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761A -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761A
KR20180010761A KR1020160093382A KR20160093382A KR20180010761A KR 20180010761 A KR20180010761 A KR 20180010761A KR 1020160093382 A KR1020160093382 A KR 1020160093382A KR 20160093382 A KR20160093382 A KR 20160093382A KR 20180010761 A KR20180010761 A KR 2018001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display
multimedia contents
authoring too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고철재
Original Assignee
(주)네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텍 filed Critical (주)네오텍
Priority to KR102016009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761A/ko
Publication of KR2018001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고, 외부 입력 기능을 포함한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구성하며,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등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며, 상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TV 수신 기능과 함께 고해상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PC 솔루션보다 저비용으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면에서 편리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기존에 TV 셋톱박스와 연동하거나 TV 셋톱박스가 없더라도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고가의 PC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FULL-HD로 HDMI 출력 기능과 LCD 패널 출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료 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ir Controlling Multi-purpose Smart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쉽게 제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IT 기술이 융합된 장치로서, 뉴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이다. 즉, 디지털 사이니지는 다양한 옥외공간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설치해 타겟 대상자를 중심으로 광고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광고 미디어로서, 전통적인 OOH(Out of Home) 광고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오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디지털 사이니지는 터미널, 버스 정류장, 지하철, 공항, 백화점, 호텔, 병원, 관공서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대형 건물이나 식당, 영화관, 쇼핑몰,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광고는 미리 제작된 광고를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단순히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불과하고, 광고주, 광고대행사, 소매점 등의 디지털 사이니지 효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디지털 사이니지에 특화된 콘텐츠 제작이나 운용능력에 관한 전문성의 부재, 초기 투자비용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소매점 등의 소규모 업종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쉽게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광고용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대형이면서 고가로 제작되어 소규모 사업장이나 영세 사업장에서는 도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전용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동영상 재생, 이미지 자막 출력이 가능하여 광고 전용으로만 사용되었다.
복수의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기기 내에 광고를 TV 수신 기능 외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보드가 별도로 추가되거나, 고해상도(UHD)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고가의 그래픽 카드를 장착한 별도의 PC가 필요하며, 디지털 TV 수신 기능과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가 독립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 수신 기능과 광고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광고 컨텐츠를 제작하여 TV 방송 화면과 함께 자신이 제작한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었기 때문에 광고 전문 업체에 광고 컨텐츠 제작을 의뢰하고, 제작된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배포 장치(또는 서버)에 등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규모 사업장이나 영세 사업장의 경우에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DID에 광고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제작 및 등록에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8068호 " 광고 내장 시스템, 광고 내장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한국등록특허 제10-1507494호 "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4453호 " 광고 호출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
본 발명은 TV 수신 기능과 함께 고해상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FULL-HD로 HDMI 출력 기능과 LCD 패널 출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어 PC 없이도 전자칠판, 디지털 사이니지, CCTV, 카메라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고, 외부 입력 기능을 포함한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구성하며,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등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며, 상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자칠판, 디지털 사이니지, TV, 카메라, 방송 수신 장비, 보안용 녹화장비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초고선명(UHD, 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관리, 미리 보기, 추가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생성하고, 템플릿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지 내의 페이지 생성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패키지 관리 모듈; 상기 생성된 패키지를 표출할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패키지를 전송하는 전송 관리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여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디바이스 목록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해당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정/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 관리 모듈은,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페이지의 생성/삭제, 상기 페이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추가/삭제,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목록 관리, 상기 페이지에 출력되는 자막 편집, 상기 페이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표출되는 순서 제어를 수행하는 페이지 관리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 편집, 동영상 편집, 자막 편집을 수행하는 템플릿 관리자; 및 상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타임 테이블에 일정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스케줄 관리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대한 설치 지역 정보, 설치 날짜, 관리 정보를 포함한 이력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의 업데이트 기능,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고장진단 기능, 불법 사용 여부에 대한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출력에 대한 스케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스케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출하기 위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에 상기 등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 동영상 또는 자막을 편집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출 순서 변경, 추가/삭제, 미리 보기를 포함한 페이지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가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기 위한 스케줄을 등록/삭제하여 스케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PC용과 스마트폰용으로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TV 수신 기능과 함께 고해상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PC 솔루션보다 저비용으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면에서 편리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TV 셋톱박스와 연동하거나 TV 셋톱박스가 없더라도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고가의 PC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FULL-HD로 HDMI 출력 기능과 LCD 패널 출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료 표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컨텐츠 저작 툴이 PC용/스마트폰용으로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PC용 컨텐츠 저작 툴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스마트폰용 컨텐츠 저작 툴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10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칠판, TV, 디지털 사이니지, 카메라, 셋톱박스(10), 보안용 녹화 장비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로서, TV 방송 화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고, 외부 입력(HDMI) 기능을 포함한 컨텐츠 저작 툴(300)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하여 초고선명(UHD, 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기존에 TV 셋톱박스(10)와 연동하거나 TV 셋톱박스(10)가 없더라도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를 통해 TV 방송 화면과 동시에 이미지 정보와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외부 입력 기능을 포함한 광고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고, 동시에 2개의 FHD(Full High Definition) 동영상을 디코딩할 수 있으며, 각 동영상의 크기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와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컨텐츠 저작 툴(30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구성하며, 패키지 내를 구성하는 페이지와 페이지에 등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구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한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의 시리얼 번호를 이용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할당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에 대한 설치 지역 정보, 설치 날짜, 유지보수 및 관리자 정보 등을 포함한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이력 정보로 저장하며, 컨텐츠 저작 툴의 업데이트 기능,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의 고장진단 기능, 인증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의 불법 사용 여부에 대한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컨텐츠 저작 툴이 PC용/스마트폰용으로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PC용 컨텐츠 저작 툴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스마트폰용 컨텐츠 저작 툴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저작 툴(300)은 컨텐츠 관리 모듈(310), 패키지 관리 모듈(320), 전송 관리 모듈(330) 및 디바이스 관리 모듈(34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교육, 광고, 재난 안내, 프로필 등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광고일 경우에 컨텐츠 저작 툴(300)에 의한 광고 제작 및 배포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컨텐츠 관리 모듈(310)은 광고에 사용할 컨텐츠를 등록 관리하고, 등록된 컨텐츠의 동영상, 미지, 음악 등을 미리 보기 기능을 통해 확인하며, 콘텐츠 추가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패키지 관리 모듈(320)은 광고 표출을 위한 광고 패키지를 생성하고, 템플릿을 기반으로 빠르게 컨텐츠를 생성하며, 광고 패키지 내의 광고 페이지 생성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패키지 관리 모듈(320)은 페이지 관리자(321), 템플릿 관리자(322) 및 스케줄 관리자(323)를 포함한다.
페이지 관리자(321)는 광고 패키지를 구성하는 광고 페이지의 생성/삭제, 광고 페이지에 등록할 컨텐츠를 드래그 앤 드롭으로 등록, 선택된 영역에 등록된 컨텐츠를 목록으로 관리, 광고 페이지에 출력될 자막 편집, 컨텐츠 순서 변경, 광고 페이지의 영역에 등록된 컨텐츠의 추가/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템플릿 관리자(322)는 이미지 편집, 동영상 편집, 자막 편집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미지 편집 기능은 이미지 정보 확인, 화면 전환 간격 변경, 출력 영역 편집을 수행하고, 동영상 편집 기능은 동영상 정보 확인, 출력시간 편집, 볼륨 조절, 동영상 미리 보기 기능을 수행하며, 자막 편집은 글자색 변경, 글자 크기 변경, 자막 배경색 변경, 자막 배경 투명도 변경, 자막 속도 변경, 자막 내용 편집 기능을 수행한다. 템플릿 관리자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통해 DID 장치(100)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영역에 광고 페이지 출력을 위한 화면을 분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케줄 관리자(323)는 광고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고, 스케줄 타임 테이블에 일정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전송 관리 모듈(330)은 광고 패키지를 표출할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광고 패키지를 전송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340)은 DID 장치(1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여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고, 디바이스 목록 중 사용자 단말(400)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해당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정/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텐츠 저작 툴(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용/스마트폰용으로 구분하여 제공된다. 표 1은 PC용 컨텐츠 저작 툴의 기능, 표 2는 스마트폰용 컨텐츠 저작 툴의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저작 툴은 광고 페이지 구성을 사용자가 눈으로 보면서 쉽게 디자인할 수 있는 위지위그(WISIWYG)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용 컨텐츠 저작 툴(300)은 컨텐츠 관리 모듈(310)이 없는 점이 PC용 컨텐츠 저작 툴(300)과 달라진다. 스마트폰용 컨텐츠 저작 툴(300)은 컨텐츠 관리 모듈(310)이 없는 대신에 패키지 관리 모듈(320)에서 다수의 템플릿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스마트폰 내의 사진저장공간(갤러리, 앨범 등)에서 이미지, 동영상을 선택하고, 자막을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광고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패키지 관리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 페이지 중 필요한 페이지들을 선택하여 광고 패키지를 구성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휴대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관리 모듈(340)은 현재 연결된 디바이스 이름을 편집하거나 디바이스의 비밀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는 컨텐츠 저작 툴(300)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다양한 템플릿을 추가로 제공하며, 다양한 템플릿을 활용하여 손쉽게 광고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DID 장치(100)와 연결되고, 컨텐츠 저작 툴을 이용해 TV 방송 화면과 멀티미디어 컨텐츠 출력 화면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400)은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컨텐츠 저작 툴(300)을 실행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한다.
컨텐츠 저작 툴(300)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TCP 연결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컨텐츠 저작 툴(30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출력에 대한 스케줄 데이터, 즉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의 컨텐츠 저작 툴(300)은 스케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사용자 단말(40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컨텐츠 저작 툴(30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컨텐츠 저작 툴(300)을 이용해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DID 장치(100)에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외부 입력이 가능한 셋톱 박스 형태로 기존의 방송 수신 환경에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TV 수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컨텐츠 저작 툴을 스마트폰용과 PC용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고,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제작되어 PC 등의 고사양의 제어단말없이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DID 장치 200 :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300 : 컨텐츠 저작 툴 400 : 사용자 단말

Claims (8)

  1.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고, 외부 입력 기능을 포함한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구성하며,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등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며, 상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휴대폰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자칠판, 디지털 사이니지, TV, 카메라, 방송 수신 장비, 보안용 녹화장비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초고선명(UHD, Ultra High Definition) 컨텐츠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 관리, 미리 보기, 추가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출을 위한 패키지를 생성하고, 템플릿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지 내의 페이지 생성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패키지 관리 모듈;
    상기 생성된 패키지를 표출할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패키지를 전송하는 전송 관리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여 디바이스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디바이스 목록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해당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정/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관리 모듈은,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페이지의 생성/삭제, 상기 페이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등록/추가/삭제, 상기 등록된 컨텐츠의 목록 관리, 상기 페이지에 출력되는 자막 편집, 상기 페이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표출되는 순서 제어를 수행하는 페이지 관리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 편집, 동영상 편집, 자막 편집을 수행하는 템플릿 관리자; 및
    상기 페이지의 표출 순서에 대한 스케줄 타임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타임 테이블에 일정 등록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스케줄 관리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고유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대한 설치 지역 정보, 설치 날짜, 관리 정보를 포함한 이력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의 업데이트 기능,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고장진단 기능, 불법 사용 여부에 대한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출력에 대한 스케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스케줄 데이터를 분석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저작 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은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외부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출하기 위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하고, 상기 패키지를 구성하는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에 상기 등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추가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 동영상 또는 자막을 편집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출 순서 변경, 추가/삭제, 미리 보기를 포함한 페이지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가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기 위한 스케줄을 등록/삭제하여 스케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TV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PC용과 스마트폰용으로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60093382A 2016-07-22 2016-07-22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0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82A KR20180010761A (ko) 2016-07-22 2016-07-22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82A KR20180010761A (ko) 2016-07-22 2016-07-22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61A true KR20180010761A (ko) 2018-01-31

Family

ID=6108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82A KR20180010761A (ko) 2016-07-22 2016-07-22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7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0594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US20100121693A1 (en) Digital advertis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led content to a digital advertising display
US9223750B2 (en) Dynamic tag generating apparatus and dynamic tag generating method thereof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CN104065979A (zh) 一种动态显示和视频内容相关联信息方法及系统
CN103369411A (zh) 动态产生缩放影片的多屏影片播放系统和相关装置
WO2013190695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099778A (zh) 内容显示装置、内容显示方法、程序以及记录介质
TWM532079U (zh) 編輯預覽影像之系統及相關裝置
CN112329403A (zh) 一种直播文档处理方法和装置
CN110825224A (zh) 一种交互方法、交互系统和显示装置
JP2017033103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それを含む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商品広告または役務広告の提供方法
CN113115083A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10096923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다중 분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4114A (ko) 스마트 tv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탬플릿을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864587U (zh) 一种4k液晶电视拼接装置及液晶拼接系统
WO2002007138A3 (de) Interaktives werbedisplay
KR20180010761A (ko) 다기능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4151678U (zh) 一种安卓系统下双屏异显系统
CN114501087B (zh) 一种显示设备
WO2018194484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реклам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172730B1 (ko) 멀티미디어 키트
KR101603254B1 (ko) 다중 영상 재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831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전광판 시스템
KR20180123839A (ko) 디지털 다채널 메뉴 보드 시스템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KR101993308B1 (ko) 디지털 사이니지의 화면구성 갱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