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924A -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924A
KR20180010924A KR1020160111171A KR20160111171A KR20180010924A KR 20180010924 A KR20180010924 A KR 20180010924A KR 1020160111171 A KR1020160111171 A KR 1020160111171A KR 20160111171 A KR20160111171 A KR 20160111171A KR 20180010924 A KR20180010924 A KR 2018001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medical information
file
network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알엠 filed Critical (주)아이알엠
Publication of KR2018001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의료기관에서 내부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전산망과, 제1 전산망에 연결되는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에 연결되어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제1 컴퓨터와,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과,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제2 컴퓨터를 포함하되,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는, 제1 컴퓨터가 제2 컴퓨터의 자원을 일방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은,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제1 컴퓨터(서버)이 USB 호스트가 되고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에 연결된 제2 컴퓨터(단말)가 USB 디바이스가 되도록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를 USB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컴퓨터는 제2 컴퓨터의 지정된 폴더에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으나 제2 컴퓨터는 단순한 저장매체에 불과한 형태가 되므로 제1 컴퓨터에 접근할 수가 없어, 2개의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 사이에서 안전하게 데이터의 저장, 처리, 전송, 수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안전한 의료정보 교류가 가능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등 다양한 의료정보 시스템들이 구축되어 있어 의무기록, 의료영상 등 다양한 의료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고 있다.
종래에는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를 다른 병원으로 옮기거나, 다른 병원으로부터 의료정보를 가져오고자 할 때 의무기록 등을 종이 문서나 CD(Compact Disc) 등의 형태로 복사하여 이동시켜야 했다.
그런데, 종이 문서나 CD는 이동 중 훼손될 우려가 있고, 종이 문서는 디지털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활용성이 떨어지며, CD는 병원마다 데이터 포맷이 다른 경우가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의료정보 교류를 전자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 즉 의료정보 교류(Health Information Exchange)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형 병원들은 물론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의료기관의 경우에도, 병원 전산망이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전산망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이 때, EMR, PACS 등 병원의 핵심 정보 시스템은 전술한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되어 있다.
의료정보 교류를 위해서는 이러한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EMR, PACS 서버의 정보를 어떻게든 외부로 꺼내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방화벽 등이 전혀 없이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이 완전 분리된 경우에는 내부 전용 전산망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종래의 병원 전산망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컴퓨터(1)은 같은 내부 전산망에 있는 의료정보 서버에만 접속할 수 있다. 컴퓨터(1)은 인터넷은 물론 컴퓨터(2)에도 접근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전용 전산망에서 네트워크가 아닌 방식, 예를 들면 외장형 USB 디스크를 사용하여 내부 전산망에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고, 데이터가 복사된 외장형 USB 디스크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장착함으로써 안전하게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병원 전산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을 완전히 분리시키기보다는, 중간에 방화벽이나 게이트웨이(Gateway)를 개재시킴으로서 미리 설정된 특정 컴퓨터에 한하여 방화벽 등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방화벽(3)은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 사이의 연결을 통제하는 방화벽이고, 방화벽(4)는 최종적으로 인터넷과의 연결을 통제하는 방화벽이다. 만일, 방화벽(3)이 해킹당하는 경우에는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해커의 공격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방화벽이나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하여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의 연결을 제어하는 경우, 고도의 기술을 가진 해커의 공격을 이겨내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방화벽이나 게이트웨이 장비는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에 모두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2개의 전산망 사이의 연결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화벽 또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차단시킬 수가 없어 잠재적으로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전산망을 구축할 경우에는 전술한 것처럼 USB 디스크를 넣었다 뺐다 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1343호에는 USB메모리를 단말에 연결하면 건강정보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3288호에는 병원에서 의료진이 보는 PC에 USB장치를 삽입하면 EMR 화면 캡처기가 자동으로 구동되고, 가정에서 개인 PC에 USB장치를 삽입하면 사용자가 의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 소프트웨어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1343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3288호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 사이에서 안전하게 데이터의 저장, 처리, 전송,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료기관에서 내부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전산망과, 제1 전산망에 연결되는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에 연결되어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제1 컴퓨터와,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과,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제2 컴퓨터를 포함하되,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는, 제1 컴퓨터가 제2 컴퓨터의 자원을 일방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는, 제1 컴퓨터는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지정된 파일을 조작할 수 있고, 제2 컴퓨터는 제1 컴퓨터에의 접근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는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1 컴퓨터는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며, 제2 컴퓨터는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컴퓨터가 제1 컴퓨터에 대해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제2 컴퓨터에는 USB OTG(On The Go) 컨트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컴퓨터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제1 컴퓨터는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소정의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의료정보에 관한 파일을 저장하고, 제2 컴퓨터는 저장된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제2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고, 제1 컴퓨터는 폴더에 접근하여 저장된 파일로부터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썬더볼트(Thunderbolt)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컴퓨터에 연결되며,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로서, 컴퓨터와 USB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와,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대해 단말 장치가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장착되는 USB OTG 컨트롤러와, 단말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 장치는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지정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저장된 파일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인터넷 인터페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다운로드된 파일은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며, 컴퓨터가 폴더에 접근하여 저장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컴퓨터와,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컴퓨터에 의해,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소정의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b) 컴퓨터가 단말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정보에 관한 제1 파일을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단말 장치에 의해, 제1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단말 장치는 컴퓨터에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대해서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d) 단말 장치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제2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e) 제2 파일을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컴퓨터가 단말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해 제2 파일로부터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제1 컴퓨터(서버)가 USB 호스트가 되고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에 연결된 제2 컴퓨터(단말)가 USB 디바이스가 되도록 제1 컴퓨터와 제2 컴퓨터를 USB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컴퓨터는 제2 컴퓨터의 지정된 폴더에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으나 제2 컴퓨터는 단순한 저장매체에 불과한 형태가 되므로 제1 컴퓨터에 접근할 수가 없어, 2개의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내부 전용 전산망과 인터넷 접속 가능 전산망 사이에서 안전하게 데이터의 저장, 처리, 전송, 수신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병원 전산망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산망(10), 의료정보 서버(12), 제1 컴퓨터(14), 제2 전산망(20), 제2 컴퓨터(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EMR, PACS 등의 의료정보 서버가 외부로부터의 해킹에 대해 안전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전산망(10)(내부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산망)과 제2 전산망(20)(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산망)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도록, 즉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산망은 통신 회선을 통해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을 연결한 조직망으로서 유선 방식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의 네트워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내부 전용망(제1 전산망(10))과 인터넷 접속 가능망(제2 전산망(20))을 기존의 이더넷(Ethernet)이나 WiFi와 같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 네트워크로는 전혀 연결하지 않는다.
제1 전산망(10)에는 의료정보 서버(12) 뿐만 아니라 제1 컴퓨터(14)가 연결되고, 제2 전산망(20)에는 제2 컴퓨터(24)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컴퓨터(14)는 제1 전산망(10)에 연결되어 의료정보 서버(12)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이고, 제2 컴퓨터(24)는 제2 전산망(20)에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이다.
여기에서 컴퓨터는 전산망에 연결되어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보낼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전자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서버, 터미널, 클라이언트, PC, 모바일 장치,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가 일반적인 라우팅 기반 네트워크 방식이 아니라, 특수한 관계를 가지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컴퓨터(14)가 제2 컴퓨터(24)의 자원을 일방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지정된 파일을 조작할 수 있고, 제2 컴퓨터(24)는 제1 컴퓨터(14)에의 접근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을 조작한다는 것은 파일을 생성, 수정, 삭제, 복사, 저장하는 등 파일을 처리하는 일체의 작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전술한 것처럼 두 전산망(10, 20)을 물리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전산망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 사이에 라우팅 기능이 없는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도 3의 'H' 참조)를 설치하고, 각 컴퓨터(14, 24)와 하드웨어 장치 사이에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도 3의 'P' 참조)을 통해 내부 전용망(10)에 있는 컴퓨터(제1 컴퓨터(14))와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에 있는 컴퓨터(제2 컴퓨터(24))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에 따라, 제2 컴퓨터(24)는 제1 컴퓨터(14)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에 접근하여 파일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같은 연결 방식의 경우, 내부 전용망(10)과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특수 하드웨어+프로토콜'은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만일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에 연결된 컴퓨터(24)가 해킹당하더라도 내부 전용망(10)에 연결된 컴퓨터(14)(및 내부 전용망)까지 접근하지는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수 하드웨어와 통신 프로토콜은 기존의 TCP/IP 프로토콜과는 달리 라우팅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에 있는 컴퓨터(24)가 해커의 공격에 노출되더라도 내부 전용망(10)에 연결된 컴퓨터(14)는 물론 내부 전용망(10)으로의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두 컴퓨터 간의 특수한 연결 방식을 보다 간편히 구현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는 USB 방식으로 연결하되, 제1 컴퓨터(14)는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고 제2 컴퓨터(24)는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즉, 두 컴퓨터(14, 24)를 USB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제1 컴퓨터(14)에서는 제2 컴퓨터(24)가 단순 저장매체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의 특정 폴더에 자유로이 접근하여 파일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제2 컴퓨터(24)는 특정 폴더에 대해서는 단순한 저장매체처럼 동작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컴퓨터에 구비되어 있는 USB 포트는 USB 호스트로서만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제2 컴퓨터(24)에 있는 USB 포트가 제2 컴퓨터(24)를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제2 컴퓨터(24)에는 USB OTG(On The Go) 컨트롤러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USB OTG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나 MP3 플레이어, 휴대폰과 같은 포터블 장치들 간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수정된 USB 규격으로서, 제2 컴퓨터(24)에 OTG 컨트롤러를 장착함으로써 제2 컴퓨터(24)는 마치 포터블 장치처럼, 단순한 저장매체로 인식되도록 제1 컴퓨터(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컴퓨터(24)의 특정 폴더가 제1 컴퓨터(14) 쪽에서는 단순 저장매체로 보일 수 있도록 제2 컴퓨터(24)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이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USB 방식의 연결을 통해,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의 특정 폴더에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으나, 제2 컴퓨터(24)는 단순 저장매체에 불과한 형태가 되므로 제1 컴퓨터(14)에 접근할 수가 없다.
한편, 도 4와 같은 연결 방식을 더욱 간편하게 구현하기 위해, 제2 컴퓨터(24)로서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 장치들은 이미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는 USB 포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단말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인터넷 인터페이스, 즉 이더넷(Ethernet)이나 WiFi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 인터넷 접속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제2 컴퓨터(24)로서 임베디드/모바일/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적인 비용 없이 내부 전용망(10)과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이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제1 컴퓨터(14)가 주도하는 파일 송수신 방식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임베디드,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제2 컴퓨터(24)에 추가적으로 USB OTG 컨트롤러를 장착할 필요 없이, 전술한 단말 장치들이 USB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단말 장치)를 USB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서,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단말 장치)에 자유로이 접근이 가능하나, 제2 컴퓨터(24)(단말 장치)는 제1 컴퓨터(14)에 접근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제1 컴퓨터(14)가 단말 장치(24)의 특정 폴더에 파일을 올려놓으면 단말 장치(24)는 해당 파일을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 장치(24)가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특정 폴더에 저장해 놓으면 제1 컴퓨터(14)는 단말 장치(24)에 접근하여 해당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제2 컴퓨터(24)는 제1 컴퓨터(14)에 대해 USB 디바이스에 불과하므로 제1 컴퓨터(14)의 파일 시스템이나 운영체제 등에 접근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의료정보가 반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컴퓨터(14)는 의료정보 서버(12)로부터 필요한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제2 컴퓨터(24)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다운로드한 의료정보에 관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컴퓨터(24)는 저장된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의료정보 서버(12)로부터 필요한 의료정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료정보가 반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컴퓨터(24)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제2 컴퓨터(24)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에 접근하여 저장된 파일을 읽어와 의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1 컴퓨터(14)는 획득한 의료정보를 외장형 저장매체나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외부(인터넷)로부터 의료정보를 반입하여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를 USB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제1 컴퓨터(14) 및 제2 컴퓨터(24)에 적절한 형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하여 파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지그비(ZigBee), 썬더볼트(Thunderbolt)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컴퓨터(14)와 제2 컴퓨터(24)를 연결하되, 제1 컴퓨터(14)는 제2 컴퓨터(24)에 자유로이 접근이 가능하나 제2 컴퓨터(24)는 제1 컴퓨터(14)에 접근할 수 없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산망(10), 의료정보 서버(12), 컴퓨터(14), 제2 전산망(20), 단말 장치(22), USB 포트(221), USB OTG 컨트롤러(223), 인터넷 인터페이스(225),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227)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 장치로서, 제1 전산망(10)(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컴퓨터(14)와 연결되는 단말 장치(22)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22)는 제2 전산망(20)(인터넷 접속 가능망)에 연결되는데, 제2 전산망(20)과 제1 전산망(10)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 장치(22)는 컴퓨터(14)에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컴퓨터(14)(USB 호스트)에 대해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에는 컴퓨터(14)와 USB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22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USB 포트(221)는 USB 방식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버전(USB 1.0 / 2.0 / 3.0 등)형태 및 타입(A / B / Mini-A / Mini-B / Micro-A / Micro-B 등)을 포함하며, 변환 케이블이나 젠더를 이용하여 표준 타입의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포트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가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22)에는 USB OTG 컨트롤러(223)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로서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사용할 경우 해당 기기에는 이미 USB OTG 컨트롤러(22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컨트롤러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가 인터넷 접속 가능망(20)에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단말 장치(22)에는 이더넷(Ethernet)이나 WiFi 등의 인터넷 인터페이스(22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로서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을 사용할 경우 해당 기기에는 이미 자체적으로 인터넷 인터페이스(22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장치를 통해 의료정보가 반입/반출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에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2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227)는, 컴퓨터(14)가 USB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 장치(22)의 특정 폴더에 접근하여 필요한 파일을 조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14)에 의해 단말 장치(22) 내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파일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2)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특정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것처럼 컴퓨터(14)는 단말 장치(22)의 특정 폴더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파일을 읽거나, 복사하여 컴퓨터(14) 내의 별도의 저장공간, 외장형 저장매체 또는 필요한 경우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의료정보를 반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전산망(10)(내부 전용 전산망)에 연결된 컴퓨터(14)는 의료정보 서버(12)로부터 필요한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한다(S100).
다음으로, 컴퓨터(14)는 단말 장치(22)에 접근하여, 다운로드 받은 의료정보에 관한 파일을 특정 폴더에 저장한다(S200).
다음으로, 단말 장치(22)에 저장된 파일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 전송된다(S300).
이와 같이,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된 의료정보를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반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2)는 컴퓨터(14)에의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해킹 등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료정보를 반입하기 위해서는, 단말 장치(22)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이메일, 웹하드, 클라우드 서버 등)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한다(P100).
다음으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단말 장치(22)의 특정 폴더에 저장한다(P200).
단말 장치(22)의 특정 폴더는 컴퓨터(14)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므로, 컴퓨터(14)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2)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 의료정보를 획득한다(P300). 필요한 경우 컴퓨터(14)는 획득한 의료정보를 외장형 저장매체나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내부 전용망(10)으로 반입하여 의료정보 서버(12)에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22)는 컴퓨터(14)에의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해킹 등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 전산망 12 : 의료정보 서버
14 : 제1 컴퓨터 20 : 제2 전산망
22 : 단말 장치 24 : 제2 컴퓨터
221 : USB 포트 223 : USB OTG 컨트롤러
225 : 인터넷 인터페이스 227 :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Claims (15)

  1. 의료기관에서 내부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1 전산망과;
    상기 제1 전산망에 연결되는 의료정보 서버와;
    상기 제1 전산망에 연결되어 상기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제1 컴퓨터와;
    상기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과;
    상기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제2 컴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컴퓨터와 상기 제2 컴퓨터는, 상기 제1 컴퓨터가 상기 제2 컴퓨터의 자원을 일방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터와 상기 제2 컴퓨터는, 상기 제1 컴퓨터는 상기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지정된 파일을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제2 컴퓨터는 상기 제1 컴퓨터에의 접근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터와 상기 제2 컴퓨터는 USB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는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며, 상기 제2 컴퓨터는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컴퓨터가 상기 제1 컴퓨터에 대해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제2 컴퓨터에는 USB OTG(On The Go) 컨트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컴퓨터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컴퓨터는 상기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소정의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상기 의료정보에 관한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제2 컴퓨터는 저장된 상기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컴퓨터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제2 컴퓨터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컴퓨터는 상기 폴더에 접근하여 저장된 상기 파일로부터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퓨터와 상기 제2 컴퓨터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또는 썬더볼트(Thunderbolt)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9.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컴퓨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와 USB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와;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상기 컴퓨터에 대해 상기 단말 장치가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장착되는 USB OTG 컨트롤러와;
    상기 단말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임베디드 장비, 모바일 장비,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접근하여 지정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저장된 파일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다운로드된 파일은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되며,
    상기 컴퓨터가 상기 폴더에 접근하여 저장된 상기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용 단말 장치.
  13. 의료정보 서버와 제1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컴퓨터와, 상기 제1 전산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전산망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소정의 의료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의료정보에 관한 제1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USB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상기 컴퓨터에 대해서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d)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제2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e) 상기 제2 파일을 상기 단말 장치의 미리 설정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상기 컴퓨터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의해 상기 제2 파일로부터 의료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처리방법.
KR1020160111171A 2016-07-21 2016-08-30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0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2546 2016-07-21
KR1020160092546 2016-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24A true KR20180010924A (ko) 2018-01-31

Family

ID=610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171A KR20180010924A (ko) 2016-07-21 2016-08-30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9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806B2 (en) Automatic multimedia upload for publishing data and multimedia content
US8560864B2 (en) Firewall for removable mass storage devices
TWI512470B (zh) 無線數位內容管理之方法及裝置
KR101190426B1 (ko)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N100473070C (zh) 一种具有存储功能的usb设备在网络计算机上的映射方法
US2013031826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40142982A1 (en) Apparatus for Securely Transferring, Sharing and Storing of Medical Images
WO2016097744A1 (en) Secure file transfer
US200701041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over a network
US8775678B1 (en) Automated wireless synchronization and transformation
TWI602067B (zh) 與外部裝置互動的電子裝置
EP1635570A2 (en) Digital media receiver having a reader
KR20180010924A (ko)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65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medical data from medical devices to a remote server
US9742874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control
KR20180026892A (ko) 의료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17098A1 (en) Electronic apparatus interacted with external device
US20120136963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connection-target storage, and content transmission program
Sun et al. Cross: A generic framework for system integration and its adaption in hospitals
JP2010176616A (ja) ネットワーク接続ストレージとipアドレス設定方法
JP5705920B2 (ja) 無線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8282072A (ja) コンテンツ保持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82750B1 (ko) Usb 포트를 이용한 ip 스토리지 이용 방법 및 그시스템
JP2011170537A (ja) 情報蓄積装置、識別情報蓄積装置、可搬型記憶媒体、情報蓄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445324A (zh) 遠端硬碟的連線使用方法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