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13A -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13A
KR20180011613A KR1020160094211A KR20160094211A KR20180011613A KR 20180011613 A KR20180011613 A KR 20180011613A KR 1020160094211 A KR1020160094211 A KR 1020160094211A KR 20160094211 A KR20160094211 A KR 20160094211A KR 20180011613 A KR20180011613 A KR 2018001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tube
main body
baffle plate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발
Priority to KR102016009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13A/en
Publication of KR2018001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8Coatings; Surface treatments self-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ffle plate installed within a flat tube through which a heat medium flows, comprising: a main body spaced from an inner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and dividing the inside of the flat tube; a fixing pie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flat tube; and a plurality of guiding piece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wherein the main body divides the inside of the flat tube to a left side space and a right side space, and the heat medium introduced into the left side space and the right side space is guided to a lower portion side of the flat tube by the guiding piece, respectively, thereby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ccumulated within the inner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Description

배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핀 튜브 열 교환기{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A baffle plate and a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플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핀 튜브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ffle plate and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핀 튜브 열 교환기의 하부에는 연료가 연소되는 버너가 배치되어 있다. 핀 튜브 열 교환기의 플랫튜브 내부에는 연료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가 유동한다.A burner for burning the fuel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n tube heat exchanger. In the flat tube of the finned tube heat exchanger, the heating medium heated by the combustion products generated by the fuel combustion flows.

열매체가 플랫튜브 내부로 따라 유동할 때 열매체를 따라 유입된 미세물질 또는 열매체에 용융되었다가 온도 상승으로 고체가 되는 이물질이 플랫튜브(2)(도 7 참조)의 하부(2a)에 축적될 수 있다. 축적된 이물질은 열 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킨다.When the heating medium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flat tube, a foreign substance which is melted in the fine material or the heating medium flowing along the heating medium and becomes solid due to the temperature rise can be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2a of the flat tube 2 have. Accumulated foreign matter degrades th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열매체가 플랫튜브를 유동할 때 축적된 이물질로 인해 유동이 작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비등 발생과 비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When the heating medium flows through the flat tube, the flow can be reduced due to accumulated foreign matter, thereby causing boiling and boiling nois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10-0484690호 (2005.04.13.), 명칭: 운두가 깊은 튀김기의 열 교환기용 배플]은 플랫튜브 내부에 복수의 편과 구멍을 갖는 배플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는 플랫튜브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고 플랫튜브를 유동하는 열매체가 구멍과 편을 통해 좌우공간을 오가면서 유동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배플 플레이트가 플랫튜브의 내부 바닥에 전체적으로 접하고 있다. 이에 열매체가 배플 플레이트 하면과 플랫튜브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유동하지 못하므로 배플 플레이트와 플랫튜브 사이에 미세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지 못하였다.Background Art [0002] A baffl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lutes and holes in a flat tube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0484690 (April 13, 2005) entitled " Baffle for Heat Exchanger of Deep Fryer " Respectively. The baffle plate divides the inside of the flat tube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heating medium flowing through the flat tube flows through the holes and the slits to flow through the left and right spaces. In the above prior art, the baffle plate is entir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flat tube. The heat medium can not flow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ffle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ide of the flat tube, so that accumulation of fine foreign matter between the baffle plate and the flat tube can not be prevented.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10-1400833호 (2014.05.22.) 명칭: 핀-튜브 방식의 열 교환기]은 플랫튜브 내부에 배플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는 플랫튜브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며, 배플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하향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상향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있다. 일면의 하향 가이드핀과 타면의 상향 가이드핀에 의해 플랫튜브 내부를 절반만 차단하게 되어 플랫튜브 하부에서의 유속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배플 플레이트 하면과 플랫튜브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완전하게 예방하지 못하였다.Prior Art [Registered Patent No. 10-1400833 (Feb. 21, 2014) entitled: Pin-tube type heat exchanger] has a baffle plate disposed inside a flat tube. The baffle plate divides the inside of the flat tube to the left and right. Downward guide pi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ffle plate and upward guide pin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 downward guide pin on one side and the upward guide pin on the other side block only the half of the inside of the flat tube, so that the flow rate under the flat tube can not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ffle plate and the flat tube.

등록특허 제10-0484690호 (2005.04.13.)Registration No. 10-0484690 (Mar. 13, 2005) 등록특허 제10-1400833호 (2014.05.22.)Registration No. 10-1400833 (May 22, 2014)

본 발명은 열매체가 플랫튜브를 유동할 때 배플 플레이트 하면과 플랫튜브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열매체가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배플 플레이트 하면과 플랫튜브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heating medium to flow quickly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ffle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flat tube when the heating medium flows through the flat tube,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ffle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플 플레이트는 열매체가 유동하는 플랫튜브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 둘레면과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를 구획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튜브와 접하는 고정편 및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유도편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플랫튜브 내부를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좌측공간과 상기 우측공간으로 각각 유입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유도편에 의해 하부측으로 유도된다.A baff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flat tube through which a heating medium flows and is separate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and is divided into an inside of the flat tube, And a plurality of guide pieces formed o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wherein the main body divides the inside of the flat tube into a left space and a right space, And the heat medium that has flowed in is guided to the lower side by the guide piece.

상기 유도편은 상기 본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도편 형성으로 상기 좌측공간과 상기 우측공간을 연결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편은 상기 플랫튜브의 유입구에서 유출구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하향되게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열매체는 상기 유도편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플랫튜브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유도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iece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that is cut and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and a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The guide piece may be inclined downwardly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inlet of the flat tube toward the outlet, and the heating medium may be gu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by the guide piece .

상기 유도편은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유도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세트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체들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iece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an induction set, and the induction se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ngularly spaced apart oblique lin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one unit body,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unit bodies can b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플랫튜브의 상부측 내부 둘레면은 기설정된 간격(B)으로 떨어져 있으며, 이웃한 상기 유도세트는 기설정된 간격(C)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간격(C)은 상기 간격(B)보다 작을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flat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 and the neighboring guide se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 B).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공간은 이웃한 단위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 recessed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ecessed space may be located between neighboring unit pieces.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연결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홀은 이웃한 단위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nd the connection holes may be formed between neighboring unit bodies.

상기 유도편의 끝 부분은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 둘레면과 접할 수 있다.And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iece may be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상기 고정편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ec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 튜브 열 교환기는 전술한 배플 플레이트, 내부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플랫튜브, 상기 복수의 플랫튜브를 연결하고 상기 플랫튜브 외부 둘레면에 배치된 복수의 전열핀, 상기 복수의 플랫튜브 양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튜브들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유로캡을 포함한다.The fin 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affle plate, a plurality of flat tubes having the baffle plate disposed therein and arranged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flat tubes connected to each other, An end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lat tubes, and a flow path cap coupled to the end plate and connecting the inner spaces of the flat tub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튜브 내부를 유동하는 열매체는 경사진 유도편에 의해 플랫튜브 하부측으로 유도되어 본체의 하면과 플랫튜브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집중될 수 있다. 집중된 열매체에 의해 플랫튜브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다. 이에 이물질이 플랫튜브 내부에 쌓이면서 발생한 비등이 발생하지 않아 열매체 유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열매체에 전달되는 열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medium flowing inside the flat tube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by the inclined guide piece, and can be concentr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The foreign mat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due to the concentrated heat medium. As a result, no foreign material is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flat tube, so that boiling does not occur, so that noise due to heat medium flow is not generated, and thermal efficiency to be transferred to the heat medium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 튜브 열 교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랫튜브와 배플 플레이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을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배플 플레이트 다른 실시예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플 플레이트가 플랫튜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핀 튜브 열 교환기를 나타낸 분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tube and baffle plat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FIG. 2;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affle plate of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ffle plate of Fig. 5 coupled to the flat tube.
7 is an exploded view of a conventional finned tube heat exchanger.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플 플레이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핀 튜브 열 교환기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배플 플레이트가 적용된 핀 튜브 열 교환기 위주로 설명한다.A baff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to which a baffle plat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 튜브 열 교환기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fin 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 튜브 열 교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튜브 열 교환기(1)는 배플 플레이트(10), 플랫튜브(20), 전열핀(30), 엔드 플레이트(40a, 40b) 및 유로캡(51, 52)을 포함하며 플랫튜브(20)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1, the fin tube heat exchang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ffle plate 10, a flat tube 20, a heat transfer fin 30, end plates 40a and 40b, 52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flat tube 20.

플랫튜브(20)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으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플랫튜브(20)의 폭 방향 길이(WL) 보다 상하 방향 길이(HL)이가 더 길다. 플랫튜브(20) 아래에는 연료가 연소되는 버너(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한다.The inside of the flat tube 20 penetr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length H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WL of the flat tube 20. Under the flat tube 20, a burner (not shown) in which the fuel is burnt is located.

전열핀(30)은 플랫튜브(20)들을 연결하며 플랫튜브(20)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플랫튜브(20)의 표면적을 확장한다. 엔드 플레이트(40a, 40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플랫튜브(2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유로캡(51, 52)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엔드 플레이트(40a, 40b)에 각각 결합되어 이웃한 플랫튜브(2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한다. 일측 유로캡(51)에는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511)와 플랫튜브(20)들을 유동한 열매체가 유출되는 유출구(512)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511)는 배열된 플랫튜브(20)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플랫튜브(20)와 연결되어 있고 유출구(512)는 배열된 플랫튜브(20)들 중 가장 타측에 위치한 플랫튜브(20)와 연결되어 있다.The heat transfer fins 30 connect the flat tubes 20 and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tubes 20 and extend the surface area of the flat tubes 20. The end plates 40a and 40b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lat tube 20, respectively. The flow path caps 51 and 52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coupled to the end plates 40a and 40b, respectively, to connect the inner spaces of the adjacent flat tubes 20. An inlet port 511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s and an outlet port 512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ing through the flat tubes 20 flow out are formed in the one side flow path cap 51. The inlet 511 is connected to the outermost flat tube 20 among the arranged flat tubes 20 and the outlet 512 is connected to the flat tube 20 located at the other of the arranged flat tubes 20, .

유입구(511)를 통해 플랫튜브(20) 내부로 유입된 열매체는 핀 튜브 열 교환기(1) 하부에 배치된 버너(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에 의해 가열된다. 즉, 열매체는 플랫튜브(20)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되어 유출구(512)를 통해 배출된다.The heating medium flowing into the flat tube 20 through the inlet 511 is heated by combustion products generated in a burner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fin tube heat exchanger 1. That is, the heating medium is heated while flowing inside the flat tube 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12.

이와 같은 플랫튜브(20), 전열핀(30), 엔드 플레이트(40a, 40b) 및 유로캡(51, 52)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으로 핀 튜브 열 교환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lat tube 20, the heat transfer fin 30, the end plates 40a and 40b, and the flow path caps 51 and 5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n tub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known construction, do.

배플 플레이트(10)는 플랫튜브(20) 내부에 배치되어 플랫튜브(20)를 유동하는 열매체를 플랫튜브(20)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으로 유도함으로써 유속을 증가시키고 난류화하여 플랫튜브(20)의 내부 하부측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The baffle plate 10 is disposed inside the flat tube 20 to guide the heating medium flowing through the flat tube 2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20 to increase the flow rate and to make the turbulent flow, So that the foreign mat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 플레이트(10)는 본체(110), 고정편(120) 및 유도편(131a, 131b)을 포함한다.2 to 4, the baffle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 fixing piece 120, and guide pieces 131a and 131b.

본체(110)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플랫튜브(20)의 가상의 폭 방향 중심(20a)에 위치하여 플랫튜브(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체(110)의 길이는 플랫튜브(20)의 길이와 같다. 그러나 본체(110)의 길이는 플랫튜브(2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체(110)의 길이는 플랫튜브(2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tube 20 at the imaginary widthwise center 20a of the flat tube 20. [ The length of the body 11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lat tube 20. However,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1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lat tube 20. The length of the body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flat tube 20.

본체(110)의 전면(111), 후면(112), 상면(113) 및 하면(114)은 플랫튜브(20)의 내부 둘레면과 떨어져 있다. 본체(110)에 의해 플랫튜브(20)의 내부는 폭 방향 중심(20a)을 기준으로 좌측공간(21)과 우측공간(22)으로 구획된다. 플랫튜브(20)로 유입된 열매체는 좌측공간(21)과 우측공간(22)으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111, the rear surface 112, the top surface 113 and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main body 110 ar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The inside of the flat tube 20 is partitioned into the left space 21 and the right space 22 with respect to the widthwise center 20a by the main body 110. [ The heating medium flowing into the flat tube 20 flows into the left space 21 and the right space 22 and flows.

고정편(120)은 본체(110)의 상면(113) 길이 방향 양측과 하면(114) 길이 방향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플랫튜브(20)의 내부 둘레면과 접한다. 상면(113)에 형성된 고정편(120)은 플랫튜브(20)의 상부측 내부 둘레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하면(114)에 형성된 고정편(120)은 플랫튜브(20)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플랫튜브(20)와 접하는 고정편(120)에 의해 본체(110)는 플랫튜브(20)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fixing pieces 120 protrude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13 of the main body 110 an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114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The fixing piece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3 protrudes toward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and the fixing piece 1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14 protrudes towar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 And protrudes toward the surface. The main body 11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lat tube 20 by the fixing piece 1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at tube 20. [

플랫튜브(20)와 접하고 있는 고정편(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랫튜브(20)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구부러져 있다. 고정편(120)의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플랫튜브(20)와 고정편(12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그러나 고정편(120)은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편(120)의 끝 부분이 플랫튜브(20)의 내부 둘레면과 접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piece 120 in contact with the flat tube 20 is ben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t tube 20 and the fixing piece 120 is increased by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piece 120. [ However, the fixing piece 120 may not be bent.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iece 1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고정편(120)의 고정으로 본체(110)의 하면(114)과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은 기 설정된 간격(A)을 유지하며, 본체(110)의 상면(113)과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은 기 설정된 간격(B)을 유지한다. 여기서 하부측의 간격(A)은 상부측의 간격(B)보다 크다.The lower surface 114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20 ar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by the fixation of the fixing piece 120 and the upper surface 113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flat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tube 20 maintains the predetermined interval B. Here, the interval A on the lower side is larger than the interval B on the upper side.

유도편(131a, 131b)은 본체(110)의 전면(111)과 후면(112)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플랫튜브(20) 내부로 유입된 열매체가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한다.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rear surface 112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heating medium flowing into the flat tube 20 flow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

본체(110) 표면이 다각 형태로 절개되고, 본체(110)의 절개 부분은 개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다각형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끊겨 있다. 끊겨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절개된 부분이 전면(111) 또는 후면(112)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유도편(131a, 131b)이 형성된다.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cut into a polygonal shape and the cut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n open loop shape so that the polygons are not connected and broken. The incised portions ar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111 or the rear surface 112 to form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본체(110)는 유도편(131a, 131b)의 형성으로 유도편(131a, 131b)과 연결된 구멍(110a, 110b)을 갖는다. 유도편(131a, 131b)은 열매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유도편(131a, 131b)은 본체(110) 상면(113)에서 하면(114)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경사져있다.The main body 110 has holes 110a and 110b connected to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by the formation of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s. That is,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re obliquely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114 from the upper surface 113 of the main body 110.

전면(111)의 유도편(131a)은 플랫튜브(20)의 우측공간(22)에 위치하고 후면(112)의 유도편(131b)은 플랫튜브(20)의 좌측공간(21)에 위치한다(도 4 참조). 유도편(131a, 131b)의 끝 부분(132)은 플랫튜브(20)의 내부 둘레면과 접한다. 전면(111)의 유도편(131a)과 후면(112)의 유도편(131b) 그리고 구멍(110a, 110b)은 하나의 유도세트(130)를 이루며 유도세트(130)는 본체(110) 상면(113)에서 하면(114)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piece 131a of the front surface 111 is located in the right space 22 of the flat tube 20 and the guide piece 131b of the rear surface 112 is located in the left space 21 of the flat tube 20 4). The end portions 132 of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The guide piece 131a of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guide piece 131b of the rear surface 112 and the holes 110a and 110b constitute one guide set 130. The guide set 1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113) and the lower surface (114).

복수의 유도세트(130)는 하나의 단위체(130g)를 형성한다. 하나의 단위체(130g)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단위체(130g)들은 같은 방향으로 동일하게 경사져 있다.The plurality of induction sets 130 form one unit body 130g. One unit body 130g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 The unit pieces 130g are equally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좌측공간(21)과 우측공간(22)을 유동하는 열매체는 유도편(131a, 131b)과 접할 수 있다. 유도편(131a, 131b)의 끝 부분(132)이 플랫튜브(20) 내부 둘레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열매체는 유도편(131a, 131b)과 플랫튜브(20) 내부 둘레면 사이로 유동하지 못한다. 이에, 유도편(131a, 131b)과 접한 열매체는 유도편(131a, 131b)의 경사진 방향에 의해 열매체는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으로 유동할(유도될) 수 있다.The heating medium flowing through the left space 21 and the right space 22 can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The heating medium does not flow between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because the end portions 132 of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20. [ The heating medium in contact with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can flow (induce) the heating medium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20 by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그리고 구멍(110a, 110b)을 통해 본체(110)의 전면(111)과 후면(112)을 연결되면서 플랫튜브(20)의 좌측공간(21)과 우측공간(22)은 연결된다. 이에 좌측공간(21)의 열매체와 우측공간(22)의 열매체는 구멍(110a, 110b)을 통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이에 열매체는 플랫튜브 하부측으로 유도되고 혼합되면서 플랫튜브(20)을 유동하면서 난류화될 수 있다.The left space 21 and the right space 22 of the flat tube 20 are connected while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rear surface 112 of the main body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s 110a and 110b. The heating medium in the left space 21 and the heating medium in the right space 22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oles 110a and 110b. The heating medium is guided to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and can be turbulent while flowing through the flat tube 20 while being mixed.

아울러, 하부측 간격(A)이 상부측 간격(B)보다 크므로 하부측(하면(114)과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부측(상면(113)과 플랫튜브(20) 상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보다 증가된다. 또한 하부측 열매체의 유속이 상부측의 열매체 유속보다 빠르다. 이에 하부측 열매체의 유속과 유량의 증가로 하면(114)과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된다. 이에 플랫튜브(20)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열효율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Since the lower side gap A is larger than the upper side gap B, the flow rate of the heat medium flowing through the lower side (between the lower surface 11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20) 11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upper side of the flat tube (20)).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lower side heat medium is faster than that of the upper side heat medium. Accordingly, if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lower side heat medium are increased, the foreign matter is not accumul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t tube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tub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rmal efficiency which may be caused by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flat tube 20.

한편, 열매체가 플랫튜브(20) 하부측 내부 둘레면 방향으로 유도될 때 구멍(110a, 110b)과 단위체(130g)들의 유도편(131a, 131b)에 의해 플랫튜브(20) 내부에 난류가 발생하므로 난류로 열매체와 연소생성물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플랫튜브(20)를 유동하는 열매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medium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n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20, turbulence is generated inside the flat tube 20 by the guide pieces 131a and 131b of the holes 110a and 110b and the unit pieces 130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heating medium and the combustion products is improved by the turbulence, and the heating medium flowing through the flat tube 20 can be uniformly heated as a whole.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배플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baffle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도 2의 배플 플레이트 다른 실시예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플 플레이트가 플랫튜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ffle plate of FIG. 2,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the baffle plate of FIG. 5 is coupled to the flat tube.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 플레이트(10)는 본체(110), 고정편(120) 및 유도편()을 포함한다.5 and 6, the baffle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 fixing piece 120, and an induction piece.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 고정편(120) 및 유도편()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고정편 및 유도편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ain body 110, the fixing piece 120, and the guide piece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main body, the fixing piece, and the guide pie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에는 좌측공간(21)(도 4 참조)과 우측공간(22)(도 4 참조)을 연결하는 연결홀(110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홀(110c)은 이웃한 단위체(130g)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좌측공간(21)과 우측공간(22)의 열매체는 구멍(110a, 110b)과 연결홀(110c)을 통해 서로 혼합될 수 있다.However,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connection hole 110c connecting the left space 21 (see FIG. 4) and the right space 22 (see FIG. 4). The connection hole 110c is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unit bodies 130g. The heat medium in the left space 21 and the right space 22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oles 110a and 110b and the connection hole 110c.

본체(110)의 상면(113)과 하면(114)에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110d)이 형성되어 있다. 함몰공간(110d)은 이웃한 단위체(130g) 사이에 위치한다.The upper surface 113 and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main body 110 are formed with a recessed space 110d recessed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ain body 110. The recessed space 110d is located between neighboring unit pieces 130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Many of the features shown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4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핀 튜브 열 교환기 10: 배플 플레이트
110: 본체 110a, 110b: 구멍
110c: 연결홀 110d: 함몰공간
111: 전면 112: 후면
113: 상면 114: 하면
120: 고정편 130: 유도세트
130g: 단위체 131a, 131b: 유도편
132: 끝 부분 20: 플랫튜브
WL: 폭 방향 길이 HL: 상하 방향 길이
20a: 폭 방향 중심 21: 좌측공간
22: 우측공간 30: 전열핀
40a, 40b: 엔드 플레이트 51, 52: 유로캡
511: 유입구 512: 유출구
1: Finned tube heat exchanger 10: Baffle plate
110: main body 110a, 110b: hole
110c: connection hole 110d: recessed space
111: Front 112: Rear
113: upper surface 114:
120: Fixing piece 130: Induction set
130g: Unit 131a, 131b: Induction piece
132: end 20: flat tube
WL: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HL: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20a: width direction center 21: left space
22: right space 30: heating pin
40a, 40b: end plate 51, 52:
511: Inlet port 512: Outlet port

Claims (9)

열매체가 유동하는 플랫튜브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 둘레면과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를 구획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플랫튜브와 접하는 고정편 및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유도편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플랫튜브 내부를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좌측공간과 상기 우측공간으로 각각 유입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유도편에 의해 하부측으로 유도되는
배플 플레이트.
And is installed inside the flat tube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flows,
A body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and defining an interior of the flat tube,
A fixing piece connected to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lat tube,
A plurality of induction piece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 RTI >
The main body divides the inside of the flat tube into a left space and a right space, and the heat medium introduced into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are guided to the lower side by the guide piece
Baffle plate.
제1항에서,
상기 유도편은 상기 본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도편 형성으로 상기 좌측공간과 상기 우측공간을 연결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편은 사선 형태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열매체는 상기 유도편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플랫튜브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 사이로 유도되는
배플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piece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that is cut and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and a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to connect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Wherein the guide piece is inclined in an oblique shape and the heating medium is guided by the guide pie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lat tube
Baffle plate.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과 상기 플랫튜브의 하부측 내부 둘레면은 기 설정된 간격(A)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플랫튜브의 상부측 내부 둘레면은 기 설정된 간격(B)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하부측 간격(A)은 상기 상부측 간격(B)보다 큰 배플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side of the flat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flat tub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lower side gap (A) is larger than the upper side gap (B).
제2항에서,
상기 유도편은 상기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유도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세트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체들은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배플 플레이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piece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an induction set, and the induction se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ngularly spaced apart oblique lin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one unit body,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unit bodies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제4항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향해 함몰된 함몰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공간은 이웃한 상기 단위체 사이에 위치한 배플 플레이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recessed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ecessed space is located between neighboring unit pieces.
제5항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연결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홀은 이웃한 상기 단위체 사이에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for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and the connection holes are formed between neighboring unit pieces.
제1항에서,
상기 유도편의 끝 부분은 상기 플랫튜브의 내부 둘레면과 접하는 배플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iece is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
제1항에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배플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ece is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배플 플레이트,
내부에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고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플랫튜브,
상기 복수의 플랫튜브를 연결하고 상기 플랫튜브 외부 둘레면에 배치된 복수의 전열핀,
상기 복수의 플랫튜브 양측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튜브들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유로캡
을 포함하는 핀 튜브 열 교환기.
A baffle plate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8,
A plurality of flat tubes in which the baffle plate is disposed and arranged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fin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lat tubes and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tubes,
An end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lat tubes,
A plurality of flat tubes connected to the end plates,
And a fin tube heat exchanger.
KR1020160094211A 2016-07-25 2016-07-25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KR20180011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11A KR20180011613A (en) 2016-07-25 2016-07-25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11A KR20180011613A (en) 2016-07-25 2016-07-25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13A true KR20180011613A (en) 2018-02-02

Family

ID=6122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11A KR20180011613A (en) 2016-07-25 2016-07-25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1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628A (en)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Turbulator and heat exchanger for water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20011017A (en)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Turbulator for heat exchang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628A (en)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Turbulator and heat exchanger for water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20011017A (en)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Turbulator for heat exchanger
US11788806B2 (en) 2020-07-20 2023-10-17 Kyungdong Navien Co., Ltd. Turbulator for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833B1 (en) Pin-tube type heat exchanger
JP5871167B2 (en) Combustion device
EP3674647B1 (en) Fin-tube type heat exchanger unit using a heat transfer fin
KR20170111433A (en) Tube frame type heat exchanger
CN107345776A (en) Sinuous flow formation utensil
CN109479385A (en) The core of laminated type radiator
KR101520484B1 (en) Heat exchanger
KR20180011613A (en) baffle plate and fin-tube heat exchanger comprising the same
US1927325A (en) Radiator fin construction
JP6327839B2 (en) Combustion device
US20210156623A1 (en)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H06109391A (en) Fins of heat exchanger
KR101749059B1 (en) Wave plate heat exchanger
KR100228503B1 (en) Tube element for laminated heat exchanger
EP3354998A1 (en) Round plate heat exchanger
JP2008116095A (en) Air heat exchanger
KR102597633B1 (en) Turbulator and heat exchanger for water h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7336271B2 (en) Combustion device
KR960003685Y1 (en) Heat exchanging tube assembly for gas boiler
JP2015001342A (en) One can-type composite heat source machine
JP7374066B2 (en) Heat exchanger fins and heat exchangers equipped with the same
JP4179235B2 (en) Heat exchanger
CN216049375U (en) Heat exchange device,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sheet
KR101692349B1 (en) Body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KR101845347B1 (en) Heat exchanger of convection steam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