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428A -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428A
KR20180010428A KR1020160092471A KR20160092471A KR20180010428A KR 20180010428 A KR20180010428 A KR 20180010428A KR 1020160092471 A KR1020160092471 A KR 1020160092471A KR 20160092471 A KR20160092471 A KR 20160092471A KR 20180010428 A KR20180010428 A KR 20180010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me
terminal
request
ser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4506B1 (en
Inventor
김현선
박호균
신익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9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506B1/en
Publication of KR2018001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comprises: a step in which a target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receives a position registration request of a terminal that is moved to a region of the target MME while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a serving MME that receives a positioning request for the terminal is performed; a step in which the target MME requests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ing MME according to the posi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target MME receives the positioning request for the terminal generated according to a position movement message of the serving MME that receives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a step in which the target MME requests paging to an evolved node B (eNB) in which a position of the terminal is registered.

Description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0001] DESCRIPTION [0002]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

본 발명은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위치 측위의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capable of reducing a failure probability of location positioning of a terminal.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radio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WCDMA의 첫 번째 진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중기적인(mid-term) 미래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무선 접속 기술을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 제공한다.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access technology is widely deployed all over the world and can be defined as the first evolution stage of W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provides a wireless access technology with high competitiveness to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mid-term future.

그러나,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 사항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또한 무선 접속기술의 개발 경쟁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However, as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of users and operators continue to increase and competition for development of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continues, there is a need to evolve new technologies in 3GPP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 order to gai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즉,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 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 장치(User Equipment)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에서의 불필요한 시간 지연(latency)의 방지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등도 3GPP에서의 기술 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That is, a reduction in cost per bit, an increase in service availability, the use of a flexible frequency band, a simple structure and an open interface, and an appropriate power consumption of a user equip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prevention of unnecessary latency at a network node and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can also promote technology evolution in 3GPP.

그리고, 3GPP 릴리스(Release) 8에는, 전술한 요구 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써, 망 아키텍처(Network Architecture)인 EPC(Evolved Packet Core)가 기술되어 있다.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집합이다. EPC는 기존의 3GPP 시스템 아키텍처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로부터 진화된 것으로, 진화된 무선 접속망(Evolved RAN)인 E-UTRAN 등을 지원하고, 또한 패킷 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단순화시킨 효율적인 망구조를 갖는다. EPC와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호칭할 수도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구현 및 서비스 중인 LTE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In 3GPP Release 8, a network architecture EPC (Evolved Packet Core) is described as on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The EPC is a collection of network nodes for the 3GPP LTE system. The EPC has evolved from the core network of the existing 3GPP system architecture and supports E-UTRAN, which is an evolved RAN, and also provides an E-UTRAN which simplifies the network nod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acket network. Network structur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EPC and 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may be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and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serviced in the Republic of Korea.

LTE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무선 자원은 단말로의 송수신 트래픽이 일정 시간동안 없으면 UE(User Equipment: 단말 장치) ~ eNodeB(eNB: 기지국) ~ SGW(Serving Gateway) 구간이 해제된다. 이는 무선 자원을 다수의 단말이 시분할 형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인데, 이 경우 해당 단말은 유휴(idle) 상태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In the LTE network, radio resources of UEs are released from UE (User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to eNodeB (eNB: base station) to SGW (Serving Gateway) sections when there is no transmission / This is to increase efficiency by allow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o share wireless resources in a time division manner. In this case, the terminal enters an idle state.

이처럼 단말이 유휴 상태에 진입하게 되면 해당 단말측으로의 다운링크 베어러가 비활성화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베어러는 일종의 데이터 전송 채널의 의미한다.When the UE enters the idle state, the downlink bearer to the UE becomes inactive. Here, the bearer refers to a kind of data transmission channel.

한편, LTE 네트워크 내에서 단말의 위치는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추정될 수 있는데,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단위로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다. 단말에 대한 측위 요청이 발생할 경우, 단말이 마지막으로 위치등록한 MME가 관리하는 기지국들로 신호가 전송되어 단말이 어느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하게 된다. 이때,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이 MME 경계 지역에서 이동하게 되면, 즉 마지막으로 위치등록한 MME가 아닌 다른 MME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단말의 측위가 실패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sition of the UE in the LTE network can be estim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E is connected. The EPC grasps the location of the UE in units of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When a positioning request for the terminal occurs,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s managed by the MME where the terminal has last registered location, and it is determined which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t this time, if the mobile station in the idle state moves in the MME boundary region, that is, if the mobile station moves to the MME other than the last registered MME,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station may fail.

본 발명은 위치 측위 요청 발생시 단말의 측위가 실패하게 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that can reduce a phenomenon that a positioning of a terminal fails when a location location request is generat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은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한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타겟 MME가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서빙 MME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빙 MME의 위치 이동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locat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performing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hat has moved to the area of the target MME; The target MME reques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ing MME according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the location MME be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of the serving MME, the target MME having received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requesting the target MME to paging the Evolved Node B (eNB) in which the MS is locat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rget MME may recognize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전달한 뒤, 상기 타겟 MME가 상기 HSS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HSS (Home Subscriber Server), the target MME recognizes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response from the HSS As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겟 MME가, 상기 eNB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이 상기 eNB를 통해 전송하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응답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rget MME may receive a response to the paging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which has received a paging message from the eNB, through the eNB; And the target MME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and perform the positioning.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 측위는 CID(Cell ID) 방식, E-CID(Enhanced Cell ID) 방식,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cation lo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y one of a CID (Cell ID) method, an E-CID (Enhanced Cell ID) method, and an OTDOA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은,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상기 서빙 MME가 타겟 MME로부터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상기 서빙 MME가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locat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in which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ceives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a mobile station and requests paging from an eNB (Evolved Node B) ; Receiving a request fo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hat the serving MME has moved from the target MME to the area of the target MME during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ransmitting, by the serving MME to a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a location movement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target MME area upon receiving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은,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의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타겟 MME가,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MME가, 상기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위치 이동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된 eN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ositioning a location of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ceives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an MS and requests paging to an eNB (Evolved Node B) ;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moved to the area of the target MME during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paging; The serving MME receiving a request fo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ed according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serving MME, a location movement message to the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moved to the target MME area upon receipt of the request for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And the target MME requesting paging to the eNB where the terminal is register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에 의하면,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페이징 동작 수행 중 단말이 MME 경계에서 이동할 경우에도 단말의 위치 이동을 인지하여 이동한 단말에 대해 페이징 동작을 수행하여, 위치 측위 실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oning method of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erminal moves on the MME boundary during the paging operation for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positional positioning failur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ccurring in positioning of a terminal.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t least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LTE 네트워크(1)는 UE(User Equipment, 10), eNB(Evolved Node B, 20), S-GW(Serving Gateway, 3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4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0),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60), HSS(Home Subscriber Server, 70), AGENT(80) 및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LTE network 1 includes a UE (User Equipment) 10, an Evolved Node B (eNB) 20, an S-GW (Serving Gateway) 30, a P- A Data Network Gateway 40,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50, a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60, an HSS (Home Subscriber Server) 70, an AGENT 80 and an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As shown in FIG.

UE(10)는 LTE 사용자 단말로서, LTE-Uu 인터페이스(15)를 통해 eNB(20)와 연결된다. 여기서, LTE Uu 인터페이스(15)는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이 정의된다.The UE 10 is an LTE user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eNB 20 via the LTE-Uu interface 15. Here, the LTE Uu interface 15 defines a control pla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message as a wireless interface and a user plane for providing user data.

eNB(20)는 UE(10)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제어(Load balancing) 및 셀 간 간섭 제어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The eNB 20 provides a radio interface to the UE 10 and provides radio resource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radio bearer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load balancing and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do.

S-GW(30)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EPC(Evolved Packet Core)의 종단으로서, eNB(20)간 핸드오버 및 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앵커링 포인트(Anchoring point)가 된다. 여기서, E-UTRAN은 적어도 하나의 eNB(20)로 구성되며, EPC는 S-GW(30), P-GW(40), MME(50), GMLC(60), HSS(70) 및 eSMLC(90)로 구성된다.The S-GW 30 is an end point of 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and an evolved packet core (EPC), and an anchor point at handover between the eNB 20 and the 3GPP system do. The E-UTRAN comprises at least one eNB 20 and the EPC includes an S-GW 30, a P-GW 40, an MME 50, a GMLC 60, an HSS 70 and an eSMLC 90).

P-GW(40)는 UE(10)를 외부의 PDN(Packet Data Network, 110)과 연결해주며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GW(40)는 UE(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3GPP 시스템과 non-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모빌리티 앵커링 포인트(Mobility anchoring point)로 동작한다. 특히, P-GW(40)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을 수신하여, 이를 해당 서비스 흐름에 적용하며, UE(10)/SDF(Service Date Flow) 별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PCRF는 정책 및 과금 제어를 수행하는 엔터티로서 정책 제어 결정과 과금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The P-GW 40 connects the UE 10 to an external PDN (Packet Data Network) 110 and performs a packet filtering function. In addition, the P-GW 40 assigns an IP address to the UE 10 and operates as a mobility anchoring point when performing handover between the 3GPP system and the non-3GPP system. In particular, the P-GW 40 receives the Policy and Charging Control (PCC) rules from the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PCRF), applies it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flow, Billing function. The PCRF provides policy control decisions and billing control functions as entities that perform policy and billing control.

MME(50)는 UE(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 관리, 유휴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기능 등을 담당할 수 있다. 즉, MME(50)는 UE(10)이나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결합 요청이나 무선 베어러 설정 요청 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여러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HSS(7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 EPS 베어러 또는 아이피 터널(IP tunnel)의 설정,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ME 50 is a node that manages the mobility of the UE 10 and may be responsible for session management, idle subscriber management, pag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the like. That is, the MME 5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a control plane for processing a control signal when there is a binding request or a radio bearer setup request from the UE 10 or another network node, User profile information, authentication and location related data from the HSS 70,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tting up an EPS bearer or an IP tunnel, mobility management, and the like.

MME(50)는 UE(10)가 액티브(active) 상태, 즉 통신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의 위치를 셀 단위로 인식할 수 있으며, UE(10)가 위치한 셀에 설치된 eNB(20)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있다. 또한, MME(50)는 GMLC(60)로부터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면, UE(10)가 위치한 셀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셀에 설치된 eNB(20)에 페이징을 요청하며, UE(10)가 위치한 셀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 MME(50)가 관리하는 모든 eNB(20)에 페이징을 요청할 수 있다.The MME 5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E on the cell basis when the UE 10 is in an active state, i.e., in a state of communication, and can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NB 20 installed in the cell where the UE 10 is located, And the like. When the MME 50 receives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from the GMLC 60, the MME 50 requests paging to the eNB 20 installed in the cell when the UE 10 recognizes the cell in which the UE 10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request paging to all the eNBs 20 managed by the MME 50.

여기서, 페이징 동작은 해당 단말로 착신호(예컨대, 데이터 수신, 위치 측위 요청)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단말을 호출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미리 정해진 페이징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리 정해진 횟수인 n(n은 1이상의 정수)회만큼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eNB(20)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eNB(20)는 MME(50)에 전달함으로써 MME(50)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Herein, the paging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to call a corresponding terminal when an incoming call (e.g., data reception, location location request) occurs to the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n () is se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during a predetermined paging time n is an integ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times. The terminal receiving the paging message transmits a response to the paging message to the eNB 20 and the receiving eNB 20 transmits the paging message to the MME 50 so that the MME 50 can grasp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MME(50)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MME(50)는 eSMLC(90)와 연동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며, 해당 단말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GMLC(60)의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MME 50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MME 50 performs location positioning in cooperation with the eSMLC 9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ccurat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of the GMLC 60 As shown in FIG.

여기서, MME(50)가 eSMLC(90)와 연동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은, CID(Cell ID) 방식, E-CID(Enhanced Cell ID) 방식,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performing location positioning in cooperation with the eSMLC 90 may be a CID (Cell ID) method, an E-CID (Enhanced Cell ID) method, an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Can be used.

만일, MME(50)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으면, MME(50)는 해당 단말에 대한 측위가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측위 실패 메시지를 GMLC(60)의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MME 50 can not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MME 50 may transmit a positioning failur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ositioning of the terminal has fail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of the GMLC 60.

GMLC(60)는 AGENT(80)로부터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예컨대,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MME 정보 요청을 HSS(70)로 전송한 뒤, HSS(7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MME 정보를 수신하고 MME 정보에 해당하는 MME(50)를 식별할 수 있다. GMLC(60)는 식별된 MME(50)로 위치 측위 요청을 송신하며, MME(50)의 페이징 및 위치 측위 결과에 따라 UE(10)의 위치 정보 또는 측위 실패 메시지를 AGENT(80)의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GMLC 60 receives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rom the AGENT 80 and transmits an MME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user information (e.g., a subscriber number) to the HSS 70, And can identify the MME 50 corresponding to the MME information. The GMLC 60 transmits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to the identified MME 5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10 or the positioning failure message to the location location of the AGENT 80 according to the paging and location location result of the MME 50 It can be sent in response to a request.

HSS(70)는 가입자 프로파일(Subscriber profile)을 저장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로서, MME(50)에게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또한, HSS(70)는 UE(10)가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한 MME(50)에 대한 정보인 MME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GMLC(60)의 요청에 따라 MME 정보를 GMLC(60)에 제공할 수 있다.The HSS 70 is a central database for storing a subscriber profile, and provides the MME 50 with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 user profile. The HSS 70 may also store MM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MME 50 that the UE 10 last registered with and may provide the MME information to the GMLC 60 at the request of the GMLC 60 have.

AGENT(80)는 외부의 UE(10)의 위치 파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UE(10)의 사용자 정보(예컨대,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요청을 GMLC(6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GENT 80 may receive a request for location of an external UE 10 and may transmit a location location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E 10 (e.g., subscriber number) to the GMLC 60.

eSMLC(90)는 MME(50)의 요청에 따라 UE(10)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며, 해당 UE(10)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MME(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측위시 CID 방식, E-CID 방식, OTDOA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eSMLC 90 performs positioning of the UE 1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MME 50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recise location of the UE 10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ME 50. As described above, the CID scheme, the E-CID scheme, the OTDOA scheme, or the like can be used at the time of positioning.

PDN(110)은 UE(10)와 통신하는 엔드 유저(end user)와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PDN 110 refers to a network that is connected to an end user communicating with the UE 10.

이하에서는, LTE 네트워크(1)를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face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LTE network 1 will be briefly described.

LTE-Uu(15)는 UE(10)와 eNB(20)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The LTE-Uu 15 provides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with a radio interface between the UE 10 and the eNB 20. [

S1-U(25)는 eNB(20)와 S-GW(3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베어러(bearer) 별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링(GTP-U)이 제공된다.The S1-U 25 is an interface between the eNB 20 and the S-GW 30, and provides a user plane. At this time, GTP (GPRS Tunneling Protocol) tunneling (GTP-U) for each bearer is provided.

X2(26)는 두 eNB(20)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제어 평면에서는 X2-AP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사용자 평면에서는 X2 핸드오버 시 데이터 포워딩(Forwarding)을 위해 베어러 당 GTP 터널링을 제공한다.X2 26 is an interface between the two eNBs 20, providing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The X2-AP protocol is used in the control plane and GTP tunneling per bearer for data forwarding in the X2 handover in the user plane.

S5(35)는 S-GW(30)와 P-GW(4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평면은 베어러 별 GTP 터널링(GTP-U)을 제공하고, 제어 평면은 GTP 터널 관리(GTP-C)를 제공한다.S5 35 is an interface between the S-GW 30 and the P-GW 40, providing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At this time, the user plane provides bearer-specific GTP tunneling (GTP-U), and the control plane provides GTP tunnel management (GTP-C).

SGi(45)는 P-GW(40)와 PDN(110) 간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정의한다. 사용자 평면에서는 IETF 기반 IP 패킷 포워딩(Forwarding)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제어 평면에서는 DHCP와 RADIUS/Diameter와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SGi 45 defines a user plane and a control plan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P-GW 40 and the PDN 110. In the user plane, IETF based IP packet forwarding protocol is used, and in the control plane, protocols such as DHCP and RADIUS / Diameter are used.

S11(55)는 MME(50)와 S-GW(30)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베어러 별 GTP 터널링이 제공된다.S11 55 defines a control plan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MME 50 and the S-GW 30, and GTP tunneling for each bearer is provided.

S1-MME(75)는 eNB(20)와 MME(5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S1-A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The S1-MME 75 is an interface between the eNB 20 and the MME 50, and a control plane is defined, and the S1-AP protocol is used.

도 2는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ccurring in positioning of a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영역(A1)은 서빙(serving) MME(도 3의 50-1)가 관리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2 영역(A2)은 타겟(target) MME(50-2)가 관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서빙 MME(50-1)는 이동 전에 UE(10)가 연결되는 eNB를 관리하는 MME를 의미하며, 타겟 MME(50-2)는 이동 후에 UE(10)가 연결되는 eNB를 관리하는 MME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area A1 and a second area A2 are shown. The first area A1 means an area managed by a serving MME (50-1 in Fig. 3), and the second area A2 means an area managed by a target MME 50-2 it means. Here, the serving MME 50-1 is an MME for managing an eNB to which the UE 10 is connected before the movement, and the target MME 50-2 is an MME for managing an eNB to which the UE 10 is connected after the movement, .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eNB(20) 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예컨대 수백 내지 수천 개의 eNB들에 대한 통신 서비스(예컨대, 음성 서비스, 영상 서비스, 부가 정보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하나의 MME(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수십 개의 eNB들이 각각 하나의 TA(Tracking Area) 영역을 형성하고, 수 내지 수십 개의 TA 영역이 하나의 하나의 MME(5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Although only two eNBs 20 are illustrated in FIG. 1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ultimedia services including, for example, communication services for several hundreds to several thousand eNBs (e.g., multimedia services including voice services, Service) can be controlled by one MME 50, dozens of eNBs form one TA (Tracking Area) area, and several to several tens of TA areas can be controlled by one MME 50 Can be managed.

UE(10)가 제1 시점에서 제1 영역(A1) 내의 제1 지점(P1)에 위치하였다가, 상기 제1 시점 후 이동하여 제2 시점에서 제2 영역(A2) 내의 제2 지점(P2)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The UE 10 is located at the first point P1 in the first area A1 at the first point in time and moves after the point in time at the second point P2 in the second point A2 ).

유휴 상태에 있는 UE(10)가 상기 제1 시점 이후 UE(10)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에 따라 페이징을 시도하는 도중 UE(10)가 제2 영역(A2)으로 이동할 경우, 서빙 MME(50-1)는 UE(10)의 이동 사실을 알지 못하며 상기 페이징은 실패(응답 미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측위 실패 메시지가 GMLC(60)를 통해 AGENT(8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UE(10)에 대한 위치 측위가 실패하게 된다.When the UE 10 moves to the second area A2 while the UE 10 in the idle state tries to pag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UE 10 after the first time point, the serving MME 50- 1 does not know the movement of the UE 10 and the paging fails (no response is received). Accordingly, the positioning failur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GENT 80 via the GMLC 60, and finally the positioning of the UE 10 fails.

만일 UE(10)가 유휴 상태가 아닌 액티브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UE(10)는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수행하며 이때 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통해 서빙 MME(50-1)는 UE(10)의 이동 사실을 알게 된다.If the UE 10 moves in the active state instead of in the idle state, the UE 10 performs a handover procedure. At this time, the serving MME 50-1 transmits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UE 10 10).

즉, 유휴 상태에 있는 UE(10)가 MME 경계지역에서 이동시 페이징 실패에 의한 위치 측위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E 10 in the idle state moves in the MME boundary region, the positioning failure may occur due to the paging fail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ing method of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UE(10)는 제1 지점(P1)에 위치하며 제1 지점(P1)이 속한 셀의 eNB를 서빙 eNB(20-1) 또는 제1 eNB라 하고, 서빙 eNB(20-1)를 관리하는 MME를 서빙 MME(50-1) 또는 제1 MME라 한다. S60 단계 이후 UE(10)는 제2 지점(P2)에 위치하며 제2 지점(P2)이 속한 셀의 eNB를 타겟 eNB(20-2) 또는 제2 eNB 라 하고, 타겟 eNB(20-2)를 관리하는 MME를 타겟 MME(50-2) 또는 제2 MME라 한다. 또한, UE(10)는 유휴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3, the UE 10 is referred to as a serving eNB 20-1 or a first eNB, the eNB of the cell located at the first point P1 and to which the first point P1 belongs, and the serving eNB 20-1) is called a serving MME 50-1 or a first MME. After step S60, the UE 10 is located at the second point P2 and the eNB of the cell to which the second point P2 belongs is called the target eNB 20-2 or the second eNB, and the target eNB 20-2, Is referred to as a target MME 50-2 or a second MME. It is also assumed that the UE 10 is in an idle state.

AGENT(80)는 외부의 UE(10)의 위치 파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UE(10)의 사용자 정보(예컨대, 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요청을 GMLC(60)로 전송할 수 있다(S10).The AGENT 80 may receive a request for location of an external UE 10 and may transmit a location location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E 10 (e.g., subscriber number) to the GMLC 60 ).

GMLC(60)는 AGENT(80)로부터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MME 정보 요청을 HSS(7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상기 MME 정보 요청은 현재 UE(10)가 어느 MME에 위치 등록이 되어 있는지 요청하는 메시지이다.The GMLC 60 may receive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from the AGENT 80 and send an MME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SS 70 (S20). The MME information request is a message requesting to which MME the UE 10 is currently registered.

HSS(70)는 UE(10)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UE(10)가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한 MME(50-1)를 검색하고, MME(50-1)에 대한 MME 정보(예컨대, MME IP 주소)를 GMLC(60)에 전달할 수 있다(S30).The HSS 70 searches the MME 50-1 where the UE 10 last registered the loc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E 10 and transmits MME information about the MME 50-1 IP address) to the GMLC 60 (S30).

GMLC(60)는 MME 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서빙 MME(50-1)로 UE(10)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40).The GMLC 60 may send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UE 10 to the serving MME 50-1 identified based on the MME information (S40).

서빙 MME(50-1)는 UE(10)가 위치 등록되어 있는 서빙 eNB(20-1)에 페이징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50).The serving MME 50-1 may request the serving eNB 20-1 where the UE 10 is registered to perform the paging operation (S50).

페이징 동작의 진행 중, UE(10)가 제1 지점(P1)으로부터 제2 지점(P2)으로 이동한다(S60). 즉, UE(10)는 서빙 eNB(20-1)에 의한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없게 된다.During the progress of the paging operation, the UE 10 moves from the first point P1 to the second point P2 (S60). That is, the UE 10 can not transmit a response to the paging by the serving eNB 20-1.

UE(10)는 타겟 eNB(20-2)를 통해 타겟 MME(50-2)로 위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70).The UE 10 may request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target MME 50-2 via the target eNB 20-2 (S70).

타겟 MME(50-2)는 UE(10)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UE(10)가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된 MME가 서빙 MME(50-1)임을 인지하고, 서빙 MME(50-1)로 UE(10)의 단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80).The target MME 50-2 recognizes that the UE 10 in which the UE 10 was last located is the serving MME 50-1 according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UE 10 and sends the MME 50-1 to the serving MME 50-1 And may request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E 10 (S80).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MME(50-2)는 UE(1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서빙 MME(50-1)의 정보(예컨대, IP 주소)를 기초로, UE(10)가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된 MME가 서빙 MME(50-1)임을 인지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the target MME 50-2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E 10 to send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based on the information (e.g.,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50-1 included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UE 10 Finally, it can recognize that the location-registered MME is the serving MME 50-1.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겟 MME(50-2)는 UE(1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HSS(70)에 위치 등록 요청을 전달한 뒤, HSS(70)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된 서빙 MME(50-1)의 정보(예컨대, IP 주소)를 기초로, UE(10)가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된 MME가 서빙 MME(50-1)임을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arget MME 50-2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UE 10 and forward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o the HSS 70 and then sends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o the serving MME 50-2, Based on the information (e.g., IP address) of the mobile terminal 50-1, that the UE 10 is the serving MME 50-1.

서빙 MME(50-1)는 타겟 MME(50-2)의 UE(10)에 대한 단말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UE(10)의 위치 이동을 인지할 수 있다(S90).The serving MME 50-1 may receive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for the UE 10 of the target MME 50-2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UE 10 (S90).

이때, UE(10)의 위치 이동을 인지한 서빙 MME(50-1)는 현재 수행중인 UE(10)에 대한 페이징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서빙 eNB(20-1)로부터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ng MME 50-1 recognizing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UE 10 can ignore th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ging for the currently performing UE 10 has failed from the serving eNB 20-1 have.

서빙 MME(50-1)는 UE(10)가 서빙 MME(50-1)가 관리하는 영역으로부터 타겟 MME(50-2)가 관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GMLS(6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상기 위치 이동 메시지는 UE(10)가 이동한 영역의 타겟 MME(50-2)의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ng MME 50-1 transmits a location movement message to the GMLS 60 indicating that the UE 10 has moved from the area managed by the serving MME 50-1 to the area managed by the target MME 50-2 (S100).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may include the IP address of the target MME 50-2 in the area where the UE 10 has moved.

GMLC(60)는 서빙 MME(50-1)로부터 수신된 UE(10)의 이동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기초로 타겟 MME(50-2)로 UE(10)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110).The GMLC 60 may send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UE 10 to the target MME 50-2 based on a location movement message informing the movement of the UE 10 received from the serving MME 50-1 (S110).

타겟 MME(50-2)는 UE(10)가 위치 등록되어 있는 타겟 eNB(20-2)에 페이징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120).The target MME 50-2 may request the UE 10 to perform a paging operation with the target eNB 20-2 where the UE 10 is registered (S120).

타겟 eNB(20-2)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UE(10)는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타겟 eNB(20-2)를 통해 타겟 MME(50-2)에 전달하며, 타겟 MME(50-2)는 UE(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130).The UE 10 having received the paging message from the target eNB 20-2 transmits a response to the paging message to the target MME 50-2 via the target eNB 20-2,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E 10 (S130).

타겟 MME(50-2)가 UE(1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타겟 MME(50-2)는 eSMLC(90)와 연동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여 UE(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When the target MME 50-2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E 10, the target MME 50-2 can perform positional positioning in cooperation with the eSMLC 90 to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E 10 (S140).

타겟 MME(50-2)는 UE(10)의 위치 정보를 GMLC(60)의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며, GMLC(60)는 UE(10)의 위치 정보를 AGENT(80)의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target MME 50-2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1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of the GMLC 60 and the GMLC 6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E 10 to the location of the AGENT 80 Or in response to a positioning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에 의하면, 위치 측위 요청에 대한 페이징 동작 수행 중 단말이 MME 경계에서 이동할 경우에도 단말의 위치 이동을 인지하여 이동한 단말에 대해 페이징 동작을 수행하여, 위치 측위 실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oning method of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erminal moves in the MME boundary during the paging operation for the location location request, So that the possibility of positional positioning failure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Claims (14)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한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타겟 MME가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서빙 MME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빙 MME의 위치 이동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Receiving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a target MME, which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target MME, while a pag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request of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ceiving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The target MME reques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ing MME according to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the location MME being gener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of the serving MME, the target MME having received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Wherein the target MME requests paging to an Evolved Node B (eNB) in which the terminal is regist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arget MME recognizing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전달한 뒤, 상기 타겟 MME가 상기 HSS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HSS, the target MME recognizing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response from the HSS, A method of positioning a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ME가, 상기 eNB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이 상기 eNB를 통해 전송하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응답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response to the paging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eNB through the eNB, the ping message being received from the eNB;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arget MME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and performing location position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는 CID(Cell ID) 방식, E-CID(Enhanced Cell ID) 방식,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ation location is determined using one of a CID (Cell ID) scheme, an E-CID (Enhanced Cell ID) scheme, and an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scheme.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상기 서빙 MME가 타겟 MME로부터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상기 서빙 MME가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Receiving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rom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requesting paging from an eNB (Evolved Node B)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registered;
Receiving a request fo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hat the serving MME has moved from the target MME to the area of the target MME during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to the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 when the serving MME receives a request for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serving MME, the location lo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target MME area.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로 전송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quest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전달한 뒤, 상기 HSS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로 전송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quest for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response from the HSS after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o the HSS (Home Subscriber Server) A method of positioning a network.
서빙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한 eNB(Evolved Node 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의 요청에 따른 페이징 동작이 수행되는 중, 타겟 MME가,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의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MME가, 상기 단말 정보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MME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위치 이동 메시지를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위치 이동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이 위치 등록된 eNB로 페이징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A serving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receiving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a terminal and requesting paging from an eNB (Evolved Node B) where the terminal is registered;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moved to the area of the target MME during a paging oper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or paging;
The serving MME receiving a request fo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generated according to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serving MME, a location movement message to the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has moved to the target MME area upon receipt of the request for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location location request for the terminal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And
And the target MME requests paging to the eNB where the terminal is register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arget MME recognizing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ME가, 상기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전달한 뒤, 상기 HSS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된 상기 서빙 MME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MME를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arget MME recognizing the serving MME based on the IP address of the serving MME included in the response from the HSS after pass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to the Home Subscriber Server Position location method of LTE networ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MME가, 상기 eNB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이 상기 eNB를 통해 전송하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MME가, 상기 응답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by the target MME, a response to the paging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eNB through the eNB, the ping message being received from the eNB;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target MME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response and performing location position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는 CID(Cell ID) 방식, E-CID(Enhanced Cell ID) 방식,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ocation location is determined using one of a CID (Cell ID) scheme, an E-CID (Enhanced Cell ID) scheme, and an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sche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 메시지는, 상기 타겟 MME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LTE 네트워크의 위치 측위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cation movement message includes an IP address of the target MME.
KR1020160092471A 2016-07-21 2016-07-21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KR102544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1A KR102544506B1 (en) 2016-07-21 2016-07-21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1A KR102544506B1 (en) 2016-07-21 2016-07-21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28A true KR20180010428A (en) 2018-01-31
KR102544506B1 KR102544506B1 (en) 2023-06-16

Family

ID=6108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71A KR102544506B1 (en) 2016-07-21 2016-07-21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5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052A (en) * 2012-09-27 2014-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reof
KR20140081498A (en)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케이티 Base station,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50005408A (en) * 2013-07-04 2015-01-14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al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052A (en) * 2012-09-27 2014-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reof
KR20140081498A (en)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케이티 Base station, device for measuring lo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50005408A (en) * 2013-07-04 2015-01-14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call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506B1 (en)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14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terminal
US101590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KR102250738B1 (en) Smooth ue transfer within an evolved packet core
US9215643B2 (en) Route selecting device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WO2018128020A1 (en)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methods thereof
US20180234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100267388A1 (en) Auto configuration of mobility entity
US886747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porting radio access network element information
US9392566B2 (en) Avoiding unlimited number of unsuccessful location update or packet data connection establishment attempts
US11564078B2 (en) Gateway recover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12778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WO2019064542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6086282A (en) Radio terminal, network device and method therefor
WO2018084231A1 (en) Gateway device, movement management device,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method, p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28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US11076321B2 (en) Selecting 5G non-standalone architecture capable MME during registration and handover
JP6561995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7376166B2 (en) A first CN node, a method performed at the first CN node, and a method performed at a UE
KR102544506B1 (en) Method detecting position of user terminal for lte network
KR101817267B1 (en) Paging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service on heterogeneous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2362560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72503B1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Serving Gateway, Packet Data Network Gateway, and System
KR101613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dn message
KR201501347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processing
KR20130015963A (en) Integrate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