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37A - 콘텐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37A
KR20180011937A KR1020160094488A KR20160094488A KR20180011937A KR 20180011937 A KR20180011937 A KR 20180011937A KR 1020160094488 A KR1020160094488 A KR 1020160094488A KR 20160094488 A KR20160094488 A KR 20160094488A KR 20180011937 A KR20180011937 A KR 2018001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content
site
search
cont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남
Original Assignee
허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남 filed Critical 허재남
Priority to KR102016009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937A/ko
Publication of KR2018001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서,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하나 이상 각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CMS 서버;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통해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통해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검색 엔진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사이트 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회원사 단말기; 및 상기 CMS 서버와 회원사 단말기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관리 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서,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대량의 다양한 웹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 콘텐츠의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자들의 활용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많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들이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 CMS에서는 콘텐츠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들의 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CMS들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요구되고 있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된다.
하나는, 신문, 방송사와 같은 미디어 형태에 맞는 배포형 CMS 방식이다. 이러한 배포형 CMS 방식의 장점은 속도가 가볍고 콘텐츠 생성에 따른 출판 형태가 유리한 반면에 단점은 사이트의 세부 기능 및 운영상에서 기능의 고도화나 커스터마이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른 하나는 DB형 CMS 방식이다. 이러한 DB형 CMS 방식은 모든 콘텐츠 데이터를 DB로 보관하기에 콘텐츠의 관리나 운영이 편리한 반면에, 모든 것을 DB로 관리하다보니 전체적으로 사이트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배포형 CMS 방식과 DB형 CMS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과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02301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배포형 CMS 방식과 DB형 CMS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과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서,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하나 이상 각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CMS 서버;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통해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통해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검색 엔진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사이트 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회원사 단말기; 및 상기 CMS 서버와 회원사 단말기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MS 서버는, 상기 회원사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한 콘텐츠 저장부;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통합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검색 시에 회원사의 콘텐츠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 태그를 입력받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사이트 생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수정된 관리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는, 콘텐츠가 표시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스마트폰 화면 방식, 태블릿 화면 방식, 및 데스크탑 화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 방식 선택 필드; 및 상기 선택된 화면 방식으로 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표시한 선택 화면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는, 콘텐츠가 검색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 태그를 회원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메타 태그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태그 입력 필드는, 각 국가의 언어별로 메타 태그를 각각 다르게 설정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는, 생성할 사이트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이트 정보 입력 필드; 사이트의 신규 생성 또는 사이트의 복사 생성을 입력받는 생성 방식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신규 사이트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사이트를 복사하여 복사 사이트가 생성되는 경우, 테마 설정, 카테고리 설정, 및 게시판 설정을 거쳐서 설정된 테마와 카테고리를 가지는 게시판에 상기 신규 사이트 또는 복사 사이트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MS 서버는, 회원사의 콘텐츠 관리를 위한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각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며, 각 회원사 단말기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에 표시될 언어의 종류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MS 서버는, 콘텐츠 웹페이지내에 게시된 콘텐츠의 변경이 있을 때 콘텐츠 웹페이지내에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이 선택된 경우 기계 번역을 수행하고, 번역 진행 상황 및 콘텐츠 게시 여부를 번역 요청된 각 콘텐츠별로 표시한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를 상기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별 목적에 맞는 패키지 커스터마이징 및 워크플로우 기능 등이 제공되어,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과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며, 산업 표준에 따른 개발환경으로 유지 보수 및 추가 개발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MS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번역 진행 상황 제공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CMS 서버(200), 및 회원사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CMS 서버(200)와 회원사 단말기(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CMS 서버(200)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서버로서, 회원사들의 콘텐츠를 관리하여 주는 서버이다. 회원사는, 대학교, 언론사, 회사, 공공기관, 정부기관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회원사들의 콘텐츠는 회원사를 소개하는 홈페이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게시판 등과 같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CMS 서버(200)는, 각 회원사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OS, WAS, DB 등 다양한 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뛰어난 확장성을 가지며 다양한 시스템 환경 지원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CMS 서버(200)는, Linux (CentOS, RHES, SUSE, Ubuntu, and others), Unix (AIX, HP-UX, Mac OS X, Solaris, and others), Windows 등의 OS(Operating System)를 지원하며, Apache Geronimo, Sun GlassFish 2 UR1, Jboss, JOnAS, OracleAS, SUN JSAS, WebLogic, WebSphere, Jeus 등과 같은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지원한다. 또한 Apache Derby, IBM DB2, Firebird, Hypersonicm, InterBase, JDataStore, MySQL, Oracle, PostgresSQL, SAP MaxDB, SQL Server, Sybase,Tibero, Infomix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DB)를 적용할 수 있으며, JDK 1.6과 같은 자바(java) 등이 적용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서,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하나 이상 각 회원사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CM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는 도 2와 함께 상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회원사 단말기(300)는, CMS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사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회원사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데스크탑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회원사 단말기(300)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통해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원사가 자신의 홈페이지를 편집하는 경우, 한 번의 편집만으로 PC 상에서 보여지는 회원사 홈페이지와, 모바일 상에서 보여지는 회원사 홈페이지를 동시에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통해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검색 엔진 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원사 홈페이지에서 검색툴을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회원사 홈페이지에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검색 엔진의 검색 영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사이트 생성 작업을 수행한다. 회원사 단말기(300)는, CMS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신규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신규 사이트 생성과 기존의 사이트를 복사하여 복사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MS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번역 진행 상황 제공 웹페이지를 도시한 그림이다.
CMS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콘텐츠 저장부(220), 통합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230),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240),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250), 및 업데이트 관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 제공부(270), 및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 제공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회원사 단말기(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회원사 단말기(300)와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220)는,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한 메모리이다. 여기서 콘텐츠는 회원사를 소개하는 홈페이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게시판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종류가 해당될 수 있다.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통합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230)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가 표시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스마트폰 화면 방식, 태블릿 화면 방식, 및 데스크탑 화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 방식 선택 필드(31)와, 선택된 화면 방식으로 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표시한 선택 화면 표시 필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원사 관리자가 화면 방식 선택 필드(31)에서 스마트폰 화면 방식을 선택하면, 선택 화면 표시 필드(32)에는 도 3과 같이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 및 형태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회원사 관리자가 화면 방식 선택 필드(31)에서 태블릿 화면 방식을 선택하면, 선택 화면 표시 필드(32)에는 도 4와 같이 태블릿 화면의 크기 및 형태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회원사 관리자가 화면 방식 선택 필드(31)에서 데스크탑 화면 방식을 선택하면, 선택 화면 표시 필드(32)에는 도 5와 같이 데스크탑 화면의 크기 및 형태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회원사 관리자는 자신들의 홈페이지가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에서 각각 어떤 형태로 보이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필요할 경우 각 화면에서의 배치를 조절할 수 있다.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240)는, 검색 시에 회원사의 콘텐츠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 태그를 입력받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 상위 노출에 최적화 위한 메타 태그를 회원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메타 태그 입력 필드(61)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즉, 검색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최적화를 이룰 수 있도록 웹페이지이다.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블로그, 까페 등 사이트가 상위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메타 태그 입력 필드(61)는, 각 회원사의 홈페이지, 웹페이지가 검색될 시에 상위에 노출되도록 메타 태그를 입력받는 필드이다. 따라서 메타 태그를 검색 엔진 웹페이지내의 메타 태그 입력 필드(61)에 회원사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고 수시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메타 태그 입력 필드(61)는, 각 국가의 언어별로 메타 태그를 각각 다르게 설정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언어별로 메타 태그가 다를 수 있다.
참고로, 메타 태그(meta tag)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문서의 맨 위쪽에 위치하는 태그로서, HEAD 태그 사이 또는 뒤에 있어도 되지만, 반드시 BODY 태그 앞쪽에 위치해야 한다. 브라우저와 검색 엔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문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250)는, 사이트 생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이트 생성은 신규 생성과 복사 생성의 두가 방식으로 자유롭게 단위 사이트를 개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할 사이트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이트 정보 입력 필드(71)와, 사이트의 신규 생성 또는 사이트의 복사 생성을 입력받는 생성 방식 입력 필드(72)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250)는,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신규 사이트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사이트를 복사하여 복사 사이트가 생성되는 경우, 테마 설정, 카테고리 설정, 및 게시판 설정을 거쳐서 설정된 테마와 카테고리를 가지는 게시판에 신규 사이트 또는 복사 사이트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 제공부(270)는, 회원사의 콘텐츠 관리를 위한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각 회원사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도 8에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도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국문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에서, 추가적으로 생성할 언어를 선택함으로서, 해당 언어를 가지는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원사 단말기(300)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에 표시될 언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 제공부(280)는, 콘텐츠 웹페이지내에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을 제공하며,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이 선택된 경우 기계 번역을 수행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역 진행 상황 및 콘텐츠 게시 여부를 번역 요청된 각 콘텐츠별로 표시한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를 회원사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에는 번역요청, 번역중, 번역이 완료되어 번역본 게시완료 상태 등의 번역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업데이트 관리부(260)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수정된 관리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또한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에서 생성된 언어의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업데이트 저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00:CMS 서버 210:서버 통신부
220:콘텐츠 저장부 230:통합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240:검색 상위 노출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250: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
260:업데이트 관리부
270:콘텐츠 관리 웹페이지 제공부
280: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 제공부

Claims (9)

  1.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서,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하나 이상 각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CMS 서버;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통해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를 통해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한 검색 엔진 편집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사이트 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회원사 단말기; 및
    상기 CMS 서버와 회원사 단말기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MS 서버는,
    상기 회원사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각 회원사별로 콘텐츠를 저장한 콘텐츠 저장부;
    PC-모바일 통합 편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통합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검색 시에 회원사의 콘텐츠가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 태그를 입력받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제공부;
    사이트 생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 및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 , 및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를 통해 수정된 관리 내용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C-모바일 통합 편집 웹페이지는,
    콘텐츠가 표시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스마트폰 화면 방식, 태블릿 화면 방식, 및 데스크탑 화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화면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 방식 선택 필드; 및
    상기 선택된 화면 방식으로 된 콘텐츠 웹페이지를 표시한 선택 화면 표시 필드;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색 상위노출 편집 웹페이지는,
    콘텐츠가 검색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 태그를 회원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메타 태그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타 태그 입력 필드는,
    각 국가의 언어별로 메타 태그를 각각 다르게 설정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는,
    생성할 사이트의 정보를 입력하는 사이트 정보 입력 필드;
    사이트의 신규 생성 또는 사이트의 복사 생성을 입력받는 생성 방식 입력 필드;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생성 웹페이지 제공부는,
    상기 신규 사이트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사이트를 복사하여 복사 사이트가 생성되는 경우, 테마 설정, 카테고리 설정, 및 게시판 설정을 거쳐서 설정된 테마와 카테고리를 가지는 게시판에 상기 신규 사이트 또는 복사 사이트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MS 서버는,
    회원사의 콘텐츠 관리를 위한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각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며,
    각 회원사 단말기는,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를 제공받아, 콘텐츠 관리 웹페이지에 표시될 언어의 종류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MS 서버는,
    콘텐츠 웹페이지내에 게시된 콘텐츠의 변경이 있을 때 콘텐츠 웹페이지내에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콘텐츠 번역 요청 버튼이 선택된 경우 기계 번역을 수행하고, 번역 진행 상황 및 콘텐츠 게시 여부를 번역 요청된 각 콘텐츠별로 표시한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를 상기 회원사 단말기에 제공하는 번역 진행 상황 웹페이지 제공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160094488A 2016-07-26 2016-07-26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180011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88A KR20180011937A (ko) 2016-07-26 2016-07-26 콘텐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88A KR20180011937A (ko) 2016-07-26 2016-07-26 콘텐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37A true KR20180011937A (ko) 2018-02-05

Family

ID=6122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488A KR20180011937A (ko) 2016-07-26 2016-07-26 콘텐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9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0127S1 (en) * 2019-03-04 2020-10-27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0127S1 (en) * 2019-03-04 2020-10-27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9223S1 (en) 2019-03-04 2023-09-1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5913B (zh) 显示模板的定制
US10997360B2 (en) Page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page display assist method and device
US9235636B2 (en) Presenting data in response to an incomplete query
US20140195514A1 (en) Unified interface for querying data in legacy databases and current databases
US10685302B2 (en) Collaborative task management and completion
US11822615B2 (en) Contextual editing in a page rendering system
US10261996B2 (en) Content localization using fallback translations
KR101275871B1 (ko) SaaS 환경에서의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201443670A (zh) 提供不計內容格式及類型之內容可存取性的虛擬庫
JP2016529599A (ja) コンテンツクリップボードの同期
US20120173969A1 (en) Master Templates For Document Generation
CN109614565B (zh) 网页生成方法与装置
US20180356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US10152538B2 (en) Suggested search based on a content item
CN104424265A (zh) 数字资源管理方法及系统
US11971860B2 (en) Embedded folder views
KR20180011937A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US11514052B1 (en) Tags and permissions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W201926017A (zh) 電子裝置與其視窗管理方法
US11922116B2 (en) Annotations in a content model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he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 source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230325584A1 (en) Method for annotations in a content model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230325585A1 (en) System for annotations in a content model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1360828B2 (en) Method for combining unified matters in personal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025317A (ko) 개발 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3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30

Effective date: 2019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