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70A -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70A
KR20180012670A KR1020160116957A KR20160116957A KR20180012670A KR 20180012670 A KR20180012670 A KR 20180012670A KR 1020160116957 A KR1020160116957 A KR 1020160116957A KR 20160116957 A KR20160116957 A KR 20160116957A KR 20180012670 A KR20180012670 A KR 2018001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illuminance
information
control
light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ublication of KR2018001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05B33/0854
    • H05B33/0884
    • H05B37/0218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전지판이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고, 전원 충전모듈이 변환된 전기를 충전하되,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되, 관제서버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생성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을 수신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조도값으로 갱신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엘이디 구동부; 및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태DB에 저장 및 관리하되,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D USING LOCAL WIRELESS NETWORK AND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엘이디를 구동시키되,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 엘이디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피드백한 제어신호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고전력 엘이디 안정기의 입출력부 모두 디밍이 가능함은 물론, 엘이디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고 엘이디 조도의 최대값 제어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광 전지판을 이용한 옥외등(가로등 및 보안등) 제품이 시중에 많이 보급되는 추세이나, 태양광 전지의 특성상 조명이 필요한 야간 시간대에는 태양광발전이 불가능하므로 축전지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을 하여 조명이 필요한 야간시간대에 옥외등에 전력을 공급하여 외등을 켜게 된다.
그러나 축전지의 용량은 경제성 및 시공성을 감안할 때 충전 완료 후에 2~3일 정도 전력을 공급하면 완전히 방전되므로, 장마철 등과 같이 장시간 동안 일조시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축전지가 제대로 충전이 되지 않는 관계로 외등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6304호(태양광 가로등)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여 야간에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여 가로등의 램프를 점등시키고, 주간에는 부하를 차단하고 축전지 충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용전원의 겸용으로 구동되는 태양광 가로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의 경우 축전지에 충전된 전력이 방전되는 것을 대비해 가로등과 상용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장치를 구성해야함에 따라 설치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고, 별도장비 설치를 위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태양광 가로등은,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한 조명 수단으로 인도 또는 차도 일 측에 구비된 지주의 상단에 램프를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또한 도로 상황이나 기상 상태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기 때문에 최적의 조명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단 가로등이 점등된 상태는 최대 조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0334호((2012.03.26.공개), “주변 조도에 따라서 밝기가 가변하는 LED 가로등”) 이 개시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선행특허에 대해 살피면 다음과 같다.
선행특허에는, 지주에 배치되어서 거리 또는 도로를 조명하기 위한 LED 조명부; LED 조명부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 다른 조도를 갖도록 상기 LED 조명부를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디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밍 신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LED 조명부로 공급하는 LED 구동부; 및 조도 센서에서 검출한 주변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주변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LED 조명부의 조도를 높게 점등하는 상기 디밍 신호를 선택하는 제어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특허에 따르면, 도로 상태나 기상 또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변 조도에 따라서 LED 조명부의 조도를 달리함으로써 최적의 조명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기설정된 기준에 국한되어 LED 구동부를 제어하는 기술인바, LED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 또는 오작동의 원인 파악이 늦어지고 관리자가 LED 조명부의 고장을 눈으로 확인한 이후에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리하면, 종래에는 고전력 엘이디 안정기의 입출력부 모두에 대한 디밍이 불가능하고, 엘이디의 불필요한 구동과 엘이디 조도의 최대값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106304호 등록특허 제10-11303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엘이디를 구동시킴으로써, 상용전원 공급이 난해한 지역 또는 야외에 구비된 엘이디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이디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 및 수집한 기상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엘이디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고 엘이디 조도의 최대값 제어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 엘이디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피드백한 제어신호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가 엘이디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엘이디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엘이디의 구동상태 및 고장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효과적인 엘이디의 유지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은, 태양광 전지판이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고, 전원 충전모듈이 변환된 전기를 충전하되,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되, 관제서버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생성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을 수신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조도값으로 갱신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엘이디 구동부;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받은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인가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수단은, 전송수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제서버는,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고,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엘이디 구동부가 고장 또는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한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은, 엘이디 구동부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발광정보를 생성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a) 단계; 엘이디 구동부가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와 함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b) 단계; 관제서버가 수신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및 (c) 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c) 단계 이후, 관제서버가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e) 단계; 및 (e) 단계의 판단결과,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c) 단계 이후, 관제서버가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g) 단계; 및 (g) 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하는 (h)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 이전, 엘이디 구동부가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충전하고 상기 (a)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i)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엘이디를 구동시킴으로써, 상용전원 공급이 난해한 지역 또는 야외에 구비된 엘이디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엘이디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 및 수집한 기상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엘이디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고 엘이디 조도의 최대값 제어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 엘이디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피드백한 제어신호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가 엘이디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엘이디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엘이디의 구동상태 및 고장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효과적인 엘이디의 유지관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가로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주변 조도에 따라서 밝기가 가변하는 LED 가로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의 발광 제어모듈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10단계 이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S)은, 태양광 전지판(11), 전원 충전모듈(12) 및 발광 제어모듈(13)로 구성된 엘이디 구동부(10) 및 관제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엘이디 구동부(10)의 태양광 전지판(11)은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한다.
또한, 전원 충전모듈(12)은 태양광 전지판(11)이 변환한 전기를 충전하여 발광 제어모듈(13)로 인가한다.
그리고 발광 제어모듈(13)은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되, 관제서버(20)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생성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을 수신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조도값으로 갱신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한다.
한편, 관제서버(20)는 엘이디 구동부(10)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태DB(21)에 저장 및 관리하되,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10)로 전송한다.
또한, 관제서버(20)는 엘이디 구동부(1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10)로 전송한다.
아울러, 관제서버(20)는 엘이디 구동부(10)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엘이디 구동부(10)가 고장 또는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한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S)의 발광 제어모듈(13)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제어모듈(13)은 센싱수단(13a), 제어수단(13b) 및 전송수단(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발광 제어모듈(13)의 센싱수단(13a)은 주변 조도에 대한 단위 시간당 평균 조도를 산출하고,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기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수단(13b)은 센싱수단(13a)으로부터 인가받은 평균 조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밝기로 엘이디 조도의 발광시키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센싱수단(13a)으로부터 인가받은 기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취합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송수단(13c)은 제어수단(13b)으로부터 인가받은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수단(13b)으로 인가한다.
이때, 제어수단(13b)이 전송수단(13c)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발광 제어모듈(13)의 구성요소인 센싱수단(13a), 제어수단(13b) 및 전송수단(13c)간의 데이터 전송은 RS-232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임을 밝혀두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엘이디 구동부(10)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발광정보를 생성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한다(S10).
이어서, 엘이디 구동부(10)가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와 함께 관제서버(20)로 전송한다(S20).
뒤이어, 관제서버(20)가 수신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20)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10)로 전송한다(S4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관제서버(20)가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제S50단계의 판단결과,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20)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10)로 전송한다(S60).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관제서버(20)가 엘이디 구동부(10)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제S70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20)가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한다(S80).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의 제S10단계 이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S10단계 이전에, 엘이디 구동부가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충전하고 상기 제S1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9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10 : 엘이디 구동부
11 : 태양광 전지판 12 : 전원 충전모듈
13 : 발광 제어모듈 13a : 센싱수단
13b : 제어수단 13b : 전송수단
20 : 관제서버 21 : 상태DB

Claims (2)

  1.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전지판이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고, 전원 충전모듈이 변환된 전기를 충전하되,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에 부합하도록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되, 관제서버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생성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을 수신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조도값으로 갱신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엘이디 구동부; 및
    상기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상태DB에 저장 및 관리하되,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엘이디 구동부는,
    주변 조도에 대한 단위 시간당 평균 조도를 산출하고,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기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인가받은 평균 조도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밝기로 엘이디 조도의 발광시키는 발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인가받은 기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취합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받은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인가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송수단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에 포함된 값에 부합하도록 엘이디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엘이디 구동부가 고장 또는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생성한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2.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엘이디 구동부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부합하도록 발광정보를 생성하여 엘이디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
    (b) 엘이디 구동부가 설치된 주변의 기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발광정보와 함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관제서버가 수신한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에 포함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 이후,
    (e) 관제서버가 수신한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의 판단결과, 상태정보에 포함된 기상데이터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과 부합한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엘이디 구동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 단계 이후,
    (g) 관제서버가 엘이디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발광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관제서버가 엘이디 점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 단계 이전,
    (i) 엘이디 구동부가 태양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충전하고 상기 (a)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방법.
KR1020160116957A 2016-07-27 2016-09-12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2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43 2016-07-27
KR20160095343 2016-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70A true KR20180012670A (ko) 2018-02-06

Family

ID=6122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57A KR20180012670A (ko) 2016-07-27 2016-09-12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6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6616B (zh) 交通感应节能路灯及节能路灯系统
US9253847B2 (en) Adaptive controlled outdoo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201599693U (zh) 主动式红外监测节能路灯
CN203851325U (zh) 一种led路灯及基于传感器网络的led路灯监控系统
KR101183359B1 (ko)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CN101827470A (zh) 一种路灯无线远程监控系统
CN201599694U (zh) 行人监测节能路灯及节能路灯系统
KR101007235B1 (ko) 조도 조절 조명 시스템
KR101524345B1 (ko) 절전형 다기능 야외 조명 장치
CN102934155B (zh) 灯箱照明方法
CN102711318A (zh) 一种led城市公共照明灯具智能控制系统
KR101228274B1 (ko) 교통안내 제공 시스템
KR20130142609A (ko) 복합정보 검출 및 원격전달 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형 가로등 제어장치
KR20130066418A (ko) 높낮이 조절부와 무드 엘이디를 구비한 벤치 가로등
KR101736766B1 (ko) Led조명등 셀프 디밍 장치
KR102430249B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을 위한 IoT 제어 및 가로등 점등 제어 시스템
CN202857039U (zh) 一种led城市公共照明灯具智能控制系统
CN201892138U (zh) 声控太阳能led路灯
KR20180012670A (ko) 태양광전지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엘이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162763U (ja) 街灯調光制御装置
CN202634841U (zh) 一种基于led路灯的光输出自补偿系统
KR20160086588A (ko) 스마트 폰으로 원격 제어되는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
CN201893968U (zh) 节能路灯控制系统
KR102270708B1 (ko) 가로등 전력제어장치 및 가로등 전력제어방법
KR20200109560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