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008A -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008A
KR20180013008A KR1020160096048A KR20160096048A KR20180013008A KR 20180013008 A KR20180013008 A KR 20180013008A KR 1020160096048 A KR1020160096048 A KR 1020160096048A KR 20160096048 A KR20160096048 A KR 20160096048A KR 20180013008 A KR20180013008 A KR 2018001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output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조정식
원규태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008A/ko
Publication of KR2018001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17/273
    • G06F17/28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출력 보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화상처리를 해주는 경우에는, 페이지 모아 찍기나 여백 정리, 자동 다단 출력 등의 페이지 편집을 실행해 주지만, 이 기능은 명백하게 한계가 있으며 특정한 상황에서만 작동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사 또는 출력 시 포함되어 있는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방법이 없는 등,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점 또는 신경써야 할 점이 매우 많은 것이 사용에 불편을 가져오는 결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출력 문서를 편집하여 사용에 편의성을 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ditable print pag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하는 문서에 대해 화상형성장치가 스스로 편집이 가능하며, 출력하는 문서의 종류와 매수, 출력 언어 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내용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 및 분석하여 출력 시 자동적으로 번역이 되거나 자간을 조정하는 등 사용자가 실제 문서 출력본을 확인하였을 때 시인성이 높은 문서 또는 편의성이 높은 문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문서나 화면 등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 그대로 출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사용자가 얻으려 하거나 필요한 정보가 화면 내에 나타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출력하는 경우에는 회의 자료의 출력이나 일반 문서의 출력 등 일반 사무 환경에서 프로그램상의 정돈된 화면의 만이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홈페이지 등에 작성되어 있는 상품의 소개 페이지나, 여행 정보, 기계의 스펙 등 정돈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도 화면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돈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출력 보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화상처리를 해주지 않는 이상, 해당 페이지 전체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출력하는 페이지가 정돈되어 출력되지 않으며, 이에 페이지가 길거나 여백이 많은 경우에도 전체를 출력하여 용지의 낭비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상기하였던 출력 보조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화상처리를 해주는 경우에는, 페이지 모아 찍기나 여백 정리, 자동 다단 출력 등의 페이지 편집을 실행해 주지만, 이 기능은 명백하게 한계가 있으며 특정한 상황에서만 작동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사 또는 출력 시 포함되어 있는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방법이 없는 등,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점 또는 신경써야 할 점이 매우 많은 것이 사용에 불편을 가져오는 결과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 주의하거나 신경써야 하는 일 없이 더욱 편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출력 명령을 담당하는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편집이 가능한 환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주의하거나 신경써야 하는 일 없이 화상형성장치를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요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모듈(110),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출력 명령을 담당하는 처리장치(120), 상기 처리장치(120)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130), 상기 서버(130)와 연결된 네트워크(140),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는 모든 기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또는 복합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자체의 기능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내리면, 상기 처리장치(120)에서 방금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내린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단계에서는 가장 먼저, 사용자가 출력을 명령한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문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프로그램이나 파워포인트 프로그램, 어도비사의 PDF 오픈 프로그램 등, 한 페이지에 표현되는 내용이 한정적이며 처음부터 출력 형식 및 사이즈를 기준으로 작업하게 되는 프로그램에서 출력 명령을 내리면, 페이지의 재정렬 또는 여백의 정리 등을 상기한 프로그램에서 이미 설정하여 출력 시 지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경우 용지의 낭비나 출력할 컨텐츠의 사이즈 오버 등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하기의 컨텐츠 재정렬 단계를 무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내린 컨텐츠가 상기 일반적인 문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윈도우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이나, 그림 파일, 화면 캡쳐 등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가 정돈되어 있는 컨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 재정렬 단계를 갖는다. 상기 컨텐츠 재정렬 단계에서는, 가장 먼저 출력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파악한다. 그림 파일이나 화면 캡쳐 등,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상기 파악된 컨텐츠의 크기를 기준으로 용지에 맞게 확대 또는 축소하여, 한 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가 한 장에 확대 또는 축소가 어려운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이나 상품 소개, 카탈로그 등인 경우, 자동으로 다단 출력 등의 방법을 이용하며 최대한 적은 양의 매수의 출력 용지를 쓸 수 있도록 자동으로 컨텐츠를 정렬한다.
상기 컨텐츠 재정렬 단계가 끝나면,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를 갖는다.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를 처리장치(120)에서 화상처리하여, 컨텐츠 내에 문자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내에 문자가 없는 그림 또는 화상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컨텐츠 내에 문자가 있는 경우, 화상처리를 이용하여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에 담긴 문자를 모두 인식한 후, 해당 문자를 텍스트화 하여 처리장치(120) 내의 임시 저장 장소에 보관한다. 상기의 방법은 OCR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텍스트화 하여 저장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있어서 요부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한정하지 않는다. 화상에 있는 글자를 인식하여 텍스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는 알려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에 성공하였으면, 가장 먼저 추출한 텍스트의 오자 또는 탈자를 검사한다. 상기한 오자 또는 탈자의 검사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서버(130)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140)를 통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현재 검색하는 문장과 가장 유사한 문장 등을 검색하여 각각의 단어가 올바른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오자 또는 탈자를 검사한 경우, 해당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오자 또는 탈자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한 내용은 기존에 임시 저장 장소에 보관되어 있던 텍스트의 해당 부분을 치환한다.
상기의 오자 및 탈자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모듈(110)을 이용하여, 현재 화상형성장치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면, 상기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언어를 분석한다. 이 때, 상기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언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다른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번역을 진행할 수 있다. 번역은 상기 서버(130) 또는 네트워크(140)에서 빅데이터를 이용하며 진행될 수 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의도적인 다른 언어로의 출력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번역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자의 승인을 얻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번역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양식을 파악한다. 상기 파악한 양식을 기준으로, 임시 저장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텍스트의 자간이나 글자 크기, 폰트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사람이 문서를 출력하여 보았을 때, 눈의 피로를 느끼지 않는 자간과 글자 크기 및 폰트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상기의 과정을 진행하여 상기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텍스트를 수정한다.
상기의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수정이 완료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부(150)를 통하여 수정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위치기반 서비스 모듈
120 : 처리장치
130 : 서버
140 : 네트워크
150 : 화상 형성부

Claims (2)

  1.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모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출력 명령을 담당하는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처리장치에서 방금 사용자가 출력 명령을 내린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
    출력하기 위한 특정 컨텐츠를 재정렬하는 단계;
    상기 출력하기 위한 특정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
    출력하려고 하는 컨텐츠의 내용을 텍스트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단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오자 또는 탈자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현재 화상형성장치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한 위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력하기 위한 특정 컨텐츠의 내용을 번역하는 단계;와
    수정이 완료된 컨텐츠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1020160096048A 2016-07-28 2016-07-28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KR20180013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48A KR20180013008A (ko) 2016-07-28 2016-07-28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48A KR20180013008A (ko) 2016-07-28 2016-07-28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08A true KR20180013008A (ko) 2018-02-07

Family

ID=6120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048A KR20180013008A (ko) 2016-07-28 2016-07-28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0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3472B2 (en) Document translation method and document translation device
JP3038079B2 (ja) 自動翻訳装置
US10142499B2 (en)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document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1045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al editing of character recognition results
US201502786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by reading
US988100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29792B2 (en) Glossary management device, glossary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glossary generation
WO20171066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localized feedback for an extracted component of an lectronic document file
US103060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2055305A (ja) テキスト要約を生成するテキスト処理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US201702493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80013008A (ko) 출력 문서의 자동 편집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2007052613A (ja) 翻訳装置、翻訳システムおよび翻訳方法
JP6601143B2 (ja) 印刷装置
WO2021015117A1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202100425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able Recognition Method
JP6205973B2 (ja) 変更履歴出力装置、プログラム
US9075776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067469A1 (en) Method for generating word code,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codes
JP2007018158A (ja) 文字処理装置、文字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7286961A (ja) 文書属性抽出装置及び文書属性抽出プログラム
JP2015172792A (ja) 翻訳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52614A (ja) 文書管理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管理方法
US112063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7004429A (ja) 文書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