 상단이동영역(315)을 선택하여 다시 제1콘텐츠를 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When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outside on the third control plane surface 330 or the left movement area 335 from the outside when the moving area 335 and the right moving area 325 are displayed, And the top moving region 315 and the right moving region 325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 That is,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the right movement area 325 to view the second content, and select the upper movement area 315 to view the first content agai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큐브(300) 및/또는 이동영역을 이용하여 제1콘텐츠에서 제1콘텐츠와 다른 제2, 제3콘텐츠를 볼 수 있고,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큐브(400) 이동 시에 광고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 정보영역(500)을 보여주어, 사용자는 한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control cube 300 and / or the moving area to view second and third content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s in the first contents, and to move the contents cube 400 An information area 500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have access to various information on one screen.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어영역(100)이 노출된 상태에서 제어큐브(300)가 제어영역(100) 상에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설정에 따라 제어영역(100)이 비노출된 상태에서 제어큐브(300)만이 노출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6 and 7, the control cube 300 is exposed on the control area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area 100 is exposed. However, i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The control cube 300 may be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100 is unexpos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화면에 맵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conten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map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도 8을 참조하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화면(811)에는 콘텐츠 제공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큐브(400)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82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서버(30)에 의해 제작된 광고 콘텐츠(825)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8, a content 821 set on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genera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be displayed on a web page screen 811 provided by the server 30, The advertisement content 825 produced by the server 30 may be displayed.

또한,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화면(811)의 고정된 영역에 콘텐츠 제공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맵(6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600 genera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be displayed in a fixed area of the web page screen 811 provided by the server 30.

여기서, 맵(600)은 해당 웹 페이지 화면(811)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610, 630, 65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400)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610, 630, 65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610),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630) 그리고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650)가 해당될 수 있다. 물론, 그 외에도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설정된 콘텐츠 중 해당 콘텐츠큐브(400)를 대표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Here, the map 600 may display thumbnail images 610, 630, and 650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content cubes 400 disposed on the web page screen 811. At this time, the thumbnail images 610, 630, and 650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content cubes 400 include a thumbnail image 610 for the image data, a thumbnail image 630 for the text data, and a thumbnail image 650 ) May be applicable. Of course, information of contents representative of the content cube 400 among the contents set o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may be displayed as a thumbnail image.

또한, 맵(600)은 해당 웹 페이지 화면(811)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825)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670)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The map 600 may also display a thumbnail image 670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f the ad content 825 placed on the web page screen 811.

이 경우, 사용자는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각 콘텐츠 큐브의 주제 키워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825)를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670)로 활용함으로써 맵(600)을 통한 광고 노출의 효과도 도출해 낼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ubject keyword of each content cube through the thumbnail image of the map 600. [ In addition, by us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825 as a thumbnail image 670 of the map 600, the effect of advertisement exposure through the map 600 can be derived.

만일, 사용자에 의해 맵(600) 상에 디스플레이 된 썸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는 맵(6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링크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를 따라 해당하는 콘텐츠큐브(400) 또는 광고 콘텐츠를 웹 페이지 화면(81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If any one of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the map 60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ent display device confirms the link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600,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or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web page screen 811. [

이 경우, 사용자는 맵(600)을 통해 웹 페이지 화면(811)을 원하는 콘텐츠큐브(400) 또는 광고 콘텐츠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move the web page screen 811 through the map 600 to the desired content cube 400 or the advertisement content scree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or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1). 이때, 실행된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은 콘텐츠큐브(400), 정보영역(500) 및 맵(600)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executes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S101). At this time, the executed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may provide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content cube 400, the information area 500, and the map 600 and the like.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설정화면을 통해 콘텐츠큐브의 각 면(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큐브의 각 면(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하도록 한다(S102).When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side (area) of the content cube is inputted through the setting scree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 uses the inputted information to select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Step S102).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S102' 과정에서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콘텐츠큐브(400)를 생성하고, 콘텐츠큐브에 대응하는 제어큐브(300)를 생성하도록 한다(S103).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genera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cube 400 when the save button is selected by the user after the setting of the content data for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S102' To generate a control cube 300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ube 300 (S103).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옵션설정화면을 통해 표시영역(200)의 정보영역(500)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링크를 설정하도록 한다(S104).Whe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rea 500 of the display area 200 is inputted through the option setting scree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 uses the input information A link of the content data to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500 is set (S104).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옵션설정화면을 통해 표시화면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맵(600)을 설정하도록 한다(S105). 여기서,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콘텐츠큐브(400)에 설정된 콘텐츠 데이터 중 대표 콘텐츠를 이용하여 맵(600)의 썸네일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sets a map 600 to be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screen on the option setting scree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S105). Her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can set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600 using the representative content among the content data set in the content cube 400. [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600)의 생성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는 생성된 콘텐츠큐브(400), 제어큐브(300) 및 맵 정보를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상에 배치하도록 한다(S106).When the creation of the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600 is complete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ent cube 400, the control cube 300 and the map information to the server 30, (S106). ≪ / RTI >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to 13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flow for a conten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맵을 통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ontent providing screen corresponding to a thumbnail image selected through a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화면에 하나 이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맵(600)이 표시되면(S201), 웹 페이지 화면에 표시된 맵(600) 상의 썸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S202).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가 해당될 수 있으며, 광고 정보가 해당될 수도 있다.10, when the map 600 including one or more thumbnail images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screen provided by the server 30 (S201),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map 600 ) May be selected (S202). Here, the thumbnail image may correspond to image data, text data, and moving image data, and may correspond to advertisement information.

만일, 맵(600) 상에서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링크 정보를 확인하고(S203), 확인된 링크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큐브(400) 또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204).If any thumbnail image is selected on the map 6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onfirms the link information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S203), and the content cube 400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link information ) Or the advertisement contents on the display screen (S204).

일 예로서, 맵(600) 상에서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As an example, if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selected on the map 6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on the display screen.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when the display area 200 display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11을 참조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를 한다(S401). 여기서, 표시영역(200)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으로 콘텐츠 표시영역(200)이라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큐브(300)는 제어영역(100)에 마련되고, 표시영역(200)에 콘텐츠를 임의의 콘텐츠(예를 들어, 제1콘텐츠, 제2콘텐츠, 제3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예를 들어, 터치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입력)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부분이다.11,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makes a selection mark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S401). Here, the display area 200 may be called a content display area 200 as an area for displaying a content. The control cubes 300 are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100 and allow the contents to be input to the display area 200 by inputting arbitrary contents (for example, any one of the first contents, the second contents, and the third contents) And controls display according to a signal (e.g., a touch input or a click input using a mouse).

또한, 선택표시는 제어큐브1면(310)을 제어큐브2면(320), 제어큐브3면(330)과 구분되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제어큐브1면(310)을 깜빡이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표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lection indication may be displayed in a variety of colors, such as one side of the control cube 310, another side of the control cube 320, a different color from the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330, a blinking of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display in the form.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control cubes 310 of the control cube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preset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control cubes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a third content prese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한다(S402).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confirms that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S402).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한다(S405). Whe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etect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selectively display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on the two sides 320 of the control cube 300 (S405).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406).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406).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407).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407).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2면(42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wo sides 42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408).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 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2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408).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the outsid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whe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secon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409).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set minimum size (S409).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한다(S412).I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oes not detect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t confirms whether it has detected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S412).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에 선택표시한다(S415).Whe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etects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selectively displays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on the third control plane 330 of the control cube 300 (S415).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416).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416).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417).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417).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3면(43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an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hree sides 43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418).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 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3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418).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the outsid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whe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419).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thir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set minimum size (S419).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thir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변경 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when the display area 200 in which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is changed.

도 12를 참조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를 한다(S501). 여기서, 표시영역(200)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으로 콘텐츠 표시영역(200)이라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큐브(300)는 제어영역(100)에 마련되고, 표시영역(200)에 콘텐츠를 임의의 콘텐츠(예를 들어, 제1콘텐츠, 제2콘텐츠, 제3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예를 들어, 터치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입력)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12,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makes a selection mark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S501). Here, the display area 200 may be called a content display area 200 as an area for displaying a content. The control cubes 300 are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100 and allow the contents to be input to the display area 200 by inputting arbitrary contents (for example, any one of the first contents, the second contents, and the third contents) And controls display according to a signal (e.g., a touch input or a click input using a mouse).

또한, 선택표시는 제어큐브1면(310)을 제어큐브2면(320), 제어큐브3면(330)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제어큐브1면(310)을 깜빡이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표시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election indication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displaying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20 and the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330, or flickering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A check mark is availabl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control cubes 310 of the control cube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preset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control cubes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a third content prese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이하,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라 함)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한다(S502).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는 제1콘텐츠를 표시하라는 제1콘텐츠 표시명령신호, 제2콘텐츠를 표시하라는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 제3콘텐츠를 표시하라는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confirms whether it has detected a display command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content (S502). 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may include a first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o display a first content, a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o display a second content, and a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o display a thir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콘텐츠 표시명령신호가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인지 확인한다(S503).Whe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etects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t confirms that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S503).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계 S501을 수행한다.I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oes not detect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t performs step S501.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표시명령신호가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이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한다(S505).If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selected content on the two sides 320 of the control cube 300 (S505).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506).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506).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507).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507).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2면(42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wo sides 42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08).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가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 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2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508).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advanc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if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secon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509).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at a preset minimum size (S509).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표시명령신호가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가 아니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에 선택표시한다(S515).If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not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selectively displays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on the third control plane 330 of the control cube 300 (S515).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516).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516).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517).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517).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3면(43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an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hree sides 43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518).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3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518).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the outsid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whe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519).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thir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set minimum size (S519).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thir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텐츠가 표시된 표시영역(200) 변경시에 정보영역(500)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area 500 when the display area 200 display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13을 참조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하고, 좌측이동영역(33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한다(S601). 여기서, 표시영역(200)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으로 콘텐츠 표시영역(200)이라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큐브(300)는 제어영역(100)에 마련되고, 표시영역(200)에 콘텐츠를 임의의 콘텐츠(예를 들어, 제1콘텐츠, 제2콘텐츠, 제3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예를 들어, 터치입력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입력)에 따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부분이다.13,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a first content in a display area 200, selectively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a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The left moving region 335 and the right moving region 325 are displayed (S601). Here, the display area 200 may be called a content display area 200 as an area for displaying a content. The control cubes 300 are provided in the control area 100 and allow the contents to be input to the display area 200 by inputting arbitrary contents (for example, any one of the first contents, the second contents, and the third contents) And controls display according to a signal (e.g., a touch input or a click input using a mouse).

그리고, 좌측이동영역(33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하단 또는 좌측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고, 우측이동영역(32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우측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동영역(315)은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체화면의 상단에 일부분이 표시영역(200)과 겹쳐지게 표시될 수 있다. The left movement area 335 can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lower or left side of the entir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o as to overlap with the display area 200 and the right movement area 325 can be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The display area 200 can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tire screen. In addition, the upper movement area 315 may be partially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tir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o as to overlap with the display area 200.

또한, 선택표시는 제어큐브1면(310)을 제어큐브2면(320), 제어큐브3면(330)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제어큐브1면(310)을 깜빡이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선택표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lection indication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displaying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20 and the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330, or flickering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A check mark is availabl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을 선택하면,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신호에 따라 표시영역(200)에 미리 설정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control cubes 310 of the control cube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preset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control cubes 300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a third content preset in the display area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한다(S602).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onfirms whether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in the control cube two-sided surface 320 or the right moving area 325 (S602).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한다(S604).Whe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etects a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n the control cube two-sided 320 or the right-hand moving area 325,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electively display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on two sides 320 of the control cube 300 S604).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605).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605).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606).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606).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2면(42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may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wo sides 42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from left to right.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07).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2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607).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the outsid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whe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secon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608).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S608).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좌측이동영역(335)을 표시한다(S609).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top moving region 315 and the left moving region 335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S609).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큐브3면(330) 또는 좌측이동영역(335)에서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한다(S612).If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oes not detect the second content indication command signal in the control cube 2 side 320 or in the right side movement area 325,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S612).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어큐브3면(330) 또는 상단이동영역(315)에서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3면(330)에 선택표시한다(S614).When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etects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n the control plane 3 plane 330 or the top movement area 315,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selectively displays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on the control plane 3 plane 330 of the control cubicle 300 S614).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어큐브3면(330) 또는 상단이동영역(315)에서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계 S602를 수행한다.I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oes not detect the thir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n the control cube three-sided face 330 or the top moving region 315, the step S602 is performed.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한다(S615). 여기서, 콘텐츠큐브(400)는 3차원의 큐브 형태로 3차원의 큐브 각각의 면(영역)에 미리 설정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큐브1면(410)은 제1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2면(420)은 제2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큐브3면(430)은 제3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vides the display area 200 into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area 500 (S615). Here, the content cube 400 has a three-dimensional cube shape, and content set in advance on each face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cube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41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10, the second content 420 is preset in the content cube 420, and the content cube 3 is set in the third content 430, And may be set in advanc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한다(S616). 이때,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3차원의 큐브 형태로 표시하고, 콘텐츠큐브(400)의 각 면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콘텐츠큐브(400)를 최소크기까지 축소되면서 뒷면의 정보영역(500)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정보영역(500)을 볼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reduces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S616).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content cube 400 in a three-dimensional cubic form and displays the content contained in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400.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back side is displayed while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the minimum siz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formation area 500. [

여기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면서,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콘텐츠큐브1면(410)이 점점 작아지면서, 콘텐츠큐브3면(430)이 점점 커지며,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콘텐츠큐브(400)가 회전하는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Here, 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can reduce the content cube 400 to a preset minimum size, for example, by setting the content cube one side 41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three sides 430 to be smaller And the content cube 4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se settings are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또한,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를 표시영역(200) 전체크기 대비하여 0 내지 50% 사이에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minimum size may be set between 0% and 50% of the entire size of the display area 200. For example,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17). 정보영역(500)은 설정에 따라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되면, 콘텐츠큐브(400)가 최소크기까지 축소될 때 외부에 미리 설정된 광고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텐츠를 이동(예를들어, 제1콘텐츠에서 제3콘텐츠로의 이동)을 하면서 하나의 화면에서 제1콘텐츠 내지 제3콘텐츠와 다른 광고 등의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500 (S617). The information area 50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preset in the outside when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minimum size, when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tting . By doing so, information such as an advertise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an external user on one screen while moving the content (for example, moving from the first content to the third content) .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표시영역(200)에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618). 이때, 최종적으로 3차원의 콘텐츠큐브(400)는 사라지면서 표시영역(200) 전체에 평면의 2차원으로 제3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ent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thir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400 from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S618). At this time,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ntent cube 400 disappears, and the third content is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plane on the entire display area 20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한다(S619).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displays the top moving region 315 and the right moving region 325 on the screen of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S619).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0) 및/또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and / or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hardware devic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But may be embodied in a form embedded in other hardware devices, such as computer system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to which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Laptop),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태블릿(Tablet) 컴퓨터, 이동전화, 미디어 플레이어, PDA, 서버 등, 그리고 이러한 아이템 둘 이상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장치일 수 있다. 단말은 오직 휴대용 전자장치 또는 서버의 한 예이고, 단말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2에 도시한 여러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 및/또는 프로그램 전용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12,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a portable computer, a handheld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mobile phone, a media player, a PDA, a server, But may be 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h items.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a terminal is only an exampl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server and that the terminal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or configurations of different components than shown. The various components shown in FIG. 12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and / or program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단말은 메모리(1100), 메모리 제어장치(12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30), 인터페이스(1250), 표시장치(1300), 입력장치(1400), 통신회로(1500), 외부포트(1600), 오디오회로(1700), 스피커(18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The terminal includes a memory 1100, a memory control device 1210, one or more processors 1230, an interface 1250, a display device 1300, an input device 1400, a communication circuit 1500, an external port 1600, An audio circuit 1700, and a speaker 1800.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메모리(1100)는 임의의 데이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저장장치, 예를 들어 통신회로(1500) 또는 외부포트(1600)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이나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0) 및 인터페이스(1250)와 같은 단말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1100)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회로(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memory 1100 is a portion storing any data, software, command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nd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 some embodiments, memory 1100 may be coupled to a storage device, e.g., communication circuitry 1500, or external port 1600, located remotely from one or more processors,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WLAN) ), A Storage Area Network (SAN), and the like,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Access to memory 1100 by other components of the terminal, such as processor 1230 and interface 1250, may be controlled by memory control circuitry 21.

메모리(1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체제(1110), 통신모듈(1130)(또는 명령어 세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명령어 세트)(1150), 데이터베이스(1170)를 포함한다.The software components stored in the memory 1100 include an operating system 1110, a communication module 1130 (or instruction set), at least one program (instruction set) 1150, and a database 1170.

운영체제(1110)(예를 들어, 다윈(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 안드로이드, IOS와 같은 내장 운영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메모리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An operating system 1110 (e.g., an embedded operating system such as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or VxWorks, Android, or IOS) performs common system tasks (e.g., memory management, memory control, Power management, etc.),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통신모듈(1130)은 하나 이상의 외부포트(1600)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통신회로(1500)와 외부포트(1600)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포트(1600)(예를 들어, USB, FIREWIRE 등)는 다른 장치로의 직접 연결이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한 간접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Communication module 1130 also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via one or more external ports 1600 and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by communication circuit 1500 and external port 1600 . The external port 1600 (e.g., USB, FIREWIRE, etc.) is used for direct connection to another device or for indirect connection via a network (e.g., Internet, wireless LAN, etc.).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브라우저,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부호화, 디지털 제공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위치정보), 음악 플레이어(MP3 또는 AAC 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여 단말에 설치된 임의의 모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programs 1150 may be implemented as a browser, an address book, a contact list, an email, an instant message, a word processing, a keyboard emulation, a widget, Including voice recognition, voice reproduction, location function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at provided by GPS), music players (playing music stored in one or more files recorded in one or more files such as MP3 or AAC files) Lt; RTI ID = 0.0 > program. ≪ / RTI >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제어큐브(300), 콘텐츠큐브(400), 맵(600)을 설정하고, 제어큐브(300), 콘텐츠큐브(400), 맵(600)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위치 및 크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제어큐브(300), 콘텐츠큐브(400), 맵(600)의 생성이 완료되면, 제어큐브(300), 콘텐츠큐브(400), 맵(600) 등을 서버(30)에서 제공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상에 배치하여 최종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종 웹 페이지를 서버(30)에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rogram 1150 sets a control cube 300, a content cube 400, and a map 600, and controls a region where the control cube 300,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map 600 are displayed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like. At least one or more programs 1150 may be used to control the control cubes 300, the content cubes 400, the maps 600, and the like when the control cubes 300, the content cubes 400, Can be programmed to be placed on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30 to generate the final web page and to provide the generated final web page to the server 30. [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웹 페이지 화면의 일 영역에 맵(600)을 디스플레이하고, 맵(600) 상에 해당 웹 페이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400) 및/또는 광고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맵(600) 상에 디스플레이 된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콘텐츠큐브(400) 또는 광고 콘텐츠 화면으로 이동하여 웹 페이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programs 1150 may display the map 600 in one area of the web page screen and may display one or more content cubes 400 and / And may be programmed to display a thumbnail image.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program 1150 selects any of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the map 600, it checks the link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web page screen.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를 하고,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를 하고,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하고,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고,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rogram 115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makes a selection mark on the first control plan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The display area 200 is divided into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information area 500 and the content area 400 is divided into the content area 400 and the information area 500, The cube 400 may be reduced to a preset minimum size, and the information area 500 may be programmed to display the preset information.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 표시를 하고,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하고, 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콘텐츠 표시명령신호가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인지 확인하고,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를 하고, 표시영역(200)을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으로 구분하고, 콘텐츠큐브(400)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고, 정보영역(500)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rogram 115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makes a selection mark on the control cube one sid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And when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and when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the control cube 2 of the control cube 300 The display area 200 is divided into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information area 500 and the content cube 400 is reduced to a preset minimum size and the information area 500 And can be programmed to display preset information.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150)은 표시영역(200)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100)에서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1면(310)에 선택표시하고, 좌측이동영역(335)과 우측이동영역(325)을 표시하고,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제어큐브(300)의 제어큐브2면(320)에 선택표시하고, 제어큐브2면(320) 또는 우측이동영역(325)에서 제2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큐브3면(330) 또는 상단이동영역(315)에서 제3콘텐츠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하고, 표시장치(1300)의 화면에 상단이동영역(315)과 좌측이동영역(335)을 표시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rogram 1150 displays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200 and selectively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first control plane 310 of the control cube 300 in the control area 100, When the second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is detected in the control cube two-sided surface 320 or the right moving area 325, the control cube 300 is displayed on the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300 320 in the upper control region 315 and does not detect the second content indication command signal in the control cube two sides 320 or the right movement region 325,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ontent display command signal has been detected and to display the upper moving region 315 and the left moving region 335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300. [

데이터베이스(117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데이터로, 다양한 카테고리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database 1170 is data stored in the memory 1100 and includes various category data.

메모리 제어장치(1210)는 프로세서(1230) 및 인터페이스(1250)와 같은 단말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1100)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부분이다.The memory control device 1210 is a part that controls access to the memory 1100 by other components of the terminal such as the processor 1230 and the interface 1250. [

프로세서(123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110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또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Processor 1230 performs various functions and processes data for the terminal by executing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 / or instructions or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1100.

인터페이스(1250)는 단말의 입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230) 및 메모리(1100)와 연결시킨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3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110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50), 프로세서(1230) 및 메모리 제어장치(1210)는 하나의 단일칩 상에서 구현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face 1250 connects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device of the terminal with the processor 1230 and the memory 1100. One or more processors 1230 execute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 / or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11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terminal and process the data. For example, the interface 1250, the processor 1230, and the memory control device 1210 may be implemented on one single chip or implemented on a separate chip.

표시장치(1300)는 사용자와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표시장치(13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는데, 표시장치(1300)가 표시하는 화면에는 제어큐브(300), 콘텐츠큐브(400), 맵(600)에 대한 설정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300)가 표시하는 화면에는 표시영역(200), 제어영역(100) 및 맵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Display device 1300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That is, the display device 1300 displays a visual output to the user. The screen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1300 includes a setting screen for the control cube 300, the content cube 400, and the map 600 .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1300 may include a display area 200, a control area 100, and a map display area.

또한, 제어영역(100)에는 제어큐브(300)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영역(200)에는 콘텐츠큐브(400)와 정보영역(500)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region 100 may include a control cube 300 and the display region 200 may include a content cube 400 and an information region 500.

입력장치(1400)는 사용자와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입력장치(1400)는 사용자가 단말에 입력신호와 같은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장치(1400)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단말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검출하고 프로세서(1230)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한다.The input device 1400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That is, the input device 1400 allows a user to input a command, such as an input signal, to the terminal. When the user inputs an input signal through the input device 1400, the terminal detects various types of user input signals And executes the user's comman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230. [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장치(1400)를 통해서 제어큐브(300)의 일 면(예를 들어, 제어큐브1면(310), 제어큐브2면(320), 제어큐브3면(330)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선택하거나, 이동영역(우측이동영역(325), 좌측이동영역(335), 상단이동영역(315) 중 어느 하나의 이동영역)의 일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select one of the control cubes 300 (e.g., control cube one side 310, control cube two side 320, three sides of control cube 330) via input device 1400 (A moving region of any one of the right moving region 325, the left moving region 335, and the upper moving region 315) can be selected.

다만,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1300)와 입력장치(1400)가 일체로 될 수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However, in some embodiments, such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device 1300 and the input device 1400 may be integrated or separated.

통신회로(1500)는 전자파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회로(1500)는 전기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통신회로(1500)는 예를 들어,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such as an electromagnetic wa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to electromagnetic wave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the electromagnetic waves. 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includes,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well-known circuits for performing such functions.

통신회로(1500)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그리고 무선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reless Fidelity, Wi-Fi)(예를 들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및/또는 IEEE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및/또는 단문 문자 서비스(SMS)용 프로토콜 또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기타 다른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Internet referred to as the World Wide Web (WWW), a network such as an intranet and / or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LAN and / or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n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 beacon, Bluetooth, WiFi (e.g.,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and / or IEEE802.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Wi-MAX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mail, instant messaging and / or short message service (SMS) protocols, or any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ing communication protocols not yet developed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standards, protocols, and techniques.

예를 들어, 통신회로(150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오디오회로(1700)는 인터페이스(12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신호를 스피커(1800)로 전송한다. 스피커(1800)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오디오회로(1700)는 전기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고 이를 인터페이스(1250)로 전송하여 처리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250)에 의하여 메모리(1100) 및/또는 통신회로(1500)로부터 검색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Audio circuitry 1700 receives data from interface 1250, converts the received data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s to speaker 1800. The speaker 1800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wave that can be heard by humans. The audio circuit 1700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udi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interface 1250 for processing. The audio data may be retrieved or transmitted from the memory 1100 and / or the communication circuit 1500 by way of the interface 1250.

스피커(1800)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즉, 스피커(1800)는 음원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재생하는 부분이다.The speaker 1800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wave that can be heard by humans. That is, the speaker 1800 is a part that reproduces the sound source as a sound that can be heard by humans.

또한, 단말은 오디오회로(1700)와 연결된 마이크로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connected to the audio circuit 17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a CDROM and a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a floppy disk,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 콘텐츠 제공 장치 20: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30: 서버 100: 제어영역
200: 표시영역 300: 제어큐브(300)
310: 제어큐브1면 315: 상단이동영역
320: 제어큐브2면 325: 우측이동영역
330: 제어큐브3면 335: 좌측이동영역
400: 콘텐츠큐브 410: 콘텐츠큐브1면
420: 콘텐츠큐브2면 430: 콘텐츠큐브3면
500: 정보영역 600: 맵
1100: 메모리 1110: 운영체제
1130: 통신모듈 1150: 프로그램
1170: 데이터베이스 1210: 메모리 제어장치
1230: 프로세서 1250: 인터페이스
1300: 표시장치 1400: 입력장치
1500: 통신회로 1600: 외부포트
1700: 오디오회로 1800: 스피커
10: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 content display apparatus
30: server 100: control area
200: display area 300: control cube 300:
310: control cube 1 side 315: upper movement area
320: control cube 2 side 325: right movement area
330: control cube 3 side 335: left movement area
400: Content Cube 410: Content Cube 1
420: Content Cube 2 Side 430: Content Cube 3 Side
500: information area 600: map
1100: memory 1110: operating system
1130: Communication module 1150: Program
1170: Database 1210: Memory Control Device
1230: Processor 1250: Interface
1300: Display device 1400: Input device
1500: Communication circuit 1600: External port
1700: Audio circuit 1800: Speaker

Claims (16)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큐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큐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하고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Displaying a content setting scree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on a display screen;
Se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a content cube having a plurality of faces through a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and creating a content cube including a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face;
Creating a control cube that controls screen switching for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And
And setting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and generating a m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 상기 제어큐브 및 상기 맵을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lacing the content cube, the control cube, and the map on a web page provided by a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상기 맵의 썸네일 이미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the map comprises:
And setting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face of the content cube as a thumbnail image of the map.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thumbnail image may include:
Wherein the content data is set to one of image data, text data, and moving image data se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에 대한 옵션설정화면을 통해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the map comprises:
And setting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ube through an option setting screen for the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콘텐츠의 데이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the content cube comprises:
And sets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based on the data link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put through the setting screen of the cont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여 설정된 콘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set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Image data, text data, and moving image dat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맵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and add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ma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콘텐츠큐브의 백그라운드에 구현되는 정보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및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 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정보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efining a display area including the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content cube is displayed and implemen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 cube; And
Further comprising se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rea displayed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for each side of the content cube in the content display apparatus.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큐브, 광고 콘텐츠 및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맵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썸네일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로의 화면이동 명령신호를 검출하면, 해당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설정된 데이터의 링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데이터의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 또는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Displaying at least one content cube, advertisement content and a map disposed on a screen of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Checking a link information of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image if a thumbnail image of one or mor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the map is detected based on a thumbnail imag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Displaying the contents set on one side of one of the contents cubes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or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web page based on the link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data. / RTI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표시영역에 제1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영역에서 제어큐브의 제어큐브1면에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2면에 상기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
상기 표시영역을 콘텐츠큐브와 정보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큐브를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까지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displaying the content set on one side of the content cube comprises: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and making a selection mark on one side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in the control area;
Detecting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making the selection mark on two sides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Dividing the display area into a content cube and an information area;
Reducing the content cube to a predetermined minimum size; And
And displaying the prese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큐브를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크기에서 크기를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영역에 제2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in the display area while enlarging the size of the content cube at the preset minimum siz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제3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3면에 상기 선택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f it does not detect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confirming that it has detected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third content;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nd displaying on the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when detecting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third conten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보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는,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information area is an advertisement.
천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가 상기 제2콘텐츠에 대한 표시명령신호가 아니면, 상기 제어큐브의 제어큐브3면에 상기 선택표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In celestial port 14,
Further comprising, if the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content is not a display command signal for the second content, making the selection display on three sides of the control cube of the control cube.
콘텐츠 제공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설정화면을 통해 세 개의 면으로 구성된 3차원의 큐브 형태로 된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설정하여 콘텐츠큐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큐브의 각 면에 대한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큐브 및 상기 콘텐츠큐브에 대한 대표 이미지를 이용하여 맵을 생성하며, 상기 콘텐츠큐브, 상기 제어큐브 및 상기 맵을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배치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맵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콘텐츠큐브의 일 면에 설정된 콘텐츠 또는 상기 웹 페이지의 화면에 배치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content cube is created by set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a three-dimensional cube-shaped content cube composed of three sides through a content setting scree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nd each side of the generated content cube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creating a map using a control cube for controlling screen switching for a content cube and a representative image for the content cube, and arranging the content cube, the control cube, and the map on a web page provided by a server; And
A server connected to the server and displaying a web page screen provided from the server, and a content displayed on one side of one of the content cubes arranged on the web page screen through a map displayed on the web page screen, And a conten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arranged on the screen.
KR1020160097803A 2016-03-04 2016-08-01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18001448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03A KR20180014489A (en) 2016-08-01 2016-08-01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PCT/KR2016/009621 WO2017150780A1 (en) 2016-03-04 2016-08-30 Content provision method and content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803A KR20180014489A (en) 2016-08-01 2016-08-01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89A true KR20180014489A (en) 2018-02-09

Family

ID=6119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803A KR20180014489A (en) 2016-03-04 2016-08-01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4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669A (en) * 2021-04-20 2022-10-27 김종명 Code matching with function for forming contents information by selectively composing unit cube
KR102620570B1 (en) 2022-12-29 2024-01-02 쿠팡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669A (en) * 2021-04-20 2022-10-27 김종명 Code matching with function for forming contents information by selectively composing unit cube
KR102620570B1 (en) 2022-12-29 2024-01-02 쿠팡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5638B2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locations on a map
KR102063915B1 (en) Us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53730B2 (en) Mini program data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EP2811731B1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US9313451B2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968977B1 (en) Cartoon providing system, cartoon providing device and cartoon providing method
CN112230914B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producing small program
EP267750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images in electronic device
CN103970411A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JP2018535462A (en) Touch heat map
JP5872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nic book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CN104835105B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80014489A (en) Method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98706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ontinuously taken images
US9621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101862078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information area when a display area to change the displayed contents
CN112395838B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synchronously editing objec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1696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index page using content authoring tool
KR101423168B1 (en) Method and terminal of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contents
KR20200005752A (en) Us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946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improved image recognition form video
KR102069215B1 (en) Mobile editing system for photo­book editing softwa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31163B1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a video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1994685B1 (en) Browser editing system for photo­book editing softwar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90005317A (en) Browser editor for photo­book editing software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