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617A - 휴대용 전자자물쇠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617A
KR20180010617A KR1020160092954A KR20160092954A KR20180010617A KR 20180010617 A KR20180010617 A KR 20180010617A KR 1020160092954 A KR1020160092954 A KR 1020160092954A KR 20160092954 A KR20160092954 A KR 20160092954A KR 20180010617 A KR20180010617 A KR 2018001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ermanent magnet
housing
hollow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143B1 (ko
Inventor
김오섭
이재성
최동윤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테크날러지
(주) 위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테크날러지, (주) 위트젠 filed Critical (주)에스알테크날러지
Priority to KR102016009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72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고정단부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 이동하도록 지지되며, 하우징과의 사이에 폐루프 공간을 형성도록 소정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일체 연장하고, 고정단부의 탄성적인 신축 이동에 따라 하우징에 수용 또는 이탈하는 자유단부에 걸림홈을 가진 락킹바와, 걸림홈을 수용하는 중공을 가지며 걸림홈에 삽입되어 락킹하거나 이탈하여 언락킹하도록 이동 가능한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에 인접하여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락킹모듈과, 사용자가 제공하는 언락킹 신호에 따른 전자석의 극성전환으로 영구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락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자물쇠를 락킹 또는 언락킹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자물쇠{A Portable Lock}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자물쇠,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자물쇠의 락킹(Locking)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물쇠는 열쇠를 통해 문을 폐쇄하고 개방하는 기구로 다양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열쇠가 필요한 전통적인 기계식 자물쇠는 열쇠 휴대의 불편성 및 복제가능성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적 기계식 자물쇠를 대체하는 전자식 자물쇠가 이용되고 있다. 전자식 자물쇠는 다이얼식 번호 입력방식 또는 NFC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휴대용 전자자물쇠는 작은 크기에 다양한 부품들을 내장시켜야 하는 문제와 가격의 상승으로 아직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9137호
선행기술문헌 2: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597호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전자자물쇠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자물쇠가 제공된대, 휴대용 전자자물쇠는, 하우징과, 고정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 이동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폐루프 공간을 형성도록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일체 연장하고, 상기 고정단부의 탄성적인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또는 이탈하는 자유단부에 걸림홈을 가진 락킹바와, 상기 걸림홈을 수용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락킹하거나 이탈하여 언락킹하도록 이동 가능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락킹모듈과, 사용자가 제공하는 언락킹 신호에 따른 상기 전자석의 극성전환으로 상기 영구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락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락킹신호에 따라 전자석이 작동하여 인접한 영구자석을 이동시켜 락킹바의 걸림홈에 영구자석이 삽입 또는 이탕하여 락킹과 언락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락킹신호를 입력하는 락킹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바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버튼이 디제이블될 수 있다.
상기 라킹모듈은 상기 자유단부가 중공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전자석 극성과 상기 영구자석 극성이 같아지는 위치로 상기 영구자석을 강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영구자석의 중공에 위치될 때 상기 강제회전된 영구자석이 복귀하여 락킹이 이루어짐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락킹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제 회전은 상기 중공의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락킹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락킹신호 입력을 위한 지문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모듈은 언락킹 시에 디제이블되고, 사용자의 락킹신호 입력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휴대용 전자자물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락킹 및 언락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의 락킹모듈 구조를 나타낸 도,
도 4a 내지 4c는 도 3의 전자자물쇠의 락킹동작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의 락킹구조를 나타낸 도, 및
도 6a 내지 6c는 도 5의 전자자물쇠의 락킹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촉되어 (conta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자물쇠(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전자자물쇠(100)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자물쇠(100)는 하우징(1), 락킹바(10), 락킹버튼(110), 지문입력부(120), 통신모듈(130), 회로모듈(마이콤)(140), 락킹모듈(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은 예를 들면 4각통 또는 원통 모양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락킹버튼(110), 지문입력부(120), 통신모듈(130), 회로모듈(140), 락킹모듈(150) 및 배터리(160)가 장착된다. 하우징(1)의 일 표면에는 '∩' 모양의 락킹바(10) 양단부(11,15)가 수용되는 한 쌍의 이격된 개공들(2,3)을 포함한다.
락킹바(10)는 고정단부(11)가 상기 하우징(1)의 개공(2)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고정단부(11)는 하우징(1)의 개공(2) 내에서 스프링(12)에 의해 탄성적으로 신축 이동한다. 스프링(12)은 고정단부(11)에 제공된 걸림턱(14)에 의해 제한되어 압축 및 팽창을 수행함으로써, 락킹바(10)를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 또는 수용되게 한다.
락킹바(10)는 상기 하우징(1)과의 사이에 폐루프 공간을 형성도록 상기 개공(2)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개공(3)으로 상기 고정단부(11)에 일체로 연장한다. 이 폐루프 공간은 특정 물체의 락킹에 이용된다.
락킹바(10)는 상기 고정단부(11)의 탄성적인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1)에 수용 또는 이탈하는 자유단부(15)에 걸림홈(16)을 가진다. 즉,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하우징(1)의 개공(3)으로부터 이탈하면 락킹이 해제되고 수용되면 락킹이 수행된다. 걸림홈(16)은 락킹바(10)의 직사각형 자유단부에 대해 장변 방향으로 소정 폭의 깊이로 판다. 물론 자유단부(15)가 원통형일 경우 원주를 따라 소정 폭의 깊이로 파여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6)의 폭은 적어도 영구자석(154)의 두께보다 커야 영구자석(154)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킹버튼(110)은 락킹바(10)의 걸림홈(16)을 영구자석(154)의 중공에 수용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락킹신호를 인가하여 락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락킹버튼(110)을 누르면 락킹신호가 제어부(마이콤)(140)에 전달되고, 제어부(140)가 전자석(152) 인가접압 극성을 반전시켜 자극을 변화시킨다. 전자석(152)의 자극 반전에 따라 영구자석(154)을 이동, 예를 들면 회전시켜 락킹을 영구자석(152)이 걸림홈(16)으로 삽입되어 락킹이 수행된다. 락킹버튼(110)은 락킹상태에서는 반드시 동작하지 않도록 디제이블되어야 한다.
지문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직접 지문을 입력하는 지문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현된다. 다수 사용자의 지문은 사전에 전자자물쇠(100)의 저장부 또는 원격 서버(미도시)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이를 사전 저장된 지문들과 비교하여 정당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지문입력부(120)는 언락킹 시에는 지문입력부로의 기능은 필요 없으므로 락킹신호 입력 버튼으로의 기능으로 설정되므로써 별도의 락킹 버튼(110)을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한정되지 않는 근거리통신(NFC), 불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원격에서 외부장치(200)에서 무선으로 언락킹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장치(200)는 스마트폰, 스바트워치, 노트북, 맥북, PDA 등 모바일통신장치로 구현된다. 외부장치(200)는 락킹해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한되지 않는 중앙처리유닛(CPU),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등을 포함하는 회로모듈로 구현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언락킹신호, 지문입력 등에 따라 전자자물쇠(100)의 락킹모듈(150)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락킹모듈(150)의 상태에 따라 락킹버튼(110), 지문입력부(120), 통신부(130), 배터리(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입력부(120) 및 통신부(130)를 통해 언락킹신호가 입력되면 락킹모듈(150)을 락킹상태에서 언락킹상태로 제어한다. 락킹모듈(150)이 락킹상태이면 락킹버튼(110)을 디제이블하거나, 입력 신호를 무시하거나, 지문입력부(120)의 입력을 락킹신호로 취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100)의 락킹모듈(150)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락킹모듈(150)은 중앙에 긴 직사각형 단면의 락킹바(10) 자유단부가 수용되는 비대칭형 중공(155)을 가진 원통형 영구자석(154), 영구자석(154)을 둘러싸는 전자석(152)을 포함한다. 영구자석(154)은 전자석(152)에 대해 회전가능하나, 스토퍼(158)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스토퍼(158)는 영구자석(154)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6)에 하나 이상의 원호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154)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스토퍼(158)의 구현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전자자물쇠(100)가 사용하는 전력을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하다. 배터리(160)는 리튬이온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40)에 의해 액세스 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어부(140)에 의해 읽히거나 이동가능한 데이터,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지문데이터,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모듈(150)의 락킹 및 언락킹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직사각형 중공(155)에 락킹바(10)의 직사각 단면의 자유단부(15)가 삽입될 수 언락킹 상태이다.
도 4b는 직사각형 중공(155)에 락킹바(10)의 직사각 단면의 자유단부(15)가 삽입된 언락킹 상태이다.
도 4c는 락킹신호에 의해 전자석(152)의 자극이 반전되어 영구자석(154)을 회전시킴으로써 영구자석(154)이 걸림홈(16)에 삽입된 락킹상태이다.
이후, 언락킹신호에 의해 전자석(152)의 자극이 재반전되어 영구자석(154)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도 4b의 상태로 바뀌고, 락킹바(10)의 고정단부(11) 측의 스프링(12)에 의해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중공(155)으로부터 인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자물쇠의 락킹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54)의 직사각형 중공(155)은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53)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면(153)은 자유단부(15)가 중공(155)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전자석 극성과 상기 영구자석 극성이 같아지는 위치로 상기 영구자석(154)을 강제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걸림홈(16)이 상기 영구자석(154)의 중공(155)에 위치될 때 상기 강제 회전된 영구자석(154)이 복귀하여 걸림홈(16)에 영구자석(154)이 삽입되어 락킹이 이루어진다. 즉,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를 중공(155)에 채워 넣음으로써 자동적으로 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어,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필요한 락킹버튼(110)이 생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모듈(150)의 락킹 및 언락킹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여기서,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를 중공(155)에 강제로 삽입하면 경사면(153)에 의해 미끌어져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영구자석(154)을 회전시킨다. 이 영구자석(154)의 회전은 전자석(152)과 다른 같은 극성이 되는 방향이므로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영구자석(154)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려 할 것이다.
도 6b는 영구자석(1540을 회전시키면서 완전히 자유단부(15)를 삽입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홈(16)이 중공(155)에 위치함으로써 척력으로 강제 회전된 영구자석(154)을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영구자석(154)이 걸림홈(16)에 삽입되어 락킹이 수행된다.
도 6c는 언락킹신호에 의해 전자석(152)의 자극이 재반전되어 영구자석(154)을 회전시킴으로써 락킹바(10)의 고정단부(11) 측의 스프링(12)에 의해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중공(155)으로부터 인출가능하다. 물론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중공(155)으로부터 인출시에도 영구자석(154)은 척력 방향으로 강제 회전한다. 이때,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중공(155)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다시 락킹바(10)의 자유단부(15)가 중공(155)으로 삽입될 수 없으므로, 자동적으로 제어부(140)는 전자석(152)의 극성을 반전시켜 도 6a의 상태로 복귀시켜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하우징
10: 락킹바
100: 전자자물쇠
110: 락킹버튼
120: 지문입력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락킹모듈
152: 전자석
154: 영구자석
160: 배터리
170: 저장부
200: 외부장치

Claims (8)

  1. 휴대용 전자자물쇠에 있어서,
    하우징과;
    고정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수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 이동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폐루프 공간을 형성도록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일체 연장하고, 상기 고정단부의 탄성적인 신축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또는 이탈하는 자유단부에 걸림홈을 가진 락킹바와;
    상기 걸림홈을 수용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락킹하거나 이탈하여 언락킹하도록 이동 가능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하여 상기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락킹모듈과;
    사용자가 제공하는 언락킹 신호에 따른 상기 전자석의 극성전환으로 상기 영구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락킹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락킹신호를 입력하는 락킹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바가 락킹된 상태에서는 상기 락킹버튼이 디제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모듈은 상기 자유단부가 중공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전자석 극성과 상기 영구자석 극성이 같아지는 위치로 상기 영구자석을 강제 회전시키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영구자석의 중공에 위치될 때 상기 강제회전된 영구자석이 복귀하여 락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회전은 상기 중공의 경사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6.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언락킹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언락킹신호 입력을 위한 지문인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모듈은 언락킹 시에 디제이블되고, 사용자의 락킹신호 입력 버튼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자물쇠.
KR1020160092954A 2016-07-21 2016-07-21 휴대용 전자자물쇠 KR10190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54A KR101901143B1 (ko) 2016-07-21 2016-07-21 휴대용 전자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54A KR101901143B1 (ko) 2016-07-21 2016-07-21 휴대용 전자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617A true KR20180010617A (ko) 2018-01-31
KR101901143B1 KR101901143B1 (ko) 2018-09-21

Family

ID=6108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954A KR101901143B1 (ko) 2016-07-21 2016-07-21 휴대용 전자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1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480A (zh) * 2018-05-31 2018-08-31 深圳沃圣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动锁芯结构及手/自动u型锁
CN110528972A (zh) * 2019-08-29 2019-12-03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磁吸辅助闭锁的挂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818B2 (ja) * 1987-10-27 1997-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施解錠装置
JP5345115B2 (ja) * 2010-09-24 2013-11-20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電子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8480A (zh) * 2018-05-31 2018-08-31 深圳沃圣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动锁芯结构及手/自动u型锁
CN110528972A (zh) * 2019-08-29 2019-12-03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磁吸辅助闭锁的挂锁
CN110528972B (zh) * 2019-08-29 2024-05-07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磁吸辅助闭锁的挂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143B1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073B2 (en) Digital lock
AU2015264845B2 (en) Keyless padlock,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378239B2 (en) Smart lock
US10890014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1901143B1 (ko) 휴대용 전자자물쇠
CN108351948A (zh) 一种电子设备
US10354464B2 (en) Wireless lock
EP3428373A1 (en) Electric lock device
RU2775148C2 (ru) Цифровой замок
RU2777885C2 (ru) Механизм для защиты цифрового замк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AU2015101797B4 (en) A Keyless-Operation Padlock, System and Method of Use
BR112017020356B1 (pt) Dispositivo eletrônico que tem uma função de ejeção de cartão automá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