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599A -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599A
KR20180010599A KR1020160092926A KR20160092926A KR20180010599A KR 20180010599 A KR20180010599 A KR 20180010599A KR 1020160092926 A KR1020160092926 A KR 1020160092926A KR 20160092926 A KR20160092926 A KR 20160092926A KR 20180010599 A KR20180010599 A KR 2018001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ct charging
container
powder
fluidiz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229B1 (ko
Inventor
최양규
김대원
초일웅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9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2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촉 대전 발전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 결합된 제 1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에 결합된 제 2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에 수용되며,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을 포함하고,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가루 분말 함유의 상기 유동화 물질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주기적으로 마찰됨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TRIBOELECTRIC GENERATOR BASED ON CONTACT-ELECTRIFICATION AND GEN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촉 대전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가해지는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접촉 대전 발생용 유동화 물질과 전극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속적인 에너지 고갈과 기존의 화석연료 등에 의한 심각한 환경오염 및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로 인해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여기에서,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주변의 버려지는 태양광, 열, 물리적 운동에너지 등의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하며, 에너지 변환 과정이 친환경적이고 버려지는 에너지를 획득하여 재사용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직접적인 전력 수급이 어려운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또는 외딴섬 등과 같이 에너지 자립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부각되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접촉 대전(contact-electrification) 현상에 기반한 접촉 대전 발전기(triboelectric generator)라는 새로운 운동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접촉 대전 발전기에서는 서로 다른 두 표면이 접촉할 때 접촉 대전 현상에 의해 한 쪽 표면에는 양전하가, 다른 표면에는 음전하가 유도되고 이 두 표면이 분리될 때 앞서 유도된 전하에 의해 전위차가 생기고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두 표면에 연결된 전극 사이에 전자의 흐름이 유도된다.
또한, 평형 상태에 도달한 후 두 표면이 다시 가까워지면 이전과 반대의 전위차가 형성되고 반대 방향의 전자 흐름이 유도되며, 따라서 두 대전체 표면의 반복적인 접촉 및 분리는 반복적인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 고체 물질의 표면 간 접촉 대전을 활용하여 실제 존재하는 물리적(또는 역학적) 에너지를 획득하는 다양한 구조의 접촉 대전 발전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때 진동은 접촉 및 분리를 쉽게 발생시킬 수 있는 운동이며, 이러한 진동으로 고체 평면 구조의 두 대전체를 접촉 및 분리시키는 방식을 통해 발전하는 구조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접촉 대전에 필요한 두 대전체가 고체 평면 구조인 경우 지속적인 접촉 분리에 의한 발전기의 내구력 저하 문제와, 평면의 특성상 전기 에너지로 전환 가능한 진동 방향이 한 방향으로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2758호(공개일 : 2011. 12. 09.)
본 발명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유동화 물질의 주기적인 유동에 의해 가루 분말 함유의 유동화 물질이 전극에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극성의 유동화 물질이 가루 분말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접촉 대전 발전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접촉 대전 발전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화 물질을 이용하여 가루 분말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가루 분말이 전극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촉 대전 발전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 결합된 제 1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에 결합된 제 2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에 수용되며,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을 포함하고,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가루 분말 함유의 상기 유동화 물질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주기적으로 마찰됨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는 접촉 대전 발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루 분말은, 가루 형태의 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동화 물질은, 무극성의 기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름은, 상기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유동화 물질이 유동될 때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상기 가루 분말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에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에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상기 가루 분말 함유의 상기 유동화 물질을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주기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촉 대전을 이용한 발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유동화 물질의 주기적인 유동에 의해 가루 분말 함유의 유동화 물질이 전극에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고효율의 접촉 대전 발전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극성의 유동화 물질이 가루 분말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접촉 대전 발전의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동화 물질을 이용하여 가루 분말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가루 분말이 전극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촉 대전 발전기에 대한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대전 발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대전 발전기를 제작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대전 발전기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대전 발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촉 대전 발전기는 실린더형의 컨테이너(102)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컨테이너(102)는 컨테이너 벽면(104)과 컨테이너(102)의 일측(하부)과 타측(상부)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은 컨테이너 벽면(104)의 양측 종단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컨테이너(102)의 수직 방향 벽면에 대해 수평하는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컨테이너(102)는, 예컨대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용도 또는 적용 환경 등에 따라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전극의 배치 구조를 고려할 때, 제 1 전극(106)은 하부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 2 전극(108)은 상부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에는 배선(도시 생략)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벽면(104)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또는 절연 재질, 예컨대 압축 아크릴이나 PVC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은, 예컨대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크롬(Cr) 또는 니켈(Ni)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ITO를 포함하는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02)의 내부에는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전극(106) 및 제 2 전극(108)과 컨테이너 벽면(104)의 의해 정의(한정)되는 밀폐 공간(1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밀폐 공간(110)에는 액상의 유동화 물질(112)이 수용되는데, 이러한 유동화 물질(112)에는 기 설정된 혼합비율 범위를 갖는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112a)이 함유되어 있다. 이때, 유동화 물질(112)의 부피는, 내부 공간에서의 원활한 유동성 확보를 위해 내부 공간의 대략 절반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화 물질(112)에 함유되는 가루 분말(112a)은, 예컨대 가루 형태의 폴리머일 수 있으며, 유동화 물질(112)은, 예컨대 무극성을 띄는 기름일 수 있는데, 유동화 물질로서 사용 가능한 기름은 접촉 대전 물질로서 작용(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102)에 외부의 물리적 자극(예컨대, 컨테이너를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역학적 힘)이 가해질 때, 컨테이너(102)의 밀폐 공간(110)에 채워진 액상의 유동화 물질(112)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이동)하여 제 1 전극(106) 및 제 2 전극(108)과 주기적인 접촉 및 분리를 반복(즉, 마찰의 반복)하게 됨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물리적 자극은 물리적 에너지 또는 역학적 에너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자극으로는, 예컨대 컨테이너를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역학적 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유동화 물질(112) 및 가루 분말(112a)과 제 1 및 제 2 전극(106, 108) 간의 대전열 차이에 의해 표면 전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 표면 전하가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교류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력이 생성된다. 여기에서, 유동화 물질(110)이 무극성을 띄기 때문에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간에는 합선(short)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컨테이너(102)에 가해질 때, 무극성을 띄는 유동화 물질(112)이 함유된 가루 분말(112a)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접촉 대전 발전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유동화 물질인 기름 자체가 접촉 대전 물질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접촉 대전 발전의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무극성을 띄는 기름은 컨테이너(102)에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가루 분말(112a)이 컨테이너(102)의 밀폐 공간(1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유동될 때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에 가루 분말이 접착되는(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대전 발전기를 제작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의 실린더형 컨테이너(102)를 준비한 후, 컨테이너(102)의 일측(하부 측)에 제 1 전극(106)을 밀폐 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제 1 전극(106)은 컨테이너 벽면(104)의 일측(하부) 종단 내부에 삽입되어 컨테이너(102)의 수직 방향 벽면에 대해 수평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에, 일례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2)의 내부 공간에 대략 1/2 정도의 유동화 물질, 즉 일정 비율로 가루 분말(112a)이 혼합된 유동화 물질(112)을 충전(삽입)한다. 여기에서, 내부 공간은 후술하는 공정을 통해 제 2 전극(108)이 컨테이너(102)의 타측(상부 측)에 결합될 때 밀폐 공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어서, 일례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2)의 타측(상부 측)에 제 2 전극(108)을 밀폐 가능한 구조로 하여 제 1 전극(106)과 평행한 형태로 결합시키는데, 이러한 제 2 전극(108)은 컨테이너 벽면(104)의 타측(상부) 종단 내부에 삽입되어 컨테이너(102)의 수직 방향 벽면에 대해 수평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선 접속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에 배선(도시 생략)을 연결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접촉 대전 발전기가 접촉 대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벽면(104)과 제 1 전극(106) 및 제 2 전극(108)에 의해 정의(한정)되는 밀폐 공간(110)에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112a)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112)이 수용되는 컨테이너(102)를 준비하고, 컨테이너(102)에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유동화 물질(112)과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112a)을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에 주기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전력을 생산한다.
보다 상세하게, 외부의 물리적 자극, 즉 컨테이너에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역학적 힘이 가해져 컨테이너(102)의 밀폐 공간(110)에 수용된 가루 분말(112a) 함유의 유동화 물질(112)이 제 2 전극(108)으로 향할 경우, 유동화 물질(112) 내의 음전하가 스크리닝(screening)하고 있던 제 1 전극(106)의 양전하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간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평형상태를 이루기 위해 제 2 전극(108)에서 제 1 전극(106)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된다.
다시,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거하여 발생한 유동성에 의해 가루 분말(112a) 함유의 유동화 물질(112)이 제 1 전극(106)으로 향할 경우, 유동화 물질(112) 내의 음전하가 스크리닝(screening)하고 있던 제 2 전극(108)의 양전하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간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평형상태를 이루기 위해 제 1 전극(106)에서 제 2 전극(108)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된다.
즉, 반복적인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유동화 물질(110)의 움직임에 따라 비대칭적 스크리닝이 발생되고, 이러한 비대칭적 스크리닝으로 인해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사이에 전자의 흐름이 유도되면서 접촉 대전 발전에 의한 지속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102)의 밀폐 공간(110)에 수용된 가루 분말(112a) 함유의 유동화 물질(112)이 컨테이너(102)에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밀폐 공간(110)을 유동(이동)하여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에 주기적으로 마찰되고, 이를 통해 제 1 전극(106)과 제 2 전극(108) 사이에 비대칭적인 전위차가 발생하여 유도 전류가 생성됨으로써 지속적인 전력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수직하는 형상의 컨테이너 벽면의 하부(일측 종단)와 상부(타측 종단)에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두 컨테이너 벽면(304)의 좌측과 우측에 제 1 전극(306)과 제 2 전극(308)이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폐 공간(310)을 형성하는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 예의 접촉 대전 발전기에 적용되는 제 1 전극(306)과 제 2 전극(308)은 컨테이너 벽면(304)의 양측 종단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컨테이너(302)의 수평 방향 벽면에 대해 수직하는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루 분말(312a) 함유의 유동화 물질(312)이 수용되는 밀폐 공간(310)이 컨테이너(302)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 1 전극(306)(좌측 전극)과 제 2 전극(308(우측 전극)에는 배선(도시 생략)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테이너(302)의 밀폐 공간(310)에 수용된 가루 분말(312a) 함유의 유동화 물질(312)은 컨테이너(302)에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가해질 때 밀폐 공간(31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접촉 대전 발전기를 구성하는 도 3의 각 구성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대응하는 각 구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명세서의 간결화를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이들 각 구성부재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302 : 컨테이너 104, 304 : 컨테이너 벽면
106, 108, 306, 308 : 전극 110, 310 : 밀폐 공간
112, 312 : 유동화 물질 112a, 312a : 가루 분말

Claims (8)

  1.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 결합된 제 1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에 결합된 제 2 전극과,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에 수용되며,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
    을 포함하고,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가루 분말 함유의 상기 유동화 물질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주기적으로 마찰됨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는
    접촉 대전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 분말은,
    가루 형태의 폴리머인
    접촉 대전 발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 물질은,
    무극성의 기름인
    접촉 대전 발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은,
    상기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유동화 물질이 유동될 때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상기 가루 분말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대전 발전기.
  5.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에 접촉 대전 발생용 가루 분말이 함유된 액상의 유동화 물질이 수용되는 컨테이너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에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가하여 상기 가루 분말 함유의 상기 유동화 물질을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주기적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접촉 대전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촉 대전을 이용한 발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 분말은,
    가루 형태의 폴리머인
    접촉 대전을 이용한 발전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 물질은,
    무극성의 기름인
    접촉 대전을 이용한 발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은,
    상기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상기 유동화 물질이 유동될 때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상기 가루 분말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대전을 이용한 발전 방법.
KR1020160092926A 2016-07-21 2016-07-21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KR10183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26A KR101830229B1 (ko) 2016-07-21 2016-07-21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926A KR101830229B1 (ko) 2016-07-21 2016-07-21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599A true KR20180010599A (ko) 2018-01-31
KR101830229B1 KR101830229B1 (ko) 2018-02-21

Family

ID=6108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926A KR101830229B1 (ko) 2016-07-21 2016-07-21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730B1 (ko) * 2018-07-11 2019-07-22 황남순 접촉대전을 이용한 마찰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229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i et al. Energy harvesting model of moving water inside a tubular system and its application of a stick-type compact triboelectric nanogenerator
KR101685184B1 (ko) 실린더형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7197B1 (ko) 임펄스 발생기 및 발생기 세트
KR102578823B1 (ko) 마찰전기 발전기
Seol et al. Hybrid energy harvester with simultaneous trib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generation from an embedded floating oscillator in a single package
EP3247033B1 (en) Triboelectric generator
US10309379B2 (en) Vibration energy harvester
CN203851062U (zh) 一种接触-分离式摩擦纳米发电机
CN103780127A (zh) 一种摩擦纳米发电机
CN103780126A (zh) 摩擦纳米发电机和陀螺仪
KR101498595B1 (ko) 마찰전기 발생장치
CN109150007A (zh) 一种磁悬浮振动俘能电池
KR101830229B1 (ko)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발전 방법
KR101819131B1 (ko) 자연력을 이용한 융합형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KR101971076B1 (ko) 마찰 전기를 이용한 발전기
CN105490580B (zh) 一种交叉折叠型摩擦发电机
JP2014226003A (ja) 振動発電器
KR20160111170A (ko) 자가 발전을 이용한 화장품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204131428U (zh) 一种基于纳米摩擦发电的振动能量发电装置
KR101730253B1 (ko) 탄성튜브형 에너지 수확 장치
CN103780140A (zh) 一种共面式摩擦发电机
KR101775116B1 (ko) 분말의 움직임을 이용한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1861B1 (ko) 비전도성 유체를 이용한 마찰전기 기반의 발전소자
KR101617865B1 (ko) 실린더형 접촉 대전 발전기
RU2241300C2 (ru)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ая емкостная машин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ветрового по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