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279A -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279A
KR20180013279A KR1020160096747A KR20160096747A KR20180013279A KR 20180013279 A KR20180013279 A KR 20180013279A KR 1020160096747 A KR1020160096747 A KR 1020160096747A KR 20160096747 A KR20160096747 A KR 20160096747A KR 20180013279 A KR20180013279 A KR 2018001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ent
mobile terminal
function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450B1 (ko
Inventor
최동욱
권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9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4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81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at program execution time, where the protection is within the oper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은 정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책 수신부,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책 판단부 및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MOBILE DEVIC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NG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작업 중 일부를 휴대폰에서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휴대 기기이다.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항상 들고 다니면서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메일을 송수신하고, 동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 및 편집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서로 간에 동영상, 음악, 사진 등의 콘텐츠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생활 속에서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됨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의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민감해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기술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0822000호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및 모바일 단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서명, 인증, 백신 등의 다양한 기술적 보호 조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악의적인 코드가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기술적 보호 조치가 무용지물로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개인 정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동작을 보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특정 시간 또는 모든 시간에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직접 보고 받거나, 별도의 알림을 통해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정책 관리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와 관련된 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책 수신부,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책 판단부 및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상기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파싱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책 판단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정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동작을 보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특정 시간 또는 모든 시간에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보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직접 보고 받거나, 별도의 알림을 통해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정책 관리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발생된 개인 정보와 관련된 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싱부에서 수행되는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은 정책 관리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정책 관리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120)은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정책 관리 서버(11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는, 3G, 4G, 5G, LTE,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책 관리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로부터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의 기종, 운영체제(OS) 등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사용 가능한 개인 정보 정책 데이터의 종류 및 개인 정보의 사용에 대한 리포트 옵션을 설정받을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트 옵션은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 출력, 경고 메시지의 기설정된 다른 단말(미도시)로의 전송, 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정책 관리 서버(110)로의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책 관리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개인 정보 정책 데이터에 대한 설정 해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정책 설정이란, 사용자가 웹 기반의 서비스 또는 앱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20)에서 지원하는 하드웨어 레벨 또는 소프트웨어 레벨의 기능 동작 함수를 선택하면, 해당 기능 동작 함수의 작동 시에, 기능 동작 함수와 관련된 이벤트를 모바일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단문메시지, 푸쉬메시지, 웹 페이지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고받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정책 관리 서버(110)는 설정된 개인 정보 정책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책 관리 서버(110)는 개인 정보 정책 데이터의 설정이 변경 또는 해제된 경우, 업데이트된 개인 정보 정책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책 관리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이벤트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정책 관리 서버(110)는 수신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웹 또는 앱을 통해 개인 보호 정책을 설정받을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설정된 개인 보호 정책을 정책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 중 GPS 기능에 대해 '20:00~10:00/서울/네이버'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정책 관리 서버(110)로부터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120)은 수신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정책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가 저장되는 영역은 메모리 덤프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은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은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120)은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책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12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20)은 정책 수신부(210), 모니터링부(220), 파싱부(230), 정책 판단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책 수신부(210)는 정책 관리 서버(110)로부터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웹 또는 앱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120)의 하드웨어 레벨 또는 소프트웨어 레벨의 기능 동작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조건으로서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별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제 1 기능에 대하여 시간 정보, 요일 정보만을 포함하고, 제 2 기능에 대하여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책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GPS 기능에 대해 '20:00~10:00/서울 외/구글맵 외'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마이크 기능에 대해 '20:00~10:00/월~금 외'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20)는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20)는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Thread ID를 기반으로 하여 기능 동작 함수(예를 들어, GPS, 마이크, 카메라)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기능의 Thread ID가 '3483'인 경우, 모니터링부(220)는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Thread ID가 '3483'인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
파싱부(230)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파싱부(230)는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파싱부(230)는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기능과 관련하여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관한 변수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GPS에 관한 기능과 관련하여 시간 정보, 요일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파싱부(230)는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만을 추출할 수 있다.
정책 판단부(24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정책 판단부(240)는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기능에 대해 설정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가 '20:00~10:00/서울 외/구글맵 외'이고, 파싱부(230)에서 추출된 GPS 기능 동작 함수의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가 '21:30'을 포함하는 경우, 정책 판단부(240)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를 비교함으로써, 추출된 GPS의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임을 판단할 수 있다.
파싱부(230)가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기능과 관련하여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관한 변수만을 추출함으로써, 정책 판단부(240)는 추출된 동작 기능 함수에 포함된 모든 변수를 판단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정책 판단부(240)에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0)는 "GPS에서 허가되지 않은 동작이 발생되었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송부(260)는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책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송부(260)는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2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모니터링부(220)는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310). 모니터링부(22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불러올 수 있다(S320). 단계 S330에서 모니터링부(220)는 불러온 기능 동작 함수가 개인 보호 정책에 등록된 기능과 관련된 기능 동작 함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불러온 기능 동작 함수가 개인 보호 정책에 등록된 기능과 관련된 기능 동작 함수인 경우(S331), 모니터링부(220)는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S340).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불러온 기능 동작 함수가 개인 보호 정책에 등록된 기능과 관련된 기능 동작 함수가 아닌 경우(S332), 모니터링부(220)는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싱부(230)에서 수행되는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파싱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파싱부(23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변수를 추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모바일 단말(120)의 모니터링부(220)에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면(S410), 파싱부(230)는 모니터링부(220)로부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를 전달받아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고(S420),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고(S430),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고(S440),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S440).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싱부(230)는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기능과 관련하여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관한 변수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은 기능 정보,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은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웹 또는 앱을 통해 설정된 것이며, 모바일 단말(120)은 정책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은 기능 정보(510), 시간 정보(520), 요일 정보(530), 위치 정보(540)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정보(55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GPS 기능(511)이 '09:00~12:00/서울 외/구글'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마이크 기능(512)이 '14:00~20:00/수~금/서울'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카메라 기능(513)이 '24H/토, 일'에서 실행이 비허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단말(120)은 개인 보호 정책 테이블에서 예를 들어, GPS 기능의 실행이 '구글' 어플리케이션에서 비허가로 설정됐음에도 불구하고, GPS 기능이 '구글'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된 경우, 모바일 단말(120)은 "GPS에서 허가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정책 관리 서버(110)로부터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은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0)은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이벤트가 비허가된 경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책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20)은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정책 관리 서버
120: 모바일 단말
210: 정책 수신부
220: 모니터링부
230: 파싱부
240: 정책 판단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전송부

Claims (12)

  1.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정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책 수신부;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책 판단부; 및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상기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싱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판단부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모바일 단말.
  7.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에 있어서,
    정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에서 로우 레벨 로그 데이터(Low Level Log Data)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기능 동작 함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기능 동작 함수에 포함된 복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값과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호 정책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별로 상기 기능의 실행이 비허가되는 시간 정보, 요일 정보, 위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시간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요일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요일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관한 변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기능 동작 함수에 대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비허가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 정보 보호 방법.
KR1020160096747A 2016-07-29 2016-07-29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KR10228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47A KR102280450B1 (ko) 2016-07-29 2016-07-29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47A KR102280450B1 (ko) 2016-07-29 2016-07-29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79A true KR20180013279A (ko) 2018-02-07
KR102280450B1 KR102280450B1 (ko) 2021-07-22

Family

ID=6120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47A KR102280450B1 (ko) 2016-07-29 2016-07-29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86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한국정보보안원 개인정보보호 지침 제공 장치 및 지침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921A (ko) * 2009-11-20 2011-05-26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방법
KR20130024725A (ko) * 2011-08-29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위치 기반 제어 정책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158229A1 (en) * 2013-03-29 2014-10-02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921A (ko) * 2009-11-20 2011-05-26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온라인상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방법
KR20130024725A (ko) * 2011-08-29 201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위치 기반 제어 정책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158229A1 (en) * 2013-03-29 2014-10-02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mobile device management functional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286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한국정보보안원 개인정보보호 지침 제공 장치 및 지침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450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3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US1004532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04199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to emit sounds with encoded information
US9456339B1 (en) Mobile device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US9571522B2 (en) Method for applying location-based control policy of mobile device
US10726143B1 (en) Staggered secure data receipt
KR102087767B1 (ko)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보 콘텐츠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444119A (zh) 在移动通信设备上实施安全策略的系统
US10523639B2 (en) Privacy preserving wearable computing device
JP6319746B2 (ja) 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のセキュリティモード
US20070129012A1 (en) Portable digital devices
US10070302B2 (en) Internet of things (IoT) delay tolerant wireless network service
US11044243B2 (en) Push notification for application updates
WO201501407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larm for a mobile device
US9596357B1 (en) Phone activity tracking device
US11363017B2 (en) Smart home network security through blockchain
CN102438263A (zh) 一种带具有语音报警功能的无线路由器
KR20180013279A (ko)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개인 정보 보호 방법
KR20160073661A (ko)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306463B2 (en) Secure data link for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based processor
CN104202325A (zh) 在移动通信设备上实施安全策略的系统
KR20210141427A (ko) 분실된 휴대 단말에 대한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80426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for tracking the locations of mobile target communication devices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a host communication device over time
ES2863780T3 (es) Entidad de recomendación para una red de comunicaciones
KR102119292B1 (ko) 피어-투-피어 디바이스 움직임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